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7670Y1 - 칸막이용 벽판넬의 받침대 - Google Patents

칸막이용 벽판넬의 받침대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7670Y1
KR0117670Y1 KR2019940023539U KR19940023539U KR0117670Y1 KR 0117670 Y1 KR0117670 Y1 KR 0117670Y1 KR 2019940023539 U KR2019940023539 U KR 2019940023539U KR 19940023539 U KR19940023539 U KR 19940023539U KR 0117670 Y1 KR0117670 Y1 KR 01176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pipe
tube
wall panel
height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35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1303U (ko
Inventor
이인수
Original Assignee
이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수 filed Critical 이인수
Priority to KR20199400235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7670Y1/ko
Publication of KR9600113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3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76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76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실등의 칸막이 시공작업시에 벽판넬의 하변을 받쳐줌과 아울러 고저높이조절을 가능케한 벽판넬의 받침대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높이조절관과 지지구의 나사관, 그리고 중심부의 나사축에 의한 2중조임으로 지지력을 강화시켜 벽판넬을 요동없이 견고하게 받칠 수 있게한 칸막이용 벽판넬의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지지구(1)의 나사관(2)에 외장커버(3)를 끼워서 씌운다음, 상관에 브래킷(4)을 리벳팅한 높이조절관(5)을 상기 나사관(2)과 나사조임으로 조립 구성한 벽판넬의 받침대(6)에 있어서, 상기 나사관(2)의 상단에 경사상의 입구와 나사공(12)을 갖는 부시(22)를 억지끼움하고, 높이조절관(5)의 하단에 나사부(15)를 갖는 단관(25)을 억지끼움시켜 상기 나사관(2)과 단관(25)의 나사조임으로 높이조절관(5)을 결합한 후, 위에서 두부(17)를 갖는 나사축(7)을 브래킷(4)의 소공(14)과 높이조절관(15)을 거쳐 나사관(2)상단의 나사공(12)에 조여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칸막이용 벽판넬의 받침대
제1도는 본 고안을 적용한 벽판넬 받침대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제1도 조립체의 종단면설명도.
제3도는 본 고안을 적용한 벽판넬 받침대의 실시상태의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나사관4: 브래킷
5: 높이조절관7: 나사축
12: 나사공14: 소공
15: 나사부17: 두부
22: 부시25: 단관
본 고안의 화장실등의 칸막이 시공작업시에 벽판넬의 하변을 받쳐줌과 아울러 고저높이조절을 가능케한 벽판넬의 받침대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높이 조절관과 지지구의 나사관, 그리고 중심부의 나사축에 의한 2중조임으로 지지력을 강화시켜 벽판넬을 요동없이 견고하게 받칠 수 있게한 칸막이용 벽판넬의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이제까지 사용되고 있은 칸막이용 벽판넬의 받침대는 바닥면에 고정되는 지지구의 나사관에 외장커버를 끼워서 씌운 다음에 위에서 역ㄱ자형 브래킷을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부착한 높이조절관을 나사관에 나사조임으로 결합시켜 조립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벽판넬의 받침대는 브래킷과 높이조절관의 상단을 다소 헐겁게 리벳팅하여 서로 결합되도록 한 것이어서, 브래킷이 높이조절관상에서 회전에 의한 방향전환은 가능한 반면에 흔들림으로 지지력이 약하고, 또한 나사조임으로 결합되는 높이조절관과 나사관간에는 서로 나사가공상의 오차로 도어를 여닫을 때에 벽판넬과 받침대와의 흔들림이 발생하여 장기간의 사용시에 칸막이의 지탱력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칸막이의 시공후에 벽판넬 받침대의 견고한 지지력으로 벽판넬과 받침대간의 흔들림을 배제되도록 한 칸막이용 벽판넬의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에 적합한 본 고안의 벽판넬 받침대는 높이조절관과 나사관, 그리고 중심부의 나사축에 의한 2중조임에 의하여 지지력을 높임으로서, 당초 의도대로 소기의 목적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작성한 첨부도면에 따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지지구(1)의 나사관(2)에 외장커버(3)를 끼워서 씌운 다음, 상단에 브래킷(4)을 헐겁게 리벳팅한 높이조절관(5)을 상기 나사관(2)과 나사조임으로 조립구성한 벽판넬의 받침대(6)에 있어서, 상기 나사관(2)의 상단에는 경사상의 입구아래로 나사공(12)을 갖는 부시(22)를 억지끼움하고, 높이조절관(5) 하단에는 나사부(15)를 갖는 단관(25)을 억지끼움시켜 상기 나사관(2)과 단관(25)의 나사조임으로 높이조절관(5)을 결합한 후, 위에서 두부(17)를 갖는 나사축(7)을 브래킷(4)의 소공(14)과 높이조절관(5)을 통하여 나사관(2) 상단의 나사공(12)에 조임하여 조립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면중 이설명부호 10은 벽판넬, 20은 도어, 30은 힌지, 40은 바닥면을 표시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적용한 벽판넬의 받침대를 사용한 시공과정을 설명하면 제2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바닥면(40)에 지지구(1)를 앵커보울트로서 고정 설치한 다음에 외장커버(3)를 끼운 높이조절관(5)하단의 단관(25)을 나사관(2)과 나사조임으로 결합한다.
이상태에서 위에서 나사축(7)을 브래킷(4)의 소공(14)과 높이조절관(5)을 거쳐 나사관(2) 상단의 부시(22) 중심의 나사공(12)에 조인다.
이때, 나사축(7) 하단과 나사공(12)의 나사조임은 나사공(12) 상부가 경사상으로 이루어져 쉽게 맞출 수 있다.
이렇게 받침대(6)가 조립완성된 상태하에서 벽판넬(10)을 브래킷(4)위에 얹혀 높이조절관(5)을 좌, 우회전시켜 높이를 맞춘 후, 벽판넬(10)을 제거한 상태에서 나사축(7)을 죄여서 브래킷(4)을 높이조절관(5)상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브래킷(4)위에 벽판넬(10)을 올려 놓고 고정공을 통하여 보울트-너트를 죄여서 시공작업을 완료한다.
이와같이 벽판넬(10)과 받침대(6)의 시공이 완료되면 제3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힌지(30)를 사용하여 도어(20)를 부착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고안을 적용한 칸막이용 벽판넬의 받침대는 브래킷과 높이조절관 및 지지구의 나사관과를 내, 외측에서 2중으로 조임하여 지지력을 높임으로서 견고하게 칸막이 시공을 수행할 수 있으며, 시공후에는 요동없는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지지구(1)의 나사관(2)에 외장커버(3)를 끼워서 씌운다음, 상단에 브래킷(4)을 리벳팅한 높이조절관(5)을 상기 나사관(2)과 나사조임으로 조립구성한 벽판넬의 받침대(6)에 있어서, 상기 나사관(2)의 상단에 경사상의 입구와 나사공(12)을 갖는 부시(22)를 억지끼움하고, 높이조절관(5)의 하단에 나사부(15)를 갖는 단관(25)을 억지끼움시켜 상기 나사관(2)과 단관(25)의 나사조임으로 높이조절관(5)을 결합한 후, 위에서 두부(17)를 갖는 나사축(7)을 브래킷(4)의 소공(14)과 높이조절관(5)을 거쳐 나사관(2)상단의 나사공(12)에 조여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용 벽판넬의 받침대.
KR2019940023539U 1994-09-12 1994-09-12 칸막이용 벽판넬의 받침대 KR01176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3539U KR0117670Y1 (ko) 1994-09-12 1994-09-12 칸막이용 벽판넬의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3539U KR0117670Y1 (ko) 1994-09-12 1994-09-12 칸막이용 벽판넬의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303U KR960011303U (ko) 1996-04-15
KR0117670Y1 true KR0117670Y1 (ko) 1998-07-15

Family

ID=19392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3539U KR0117670Y1 (ko) 1994-09-12 1994-09-12 칸막이용 벽판넬의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76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343Y1 (ko) * 2012-04-23 2013-06-07 이향기 조립식 칸막이용 판넬 받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385B1 (ko) * 2006-09-01 2007-09-10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근정 칸막이패널을 지지하는 가동형기초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칸막이패널설치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343Y1 (ko) * 2012-04-23 2013-06-07 이향기 조립식 칸막이용 판넬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303U (ko) 1996-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17670Y1 (ko) 칸막이용 벽판넬의 받침대
US5927810A (en) Adjustable musician's chair
JPH0450864Y2 (ko)
KR200165605Y1 (ko) 칸막이 받침구
JPH0933161A (ja) 冷蔵庫
KR100347616B1 (ko) 패널부착용 피봇힌지
KR920008459Y1 (ko) 대문짝의 힌지장치
KR20060111212A (ko) 돔형 감시카메라
KR960004190Y1 (ko) 출입문용 힌지장치
KR200149147Y1 (ko) 문 연결장치
KR0128533Y1 (ko) 여닫이문의 문짝용 상부피보트
JPS6212073Y2 (ko)
JP3653692B2 (ja) 補強部材
JPS5820769Y2 (ja) 前倒式扉用蝶番
JPH0211575Y2 (ko)
KR960010410Y1 (ko) 도어용 힌지
KR0122563Y1 (ko) 대문의 문짝지지용 힌지
JPH0745697Y2 (ja) 床支持装置
KR950000681Y1 (ko) 가구의 고저수평 조절구
JP2559536Y2 (ja) フェンスパネルの固定金具
JPH0755250Y2 (ja) 蝶 番
US20060237603A1 (en) Appliance support assembly
JPS61200974U (ko)
JP2001317262A (ja) ヒンジ装置
KR940004824Y1 (ko) 문짝 상부축의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