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9307Y1 - 전자레인지의 무부하 발진정지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의 무부하 발진정지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9307Y1
KR0119307Y1 KR2019940011844U KR19940011844U KR0119307Y1 KR 0119307 Y1 KR0119307 Y1 KR 0119307Y1 KR 2019940011844 U KR2019940011844 U KR 2019940011844U KR 19940011844 U KR19940011844 U KR 19940011844U KR 0119307 Y1 KR0119307 Y1 KR 01193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rotating plate
receiving unit
light receiving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18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3850U (ko
Inventor
정년
강희중
Original Assignee
이영서
동양매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서, 동양매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영서
Priority to KR20199400118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9307Y1/ko
Publication of KR9500338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38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93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93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47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레인지의 무부하 발진정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접시상에 얹혀지는 조리물의 형태 및 위치에 관계없이 조리물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무부하 발진정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가열실내에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접시를 구비하고, 마이콤에 의해 제어되며 회전접시상의 조리물의 유무를 판단하는 발광부 및 수광부를 구비한 전자레인지의 무부하 발진정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회전접시의 외곽부를 통과하는 빛을 주기적으로 조사하는 제 1발광부와 회전접시의 중앙부를 통과하는 빛을 제 1발광부의 빛과 교대로 조사하는 제 2발광부로 구성하고, 제 1발광부 및 제 2발광부의 빛은 하나의 수광부에서 각각 서로 다른 각도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레인지의 무부하 발진정지장치
제1도는 종래 기술의 구성을 보인 개략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개략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가열실 20:회전접시
22:모터 32:제 1수광부
34:제 2수광부 40:발광부
M:마이콤
본 고안의 전자레인지의 무부하 발진정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접시상에 얹혀지는 조리물의 형태 및 위치에 관계없이 조리물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무부하 발진정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전자레인지는 가열실내에 조리물을 올려놓게 되는 회전접시가 구비되는데, 종류에 따라서는 상기 회전접시는 회전을 이루지 않는 고정식도 있으나 최근에는 모터구동에 의해 회전접시를 회전시키는 방식이 주로 실시되고 있다. 또한 상기 회전접시는 투사된 빛이 통과할 수 있는 유리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회전방식의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자레인지는 회전접시상에 얹혀지는 조리물의 유무를 확인하여 조리물이 얹혀진 상태에서만 조리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무부하 발진정지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무부하 발진정지장치는 회전접시상에 조리물이 얹혀지지 않는 상태에서 조리동작을 수행하므로 인해 발생되는 마그네트론의 수명단축은 물론 가열내의 자체 과열로 인한 화재의 위험 및 전자레인지의 도어부를 통한 고주파의 과다누설 등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유용한 기술인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 실시되고 있는 무부하 발진정지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실(1) 일측벽에 발광부(2)를 설치하고, 이 발광부(2)에 대응되는 가열실(1) 내벽의 반대편에 수광부(3)를 설치하여 이들을 마이콤(M)에 연결하되, 상기 발광부(2)의 조사각도는 수평선상을 기준으로 0°로 설치되고, 그 높이는 회전접시(4)의 상부로 소정높이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무부하 발진정지장치는 제1도의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얇고 넓은 형태를 갖는 조리물(F)이 회전접시에 올려질때에는 수광부가 발광부의 빛을 그대로 받아들이게 되므로 조리물의 감지를 이룰 수 없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즉, 예를 들어 생선 또는 빈대떡등과 같은 조리물을 굽거나 데울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발광부의 빛이 조리물에 의해 차단되지 못하고 수광부에서 감지되므로써 마이콤(M)에서는 조리물을 감지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조리물이 얹혀졌음에도 불구하고 조리가 시행되지 않은 실정이었다. 또한, 이러한 것은 비록 무부하 발진정지장치의 고유목적 즉 조리물이 없을 때 동작을 정지하는 것은 달성될 수 있겠으나 조리물의 유무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는 것이므로 근본적인 목적 즉 전자레인지 자체의 사용목적을 원활히 수행할 수 없는 문제를 갖고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조리물의 형태에 관계없이 조리물을 감지할 수 있도록 발광부와 수광부의 위치가 서로 다른 각도로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작고 얇은 음식물을 쉽게 감지하여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레인지의 무부하 발진정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가열실내에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투명한 유리재질의 회전접시를 구비하고, 출력단에는 발광부를 연결하고 입력단에는 수광부가 연결하여 회전접시상의 조리물의 유무를 판단하는 마이컴이 구비된 전자레인지의 무부하 발진정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는 하나의 발광부에서 조사하는 빛을 각각 다른 각도로 조사받기 위해 회전접시의 외곽부 맞은편 가열실에 연결되어 통과하는 빛을 조사받아 감지하는 제 1수광부와, 상기 회전접시의 중앙부 가열실에 연결되어 통과하는 빛을 조사받아 감지할 수 있도록 제 2수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에는 본 고안의 구성이 되어 있는데,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가열실(10)내에 모터(22)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접시(20)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회전접시는 통상의 빛이 통과하는 재질로 구성되어진다.
그리고, 가열실(10)의 좌측으로 적외선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40)를 설치하되 조사되는 빛의 방향은 위치에서 아래 방향으로 조사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발광부의 맞은편 회전접시(20)보다 낮은 위치에는 조사된 빛을 감지하는 제 2수광부(34)가 구비되고, 상기 제 2수광부(34)의 조사빛이 닿는 위치의 위쪽 즉, 가열실 측벽중 회전접시보다 높은 위치에는 상기 제 1수광부(32)으로 발광부(40)에서 조사하는 빛을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제 1수광부(32)로 조사빛이 회전접시(20)를 통과하는 지점은 회전접시 외곽부를 통과토록 설치된다. 따라서, 제 1수광부(32)의 조사방향은 소정의 경사(θ1)를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수광부(34)는 가열실(10) 바닥의 주심방향으로 소정 거리안쪽으로 들어온 위치 즉, 제 1수광부(32)의 설치위치보다 주심방향에 근접한 위치에 두어 발광부(40)에서 조사하는 빛을 회전접시(20)의 중앙부에 통과되는 소정각도(θ2)에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상기 제 1수광부(32) 및 제 2수광부(34) 그리고 발광부(40)는 마이콤(M)에 연결되고, 이 마이콤(M)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 2수광부(32)(34)는 교대로 빛을 조사받게 되어 하나의 발광부(40)로부터 두 개의 수광부가 교대로 빛을 감지하는 것이다.
상기 마이콤(M)은 출력측에 발광부(40)를 연결하고 입력단에 두 개의 수광부(32)(34)를 연결하여 수광부에서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회전접시(20)에 음식물이 얹혀져 있는지를 인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조리개시버튼(미도시)을 누르게 되면 모터(22)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접시가 회전 구동되고 동시에 제 1 수광부(32) 또는 제 2수광부(34)중 어느 하나가 먼저 빛을 조사받게 된다.
이때 회전접시(20)상에 조리물이 얹혀지지 않는 상태라면 상기 발광부(40)에서 조사한 빛은 유리재질의 회전접시를 그대로 통과하여 제 1수광부(32)에 감지되어 마이콤(M)에서 조리물이 얹혀지지 않았음을 인식하게 되고 이어 발광부(40)가 빛을 조사하게 되면 역시 제 2수광부(34)로의 빛이 감지되므로 역시 마이콤(M)에서는 조리물이 얹혀지지 않았음을 인식하게 된다. 이러한 작용은 회전접시(20)가 1회전하는 동안 연속적으로 실행되어지고, 1회전 완료후에 마이콤(M)에서는 모터(22)를 정지시켜 전자레인지의 조리동작을 정지시키게 된다.
한편 회전접시상에 조리물이 얹혀지게 될 경우 특히 제2도의 가상선도시중 조리물 F1과 같이 얇은 조리물인 경우에는 제 1수광부(32) 또는 제 2수광부(34)의 빛이 회전접시(20) 1회전도중 어느 일지점에서는 조리물 F1에 의해 빛이 차단되어지므로 조리물이 얹혀짐을 인식하여 계속적인 조리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조리물 F2와 같이 길이가 짧은 조리물이 부주위로 인해 회전접시(20)의 일측에 놓여질 경우에는 발광부(40)의 빛이 회전접시(20)의 외곽부를 통과하게 되므로 회전접시(20)의 1회전도중 조리물 F2에 의해 빛이 차단되어 제 1수광부(32)는 빛을 감지하지 못하게 되므로 마이콤(M)은 조리물이 얹혀짐을 인식하여 역시 계속적인 조리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레인지의 무부하 발진정지장치는 하나의 발광부에서 회전접시의 중앙부 및 외곽부를 통과시킨 빛을 두 개의 수광부가 교대로 빛을 조사받아 감지할으로써 회전접시상에 얹혀지는 조리물의 유무판단이 매우 정확하게 되고 특히 얇고 넓은 조리물의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므로써 조리물의 유무판단 오류로 인한 불필요한 기기의 반복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전자레인지의 고유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 것이다.

Claims (2)

  1. 가열실내에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투명한 유리재질의 회전접시를 구비하고, 출력단에는 발광부를 연결하고 입력단에는 수광부가 연결하여 회전접시상의 조리물의 유무를 판단하는 마이컴이 구비된 전자레인지의 무부하 발진정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는 하나의 발광부에서 조사하는 빛을 각각 다른 각도로 조사받기 위해 회전접시의 외곽부 맞은편 가열실에 연결되어 통과하는 빛을 조사받아 감지하는 제 1수광부와, 상기 회전접시의 중앙부 가열실에 연결되어 통과하는 빛을 조사받아 감지할 수 있도록 제 2수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무부하 발진정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수광부 및 제 2수광부는 회전접시 1회전동안 교대로 반복하여 빛을 조사받도록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무부하 발진정지장치.
KR2019940011844U 1994-05-26 1994-05-26 전자레인지의 무부하 발진정지장치 KR01193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1844U KR0119307Y1 (ko) 1994-05-26 1994-05-26 전자레인지의 무부하 발진정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1844U KR0119307Y1 (ko) 1994-05-26 1994-05-26 전자레인지의 무부하 발진정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850U KR950033850U (ko) 1995-12-18
KR0119307Y1 true KR0119307Y1 (ko) 1998-08-01

Family

ID=19384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1844U KR0119307Y1 (ko) 1994-05-26 1994-05-26 전자레인지의 무부하 발진정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930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4583A (ko) * 2000-11-02 2002-05-09 전주범 정전용량센서를 이용한 전자렌지의 무부하 발진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850U (ko) 1995-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186C (zh) 自动烹调设备
US4049938A (en) Microwave oven
RU97102839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работой нагревателя для микроволновой печи
KR940000805A (ko) 가열조리기
KR960024041A (ko) 조리기의 자동 조리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0119307Y1 (ko) 전자레인지의 무부하 발진정지장치
JPH06201137A (ja) 調理器具
KR100424560B1 (ko) 히터가열식 전자레인지의 자동조리 제어방법
KR200148546Y1 (ko) 조리기의 온도검출장치
JP2003287232A (ja) 加熱調理器
JP3896308B2 (ja) 加熱調理器
KR960002030Y1 (ko) 전자레인지
KR100671831B1 (ko) 전자렌지의 트레이 검출장치
KR100233442B1 (ko) 전자렌지의 트레이 제어장치
JPH06159686A (ja) 加熱調理器
JPS626412Y2 (ko)
JPH0349006B2 (ko)
KR20000013635A (ko) 히터 위치 감지 수단을 가지는 전자 레인지
JP3486364B2 (ja) 解凍検知装置
JPS6119361Y2 (ko)
JPH05340546A (ja) 加熱調理器
KR200218144Y1 (ko) 전자렌지의 중량감지장치
JPH05118557A (ja) 高周波加熱調理器
KR950008060B1 (ko) 전자레인지의 음식물 중량 측정방법 및 장치
KR100671890B1 (ko) 전자렌지내 조리물의 회전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