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2066Y1 - 보온병 뚜껑 - Google Patents

보온병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2066Y1
KR200322066Y1 KR20-2003-0015474U KR20030015474U KR200322066Y1 KR 200322066 Y1 KR200322066 Y1 KR 200322066Y1 KR 20030015474 U KR20030015474 U KR 20030015474U KR 200322066 Y1 KR200322066 Y1 KR 2003220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s
opening
lid
closing
wate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54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국
Original Assignee
안상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상국 filed Critical 안상국
Priority to KR20-2003-00154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20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20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20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2Vacuum-jacket vessels, e.g. vacuum bott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온병의 주수구를 레버식으로 개폐되게 하여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면서 보온병의 뚜껑에 황토를 첨가하여 보온병 내부의 물이 인출되면서 자동 살균되도록 한 보온병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하부 둘레에는 보온병의 내상부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에 밀착되는 링형의 패킹부재가 구비되고, 하부 중앙에는 스프에 의해 탄력적으로 승강하면서 패킹부재와의 사이에서 보온병을 개폐하는 개폐부재가 구비된 보온병 뚜껑에 있어서, 뚜껑은, 상부가 개방되어 그 내상부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걸림턱의 위쪽 내벽면에는 다수의 체결돌기가 비대칭으로 형성되며, 일측벽을 따라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통로가 형성된 본체와; 외벽에는 체결돌기에 대응되는 위치로 다수의 "ㄱ"자형 체결홈이 형성되어 본체의 체결돌기에 끼워 돌려 체결되고, 본체의 배출통로에 대응되는 위치로 "ㄷ"자형의 주수구가 형성되며, 주수구의 양측벽에는 회전각도에 따라 주수구를 개방함과 동시에 개폐부재의 상단부를 눌러 고정하여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거나 주수구를 폐쇄함과 동시에 개폐부재가 패킹부재에 밀착되게 하는 레버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주수구의 양측벽이 상부로 연장되어 뚜껑 손잡이를 이루도록 구성된 뚜껑부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보온병 뚜껑{Lid of thermos}
본 고안은 보온병 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온병의 주수구를 레버식으로 개폐되게 하여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면서 보온병의 뚜껑에 황토를 첨가하여 보온병 내부의 물이 인출되면서 자동 살균되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보온병은 내용물의 보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일정한 용적을가진 내용기의 외부에 일정간격으로 외용기가 2중설치되어 이루어지며, 보온병의 상단부에는 상시 보온병 내부로 외부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필요시에만 개방되는 개폐부재를 구비한 뚜껑이 나사결합된다.
이러한 보온병의 뚜껑은 일반적으로 나사결합이 완료되면 하부 둘레에 구비된 링형의 패킹부재가 보온병의 내상부에 원주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턱에 밀착되어 패킹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뚜껑의 하부 중앙에는 스프링을 개재한 개폐부재가 링형의 패킹부재에 밀착되도록 구성되고, 뚜껑의 상부에는 측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부 일측에 형성된 주수구를 개폐하는 슬라이딩부재가 탄력적으로 설치되며, 슬라이딩부재와 록킹관계를 가짐과 동시에 개폐부재를 선택적으로 눌러주는 버튼이 상단 중앙에 위치되는 것으로, 버튼을 눌러주면 슬라이딩부재의 록킹위치가 해제되어 그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주수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부재가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개폐부재가 패킹부재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어 보온병 내부의 내용물을 주수구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으며, 슬라이딩부재에 압을 가하면 이와 록킹관계에 있는 버튼이 상승하여 개폐부재가 패킹부재와 밀착되면서 슬라이딩부재가 록킹되어 주수구가 닫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보온병의 뚜껑은 전술한 바와 같이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함은 물론 뚜껑의 외부 케이스가 한 몸체로 되어 있어 좁은 공간에서 많은 부재를 조립해야 하므로 조립성이 떨어지게 됨은 물론 필요한 부재가 너무 많아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원인이 되었으며, 주수구를 개폐할 때 버튼과 슬라이딩부재를 교대로 눌러주어야 하므로 사용이 매우 불편하고, 보온병 뚜껑을 세척하고자 하여도부재들을 분리할 수 없어 구석구석을 세척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보온병은 그 뚜껑에 의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내용물을 담아주는 과정이나 내용물 배출을 위해 뚜껑을 개방하는 과정에서 공기 중에 포함된 많은 세균이 내용물로 침투할 수 있어 위생성이 떨어질 수도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뚜껑을 개폐부재를 갖는 본체와,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뚜껑부로 분리구성하여 돌기-홈 구조로 조립되게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본체의 일측에는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통로를 마련하며, 뚜껑부에도 본체의 배출통로와 동일 위치에 주수구를 마련하되, 주수구에는 회전각도에 따라 주수구를 개방함과 동시에 개폐부재의 상단부를 눌러 고정하여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거나, 주수구를 폐쇄함과 동시에 개폐부재에 가해졌던 압이 제거되어 개폐부재가 패킹에 밀착되게 하는 레버를 구비하여 간단한 구조를 가지도록 함은 물론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며, 본체와 뚜껑부의 사출시 황토성분을 첨가하여 뚜껑 자체가 황토의 약리작용에 따라 살균 기능을 갖도록 하는 보온병 뚜껑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보온병 뚜껑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온병 뚜껑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보온병 2,105 : 걸림턱 100 : 본체
101 : 패킹부재 102 : 스프링 103 : 개폐부재
104 : 돌출부 106 : 체결돌기 107 : 배출통로
200 : 뚜껑부 201 : 체결홈 202 : 주수구
203 : 레버 204 : 뚜껑 손잡이 205 : 경사면
206 : 가드 207 : 플렌지 208 : 레버 손잡이
이하, 본 고안을 제시되는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보온병 뚜껑은 본체(100)와 뚜껑부(200)로 분리 구성되어 서로 체결되며, 본체(100)의 하부 둘레에는 보온병(1)의 내상부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2)에 밀착되는 링형의 패킹부재(101)가 구비되고, 하부 중앙에는 스프링(102)에 의해 탄력적으로 승강하면서 패킹부재(101)와의 사이에서 보온병(1)을 개폐하는 개폐부재(103)가 구비되는데, 본체(100)는 상부가 개방되어 그 내상부에 걸림턱(105)이 형성되고, 걸림턱(105)의 위쪽 내벽면에는 다수의 체결돌기(106)가 비대칭으로 형성되며, 일측벽을 따라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통로(107)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뚜껑부(200)는 그 외벽에 체결돌기(106)에 대응되는 위치로 다수의 "ㄱ"자형 체결홈(201)이 형성되어 본체(100)의 체결돌기(106)에 끼워 돌려 체결되고, 본체(100)의 배출통로(107)에 대응되는 위치로 "ㄷ"자형의 주수구(202)가 형성되며, 주수구(202)의 양측벽에는 회전각도에 따라 주수구(202)를 개방함과 동시에 개폐부재(103)의 상단부를 눌러 고정하여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거나 주수구(202)를 폐쇄함과 동시에 개폐부재(103)가 패킹부재(101)에 밀착되게 하는 레버(203)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주수구(202)의 양측벽이 상부로 연장되어 뚜껑 손잡이(204)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때, 개폐부재(103)의 상단 중앙에는 돌출부(104)가 형성되고, 레버(203)의 하단 중앙에는 회전에 따라 돌출부(104)에 의해 개방된 상태 또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는 경사면(205)이 형성되며, 레버(203)의 경사면(205) 양측에는 돌출부(104)와 경사면(205)의 작용위치를 유지해주는 가드(206)가 형성된다.
또한, 본체(100)와 뚜껑부(200)는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하여 구성하게 되는데, 사출성형시 황토성분을 적량 첨가하여 본체(100)와 뚜껑부(200)에 황토성분이 분산되어 기능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된다.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207은 뚜껑부(200)의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본체(100)와의 체결시 본체(100)의 상단부에 밀착되는 플렌지를 나타내며, 208은 레버(203)를 젖히기 편리하도록 레버(203) 후위에 돌출 형성한 레버 손잡이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보온병 뚜껑은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한다.
먼저, 뚜껑부(200)를 본체(100)에 체결할 때에는 뚜껑 손잡이(204)를 잡고 "ㄱ"자형 체결홈(201)을 본체(100)의 체결돌기(106)에 맞춘 후 눌러 회전시키면 간단하게 체결할 수 있게 되며, 뚜껑부(200)가 본체(100)에 체결되면 본체(100)의 걸림턱(105)과 뚜껑부(200)의 하단부, 본체(100)의 내벽면과 뚜껑부(200)의 외벽면, 본체(100)의 상단부와 뚜껑부(200)의 플렌지(207)가 모두 밀착되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본체(100)에 뚜껑부(200)가 체결된 상태에서 뚜껑부(200)의 레버(203)가 주수구(202)를 닫고 있을 때에는 개폐부재(103)가 스프링(102)에 의해 상승되어 패킹부재(101)에 밀착됨과 동시에 레버(203) 하단 중앙부의 경사면(205)이 개폐부재(103) 상단의 돌출부(104)에 의해 닫히는 방향으로 압이 가해지게 되므로 별도의 외력이 없는 한 개폐부재(103)와 레버(203)에 의해 내용물의 배출경로가 모두 폐쇄되어 내용물을 배출할 수 없게 되고, 뚜껑부(200)의 레버(203)를 들어올리면 레버(203) 하단 중앙부의 경사면(205)이 개폐부재(103) 상단부의 돌출부(104)를 눌러주어 개폐부재(103)가 패킹부재(101)로부터 이격됨으로써 내용물의 배출경로가 개방되며, 레버(203)를 뒤로 완전히 젖히면 개폐부재(103)의 돌출부(104)가레버(203) 하단 중앙의 경사면(205) 뒤쪽으로 넘어가 레버(203)가 젖혀진 상태로 고정되므로 주수구(202)가 완전 개방될 수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보온병(1)을 주수구(202) 방향으로 기울이면 그 내부의 내용물이 본체(100)의 배출통로(107)와 뚜껑부(200)의 주수구(202)를 통해 배출되어 내용물을 음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젖혀져 있던 레버(203)를 다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개폐부재(103) 상단의 돌출부(104)가 경사면(205)과 접촉되면서 레버(203)가 닫히는 방향으로 압을 가하게 되어 레버(203)가 주수구(202)를 폐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개폐부재(103)가 스프링(102)에 의해 상승되어 패킹부재(101)에 밀착됨으로써 최초 상태로 복귀되는 것이다.
따라서, 레버(203)를 젖히거나 닫아주는 동작만으로 보온병(1)의 내용물 배출경로가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어 보온병(1)의 사용이 매우 편리해짐은 자명하며, 보온병 뚜껑의 구조가 단순하고 조립 해체가 간편하여 세척할 때에도 유리한 것이다.
한편, 내용물의 배출경로가 개방되면 공기 중의 많은 세균이 내용물의 내부로 침투할 수 있는데, 본 고안에서는 본체(100)와 뚜껑부(200)의 사출시 적량의 황토를 첨가하여 본체(100) 및 뚜껑부(200)의 내부에 황토성분이 분산되어 있도록 구성한 것이므로 내용물 내부의 세균이 황토의 약리작용에 따라 살균되어 세균감염의 우려가 없이 안전한 사용이 가능해지며, 특히 황토로부터 원적외선이 보온병(1) 내부의 내용물로 발산되어 내용물을 장시간 보관하여도 항상 신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본체와 뚜껑부로 분리구성되어 돌기-홈 방식으로 체결하는 것이며, 뚜껑부에는 주수구를 개폐하는 레버만을 가지는 것이므로 조립이 간편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많은 수의 부재가 필요치않아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뚜껑의 세척시 본체로부터 뚜껑을 분리해내면 구석구석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어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레버의 회전동작만으로 내용물의 배출통로가 개폐되는 것이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특히 뚜껑의 내부에 황토성분이 분산되어 있는 것이므로 살균 기능과 내용물 정화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안전하면서도 신선한 내용물 음용이 가능해지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하부 둘레에는 보온병(1)의 내상부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2)에 밀착되는 링형의 패킹부재(101)가 구비되고, 하부 중앙에는 스프링(102)에 의해 탄력적으로 승강하면서 상기 패킹부재(101)와의 사이에서 보온병(1)을 개폐하는 개폐부재(103)가 구비된 보온병 뚜껑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부가 개방되어 그 내상부에 걸림턱(105)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105)의 위쪽 내벽면에는 다수의 체결돌기(106)가 비대칭으로 형성되며, 일측벽을 따라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통로(107)가 형성된 본체(100)와;
    외벽에는 상기 체결돌기(106)에 대응되는 위치로 다수의 "ㄱ"자형 체결홈(201)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의 체결돌기(106)에 끼워 돌려 체결되고, 상기 본체(100)의 배출통로(107)에 대응되는 위치로 "ㄷ"자형의 주수구(202)가 형성되며, 상기 주수구(202)의 양측벽에는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주수구(202)를 개방함과 동시에 상기 개폐부재(103)의 상단부를 눌러 고정하여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주수구(202)를 폐쇄함과 동시에 상기 개폐부재(103)가 상기 패킹부재(101)에 밀착되게 하는 레버(203)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주수구(202)의 양측벽이 상부로 연장되어 뚜껑 손잡이(204)를 이루도록 구성된 뚜껑부(200)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병 뚜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103)의 상단 중앙에는 돌출부(104)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203)의 하단 중앙에는 회전에 따라 상기 돌출부(104)에 의해 개방된 상태 또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는 경사면(205)이 형성되며, 상기 레버(203)의 경사면 양측에는 상기 돌출부(104)와 상기 경사면(205)의 작용위치를 유지해주는 가드(20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병 뚜껑.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와 상기 뚜껑부(200)에는 황토성분이 첨가되어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병 뚜껑.
KR20-2003-0015474U 2003-05-20 2003-05-20 보온병 뚜껑 KR2003220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474U KR200322066Y1 (ko) 2003-05-20 2003-05-20 보온병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474U KR200322066Y1 (ko) 2003-05-20 2003-05-20 보온병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2066Y1 true KR200322066Y1 (ko) 2003-08-06

Family

ID=49412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5474U KR200322066Y1 (ko) 2003-05-20 2003-05-20 보온병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20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2474A (ko) 2019-10-10 2021-04-20 송상협 개선된 패킹구조를 갖는 보온 보냉용 밀폐마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2474A (ko) 2019-10-10 2021-04-20 송상협 개선된 패킹구조를 갖는 보온 보냉용 밀폐마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6485B2 (en) Latchable lid assemblies
US5988413A (en) Child resistant container and closure
KR200322066Y1 (ko) 보온병 뚜껑
KR200425701Y1 (ko) 원터치식 밀폐용기
KR200398955Y1 (ko) 식품 용기의 뚜껑 결합구조
KR200391215Y1 (ko) 빨대가 형성된 음료 용기 뚜껑
WO2020039336A1 (en) Sealable lid and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KR101229152B1 (ko) 밀폐수단을 구비한 음료용기 뚜껑
KR200286542Y1 (ko) 밀폐용기용 뚜껑
KR200261828Y1 (ko) 밀폐용기용 뚜껑
KR20040081086A (ko) 음식물 보관용기
KR200385312Y1 (ko) 열림방지 기능을 가지는 용기 마개
KR200315101Y1 (ko) 컵 뚜껑
KR200236868Y1 (ko) 식품 보관용기의 뚜껑 결합구조
KR200442421Y1 (ko) 원터치로 공기단속수단을 갖는 용기뚜껑
KR200429385Y1 (ko) 개폐가 용이한 물병용 뚜껑
JP2510573Y2 (ja) ロック付容器
KR200358108Y1 (ko) 음식물 보관용기의 뚜껑
KR200343400Y1 (ko) 보온병의 뚜껑결합구조
KR200281846Y1 (ko) 김치보관용 그릇 및 뚜껑
KR100485006B1 (ko) 용기 밀폐용 커버
KR200304865Y1 (ko) 용기 밀폐용 커버
JP2500650B2 (ja) 液体容器の栓装置
KR200322034Y1 (ko) 음식물 보관용기
KR200253320Y1 (ko) 개폐가 용이한 식품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