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8802Y1 - 레일구조체 - Google Patents

레일구조체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8802Y1
KR0118802Y1 KR2019940000822U KR19940000822U KR0118802Y1 KR 0118802 Y1 KR0118802 Y1 KR 0118802Y1 KR 2019940000822 U KR2019940000822 U KR 2019940000822U KR 19940000822 U KR19940000822 U KR 19940000822U KR 0118802 Y1 KR0118802 Y1 KR 01188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ail
vegetable
wall
vegetabl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08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3757U (ko
Inventor
김익근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400008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8802Y1/ko
Publication of KR9500237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37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88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88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7Suppor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83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sing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 A47B88/487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sing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with rollers, ball bearings, wheel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야채실 내벽에 지지레일, 지지로울러를 배치하고, 야채상자에 가동레일, 가동로울러를 배치하여 야채상자의 야채실내를 자유로이 이동하고, 지지로울러의 수평면에 돌출부를 형성시켜, 지지레일과 지지로울러의 상하이동을 방지하여, 야채상자의 장시간에 거친 잦은 작동에도 지지로울러의 확고한 결합을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레일구조체
제 1 도는 본 고안의 레일구조체가 적용되는 냉장고의 측단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레일구조체가 나타낸 결합사시도
제 3 도는 종래기술의 레일구조체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 : 가동로울러 15 : 가동레일
24 : 지지레일 26 : 지지로울러
262, 263 : 제 1 돌출부
본 고안은 야채실의 레일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야채상자의 이동을 지지하는 지지레일의 상·하 이동을 저지하는 야채실의 레일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야채실은 통상 냉장고의 가장 하부에 위치하며, 그 내부에 습기를 유지하여야할 야채를 담은 야채상자를 전후로 미끄럼 이동시키며 사용한다. 이 미끄럼이동은 야채상자의 양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시켜 형성한 가동레일과, 야채실 내벽에 상기 가동레일과 평행하게 연장하여 형성시킨 고정레일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종래의 레일구조체중 대표적인 것이 제 3 도에 나타나 있다.
냉장고의 외벽(30)과 내벽(32)사이에 단열재(31)를 배치시키고, 내벽(32)과 단열재(31)사이에 지지로울러(36)를 지지하는 브라켓트(33)를 배치한다. 수평연장된 지지레일(34)과, 지지로울러(34)를 위한 관통공(35)을 구비한 지지레일 형성판(37)을 그의 선단에 형성된 돌기부(38)로 이용하여 내벽(32)을 지나 브라켓트(33)에 결합시킨다. 또한, 지지로울러(36)는 내벽(32)을 지나 브라켓트(33)의 너트(39)에 체결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서 지지레일(34)을 따라 전후 이동할 때 지지로울러(36)는 야채상자(도시않됨)를 지지하며 회전하는 것이다. 야채상자를 최대로 인출하였을 때 이 지지로울러(36)은 야채상자의 거의 모든 무게를 지탱하므로, 지지로울러(36)가 하부로 처지게되고, 야채상자를 야채실내로 수납할 때에는 야채상자의 무게를 지지레일(34)에 지탱하므로, 지지로울러(36)가 원위치로 상승하게 된다. 이렇게 야채상자의 인출수납이 장기간 동안에 빈번히 일어나면 상기 지지로울러(36)를 내벽(32)에 확고하게 지탱할 수 없게 되며, 더욱이 지지기반이 약간 단열재에 상기 지지로울러(36)를 고정하므로써 또한 지지로울러의 고정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야채실내의 야채상자를 오랫동안 사용하더라도 야채상자의 삽탈작동에 신뢰성을 부여할 수 있는 레일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레일구조체는 야채실의 내벽에 형성된 지지레일 전방에 지지로울러를 배치하고, 이 지지로울러가 결합되는 관통공에 인접하게 설치하므로써 지지레일 형성판의 상하이동을 저지하는 돌기부를 구비하므로서 이루어진다.
더욱이, 이 돌기부를 상기 관통공의 수평횡단면에 상기 관통공을 중심으로 대향하여 각각 설치하는 것이다.
이 야채상자는 냉장고 내벽에 설치된 지지레일과 지지로울러와 미끄럼운동하면서 자유로이 인출, 수납될 수 있으며, 야채상자를 오랜기간 빈번히 사용하더라도 지지로울러의 상하이동이 배제되는 것이다.
이후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적용되는 냉장고의 측단면도로서, 냉장실(1)의 가장 하부에 야채실(10)이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야채실(10)의 양내측벽에는 수평으로 지지레일(24)을 설치하고, 이 지지레일(24)의 전방에는 지지로울러(26)를 설치한다. 이 야채실(10)내를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게 야채상자(11)의 양측벽에는 상기 지지레일(24)과 평행하게 가동레일(15)을 설치하고, 이 가동레일(15)의 후방에는 가동로울러(13)를 설치하여 상기 지지레일(24)을 따라 회전이동하게 한다. 제 2 도는 본 고안의 레일구조체를 나타낸 결합사시도로서, 케이싱의 외벽(20)과 내벽(22)사이에는 단열재(21)를 설치하고, 이 내벽(22)과 단열재(21)사이에는 레일구조체(2)를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트(23)를 배치한다. 레일구조체(2)는 수평방향으로 지지레일(24)을 지지레일형성판(25)에 일체로 형성시키고, 이 지지레일(24)의 전방에는 지지로울러(26)를 관통결합시킬 수 있는 제1관통공(261)을 형성한다.
이 관통공(261)과 동심으로 내벽(22)에 제2관통공(222)을 형성시켜 지지로울러(26)의 축이 이 관통공(222)을 통과하여 브라켓트(23)의 너트(233)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관통공(261)에 인접되게 제1돌출부(262) (263)을 지지레일형성판(25)에 형성시키는데, 이 제1돌출부(262) (263)를 상기 지지레일(24)의 연장선에 평행하게 배치시키는 것이다. 이 제1돌출부(262)(263)의 첨단부는 내벽(22)의 구멍(223)로 통과하여 브라켓트(23)의 지지공(234)과 결합되어 상기 지지레일(24)의 상하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지지레일형성판(25)의 전방단부의 상하부에 각각 제2돌출부(252)를 형성시킨다. 이 제2돌출부(252) 역시 내벽(22)의 스로트(224)를 통과하여 브라켓트(23)의 결합공(236)과 결합되는 것이다. 이 결합공(236)의 진입부를 결합공(236)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시켜 상기 제2돌출부(252)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지지레일형성판(25)을 내벽(22)에 브라켓트(23)를 통해 결합하고, 야채상자(11)의 가동로울러(13)가 이 지지레일(24)의 상부에 얹히고, 야채상자(11)의 가동레일(15)이 지지로울러(26) 상부에 얹히게 되는 것이다. 야채상자를 반복하여 사용하더라도 고정로울러의 상하 움직임을 방지하는 제1돌출부로 인하여 야채상자를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게 하여 내구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Claims (1)

  1. 야채실의 내벽에 형성된 지지레일과 지지로울러를 따라 야채상자를 인출, 수납하는 야채실의 레일구조에 있어서, 지지로울러가 관통하는 관통공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지지레일 형성판의 상하이동을 저지하도록 상기 관통공의 수평횡단면에 상기 관통공을 중심으로 대향하여 돌기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구조체.
KR2019940000822U 1994-01-18 1994-01-18 레일구조체 KR01188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0822U KR0118802Y1 (ko) 1994-01-18 1994-01-18 레일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0822U KR0118802Y1 (ko) 1994-01-18 1994-01-18 레일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757U KR950023757U (ko) 1995-08-23
KR0118802Y1 true KR0118802Y1 (ko) 1998-07-15

Family

ID=19375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0822U KR0118802Y1 (ko) 1994-01-18 1994-01-18 레일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880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757U (ko) 1995-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1599B2 (en) Refrigerator comprising an extractably guided receptable for chilled goods
KR0118802Y1 (ko) 레일구조체
KR960038326A (ko) 냉장고
JP3648052B2 (ja) 冷蔵庫
KR100222986B1 (ko) 냉장고의 서랍식 수납 장치
KR20000019689A (ko)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구조의 리치-인 타입 쇼케이스
KR100675777B1 (ko) 냉장고 도어의 상하조절 힌지장치
JP7479464B2 (ja) 引出しのための引出しガイド
US2816318A (en) Hinge for low-temperature cabinets
KR950000272B1 (ko) 냉장고용 선반의 장착장치
KR100697432B1 (ko) 냉장고용 선반의 지지구조
JP2561769Y2 (ja) パネルシャッターのガイドレール取付装置
CN112781295B (zh) 冰箱
US20240035738A1 (en) Cooling device with a center pillar and a rail fixation assembly
KR920003203Y1 (ko) 냉장고 야채함의 스토퍼
JP2847496B2 (ja) 間仕切り用巾木のスライド防止構造及びスライド防止金具
KR200237066Y1 (ko) 냉장고의신선실도어
KR20070059764A (ko) 냉장고의 저장박스 이동장치
KR19990019300A (ko) 냉장고의 선반지지구조
JP2001091148A (ja) 貯蔵庫における引出式扉の構造
KR100697431B1 (ko) 냉장고용 선반의 지지구조
JPH0338623Y2 (ko)
KR100527883B1 (ko) 김치저장고의 컨트롤케이스 장착구조
JPH11264655A (ja) 冷蔵庫
KR200144984Y1 (ko) 쇼케이스의 선반설치수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