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9590Y1 - 폐타이어 재생용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폐타이어 재생용 선별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9590Y1
KR0119590Y1 KR2019940015011U KR19940015011U KR0119590Y1 KR 0119590 Y1 KR0119590 Y1 KR 0119590Y1 KR 2019940015011 U KR2019940015011 U KR 2019940015011U KR 19940015011 U KR19940015011 U KR 19940015011U KR 0119590 Y1 KR0119590 Y1 KR 01195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les
mesh
waste
waste fibers
crus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50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0761U (ko
Inventor
김승남
Original Assignee
김승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남 filed Critical 김승남
Priority to KR20199400150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9590Y1/ko
Publication of KR9600007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7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95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95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1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224Screens, si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0/00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L2030/006Solid ty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폐타이어를 재활용하기 위하여 작은 크기로 분쇄된 입자에 포함된 폐섬유를 선별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 비하여 작업 효율을 증대시킨 것이다.
본 고안은 기체(1)의 내부에 좌우로 요동되는 상하부망체(8a)(8b)를 각각 장치하고 상하부망체(8a)(8b)의 저면에 판스프링(9a)(9b)을 부착하여 기체 내부로 투입된 폐섬유와 분쇄입자가 요동되는 상부망체(8a)에 의하여 분쇄입자는 통과되고 폐섬유는 잔존하게 되며 통과된 분쇄입자는 하부망체(8b)에 놓여지며 각각의 망체(8a)(8b)는 요동되면서 판스프링(9a)(9b)에 의하여 복귀되는 탄성이 생기므로 상부망체(8a)에 잔존된 폐섬유는 일측으로 이송되어 배출되고 하부망체(8b)에 놓여진 분쇄입자는 타측으로 이송되어 배출되는 것으로, 망체가 요동되므로 폐섬유로부터 분쇄입자를 완전히 분리할 수 있으며, 판스프링(9a)(9b)의 탄성에 의하여 망체위의 폐섬유나 분쇄입자가 점차적으로 이동되므로 이동되는 과정중에 계속적으로 분리가 이루어지므로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망체의 길이를 길게 연장하지 않아도 망체의 요동에 의하여 완전한 분리가 이루어지므로 기체의 외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폐타이어 재생용 선별장치
제 1도는 본 고안의 측단면도
제 2도는 본 고안의 상하부 망체에 판스프링이 장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기체1a: 상부체
1b: 하부체3: 유동체
5: 편심축6: 모타
8a: 상부망체8b: 하부망체
9a, 9b: 판스프링
본 고안은 폐타이어를 재활용하기 위하여 작은 크기로 분쇄된 입자에 포함된 섬유를 선별하여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폐타이어의 분쇄입자에 포함된 폐섬유를 제거하기 위하여는 경사진 망체에 분쇄입자를 투입하여 망체의 경사면을 따라 분쇄입자가 유동되는 동안 분쇄입자는 망공을 통하여 하부로 유출되고 망공에 통과되지 못하고 망체에 잔존하는 폐섬유를 제거하는 방법이 통용되어 왔으나, 이는 망체의 경사면을 따라 분쇄입자를 유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망체를 길게 제작하여 기체의 외형이 크게 될 뿐만아니라, 망체에서 유동되는 동안 분쇄입자가 완전히 제거되지 못하고 폐섬유와 함께 잔존되므로 완전한 분리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완전하게 폐섬유와 분쇄입자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작업시간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기체의 내부에 좌우로 요동되는 망체를 상하로 각각 장치하고, 망체의 저면에 판스프링을 장치하여 기체 내부로 투입된 폐섬유와 분쇄입자는 요동되는 상부 망체에 의하여 분쇄입자는 통과되고 폐섬유는 잔존하게 되며, 통과된 분쇄입자는 하부망체에 놓여지고 각각의 망체는 요동되면서 판스프링에 의하여 복귀되는 탄성이 생기므로 상부망체에 잔존된 폐섬유는 일측으로 이동되어 배출되고 하부망체에 놓여진 분쇄입자는 타측으로 이동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망체가 요동되므로 폐섬유로부터 분쇄입자를 완전히 분리할 수 있으며, 판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망체위의 폐섬유나 분쇄입자가 점차적으로 이동되므로 이동되는 과정중에 계속적인 분리가 이루어져 작업효율의 향상을 기할 수 있으며, 망체의 길이를 길게 연장하지 않아도 망체의 요동에 의하여 완전한 분리가 이루어지므로 기체의 외형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인바,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에 싸이크론(2)이 장치된 사각통체의 기체(1)를 상부체(1a)와 하부체(1b)로 형성하여 섬유재의 연결대(4)가 상하단부에 부착된 유동체(3)를 상부체(1a)와 하부체(1b) 사이에 연결대(4)로 유동되게 장치하며, 유동체(3)의 하방에 편심축(5)을 장치하여 하부체(1b)에 설치된 모타(6)와 벨트(7)를 연결하고 다수의 망공이 형성된 상하부 망체(8a)(8b)를 유동체(3)의 내부에 상하로 각각 부착하며, 상하부망체(8a)(8b)의 저면 모서리부에는 일측으로 경사진 판스프링(9a)(9b)을 종으로 부착하되 상부망체(8a)의 판스프링(9a)과 하부망체(8b)의 판스프링(9b)은 경사진 방향이 대향되게 설치한다.
하부체(1b)의 내부 중앙에는 송풍기(10)를 장치한다.
미설명부호 11은 유입구, 12는 배기구, 13은 폐섬유배출구, 14는 분쇄입자 배출구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기압에 의하여 싸이크론(2)을 통하여 기체(1)내로 투입된 폐섬유와 분쇄입자는 상부망판(8a)에 적재되게 된다.
상부체(1a)와 하부체(1b) 사이에 연결된 유동체(3)가 요동됨에 따라 내부에 설치된 상하부망체(8a)(8b)가 요동되므로 상부 망체(8a)에 적재된 분쇄입자는 망공을 통하여 하부망체(8b)로 낙하되게 되며, 상부망체(8a)에는 폐섬유만이 잔존하게 된다.
상부망체(8a)는 좌우로 요동될 뿐만 아니라, 저면에 부착된 판스프링(9a)에 의하여 상하로 진동되므로 일측으로 경사진 판스프링(9a)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부망체(8a)의 상면에 적재된 폐섬유는 판스프링(9a)의 경사진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송된 후에 폐섬유 배출구(13)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하부망체(8b)에 적재된 분쇄입자는 하방에서 상방으로 송풍되는 송풍기(10)의 공기압에 의하여 하부망체(8b) 상면에서 약간 상승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하부망체(8b)의 저면에 부착된 판스프링(9b)에 의하여 상하로 진동될 뿐 아니라 일측으로 경사진 판스프링(9b)의 복원력에 의하여 하부망체(8b)의 상면에 적재된 분쇄입자는 판스프링(9b)의 경사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송된 후에 분쇄입자 배출구(1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하부망체(8b)는 분쇄입자가 통과되지 못하게 작은 망공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하방으로 유출되지 않고 측면으로 이송되게 된다.
또한, 상부망체(8a)와 하부망체(8b)에 부착된 판스프링(9a)(9b)의 경사진 방향으로 대향되게 하므로서 폐섬유와 분쇄입자가 각기 다른 방향으로 배출되게 한다.
따라서,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은 본 고안의 폐타이어 재생용 선별장치에 의하면, 폐섬유와 분쇄입자를 분리하는 망체가 좌우로 요동되므로 단시간에 완전하게 분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망체 저면에 부착된 판스프링에 의하여 폐섬유와 분쇄입자를 각각 이송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망체의 길이를 종래와 같이 길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외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등의 특장점이 있다.

Claims (2)

  1. 상부체(1a)와 하부체(1b)사이에 유동체(3)를 연결하여 기체(1)를 구성하며, 유동체(3) 하방에 편심축(5)을 장치하여 모타(6)에 연결 구성하는 한편, 유동체(3) 내부에 상하부 망체(8a)(8b)를 상하로 각각 설치하여 상하부망체의 저면에 판스프링(9a)(9b)를 부착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 재생용 선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부망체(8a)의 판스프링(9a)과 하부망체(8b)의 판스프링(9b)은 경사진 방향이 대향되게 장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 재생용 선별장치.
KR2019940015011U 1994-06-23 1994-06-23 폐타이어 재생용 선별장치 KR01195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5011U KR0119590Y1 (ko) 1994-06-23 1994-06-23 폐타이어 재생용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5011U KR0119590Y1 (ko) 1994-06-23 1994-06-23 폐타이어 재생용 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761U KR960000761U (ko) 1996-01-17
KR0119590Y1 true KR0119590Y1 (ko) 1998-07-15

Family

ID=19386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5011U KR0119590Y1 (ko) 1994-06-23 1994-06-23 폐타이어 재생용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959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761U (ko) 1996-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308247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y beneficiation of coal
US6446813B1 (en) Sorting waste materials
KR102324089B1 (ko) 개량형 흡착식 이물질 선별장치
EP1102642B1 (en) Material classifying apparatus
JP4315953B2 (ja) 混合廃棄物処理装置
US5103981A (en) Particle separator/classification mechanism
JP3247304B2 (ja) 風力選別装置
KR0119590Y1 (ko) 폐타이어 재생용 선별장치
KR100282783B1 (ko) 미립자 물질로부터 무거운 입자를 분리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separating heavy particles from a particulate material)
JP2000157932A (ja) 振動風選篩機
JP2000237687A (ja) 破砂分級装置
KR102508580B1 (ko) 이송트레이 분리형 건식 순환방식을 이용한 동선조각 2차 선별기
JPH10504761A (ja) 低速空気式密度別分離機
JPH11244788A (ja) 廃棄物選別装置
JP3611406B2 (ja) 振動風力選別方法及びその装置
CN210045577U (zh) 一种固体垃圾分拣机装置
JP3579358B2 (ja) 粒子サイズ分類機
JP4194733B2 (ja) 茶葉選別機
JP3677485B2 (ja) 廃棄物選別処理設備
JP2002126563A (ja) 乾式製砂装置
KR100421943B1 (ko) 건축폐기물 중 토사 내에 포함된 이물질 선별장치
KR102508577B1 (ko) 이송트레이 결합형 건식 순환방식을 이용한 동선조각 2차 선별기
CN216137652U (zh) 一种具有振动筛分功能的滚筒筛
JP2002282793A (ja) 廃プラスチックの選別装置
KR200302146Y1 (ko) 건축폐기물 중 토사 내에 포함된 이물질 선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