KR0120499Y1 - 헤드램프 록킹 칼라 구조물 - Google Patents

헤드램프 록킹 칼라 구조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0499Y1
KR0120499Y1 KR2019950031112U KR19950031112U KR0120499Y1 KR 0120499 Y1 KR0120499 Y1 KR 0120499Y1 KR 2019950031112 U KR2019950031112 U KR 2019950031112U KR 19950031112 U KR19950031112 U KR 19950031112U KR 0120499 Y1 KR0120499 Y1 KR 01204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lamp
housing
reflector
collar
bul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11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7128U (ko
Inventor
우태성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500311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0499Y1/ko
Publication of KR9700171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71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04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04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4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uilt into the vehicle body,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of the headlamps on the vehicle body
    • B60Q1/046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uilt into the vehicle body,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of the headlamps on the vehicle body with arrangement for sealing the headlamp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or for concealling gaps between the headlamp and the vehicle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헤드램프 록킹 칼라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하우징(16)에는 원형의 하우징 칼라(22)가 고정되고, 리플랙터(14)에는 보스(32)가 형성되며, 상기 보스(32)에는 벌브 칼라(26)가 고정되고, 환형 러버부재(24)의 반경방향 외측단부는 상기 하우징 칼라(22)에 끼워지며, 상기 환형 러버부재(24)의 반경방향 내측단부는 상기 벌브 칼라(26)에 끼워지게 된다.

Description

헤드램프 록킹 칼라 구조물
제 1 도는 선행기술에 따른 북미용 헤드램프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헤드램프 록킹 칼라 구조물이 설치된 북미용 헤드램프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북미용 헤드램프 12 : 렌즈
14 : 리플랙터 16 : 하우징
18 : 벌브 20 : 커넥터
22 : 하우징 칼라 24 : 러버
26 : 벌브 칼라 28 : 후드
30 : 범퍼 32 : 보스
34 : 스크루우 50 : 북미용 헤드램프
52 : 렌즈 54 : 리플랙터
56 : 벌브 58 : 장착 플레이트
60 : 후드 62 : 범퍼
본 고안은 북미용 헤드램프에 관한 것이고, 특히 별도의 더스트 캡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간단한 구조로 북미용 헤드램프 후방부분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램프가 차지하는 공간을 축소시키면서 범퍼 및 배터리 사이의 간격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헤드램프 록킹 칼라 구조물(head lamp locking collar structure)에 관한 것이다.
헤드램프는 야간에 전방의 진로를 비추는 주요한 기능을 하는 조명등으로서 전조등으로서도 언급되며, 야간에 전방 100m의 거리에 있는 교통상의 장애물을 확인할 수 있는 밝기를 필요로 하지만, 나라에 따라 성능기준이 다르게 된다. 헤드램프는 빔을 하향으로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도록 의무화되어 있다.
제 1 도를 참조하면, 선행기술에 따른 북미용 헤드램프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북미용 헤드램프(50)는 렌즈(52)와 리플랙터(54)를 포함하고, 렌즈(52)는 리플랙터(54)에 고정되어 에이밍(aiming)시 리플랙터(54)와 함께 일체적으로 이동된다. 상기 리플랙터(54)는 장착 플레이트(58)상에 장착되며, 리플랙터(54)는 벌브(56)가 설치된다. 도면 부호 60은 헤드램프 상방의 후드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62는 헤드램프 하방의 범퍼를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조되는 북미용 헤드램프에 사용되는 벌브를, 렌즈와 리플랙터가 서로 분리되어 에이밍시 리플랙터만이 이동되는, EC용 헤드램프에 채용하는 경우에는, 렌즈가 결합되는 하우징과 벌브가 제공되는 리플랙터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과 벌브 사이의 공간을 밀봉시키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선행기술에 있어서는, 벌브의 후방에 더스트 커버가 제공되어 상기 공간을 밀봉시키게 되는데, 북미용 헤드램프가 그 구조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많은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상기 더스트 커버를 포함한 전체 헤드램프가 차지하는 공간이 커지게 되며, 이는 다시 차체 프런트 부분의 설계에 제약을 가하는 요소로 작용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에 내재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별도의 더스트 캡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간단한 구조로 북미용 헤드램프 후방부분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램프가 차지하는 공간을 축소시키면서 상관부품과의 간격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헤드램프 록킹 칼라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에 따라, 렌즈가 리플랙터와는 별도로 하우징에 결합되는 형태의 헤드램프에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리플랙터 사이의 공간을 밀봉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록킹 칼라 구조물에 의해 달성되고; 상기 구조물은, 반경방향 외측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반경방향 내측단부가 상기 리플랙터에 고정되는 신축성의 환형 러버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하우징에는 원형의 하우징 칼라가 고정되고, 상기 리플랙터에는 보스가 형성되며, 상기 보스에는 벌브 칼라가 고정되고, 상기 환형 러버부재의 반경방향 외측단부는 상기 하우징 칼라에 끼워지며, 상기 환형 러버부재의 반경방향 내측단부는 상기 벌브 칼라에 끼워지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특성들에 따라, 헤드램프의 에이밍에 따라 상기 리플랙터가 이동되는 경우에도 상기 러버부재가 신축되면서 하우징과 리플랙터 사이의 공간에 대한 밀봉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별도의 더스트 캡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간단한 구조로 북미용 헤드램프 후방부분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램프가 차지하는 공간이 축소되고 범퍼 및 프런트 컴비네이션 램프 사이의 간극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제 2 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헤드램프 록킹 칼라 구조물이 설치된 북미용 헤드램프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북미용 헤드램프(10)는 렌즈(12) 및 리플랙터(14)를 포함하고, 렌즈(12)와 리플랙터(14)는 서로 분리되는 방식으로 제공된다. 상기렌즈(12)는 하우징(16)에 고정되며, 상기 리플랙터(14)는 상기 하우징(16)의 내부에 독립적으로 위치된다. 북미용 헤드램프(10)의 경우에는, 상기 리플랙터(14)만이 이동되는 방식으로 에이밍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리플랙터(14)에는 벌브(18)가 부착되고, 상기 벌브(18)에는 커넥터(20)가 제공되며, 상기 커넥터(20)에는 메인 와이어가 접속된다.
본 고안에 따른 헤드램프 록킹 칼라 구조물은 하우징 칼라(22), 러버(24) 및 벌브 칼라(26)를 포함한다. 상기 리플랙터(14)에는 보스(32)가 고정되고, 상기 벌브 칼라(26)는 스크루우(34)에 의해 상기 보스(32)에 고정되며, 상기 하우징 칼라(22)는 하우징(16)의 내측 연부(inner edge)에 고정된다. 상기 러버(24)는 신축성을 가지면서 환형의 형상으로 성형되고, 상기 러버(24)의 반경방향 외측단부는 상기 하우징 칼라(22)의 부분에 끼워지며, 상기 러버(24)의 반경방향 내측단부는 상기 벌브 칼라(26)의 부분에 끼워지게 된다.
헤드램프(10)의 에이밍에 따라, 상기 리플랙터(14)가 이동되면, 상기 러버(24)가 신축되면서 상기 하우징(16)과 상기 리플랙터(14)사이의 공간을 밀봉시키게 된다. 도면부호 28은 헤드램프 상방의 후드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30은 헤드램프 하방의 범퍼를 나타낸다.
본 고안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 헤드램프의 에이밍에 따라 상기 리플랙터가 이동되는 경우에도 상기 러버가 신축되면서 하우징과 리플랙터 사이의 공간에 대한 밀봉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별도의 더스트 캡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간단한 구조로 북미용 헤드램프 후방부분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램프가 차지하는 공간이 축소되고 상관부품 사이의 간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2)

  1. 렌즈가 리플랙터와는 별도로 하우징에 결합되는 형태의 헤드램프에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리플랙터 사이의 공간을 밀봉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록킹 칼라 구조물에 있어서, 반경방향 외측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반경방향 내측단부가 상기 리플랙터에 고정되는 신축성의 환형 러버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 록킹 칼라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원형의 하우징 칼라가 고정되고, 상기 리플랙터에는 보스가 형성되며, 상기 보스에는 벌브 칼라가 고정되고, 상기 환형 러버부재의 반경방향 외측단부는 상기 하우징 칼라에 끼워지며, 상기 환형 러버부재의 반경방향 내측단부는 상기 벌브 칼라에 끼워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 록킹 칼라 구조물.
KR2019950031112U 1995-10-30 1995-10-30 헤드램프 록킹 칼라 구조물 KR01204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1112U KR0120499Y1 (ko) 1995-10-30 1995-10-30 헤드램프 록킹 칼라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1112U KR0120499Y1 (ko) 1995-10-30 1995-10-30 헤드램프 록킹 칼라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7128U KR970017128U (ko) 1997-05-23
KR0120499Y1 true KR0120499Y1 (ko) 1998-07-15

Family

ID=19427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1112U KR0120499Y1 (ko) 1995-10-30 1995-10-30 헤드램프 록킹 칼라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049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7128U (ko) 199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28521B2 (ko)
KR0120499Y1 (ko) 헤드램프 록킹 칼라 구조물
KR100438263B1 (ko) 차량용 등기구
CN217684739U (zh) 一种防雾警示性强的汽车大灯
CN217415598U (zh) 一种车灯堵盖
JPH0115042Y2 (ko)
JPH0511726Y2 (ko)
JPH046085Y2 (ko)
KR100410884B1 (ko) 자동차용 실드 및 베젤 일체형 헤드램프 구조
KR200171901Y1 (ko) 차량용 헤드램프의 에이밍 장치
KR19980037363U (ko) 헤드램프 장착용 구조물
KR100271683B1 (ko) 자동차 헤드램프의 더스트커버 취부구조
KR200144910Y1 (ko) 작업램프
KR200160064Y1 (ko) 차량용 헤드 램프의 열 방출장치
KR0125726Y1 (ko) 자동차용 전조등의 백 커버 구조
KR19980048389U (ko) 전구 소켓 어댑터 구조
JPS6026403Y2 (ja) 前照灯
KR19980045207U (ko) 리어 컴비네이션램프의 고정장치
JPH0531763Y2 (ko)
JPH0449769Y2 (ko)
KR200167973Y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조립구조
KR19980051775U (ko) 램프용 리플렉터 고정용 구조물
KR19980047607A (ko) 자동차의 일체형 프론트 콤비네이션 램프
JPH0226087Y2 (ko)
KR20000007174U (ko) 자동차램프용 벌브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