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6467Y1 - 밸브 개폐시기 조절용 캠축 - Google Patents
밸브 개폐시기 조절용 캠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16467Y1 KR0116467Y1 KR2019950007187U KR19950007187U KR0116467Y1 KR 0116467 Y1 KR0116467 Y1 KR 0116467Y1 KR 2019950007187 U KR2019950007187 U KR 2019950007187U KR 19950007187 U KR19950007187 U KR 19950007187U KR 0116467 Y1 KR0116467 Y1 KR 011646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ston
- camshaft
- protrusion
- groove
- plung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02—Valve drive
- F01L1/04—Valve drive by means of cams, camshafts, cam discs, eccentrics or the like
- F01L1/047—Camshaf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4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Abstract
자동차 엔진의 밸브의 개폐시간을 조절하는 가변밸브 개폐장치를 형성함에 있어서 플런져를 삭제하여 부품을 줄이고, 피스톤의 강성을 높여 장치의 파손을 방지 할 수 있는 밸브 개폐시기 조절용 캠축을 구비함으로 생산원가를 절감하고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 시켰다.
Description
제1도는 종래의 사용 상태도.
제2도는 제1도의 A부분의 상세도.
제3도의 (가)도는 B-B의 단면도 이며, (나)도는 C-C의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상세도.
제5도의 (가)도는 D-D의 단면도 이며, (나)도는 E-E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피스톤 1a : 돌출부
1b : 미끄럼돌출부 1c : 키홈
2 : 실린더 2a : 삽입홈
3a : 미끄럼홈 4 : 스프링
본 고안은 자동차 엔진의 밸브를 열고 닫는 캠축에 관한 것으로, 밸브의 개폐시간을 엔진의 조건에 따라 조절 할 수 있도록 한 밸브 개폐시기 조절용 캠축에 관한 것이다.
엔진에서 밸브의 개폐시기는 엔진출력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므로 흡기과정에 있어서는 최대한 많은 공기를 흡입하여야 하고 배기시에는 최대한으로 배기가스를 배출 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압축효율을 높이고 폭발력을 최대한 기계에너지로 전환할 수 있도록 밸브 개폐 시기를 설정 하여 구성 하였다.
그러나 엔진의 속도가 고속이 되면 흡기 과정에 있어서 공기의 마찰저항으로 인하여 공기의 흡입량이 적어지고, 배기효율도 급격히 떨어져 액셀레이터를 아무리 밟아도 엔진출력 증가의 한계에 이르고 만다.
이상과 같이 공기의 마찰저항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 1, 2, 3, 도에 도시된 도면과 같이 솔로네이드밸브(25)의 작동에 따른 오일압력과 스프링(26)의 복원력에 의하여 직선이동을 하는 플런져(22)와 상기 플런져(22)에 반피치만 형성된 암나사부(22a)에 수나사부(21b)가 삽입되어 플런져(22)의 직선이동에 의하여 회동하는 피스톤(21)이 구동캠축(20)의 저녈부에 형성된 실린더(24)에 삽입되어 있다.
종동캠축(30)에는 피스톤(21)의 돌출부(21a)가 삽입되어 일정량만 회동 할 수 있도록 원형의 삽입홈(31)을 형성하고 삽입홈(31) 양끝 저면에는 돌출부(21a)가 걸려 종동캠축(30)의 작동을 제어하는 각각의 걸림홈(31a)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엔진의 회전수가 증가하여 흡기효율과 배기효율이 저하되면 엔진의 컨트롤러가 이를 감지하여 솔로네이드밸브(25)를 열어 플런져(22)에 걸리는 압력을 상쇄시켜 플런져(22)가 스프링(26)의 복원력에 의하여 직선이동을 한다.
플런져(22)가 직선 이동을 하면 플런져(22)에 구속된 피스톤(21)은 일정량의 직선이동을 하여 걸림홈(31a)에서 돌출부(21a)를 이탈시키고 회동하며, 피스톤(21)의 회동이 완료되면 컨트롤러가 솔로네이드밸브(25)를 닫다 플런져(22)에 압력을 가하여 걸림홈(31a)에 돌출부(21a)를 삽입 시키므로 밸브의 개폐시기를 조절하여 엔진 효율을 증대 시킨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구성은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단가 상승의 원인이 되고, 돌출부(21a)의 강성이 약하여 파손되는 문제점이 제기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플런져를 삭제하고 피스톤의 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구성을 제공함을 본 고안의 목적으로 한다.
이하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와 5도에 도시된 도면과 같이 구동캠축(20)의 저널부(23)에 형성한 실린더(2)에 삽입되어 유압과 스프링(4)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실린더(2)에 형성한 키(2a)에 키홈(1c)이 끼워져 직선이동을 하는 피스톤(1)과 종동캠축(30)에 상기 피스톤(1)의 돌출부(1a)가 삽입되는 삽입홈(3)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3)은 양벽면에 돌출부(1a)의 양 원주상에 전방으로 일정한 경사를 가진 미끄럼돌출부(21b)가 삽입되어 미끄럼접촉을 하는 미끄럼홈(3a)을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하 작용과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피스톤(1)은 솔로네이드밸브(25)가 닫혀 압력이 작용할 때에는 종동캠축(30)의 삽입홈(3)에 삽입되어 있다가 솔로네이드밸브(25)가 열려 압력이 상실되면 피스톤(1)이 직선으로 삽입홈(3)에서 빠져 나오면서 미끄럼돌출부(1b)의 경사각 만큼 종동캠축(30)의 회전각을 늦추어 밸브의 개폐시기를 조절함으로 흡기효율과 배기효율을 향상 시킨다.
이와 같이 플런져(22)를 삭제함으로서 재료비를 절감하고 종동캠축(30)을 구동하는 피스톤(1)의 강성을 높임으로 제품의 파손으로 인한 고장을 방지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 자동차 엔진의 가변밸브 개폐장치를 형성함에 있어서; 구동캠축(20)의 저널부(23)에 형성한 실린더(2)에 삽입되어 유압과 스프링(4)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실린더(2)에 형성한 키(2a)에 키홈(1c)이 끼워져 직선이동을 하는 피스톤(1)과 종동캠축(30)에 상기 피스톤(1)의 돌출부(1a)가 삽입되는 삽입홈(3)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3)은 양벽면에 돌출부(1a)의 양 원주상에 전방으로 일정한 경사를 가진 미끄럼돌출부(21b)가 삽입되어 미끄럼접촉을 하는 미끄럼홈(3a)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개폐시기 조절용 캠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50007187U KR0116467Y1 (ko) | 1995-04-12 | 1995-04-12 | 밸브 개폐시기 조절용 캠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50007187U KR0116467Y1 (ko) | 1995-04-12 | 1995-04-12 | 밸브 개폐시기 조절용 캠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34853U KR960034853U (ko) | 1996-11-21 |
KR0116467Y1 true KR0116467Y1 (ko) | 1998-04-21 |
Family
ID=19411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50007187U KR0116467Y1 (ko) | 1995-04-12 | 1995-04-12 | 밸브 개폐시기 조절용 캠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16467Y1 (ko) |
-
1995
- 1995-04-12 KR KR2019950007187U patent/KR011646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34853U (ko) | 1996-11-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669563B2 (en) | Variable valve control apparatus | |
US4856465A (en) | Multidependent valve timing overlap control for the cylinder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KR20010024839A (ko) | 엔진밸브작동제어시스템 | |
EP0640749A1 (en) | Device for controlling a valve timing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CN1386171A (zh) | 内齿轮泵 | |
KR20010043542A (ko) | 샤프트의 위상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장치 | |
KR0116467Y1 (ko) | 밸브 개폐시기 조절용 캠축 | |
US4587934A (en) | Variable-timing valve actuating mechanism | |
JP3420661B2 (ja) | 可変動弁機構 | |
JP4049092B2 (ja) | 動弁装置 | |
JP4260743B2 (ja) | レシプロエンジン用流体圧弁アクチュエータ | |
US20040050353A1 (en) | Variable duration camshaft | |
JP2008038753A (ja) | 内燃機関の圧縮比可変装置 | |
JPS6131159Y2 (ko) | ||
JP2009215889A (ja) |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 |
KR20040050307A (ko) | 차량의 베인형 연속 가변 밸브 타이밍 장치의 진각 보상장치 | |
KR100222491B1 (ko) | 가변 밸브 타이밍 구조 | |
CN100443696C (zh) | 内燃机 | |
JPS6010181B2 (ja) | 分配型燃料噴射ポンプ | |
JP2000009054A (ja) | 歯車ポンプおよび燃料供給装置と歯車モータ | |
KR102143387B1 (ko) | 가변 캠 기구 | |
KR0179300B1 (ko) | 자동차의 밸브 리프트 기구 | |
JPH08511597A (ja) | 制御された可変圧縮比内燃機関 | |
KR100375601B1 (ko) | 브이형 엔진의 선택적 캠축 구동장치 | |
KR100245878B1 (ko) | 엔진의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10116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