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6832Y1 - 자동차 리어 암레스트 부가(附加) 박스 - Google Patents

자동차 리어 암레스트 부가(附加) 박스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6832Y1
KR0116832Y1 KR2019950041002U KR19950041002U KR0116832Y1 KR 0116832 Y1 KR0116832 Y1 KR 0116832Y1 KR 2019950041002 U KR2019950041002 U KR 2019950041002U KR 19950041002 U KR19950041002 U KR 19950041002U KR 0116832 Y1 KR0116832 Y1 KR 01168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rear armrest
armrest
additional box
addi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10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3929U (ko
Inventor
소재원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410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6832Y1/ko
Publication of KR9700339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39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68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68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43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under a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2Seats or parts thereof
    • B60R2011/0014Arm-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리어 암레스트 부가 박스 구조에 관한 것으로, 리어 암레스트)12) 내부에서 전후로 입출되는 부가 박스(14)를 형성하되, 상기 부가 박스(14)는 전면 상부에 손잡이(14c)가 형성된 사물 보관함(14d)과, 상기 사물 보관함(14d)이 입출되는 덮개부(14a)로 구성되고, 그 덮개부(14a)의 밑면은 힌지(16)를 통해 리어 암레스트(12) 후방에 연결된 것으로, 상기 덮개부의 상면 전방 중앙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서, 사물 보관이나 이용을 위하여 상기 공간부에 손을 넣어 상기 부가 박스의 덮개부 상면 전방 중앙지점에 형성된 돌기를 잡아 당기면 부가 박스는 힌지의 운동에 의하여 앞으로 빼내어져 리어 암레스트의 상면에 얹히게 되고, 손잡이를 잡아당기어 사물보관함을 빼낸 후, 물건을 넣거나 꺼내어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가 박스가 필요하지 않을 경우에는 부가 박스를 힌지의 운동에 의하여 공간부에 내장시키고, 리어 암레스트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리어 암레스트가 갖는 사물 보관의 효과외에 별도의 부가 박스가 제공됨으로써, 보다 많은 사물을 편리하게 보관하고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리어 암레스트 부가(附加) 박스
제1도는 종래 자동차 리어 암레스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사사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리어 암레스트 부가 박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리어 암레스트 부가 박스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리어 시트 백,12... 리어 암레스트,
12a... 콘솔 박스,14... 부가 박스,
14a... 덮개부,14b... 돌기,
14c... 손잡이,14d... 사물 보관함,
16... 힌지,18... 공간부,
20... 가이드 리브,22... 가이드 홈.
본 고안은 자동차 리어 암레스트 상면에 부가되어 각종 사물을 별도로 보관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리어 암레스트 부가 박스에 관한 것이다.
첨부도면 제1도는 종래 자동차 리어 암레스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써, 현재 중형차급 이상의 차량 뒷좌석 리어 시트백(10) 중앙에는 리어 암레스트(12)가 내장되어 있어서 필요시 상기 리어 암레스트(12)를 빼내어 팔을 기대거나, 리어 암레스트(12) 내부의 콘솔 박스(12a)에 각종 사물을 넣어 보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콘솔 박스(12a)의 내부 공간이 협소하므로 사물을 충분히 보관시킬 수 없고 특히, 대형 고급 차량의 경우에는 상기 리어 암레스트(12)의 전면부에 리모콘 스위치부가 내장되므로 콘솔 박스(12a)의 내부공간이 더 작아지게 되어 본래의 사물 보관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각종 사물을 충분히 보관시킬 수 있는 자동차 리어 암레스트 부가 박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리어 시트 백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 입출되는 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리어 암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리어 암레스트 내부에서 전후로 입출되는 부가 박스를 형성하되, 상기 부가 박스는 전면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된 사물 보관함과, 상기 사물 보관함이 입출되는 덮개부로 구성되고, 그 덮개부의 밑면은 힌지를 통해 리어 암레스트 후방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리어 암레스트 부가 박스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리어 암레스트 부가 박스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써, 이에 따른 자동차 리어 암레스트 부가 박스는 리어 시트 백(10) 내부에 공간부(18)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18)에 입출되는 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리어 암레스트(12)에 있어서, 상기 리어 암레스트(12) 내부에서 전후로 입출되는 부가 박스(14)를 형성하되, 상기 부가 박스(14)는 전면 상부에 손잡이(14c)가 형성된 사물 보관함(14d)과, 상기 사물 보관함(14d)이 입출되는 덮개부(14a)로 구성되고, 그 덮개부(14a)의 밑면은 힌지(16)를 통해 리어 암레스트(12) 후방에 연결된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사물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 직육면체 형상의 사물 보관함(14d)을 형성하되, 상기 사물 보관함(14d)은 적당한 두께를 갖고, 전면 상부에는 손잡이(14c)가 형성되는 바, 상기 손잡이(14c)는 사물 보관함(14d) 전면 상부와 일체로 돌출물을 형성시키고, 상기 사물 보관함(14d)의 좌·우 양측 중앙부에는 일정 두께의 가이드 리브(20)가 전면에서 후면부까지 돌출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사물 보관함(14d)이 입·출되는 덮개부(14a)를 형성하되, 상기 덮개부(14a)는 적당한 두께를 가지고 좌·우 내측 중앙부에는 상기 사물 보관함(14d)의 가이드 리브(20)가 끼워져서 전·후 왕복운동을 하도록 하는 가이드 홈(22)이 일정한 깊이로서 전면에서 후면부까지 일체로 형성되어 진다. 또한 상기 덮개부(14a) 상면 전방 중앙 지점에는 사각형상의 돌기(14b)가 일체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덮개부(14a) 밑면과 리어 암레스트(12) 후면에는 스크류를 통하여 체결되는 힌지(16)가 연결되어 진다. 또한, 상기 부가 박스(14)는 힌지(16)에 의하여 리어 시트 백(10)의 공간부(18)를 통하여 입·출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작용을 설명한다.
첨부도면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리어 암레스트 부가 박스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써, 리어 암레스트(12)를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부가 박스(14)는 공간부(18)내에 내장되어 있는 상태이고 차량의 승객이 팔을 기대고자 할 때에는 상기 리어 암레스트(12)만 빼내어 사용한다. 이때도 상기 부가 박스(14)는 공간부(18)에 내장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때, 사물 보관이나 이용을 위하여 상기 공간부(18)에 손을 넣어 상기 부가 박스(14)의 덮개부(14a) 상면 전방 중앙지점에 형성된 돌기(14b)를 잡아 당기면 부가 박스(14)는 힌지(16)의 운동에 의하여 앞으로 빼내어져 리어 암레스트(12)의 상면에 얹히게 되고, 손잡이(14c)를 잡아당기어 사물 보관함(14d)을 빼낸 후, 물건을 넣거나 꺼내어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가 박스(14)가 필요하지 않을 경우에는 전술한 바의 역순에 의하여 부가 박스(14)를 힌지(16)의 운동에 의하여 공간부(18)에 내장시키고, 리어 암레스트(12)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리어 암레스트 부가에 의하면 기존의 리어 암레스트가 갖는 사물 보관의 효과외에 별도의 부가 박스가 제공됨으로써, 보다 많은 사물을 편리하게 보관하고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리어 시트 백(10) 내부에 공간부(18)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18)에 입출되는 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리어 암레스트(12)에 있어서,
    상기 리어 암레스트(12) 내부에는 전후로 입출되는 부가 박스(14)를 형성하되, 상기 부가 박스(14)는 전면 상부에 손잡이(14c)가 형성된 사물 보관함(14d)과, 상기 사물 보관함(14d)이 입출되는 덮개부(14a)로 구성되고, 그 덮개부(14a)의 밑면은 힌지(16)을 통해 리어 암레스트(12) 후방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리어 암레스트 부가 박스.
KR2019950041002U 1995-12-14 1995-12-14 자동차 리어 암레스트 부가(附加) 박스 KR01168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1002U KR0116832Y1 (ko) 1995-12-14 1995-12-14 자동차 리어 암레스트 부가(附加)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1002U KR0116832Y1 (ko) 1995-12-14 1995-12-14 자동차 리어 암레스트 부가(附加)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3929U KR970033929U (ko) 1997-07-26
KR0116832Y1 true KR0116832Y1 (ko) 1998-06-01

Family

ID=19433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1002U KR0116832Y1 (ko) 1995-12-14 1995-12-14 자동차 리어 암레스트 부가(附加)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683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3929U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16832Y1 (ko) 자동차 리어 암레스트 부가(附加) 박스
JP3486009B2 (ja) 車両用グローブボックス
JP2001277945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3836808B2 (ja) 車両用小物入れ装置
KR0125002Y1 (ko) 자동차용 도어의 맵포켓
JPH086621Y2 (ja) ベッドスペースの収納装置
KR100211318B1 (ko) 다용도 재털이
KR0139956B1 (ko) 자동차의 도어트림용 디포지트 박스장치
KR0118848Y1 (ko) 자동차의 다용도 콘솔 박스
JP2547720Y2 (ja) センターアームレストの構造
KR19980030635U (ko) 자동차의 시트에 구비된 수납함
JP3538886B2 (ja) 自動車のトリム構造
KR100558410B1 (ko) 자동차용 시트 언더트레이
KR0139020Y1 (ko) 이중 커버를 구비한 차량용 콘솔 박스
KR0119370Y1 (ko) 차량용 시트의 보조포켓장치
JPS6325246Y2 (ko)
KR0122195Y1 (ko) 자동차용 카폰 수납장치
JPH0339315Y2 (ko)
KR100508267B1 (ko)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KR0122939Y1 (ko) 동전수납함 기능을 가진 차량용 재떨이
JPH0234994Y2 (ko)
KR19980036609U (ko) 차량 도어 암 레스트에 설치된 사물함
KR970038549A (ko) 자동차 시트에 설치된 보관함
JP2001163118A (ja) 車両用物入れ装置
KR970036770A (ko) 자동차의 리어시트 팔걸이 수납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