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8098Y1 - 가전제품의 콘트롤장치 - Google Patents

가전제품의 콘트롤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8098Y1
KR0118098Y1 KR2019930021629U KR930021629U KR0118098Y1 KR 0118098 Y1 KR0118098 Y1 KR 0118098Y1 KR 2019930021629 U KR2019930021629 U KR 2019930021629U KR 930021629 U KR930021629 U KR 930021629U KR 0118098 Y1 KR0118098 Y1 KR 01180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body
switch member
panel
pressing piece
re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16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2531U (ko
Inventor
장영선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300216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8098Y1/ko
Publication of KR9500125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5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80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80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6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20Driving mechanisms allowing angular displacement of the operating part to be effective in either dir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12Household appliance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전제품의 콘트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손잡이본체(1)에 탄성편(110)및 누름편(120)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부재(110)가 간헐적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판넬(2)의 요입부(200)에 보스(220)를 형성하며, 상기 판넬(2) 후방의 요입부(200)외주연에 형성하여 상기 누름편(120)의 간헐적 회전에 따라 동작하는 스위치부재(3)로 구성한 특징적인 구성에 의해, 손잡이본체를 회전조작하면 스위치부재가 ON/OFF하여 가전제품이 동작되고, 또한 손잡이본체의 회전위치에 따라 가전제품의 동작상태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장치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전제품의 콘트롤장치
제1도는 종래의 평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측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배면도로서, (a)는 동작전이고 (b)는 동작후를 나타낸다.
제5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제습기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손잡이본체100 : 걸림턱110 : 탄성편
120 : 누름편2 : 판넬200 : 요입부
210 : 활동구멍220 : 보스221 : 돌기
3 : 스위치부재
본 고안은 가전제품의 콘트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손잡이본체에 누름편을 형성하고 판넬의 후방에는 가전제품을 콘트롤 하는 스위치부재를 설치하여, 손잡이본체를 회전조작하면 상기 누름편에 의해 스위치부재가 ON/OFF하여 가전제품이 동작되도록한 가전제품의 콘트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전제품에는 그 기능을 콘트롤 하는 조절수단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조절수단은 대부분이 버튼형식을 취하는 것으로, 버튼을 누르면 스위치부재가 ON/OFF하여 가전제품이 동작하도록 되어있다.
상기와 같은 조절수단의 종래 실시예는 제 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봉(11)을 같는 버튼(10)과, 상기 버튼(10)을 설치하기 위한 요입부(21)가 형성되고 가전제품의 전방에 위치하는 판넬(20)과, 상기 누름봉(11)에 의해 동작하는 택스위치종류인 스위치부재(30)와, 상기 버튼(10)의 복원을 위한 탄성부재(12)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콘트롤장치는, 버튼(10)을 한번 눌렀다놓으면 탄성부재(12)가 압축되면서 누름봉(11)이 스위치부재(30)를 ON시킴과 동시에 탄성부재(12)의 복원으로 버튼(10)이 원위치된다. 또한 버튼(10)을 재차 눌렀다놓으면 탄성부재(12)가 압축되면서 누름봉(11)이 스위치부재(30)를 OFF시킴과 동시에 탄성부재(12)의 복원으로 버튼(10)이 원위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의 콘트롤장치는 스위치부재(30)의 ON/OFF에 관계없이 버튼(10)이 원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위치부재(30)의 ON/OFF상태를 알려주기위한 별도의 수단(즉 램프를 점멸하여 스위치부재의 ON/OFF상태를 알려주는것)이 필요하였다. 또한 버튼의 복원을 위한 탄성부재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장치의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손잡이본체를 회전조작하면 스위치부재가 ON/OFF하여 가전제품이 동작되도록 함으로서, 장치의 구성을 간소화한 가전제품의 콘트롤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기 손잡이본체에 탄성편 및 누름편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편이 간헐적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판넬의 요입부에 보스를 형성하며, 상기 판넬 후방의 요입부외주연에 형성하여 상기 누름부의 간헐적 회전에 따라 동작하는 스위치부재로 구성한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고안의 분리사시도로서, 후방외주연의 상,하부로 걸림턱(100)을 형성한 손잡이본체(1)와, 판넬(2)의 일측에 형성하여 상기 손잡이본체(1)를 수용하는 요입부(200)와, 상기 걸림턱(100)이 걸린 상태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요입부(200)에 형성한 활동구멍(210)과, 상기 요입부(200)의 중앙에 형성하고 내주연에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돌기(221)를 형성한 보스(220)와, 상기 손잡이본체(1)의 후방에 형성하고 상기 보스(220)에 끼워져 회전할 때 상기 돌기(221)에 간헐적으로 걸려 손잡이본체(1)가 임의로 회전하지 못 하도록 하는 탄성편(110)과, 상기 손잡이본체(1)에 형성하고 상기 일측 활동구멍(210)에 끼워지는 누름편(120)과, 상기 판넬(2)후방의 일측 활동구멍(210)근방에 설치하고 상기 누름편(120)에 의해 ON/OFF동작하는 스위치부재(3)로 구성한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측단면도로서, 손잡이본체(1)의 탄성편(110)외주연으로 간격유지편(130)을 형성한다. 상기 간격유지편(130)은 걸림턱(100)이 활동구멍(210)에 끼워질 때 그 하단이 보스(220)외주연의 요입부(200)바닥에 닿음으로서, 손잡이본체(1)가 요입부(200)에 끼워지는 거리를 제한한다.
미설명부호, 140은 손잡이본체(1)를 회전하기 위한 손잡이, 300은 스위치부재(3)의 레버, 230,4는 스위치부재(3)를 고정하기 위하여 판넬(2) 후방에 형성한 체결봉 및 나사못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은 손잡이본체(1)가 좌,우측으로 회전할 때 누름편(120)이 스위치부재(3)를 ON/OFF하여 가전제품이 동작을 하고, 이때 스위치부재(3)는 그 회전위치를 유지함으로서 가전제품의 동작상태를 알 수 있다.
제4도(a)는 본 고안의 동작전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로서, 각 탄성편(110)이 보스(220)의 돌기(221)에 걸려 회전하지 않는 상태로 손잡이본체(1)가 요입부(200)에 끼워져 손잡이(140)가 수직을 이루고 있다. 이때 누름편(120)은 스위치부재(3)의 레버(300)와 간섭하지않으므로 스위치부재(3)는 OFF상태로 동작하지 않는다.
한편 제4도(b)는 본 고안의 동작후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로서, 손잡이본체(1)를 도면상 우측으로 회전하면 각 탄성편(110)이 돌기(221)를 넘어 갈때 서로를 향하여 탄성변형되다가 돌기(211)를 넘어서면 복원된다. 즉 손잡이본체(1)를 강하게 회전하면 탄성편(11)이 돌기(221)를 넘어간 다음 다음에 위치하는 돌기(221)에 걸리게 되어 간헐적인 회전이 가능하다. 한편 손잡이 본체(1)가 우측으로 회전할때 누름편(120)이 레버(300)를 눌러 스위치부재(3)가 ON동작한다. 이때 손잡이(140)가 우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스위치부재(1)의 ON/OFF상태를 알 수 있다.
한편 스위치부재(3)를 OFF할 때에는 상기 제4도(b)의 역순으로 손잡이부재(1)를 돌려 제4도(a)와 같이 한다.
제5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제습기의 정면도로서, 손잡이본체(1)를 제습기(5)의 우측상부에 형성하여 그 기능을 콘트롤 한다. 이때 손잡이본체(1)의 간헐적인 회전에 따라 제습기가 동작을 하고 그 동작상태가 손잡이(1)의 회전위치에 따라 알 수 있어 편리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손잡이본체를 회전조작하면 스위치부재가 ON/OFF하여 가전제품이 동작되고, 또한 손잡이본체의 회전위치에 따라 가전제품의 동작상태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장치의 구성을 간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판넬의 요입부에 손잡이본체를 끼워 회전조작하는 콘트롤장치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본체에 형성한 탄성편 및 누름편과, 상기 탄성편이 간헐적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요입부에 형성한 보스와, 상기 누름편의 간헐적 회전에 따라 동작하고 상기 판넬 후방의 요입부외주연에 형성한 스위치부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의 콘트롤장치.
KR2019930021629U 1993-10-20 1993-10-20 가전제품의 콘트롤장치 KR01180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1629U KR0118098Y1 (ko) 1993-10-20 1993-10-20 가전제품의 콘트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1629U KR0118098Y1 (ko) 1993-10-20 1993-10-20 가전제품의 콘트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531U KR950012531U (ko) 1995-05-17
KR0118098Y1 true KR0118098Y1 (ko) 1998-06-01

Family

ID=19366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1629U KR0118098Y1 (ko) 1993-10-20 1993-10-20 가전제품의 콘트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809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531U (ko) 199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18098Y1 (ko) 가전제품의 콘트롤장치
CN213389378U (zh) 洗衣机
US4878000A (en) Improved trigger-type control switch for D.C. motors
JP2601754Y2 (ja) ロータリスイッチ
KR100434327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조작 핸들장치
JP3754713B2 (ja) セレクタスイッチ
KR100615647B1 (ko) 메인 스위치 오조작 방지장치
JP3841467B2 (ja) セレクタスイッチ及びセレクタ押ボタンスイッチ
KR200188883Y1 (ko) 절전기능을 갖는 전원스위치
KR920008661Y1 (ko) 택트 스위치용 놉
US3303311A (en) Push button rotary switch
KR930002678Y1 (ko) 버튼이 달린 도어
US3849612A (en) Vehicular rotary electrical switch assembly with removable,interposed non-conductive plug kill switch means
KR200156507Y1 (ko) Tv의 리모콘 수납 구조
JPS601469Y2 (ja) スイッチ操作装置
JP2000195375A (ja) 回転操作型電気部品
JPS6225766Y2 (ko)
EP0892417A1 (en) Switch mechanism
KR0130269Y1 (ko) 잠금장치가 부가된 캠코더의 모드전환 노브
KR0155649B1 (ko) 중립 복귀 로타리 놉구조
JPH0125366Y2 (ko)
KR0121684Y1 (ko) 전기.전자제품의 회전식 노브장치
KR900000643Y1 (ko) 안테나 고정장치
KR960005226Y1 (ko) 출입문용 개폐기
KR0126123Y1 (ko) 자동복귀 버턴스위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