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9096Y1 - 부유물의 탈수처리가 가능한 오·폐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부유물의 탈수처리가 가능한 오·폐수처리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9096Y1
KR0119096Y1 KR2019950004493U KR19950004493U KR0119096Y1 KR 0119096 Y1 KR0119096 Y1 KR 0119096Y1 KR 2019950004493 U KR2019950004493 U KR 2019950004493U KR 19950004493 U KR19950004493 U KR 19950004493U KR 0119096 Y1 KR0119096 Y1 KR 01190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dewatering
water
suspended solids
waste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44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1469U (ko
Inventor
신석주
Original Assignee
이순자
거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자, 거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순자
Priority to KR20199500044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9096Y1/ko
Publication of KR9600314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14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90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90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screw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폐수처리시설에 있어 오·폐수를 처리하는 처리조를 패키지화(Package化)한 단위조로 구성하여서 된 부유물의 탈수처리가 가능한 오·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오·폐수의 처리조를 비교적 작은 규격의 단위조로 구성하여 협소한 장소에도 시설이 용이하게 하므로서 공업용수를 많이 사용하는 부유물질을 많이 배출시키는 공장이나 아파트단지 또는 빌딩 등에서 배출되는 생활오수에 포함되어 있는 음식찌꺼기 등의 각종 오물을 수거처리한 다음 정화처리토록 하므로서 실질적인 오·폐수의 정화처리에 소요되는 경비의 절감과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정화처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와 수거된 부유물을 탈수처리하여 부피를 최소화시킴과 아울러 부유물에 대한 혐오감을 없애 주어 보다 위생적으로 수거,운반하여 폐기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다.

Description

부유물의 탈수처리가 가능한 오·폐수처리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 구성도.
제3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일요부인 자동스크린수단의 정면도.
제5도는 자동스크린에서 부유물을 수거처리하는 회동갈고리의 평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일요부인 부유물 탈수기수단의 작동상태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B-B선 단면도.
제8도 및 제9도는 본 고안의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 및 정면 구성도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단위조 본체2 : 메인수조
3 : 예비수조4 : 중간바닥판
5 : 수문6 : 유입부
7 : 여과처리부8 : 탈수처리실
9 : 고정스크린수단10 : 자동스크린수단
11 : 고정살12 : 회동갈고리
13 : 모우터14 : 고정틀체
15 : 받침대16 : 구동축
17 : 연동축18 : 체인
19a, 19b : 이송체인20 : 조절구
21 : 보울트22 : 수직간막이
23a, 23b : 고정스크린25 : 탈수처리수단
26 : 콘트롤판넬27 : 감속모우터
28, 28a : 홉퍼29a, 29b : 압착스크류
30 : 압착이송통31 : 압축스프링
32 : 탄력배출판33 : 배출통로
34 : 수거통35 : 체인기어
36 : 구동기어37 : 배수구
40 : 처리조 본체41 : 경사스크린
42 : 이송스크류
본 고안은 오·폐수처리시설에 있어 오·폐수를 처리하는 처리조를 패키지화(Package化)한 단위조로 구성하여서 된 부유물 탈수처리가 가능한 오·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오·폐수의 처리조를 비교적 작은 규격의 단위조로 구성하여 협소한 장소에도 시설이 용이하게 하므로서 공업용수를 많이 사용하는 각 공장 예컨대 제지공장에서 배출되는 오·폐수에 함유되어 있는 부유물을 수거처리한 다음 정화처리조에서 정화처리토록 하므로서 오·폐수의 정화처리에 소요되는 경비의 절감과 아울러 정화처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과, 또는 아파트단지 또는 빌딩 등에서 배출되는 생활오수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오물덩어리나 음식찌꺼기 및 휴지 등의 부유물을 일차적으로 수거 및 탈수처리하므로서 실질적인 오·폐수의 정화처리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안출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오·폐수 처리조를 비교적 작은 규모의 단위조로 구성하여 이동설치를 가능하게 하였으며, 유입되는 오·폐수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부유물을 일차적으로 수거하고 이를 탈수처리하므로서 수거된 부유물처리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업용수를 사용하는 모든 산업체에서는 오·폐수처리시설을 설치하도록 법으로서 규정하고 있으며, 아파트단지나 빌딩등에도 정화조시설이나 오·폐수처리시설을 갖추도록 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그러나 상기한 정화조 또는 오·폐수처리시설은 배출되는 오·폐수를 그대로 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오·폐수의 처리가 비효과적이었다.
왜냐하면, 덩어리상태의 오물이나 각종 찌꺼기를 분해처리하기 위해서는 많은 량의 화학약품이 투입되어야 하므로 처리비용이 많이드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 아니라 처리수의 농도가 높은 상태로 배출되는 관계로 하천을 오염시키게 되는 폐단이 발생되기 때문이며, 또 정화조의 경우 부유물이 그대로 배출되거나 통로를 막는 폐단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기 때문에 이의 시정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항을 감안하여 공업폐수 및 생활오수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부유물을 미리 수거처리케 하므로서 오·폐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수거된 부유물은 탈수처리하므로서 폐기처리가 용이하도록 한 오·폐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실시예의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는 측면에서 본 구조도로서, 본 고안의 장치를 소규모적으로 제작하여 이동설치가 가능하도록 패키지화된 단위조(單位糟) 본체(1)에는 오·폐수를 처리하는 메인수조(2)와 예비수조(3)로 구성되며, 이는 수직간막(22)로서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메인수조(2)의 중간바닥판(4) 밑은 빈공간으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수조(2)는 수문(5)을 경계로 하여 유입부(6)와 여과처리부(7)로 분할구획되며, 유입부(6)측에는 간막이(6a)가 설치되어 있으며, 여과처리부(7)의 후방측으로는 탈수처리실(8)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여과처리부(7)에는 고정스크린수단(9)과 자동스크린수단(10)이 설치되는데, 고정스크린수단(9)은 스크린을 구성하는 스크린살(9a)들의 간격이 비교적 넓은 간격을 유지한채 중간바닥판(4)을 기준하여 대략 60°정도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자동스크린수단(10) 역시 대략 60°정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비교적 좁은간격을 갖는 다수의 고정살(11)과 고정살에 여과되는 부유물을 상향으로 긁어 이동시키는 회동갈고리(12)이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자동스크린수단(10)은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회동갈고리(12)의 회동작동을 모우터(13)의 동력을 이용하는데, 모우터(13)은 자동스크린수단(10)의 고정틀체(14)의 상방에 부착시킨 받침대(15)상에 착설되어 있으며, 고정틀체(14)의 양측에는 구동축(16)과 연동축(17)이 상,하로 횡설되며, 구동축 및 연동축 각각의 양단에는 체인기어(16a)(16b) 및 (17a)(17b)가 축설되어 있다. 상기 구동축(15) 일단의 체인기어(16a)는 모우터(13)의 출력체인기어(13a)와 체인(18)으로 연설되어 있으며, 또 상기한 체인기어(16a)(17a) 및 (16b)(17b) 각각은 이송체인(19a)(19b)으로 연설되어 회동갈고리(12)를 회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의 회동갈고리(12)는 다수개가 일정간격을 유지한채 접속구(12a)에 의하여 이송체인(19a)(19b)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의 구동축(16)은 그 양단에 조절구(20)가 착설되어 보울트(21)의 풀림과 조임작동에 의하여 상,하이동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므로서 이송체인의 긴장조절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제2도는 본 고안의 평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체(1)를 메인수조(2)의 일측을 수직간막이(22)로 분할하고, 그 분할된 수조는 예비수조(3)와 일체상태가 되게 하는데, 상기 유입부(6)측과 연접된 부분의 수직간막이(22)에는 배출구멍(도시 생략)을 뚫어 수문(5)을 폐쇄작동시켰을 때에는 유입부(6)로 유입된 유입수가 상기 배출구멍을 통해 예비수조(3)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예비수조(3)에는 넓은 간격과 좁은간격으로 고정살이 형성된 고정스크린(23a)(23b)이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에서 중간바닥판(4)에는 자동스크린수단(10)이 후방측으로는 수직간막이(22)의 저부측에 유출구(24a)가 형성되어 있고, 예비수조(3)의 후방측벽에도 유출구(24b)를 형성하여 탈수처리실(8) 저부측에 형성되어진 배출구(24c)로 처리수를 배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체(1)의 후방측에 마련된 탈수처리실(8)에는 탈수처리수단(25)이 장착되는데, 이 탈수처리수단은 콘트롤판넬(26)로서 작동이 자동조절되는 감속모우터(27)의 동력으로 작동하는 압착탈수기로 구성되어진다.
즉, 탈수처리수단(25)은 자동스크린수단(10)에서 수거처리되는 부유물을 압착,탈수처리하여 수거된 부유물의 부피를 최소화시켜 폐기처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장치로서, 상기 탈수처리수단(25)의 구성을 제6도 및 제7도의 도시예로서 소개하면, 자동스크린수단(10)으로부터 수거된 부유물을 받아주는 홉퍼(28)와, 감속모우터(27)의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한쌍의 압착스크류(29a)(29b)가 장착된 압착이송통(30) 그리고 압착이송통 선단에는 압축스프링(31)에 의해 탄력지지되는 탄력배출판(32)을 설치하여 압착스크류들에 의하여 압착되면서 이송되는 부유물이 탄력배출판(32)에 의하여 전진이송이 탄력적으로 저지되도록 하므로서 압착스크류들의 압착작용이 더욱 배가되게 나타나게 하였으며, 계속되는 압착스크류들의 작동에 의하여 탄력배출판에 압착되는 부유물의 압력이 상기 압축스프링(31)의 탄발력보다 센 상태에 이르기 시작하면 탄력배출판(33)는 서서히 개방되기 시작하여 수분이 탈수된 부유물을 배출통로(33)로 배출시켜 수거통(34)에 낙하, 저장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한쌍의 압착스크류(29a) 및(29b) 중 하나는 감속모우터(27)의 회전출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체인기어(35)와 구동기어(36)가 축설되어 있으며, 다른 압착스크류에는 상기 구동기어(36)와 맞물린 연동기어(도시 없음)를 축설하므로서 한쌍의 압축스크류들은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홉퍼(28)로부터 공급되는 부유물을 압착과 동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압착이송통(30) 저부측에는 탈수공(30a)을 다수 형성하여 압착이송되는 부유물에서 탈수되는 수분을 배수구(37)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며, 배수구(37)에는 호오스 등을 연결하여 배출되는 수분을 배출구(24c)로 배출되는 처리수와 함께 배출시키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탈수처리실(8) 일측벽에는 개폐문(38)을 설치하여 수거통(34)에서 탈수된 부유물을 용이하게 수거처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의 실시예는 단위조 본체(1)를 메인수조(2)와 예비수조(3)로 구분하여 오·폐수를 처리하는 것을 실시예로 한 것이며, 제8도 및 제9도의 실시예는 유입구(40a)와 배출구(40b)가 상,하로 마련되고 내부에는 경사스크린(41)이 설치된 처리조 본체(40) 및 탈수처리수단(8)으로 구성된 실시예로서, 이 실시예의 경우는 유입구(40a)로 유입된 오·폐수가 경사스크린(41) 상단부로 월류하여 흘러내릴때 수평상태로 구성되어 있는 스크린살(41a)들의 각 사이에 형성된 틈새(S)로 물은 이면측으로 배수되고, 부유물은 밑으로 흘러내려 탈수처리수단(8)의 홉퍼(28a)로 낙하되도록 한 것이며, 여기서 홉퍼(28a)는 경사스크린(41)의 전반에 걸쳐 낙하하는 부유물을 받아 줄 수 있도록 길게 구성되며, 또한 홉퍼(28a)에 낙하된 부유물을 탈수처리수단(25)의 압착이송통(30)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42)가 내설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실시예에 따라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 내지 제7도의 실시예는 단위조 본체(1)를 메인수조(2)와 예비수조(3)로 구분하여 오·폐수를 처리하는 실시예로서, 이 실시예는 유입부(6)로 유입된 오·폐수는 개방된 수문(5)을 통해 메인수조(2)로 유입되며, 유입수와 같이 유입된 부유물은 고정스크린수단(9)에 의해 여과되는 상태가 되는데, 이 고정스크린수단(9)에 여과되는 부유물은 비교적 부피가 크고 고형물인 것만 여과되고 그외의 부유물은 통과하여 자동스크린수단(10)에 의하여 수거된다. 즉, 자동스크린수단(10)은 다수의 고정살(11)들이 비교적 좁은 간격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유입수와 함께 유입된 모든 부유물은 고정살(11)에 걸리게 되며, 이와같이 부유물을 걸러주는 고정살(11) 이면측에는 모우터(13)의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이송체인(19a)(19b)에 일정간격으로 횡설된 회동갈고리(12)가 각 고정살(11) 사이를 지나가면서 그에 걸려있는 부유물을 긁어주면서 상향으로 이송하다가 고정살(11) 상단부에 이르러서는 밑으로 떨어뜨리게 되며, 떨어지는 부유물은 그 밑에 장착된 탈수처리수단(8)의 홉퍼(28)에 낙하,투입되는 것이며, 이와같은 작동은 이송체인에 일정간격을 유지한채 부착되어 있는 회동갈고리(12)가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상태이므로 고정살(11)에 걸리게 되는 부유물은 정체되는 사례가 발생되지 않아 메인수조(2)로 유입된 유입수는 정체현상없이 자동스크린수단(10)을 통과하여 수직간막이(22) 밑부분에 형성된 유출구(24a)를 통해 순조롭게 배출되므로서 메인수조(2)의 수위가 급격히 증가하는 사례의 발생이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자동스크린수단(10)에 의하여 수거되는 부유물은 탈수처리실(8)에 장착되어진 탈수처리수단(25)의 홉퍼(28)에 연속적으로 낙하함과 동시 압착이송통(30)속으로 투입되며, 투입된 부유물은 한쌍의 압착스크류(29a)(29b)에 의하여 압착되면서 선단측으로 이송되는데, 압착이송통(30) 자체는 선단의 배출통로(33)측으로 상향 경사진 상태이고, 또 저부에 탈수공(30a)이 다수 천공되어 있어 압착스크류(29a)(29b)에 의해 압착 및 이송되는 부유물에서 탈수되는 수분은 탈수공(30a)으로 빠져나가 배수구(37)로 배출되는 한편, 압착스크류(29a)(29b)에 의하여 압착 및 이송되는 부유물은 그 선단측을 폐쇄하고 있는 탄력배출판(32)의 탄력지지력에 의하여 쉽사리 배출되지 않고 압착스크류의 이송력이 탄력배출판(32)의 탄지력 보다 센 상태가 될 때까지 압착되는 상태가 되므로서 부유물은 더욱 압착되는 상태 즉, 탈수작용이 더욱 증가된 상태를 부여받게 되어 부유물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은 거의 80%이상 탈수된 상태로 배출되는 것이며, 이렇게 탈수되는 부유물의 이송력이 탄력배출판(32)을 탄지하고 있는 압축스프링(31)의 탄발력보다 센 상태에 이르면 탄력배출판(32)은 서서히 개방작동을 하여 수분이 탈수된 부유물을 배출통로(33)로 배출하여 그밑에 있는 수거통(34)에 낙하,저장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부유물의 여과작동과 탈수작동 그리고 수거작동은 유입수가 메인수조(2)로 유입되는 동안에는 지속적으로 진행되는 것이며, 수거통(34)에 저장된 탈수부유물은 유입수와 함께 유입되는 상태보다는 그 부피가 훨씬 축소된 상태이고, 또 수분이 거의 탈수된 상태이므로 수거작업이 용이할 뿐아니라 운반처리시 혐오감을 유발시키지 않게 되어 폐기작업이 편리성을 추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메인수조(2) 내에서 부유물을 수거 및 탈수처리를 하지 않을 경우 예컨대, 자동스크린수단이나 탈수처리수단의 장치의 고장수리를 수행할 때 또는 유입수에 부유물의 수거처리를 하지 않아도 될 때에는 메인수조(2)의 수문(5)을 폐쇄조작하여 유입수가 메인수조(2)로 유입될 수 없도록 하였을 경우에는 유입부로 유입된 유입수는 수직간막이(22)에 형성된 배출구멍을 통해 예비수조(3)로 유입되며, 예비수조(3)로 유입된 유입수는 배출구(24c)로 배출되는데, 이때 예비수조(3)의 내부에도고정살의 간격이 넓고 좁게 형성된 고정스크린(23a)(23b)을 차례로 통과토록 하므로서 혹 유입수에 부피가 큰 부유물이 포함될 때 이를 수거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배출구(24c)로 부피가 큰 부유물이 처리수와 함께 배출되는 사례를 방지할 수 도록 하였다.
그리고 제8도와 제9도의 실시예는 처리조 본체(40)에 경사스크린(41)을 설치하여 부유물을 수거 및 탈수처리할 수 있도록 한 실시예로서, 이 실시예는 본체(40) 상부에 형성된 유입구(40a)로 유입된 유입수는 경사스크린(41)의 상단부를 월류하여 수평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스크린살(41a)을 흘러내릴때 틈새(S)를 통해 물은 경사스크린 이면으로 흘러 떨어지고 유입수와 함께 흐르는 부유물은 경사스크린의 전면으로 흘러내려 홉퍼(28a)에 낙하하도록 구성한 것인데, 경사스크린(41) 이면측으로 흘러나간 처리수는 배출구(40b)로 배출되는 것이며, 홉퍼(28a)로 낙하된 부유물은 이송스크류(42)에 의하여 탈수처리수단(8)의 압착이송통(30)속으로 투입되는 것이며, 이렇게 압착이송통 속으로 투입된 부유물은 전술의 실시예와 같이 한쌍의 압착스크류(29a)(29b)의 압착,이송작동 및 탄력배출판(32)의 탄력저지작동 등에 의하여 수분이 탈수된 상태로 수거통(34)에 저장되는 것이며, 이에 따른 작용과 효과 및 폐기처리는 전술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산업체 등에서 배출되는 오·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부유물을 일차적으로 제거한 다음에 오·폐수를 정화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특히 오·폐수처리장치를 소규모적이고도 패키지화로 제작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소규모 공장이나 아파트단지 및 빌딩 등에서 협소한 장소에서도 설치가 가능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으며, 분해시 많은 화학약품을 필요로 하는 부유물이나 오염요소가 많은 음식찌꺼기 등과 같은 부유물이 다량 함유된 오·폐수를 소량의 화학약품등으로도 오·폐수를 깨끗하게 정화처리 할 수 있으므로서 오·폐수의 정화처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고안일 뿐아니라 수거된 부유물을 탈수처리하여 탈수부유물의 폐기처리를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편리성을 추구할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이고도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메인수조(2)와 예비수조(3) 및 탈수처리실(8)을 단위조에 일체적으로 형성시킨 본체(1)의 구성과; 상기 메인수조에 부유물을 여과하는 다수의 고정살(11)과, 이 고정살의 각 사이를 회전하면서 부유물을 상향으로 수거하여 낙하시키는 회동갈고리(12)를 형성한 자동스크린수단(10)을 경사지게 설치한 구성과;
    상기 탈수처리실에는 자동스크린수단으로 부터 수거되어 낙하되는 부유물을 받아주는 홉퍼와, 탈수공이 다수 형성된 압착이송통(30) 내부에 감속모우터(27)의 동력으로 상호 역회전하는 한쌍의 압착스크류(29a)(29b)와, 압축스프링(31)으로 탄력지지된 탄력배출판(32)의 구성으로 부유물을 압착,탈수하여 수분은 배수구(37)로 배출시키고 탈수부유물 배출통로(33)로 배출시켜 수거통(34)에 저장시키는 탈수처리수단(25)을 장착시키는 구성과;
    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의 탈수처리가 가능한 오·폐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처리조 본체(40)의 경사스크린(41) 저부에 상기 탈수처리수단(25)을 장착하여 경사스크린에서 여과되어 홉퍼(28a)속을 낙하되는 부유물을 이송스크류(42)로 이송하여 압착이송통(30) 내부로 투입되게 하는 구성으로 경사스크린에 의하여 수거되는 부유물을 압착,탈수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의 탈수처리가 가능한 오·폐수처리장치.
KR2019950004493U 1995-03-15 1995-03-15 부유물의 탈수처리가 가능한 오·폐수처리장치 KR01190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4493U KR0119096Y1 (ko) 1995-03-15 1995-03-15 부유물의 탈수처리가 가능한 오·폐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4493U KR0119096Y1 (ko) 1995-03-15 1995-03-15 부유물의 탈수처리가 가능한 오·폐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1469U KR960031469U (ko) 1996-10-22
KR0119096Y1 true KR0119096Y1 (ko) 1998-06-01

Family

ID=19409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4493U KR0119096Y1 (ko) 1995-03-15 1995-03-15 부유물의 탈수처리가 가능한 오·폐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909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1469U (ko) 1996-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7985B1 (ko) 오폐수 및 하수 여과장치
KR101244211B1 (ko) 하수 및 오폐수용 협잡물 처리기
US6206203B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separating components of a treatment mixture from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KR101815065B1 (ko) 분해 미생물을 이용한 순환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00258Y1 (ko) 오수 정화용 슬러지 탈수기
KR20050110587A (ko) 분뇨와 오폐수 및 축산폐수의 협잡물 처리용 디스크 스크린
GB2290985A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urifying water
KR200409043Y1 (ko) 농축, 탈수라인을 갖는 슬러지 처리장치
KR0119096Y1 (ko) 부유물의 탈수처리가 가능한 오·폐수처리장치
KR100625211B1 (ko) 탈수차량 시스템
KR101143439B1 (ko) 협잡물과 침사 분리처리 장치
CN115385539A (zh) 一种污泥逐级分离系统
KR101057389B1 (ko) 협잡물 처리장치
RU201310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KR101066444B1 (ko) 미세 협잡물 처리장치
RU9329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от механических примесей
KR102607351B1 (ko) 수직 슬러지 이송장치
JPH0374154B2 (ko)
KR100403796B1 (ko) 협잡물 종합처리이송방법
JP3199233B2 (ja) し渣洗浄脱水装置
CN213295147U (zh) 一种污泥处理用絮凝混合装置
KR200220293Y1 (ko) 축산농가의 배출물 여과장치
KR200228816Y1 (ko) 협잡물 종합처리이송기
RU109418U1 (ru) Щелевой сгуститель
JP2004243185A (ja) 固液分離処理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12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