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8064Y1 - 밀폐형 압축기 - Google Patents

밀폐형 압축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8064Y1
KR0118064Y1 KR2019950009027U KR19950009027U KR0118064Y1 KR 0118064 Y1 KR0118064 Y1 KR 0118064Y1 KR 2019950009027 U KR2019950009027 U KR 2019950009027U KR 19950009027 U KR19950009027 U KR 19950009027U KR 0118064 Y1 KR0118064 Y1 KR 01180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refrigerant
main body
compressor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90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4931U (ko
Inventor
신경수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500090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8064Y1/ko
Publication of KR9600349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49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80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80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콘등에 장착되는 밀폐형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압축기 외부로 빠져 나가는 오일의 양을 극소화시켜 압축기의 성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상기 에어콘의 냉방능력을 향상시키는 밀폐형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써, 토출관(19) 일측에 냉매 및 오일을 분리하여 상기 오일이 본체(1)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본체(1) 내부의 오일순환량을 많게 하여 부품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토출관(19)으로 오일이 토출되어 상기 에어콘의 냉방성능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오일분리장치(30)가 배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밀폐형 압축기
제 1도는 종래의 압축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
제 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압축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
제 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압축기의 요부를 도시한 일부종단면도,
제 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오일분리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제 5도는 본 고안에 의한 오일분리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본체 19:토출관
30:오일분리장치 31:플랜지부
33:저류부 35:유입구
37:드레인구멍 38:요홈부
본 고안은 에어콘등에 장착되는 밀폐형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압축기 외부로 빠져 나가는 오일의 양을 극소화시켜 압축기의 성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상기 에어콘의 냉방능력을 향상시키는 밀폐형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압축기는 제 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와, 상기 본체(1)내부에 위치되어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자장을 형성시키는 고정자(3)와, 상기 고정자(3)에 형성된 자장의 영향으로 회전되는 회전자(5)와, 상기 회전자(5)와 연동하여 회전되며 일측에 편심축(7)이 형성된 회전축(9)과, 상기 회전축(9)에 형성된 편심축(7)에 외감되어서 회전운동 및 미끄럼운동을 하는 롤러부재(11)와, 실린더부재(13)의 상측에 고착된 상부플래지(15)와, 상기 실린더부재(13)의 하측에 고착된 하부플랜지(1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의 상부에는 실린더부재(13)내에서 압축된 냉매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토출관(19)이 배설되고, 상기 본체(1)의 일측에는 냉매가 상기 실린더부재(13)로 흡입되도록 냉매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흡입관(21)이 배설되어 있다.
상기 고정자(3)와 회전자(5)사이에는 실린더부재(13)에서 압축된 냉매가 압력차이로 인해서 즉, 압력이 높은쪽에서 낮은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 1가이드통로(23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자(3)와 본체(1)사이에는 상기 제 1가이드통로(23a)를 통해 상부로 이동한 오일을 오일챔버(25)로 복귀시키는 제 2가이드통로(23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부재(13)가 일측면에는 실린더부재(13)내에서 압축된 고온고압의 냉매가 토출되도록 토출구(13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플랜지(15)의 일측면에는 상기 실린더부재(13)내의 토출구(13a)를 통과한 냉매가 연통되어 상기 상부플랜지(15) 외측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구(15a)가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24a,24b,24c,24d는 회전축(9)에 각각 형성된 제 1내지 제 4오일구멍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밀폐형 압축기는 상기 본체(1) 상부에 배설된 토출관(19)을 통하여 냉매 토출시 회전축(9)을 따라 상승된 오일의 일부가 함께 토출되어 오일이 손실됨에 따라 부품마모방지효과를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에어콘 가동시 상기 토출관을 통해 토출된 냉매가 에어콘기능을 수행하는 동안 즉, 냉매사이클 순환을 하는 동안 상기 냉매와 함께 토출된 오일의 일부가 함께 순환되어 냉방효과(에어콘성능)를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압축기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극소화시켜 압축기의 부품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에어콘의 냉방능력을 향상시키는 밀폐형 압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는 본체 내부에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자장을 형성시키는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에 형성된 자장의 영향으로 회전되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가 회전됨에 따라 냉매가 고온고압으로 압축되어 토출되는 토출관을 구비한 에어콘과 같은 냉방기기등에 장착되는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 일측에 냉매 및 오일을 분리하여 상기 오일이 본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본체 내부의 오일순환량을 많게 하여 부품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토출관으로 오일이 토출되어 상기 에어콘의 냉방성능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오일분리장치가 배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제 2도와 제 3도를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압축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 제 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압축기의 요부를 도시한 일부종단면도, 제 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오일분리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제 5도는 본 고안에 의한 오일분리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또한, 제 1도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 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와, 상기 본제(1)내부에 위치되어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자장을 형성시키는 고정자(3)와, 상기 고정자(3)에 형성된 자장의 영향으로 회전되는 회전자(5)와, 상기 회전자(5)와 연동하여 회전되며 일측에 편심축(7)이 형성된 회전축(9)과, 상기 회전축(9)에 형성된 편심축(7)에 외감되어서 회전운동 및 미끄럼운동을 하는 롤러부재(11)와, 실린더부재(13)의 상측에 고착된 상부플랜지(15)와 상기 실린더부재(13)의 하측에 고착된 하부플랜지(1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의 상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전원공급수단으로 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상기 본체(1)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전극(29a),(29b)이 고착된 밀폐부지(28)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밀폐부재(28) 일측에는 실린더부재(13)내에서 압축된 냉매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토출관(19)이 배설되어 있고, 상기 토출관(19)의 하부에는 냉매 토출시 오일이 함께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일분리장치(30)가 둘러싸고 있다.
상기 오일분리장치(30)는 본체(1) 내주면과 용접되는 플랜지부(31)가 형성된 깔떼기형상의 저류부(3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저류부(33) 상측에는 냉매 및 오일이 유입되는 다수개의 유입구(3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저류부(33)의 하부에는 압축기 가동시 상기 저류부(33)에 저장된 오일이 압축기 오프시 즉, 냉매사이클 순환이 정지되고, 압축기 압력이 평형이 되었을때, 상기 저류부(33)에 저장된 오일을 드레인 시켜 압축기 저면부에 있는 오일챔버(25)로 복귀시키는 드레인구멍(3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오일분리장치(30)의 상부 일측에는 본체 상부일측에 형성된 밀폐부재(28)와 간섭됨을 피하기 위하여 요홈부(3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상기 오일분기장치(30)의 플랜지부(31)와 본체(1) 내주면과의 결합은 기밀유지를 할 수 있는 예를 들면 프로젝션 용접과 같은 방법으로 결합시키게 되어 있다.
상기 고정자(3)와 회전자(5)사이에는 실린더부재(13)에서 압축된 냉매가 압력차이로 인해서 즉, 압력이 높은쪽에서 낮은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 1가이드통로(23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자(3)와 본체(1)사이에는 상기 제 1가이드통로(23a)를 통해 상부로 이동한 오일을 오일챔버(25)로 복귀시키는 제 2가이드통로(23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부재(13)의 일측면에는 실린더부재(13)내에서 압축된 고온고압의 냉매가 토출되도록 토출구(13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플랜지(15)의 일측면에는 상기 실린더부재(13)내의 토출구(13a)를 통과한 냉매가 연통되어 상기 상부플랜지(15) 외측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구(15a)가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24a,24b,24c,24d는 회전축(9)에 각각 형성된 제 1내지 제 4오일구멍이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는 전원이 인가되면 고정자(3)에 자장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자(3)에 형성된 자장에 의해서 회전자(5)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자(5)에 일체로 결착된 회전축(9)이 회전하게 됨으로써, 상기 회전축(9)의 일측에 배설된 편심축(7)도 상기 회전축(9)과 연동하여 고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편심축(7)에 외삽되어 있는 롤러부재(11)가 실린더부재(13)내에서 회전운동 및 왕복운동을 하여 실린더부재(13)의 일단부에 형성된 흡입관(21)을 통해 흡입된 냉매를 압축하고, 상기 고온고압의 냉매는 실린더부재(13) 일측에 형성된 토출구(13a)를 통하여 상기 실린더부재(13)상측에 고착되어 있는 상부플랜지(15)의 토출구(15a)를 통하여 상부플랜지(15) 외측으로 토출된다.
한편, 일측 기저면부에 형성된 오일챔버(25)에 저류되어 있는 오일은 회전축(9)이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회전축(9)의 내부에 배설되어 있는 도시되지 않은 오일패들에 의해 상기 회전축(9)상부로 이동되어 상기 회전축(9)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오일구멍(24a)(24b)(24c)(24d)을 통하여 회전축(9)과 상,하부플랜지(15)(17) 및 회전축(9)과 편심축(7) 롤러부재(11)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을 감소시키도록 윤활작용을 함과 동시에, 이때 발생되는 열을 냉각 시킨다.
따라서, 상부플랜지(15)의 토출구(15a)를 통과한 고온고압의 냉매와 상기 냉매에 섞여있는 미소량의 오일은 고정자(3)와 회전자(5)사이에 형성된 제 1가이드통로(23a)를 통하여 입력차이로 인해서 압축기 상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관(19) 일측에 배설된 오일분리장치(30)의 다수개의 유입구(35)를 통하여 냉매와 오일이 유입되어 높은 비중을 가는 오일은 저류부(33)에 저장되고, 비중이 낮은 냉매가스는 토출관(19)을 통해 토출되어 냉매사이클을 순환한다.
그리고, 압축기 오프시 즉, 냉매사이클이 정지되고 압축기의 내압이 평형이 되었을때, 상기 오일분리장치(30)에 의해 저류부(33)에 분리되어진 오일은 드레인구멍(37)을 통해 드레인 되어 본체(1)와 고정자(3)사이에 형성된 제 2가이드 통로(23b)를 따라서 압축기 저면부에 형성된 오일챔버(25)내로 복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는 토출관일측을 둘러싼 오일분리장치에 의한 오일이 분리되어 상기 오일이 본체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본체 내부에 오일저장량을 증가 시킴으로서, 오일 순환량을 많게 하여 부품마모방지효과를 높임과 동시에, 상기 토출관을 통해 냉매만 토출되게 하여 냉매사이클 순환시 오일이 혼합되어 냉방능력(에어콘성능)을 저하됨을 방지 할 수 있다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4)

  1. 본체(1) 내부에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자장을 형성시키는 고정자(3)와, 상기 고정자(3)에 형성된 자장의 영향으로 회전되는 회전자(5)와, 상기 회전자(5)가 회전됨에 따라 냉매가 고온고압으로 압축되어 토출되는 토출관(19)을 구비한 에어콘등에 장착되는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19) 일측에 냉매 및 오일을 분리하여 상기 오일이 본체(1)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본체(1) 내부의 오일순환량을 많게 하여 부품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토출관(19)으로 오일이 토출되어 상기 에어콘의 냉방성능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오일분리장치(30)가 배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분리장치(30)는 본체(1)내주면과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플랜지부(31)와, 냉매와 오일을 분리시켜 상기 냉매는 본체(1)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분리된 오일을 저장하는 저류부(3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33) 상측에는 냉매 및 오일이 유입되는 다수개의 유입구(3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33) 하측에는 압축기가 오프되어 평형상태를 유지할 때 상기 저류부(33)에 분리 저장된 오일이 드레인 되는 드레인구멍(3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
KR2019950009027U 1995-04-28 1995-04-28 밀폐형 압축기 KR01180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9027U KR0118064Y1 (ko) 1995-04-28 1995-04-28 밀폐형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9027U KR0118064Y1 (ko) 1995-04-28 1995-04-28 밀폐형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931U KR960034931U (ko) 1996-11-21
KR0118064Y1 true KR0118064Y1 (ko) 1998-07-15

Family

ID=19412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9027U KR0118064Y1 (ko) 1995-04-28 1995-04-28 밀폐형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806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5039A (ko) * 2001-12-26 2003-07-0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밀폐형 압축기의 토출관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931U (ko) 1996-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96521A (en) Scroll fluid apparatus
JP4799437B2 (ja) 流体機械
US5221191A (en) Horizontal rotary compressor
EP4036406A1 (en) Linear compressor for refrigeration appliance and refrigeration system
JP3841240B2 (ja) 回転電機
KR0118064Y1 (ko) 밀폐형 압축기
KR100964495B1 (ko) 오일분리형 구동축을 가지는 스크롤 압축기
WO2010029956A2 (ja) 密閉型圧縮機
KR102250823B1 (ko) 로터리 압축기
CN101205917B (zh) 旋转式压缩机
JPS6238884A (ja) 密閉形圧縮機
KR100265405B1 (ko) 밀폐형회전식압축기
KR0139350Y1 (ko) 압축기
CN105840520B (zh) 供油调节装置、压缩机、涡旋压缩机及空调系统
KR200150835Y1 (ko) 회전압축기
JPH04166685A (ja) 密閉型圧縮機の油冷却装置
KR0117041Y1 (ko) 로터리 압축기
KR100608126B1 (ko) 회전압축기
JP2024002273A (ja) 回転式圧縮機及び冷凍装置
JP2572535B2 (ja) 冷凍機用キャンドモータ冷却装置
JPS6340957B2 (ko)
KR200146153Y1 (ko) 압축기의 냉각장치
KR19990002723U (ko) 회전압축기
KR0118798Y1 (ko) 횡형 로터리압축기의 급유장치
KR20210053851A (ko) 로터리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