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0823B1 - 로터리 압축기 - Google Patents

로터리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0823B1
KR102250823B1 KR1020190086563A KR20190086563A KR102250823B1 KR 102250823 B1 KR102250823 B1 KR 102250823B1 KR 1020190086563 A KR1020190086563 A KR 1020190086563A KR 20190086563 A KR20190086563 A KR 20190086563A KR 102250823 B1 KR102250823 B1 KR 102250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ne
cylinder
flow path
oil supply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9695A (ko
Inventor
정성원
김지훈
박희현
임윤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6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0823B1/ko
Priority to CN202020759789.XU priority patent/CN212429184U/zh
Priority to EP20178305.7A priority patent/EP3767070A1/en
Priority to US16/921,087 priority patent/US11486398B2/en
Publication of KR20210009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0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0823B1/ko
Priority to US17/869,254 priority patent/US2022034940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5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MACHINES OR ENGINES
    • F01C2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1C1/00 - F01C20/00
    • F01C21/08Rotary pistons
    • F01C21/0809Construction of vanes or vane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both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2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both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hinged to the inner member and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04C29/028Means for improving or restricting lubricant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4Heating; Cooling; Heat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5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 F04C18/356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the inner and outer member being in contact along one line or continuous surface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 F04C18/356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the inner and outer member being in contact along one line or continuous surface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the surfaces of the inner and outer member, forming the working space, being surfaces of revol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6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50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50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20Heat transfer, e.g. cooling
    • F05B2260/201Heat transfer, e.g. cooling by impingement of a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로터리 압축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베인슬롯과 마주보는 실린더의 내벽에 형성되며 베인의 측면과 마주보는 공간을 형성되는 측벽유로를 포함하고, 베인에는 베인의 위치에 따라 상기 베인슬롯 외부와 측벽유로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가 마련되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로터리 압축기{ROTARY COMPRESSOR}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로터리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장치를 말한다. 압축기는 왕복동식, 원심식, 베인식, 스크롤식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 로터리 압축기는, 롤러(또는 "롤링 피스톤"이라 한다)와 베인을 이용하여 냉매를 압축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압축기이다. 이러한 로터리 압축기에서, 롤러는 실린더의 압축공간에서 편심 회전 운동한다. 그리고 베인은, 롤러의 외주면에 접하여 상기 실린더의 압축공간을 흡입실과 토출실로 구획한다.
이러한 구성의 로터리 압축기에 따르면, 롤러가 실린더에서 선회 운동을 함에 따라, 실린더에 삽입 장착된 베인이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실린더 내부에 형성된 흡입실과 토출실에서는, 체적이 가변되는 압축실이 형성되면서 냉매의 흡입, 압축 및 토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로터리 압축기에서는, 상기 롤러와 상기 베인 사이로 냉매가 누설되어 압축기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최근 들어, 롤러와 베인 사이의 누설을 해결하고자 베인이 롤러에 삽입되어 결합된 구조의 결합형 베인-롤러 구조의 로터리 압축기가 소개되었다.
도 1은 종래의 결합형 베인-롤러 구조의 로터리 압축기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결합형 베인-롤러 구조의 압축기에서는 롤러(2)의 외주면에 형성된 삽지부(2A)에 베인(4)의 일단이 결합되며, 베인(4)의 타단측은 실린더(1)에 형성된 베인슬롯(3)에 삽입된다.
상기 베인(4)은, 실린더(1)의 내부를 선회하는 롤러(2)의 움직임에 의해, 베인슬롯(3)의 내부에 형성된 통로를 따라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롤러(2)는 실린더(1) 내부를 왕복하는 것이 아니라 선회하는 것이다. 따라서 롤러(2)에 의해 베인(4)에 전달되는 힘이 베인(4)이 직선 운동을 하는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작용되기는 사실상 어렵다. 즉 롤러(2)는, 베인(4)이 직선 운동을 하는 방향에서 실린더(1)의 둘레방향으로 치우친 방향으로 작용되는 힘을 베인(4)에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베인(4)은, 둘레방향으로 치우친 힘을 받으며 베인슬롯(3) 상에서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베인(4)은, 직선 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베인슬롯(3)의 내벽을 압박하게 된다. 그 결과 베인(4)과 베인슬롯(3)의 내벽 사이의 마찰 저항력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접동 손실이 발생되며, 이로 인해 베인(4)과 베인슬롯(3)의 내벽의 마모가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중국 공개특허공보 102227561(공개일자 2011.10.26)
본 발명은 베인의 열팽창 발생이 억제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로터리 압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베인과 실린더의 수명이 증가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로터리 압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공이 용이하고 강도가 높으면서도 효율성 높은 냉각 구조를 갖는 베인을 구비하는 로터리 압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로터리 압축기는, 베인슬롯과 마주보는 실린더의 내벽에 형성되며 상기 베인의 측면과 마주보는 공간을 형성되는 측벽유로를 포함하고, 베인에는 베인의 위치에 따라 상기 베인슬롯 외부와 측벽유로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가 마련되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벽유로는, 실린더의 내벽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유로는, 실린더에 축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베인슬롯에 삽입된 베인과 마주보는 실린더의 내벽에 측벽유로가 형성되고, 베인슬롯의 반경방향 외측에는 제1급유유로가 실린더에 반경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베인에는 개방홀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방홀의 위치는 베인의 이동에 따라 변화되며, 개방홀의 적어도 일부분이 측벽유로와 중첩된 위치에 있을 때, 제1급유유로와 측벽유로가 개방홀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급유유로로 유입된 오일은, 개방홀을 통해 측벽유로로 유입되어 베인의 측부와 접촉될 수 있고, 베인과 열교환하여 베인을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베인에 급유홈이 형성되고, 실린더 외부의 오일이 급유홈을 통해 측벽유로로 공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베인에 급유홈이 형성되고, 실린더 외부의 오일이 급유홈을 통해 실린더 내부의 압축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급유홈을 통해 운반되는 오일은, 실린더를 축방향 일측에서 덮는 베어링에 공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는: 압축공간을 포함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서 냉매를 압축하는 환형 형상의 롤러와; 일측이 상기 롤러와 결합되며, 상기 압축공간 내에서 흡입 공간과 압축공간을 나누는 베인과; 상기 실린더에 반경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베인이 직선 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베인슬롯; 및 상기 베인슬롯과 마주보는 상기 실린더의 내벽에 형성되며, 상기 베인의 측면과 마주보는 공간을 형성되는 측벽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베인에는, 상기 베인의 위치에 따라 상기 베인슬롯 외부와 상기 측벽유로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에는, 제1급유유로가 마련되고, 상기 제1급유유로는, 상기 실린더에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상기 베인슬롯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측벽유로는, 상기 베인과 마주보는 상기 실린더의 내벽과 상기 베인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실린더의 내벽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벽유로는, 축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벽유로는, 상기 실린더에 축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린더의 축방향 일측을 덮는 제1부재, 및 상기 실린더의 축방향 타측을 덮는 제2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벽유로는,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와 축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부재는 상기 실린더의 축방향 일측을 덮는 제1베어링이고,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실린더의 축방향 타측을 덮는 제2베어링 또는 중간플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부재는 상기 실린더의 일측을 덮는 중간플레이트이고,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실린더의 타측을 덮는 제2베어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베인에 관통되게 형성되되, 상기 베인의 타측 단부로부터 상기 베인의 일측을 향해 연장되는 개방홀을 포함하고, 상기 개방홀은, 상기 베인과 마주보는 상기 실린더의 내벽을 향해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방홀이 상기 측벽유로 및 상기 베인슬롯과 상기 둘레방향으로 중첩되는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연결부가 상기 측벽유로와 상기 베인슬롯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개방홀이 상기 측벽유로와 상기 둘레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연결부가 상기 측벽유로와 상기 베인슬롯 사이를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린더에는, 상기 제1급유유로와 연결되는 제2급유유로가 더 마련되고, 상기 제2급유유로는, 상기 베인슬롯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급유유로로부터 구심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급유유로와 상기 제1급유유로 사이가 상기 베인슬롯에 의해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방홀이 상기 측벽유로 및 상기 베인슬롯과 상기 둘레방향으로 중첩되는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연결부가 상기 측벽유로와 상기 제2급유유로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개방홀이 상기 측벽유로와 상기 둘레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연결부가 상기 측벽유로와 상기 제2급유유로 사이를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롤러는, 상기 베인슬롯과 가장 먼 지점인 제1지점과 상기 베인슬롯과 가장 가까운 지점인 제2지점 사이를 선회하고, 상기 롤러의 선회에 연동되어 상기 베인슬롯에서의 상기 베인의 직선 운동이 이루어지고, 상기 롤러가 상기 제1지점에 더 치우친 위치일 때 상기 개방홀이 상기 제1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롤러가 상기 제2지점에 더 치우친 위치일 때 상기 개방홀이 상기 제2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베인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급유홈을 포함하고, 상기 급유홈은, 상기 베인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린더의 축방향 일측을 덮는 제1부재, 및 상기 실린더의 축방향 타측을 덮는 제2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벽유로는,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와 축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급유홈이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급유홈과 상기 측벽유로가 서로 연결되고, 상기 급유홈이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급유홈과 상기 측벽유로가 서로 분리되고, 상기 제1위치는, 상기 급유홈 전체가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의 둘레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위치이고, 상기 제2위치는, 상기 급유홈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의 둘레방향 외측으로 노출되는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인은, 상기 실린더의 압축공간과 가장 인접되는 지점인 제1지점과 상기 실린더의 압축공간과 가장 이격되는 지점인 제2지점 사이를 직선 운동하고, 상기 베인이 상기 제1지점에 더 치우친 위치일 때 상기 급유홈이 상기 제1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베인이 상기 제2지점에 더 치우친 위치일 때 상기 급유홈이 상기 제2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급유홈은, 상기 제1부재와 마주보는 상기 베인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되, 상기 베인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홈부; 및 상기 제1부재와 마주보는 상기 베인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1홈부로부터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베인슬롯의 내벽을 향해 개방되는 제2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급유홈이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홈부가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의 둘레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급유홈이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홈부가 상기 측벽유로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로터리 압축기에 따르면, 베인의 측부에 베인의 냉각을 위한 오일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베인에 대한 냉각 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베인의 열팽창 발생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인과 실린더의 내벽 사이의 마찰로 인한 접동 손실이 감소되도록 함으로써, 더욱 향상된 성능을 제공하면서도, 베인과 실린더의 내벽의 마모 발생 정도를 효과적으로 낮춰 베인과 실린더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인의 표면 일부분만을 살짝 파내는 가공만으로 베인 냉각을 위한 오일 공급 구조가 마련되도록 함으로써, 베인의 열팽창이 효과적으로 억제됨은 물론, 베인 가공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되고, 더욱 높은 강도를 갖는 베인을 구비하는 로터리 압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결합형 베인-롤러 구조의 로터리 압축기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로터리 압축기의 일부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로터리 압축기에서 제1베어링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베인이 제2지점에 있을 때의 롤러와 베인의 위치를 보여주는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베인이 제2지점에 있을 때의 베인의 위치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베인이 제1지점에 있을 때의 롤러와 베인의 위치를 보여주는 평단면도이다.
도 9는 베인이 제1지점에 있을 때의 베인의 위치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에 구비되는 베인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베인이 제2지점에 있을 때의 베인의 위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베인이 제2지점과 제1지점 사이에 있을 때의 베인의 위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베인이 제1지점에 있을 때의 베인의 위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에 구비되는 베인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베인이 제2지점과 제1지점 사이에 있을 때의 베인의 위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베인이 제1지점에 있을 때의 베인의 위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로터리 압축기의 전반적인 구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로터리 압축기의 일부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는 케이스(110)와 구동부(120)와 압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로터리 압축기의 외관을 형성한다. 이러한 케이스(110)에는, 구동부(120)와 압축부(130)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케이스(110)는,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상부쉘(111)과 중간쉘(113) 및 하부쉘(1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중간쉘(113)의 내부에는, 구동부(120) 및 압축부(130)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중간쉘(113)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부쉘(111) 및 하부쉘(115)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쉘(111) 및 하부쉘(115)은, 케이스(110)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 요소들의 외부 노출을 제한하게 된다.
구동부(120)는, 케이스(1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압축부(13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120)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모터(121)와 구동축(12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모터(121)는, 스테이터(122) 및 로터(1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스테이터(122)는, 케이스(110)의 내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중간쉘(113)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로터(123)는, 스테이터(122)와 이격되게 배치되되, 스테이터(122)의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터(122)에 전원이 인가되면, 스테이터(122)와 로터(123) 사이에 형성된 자기장에 따라 발생되는 힘에 의해 로터(123)가 회전된다. 이처럼 회전되는 로터(123)는, 로터(123)의 중심을 관통하는 구동축(125)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구동축(125)은, 로터(123)에 의해 회전되며, 압축부(130)의 후술할 롤러(134)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축(125)은, 롤러(134)의 선회에 필요한 동력을 롤러(134)에 제공함으로써,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중간쉘(113)의 일측에는 흡입포트(117)가 마련될 수 있고, 상부쉘(111)의 일측에는 토출배관(119)이 연결될 수 있다. 흡입포트(117)는 증발기와 연결된 흡입배관(118)과 연결될 수 있고, 토출배관(119)은 응축기와 연결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압축부(130)는 실린더(131,132)와 제1베어링(136)과 제2베어링(137)과 롤러(134) 및 베인(1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실린더(131,132)는, 환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실린더(131,132)의 내부에는, 냉매의 압축이 이루어지는 압축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131,132)의 내부는, 축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압축부(130)가 두 개의 실린더(131,1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압축부(130)는 제1실린더(131)와 제2실린더(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실린더(131)와 제2실린더(132)는, 축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즉 제1실린더(131)는 제2실린더(132)의 축방향 일측(이하, "상부측"이라 한다)에 배치되고, 제2실린더(132)는 제1실린더(131)의 축방향 타측(이하, "하부측"이라 한다)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실린더(131)의 상부에는 제1베어링(136)이 배치되고, 제1실린더(131)의 하부에는 제2실린더(132)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실린더(131)와 제2실린더(132) 사이에는, 중간플레이트(138)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실린더(132)의 상부에는 중간플레이트(138)가 배치되고, 제2실린더(132)의 하부에는 제2베어링(137)이 배치될 수 있다.
제1베어링(136)과 제2베어링(137)은, 각각 제1실린더(131)의 상부와 제2실린더(132)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1실린더(131)와 제2실린더(132)를 관통하는 구동축(125)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중간플레이트(138)는, 제1실린더(131)와 제2실린더(132) 사이에 배치되어 제1실린더(131) 내부의 공간과 제2실린더(132) 내부의 공간을 구획한다.
제1실린더(131)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의 상부는 제1베어링(136)에 의해 밀폐되고, 제1실린더(131)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의 하부는 중간플레이트(138)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베어링(136)과 중간플레이트(138)에 의해 밀폐된 제1실린더(131) 내부에 압축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실린더(132)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의 상부는 중간플레이트(138)에 의해 밀폐되고, 제2실린더(132)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의 하부는 제2베어링(137)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간플레이트(138)와 제2베어링(137)에 의해 밀폐된 제2실린더(132) 내부에 압축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실린더(131,132)의 압축공간에는, 롤러(134) 및 베인(135)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롤러(134)는, 구동축(125)에 결합되되, 구동축(125)으로부터 편심되게 돌출된 편심축(12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롤러(134)는 환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롤러(134)의 내주면에 편심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롤러(134)는, 구동축(125) 회전시 실린더(131,132)의 내주면에 접촉하면서 실린더(131,132) 내부를 선회할 수 있다.
베인(135)은, 일측이 롤러(134)와 결합되며, 압축공간 내에서 흡입실(S1)과 압축실(S2)을 나눈다. 이러한 베인(135)은, 실린더(131,132)에 마련된 베인슬롯(133)에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베인슬롯(133)은 실린더(131,132)에 반경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실린더(131,132)의 내부에 직선방향의 통로를 형성한다. 베인(135)은, 이와 같이 형성된 베인슬롯(133)에 직선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게 마련된다.
그리고 베인(135)의 일측에는 힌지헤드(1351)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힌지헤드(1351)는 롤러(134)의 외주면에 마련된 롤러홈(1341)에 결합될 수 있다. 힌지헤드(1351)는, 베인(135)으로부터 반경방향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롤러홈(1341)은, 힌지헤드(1351)의 형상에 대응되는 라운드진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힌지헤드(1351)가 롤러홈(1341)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롤러(134)의 선회 운동 과정에서도 롤러(134)와 베인(135)의 결합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베인(135)은 SUJ2 강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SUJ2 강은, 베어링 강으로 널리 사용되는 강으로서, 가공 및 정형이 용이하면서도 내충격성과 내마모도가 높은 특성을 갖는 재료이다. 이러한 SUJ2 강은, 압축공간 내부의 높은 압력을 받으며 반복적으로 이동하여야 하는 베인(135)을 제조하기 위한 재료로 적합하다고 할 것이다.
상기 압축부(130)에서는, 베인(135)을 기준으로, 베인(135)의 왼쪽 부분에 흡입실(S1)이 위치하고 베인(135)의 오른쪽 부분에 압축실(S2)이 위치한다. 즉 베인(135)은, 롤러(134)와 결합되어 실린더(131,132) 내부의 압축공간을 흡입실(S1)과 압축실(S2)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리된 흡입실(S1)에는 흡입구(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고, 압축실(S2)에는 토출구(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흡입포트(117)를 통해 공급되는 냉매는, 흡입구를 통해 흡입실(S1)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압축실(S2)에서 압축된 냉매는, 토출구를 통해 압축부(130) 외부로 토출된 후, 토출배관(119)을 통해 로터리 압축기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급유유로의 구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로터리 압축기에서 제1베어링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Ⅴ-Ⅴ"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베인슬롯 내부에서의 베인에 대한 오일 공급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여기서는 제1실린더에 형성된 베인슬롯 내부에서의 베인에 대한 오일 공급 구조를 대표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예시된 구조는 제1실린더에 대해서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제2실린더에 대해서도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임을 밝혀둔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실린더(131)에는 제1급유유로(1331)와 측벽유로(1333)가 마련될 수 있다.
제1급유유로(1331)는, 베인슬롯(133)의 외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급유유로(1331)는, 베인슬롯(133)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제1실린더(131)를 반경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제1급유유로(1331)의 일측은, 제1실린더(131)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베인슬롯(133)의 외부에서 오일이 채워진 공간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1급유유로(1331)의 타측은, 제1실린더(131)의 내부에서 베인슬롯(133)과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110)의 하부 영역에는 오일이 채워질 수 있다. 이 오일은, 구동축(125)을 통해 상부로 이동하며 압축부(13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제1급유유로(1331)를 통해 제1실린더(131)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다.
측벽유로(1333)는, 제1실린더(131)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측벽유로(1333)는, 베인(135)과 마주보는 제1실린더(131)의 내벽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벽유로(1333)는 베인(135)과 마주보는 제1실린더(131)의 내벽 일부분과 베인(135)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제1실린더(131)의 내벽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유로(1333)는, 축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측벽유로(1333)가 제1실린더(131)에 축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아울러 제1실린더(131)의 축방향 일측, 즉 상부측에는 제1부재가 배치되고, 제1실린더(131)의 축방향 타측, 즉 하부측에는 제2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제1부재는 제1실린더(131)의 상부를 덮으며, 제2부재는 제2실린더(132)의 하부를 덮을 수 있다. 그리고 측벽유로(1333)는,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와 축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측벽유로(1333)의 개방된 상부는 제1부재에 의해 덮이고, 측벽유로(1333)의 개방된 하부는 제2부재에 의해 덮이게 된다. 이로써 측벽유로(1333)의 내부에는, 상부가 제1부재에 의해 막히고 하부가 제2부재에 의해 막힌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실린더(131)의 축방향 일측에 배치되는 제1부재는 제1실린더(131)의 상부를 덮는 제1베어링(136)일 수 있다. 그리고 제1실린더(131)의 축방향 타측에 배치되는 제2부재는, 제1실린더(131)의 하부를 덮는 중간플레이트(138)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실린더(131)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실린더(132)를 기준으로 하면, 제2실린더(132)의 축방향 일측에 배치되는 제1부재는 제2실린더(132)의 상부를 덮는 중간플레이트(138)일 수 있다. 그리고 제2실린더(132)의 축방향 타측에 배치되는 제2부재는, 제2실린더(132)의 하부를 덮는 제2베어링(137)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압축부(130)가 하나의 실린더로 이루어진다면, 제1부재는 제1실린더(131) 또는 제2실린더(132)의 상부를 덮는 제1베어링(136)일 수 있고, 제2부재는 제1실린더(131) 또는 제2실린더(132)의 하부를 덮는 제2베어링(137)일 수 있다.
상기 측벽유로(1333)의 측벽유로(1333)의 내부에는, 상부가 제1부재에 의해 막히고 하부가 제2부재에 의해 막힌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형성된 측벽유로(1333) 내부의 공간은, 베인슬롯(133)에 삽입된 베인(135)을 향해 개방된다.
아울러 제1실린더(131)에는, 제2급유유로(1335)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제2급유유로(1335)는, 제1실린더(131) 내부에 형성되되, 베인(135)과 마주보는 제1실린더(131)의 내벽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급유유로(1335)는, 반경방향으로는 제1급유유로(1331)와 측벽유로(1333) 사이에 배치되고, 축방향으로는 베인슬롯(133)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급유유로(1335)는, 제1급유유로(1331)로부터 측벽유로(1333)를 향해 구심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2급유유로(1335)는, 제1급유유로(1331)와는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지만, 측벽유로(1333)와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급유유로(1331)를 통해 제1실린더(131) 내부로 유입된 오일은, 제2급유유로(1335)를 통해 베인슬롯(133) 내부를 통과하며 측벽유로(1333)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제2급유유로(1335)를 통해 이동하는 오일은, 후술할 연결부에 의해 형성된 통로를 통해 측벽유로(1333)로 유입될 수 있다.
이처럼 측벽유로(1333)로 유입된 오일은, 베인슬롯(133)에 삽입된 베인(135)의 측부와 접촉하며 베인(135)과 열교환될 수 있다. 즉 측벽유로(1333)로 유입된 오일에 의해, 베인(135)에 대한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측벽유로(1333)는, 제1급유유로(1331)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베인슬롯(133) 내부에 형성된 제2급유유로(1335)를 통해 간접적으로 제1급유유로(1331)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급유유로(1331)로 유입된 오일은, 베인슬롯(133)을 거쳐 측벽유로(1333)로 유입될 수 있다.
[베인 및 연결부의 구조]
베인슬롯(133)에는, 베인(135)이 삽입되어 있다. 즉 베인슬롯(133) 내부의 공간은 베인(135)에 의해 채워져 있고, 따라서 제1급유유로(1331)로 유입된 오일은, 베인슬롯(133) 내부에 삽입된 베인(135)을 통과하여야 측벽유로(1333)로 유입될 수 있다.
제1급유유로(1331)로 유입된 오일이 베인슬롯(133)을 통과하여 측벽유로(1333)로 유입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베인(135)에는 연결부가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는, 베인(135)의 위치에 따라 제1급유유로(1331)와 측벽유로(1333) 사이,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급유유로(1335)와 측벽유로(1333)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가 개방홀(135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개방홀(1353)은, 베인(135)에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방홀(1353)은, 베인(135)의 타측 단부로부터 베인(135)의 일측을 향해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개방홀(1353)은 베인(135)의 타측 단부, 즉 베인(135)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로부터 베인(135)의 일부분을 구심방향으로 절개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방홀(1353)은, 베인(135)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개방되는 한편, 베인(135)과 마주보는 제1실린더(131)의 내벽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개방홀(1353)의 위치는, 베인(135)의 위치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즉 베인(135)이 베인슬롯(133)에서 빠져나가는 방향, 즉 구심방향으로 이동하면, 개방홀(1353)의 위치도 베인(135)이 이동한 거리만큼 구심방향으로 변화하게 된다. 또한 베인(135)이 베인슬롯(133)으로 삽입되는 방향, 즉 원심방향으로 이동하면, 개방홀(1353)의 위치도 베인(135)이 이동한 거리만큼 원심방향으로 변화하게 된다.
상기 개방홀(1353)이 제1위치(A)에 있을 때에는, 개방홀(1353)은 측벽유로(1333) 및 베인슬롯(133)과 둘레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 좀 더 구체적으로는 측벽유로(1333) 및 제2급유유로(1335)와 둘레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있게 된다. 이 경우, 연결부는 측벽유로(1333)와 베인슬롯(133) 사이, 좀 더 구체적으로는 측벽유로(1333)와 제2급유유로(1335) 사이를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개방홀(1353)이 제2위치(B)에 있을 때에는, 개방홀(1353)은 측벽유로(1333)와 둘레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있게 된다. 이때 개방홀(1353)은, 베인슬롯(133) 및 그 내부에 형성된 제2급유유로(1335)와만 연결되고, 측벽유로(1333)와는 연결되지 않는다. 이 경우, 연결부는 측벽유로(1333)와 베인슬롯(133) 사이, 즉 측벽유로(1333)와 제2급유유로(1335) 사이를 차단하게 된다.
이하, 상기 연결부의 작용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베인슬롯 내부에서의 베인에 대한 오일 공급 구조]
도 6은 베인이 제2지점에 있을 때의 롤러와 베인의 위치를 보여주는 평단면도이고, 도 7은 베인이 제2지점에 있을 때의 베인의 위치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베인이 제1지점에 있을 때의 롤러와 베인의 위치를 보여주는 평단면도이고, 도 9는 베인이 제1지점에 있을 때의 베인의 위치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베인슬롯 내부에서의 베인에 대한 오일 공급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을 참조하면, 롤러(134)는 제1실린더(131)의 내주면에 접촉하면서 제1실린더(131) 내부를 선회할 수 있다. 이러한 롤러(134)는, 제1지점(P1)과 제2지점(P2) 사이를 선회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롤러(134)의 선회에 연동되어, 베인슬롯(133)에서의 베인(135)의 직선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지점(P1)은, 제1실린더(131) 내부의 압축공간에서 베인슬롯(133)과 가장 먼 지점인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지점(P2)은, 제1실린더(131) 내부의 압축공간에서 베인슬롯(133)과 가장 가까운 지점인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롤러(134)가 제1지점(P1)에 있을 때, 베인(135)은 베인슬롯(133)에서 가장 많이 빠져 나온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롤러(134)가 제1지점(P1)에서 제2지점(P2)을 향한 방향으로 선회할 때, 베인(135)은 베인슬롯(133)에 삽입되는 방향, 즉 원심방향으로의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롤러(134)가 제2지점에 있을 때, 베인(135)은 베인슬롯(133)에 가장 깊게 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롤러(134)가 제2지점(P2)에서 제1지점(P1)을 향한 방향으로 선회할 때, 베인(135)은 베인슬롯(133)에서 빠져 나오는 방향, 즉 구심방향으로의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롤러(134)가 제2지점(P2)에 더 치우친 위치일 때, 개방홀(1353)은 제2위치(B)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방홀(1353)은 측벽유로(1333)와 둘레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있게 되고, 연결부는 측벽유로(1333)와 제2급유유로(1335) 사이를 차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롤러(134)가 제2지점(P2)에 위치할 때에는, 압축실(S2)에서 냉매의 압축이 높은 수준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따라서 제1실린더(131)의 압축공간의 압력은 높은 수준을 유지한다.
그리고 이러한 롤러(134)와 연결된 베인(135)도 베인슬롯(133)에 가장 깊게 삽입된 상태가 되며, 이러한 베인(135)에 마련된 연결부는 측벽유로(1333)와 제2급유유로(1335) 사이를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압축공간의 압력이 높아지고 측벽유로(1333)와 제2급유유로(1335) 사이의 통로가 차단됨에 따라, 측벽유로(1333)로의 오일 유입이 이루어지기 어렵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134)가 선회하여 제1지점(P1)에 더 치우친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개방홀(1353)은 제1위치(A)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방홀(1353)은 측벽유로(1333)와 둘레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있게 되고, 연결부는 측벽유로(1333)와 제2급유유로(1335) 사이를 연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롤러(134)가 제1지점(P1)에 위치할 때에는, 흡입실(S1)로의 냉매 흡입이 원활하게 유도되며, 따라서 제1실린더(131)의 압축공간의 압력은 낮아지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롤러(134)와 연결된 베인(135)도 베인슬롯(133)에서 가장 많이 빠져 나온 상태가 되며, 이러한 베인(135)에 마련된 연결부는 측벽유로(1333)와 제2급유유로(1335) 사이를 연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압축공간의 압력이 낮아지고 측벽유로(1333)와 제2급유유로(1335) 사이의 통로가 연결됨에 따라, 측벽유로(1333)로의 오일 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고압 상태인 제1실린더(131) 외부 공간과 상대적으로 저압인 제1실린더(131) 내부의 압축공간 간의 압력차에 의해, 제1실린더(131) 외부에 채워진 오일이 제1급유유로(1331)를 통해 베인슬롯(133) 및 그 내부에 형성된 제2급유로로(1335)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인슬롯(133) 및 제2급유유로(1335)로 유입된 오일은 제1위치(A)에 위치한 개방홀(1353)을 통해 측벽유로(1333)로 유입될 수 있고, 그 결과 측벽유로(1333)로의 오일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로터리 압축기의 작용, 효과]
베인(135)은, 제1실린더(131)의 내부를 선회하는 롤러(134)의 움직임에 의해, 베인슬롯(133)의 내부에 형성된 통로를 따라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롤러(134)는, 제1실린더(131) 내부를 선회하는 운동을 하기 때문에, 베인(135)이 직선 운동을 하는데 필요한 힘 이외에도 실린더(131,132)의 둘레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베인(135)에 전달하게 된다.
이에 따라 베인(135)은, 직선 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베인슬롯(133)과 마주보는 제1실린더(131)의 내벽을 압박하게 된다. 그 결과 베인(135)과 제1실린더(131)의 내벽 사이의 마찰 저항력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접동 손실이 증가되며, 이는 베인(135)과 제1실린더(131)의 내벽의 마모가 증가되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베인(135)은 SUJ2 강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SUJ2 강은, 압축공간 내부의 높은 압력을 받으며 반복적으로 이동하여야 하는 베인(135)을 제조하기 위한 재료로 적합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상기 SUJ2 강은, 열팽창계수가 높은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베인(135)과 제1실린더(131)의 내벽 사이의 마찰 저항력이 증가하고, 그로 인해 베인(135)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베인(135)의 부피가 쉽게 증가될 수 있다.
이처럼 베인(135)의 부피가 증가되면, 베인(135)과 제1실린더(131)의 내벽 사이의 마찰 저항력이 더 증가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베인(135)이 직선 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베인(135)과 제1실린더(131)의 내벽 사이의 마찰 저항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베인(135)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베인슬롯(133) 상에 마련된 측벽유로(1333)로 유입된 오일에 의해 베인(135)의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베인(135) 냉각 구조가 개시된다.
이에 따르면, 베인(135)의 직선 운동에 연동되어 제1급유유로(1331) 및 제2급유유로(1335)와 측벽유로(1333) 간의 연결 및 연결 해제가 이루어지고, 제2급유유로(1335)와 측벽유로(1333) 간의 연결이 이루어졌을 때, 제1실린더(131) 내부의 압축공간과 제1실린더(131) 외부 간에 발생되는 압력차에 의해, 측벽유로(1333)로의 오일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측벽유로(1333)로 공급된 오일이 베인(135)과 열교환하여 베인(135)에 대한 냉각을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베인(135)의 온도 상승이 억제됨으로써, 베인(135)의 부피 증가가 억제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측벽유로(1333)는 베인(135)의 축방향 일부분이 아닌 베인(135)의 축방향 전체 영역과 대응할 수 있게 마련되므로, 측벽유로(1333)로 공급된 오일이 베인(135)의 축방향 전체 영역과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베인(135)에 대한 냉각의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베인(135)에 대한 냉각이 효율성 높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써, 베인(135)의 부피 증가가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로터리 압축기는, 베인(135)과 실린더(131,132)의 내벽 사이의 마찰로 인한 접동 손실이 감소되도록 함으로써, 더욱 향상된 성능을 제공하면서도, 베인(135)과 실린더(131,132)의 내벽의 마모 발생 정도를 효과적으로 낮춰 베인(135)과 실린더(131,132)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실린더(131)의 구성을 예로 들어 실린더(131,132) 및 그와 관련된 주변 구성들의 구조, 작용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구성들은, 제1실린더(131)뿐 아니라 제2실린더(132)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제1실린더(131)에 대해 적용된 상기 구성들을 제2실린더(132)에 어려움 없이 적용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로터리 압축기의 제2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에 구비되는 베인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베인이 제2지점에 있을 때의 베인의 위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의 압축부(230)는, 급유홈(2355)이 마련된 베인(235)을 포함한다.
급유홈(2355)은, 오일이 채워진 베인슬롯(133) 외부 공간과 측벽유로(1333) 간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베인(235) 상에 마련된다.
상기 급유홈(2355)은, 베인(235)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급유홈(2355)이 베인(235)의 축방향 일측,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부재(예를 들면, 제1베어링)와 마주보는 베인(235)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급유홈(2355)은, 베인(235)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홈부(2355a)와 제2홈부(2355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홈부(2355a)는, 제1부재와 마주보는 베인(235)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홈부(2355a)는, 베인(235)의 이동방향, 즉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홈부(2355a)는, 둘레방향으로 베인(235)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고, 베인(235)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홈부(2355b)는, 제1홈부(2355a)와 마찬가지로 제1부재와 마주보는 베인(235)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홈부(2355b)는, 제1홈부(2355a)로부터 둘레방향으로 연장된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2홈부(2355b)는, 베인(235)과 마주보는 제1실린더(131)의 내벽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즉 제2홈부(2355b)는, 그 일측이 제1홈부(2355a)와 연결되고 그 타측이 제1실린더(131)의 내벽을 향해 개방된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유홈(2355)의 위치는, 베인(235)의 위치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즉 베인(235)이 베인슬롯(133)에서 빠져나가는 방향, 즉 구심방향으로 이동하면, 급유홈(2355)의 위치도 베인(235)이 이동한 거리만큼 구심방향으로 변화하게 된다. 또한 베인(235)이 베인슬롯(133)으로 삽입되는 방향, 즉 원심방향으로 이동하면, 급유홈(2355)의 위치도 베인(235)이 이동한 거리만큼 원심방향으로 변화하게 된다.
상기 급유홈(2355)이 제1위치(A)에 있을 때에는, 급유홈(2355)의 제2홈부(2355b)는 측벽유로(1333)와 둘레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있게 된다. 그리고 제1홈부(2355a)와 제2홈부(2355b)를 포함한 급유홈(2355) 전체는, 제1부재 및 제2부재의 둘레방향 내측, 즉 제1베어링(136)과 중간플레이트(138; 도 2 참조)의 둘레방향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위치에서의 급유홈(2355)은, 측벽유로(1333)와 연결될 수 있고, 오일이 채워진 제1실린더(131)의 외부 공간과는 연결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급유홈(2355)이 제2위치(B)에 있을 때에는, 급유홈(2355)의 제2홈부(2355b)는 측벽유로(1333)와 둘레방향으로 중첩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급유홈(2355)의 적어도 일부분,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홈부(2355a)의 일부분은, 제1부재 및 제2부재의 둘레방향 외측, 특히 제1부재인 제1베어링(136)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에서의 급유홈(2355)은, 측벽유로(1333)와는 연결되지 않고, 오일이 채워진 제1실린더(131)의 외부 공간과만 연결된 상태가 된다.
도 12는 베인이 제2지점과 제1지점 사이에 있을 때의 베인의 위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3은 베인이 제1지점에 있을 때의 베인의 위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급유홈에 의해 형성되는 베인슬롯 내부에서의 베인에 대한 오일 공급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롤러(134)가 제2지점(P2)에 더 치우친 위치일 때, 급유홈(2355)은 제2위치(B)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급유홈(2355)은 측벽유로(1333)와는 연결되지 않고, 오일이 채워진 제1실린더(131)의 외부 공간과만 연결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고압 상태인 제1실린더(131) 외부 공간에 채워진 오일이 제1베어링(136) 외측으로 노출된 제1홈부(2355a)를 통해 급유홈(2355)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134)가 선회하여 제2지점(P2)과 제1지점(P1) 사이의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롤러(134)를 따라 직선 운동하는 베인(235)에 의해, 급유홈(2355)은 제1위치(A)와 제2위치(B) 사이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급유홈(2355)은 제1베어링(136)에 의해 덮이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급유홈(2355)은, 제1실린더(131)의 외부 공간과 측벽유로(1333) 중 어느 것과도 연결되지 않는 상태가 되며, 급유홈(2355)에 채워진 오일은 베인(235)에 의해 제1실린더(131) 내부로 운반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134)가 선회하여 제1지점(P1)에 더 치우친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롤러(134)를 따라 직선 운동하는 베인(235)에 의해, 급유홈(2355)은 제1위치(A)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급유홈(2355)이 제1위치(A)에 배치되면, 급유홈(2355)과 측벽유로(1333)가 서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롤러(134)가 제1지점(P1)에 위치할 때에는 제1실린더(131)의 압축공간의 압력이 낮은 상태가 되므로, 베인(235)에 의해 운반된 급유홈(2355)의 오일이 측벽유로(1333)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로터리 압축기에 따르면, 베인(235)의 표면 일부분만을 살짝 파내는 가공만으로 급유홈(2355)이 형성될 수 있고, 이처럼 형성된 급유홈(2355)에 의해 베인(235) 냉각을 위한 오일 공급 구조가 효과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베인(235) 냉각을 위한 오일 공급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베인(235)을 절개하는 등 베인(235)의 원형을 크게 변형시키는 가공이 필요 없게 된다.
이에 따라 베인(235) 가공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될 수 있게 됨은 물론, 더욱 높은 강도를 갖는 베인(235)을 구비하는 로터리 압축기의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로터리 압축기의 제3실시예]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에 구비되는 베인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의 압축부(330)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다르게, 실린더에 측벽유로가 마련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베인(335)에 마련되는 급유홈(3355)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예시된 급유홈보다 반경방향으로 좀 더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급유홈(3355)의 제1홈부(3355a)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예시된 제1홈부보다 구심방향으로 좀 더 연장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급유홈(3355)의 제2홈부(3355b)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예시된 제2홈부보다 구심방향으로 더 이동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유홈(3355)의 위치는, 베인(335)의 위치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상기 급유홈(3355)이 제1위치(A)에 있을 때에는, 급유홈(3355)의 제2홈부(3355b)는 제1실린더(131)의 압축공간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에서의 급유홈(3355)은, 제1실린더(131) 내부의 압축공간과 연결될 수 있고, 오일이 채워진 제1실린더(131)의 외부 공간과는 연결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급유홈(3355)이 제2위치(B)에 있을 때에는, 급유홈(3355)의 제2홈부(2355b)는 제1실린더(131) 내부의 압축공간으로 노출되지 않고, 베인슬롯(133)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급유홈(3355)의 적어도 일부분,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홈부(3355a)의 일부분은, 제1부재 및 제2부재의 둘레방향 외측, 특히 제1부재인 제1베어링(136)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에서의 급유홈(3355)은, 측벽유로(1333)와는 연결되지 않고, 오일이 채워진 외부 공간과만 연결된 상태가 된다.
도 16은 베인이 제2지점과 제1지점 사이에 있을 때의 베인의 위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7은 베인이 제1지점에 있을 때의 베인의 위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하,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급유홈에 의해 형성되는 오일 공급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롤러(134)가 제2지점(P2)에 더 치우친 위치일 때, 급유홈(3355)은 제2위치(B)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급유홈(3355)은 제1실린더(131) 내부의 압축공간과는 연결되지 않고, 오일이 채워진 제1실린더(131)의 외부 공간과만 연결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고압 상태인 제1실린더(131) 외부 공간에 채워진 오일이 제1베어링(136) 외측으로 노출된 제1홈부(3355a)를 통해 급유홈(3355)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134)가 선회하여 제2지점(P2)과 제1지점(P1) 사이의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롤러(134)를 따라 직선 운동하는 베인(335)에 의해, 급유홈(3355)은 제1위치(A)와 제2위치(B) 사이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급유홈(3355)은 제1베어링(136)에 의해 덮이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급유홈(3355)은, 제1실린더(131)의 외부 공간과 측벽유로(1333) 중 어느 것과도 연결되지 않는 상태가 되며, 급유홈(3355)에 채워진 오일은 베인(335)에 의해 제1실린더(131) 내부로 운반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134)가 선회하여 제1지점(P1)에 더 치우친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롤러(134)를 따라 직선 운동하는 베인(335)에 의해, 급유홈(3355)은 제1위치(A)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급유홈(3355)이 제1위치(A)에 배치되면, 급유홈(3355)이 제1실린더(131) 내부의 압축공간과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롤러(134)가 제1지점(P1)에 위치할 때에는 제1실린더(131)의 압축공간의 압력이 낮은 상태가 되므로, 베인(335)에 의해 운반된 급유홈(2355)의 오일이 제1실린더(131) 내부의 압축공간으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실린더 내부의 압축공간에 오일의 공급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실린더 내부의 압축공간에 배치된 롤러(134)와 실린더의 마모 발생 억제와 그 구성들의 냉각 효과를 얻게 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급유홈(3355)을 통해 유입되는 오일은 베어링과 같이 실린더를 덮는 부품에도 공급될 수 있으며, 이로써 베어링과 같은 부품에 대한 냉각 및 윤활 제공 효과도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로터리 압축기
110 : 케이스
111 : 상부쉘
113 : 중간쉘
115 : 하부쉘
117 : 흡입포트
118 : 흡입배관
119 : 토출배관
120 : 구동부
121 : 모터
122 : 스테이터
123 : 로터
125 : 구동축
126 : 편심축
130 : 압축부
131 : 제1실린더
132 : 제2실린더
133 : 베인슬롯
1331 : 제1급유유로
1333 : 측벽유로
1335 : 제2급유유로
134 : 롤러
1341 : 롤러홈
135,235,355 : 베인
1351 : 힌지헤드
1353 : 개방홀
136 : 제1베어링
137 : 제2베어링
138 : 중간플레이트
2355,3355 : 급유홈
2355a,3355a : 제1홈부
2355b,3355b : 제2홈부

Claims (20)

  1. 압축공간을 포함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 내에서 냉매를 압축하는 환형 형상의 롤러;
    일측이 상기 롤러와 결합되며, 상기 압축공간 내에서 흡입 공간과 압축공간을 나누는 베인;
    상기 실린더에 상기 실린더의 반경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베인이 직선 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베인슬롯; 및
    상기 베인슬롯과 마주보는 상기 실린더의 내벽에 형성되며, 상기 베인의 측면과 마주보는 공간을 형성되는 측벽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베인에는, 상기 베인의 위치에 따라 상기 베인슬롯 외부와 상기 측벽유로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가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베인에 관통되게 형성되되, 상기 베인의 타측 단부로부터 상기 베인의 일측을 향해 연장되는 개방홀을 포함하고,
    상기 개방홀은, 상기 실린더의 둘레방향으로 상기 베인을 관통하며, 상기 베인의 타측 단부를 관통하고,
    상기 개방홀에 의해 형성된 공간은, 상기 베인과 마주보는 상기 실린더의 내벽을 향해 개방되고, 상기 베인의 타측을 통해 상기 베인슬롯 외부를 향해 개방되고,
    상기 개방홀이 상기 측벽유로 및 상기 베인슬롯과 상기 둘레방향으로 중첩되는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연결부가 상기 측벽유로와 상기 베인슬롯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개방홀이 상기 측벽유로와 상기 둘레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연결부가 상기 측벽유로와 상기 베인슬롯 사이를 차단하는 로터리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에는, 제1급유유로가 마련되고,
    상기 제1급유유로는, 상기 실린더에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상기 베인슬롯과 연결되는 로터리 압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유로는, 상기 베인과 마주보는 상기 실린더의 내벽과 상기 베인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실린더의 내벽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로터리 압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유로는, 축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로터리 압축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유로는, 상기 실린더에 축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로터리 압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축방향 일측을 덮는 제1부재, 및 상기 실린더의 축방향 타측을 덮는 제2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벽유로는,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와 축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로터리 압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는 상기 실린더의 축방향 일측을 덮는 제1베어링이고,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실린더의 축방향 타측을 덮는 제2베어링 또는 중간플레이트인 로터리 압축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는 상기 실린더의 일측을 덮는 중간플레이트이고,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실린더의 타측을 덮는 제2베어링인 로터리 압축기.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에는, 상기 실린더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1급유유로, 및 상기 제1급유유로와 연결되는 제2급유유로가 마련되고,
    상기 제2급유유로는, 상기 베인슬롯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급유유로로부터 구심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급유유로와 상기 제1급유유로 사이가 상기 베인슬롯에 의해 분리되는 로터리 압축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홀이 상기 측벽유로 및 상기 베인슬롯과 상기 둘레방향으로 중첩되는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연결부가 상기 측벽유로와 상기 제2급유유로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개방홀이 상기 측벽유로와 상기 둘레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연결부가 상기 측벽유로와 상기 제2급유유로 사이를 차단하는 로터리 압축기.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베인슬롯과 가장 먼 지점인 제1지점과 상기 베인슬롯과 가장 가까운 지점인 제2지점 사이를 선회하고,
    상기 롤러의 선회에 연동되어 상기 베인슬롯에서의 상기 베인의 직선 운동이 이루어지고,
    상기 롤러가 상기 제1지점에 더 치우친 위치일 때 상기 개방홀이 상기 제1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롤러가 상기 제2지점에 더 치우친 위치일 때 상기 개방홀이 상기 제2위치에 배치되는 로터리 압축기.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90086563A 2019-07-17 2019-07-17 로터리 압축기 KR102250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563A KR102250823B1 (ko) 2019-07-17 2019-07-17 로터리 압축기
CN202020759789.XU CN212429184U (zh) 2019-07-17 2020-05-09 旋转式压缩机
EP20178305.7A EP3767070A1 (en) 2019-07-17 2020-06-04 Rotary compressor
US16/921,087 US11486398B2 (en) 2019-07-17 2020-07-06 Rotary compressor with selective oil communication
US17/869,254 US20220349405A1 (en) 2019-07-17 2022-07-20 Rotary compressor with selective oil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563A KR102250823B1 (ko) 2019-07-17 2019-07-17 로터리 압축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376A Division KR20210053851A (ko) 2021-05-03 2021-05-03 로터리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695A KR20210009695A (ko) 2021-01-27
KR102250823B1 true KR102250823B1 (ko) 2021-05-11

Family

ID=70977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563A KR102250823B1 (ko) 2019-07-17 2019-07-17 로터리 압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486398B2 (ko)
EP (1) EP3767070A1 (ko)
KR (1) KR102250823B1 (ko)
CN (1) CN212429184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823B1 (ko) * 2019-07-17 2021-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터리 압축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8001A (ja) * 2005-03-17 2006-09-28 Toshiba Kyaria Kk 密閉形圧縮機及びこれを用いた冷凍サイク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7796B2 (ja) * 1984-10-31 1995-04-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ロータリ圧縮機
US4640669A (en) * 1984-11-13 1987-02-03 Tecumseh Products Company Rotary compressor lubrication arrangement
JPH06257579A (ja) 1993-03-04 1994-09-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回転式圧縮機
JPH06264881A (ja) * 1993-03-12 1994-09-20 Hitachi Ltd ロータリ圧縮機
JPH06346880A (ja) * 1993-06-11 1994-12-20 Matsushita Refrig Co Ltd 回転式圧縮機
JP2006300048A (ja) * 2005-03-24 2006-11-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型圧縮機
WO2010073426A1 (ja) 2008-12-26 2010-07-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回転式圧縮機
WO2010087180A1 (ja) * 2009-01-29 2010-08-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回転型圧縮機
JP5303651B2 (ja) * 2009-09-11 2013-10-02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多気筒ロータリ式圧縮機と冷凍サイクル装置
KR102227561B1 (ko) 2018-08-22 2021-03-15 주식회사 퀀텀게이트 블록체인 기반의 경로 안내 및 교통흐름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250823B1 (ko) * 2019-07-17 2021-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터리 압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8001A (ja) * 2005-03-17 2006-09-28 Toshiba Kyaria Kk 密閉形圧縮機及びこれを用いた冷凍サイク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17993A1 (en) 2021-01-21
KR20210009695A (ko) 2021-01-27
US11486398B2 (en) 2022-11-01
CN212429184U (zh) 2021-01-29
EP3767070A1 (en) 2021-01-20
US20220349405A1 (en) 2022-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8326B2 (en) Scroll fluid machine
EP1674731B1 (en) Rotary fluid machine
US20050287028A1 (en) Scroll fluid machine
US8602755B2 (en) Rotary compressor with improved suction portion location
KR20070010082A (ko) 회전식 유체기계
EP2466068A1 (en) Scroll fluid machine
KR101214672B1 (ko) 베인 로터리형 압축기
KR102483710B1 (ko) 스크롤 압축기
EP0683321B1 (en) Swinging rotary compressor
KR102565824B1 (ko) 스크롤 압축기
KR102250823B1 (ko) 로터리 압축기
JPH0140237B2 (ko)
JP4882643B2 (ja) スクロール型膨張機
US11313367B2 (en) Rotary compressor with roller oil groove
AU2005314950B2 (en) Rotary compressor with reduced refrigeration gas leak during compression while preventing seizure
KR20210053851A (ko) 로터리 압축기
KR102392655B1 (ko) 냉매의 토출 유로와 오일 회수 유로를 분리한 압축기
KR20100081810A (ko) 로터리 압축기
KR200381016Y1 (ko) 로터리 압축기의 흡입손실 저감 구조
US11603840B2 (en) Scroll compressor having compression chamber oil supplies having stages in which oil supply overlaps and stages in which oil supply does not overlap
KR20010087908A (ko) 로터리 압축기의 베어링 장치
US10612548B2 (en) Refrigerant path holes in a rotary compressor
KR100628181B1 (ko) 로터리 압축기의 로울러 구조
JP2020193567A (ja) ロータリ圧縮機
JP2007211672A (ja) ロータリ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