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8630Y1 - 튜우브형 화장품용기의 공기유입 차단 밸브구조 - Google Patents

튜우브형 화장품용기의 공기유입 차단 밸브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8630Y1
KR0118630Y1 KR2019950043077U KR19950043077U KR0118630Y1 KR 0118630 Y1 KR0118630 Y1 KR 0118630Y1 KR 2019950043077 U KR2019950043077 U KR 2019950043077U KR 19950043077 U KR19950043077 U KR 19950043077U KR 0118630 Y1 KR0118630 Y1 KR 01186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cosmetic container
valve member
opening
dischar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30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6729U (ko
Inventor
김홍배
Original Assignee
이능희
주식회사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능희, 주식회사태평양 filed Critical 이능희
Priority to KR20199500430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8630Y1/ko
Publication of KR9700267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67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86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86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44Closures
    • B65D35/46Closures with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튜우브형으로 구비되는 화장품용기의 주입구에 체결되어 비사용시에는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사용시에는 화장품용기 내부의 화장품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튜우브형 화장품용기의 공기유입 차단 밸브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의 밸브부재(10)는 얇은 원판형으로 구비되고 주입구(2)내의 격벽(4) 상면에 안착되어 배출공(3)을 개폐토록 하는 개폐판(11)과, 상기 개폐판(11)의 하부 중심부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고 주입구(2)의 배출공(3)내에 삽입되어 개폐판(11)의 승강작동을 지지토록 하는 지지대(12)를 갖추어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튜우브형 화장품용기의 공기유입 차단 밸브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튜우브형 화장품용기의 전체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결합상태의 일부 측단면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로서 밸브가 닫힌 상태의 구성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작통상태로서 밸브가 열린 상태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몸체 2 : 주입구
3 : 배출공 4 : 격벽
10 : 밸브부재 11 : 개폐판
12 : 지지대
본 고안은 튜우브형 화장품용기의 공기유입 차단 밸브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튜우브형으로 구비되는 화장품용기의 주입구에 체결되어 비사용시에는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튜우브형 화장품용기의 공기유입 차단 밸브구조에 관한 것이며, 또한 본 출원인의 선고안인 실용신안등록 제59895호(공고번호 제91-4479호)를 개량 고안한 것이다.
겔상태의 화장품으로 이루어지는 화장품액을 수용하는 화장품용기는 주로 튜우브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의 주입구측에는 캡의 체결을 용이하도록 경질로 구성되어 있으면서도 몸체는 후렉시블한 연질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있음으로써 사용자가 몸체를 압착하여 내용물을 주입구를 통해 배출시키도록 하여 사용되고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튜우브형의 화장품용기에 수용되는 화장품액은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면 화장품이 쉽게 산화되거나 굳어지게 됨으로써 화장품의 변질을 초래하게 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튜우브형 화장품용기에 있어서는 캡이 체결되는 화장품용기의 주입구에 얇은 판체형으로 이루어지는 밸브를 구비함으로써 화장품용기의 몸체를 압착하여 화장품이 배출될 때에는 그 주입구를 개방하였다가 압착력이 해소되면 주입구를 막아서 외부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요구되었고, 이러한 구성은 본 출원인의 선고안 실용신안등록 제59895호에 의해 지금까지도 알려져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는 밸브판이 단순히 판체형으로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여러가지 문제점이 야기되었던 것이었다.
즉, 밸프판은 얇을수록 흡착력이 좋아지는 것이나, 종래에는 단순한 판체형으로 구비되면서도 그 두께가 극히 얇게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화장품용기 내부의 흡입력에 의해 내부로 빨려들어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장품용기 내부의 흡입력에 의해 그 중심부가 흡착됨으로써 바깥둘레 부분에서는 주름현상이 발생되어 이를 통해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의 밸브판을 제조처에서 조립시 그 두께가 극히 얇게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이중으로 겹쳐서 조립되는 사례가 발생되었고, 더우기 비스듬히 조립되어짐으로써 불량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도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튜우브형 화장품용기에 있어서 밸브판의 원활한 작동과 정확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화장품용기 내부로의 공기유입을 방지하면서도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하는 튜우브형 화장품용기의 공기유입 차단 밸브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은 튜우브형 화장품용기에 있어서의 밸브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서, 계속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의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튜우브형 화장품용기의 분리사시도로서, 도면중 부호 1은 튜우브형 용기몸체를 표시하고 있다.
이의 용기몸체(1)는 연질합성수지로 성형되면서도 몸체 상단에는 경질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주입구(2)가 구비되어 있고, 이의 주입구(2)의 내부에는 그 중심부에 배출공(3)을 갖는 격벽(4)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몸체(1) 내부에는 겔상태의 화장품이 내장되어지는 것이고, 용기몸체(1)를 압착함으로써 그 내부의 내용물이 주입구의 배출공(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지는 것이다.
또한 도면 부호 5는 상기 용기몸체(1)의 주입구(2)에 억지끼움식으로 체결고정되는 노즐부재를 표시하고 있고, 이의 노즐부재(5)의 내부에는 후술할 밸브부재의 작동을 제한하는 제한턱(6)이 삼방향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이의 노즐부재(5)를 통하여 용기몸체(1) 내부의 내용물이 배출되어진다.
도면 부호 7은 캡을 표시하고 있으며, 이의 캡(7)은 용기몸체(1)의 주입구(2) 외주연에 나사식으로 착탈가능 구비되어 용기몸체(1)의 주입구(2)를 개폐작동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종래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이며, 다만 본 고안에서는 상기 용기몸체(1)의 격벽(4)과 노즐부재(5) 사이에 체결되는 밸브부재를 개선한 것이다.
상기 밸브부재는 도면 부호 10으로 표시하고 있고, 이의 밸브부재(10)는 얇은 원판형으로 구비되는 개폐판(11)과, 이의 개폐판(11)의 하부중심에 수직방향으로 지지대(12)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상기 밸브부재(10)의 개폐판(11)은 용기몸체(1)의 주입구(2) 내부인 격벽(4)의 상면에 안착되어지는 것이며, 이때 상기 개폐판(11)의 직경이 주입구(2)의 내경보다는 작게 구성되어야 바람직하다 할 것이고, 그 상면과 노즐부재(5)의 제한턱(6)과의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밸브부재(10)의 지지대(12)는 주입구(2)의 격벽(4)에 구비되는 배출공(3)내에 수직방향으로 삽입체결되는 것으로, 이의 직경은 배출공(3)의 직경보다는 작게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밸브부재(10)를 조립시에는 첨부도면의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몸 체(1)의 주입구(2)내에 밸브부재(10)를 삽입체결한다.
이때 상기 밸브부재(10)는 지지대(12)를 주입구(2)내의 격벽(4)에 구비되는 배출공(3)에 삽입된 상태로 체결하게 되는 것이고, 이같이 체결이 되면 개폐판(11)은 격벽(4)의 상면에 안착되어 배출공(3)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노즐부재(5)를 통상에서와 같이 용기몸체(1)의 주입구(2) 내경에 억지끼움식으로 체결하게 되면, 이의 외연에 구비된 걸림턱이 주입구 내경에 구비된 걸림턱에 체결되어 고정되어 지는 것이고, 이때 상기 노즐부재(5)의 내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제한턱(6)의 하단은 전술한 밸브부재(1)의 개폐판(11) 상면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간격은 밸브부재(10)의 작동공간을 제공하게 되는 것으로서, 밸브부재(10)의 개방작동시 그 상면이 노즐부재(5)의 제한턱(6) 하단에 걸려져 그 작동거리를 제한받게 되는 것이다.
또한, 캡(7)은 용기몸체(1)의 주입구(2) 외연에 나사식으로 개폐작동되어진다.
이와 같은 상태로 조립체결되는 튜우브형 화장품용기를 사용시에는 통상에서와 같이 캡(7)을 개방하여 용기몸체(1)의 표면을 눌러주면, 용기몸체(1)의 내부에 내장되는 겔상태의 화장품은 주입구(2)의 배출공(3)을 통해 배출되어 지는 것으로, 즉 내부압력에 의해 배출공(3)에 체결된 밸브부재(10)를 상면을 밀면서 배출공(3)을 개방하여 노블부재(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벨브부재(10)는 내부압력과 배출되는 내용물에 의해 상승하더라도 그 상부의 제한턱(6)에 걸려져 더이상 상숭하지 않고 배출공(3)만을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고, 또한 밸브부재(10)의 지지대(12)는 배출공(3)을 벗어나지 않읍으로써 밸브부재(10)의 승강작동을 수평으로 유지하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용기몸체(1)를 누르고 있던 것을 놓게 되면, 용기몸체(1)의 내부에는 흡입압력이 작동하게 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밸브부재(10)는 하강작동을 하면서 주입구(2)의 격벽(4) 상면에 안착되어 배출공(3)을 폐쇄하게 된다.
즉, 밸브부재(10)의 개폐판(11)이 격벽(4)의 상면에 달라붙어 배출공(3)을 완전히 밀폐시키게 됨과 동시에 지지대(12)는 배출공(3)내에서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밸브부재(10)가 승강작동될 시 이의 지지대(12)가 배출광(3)의 내경에서 벗어나지 않고 승강되는 것을 지지하게 됨으로써 밸브부재(10)는 항상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승강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튜우브형 화장품용기에 있어서, 밸브부재의 원활하고도 정확한 작동을 기대할 수가 있음으로써 용기 내부조의 공기유입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즉, 밸브부재의 저면상에 지지대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이의 지지대가 항상 용기몸체의 배출공 내경에 지지되어 밸브부재의 승강 작동을 정확하고도 안정되게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효과외에도 밸브부재의 조립시에는 밸브부재의 지지대를 배출공내에 삽입하여야만 조립이 이루어짐에 따라 조립의 정확성을 기할 수 있어 불량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튜우브형 화장품용기의 주입구와 이의 주입구에 체결되는 노즐부재의 사이에 체결되어 화장품용기 주입구를 개폐작동시키도록 하는 밸브를 갖춘 것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재(10)는 얇은 원판형으로 구비되고 주입구(2)내의 격벽(4) 상면에 안착되어 배출공(3)를 개폐토록 하는 개폐판(11)과, 상기 개폐판(11)의 하부 중심부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고 주입구(2)의 배출공(3)내에 삽입되어 개폐판(11)의 승강작동을 지지토록 하는 지지대(12)를 일체로 갖추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우브형 화장품용기의 공기유입 차단 밸브구조.
KR2019950043077U 1995-12-18 1995-12-18 튜우브형 화장품용기의 공기유입 차단 밸브구조 KR01186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3077U KR0118630Y1 (ko) 1995-12-18 1995-12-18 튜우브형 화장품용기의 공기유입 차단 밸브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3077U KR0118630Y1 (ko) 1995-12-18 1995-12-18 튜우브형 화장품용기의 공기유입 차단 밸브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729U KR970026729U (ko) 1997-07-24
KR0118630Y1 true KR0118630Y1 (ko) 1998-07-15

Family

ID=19435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3077U KR0118630Y1 (ko) 1995-12-18 1995-12-18 튜우브형 화장품용기의 공기유입 차단 밸브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863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7389A2 (ko) * 2009-09-24 2011-03-31 (주)연우 밸브부재가 구비된 튜브형 화장품용기
KR101366406B1 (ko) * 2012-03-06 2014-02-24 최민철 에어리스 기능을 갖춘 립글로즈 용기
KR200472459Y1 (ko) * 2012-06-20 2014-04-29 주식회사 정민 화장품 용기용 토출장치
KR200475028Y1 (ko) * 2014-05-19 2014-10-31 윤일표 화장용 립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7389A2 (ko) * 2009-09-24 2011-03-31 (주)연우 밸브부재가 구비된 튜브형 화장품용기
WO2011037389A3 (ko) * 2009-09-24 2011-09-09 (주)연우 밸브부재가 구비된 튜브형 화장품용기
KR101366406B1 (ko) * 2012-03-06 2014-02-24 최민철 에어리스 기능을 갖춘 립글로즈 용기
KR200472459Y1 (ko) * 2012-06-20 2014-04-29 주식회사 정민 화장품 용기용 토출장치
KR200475028Y1 (ko) * 2014-05-19 2014-10-31 윤일표 화장용 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729U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1117153U (ko)
KR0118630Y1 (ko) 튜우브형 화장품용기의 공기유입 차단 밸브구조
BRPI0709511A2 (pt) válvula de fechamento automático
JPH0642984Y2 (ja) 液体容器用キャップ
WO2008114905A1 (en) Dehumidifying structure for container cap
JPH10236498A (ja) 内容物吐出容器のキャップ
JP3620040B2 (ja) 液体容器の栓体
KR200419790Y1 (ko) 밀폐용기
JPH01161455U (ko)
CN215923103U (zh) 一种瓶盖、储存瓶及给液机
JP3000655U (ja) 液体容器
JPH0112045Y2 (ko)
KR200230226Y1 (ko) 화장품 토출용 노즐의 토출공 개폐구조
KR960038199A (ko) 밸브 장치
JP2598823Y2 (ja) 密封コンパクト容器
KR910008365Y1 (ko) 튜브
JP2595064Y2 (ja) 車両用フューエルフラップのストッパ構造
JPS6313176Y2 (ko)
JP2592144Y2 (ja) 液体注出容器用キャップ
KR200322066Y1 (ko) 보온병 뚜껑
KR970005831Y1 (ko) 식품보관용기의 뚜껑
JPH0113085Y2 (ko)
JPS6312828Y2 (ko)
JPH0223217Y2 (ko)
KR200374680Y1 (ko) 밀폐용기용 가스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1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