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0027Y1 - 휴즈 단선 표시 및 음성안내장치 - Google Patents

휴즈 단선 표시 및 음성안내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0027Y1
KR0120027Y1 KR2019940019643U KR19940019643U KR0120027Y1 KR 0120027 Y1 KR0120027 Y1 KR 0120027Y1 KR 2019940019643 U KR2019940019643 U KR 2019940019643U KR 19940019643 U KR19940019643 U KR 19940019643U KR 0120027 Y1 KR0120027 Y1 KR 01200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voice
current
load
dis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96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9018U (ko
Inventor
김영두
Original Assignee
김영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두 filed Critical 김영두
Priority to KR20199400196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0027Y1/ko
Publication of KR9600090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0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00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00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uses (AREA)

Abstract

1. 전기를 사용하는 모-든 전기기구는 휴-즈를 설치하여 끊어질 까지는 이상이 없는 것으로 안심하고있는것이 일반적인 상식이다.
2. 본 고안은 모-든기기에 무관심한 휴즈이 고정관념을 깨고, 사후 원인 분석보다는 사전에 예방을 할수있는 휴즈의단선 표시및 음성안내장치 이다.
3. 급속히 발전하는 자동차의 전기회로는 전자적인 부품으로 바뀌어지는 상황에서 정격치 이상의 과전류가 흐르때 순간적으로 기능이 마비되는 일이 종종 발생한다.
4.본 휴즈를 전지배선판 또는 차량의 휴즈에 간단히 교환하여 각 회로별로 정격전류를 셋팅(SETTING) 시켜 놓는다. 휴즈 위부분에는 LED를 삽설하여 회로고장시 발생시 어두운 곳에서도 고정회로에 꽂힌 휴즈를 쉽게 발견 할수있게 제작하였다.
5. 도면 2의 F에서 C를 통하여 부하로전류가 흐를때 배선상이나 부하측에서 합선되어어 과전류가 흘러 셋팅한 치수 이상이 되면 휴즈에서 열이발생하여 센스가 감지하여 INV.를 통하여 음성합성 CPU로하여금 이 회로가 이상이 생겼음을 알리고 안내 방송을 하게 한다.
6. 예비경보가 발생하여도 조치가되지 않을때는 경보는 계속한다. (수동으로는 정지 시킬수있어야 한다.) 이때는 전류는 차단되고 LED 만 점등되어 과 전류 휴즈를 쉽게 발견하여 조치를 용의하게 한다.
7. 고장부위가 계혹 과전류가 흐르면 V1의 감지에 의하여 전류는 완전 차단 되고 안내음은 계속 송출한다.

Description

휴즈단선 표시 및 음성 안내장치
제1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다른 휴즈단선 표시 및 음성 안내장치의 휴즈 케이스의 외관도이다.
제2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즈단선 표시 및 음성 안내장치의 휴즈 케이스의 내부 회로 구성도이다.
제3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즈단선 표시 및 음성 안내장치의 전체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가:휴즈 박스 나:음성합성저장 및 재생부
다:음성출력 앰프부 V1 … VN:휴즈
LOAD1 … LOAD N:부하 U2:컨트롤러
U1A:노아 게이트 SP1:스피커
이 고안은 휴즈단선 및 표시 및 음성 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디지탈 회로를 사용하여 휴즈의 단선을 정확하게 검출함과 동시에 각 부위별 휴즈에 과전류 표시용 발광 다이오드를 설치하여 운전자가 휴즈박스 뚜껑을 열며 간단히 고정회로의 휴즈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휴즈의 단선 상태를 음성합성을 통하여 알려줌으로써 운전자가 이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휴즈단선 표시 및 음성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장설되어 있는 휴즈박스는 차체의 전기배선에 과전류가 흐르게 됨으로써 전기적 고장을 일으키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차량의 운행도중에 차량의 일부기능이 마비되어 운행에 지장이 생기게 되면, 운전자는 상기한 휴즈박스를 살펴 봄으로써 전기장치의 이상유무를 일차적으로 확인할 수가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차량의 휴즈박스는 본네트 안쪽과 같은 후미진 구석에 위치하고 있을 뿐만 아나라, 휴즈의 단선여부를 일일이 눈으로 검사해보아야 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전기장치 부위의 고장을 휴즈박스를 통하여 확인하는 일은 운전자에게는 매우 번거로운 일이다. 만약, 우천이나 야간 주행시라면 더욱 나감할 뿐이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휴즈가 단선되는 경우에 경보음이 발생되게 하고 또한 단선된 휴즈에 해당되는 발광 다이오드가 점등되게 함으로서 그 휴즈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기술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공고번호 제91-5325호(공고일자: 서기 1991년 7월 22일)의 “자동차의 퓨즈상태 표시장치”와, 동 공고번호 제92-4667호(공고일자: 서기 1992년 7월 10일)의 “차량용 블레이드형 퓨우즈의 단선 검지장치” 등에서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휴즈 단선 표시장치는 애날로그 회로고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휴즈의 단선 검출이 정밀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또한 단순히 음향상태로만 휴즈이 단선상태를 알려줌으로서 운전자가 휴즈가 단선되었는지를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디지틀 회로를 사용하여 휴즈의 단선을 정확하게 검출됨과 동시에 각 부위별 휴즈에 과전류 표시용 발광 다이오드를 설치하여 운전자가 휴즈박스 뚜껑을 열면 간단히 고장회로의 휴즈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휴즈이 단선 상태를 음성합성을 통하여 알려줌으로써 운전자기 이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휴즈단선 표시 및 음성 안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즈단선 표시 및 음성 안내장치의 휴즈 케이스의 외관도이고, 제2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즈단선 표시 및 음성 안내장치의 휴즈 케이스의 내부 회로 구성도이고, 제3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즈단선 표시 및 음성 안내장치의 전체 회로도이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즈단선 표시 및 음성 안내장치의 구성은, 저항, 발광 다이오드, 휴즈, 제너 다이오드, 인버터 등이 하나의 케이스 안에 접적되어 있는 휴즈 케이스(V1 … VN)이 병렬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는 휴즈 박스(a)와, 상기한 휴즈박스(a)에 연결되어 휴즈박스가 (a)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되는 부하(LOAD1 … LOAD V)와, 상기한 휴즈박스(a)의 휴즈가 단선된 경우에 이를 노아 게이트(U1A)를 통해 감지하여 컨트롤로(U2)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경고음성합성 신호를 제생하여 출력하는 음성합성저장 및 재생부(b)와, 상기한 음성합성저장 및 재생부(b)로부터 경고음성합성 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증폭시킨 뒤에 스피커(SP1)를 이용하여 음성 메모리로서 출력하는 음성출력 앰프부(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즈단선 표시 및 음성 안내장티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수정 발진기(X1)로부터 클럭신호가 발생되어 컨트롤러(U2)로 입력되면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즈단선 표시 및 음성 안내장치의 동작이 시작된다. 동작이 시작되면, 배터리의 직류 12V 전원이 휴즈박스(a)의 휴즈(V1 … VN)를 통하여 전기장치 부하(LOAD 1 … LOAD N)에 인가됨으로써 차량의 각종 전기장치가 동작된다. 이 경우에 휴즈 박스(a)의 다이오드(LED1 … LEDn)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음으로써 점멸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차량이 운행되고 있는 도주에 어느 하나가 단선될 때에 해당 휴즈의 양단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저항 (R1) 및 발광 다이오드(LED1)를 통해서 전류가 흐르게 됨으로써 발광 다이오드(LED1)가 점등하게 된다. 상기한 휴즈(V1)는 셋팅전류 이상이 흐르면 녹아서 끊어지는 블레이드 타입만이 아니라, 전류의 흐름에 따라 온도가 상상하면서 저항이 높아지게 됨으로써 전류가 흐르지 못하게 되는 타입의 PTC 소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부하측 노드(C)에 마이너스 전압이 공급됨으로써 발광 다이오드(LED1)가 점등되어 과전류 상태가 표시됨과 동시에, 노아 게이트(U1A)를 거쳐 과전류 신호가 음성합성 메모리를 표함하는 컨트롤러(U2)의 단자(ST)로 입력됨으로써 컨트롤러(U1)를 동작시키면서 이와 함께 컨트롤러(U2)에 고장부위의 정보를 인터페이스시킨다.
음성합성 메모리칩이 내장되어 있는 컨트롤러(U2)에는 각 부위의 과부하, 전류차단을 안내하기 위한 음성 메시지가 합성되어 저장되어 있으며, 컨트롤러(U2)는 이를 읽어내어 필터회로(C1, C2, R2, R3)를 거쳐 노이즈가 제거되도록 한 뒤에 음성 출력 앰프부(c)로 출력되도록 한다.
음성출력 앰프부(c)는 필터회로(C1, C2, R2, R3)를 통하여 컨트롤러(U2)로부터 입력되는 음성합성 메시지 신호를 증폭회로를 이용하여 증폭시킨 뒤에 스피커(SP1)를 이용하여 음성 경고 메시지로서 출력한다.
따라서, 운전자는 차량의 각 전기장치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에 이를 음성으로 청취할 수 있고, 발광 다이오드를 고장 부위를 쉽게 감지함으로써 고장 부위 수리가 용이하여 전기장치 고장에 의한 대형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휴즈뿐 아니라 차량의 주요 전지장치 부위에 센스를 부착시켜 각 기능을 모니터링함으로서 사전에 각 부위별 상태의 내용을 들을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서, 디지틀 회로를 사용하여 휴즈의 단선을 정확하게 검출함과 동시에 각 부위별 과전류 표시용 발광 다이오드를 설치하여 운전가자 휴즈박스 뚜껑을 열면 간단히 고장회로의 휴즈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휴즈이 단선 상태를 음성합성을 통하여 알려줌으로써 운전자가 이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 휴즈단선 표시 및 음성 안내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이 고안의 이러한 효과는 자동차 계기류 분야에서 이 고안의 요지를 벗어자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이용될 수가 있다.

Claims (3)

  1. 저항(R1), 발광 다이오드(LED1), 휴즈(V1), 제너 다이오드(D1), 인버터(INV1) 등이 하나의 케이스 안에 집적되어 있는 휴즈 케이스(V1 … VN)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부하(LOAD 1 … LOAD N)로 흐르는 전류에 의해 휴즈가 단선되면 해당 다이오드가 발광되도록 함으로써 과전류 상태를 표시함과 동시에 과전류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휴즈박스(a)와, 상기 휴즈박스(a)의 휴즈가 단선된 경우에 이를 노아 게이트(U1A)를 통해 감지한 뒤에 이에따라 컨트롤러(U2)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경고음성합성 신호를 고장부위별로로 재생하여 출력하는 음성합성저장 및 재생부(b)와, 상기 음성합성저장 및 재생부(b)로부터 고장부위별 경고읍성합성 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증폭시킨 뒤에 스피커(SP1)를 이용하여 음성 메세지로서 출력되는 음성출력 앰프부(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즈단선 표시 및 음성 안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신호는, 휴즈(V1)의 단선에 의해 부하측 노드(C)가 저전압 상태로 변하는 경우에 이를 인버터(INV1)를 통하여 고전압 상태로 반전시켜서 신호로서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즈단선 표시 및 음성 안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휴즈(V1)는, 전류의 흐름에 따라 온도가 상승하면서 저항이 높아지게 됨으로써 전류가 흐르지 못하게 되는 타입의 PTC 소자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즈단선 표시 및 음성 안내장치.
KR2019940019643U 1994-08-03 1994-08-03 휴즈 단선 표시 및 음성안내장치 KR01200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9643U KR0120027Y1 (ko) 1994-08-03 1994-08-03 휴즈 단선 표시 및 음성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9643U KR0120027Y1 (ko) 1994-08-03 1994-08-03 휴즈 단선 표시 및 음성안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9018U KR960009018U (ko) 1996-03-16
KR0120027Y1 true KR0120027Y1 (ko) 1998-08-01

Family

ID=19390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9643U KR0120027Y1 (ko) 1994-08-03 1994-08-03 휴즈 단선 표시 및 음성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00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449B1 (ko) * 2006-03-30 2007-12-13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전류 과부하가 방지되는 led 패키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885B1 (ko) * 2010-06-29 2012-03-2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퓨즈 단선을 확인할 수 있는 퓨즈풀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449B1 (ko) * 2006-03-30 2007-12-13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전류 과부하가 방지되는 led 패키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9018U (ko) 199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3100966A4 (en) Automatic Detecting and Switching Vehicle Charger
US8035943B2 (en) Protection circuit apparatus
JP6439633B2 (ja) 保護装置
KR0120027Y1 (ko) 휴즈 단선 표시 및 음성안내장치
EP1458222A1 (en) Lamp failure warning device
JP2998879B2 (ja) 車載ワイヤハーネスのショート検出装置
JP5073508B2 (ja) 負荷制御回路及びバッテリ上がり防止方法
JP2017001566A (ja) 通電制御装置、通電制御方法および断線検知装置
JP3748343B2 (ja) スイッチング制御装置、スイッチング装置及び車両用電源供給装置
JPH09222448A (ja) 故障診断機能付安全回路
JP2002029364A (ja) エアバッグの異常発生警告ランプ点灯回路
KR19980025376U (ko) 차량용 전장품의 퓨우즈용단 알림장치
JP2004359023A (ja) 自動車ランプの通電異常警告システム
KR910005325Y1 (ko) 자동차의 퓨즈상태 표시 장치
JP2724564B2 (ja) 過電圧警報装置
JPS6222436Y2 (ko)
KR100207838B1 (ko) 전기쇼트로인한 화재발생 방지장치
JPS5838411Y2 (ja) 定電圧電源回路の保護回路
KR20060011570A (ko) 차량용 와이어 쇼트감지장치
JPH0737192Y2 (ja) 火災報知受信機の電源回路
JPH05282989A (ja) 電流遮断回路
JP2973599B2 (ja) プリンタのヘッド試験回路
KR20020039772A (ko) 자동차용 퓨즈 손상 감지회로
JPH0645902A (ja) 電子スイッチ
KR19990034205A (ko) 단선 경고회로 일체형 차량용 휴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