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2563Y1 - 대문의 문짝지지용 힌지 - Google Patents

대문의 문짝지지용 힌지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2563Y1
KR0122563Y1 KR2019950053478U KR19950053478U KR0122563Y1 KR 0122563 Y1 KR0122563 Y1 KR 0122563Y1 KR 2019950053478 U KR2019950053478 U KR 2019950053478U KR 19950053478 U KR19950053478 U KR 19950053478U KR 0122563 Y1 KR0122563 Y1 KR 01225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eight
hinge
lower hinge
height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34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9731U (ko
Inventor
윤용선
Original Assignee
윤용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용선 filed Critical 윤용선
Priority to KR20199500534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2563Y1/ko
Publication of KR9700397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97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25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25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05D2007/0469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in an axial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대문의 문짝을 지지하는 문짝지지용 힌지에 있어서 하부힌지의 구조에 관한 것임.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하부힌지 자체로서 대문의 설치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하부힌지(1)를 고정부재(2), 높이조절부재(3) 및 슬라이드부재(4)로 분리 구성하고 고정부재(2)와 높이조절부재(3)의서로 접속부에 나사선(5a)(5b)을 형성하여 높이조절부재(3)를 회전지 높이조절부재(3)가 상하로 이동하므로써 문짝(12)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였음.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대문문짝의 하부힌지.

Description

대문의 문짝지지용 힌지
제1도는 본 고안의 하부힌지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대문의 개략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하부힌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하부힌지의 단면도로써 대문에 부착된 상태의 단면도.
제4도의 종래 하부힌지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힌지(하부힌지) 2 : 고정부재
3 : 높이조절부재 4 : 슬라이드부재
5a, 5b : 나사선 6 : 체결부재
7 : 공구끼움구 7a : 공구
8a, 8b : 요홈테 및 돌출테 9 : 구멍
10 : 앵커보울트 11 : 문틀
12 : 문짝 12a : 문짝의 상부측
12b : 문짝의 하부측
본 고안은 대문의 문짝에 있어서 문짝의 하부를 지지하는 문짝지지용힌지에 관한 것으로 하부 힌지자체가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문짝의 정확한 높낮이 위치조절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함에 주안점을 둔 것이다.
종래 대문의 문짝지지용 힌지에 있어서 하부힌지는 제4도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다소높게 계단식으로 형성된 문틀(11) 상면에 하부힌지(13)가 고정되고 문짝(12)의 하부에 돌출된 하부측(12b)이 힌지(13)내부에 끼워진 베어링(14)(15)에 끼워져 있으며, 또한 이와 반대측에 위치한 문짝(12)의 상부축(12a)은 제1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 구조로 된 상부힌지(14)내에 끼워져 문짝(12)이 지지됨과 동시에 열리고 닫힘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종래의 하부힌지(13)는 문짝(12)의 하부를 지지하는 역할만 하도록 되어 있음에 따라 문짝(12)을 설치시 설치작업성이 저하되었던 것이다.
즉, 문짝(12)은 설치시 주변의 여건 예로써 문틀(11)의 수평도 또는 문짝(12)각도의 정확성 등에 따라 높거나 혹은 낮게 설치할 필요가 있는데 높낮이 조절기능이 없으므로 싱고에 있어서 어려움이 따랐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문짝하부에 설치되는 힌지를 제안한 것으로 그 구성을 첨부도면을 토대로 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 종래 구조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 설명한다.
도면부호1은 하부힌지이다.
이 힌지(1)는 문틀(11)에 고정부착되는 고정부재(2)와 고정부재(2)내에 나사결합되는 높이조절부재(3) 그리고 높이조절부재(3)의 상부에 끼워져 공회전하는 슬라이드부재(4)로 결합구성된다.
한편, 상기한 고정부재(2)는 내측 둘레면에 나사선(5a)이 형성되고 그 둘레면의 일측에 체결부재(6)의 결합을 위한 구멍(6a)이 뚫어져 있다.
높이조절부재(3)는 고정부재(2)측에 나사결합이 가능하도록 외측둘레면에 나사선(5b)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나사선(5b)부분의 직경보다 다소큰 직경으로 단턱부(3a)가 형성되고 이 단턱부(3a)에 등간격으로 공구끼움구(7)가 뚫어져 있다.
또한 단턱부(3a)의 내면에는 요홈테(8a)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부재(4)는 중앙부에 상하방향으로 문작(12)의 하부축(12b)의 직경보다 다소큰 직경의 구멍(9)이 뚫리고 외측둘레면에는 상기한 높이조절부재(3)의 내면에 형성된 요홈테(8a)와 대응결합되는 돌출테(8b)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슬라이드부재(4)의 돌출테(8b)는 높이조절부재(3) 내면의 요홈테(8a)내에 빡빡한 맞춤으로 강제로 끼워져 쉽게 이탈하지 아니한 상태로되며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면부호중 미설명부호 10은 하부힌지(1)에 있어서 고정부재(2)를 콘크리트몰탈로 된 문틀(11)측에 고정하는 앵커보울트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원 고안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하부힌지(1)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문틀(11)을 콘크리트몰탈 등으로 축조할 때 미리 별도의 앵커보울트(10)를 매설하여 경화(양생)가 끝나면 고정부재(2)의 하부의 넓은 면적으로된 연장부에 뚫린 구멍(10a)을 이용하여 앵코보울트(10)에 끼워 고정한다.
이때는 고정부재(2)축에 높이조절부재(3)가 나사결합되고 또한 높이조절부재(3)에는 슬라이드부재(4)가 일체화로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하부힌지(1)를 앵커보울트(10)에 의해 문틀(11)측에 고정시키면 설치가 완료되는데 이때 여러가지 요인상 문짝(12)의 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높이조절부재(3)의 상부 단턱부(3a)에 뚫린 공구끼움구(7)내에 별도의 막대기형으로 된 공구(7a)를 끼워 좌, 우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높이조절부재(3)는 고정부재(2)측에 나사결합되어 있으므로 높낮이 조절이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높낮이 조절이 완료되면 고정부재(2)측의 체결부재(6)를 조이게 되면 높이조절부재(3)가 고정된다.
한편 슬라이드부재(4)는 구멍(9)내부로 하부축(12b)이 끼워져 관통되지만 하부축(12a)으로부터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
즉, 하부축(12b)은 보올베어링(15)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실제 압력은 보울베어링(15)이 받게 되며 슬라이드부재(4)는 하부축(12b)의 둘레부에 설치된 상태로써 하부축(12b)과 같이 회전하거나(축이 정확히 맞지 아니할 경우) 혹은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원 고안의 힌지(1)는 하부힌지에 적합하며, 고정부재(2)와 높이조절부재(3)로 분리구성시키되 나사결합이 되로고 함으로써 힌지(3)설치시 문짝(12)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주변여건에 따라 문짝의 설치높이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대문의 문짝(12)하부에 설치되어 문짝(12)을 받을어 지지할 수 있도록 된 하부힌지(3)에 있어서, 내측둘레면에 나사선(5a)을 형성시킨 고정부재(1)의 상부로 외측둘레면에 나사선(5b)을 형성하고 그 상부의 단턱부(3a)에 공구끼움구(7)가 뚫린 높이조절부재(3)를 나사결합시켜 높낮이 조절이 가능토록 하며, 상기한 높이조절부재(3) 상부에 슬라이드부재(4)를 끼워 결합하되 높이조절부재(3)와 슬라이드부재(4)의 내면에 각각 요홈테(8a)와 돌출테(8b)를 형성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한 고정부재(2)에 높이조절부재(3)의 고정을 위한 체결부재(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문의 문짝지지용 힌지.
KR2019950053478U 1995-12-29 1995-12-29 대문의 문짝지지용 힌지 KR01225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3478U KR0122563Y1 (ko) 1995-12-29 1995-12-29 대문의 문짝지지용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3478U KR0122563Y1 (ko) 1995-12-29 1995-12-29 대문의 문짝지지용 힌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731U KR970039731U (ko) 1997-07-29
KR0122563Y1 true KR0122563Y1 (ko) 1998-10-15

Family

ID=19442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3478U KR0122563Y1 (ko) 1995-12-29 1995-12-29 대문의 문짝지지용 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25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604B1 (ko) 2020-07-22 2021-05-18 주식회사 엠에스씨엘 대문용 힌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604B1 (ko) 2020-07-22 2021-05-18 주식회사 엠에스씨엘 대문용 힌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731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5474B2 (en) Device permitting a plug or a cover to lock in a detachable manner onto a frame
US4846622A (en) Adjustable securing means for joining two components together
KR0122563Y1 (ko) 대문의 문짝지지용 힌지
JP3038150B2 (ja) 門 扉
KR960005780Y1 (ko) 건축물외장 석재의 고정구
US5239728A (en) Interlocking adjustable center pivot
KR101312585B1 (ko) 도어 힌지
KR101055953B1 (ko) 도어용 하부 힌지 조립체
KR940004824Y1 (ko) 문짝 상부축의 지지장치
KR920008459Y1 (ko) 대문짝의 힌지장치
KR200301542Y1 (ko) 높이 조절용 지지구
KR200267338Y1 (ko) 플로어 힌지 조립체
KR910002321Y1 (ko) 도어클로저의 도어개방각도 조절장치
KR20000018587U (ko) 출입문 개폐용 지지구
KR200269151Y1 (ko) 화장실용 출입문개폐장치
JPS5825110Y2 (ja) 建具の建付調整装置
KR200275801Y1 (ko) 도어용 경첩
KR200262839Y1 (ko) 플로어 힌지 조립체
KR200262838Y1 (ko) 플로어 힌지 조립체
KR100534213B1 (ko) 도로 시설물용 기초앵커
JP2595395Y2 (ja) 手摺用ブラケット
JPH04238Y2 (ko)
KR940002552Y1 (ko) 주방가구용 경첩
KR200267339Y1 (ko) 플로어 힌지 조립체
JP2001317262A (ja) ヒン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