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8438Y1 - 목재 카펫 - Google Patents

목재 카펫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8438Y1
KR0118438Y1 KR2019950020081U KR19950020081U KR0118438Y1 KR 0118438 Y1 KR0118438 Y1 KR 0118438Y1 KR 2019950020081 U KR2019950020081 U KR 2019950020081U KR 19950020081 U KR19950020081 U KR 19950020081U KR 0118438 Y1 KR0118438 Y1 KR 01184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arpet
attaching
nonwoven fabric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00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8013U (ko
Inventor
문승규
Original Assignee
문승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승규 filed Critical 문승규
Priority to KR20199500200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8438Y1/ko
Publication of KR9700080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80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84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84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 A47G27/0243Features of decorative rugs or carpets
    • A47G27/0268Edge finish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 A47G27/0243Features of decorative rugs or carpets
    • A47G27/025Modular rugs

Landscapes

  • Carp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위편의 목재를 합성수지재의 시트면에 고정된 부직포상에 차례로 부착하여 구성된 목재 카펫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카펫의 표면에 형성되는 데코레이션이 카펫을 장기간 사용시에도 벗겨지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합성수지재의 시트(1)에 부착된 부직포(2)상에 단위편으로 된 판재(3)를 부착하여 표면에 코팅물질을 도포하고 테두리를 장식띠(4)로 마감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단위편으로 형성된 판재중 일부 판재(3a)를 다른 판재(3)보다 얇게 형성하고 두께가 얇은 판재(3a)의 표면에는 무늬목을 상감기법으로 상호 접착 구성한 장식편(5)을 부착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목재 카펫
제1도는 종래의 목재 카펫을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목재 카펫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3도는 제 2 도의 일부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시트 2:부직포
3,3a:판재 4:장식띠
5:장식핀
본 고안은 단위편의 목재를 합성수지재의 시트면에 고정된 부직포상에 차례로 부착하여 구성된 목재 카펫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저으로는 카펫의 표면에 형성되는 데코레이션이 카펫을 장기간 사용시에도 벗겨지지 않도록 한 것이다.
첨부도면 제1도는 종래의 목재 카펫을 나타낸 사시도로써, 그 구성을 살펴보면 합성수지재의 시트(1)면에 동일 면적의 부직포(2)를 접착재로 고정한 다음 상기 부직포상에 단위편으로 된 판재(3)가 벽돌을 쌓는 것과 같은 형태로 배열되게 접착 고정하여 이들의 테두리를 장식띠(4)로 마감한 후, 판재의 표면에 코팅물질(도시는 생략함)을 도포하여 제조 완료한다.
이러한 목재 카펫은 제 1 도와 같이 표면을 무모양으로 처리하거나, 장식미를 표현하기 위해 가장자리에 위치되는 판재(3)의 상면에 일정무늬를 인쇄한 다음 코팅 물질을 도포하게 된다.
그러나 판재(3)의 가장자리부분에 인쇄를 한 다음 코팅물질을 도포한 목재 카펫은 어는 정도의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지만, 장기간 사용에 따라 표면에 도포된 코팅물질이 벗겨질 경우에는 판재(3)의 상면에 인쇄된 무늬모양도 벗겨지게 되므로 오히려 외관을 해치게 되는 역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무늬모양이 평면적이므로 입체효과를 창출하지 못하였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그 구조를 개선하여 카펫의 장기간 사용으로 판재의 표면에 도포된 코팅물질이 벗겨지더라도 표면에 데코레이션된 무늬가 벗겨지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합성수지재의 시트에 부착된 부직포상에 단위편으로 된 판재를 부착하여 표면에 코팅물질을 도포하고 테두리를 장식띠로 마감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단위편으로 형성된 판재중 일부 판재를 다른 판재보다 얇게 형성하고 두께가 얇은 판재의 표면에는 무늬목을 상감기법으로 상호 접착 구성한 장식편을 부착하여서 된 목재 카펫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 제 2 도 및 제 3 도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 2 도는 본 고안의 목재 카펫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제 3 도는 제 2 도의 일부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써, 본 고안의 구성중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 도시한 제 2 도 및 제 3 도와 같이 카펫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판재(3a)를 내측에 위치하는 판재(3)보다 얇게 구성할 경우에는 카펫의 가로방향에 위치하는 판재를 일률적으로 두께가 얇도록 하지만, 세로방향에 위치되는 판재는 벽돌을 쌓은 것과 같은 형태로 부직포(2)에 부착하기 때문에 1번째 줄의 판재는 전체적으로 두께를 얇게 형성하고 그 다음의 줄에 위치하는 판재는 1/2은 두께가 얇고 나머지 1/2는 두께가 두껍게 형성하며, 이는 차례로 반복해서 형성하여야 한다.
즉, 부직포(2)에 판재가 벽돌을 쌓은 것과 같은 형태로 부착되므로 최외측에 위치되는 판재(3)가 다른 판재와는 달리 길이가 1/2이 되기 때문이다.
상기 두께가 얇은 판재(3a)의 표면에는 무늬목을 얇게 썰어 상감기법으로 상호 접착하여 구성한 장식편(5)을 부착한 다음 장식편의 표면에 종래와 마찬가지로 코팅 물질을 도포하고 테두리부분을 장식띠(4)로 마감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카펫의 가장자리에 장식편(5)이 부착되는 구조만을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하지 않는다.
이는 장식편의 모양을 봉황, 용 또는 기타 여러가지 형태로 변경하여 적용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두께가 얇은 판재(3a)에 부착된 장식편(5)의 무늬모양이 변하지 않게 되므로 카펫의 외관이 훼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카펫을 구성하는 판재중 일 부분에 위치되는 판재를 다른부분에 위치되는 판재보다 두께가 얇게 구성한 다음 두께가 얇은 판재의 표면에 상감기법으로 상호 접착된 장식편을 부착하게 되어 있으므로 장기간사용으로 코팅물질이 벗겨지더라도 장식된 무늬모양이 변하지 않게 되고, 이에따라 제품의 고급화 실현이 가능해지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1)

  1. 합성수지재의 시트(1)에 부착된 부직포(2)상에 단위편으로 된 판재(3)를 부착하여 표면에 코팅물질을 도포하고 테두리를 장식띠(4)로 마감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단위편으로 형성된 판재중 일부 판매(3a)를 다른 판재(3)보다 얇게 형성하고 두께가 얇은 판재(3a)의 표면에는 무늬목을 상감기법으로 상호 접착 구성한 장식편(5)을 부착하여서 된 목재 카펫.
KR2019950020081U 1995-08-03 1995-08-03 목재 카펫 KR01184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0081U KR0118438Y1 (ko) 1995-08-03 1995-08-03 목재 카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0081U KR0118438Y1 (ko) 1995-08-03 1995-08-03 목재 카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8013U KR970008013U (ko) 1997-03-27
KR0118438Y1 true KR0118438Y1 (ko) 1998-08-01

Family

ID=19420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0081U KR0118438Y1 (ko) 1995-08-03 1995-08-03 목재 카펫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843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8013U (ko)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52478A (en) Flock transfer sheet patch
KR0160106B1 (ko) 장식피복용 성형목제패널의 제조방법
KR0118438Y1 (ko) 목재 카펫
JPH0339536Y2 (ko)
JPH0353882Y2 (ko)
KR920002199Y1 (ko) 보릿대를 이용한 장식판 제조용 무늬지
JPS582569Y2 (ja) 化粧建材
KR200192123Y1 (ko) 문양이 형성되는 단위편재를 상호 교호 조립하여서 된돗자리
JP2869262B2 (ja) 化粧木材の製造方法及び化粧木材
KR200184859Y1 (ko) 입체무늬의 목재패널
JPS6030046Y2 (ja) 溝付化粧板
JPH0541014Y2 (ko)
KR200227303Y1 (ko) 문양장식판체
JPH081859Y2 (ja) 細溝化粧板
JPH0541012Y2 (ko)
KR20000075183A (ko) 상감무늬가 형성된 단위부재의 제조방법
JPS6142817Y2 (ko)
KR200220046Y1 (ko) 장식용 패널의 적층구조
JPH0414843B2 (ko)
JPH03169624A (ja) 化粧板とその製造方法
JPH0719460U (ja) 建築仕上げ面の構造と化粧板
JPH0286408U (ko)
JPS62175122U (ko)
JPS5952067B2 (ja) 溝付化粧板
JPH0612098U (ja) 化粧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DISMISS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0527

Effective date: 20031025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731

Effective date: 200708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