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8024Y1 - 광자기 디스크의 중복 기록장치 - Google Patents

광자기 디스크의 중복 기록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8024Y1
KR0118024Y1 KR92016257U KR920016257U KR0118024Y1 KR 0118024 Y1 KR0118024 Y1 KR 0118024Y1 KR 92016257 U KR92016257 U KR 92016257U KR 920016257 U KR920016257 U KR 920016257U KR 0118024 Y1 KR0118024 Y1 KR 01180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magneto
optical disk
focusing error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62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6314U (ko
Inventor
김광
Original Assignee
이헌조
주식회사 엘지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조, 주식회사 엘지전자 filed Critical 이헌조
Priority to KR920162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8024Y1/ko
Publication of KR9400063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3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80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80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Abstract

본 고안은 레이저의 포커싱 에러로 광자기 디스크에서의 레이저 파워가 감소되어 발생되는 타이밍 지터현상을 제거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광자기 디스크의 중복 기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대물렌즈의 포커싱 에러가 허용오차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 광자기 디스크에 도달하는 레이저의 레벨이 감소되므로 리딩 에지와 트레일링 에지가 날카롭게 형성되어 데이타의 재생시 자화반전 구간에서의 출력레벨이 높아지게 되고, 기록 패턴의 구별이 어려우며, 타이밍 지터가 증가하여 데이타의 고밀도 기록이 어려웠다.
본 고안은 대물렌즈의 포커싱 에러를 검출하고, 검출한 포커싱 에러의 값에 따라 레이저의 출력 레벨을 조절하여 광자기 디스크에 인가되는 레이저의 파워를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타이밍 지터의 발생을 줄이고 고밀도로 데이타를 중복기록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자기 디스크의 중복 기록장치
제 1도는 종래의 중복 기록장치를 보인 도면.
제 2도의 (a)-(e)는 제 1도의 각부의 동작파형도.
제 3도는 본 고안의 중복 기록장치를 보인 도면.
제 4도의 (a)-(e)는 제 3도의 각부의 동작파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광자기 디스크15; 반도체 레이저
16; 대물렌즈17; 액츄에이터
18; 포커싱 에러 검출기19; 포커싱 에러 비교기
20; 레이저 출력 조절기
본 고안은 광자기 디스크에 소정의 데이타를 중복기록(overwrite)하는 광자기 디스크의 중복 기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레이저의 포커싱 에러로 광자기 디스크에서의 레이저 파워가 감소되어 발생되는 타이밍 지터현상을 제거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광자기 디스크의 중복 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자기 디스크는 기록매체의 열자기적 특성을 이용하여 소정의 데이타를 기록하고, 기록된 데이타의 자화방향에 따른 광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데이타를 재생하는 것으로서 광자기 디스크에 데이타를 고밀도로 중복 기록하는 종래의 중복 기록장치는 제 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면에 수직 자화막(1A)이 형성된 광자기 디스크(1)를 축(2)에 의해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타(3)와, 데이타의 재생시보다 기록시 더 강한 레벨로 레이저를 발생하는 반도체 레이저(4)와, 상기 반도체 레이저(4)의 발생 레이저를 집속하여 상기 광자기 디스크(1)의 상면에 인가하는 대물렌즈(5)와, 입력되는 데이타를 변조하여 자화될 영역의 방향을 결정하는 자계변조부(6)와, 상기 자계변조부(6)의 출력신호에 따라 광자기 디스크(1)의 수직 자화막(1A)에 데이타를 기록하는 자기헤드부(7)로 구성하였다.
여기서 자기헤드부(7)는, 하우징(7A)내에 자기헤드(7B)를 설치하여 수직자화막(1A)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고, 스프링(7C)을 하우징(7A)으로 압착시켜 광자기 디스크(1)의 요동 및 외부충격에서도 수직자화막(1A)과 자기헤드(7B)가 일정간격을 유지하게 구성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중복 기록장치는 스핀들모타(3)의 구동에 따라 축(2)이 회전하여 광자기 디스크(1)를 회전시키게 되고, 제 2도의 (a)에 도시된 바와같이 입력되는 기록할 데이타는 자계변조부(6)에서 변조되고, 변조된 데이타에 따라 자기헤드부(7)의 자기헤드(7B)에 전류를 공급하여 제 2도의 (b)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직자화막(1A)을 자화시키게 된다.
이때 반도체 레이저(4)는 레이저를 발생하고, 발생한 레이저는 대물렌즈(5)에서 집속되어 광자기 디스크(1)에 인가되므로 광자기 디스크(1)의 레이저가 인가되는 부위의 온도는 상승되고, 이로 인하여 수직자화막(1A)의 보자력이 감소되어 낮은 자력으로도 용이하게 자화 및 데이타를 기록할 수 있다.
이와같이 광자기 디스크(1)에 데이타를 기록함에 있어서 수직자화막(1A)에 형성되는 기록패턴의 자화방향은 데이타에 따라 교호로 반전되고, 리딩 에지(LE)와 트레일링 에지(TE)가 형성되는데 이 리딩 에지(LE)와 트레일링 에지(TE)의 형태가 날카롭게 되어 간격(L1)이 길면 타이밍 지터형상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는 것으로서 대물렌즈의 포커싱 에러가 제 2도의 (c)에 도시된 바와같이 허용오차(±△×)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 광자기 디스크에 도달하는 레이저의 레벨이 감소되므로 제 2도의 (d)에 도시된 바와같이 리딩 에지와 트레일링 에지가 날카롭게 형성되어 데이타의 재생시 제 2도의 (e)에 도시된 바와같이 자화반전 구간에서의 출력레벨이 높아지게 되고, 기록 패텀의 구별이 어려우며, 타이밍 지터가 증가하여 데이타의 고밀도 기록이 어려워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대물렌즈의 포커싱 에러를 검출하고, 검출한 포커싱 에러의 값에 따라 레이저의 출력레벨을 조절하여 광자기 디스크에 인가되는 레이저의 파워를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타이밍 지터의 발생을 줄이고 고밀도로 데이타를 중복기록할 수 있는 중복 기록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으로 이를 첨부된 제 3도 및 제 4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3도는 본 고안의 중복 기록장치를 보인 도면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광자기 디스크(11)를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타(12)와, 기록할 데이타를 변조하는 자계변조부(13)와, 자계변조부(13)의 출력신호에 따라 광자기 디스크(11)의 수직자화막(1A)에 데이타를 기록하는 자기헤드부(14)와, 레이저를 발생하는 반도체 레이저(15)와, 상기 반도체 레이저(15)의 발생 레이저를 집속하여 광자기 디스크(11)에 인가하는 대물렌즈(16)와, 상기 대물렌즈(16)를 구동시켜 포커스를 조절하는 액츄에이터(17)와, 대물렌즈(16)의 포커싱 에러를 검출하는 포커싱 에러 검출기(18)와, 상기 포커싱 에러 검출기(18)의 포커싱 에러 레벨을 판단하는 포커싱 에러 비교기(19)와, 상기 포커싱 에러 비교기(19)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반도체 레이저(15)의 발생 레이저를 조절하는 레이저 출력 조절기(20)로 구성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중복 기록장치는 스핀들 모타(12)의 구동에 따라 광자기 디스크(11)가 화전하고, 제 4도의 (a)에 도시된 바와같이 입력되는 기록할 데이타는 자계변조부(13)에서 변조된 후 자기헤드부(14)에 인가되어 광자기 디스크(14)에 기록되며, 반도체 레이저(15)는 레이저를 출력하고, 출력한 레이저는 대물렌즈(16)에서 집속된 후 광자기 디스크(11)에 인가되어, 레이저가 인가된 광자기 디스크(11) 부위의 온도가 상승하여 낮은 자력으로도 데이타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액츄에이터(17)에 의해 구동되는 대물렌즈(16)의 포커싱 에러를 포커싱 에러 검출기(18)가 검출하고, 검출한 포커싱 에러의 레벨을 포커싱 에러 비교기(19)에서 비교하여 검출하며, 포커싱 에러의 레벨에 따라 레이저 출력 조절기(20)가 반도체 레이저(15)로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여 레이저의 출력레벨을 조절한다.
여기서, 포커싱 에러 검출기(18)가 제 4도의 (b)에 도시된 바와같이 대물렌즈(16)의 포커싱 에러를 검출한다고 가정하면, 포커싱 에러 비교기(19)가 포커싱 에러의 레벨을 검출하고 레이저 출력 조절기(20)가 제 4도의 (c)에 도시된 바와같이 포커싱 에러의 레벨에 따라 기준레벨(IW)보다 일정값(△IW1,△IW2) 높게 반도체 레이저(15)로 전류를 공급 즉, 포커스 에러의 레벨이 높을수록 많은 전류를 공급하여 포커싱 에러에 관계없이 광자기 디스크(11)에서의 수직자화막(11A)에는 제 4도의 (d)에 도시된 바와같이 리딩 에지(LE)와 트레일링 에지(TE)간의 간격이 좁게 기록패턴이 형성되어 데이타의 재생시 제 4도의 (e)에 도시된 바와같이 자화 반전 구간에서의 출력레벨이 낮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대물렌즈의 포커싱 에러를 검출하고, 검출한 포커싱 에러의 값에 따라 레이저의 출력레벨을 조절하여 광자기 디스크에 인가되는 레이저의 파워를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타이밍 지터의 발생을 줄이고 고밀도로 데이타를 중복기록할 수 있다.

Claims (2)

  1. 레이저를 발생하는 반도체 레이저(15)와, 상기 반도체 레이저(15)에서 발생된 레이저빔을 집속하여 광자기 디스크(11)에 인가하는 대물렌즈(16)와, 상기 대물렌즈(16)를 구동시켜 포커스를 조절하는 액츄에이터(17)와, 상기 광자기 디스크(11)로부터 포커싱 에러신호를 검출하는 포커싱 에러 검출기(18)와, 상기 포커싱 에러 검출기(18)의 포커싱 에러 레벨을 기준치와 비교하는 포커싱 에러 비교기(19)와, 상기 포커싱 에러 비교기(19)로부터 출력되는 기준신호와의 차이값을 레이저 다이오드의 출력으로 변환시켜 주는 레이저 출력 조절기(20)로 구성되어 중복 기록시의 지터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광자기 디스크의 중복 기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레이저 출력 조절기(20)는 포커싱 에러의 레벨이 높을수록 반도체 레이저(15)로 많은 전류를 공급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자기 디스크의 중복 기록장치.
KR92016257U 1992-08-28 1992-08-28 광자기 디스크의 중복 기록장치 KR01180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6257U KR0118024Y1 (ko) 1992-08-28 1992-08-28 광자기 디스크의 중복 기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6257U KR0118024Y1 (ko) 1992-08-28 1992-08-28 광자기 디스크의 중복 기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6314U KR940006314U (ko) 1994-03-22
KR0118024Y1 true KR0118024Y1 (ko) 1998-05-15

Family

ID=19339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6257U KR0118024Y1 (ko) 1992-08-28 1992-08-28 광자기 디스크의 중복 기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802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6314U (ko) 1994-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6250A (en) Optic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including a disc extraction area for power setting a laser
JPH01169760A (ja) 光磁気信号記録再生方法
KR100294332B1 (ko) 광자기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방법 및 장치
JP2528821B2 (ja) 光情報処理装置
KR100706732B1 (ko) 데이터 재생 장치 및 방법
KR0118024Y1 (ko) 광자기 디스크의 중복 기록장치
EP0241222B1 (en) Opto-magnetic recording apparatus for sequentially driving optical head drive means and biasing magnetic field generation means
JPH01112505A (ja) 磁場変調光磁気記録方式
US66973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with a magneto-optical recording medium
JP2793294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S6260148A (ja) 光磁気情報記録再生装置
JPH05166241A (ja) 記録装置
JP2638465B2 (ja) 光学的情報記録再生方法
JP3104913B2 (ja) ディスク状記録媒体の光学記録方法及び装置
KR950013705B1 (ko) Fm 변조기와 자기 헤드 구동 회로를 겸용한 자계 변조 광자기 기록 장치
JP2698400B2 (ja) 光磁気記録装置
JPS59117743A (ja) 光記憶装置
JPH0233750A (ja) 情報記録方法及び装置及び情報記録再生方法及び装置
JPS6258441A (ja) 光磁気記録再生装置
JPH01199343A (ja) オーバーライト可能光磁気ディスク装置
JPH06325364A (ja) 光ディスク記録装置
JPH0312004A (ja) 光磁気ディスク装置
JPH02265055A (ja) 磁気ヘッド・ディスク間距離制御装置
JPH05242546A (ja) 光ディスクプレーヤ
KR20010037566A (ko) 자기헤드와 광헤드의 위치검출 및 조정방법과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