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7876Y1 - 마이크로 콤퓨터에 의한 agc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콤퓨터에 의한 agc 제어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7876Y1
KR0117876Y1 KR92013500U KR920013500U KR0117876Y1 KR 0117876 Y1 KR0117876 Y1 KR 0117876Y1 KR 92013500 U KR92013500 U KR 92013500U KR 920013500 U KR920013500 U KR 920013500U KR 0117876 Y1 KR0117876 Y1 KR 01178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c
screen
voltage
average value
agc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35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4609U (ko
Inventor
이수재
Original Assignee
강진구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진구,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진구
Priority to KR920135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7876Y1/ko
Publication of KR9400046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6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78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78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345Memory is eeprom

Landscapes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방송용 카메라 또는 캠코더등의 AGC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종래 연산 증폭기를 사용하여 AGC 제어 DC 전압을 AGC 증폭기에 인가해 AGC 제어를 행하던 것과는 달리 최적 화면밝기상태시의 화면을 64분할하여 64분할된 각 부분에 대한 화면밝기값을 저장하고 있는 64분할적분 IC와, 64분할적분 IC의 데이타를 읽어 전화면 평균치를 구하며 이 평균치와 현재화면밝기의 평균치를 비교하여 AGC 증폭기에 AGC 제어 DC 전압을 출력하는 마이콤과, 상기 64분할적분 IC의 출력데이타로부터 계산된 전화면 평균치가 저장되는 메모리를 구비하여 마이콤이 직접 AGC 증폭기에 AGC 제어 DC 전압을 인가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연산증폭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마이크로 콤퓨터에 의한 AGC 제어회로
제 1 도는 일반적인 AGC 제어범위를 나타낸 도면,
제 2 도는 종래의 AGC 제어회로도,
제 3 도는 AGC 증폭기의 이득제어 특성도,
제 4 도는 이 고안에 따른 마이크로 콤퓨터에 의한 AGC 제어회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
제 5 도는 제 4 도 64분할적분 IC에 의해 64분할된 화면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렌즈 10 : 64분할적분 IC
20 : 메모리OP1 : 연산증폭기
OP2 : AGC 증폭기MICOM : 마이크로 콤퓨터
CCD : 고체촬상소자
이 발명은 캠코더 및 방송용 카메라의 자동이득제어(Automatic Gain Control : 이하, AGC라 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AGC가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최적의 밝기를 유지하는 화면의 평균치와 현재의 화면밝기의 평균치를 비교하여 이 비교결과에 따른 AGC 제어 DC 전압을 마이크(이하, 마이콤이라 한다)로 콤퓨터가 직접 AGC 증폭기에 인가해줄 수 있도록 한 마이콤에 의한 AGC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AGC는 통신기기에 있어서 자동적으로 증폭기의 이득을 제어하여 입력레벨의 변동이 있어도 출력레벨이 변동하지 않도록 하는 장치를 말하며, 증폭기에는 주로 가변 증폭관을 사용하며, 출력레벨에 따른 전압을 부궤환하여 이득 제어를 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피사체의 밝기 즉, 휘도가 높은쪽으로부터 낮은쪽으로 변하는 과정에 따른 화면의 밝기변화의 조절은 다음 제 1 도와 같이 행해진다.
먼저, 제 1 도에서 영역(a)에서는 아리아스(iris)만의 제어로 화면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게 되며, 영역(a)에서 피사체의 밝기가 점점 감소하여 피사체의 밝기가 영역(b)에 해당되게 되면 회로적으로 AGC를 가해서 화면의 밝기를 일정하게 유지해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영역(b)에서 점차로 화면의 밝기가 감소하여 피사체의 밝기가 영역(c)에 해당되게 되면 AGC를 최대치로 가하더라도 이 영역(c)에서는 AGC회로로는 화면의 밝기를 조절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제 1 도에서 ①은 피사체의 밝기를 나타내며, ②는 화면밝기를 나타내고 ③은 AGC 제어량을 나타낸다.
상기에서 볼 때 AGC 제어는 피사체의 밝기가 상기 영역(b)에 해당될 경우에 행해지게 되는 것이며, 제 2 도에 이러한 종래의 AGC 제어회로가 나타내져 있으며, 그 동작은 다음과 같다.
우선, 연산증폭기(OP1)의 반전 입력단(-)에는 화면의 밝기에 따른 AGC 검파(Detect)전압이 입력되며, 비반전 입력단(+)에는 가장 양호한 화면밝기상태에 대한 AGC 값인 AGC 기준전압값이 셋팅되어 입력되며, 상기 연산증폭기(OP1)는 상기 반전 입력단(-) 및 비반전입력단(+)에 입력되는 AGC 검파전압값 및 AGC 기준전압값을 비교하여 상기 반전 입력단(-)에 입력되는 AGC 검파전압값이 작을 경우는 AGC 값을 증가시켜 화면밝기를 증가시키게 된다.
즉, 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 입력단(+)에 입력되는 AGC 기준전압값이 반전 입력단(-)에 입력되는 AGC 검파전압값보다 클 경우는 상기 연산증폭기(OP1)의 출력이 하이상태가 되므로 AGC 증폭기(OP2)의 비반전 입력단(+)의 전압이 고체촬상소자(Charge Coupled Device : 이하, CCD라 함)로부터의 전압보다 크게 되어 상기 AGC 증폭기(OP2)의 출력이 하이상태가 되므로 출력되는 AGC 출력전압은 화면의 밝기가 증대되도록 작용하여 화면의 밝기가 양호하게 되도록 제어한다.
상기와는 달리 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 입력단(+)의 AGC 기준전압값이 반전 입력단(-)의 AGC 검파전압값보다 작을 경우는 연산 증폭기(OP1)의 출력이 로우상태가 되므로 AGC 증폭기(OP2)의 출력도 로우상태가 되어 AGC 증폭기(OP2)로부터 출력되는 AGC 출력전압은 화면의 밝기가 감소되도록 작용하여 화면의 밝기가 양호하게 되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AGC 제어회로에서는 AGC 검파전압을 AGC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AGC 제어 DC 전압을 AGC 증폭기에 인가하는 연산증폭기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가격경쟁면에서도 불리하고 회로도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 고안의 목적은 64분할적분 IC를 이용하여 AGC 제어 DC 전압을 마이콤이 직접 AGC 증폭기에 가해줄 수 있도록 한 마이크로 콤퓨터에 의한 AGC 제어회로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의 특징은 AGC 제어 DC 전압 및 고체촬상소자로부터의 전압에 따라 AGC 출력전압을 출력하는 AGC 증폭기를 구비하여 화면밝기를 제어하는 AGC 제어회로에 있어서, 상기 고체촬상소자에 연결되어 최적 화면밝기상태시의 화면을 64분할하여 64분할된 각 부분에 대한 화면밝기값을 저장하고 있는 64분할적분 IC와, 상기 64분할적분 IC에 연결되어 64분할적분 IC의 데이타를 읽어 전화면 평균치를 구하며 이 평균치와 현재화면밝기의 평균치를 비교하여 상기 AGC 증폭기에 AGC 제어 DC 전압을 출력하는 마이콤과, 상기 마이콤에 연결되어 상기 64분할적분 IC의 최적화면밝기상태시의 출력 데이타로부터 계산된 전화면 평균치가 저장되는 메모리로 구비되는 마이크로 콤퓨터에 의한 AGC 제어회로에 있다.
이하, 이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4 도는 이 고안에 따른 마이크로 콤퓨터에 의한 AGC 제어회로의 블럭도로서, 렌즈(1)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전기상으로 변환하는 고체촬상소자(CCD)에 최적 화면밝기상태시의 화면을 64분할하여 64분할된 각 부분에 대한 화면밝기값을 저장하고 있는 64분할적분 IC(10)를 연결시키며, 상기 64분할적분 IC(10)에는 64분할적분 IC(10)의 64분할된 각 부분에 대한 화면밝기 데이타를 읽어 전화면 평균치를 구하고, 이 평균치와 아리아스가 풀 오픈되었을 경우 현재화면밝기의 평균치를 비교하여 AGC 제어 DC 전압을 출력하는 마이크로콤퓨터(이하, 마이콤이라 한((MICOM)을 연결시킨다.
그리고 상기 마이콤(MICOM)에는 상기 64분할적분 IC(10)의 출력 데이타로부터 계산된 전화면 평균치가 저장되는 EEPROM으로 된 메모리(20)가 연결된다.
한편, 마이콤(MICOM)의 AGC 제어 DC 전압 출력단(AGC0)에 비반전 입력단(+)이 연결되고 고체촬상소자(CCD)에 반전 입력단(-)이 연결된 AGC 증폭기(OP2)는 상기 AGC 제어 DC 전압 출력단(AGC0)으로부터의 AGC 제어 DC 전압과 고체촬상소자(CCD)로부터의 전압을 비교하여 AGC 출력전압을 출력하여 화면밝기를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 고안은 고체촬상소자(CCD)의 출력신호를 64분할적분 IC(10)에는 제 5 도와 같이 64분할하며 이때, 상기 64분할된 각 부분에는 그 부분에 대한 화면밝기값을 갖게된다. 예를 들어 제 5 도에서 Di 부분에 대한 화면밝기값을 Di라 한다. 그러면 마이콤(MICOM)이 각 부분에 대한 화면밝기값을 읽어 전화면 평균치를 구하여 이를 메모리(20)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상기 마이콤(MIOCM)은 64분할된 전화면의 평균치(AVR1)를 1수직귀선기간 동안에 다음과 같이 구하게 된다.
64분할된 화면의 전화면 평균치 =

Claims (2)

  1. AGC 제어 DC 전압 및 고체촬상소자(CCD)로부터의 전압에 따라 AGC 출력전압을 출력하는 AGC 증폭기(OP2)를 구비하여 화면밝기를 제어하는 AGC 제어회로에 있어서,
    상기 고체촬상소자(CCD)에 연결되어 최적 화면밝기상태시의 화면을 64분할하여 64분할된 각 부분에 대한 화면밝기값을 저장하고 있는 64분할적분 IC(10)와,
    상기 64분할적분 IC(10)에 연결되어 64분할적분 IC(10)의 데이타를 읽어 전화면 평균치를 구하며 이 평균치와 현재화면밝기의 평균치를 비교하여 상기 AGC 증폭기(OP2)에 AGC 제어 DC 전압을 출력하는 마이콤(MICOM)과,
    상기 마이콤(MICOM)에 연결되어 상기 64분할적분 IC(10)의 최적화면밝기상태시의 출력 데이타로부터 계산된 전화면 평균치가 저장되는 메모리(20)로 구비되는 마이크로 콤퓨터에 의한 AGC 제어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20)는 EEPROM으로 구성되는 마이크로 콤퓨터에 의한 AGC 제어회로.
KR92013500U 1992-07-22 1992-07-22 마이크로 콤퓨터에 의한 agc 제어회로 KR01178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3500U KR0117876Y1 (ko) 1992-07-22 1992-07-22 마이크로 콤퓨터에 의한 agc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3500U KR0117876Y1 (ko) 1992-07-22 1992-07-22 마이크로 콤퓨터에 의한 agc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609U KR940004609U (ko) 1994-02-24
KR0117876Y1 true KR0117876Y1 (ko) 1998-05-15

Family

ID=19337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3500U KR0117876Y1 (ko) 1992-07-22 1992-07-22 마이크로 콤퓨터에 의한 agc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787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609U (ko) 1994-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76907A2 (en) Solid-state imaging devices
US5400074A (en) Video camera device having an exposure control circuit
KR0117876Y1 (ko) 마이크로 콤퓨터에 의한 agc 제어회로
JP2750574B2 (ja) 撮像装置
US5278659A (en) Shutter speed control circuit for an image pick-up apparatus
US5541650A (en) Video camera with low-speed shutter mode and automatic gain and iris control
KR200333736Y1 (ko) 역광 보정 기능을 가지는 조리개 구동 회로
JP2807928B2 (ja) ビデオカメラ用感度アップ回路
JP2998152B2 (ja) 撮像信号処理回路
JPH0513087Y2 (ko)
JPH042538Y2 (ko)
JPH01318467A (ja) 画像信号処理装置
JP2879569B2 (ja) 撮像装置
JPH0376634B2 (ko)
JP3271190B2 (ja) アイリス制御回路
JPH077658A (ja) テレビジョンカメラ装置
JP3380925B2 (ja) ビデオカメラ
KR890000780B1 (ko) 비데오 카메라의 자동조리개 조절방법
JP2785526B2 (ja) ビデオカメラ用露出制御装置
JP2002057941A (ja) 長時間露光型テレビジョンカメラ
KR0137416Y1 (ko) 촬영시간 제어회로
KR100322757B1 (ko) 씨씨디 카메라의 자동 아이리스 렌즈 제어 및 역광 보상 회로
JP2982479B2 (ja) テレビカメラ装置
KR0139363B1 (ko) 카메라의 역광 보정회로
JPH05130516A (ja) 固体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