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7633Y1 - 모우터의 회전속도 조정용 저항기 - Google Patents

모우터의 회전속도 조정용 저항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7633Y1
KR0117633Y1 KR2019940016016U KR19940016016U KR0117633Y1 KR 0117633 Y1 KR0117633 Y1 KR 0117633Y1 KR 2019940016016 U KR2019940016016 U KR 2019940016016U KR 19940016016 U KR19940016016 U KR 19940016016U KR 0117633 Y1 KR0117633 Y1 KR 01176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or
plate body
motor
metal plat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60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3307U (ko
Inventor
이우용
Original Assignee
이우용
동아전기부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용, 동아전기부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우용
Priority to KR20199400160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7633Y1/ko
Publication of KR9600033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3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76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76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Details
    • H01C1/08Cooling, heating or ventilating arrangements
    • H01C1/084Cooling, heating or ventilating arrangements using self-cooling, e.g. fins, heat sin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Details
    • H01C1/02Housing; Enclosing; Embedding; Filling the housing or enclosure
    • H01C1/028Housing; Enclosing; Embedding; Filling the housing or enclosure the resistive element being embedded in insulation with outer enclosing she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Details
    • H01C1/14Terminals or tapping points or electrodes specially adapted for resistors; Arrangements of terminals or tapping points or electrodes on resistors
    • H01C1/144Terminals or tapping points or electrodes specially adapted for resistors; Arrangements of terminals or tapping points or electrodes on resistors the terminals or tapping points being welded or solde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향성없이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한 모우터의 회전속도 조정용 저항기를 제공함에 있다. 하우징의 상부에 지지각과 일체형성된 금속판체를 수평으로 위치시킴에 의해 하우징과 금속판체의 사이에는 사방으로 개구된 통로가 마련되게 하고, 금속판체의 양측으로는 적어도 4개 이상의 단자접속점을 갖는 저항체를 접착하고, 저항체와 금속판체사이에는 절연체를 설치하고, 어느 하나의 단자와 저항체의 사이에는 일정온도에서 용융되는 솔더부를 갖는 단락부를 설치한 구성을 갖는다. 이에 따른 본 고안은 냉각팬(fan)의 전방에 설치시 저항기의 설치위치의 계약을 받지 않으므로 부착작업이 편리하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우터의 회전속도 조정용 저항기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모우터의 회전속도 조정용 저항기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I-I선 방향에 따른 확대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II-II선 방향에 따른 횡단면도,
제4도는 본고안에 의한 모우터의 회전속도 조정용 저항기에 적용된 저항회로의 다이아그램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우징 14: 기판(Base plate)
20a~20d: 제1내지 제4접속단자 22a~22d: 제1 내지 제4지지턱
30: 금속판체 31: 지지각
35a~35d: 제1 내지 제4개구통로 40a, 40b: 제1, 제2저항체
41a~41d: 제1 내지 제 4접속점 50a, 50b: 제1, 제2절연체
60: 단락부 61: 휴즈스프링
62: 땜납부 70a, 70b: 제1, 제2보호막
C: 저항회로
본 고안은 모우터의 회전속도 조정용 저항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운터의 속도제어를 위한 저항체의 부착위치를 개량한 모우터의 회전속도 조정용 저항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각팬(fan) 구동용 모우터에 회로적으로 연결된 저항기는 모우터측에 공급되는 전류의 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저항기가 전류를 모우터로 공급하는 동작에 의해 상당한 열(전하의 이동에 따른 주울열)이 발생되며, 저항기는 발생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이해 방열판을 구비하고 있다. 통상, 저항기는 발생열에 의해 손상되는 방지코자 냉각팬의 전방에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냉각의 전방에 저항기를 설치하게 되면, 저항기의 방열판이 냉각팬의 송풍을 막게 되어 냉각팬으로부터 발생되는 냉각풍이 인접배치된 다른 부품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해하게 된다. 따라서 저항기는 방열판이 냉각팬(fan)의 냉각풍을 차단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해야 하는 제약이 따랐기 때문에 저항기의 부착작업성이 낮은 단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저항기는 과부하에 의한 모우터가 소손을 방지하기 위해 모우터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단락부를 구비하고 있으나, 이 단락부가 저항회로에 연결된 설치구조로 인해 그 접속부위에서 열발산이 크게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단락부는 용융접합되므로 접합부위에 땜납등의 찌꺼기가 잔존하여 전류차단동작을 방해할 우려가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제 결점을 해소하고, 저항회로가 구비된 방열판체를 수평으로 위치되게 구성하고, 저항회로의 단락부는 그 저항회로로부터 소정거리를 두고 위치되게 하여 저항기의 부착작업성의 향상과 아울러 저항회로의 원활한 열발산이 실행되게한 모우터의 회전속도 조정용 저항기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키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상부에는 넓게된 고정판체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접속단자가 입설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고정판체상에 설치되고 접속단자를 통해 모우터측으로의 전류흐름을 제어하여 모우터의 회전속도를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저항회로를 구비한 모우터의 회전속도 조정용 저항기에 있어서, 양측면에 저항회로가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방에 수평으로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의 고정판체로부터 이격되어 사방으로 개구된 통로를 마련하는 적어도 4개 이상의 지지각을 갖는 금속판체: 금속판체의 양측에 일체로 접착되어 저항회로를 형성하고, 접속단자와 접속키 위한 적어도 4개 이상의 접속점을 갖는 저항체; 상기 접속단자의 일측단를 절곡하여 형성되며, 그 절곡부가 상기 저항체 및 금속판체를 지지하는 지지턱; 및 상기 저항체에 일측이 접속되고 판상의 휴즈스프링과, 상기 휴즈스프링과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접속단자들중 어느 하나의 접속단자에 접속되어 일정온도에서 용융되는 땜납부로 이루어진 단락유도수단을 포함하는 모우터의 회전속도 조정용 저항기에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에 의한 모우터의 회전속도 조정용 저항기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모우터의 회전속도 조정용 저항기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표시와 같이, 본 고안의 저항기는 하부의 좁게된 통형상의 소켓(11)과, 그 소켓(11)의 상부에 일체로 되어 넓게 형성된 고정판체(12)로 이루어진 하우징(10)을 구비한다. 고정판체(12)의 상면에 대응넓이를 갖는 기판(Base plate)(14)이 일체로 부착되어 있다.
모우터와 저항체(40)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자들(20a~20d)은 하우징(10)에 설치된다. 제1내지 제4접속단자들(20a~20d)의 일측단부는 고정판체(12)와 기판(14)을 관통하여 하우징(10)의 상방으로 입설되며, 타측단부는 소켓(11)내부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이에 대한 상세구조는 제2도에 설명한다.
상기 접속단자들(20a~20d)은 미도시한 모우터의 후술하는 저항체를 접속하는데에 제공된다. 상기 기판(14)의 상방에 장방형의 금속판체(30)가 위치되어 있다. 상기 금속판체(30)는 각 코너에서 일체로 절곡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4개 이상의 지지각부(脚 部)(31)들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금속판체(30)는 지지각부(31)들에 의하여 하우징(10)의 기판(14)으로부터 이격되어 수평으로 배치됨에 의해 하우징(10)과 금속판체(30)의 사이에는 어느 쪽에서든지 바람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들(35a~35d)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금속판체(30)의 양측표면으로는 저항회로(C)를 형성하는 제1, 제2저항체들(40a, 40b)이 접착되어 있다. 제1, 제2저항체들(40a, 40b)은 모우터에 공급되는 전류의 공급을 제어한다. 금속판체(30)와 저항체(40)의 사이에는 절연체들(50a, 50b)이 설치되며, 절연체들(50a, 50b)은 저항회로(C)를 통해 금속판체(30)에 인가하는 전류를 차단한다.
또한 제1, 제2저항체들(40a, 40b)은 코너부에 설치된 제1 내지 제4단자접속점들(41a~41d)을 구비하고 있다. 제1 내지 제4단자접속점들(41a~41d)은 저항회로(C)의 일부분이다. 상기 제1 내지 제4단자접속점들(41a~41d)중 제2 내지 제4단자접속점들(41b~41d)은 제2 내지 제4단자들(20b~20d)과 직접으로 접속되어 있으나, 제1단자접속점(41a)는 제1단자(20a)와 단락부(60)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4접속단자들(20a~20d)은 그 상단부에 금속판체(30)를 지지하는 지지턱들(22a, 22b)이 구비되어 있다. 지지턱들(22a, 22b)은 접속단자들(20a, 20b)의 상단일부를 절곡하여 형성한 것이다. 금속판체(30)는 지지각(31)과 단자들(20a~20d)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지지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단락부(60)는 탄성력을 갖는 휴즈스프링(61)으로 구성된다. 그 휴즈스프링(61)의 어느 일측단은 제1, 제2저항체들(40)의 제1접속점(41a)에 접속되어 있고, 타측단부는 제1접속단자(20a)와 접속되어 있다. 상기 휴즈스프링(61)은 제1접속단자(20a)와의 접속부위에 저항체(40)를 통해 모우터측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단락하는 땜납부(62)가 형성되어 있다. 땜납부(62)는 모우터측의 기계적 결함으로 인한 과부하시 열을 받게 되면 소정온도에서 용융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땜납부(62)의 용융으로 과열에 의한 모우터의 소손이 사전 방지된다. 상기 휴즈스프링(61)은 땜납부(62)의 용융시 신속히 제1접속단자(20a)로부터 이탈되도록 하기 위해 완만하게 굽혀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2도는 제1도의 I-I선 방향에 따른 확대단면도이고, 제3도는 제2도의 II-II선 방향에 따른 확대단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제2도 표시와 같이, 하우징(10)의 고정판체(12)와 기판(14)을 관통하여 입설된 접속단자들(20a, 20b)은 어느 일측으로 금속판체(30)와 접하게 연장됨과 아울러 타측단은 소켓(11)내로 연장되어 모우터와 접속된다.
또한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단자들(20a, 20c)의 일측단을 절곡하여 형성되는 지지턱들(22a, 22c)은 금속판체(30)를 견고하게 받쳐주고 있다. 상기 제1, 제2저항체들(40a, 40b)의 상하면에는 제1도의 저항회로(C)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막들(70a, 70b)이 도표된다.
상기 보호막들(70a, 70b)을 도포할 경우 저항회로(C)와 접속단자들(20a~20d)과 접속되는 접속점들(41a~41d)은 제외된다. 상기 보호막들(70a, 70b)은 절연성을 갖는 물질이다.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저항기에 적용된 저항회로의 다이아그램이다. 상기 제1도 내지 제3도에서 설명한 저항체에 의해 저항회로(C)가 형성된다. 그 저항회로(C)는 소정갯수의 저항소자에 의해 구성되고 각 저항소자에는 제1 내지 제4접속단자들(20a~20d)이 접속된다. 단락부(60)는 과부하가 걸리기 쉬운 고단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저항소자들의 저항치는 저단(1단)에서 고단(4단)으로 갈수록 낮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때문에 미도시한 모우터측으로 접속되는 제1 내지 제4접속단자들(20a~20d)중 어느 하나의 단을 선택하면 원하는 모우터의 회전속도를 얻을 수가 있게 된다. 미도시한 모우터가 구동중 기계적 결함으로 인한 과부하로 과열될시에는 일정온도에서 단락부(60)가 단락된다. 단락부(60)의 단락은 저항회로(C)를 통해 미도시한 모우터측으로 인가되는 전류를 사전차단하게 된다. 이로인해 미도시한 모우터로부터 더이상의 과열발생이 없게 되어 과열로 인한 모우터소손이 없게 된다. 상기 저항회로(C)를 구성하는 저항소자는 도면표시이외에 임의갯수로 변형실시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미도시한 모우터의 회전속도 조정용 단수도 달라지게 됨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저항회로를 갖는 저항체를 방열판과 같이 하우징으로부터 수평으로 위치되게 하여 그 하우징과의 사이에는 사방으로 개구된 통로가 마련되게 하고 있다. 이때문에 냉각팬의 구동모우터를 제어토록 하고져 그 냉각팬의 바람출구부위에 설치할시 저항기의 설치위치를 어느쪽으로 하여도 되는 방향성을 전연갖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로인해 저항기의 부착작업이 편리하게 되는 효과도 있게 된다.
또한 저항기에 구비된 단락부는 저항회로로부터 일정거리를 둔 위치에 독립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로인해 평상시 열발산이 쉽게 실행되는 효과가 있고, 또 모우터의 과부하로 인한 땜납부의 용융시 부산물이 저항회로에 묻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상부에는 넓게된 고정판체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접속단자가 입설된 하우징과, 고정판체상에 설칙되고 접속단자를 통해 모우터측으로의 전류흐름을 제어하여 모우터의 회전속도를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저항회로를 구비한 모우터의 회전속도 조정용 저항기에 있어서, 양측만에 저항회로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방에 수평으로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의 고정판체로부터 이격되여 사방으로 개구된 통로를 마련하는 적어도 4개 이상의 지지각을 갖는 금속판체; 금속판체의 양측에 일체로 접착되어 저항회로를 형성하고, 접속단자와 접속키 위한 적어도 4개 이상의 접속점을 갖는 저항체; 상기 접속단자의 일측단을 절곡하여 형성되며, 그 절곡부가 상기 저항체 및 금속판체를 가지는 지지턱; 및 상기 저항체에 일측이 접속되고 판상의 휴즈스프링과, 상기 휴즈스프링에 접속되어 일정온도에서 용융되는 땜납부로 이루어진 단락유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우터의 회전속도 조정용 저항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체와 저항체와의 사이에는 절연체가 더 접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우터의 회전속도 조정용 저항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체상에는 절연성의 저항체 보호막이 더 도포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우터의 회전속도 조정용 저항기.
KR2019940016016U 1994-06-30 1994-06-30 모우터의 회전속도 조정용 저항기 KR01176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6016U KR0117633Y1 (ko) 1994-06-30 1994-06-30 모우터의 회전속도 조정용 저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6016U KR0117633Y1 (ko) 1994-06-30 1994-06-30 모우터의 회전속도 조정용 저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307U KR960003307U (ko) 1996-01-22
KR0117633Y1 true KR0117633Y1 (ko) 1998-07-15

Family

ID=19387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6016U KR0117633Y1 (ko) 1994-06-30 1994-06-30 모우터의 회전속도 조정용 저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763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243B1 (ko) * 2014-01-06 2015-07-16 동아하이테크 주식회사 팬모터 제어용 레지스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243B1 (ko) * 2014-01-06 2015-07-16 동아하이테크 주식회사 팬모터 제어용 레지스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307U (ko) 1996-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0868Y1 (ko) 송풍기 제어용의 조절장치
US4408244A (en) Circuit safe against overload for varying the amount of power to an electric blower motor
KR900006168A (ko) 자동차 공조기의 송풍기 제어유니트 및 그의 평저항기
EP1077488A2 (en) Thermally efficient motor controller assembly
US5652562A (en) Thermally fused resistor having a portion of a solder loop thermally connected to an electrically insulated portion of an outer surface of the resistor
KR0117633Y1 (ko) 모우터의 회전속도 조정용 저항기
JP2005530478A (ja) 多重負荷の保護及び制御装置
KR0117632Y1 (ko) 모우터의 회전속도 조정용 저항기
US4682208A (en) Transistor protection device
JPH0618805Y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の送風制御装置
JPH0755130Y2 (ja) 自動車用空調機の送風機制御用抵抗器
KR970006431Y1 (ko) 모우터의 회전속도 조정용 저항기
KR0116195Y1 (ko) 모우터의 회전속도 조절용 저항기
KR200143736Y1 (ko) 모우터의 회전속도 조정용 저항기
JPH0538748U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の送風制御装置
JPH09231892A (ja) 温度ヒューズ付き抵抗器
KR20070000769A (ko) 블로워모터용 레지스터
JPH0125689Y2 (ko)
JPH0125690Y2 (ko)
JPH0528721Y2 (ko)
KR920006511Y1 (ko) 자동차 라디에이터 및 콘덴서 냉각휀용 저항기
KR100196325B1 (ko) 송풍기 제어용 저항장치
KR200196291Y1 (ko) 블로워모터 전류제어용 저항소자
JPH0341924Y2 (ko)
KR0124783Y1 (ko) 자동차 송풍기용 모우터 저항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1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