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0417Y1 - 엘리베이터의 천장 조명용 차폐판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천장 조명용 차폐판 개폐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0417Y1
KR0120417Y1 KR2019950030017U KR19950030017U KR0120417Y1 KR 0120417 Y1 KR0120417 Y1 KR 0120417Y1 KR 2019950030017 U KR2019950030017 U KR 2019950030017U KR 19950030017 U KR19950030017 U KR 19950030017U KR 0120417 Y1 KR0120417 Y1 KR 01204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plate
guide shaft
guide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00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7879U (ko
Inventor
김명준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20199500300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0417Y1/ko
Publication of KR9700178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78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04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04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66B11/0233Lighting systems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천정 조명용 이동차폐판을 슬라이딩 및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고정차폐판에 장착하여 작업자 또는 비상 탈출시의 승객이 손쉽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조명용 부품의 관리시 작업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비상시 승객의 탈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안전성을 동시에 향샹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천정판의 양측에 체결된 고정차폐판과, 상기 천정판의 저면에 각각 고정되는 가이드 샤프트 브라켓과, 상기 각 가이드 샤프트 브라켓의 양측 선단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가이드 샤프트와, 상기 각 가이드 샤프트에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함과 동시에 슬라이딩 및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가이드와, 상기 각 고정차폐판 사이에 위치되어 일측이 상기 가이드에 고정되고 가이드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 하면서 각 고정차폐판 사이 공간을 개폐하는 이동 차폐판과, 상기 각 이동 차폐판의 회전시 회전각을 한정하기 위해 가이드 샤프트 브라켓과 대향하는 위치의 천정판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이동차폐판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로프로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천정 조명용 차폐판 개폐 장치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천정 조명용 차폐판 개폐 장치
제 1 도는 종래 엘리베이터의 천정 조명용 차폐판을 나타낸 저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A-A선을 나타낸 종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을 나타낸 저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B-B선을 나타낸 종단면도
제 5 도는 제 4 도의 C 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상세도
제 6 도는 제 5 도의 D-D선을 나타낸 정면도
제 7 도는 제 4 도의 각 가이드를 나타낸 정면도
제 8 도는 본 고안의 개방시 작동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제 9 도는 제 8 도의 종단면도로서,
(a) 내지 (g)는 본 고안의 개방시 고정차폐판 및 이동차폐판의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천정판
2a ,2b, 2c, 2d : 좌ㆍ우 및 전ㆍ후방 고정차폐판
3a : 제 1 이동차폐판 3b : 제 2 이동차폐판
4a, 4b : 제 1, 2 가이드 샤프트 브라켓 5a, 5b : 제 1, 2 가이드 샤프트
6a, 6b : 제 1, 2 가이드 7 : 고정로프
8a : 장홈 8b : 단홈
8 : 안내홈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천정 조명용 차폐판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천정 조명용 차폐판을 손쉽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조명용 부품의 관리 및 비상시 승객의 탈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고층건물에 설치되어 수직으로 승강하면서 사람 및 화물을 원하는 소정의 층까지 실어 나르는 기능을 수행하는 기계장치로서, 건물의 고층화에 따라 수요가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안전성과 쾌적한 승차감을 개선하는 노력이 한층 더 강화되고 있다.
종래의 엘리베이터는 제 1 도 및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정판(1)CCeiling Plate) 저면 양측에 실드판(10)(Shield Plate)이 각각 수직하게 체결되고, 상기 양측의 실드판(10)에는 다시 고정차폐판(2a)(2b)(Fixed Shelter Plate)이 수평상태로 각각 체결된다.
또한, 상기 양측 고정차폐판(2a)(2b) 위로는 고정차폐판(2a)(2b) 양 선단의 절곡부에 형성된 안착면(11) 위에 각 이동차폐판(12)(Movable Shelter Plate)의 양 선단이 안착되도록 이동차폐판(3c),(3d)을 올려 놓는다.
한편, 상기 천정판(1)에는 조명램프(12), 안정기(13)등 조명용 부품 및 배선이 설치되고, 비상시 승객이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트랩 도어(Trap Door)및 비상구가 마련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조명용 부품의 보수 및 유지관리시 또는 승객의 비상 탈출시 고정차폐판(2a)(2b) 위에 놓여 있는 양측 이동차폐판(3c),(3d)을 고정차폐판(2a)(2b)으로 부터 탈거시켜 완전히 분리하거나 한쪽의 이동차폐판을 다른 쪽에 위치한 이동차폐판 위로 밀어 올려 겹쳐 놓은 후, 천정판(1)에 설치된 조명용 부품의 보수 및 교환 작업을 수행하거나 또는 케이지 상부의 비상구를 통해 탈출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는 조명용 부품의 보수 및 교환 등을 위한 작업시, 작업자가 한사람인 경우 혼자서는 양측 이동차폐판(3c),(3d)을 고정차폐판(2a)(2b)으로 부터 모두 탈거시키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탈거작업시 이동차폐판(3c)(3d)을 떨어뜨릴 우려가 많았다.
이와 같이, 조명용 부품의 보수 및 교환 등을 위한 작업시 이동차폐판(3c),(3d)의 탈거 작업이 용이하지 못해 작업자가 불편함을 겪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이동차폐판(3c),(3d)을 한쪽으로 겹쳐 놓는 경우에는 승객의 비상 탈출시 탈출을 위한 공간의 확보가 어려워, 사고시 손쉽게 탈출할 수 없으므로 인해 안전성이 저하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의 천정 조명용 이동차폐판을 슬라이딩 및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고정차폐판에 장착하여 작업자 또는 비상 탈출시의 승객이 손쉽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조명용 부품의 보수 및 관리시 작업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비상시 승객의 탈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안전성을 동시에 향상시킨 엘리베이터의 천정 조명용 차폐판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천정판에 체결된 고정차폐판에 안착되는 이동차폐판이 천정판 하부에 결합수단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엘리베이터의 천정 조명용 차폐판 개폐 장치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첨부 도면 제 3 도 내지 제 9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3 도는 본 고안을 나타낸 저면도이고, 제 4 도는 제 3 도의 B-B선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제 5 도는 제 4 도의 C 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상세도이고, 제 6 도는 제 5 도의 D-D선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제 7 도는 제 4 도의 각 가이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제 8 도는 본 고안의 개방시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이며, 제 9 도는 제 8 도의 종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천정판(1)에 체결된 고정차폐판(2a)(2b)에 안착되는 이동차폐판(3a),(3b)이 천정판(1) 하부에 결합수단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수단은 천정판(1)의 저면에 각각 고정되는 가이드 샤프트 브라켓(4a),(4b)과, 상기 각 가이드 샤프트 브라켓(4a),(4b)의 양측 선단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가이드 샤프트(5a),(5b)와, 상기 각 가이드 샤프트(5a),(5b)에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함과 동시에 슬라이딩 및 회전 가능 하도록 연결되며 각 이동차폐판(3a),(3b)에 결합되는 가이드(6a),(6b)와, 상기 각 이동차폐판(3a),(3b)의 회전시 안전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각을 한정하기 위해 가이드 샤프트 브라켓(4a),(4b)과 대향하는 위치의 천정판(1)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이동차폐판(3a),(3b)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로프(7)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각 가이드 샤프트 (5a),(5b)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장홈(8a) 및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단홈(8b)으로 이루어진 가이드(6a),(6b)의 안내홈(8)에 삽입되어 각 이동차폐판(3a),(3b)의 좌·우 및 전 ·후 이동과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제 3 도 내지 제 9 도를 참조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엘리베이터의 천정판(1)에 설치된 각종 조명용 부품을 보수 또는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 혹은 비상시 승객이 케이지 상부의 트랩도어 및 비상구(9)를 이용해 탈출을 시도할 경우, 작업자나 승객은 이동차폐판을 개방한 후 조명용 부품을 보수 또는 교환하거나 비상구(9)를 이용해 탈출을 하게 된다.
이때, 먼저 작업자나 승객은 제 1 이동차폐판(3a)을 제 8 도 및 제 9 도의 (a)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로 들어 올려 (제 8 도의 ⊙표시를 의미함) 제 1 가이드 샤프트(5a)가 제 1 가이드(6a)에 형성된 안내홈(8)중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단홈(8b)으로부터 빠져나오도록 한 상태에서 우측으로 밀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장홈(8a)의 좌측 선단에 제 1 가이드 샤프트(5a)가 위치하도록 만든다.
이어서, 상기 제 1 이동차폐판(3a)을 도면상 아래쪽인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는 제 8 도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가이드(6a)가 제 1 가이드 샤프트(5a)의 축방향을 따라 우측선단으로 이동하게 됨을 가리키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이동차폐판(3a)을 이동시키는 이유는 제 2 이동차폐판(3b)의 하강시 제 2 이동차폐판(3b)의 회전운동 공간을 확보하여 제 1 이동차폐판(3a)과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 다음, 제 2 이동차폐판(3b)을 제 9 도의 (b)에 나타낸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로 들어 올려 제 2 가이드 샤프트(5b)가 제 2 가이드 (6b)에 형성된 안내홈(8)중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단홈(8b)으로 부터 빠져 나오도록 한 상태에서 제 1 이동차폐판(3a)의 이동시와 마찬가지로 도면상 아래쪽인 전방으로 이동시켜 후방의 고정차폐판(2d)과의 간섭을 배제한다.
이와 같이 된 상태에서 제 2 이동차폐판(3b)을 우측으로 밀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장홈(8a)의 좌측선단에 제 2 가이드 샤프트(5b)가 위치하도록 만든다.
이 또한, 제 2 이동차폐판(3b)의 좌측 선단이 좌측의 고정차폐판(2a) 선단에 절곡형성된 안착면으로 부터 벗어나게 하여 제 2 이동차폐판(3b)의 회전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하여, 좌·우 방향의 제 2 이동차폐판(3b)에 대한 간섭이 모두 배제됨에 따라 제 2 이동차폐판(3b)은 제 2 가이드 샤프트(5b)를 회전축으로 하여 제 9 도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나 승객은 제 2 이동차폐판(3b) 또는 고정로프(7)를 잡고 천천히 내려 놓게 된다.
이때, 제 2 이동차폐판(3b)은 제 2 가이드(6b) 샤프트(5b)를 축으로 회전함과 더불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장홈(8a)을 관통하여 삽입된 상태인 제 2 가이드 샤프트(5b)에 대한 제 2 가이드(6b)의 상대운동으로 인해 슬라이딩 하며 하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2 이동차폐판(3b)이 회전 및 하강운동을 완료한 후에 제 2 가이드 샤프트(5b)는 제 9 도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90도 각도로 회전하여 수직상태로 변위한 수평방향홈의 상단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제 2 이동차폐판(3b)의 우측선단에는 천정판(1)에 일단이 고정된 일정길이의 고정로프(7)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 2 이동차폐판(3b)이 회전할 경우 회전범위를 한정하여 지나친 회전으로 인한 제 2 이동차폐판(3b)의 파괴 및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제 2 이동차폐판(3b)을 내린 후에는 제 1 이동차폐판(3a)을 제 9 도의 (e)에 표시한 바와 같이 후방으로 이동시켜(제 9 도의표시를 의미함) 전방의 고정차폐판(2c)과의 간섭을 배제한 상태에서 다시 우측으로 완전히 밀어 제 1 이동차폐판(3a)의 좌측선단과 좌측의 고정차폐판(2a)과의 간섭을 배제하므로써 제 1 이동차폐판(3a)을 내릴 수 있게 된다.
이때, 제 9 도의 (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이동차폐판(3a)의 회전 및 슬라이딩 작용은 전술한 제 2 이동차폐판(3b)의 작용과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 1 이동차폐판(3a)에도 역시 천정판(1)에 일단이 고정된 일정길이의 고정로프(7)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 1 이동차폐판(3a)의 회전범위가 한정되어 지나친 회전으로 인한 제 1 이동차폐판(3a)의 파괴 및 손상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제 1 이동차폐판(3a) 및 제 2 이동차폐판(3b)을 모두 개방하여 작업자는 손쉽게 조명용 부품을 보수 또는 교환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비상시 트랩도어 및 비상구(9)를 이용해 탈출을 해야할 경우, 양측 이동차폐판(3a),(3b)을 모두 개방하여 승객의 탈출이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써 사고시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1 이동차폐판(3a) 및 제 2 이동차폐판(3b)이 모두 개방된 후에도 고정차폐판(2b)으로 부터 분리되지 않고 매달린 상태로 결합되므로써 관리 보수등 작업 후 이동차폐판(3a),(3b)의 재장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작업자에게 편리함을 주게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천정 조명용 이동차폐판(3a),(3b)을 슬라이딩 및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고정차폐판(2b)에 장착하여 작업자 또는 비상 탈출시의 승객이 손쉽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조명용 부품의 보수 및 관리시 작업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비상시 승객의 탈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안전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엘리베이터의 천정판의 양측에 체결된 고정차폐판과, 상기 천정판의 저면에 각각 고정되는 가이드 샤프트 브라켓과, 상기 각 가이드 샤프트 브라켓의 양측 선단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가이드 샤프트와, 상기 각 가이드 샤프트에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함과 동시에 슬라이딩 및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가이드와, 상기 각 고정차폐판 사이에 위치되어 일측이 상기 가이드에 고정되고 가이드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각 고정차폐판 사이 공간을 개폐하는 이동 차폐판과, 상기 각 이동차폐판의 회전시 회전각을 한정하기 위해 가이드 샤프트 브라켓과 대향하는 위치의 천정판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이동차폐판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로프로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천정 조명용 차폐판 개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이드의 면상에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장홈 및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단홈으로 이루어지며 각 가이드 샤프트가 삽입되는 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천정 조명용 차폐판 개폐 장치.
KR2019950030017U 1995-10-24 1995-10-24 엘리베이터의 천장 조명용 차폐판 개폐 장치 KR01204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0017U KR0120417Y1 (ko) 1995-10-24 1995-10-24 엘리베이터의 천장 조명용 차폐판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0017U KR0120417Y1 (ko) 1995-10-24 1995-10-24 엘리베이터의 천장 조명용 차폐판 개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7879U KR970017879U (ko) 1997-05-23
KR0120417Y1 true KR0120417Y1 (ko) 1998-08-01

Family

ID=19426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0017U KR0120417Y1 (ko) 1995-10-24 1995-10-24 엘리베이터의 천장 조명용 차폐판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041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050Y1 (ko) 2016-11-28 2017-11-22 박윤규 이물질 오염 방지용 조명장치
KR20190010183A (ko) 2017-07-21 2019-01-30 (주)신호테크 엘리베이터용 천장조립체의 제작시스템 및 제작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050Y1 (ko) 2016-11-28 2017-11-22 박윤규 이물질 오염 방지용 조명장치
KR20190010183A (ko) 2017-07-21 2019-01-30 (주)신호테크 엘리베이터용 천장조립체의 제작시스템 및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7879U (ko) 199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30603B1 (en) Elevator car comprising a working platform and method of moving a working platform
EP1026116B1 (de) Antriebseinheitszugang bei maschinenraumlosem Aufzug
US20190135586A1 (en) Elevator arrangement with low headroom
DE69511317T3 (de) Einrichtung in einer Öffnung einer Aufzugsschachtswand und Bedienungsfeld
CN109476456B (zh) 电梯装置和电梯
CN109476462B (zh) 电梯装置
EP1246770A1 (de) Inspektionsöffnung in einer aufzugskabine
CN109476460B (zh) 用于安全维护工作的电梯装置
KR20000022574A (ko) 엘리베이터의 제어반 개폐 장치
CN1434784A (zh) 用于升降机的竖井安全系统
RU2234450C2 (ru) Лифт и устройство временного ограничения хода кабины или противовеса для лифта
CN108883904A (zh) 电梯轿厢、电梯系统和维护电梯系统的方法
JP2007153540A (ja) エレベータの救出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救出方法
EP1760026A1 (de) Verfahren zur Durchführung von Wartungs- und Inspektionsarbeiten an einer Aufzugsanlage
KR0120417Y1 (ko) 엘리베이터의 천장 조명용 차폐판 개폐 장치
JP2016150835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9182572A (ja) 乗りかご及びエレベータ
JPH0940381A (ja) 高所作業車用バケット
KR101709023B1 (ko)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실 천정 장치
CN114364628B (zh) 电梯装置的轿厢
US20190210836A1 (en) Elevator maintenance access systems
JPWO2017009973A1 (ja) エレベータ装置
CN218201693U (zh) 电梯系统的运行间隙遮蔽装置及其电梯系统
JP4454766B2 (ja) エレベーターの昇降路装置
EP0820955A1 (de) Belüftungseinrichtung für eine Aufzugskab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