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7355Y1 - 자동차의 앞좌석 젖힘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앞좌석 젖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7355Y1
KR0117355Y1 KR2019940039279U KR19940039279U KR0117355Y1 KR 0117355 Y1 KR0117355 Y1 KR 0117355Y1 KR 2019940039279 U KR2019940039279 U KR 2019940039279U KR 19940039279 U KR19940039279 U KR 19940039279U KR 0117355 Y1 KR0117355 Y1 KR 01173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seat
frame
bottom panel
shock absorbe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92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1414U (ko
Inventor
우창완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400392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7355Y1/ko
Publication of KR9600214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14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73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73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앞좌석 젖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앞좌석의 프레임 저면과 바닥패널 사이에 미리 압축되어진 상태의 쇽업소버를 설치하여서, 사용자가 엔진의 정비나 검사 등을 위하여 상기 앞좌석을 들어올릴 때 이 쇽업소버가 앞좌석을 가압지지하여 주므로써,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상기 앞좌석을 간편하게 들어올릴 수 있는 자동차의 앞좌석 젖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앞좌석 젖힘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앞좌석의 젖힘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젖힘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제3도는 종래 앞좌석의 젖힘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앞좌석 12 : 시트쿠션
20 : 프레임 22 : 지지대
30 : 바닥패널 40 : 잠금장치
50 : 훅 60 : 연장판
70 : 쇽업소버 80 : 엔진
본 고안은 자동차의 앞좌석 젖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앞좌석의 저면과 바닥패널 사이에 쇽업소버를 설치하여서 상기 앞좌석을 보다 편리하게 젖힐 수 있는 자동차의 앞좌석 젖힘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판중인 자동차중 일부 자동차는 엔진이 앞좌석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따라서 이러한 자동차의 엔진 정비시에는 앞좌석을 젖혀서 고정시킨후, 엔진의 정비나 검사 등의 작업을 수행하였다.
여기서, 첨부도면 제3도를 참고하여 종래 이러한 앞좌석 젖힘장치를 살펴보면, 종래 자동차의 앞좌석 젖힘장치는 앞좌석(10)의 시트쿠션(12)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20)의 선단에는 바닥패널(30)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잠금장치(40)에 일측이 걸려있는 훅(50)이 힌지결합되어 있고, 이 프레임(20)의 후단은 바닥패널(30)에 고정되어 있는 연장판(60)의 일선단에 힌지결합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앞좌석 젖힘장치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바닥패널(30)의 잠금장치(40)에 걸려있던 훅(50)을 이 잠금장치(40)로부터 이탈시킨후 앞좌석(10)을 들어올리면, 앞좌석(10)의 프레임(20)은 바닥패널(30)에 고정되어 있는 연장판(60)과의 힌지 결합부를 축으로 회전하게 되어서 상기 앞좌석(10)은 젖혀지게 되는 것이고, 이때 프레임(20)에 힌지연결되어 있는 훅(50)을 자동차 실내 일측에 걸어서 고정시켜 주므로써, 상기 앞좌석(10)의 젖힘은 완료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앞좌석(10)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있는 엔진(80)을 정비하거나 검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앞좌석 젖힘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앞좌석을 들어올릴 때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예컨대, 사용자가 상기 앞좌석(10)을 들어올릴때는 이 앞좌석(10) 자체의 무게도 무거울뿐더러 상기 앞좌석(10)을 들어올리는 자세 또한 상당히 불안정하여 사용자는 이 앞좌석(10)을 들어올릴때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앞좌석의 프레임 저면과 바닥패널 사이에 미리 압축되어진 상태의 쇽업소버를 설치하여서, 사용자가 엔진의 정비나 검사 등을 위하여 상기 앞좌석을 들어올릴 때 이 쇽업소버가 앞좌석을 가압지지하여 주므로써,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상기 앞좌석을 간편하게 들어올릴 수 있는 자동차의 앞좌석 젖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앞좌석(10)의 시트쿠션(12)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20)의 선단에는 바닥패널(30)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잠금장치(40)에 일측이 걸려있는 훅(50)이 힌지결합되어 있고, 이 프레임(20)의 후단은 바닥패널(30)에 고정되어 있는 연장판(60)의 일선단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자동차의 앞좌석 젖힘장치에 있어서, 상기 앞좌석(10)의 프레임(20) 저면과 상기 바닥패널(30) 사이에는 쇽업소버(70)가 힌지결합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구성과 효과를 첨부도면 제1도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앞좌석(10)의 시트쿠션(12)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20)의 선단에는 훅(50)이 힌지결합되어 있고, 이때의 훅(50)은 바닥패널(30)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원터치식 잠금장치(40)에 걸려있으며, 상기 프레임(20)의 선단에는 이훅(50)과는 별도의 지지대(22)가 일체로 형성되어서 바닥패널(30)에 안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20)은 시트쿠션(12)의 후방측으로 바닥패널(30)의 형상에 상응되도록 굴곡되어 연장되어 있고, 이때의 프레임(20) 후단은 일측이 바닥패널(30)에 체결고정되어 있는 연장판(6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이 프레임(20)의 후단부 전면에도 역시 지지대(22)가 일체로 형성되어서 바닥패널(30)에 안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앞좌석(10)은 프레임(20)의 전후단 저면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서 바닥패널(30)에 안치되는 지지대(22)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이 프레임(20)의 전단에 일측이 힌지결합되어 있는 훅(50)은 바닥패널(30)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잠금장치(40)에 걸리게 되어서 결국 상기 앞좌석(10)은 바닥패널(30)에 고정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앞좌석(10)의 프레임(20) 저면에는 일선단이 바닥패널(30)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쇽업소버(70)가 힌지결합되어 있는데, 이때의 쇽업소버(70)는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첨부도면 제2도를 참고하여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사용자가 앞좌석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엔진의 정비나 검사를 위해 이 앞좌석을 젖히게 될 때에는 먼저 바닥패널(30)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잠금장치(40)를 해제하여 앞좌석의 프레임(20) 선단에 힌지연결되어 있는 훅(50)을 상기 잠금장치(40)로부터 이탈시킨후, 상기 앞좌석(10)을 들어올리면, 이 앞좌석(10)은 프레임(20)과 연장판(60)의 힌지연결부를 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쉽게 젖혀지게 된다.
이때, 상기 앞좌석(10)의 프레임(20)과 바닥패널(30)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쇽업소버(70)는 압축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앞좌석(10)을 들어올릴 때 이 쇽업소버(70)는 팽창하면서 앞좌석(10)을 밀어주게 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쇽업소버(70)의 힘에 의해 적은 힘으로도 상기 앞좌석(10)을 쉽게 들어올리게 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앞좌석(10)의 프레임(20) 저면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훅(50)을 회전시켜서 자동차의 실내 일측에 걸어주면, 상기 앞좌석(10)의 젖힘은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엔진(80)의 정비나 검사가 끝난후, 상기 앞좌석(10)을 원위치시킬때는 먼저 자동차의 실내일측에 걸려 있는 훅(50)을 이탈시킨후 앞좌석(10)을 바닥패널(30)측으로 이동시키면, 이 앞좌석(10)은 프레임(20)의 후단과 연장판(60)의 힌지결합부를 축으로 서서히 회전하면서 바닥패널(30)상에 안치된다.
예컨대, 이때의 앞좌석(10)은 프레임(20)과 바닥패널(30) 사이에 설치된 쇽업소버(70)를 이 앞좌석(10)의 자체 하중으로 가압하면서 회전하므로, 결국 상기 앞좌석(10)은 쇽업소버(70)의 완충력에 의해 서서히 바닥패널(30)에 안치되는 것이다.
이어서, 프레임(20)의 전단에 힌지연결되어 있는 훅(50)을 잠금장치(40)에 걸어서 결합시키면, 젖혀있던 앞좌석(10)의 원위치는 쉽게 완료되는 것이다.
물론, 앞좌석(10)을 젖힐 때 상기 쇽업소버(70) 자체는 이 앞좌석(10)을 완전히 들어올리지 못하더라도 사용자가 상기 앞좌석(10)을 들어올릴 때 이를 도와주어 앞좌석(10)을 적은 힘으로도 쉽게 들어올릴 수 있는 것이고,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앞좌석(10)을 원위치 시킬때는 이 앞좌석(10)의 급한 회전을 상기 쇽업소버(70)가 완충시켜 주므로써, 사용자는 앞좌석(10)을 편리하게 원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앞좌석의 프레임 저면과 바닥패널 사이에 압축된 쇽업소버를 설치하여서, 사용자가 상기 앞좌석을 적은 힘으로도 간단하고 편리하게 젖히거나 원위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앞좌석(10)의 시트쿠션(12)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20)의 선단에는 바닥패널(30)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잠금장치(40)에 일측이 걸려있는 훅(50)이 힌지결합되어 있고, 이 프레임(20)의 후단은 바닥패널(30)에 고정되어 있는 연장판(60)의 일선단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자동차의 앞좌석 젖힘장치에 있어서, 상기 앞좌석(10)의 프레임(20) 저면과 상기 바닥패널(30) 사이에는 쇽업소버(70)가 힌지결합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앞좌석 젖힘장치.
KR2019940039279U 1994-12-31 1994-12-31 자동차의 앞좌석 젖힘장치 KR01173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9279U KR0117355Y1 (ko) 1994-12-31 1994-12-31 자동차의 앞좌석 젖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9279U KR0117355Y1 (ko) 1994-12-31 1994-12-31 자동차의 앞좌석 젖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1414U KR960021414U (ko) 1996-07-18
KR0117355Y1 true KR0117355Y1 (ko) 1998-04-27

Family

ID=19405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9279U KR0117355Y1 (ko) 1994-12-31 1994-12-31 자동차의 앞좌석 젖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735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1414U (ko) 199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05898A (en) Convertible seat/bed structure and associated foldable table for pickup trucks and the like
AU753762B2 (en) Automotive double folding tailgate
JPH0355457Y2 (ko)
WO2002047937A3 (en) Stow to floor seat assembly having a cantilevered seat cushion
KR0117355Y1 (ko) 자동차의 앞좌석 젖힘장치
JPH02296535A (ja) キャブリオレーの風よけ装置
US5020708A (en) Outboard motor stand apparatus
CA2133137A1 (en) Folding Auxiliary Seat for Tractor Cab
US5197714A (en) Car lift
KR910004815Y1 (ko) 자동차용 절첩식 시이트의 백시이트 힌지구조
KR200163100Y1 (ko) 승합차용 보조 시트 체결장치
KR100387651B1 (ko) 자동차용 듀얼 리클라이너의 상부 구조
KR900005688Y1 (ko) 차량용 다목적 테이블
KR19990010127U (ko) 승합차 리어시트용 더블 폴딩 장치
JPS6325227Y2 (ko)
KR0134194Y1 (ko) 자동차의 뒷 시트 백 리클라이닝장치
JPH0545550Y2 (ko)
JPH0123860Y2 (ko)
JP2502520Y2 (ja) スペアタイヤキャリア
JPS633538Y2 (ko)
JPS5911797Y2 (ja) 自動車用シ−ト
KR900009328Y1 (ko) 차량용 절첩식테이블
JPH092121A (ja) 自動車のシート支持装置
JPH0331037A (ja) 格納式リアシートの支持構造
CN2098425U (zh) 小型机动车备用车胎安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