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5832Y1 - 조립식 건축물의 복합 와이어 패널 연결구 - Google Patents

조립식 건축물의 복합 와이어 패널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5832Y1
KR0115832Y1 KR2019940009513U KR19940009513U KR0115832Y1 KR 0115832 Y1 KR0115832 Y1 KR 0115832Y1 KR 2019940009513 U KR2019940009513 U KR 2019940009513U KR 19940009513 U KR19940009513 U KR 19940009513U KR 0115832 Y1 KR0115832 Y1 KR 01158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wire
wire panel
panel
link memb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95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0582U (ko
Inventor
곽병상
Original Assignee
곽병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병상 filed Critical 곽병상
Priority to KR20199400095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5832Y1/ko
Publication of KR9500305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05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58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58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04B1/6116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locking means on lateral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건축물에 사용되는 복합 와이어 패널간에 상호 결합하기 위한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복합 와이어 패널 연결구는 내부에 설치된 쐐기(15)의 둘레에 중공부(13)가 형성되고, 일면에 구멍(11)이 일체로 형성된 홀딩케이스(10)를 상기 복합 와이어 패널 제작시, 복합 와이어 패널(20)의 가장자리에 복수개로 배열시켜 제작한 복합 와이어 패널(20)을 건물에 조립할 때,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복합 와이어 패널(20)의 가장자리부에 서로 인접되게 배열된 상기 홀딩 케이스(10)의 구멍(11)속으로 한쌍의 분할핀(31)이 대칭되게 배열된 링크 부재(30)를 위치시킨 뒤, 상기 링크 부재(30)를 상기 구멍(11)속으로 소정압력을 가하여 상기 쐐기(15)에 의해 상기 분할핀(31)이 양측으로 절곡되도록 하여 상기 중공부(13)에 밀착 고정됨으로써 서로 이웃한 상기 복합 와이어 패널(20)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는 링크 부재를 통하여 이웃하게 배열되는 상하 좌우의 복합 와이어 패널을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합 와이어 패널의 조립공정을 현저하게 앞당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건축물의 복합 와이어 패널 연결구
제1도는 조립식 건축물의 복합 와이어 패널에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복합 와이어 패널 연결구를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요부 절개 사시도이다.
제3a도 및 제3b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복합 와이어 패널 연결구가 설치된 상태의 전과 후를 도시하는 요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홀딩 케이스 11 : 구멍
15 : 쐐기 20 : 복합 와이어 패널
30 : 링크 부재 31 : 분할핀
본 고안은 조립식 건축물에 사용되는 복합 와이어 패널(Complex Wire Panel)을 상호 결합하는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 특히, 고층건물 신축시 복합 와이어 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공법을 시공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조립식 건축물에 사용되는 복합 와이어 패널을 시공중인 건축물에 결합할 때, 상하 좌우로 서로 이웃하게 위치되는 복합 와이어 패널들을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복합 와이어 패널 연결구조를 간단히 살펴보면, 내부에 철근 등으로 보강되고 콘크리트 거푸집에 소정두께로 콘크리트를 충진하여 양생된 복합 와이어 패널을 타워 크레인 또는 기중기 등으로 들어 올려 시공중인 건축물의 외벽에 위치시킨 뒤, 상기 건축물에 부설된 체결 브라켓트에 복합 와이어 패널의 내측벽에 내측으로 돌출된 체결고리를 볼트 등으로 나사결합하여 와이어 패널을 건축물에 부착한다. 이와 같은 작업과정으로 신축중인 건축물의 외부에 상하 좌우로 배열하여 복합 와이어 패널을 조립한다. 이때, 건축물의 외측에 결합되어지는 복합 와이어 패널은 상하 좌우에 인접한 복합 와이어 패널간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서로 견고히 결합시키는 작업이 병행된다.
따라서, 이웃한 복합 와이어 패널들을 서로 결합하기 위하여 복합 와이어 패널의 가장자리에 그 내측으로 돌출된 금속편에 금속판재를 덧대어 용접함으로써 복합 와이어 패널들을 서로 연결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복합 와이어 패널 조립공법의 경우, 상기 복합 와이어 패널을 신축중인 건축물의 외벽에 기중기 등으로 들어올린 상태로 충분히 결합되어질 때까지 들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며, 또한 이웃한 복합 와이어 패널들을 서로 연결해야 하므로 고가 장비인 기중기 등을 효율적으로 운영하지는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용접작업으로 와이어 패널들을 상호 연결하는 작업공정 역시 매우 많은 시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아니라 하더라도 복합 와이어 패널의 조립시 더욱 손쉽고 용이하게 와이어 패널을 연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신축중인 건물의 외부에 복합 와이어 패널을 조립하는 과정에 상하 좌우로 이웃하게 배열되어지는 복합 와이어 패널들을 서로 연결함에 있어 보다 손쉽고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는 조립식 건축물의 복합 와이어 패널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목적에 따른 복합 와이어 패널 연결구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요소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참조하면, 제1도를 복합 와이어 패널에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를 채용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연결구는 복합 와이어 패널에 내장된 홀딩 케이스(10)와 상기 홀딩 케이스(10)속으로 삽입되어 상기 복합 와이어 패널(20)을 상호 연결하는 링크 부재(30)로 구성되어 있다.
제2도를 참조하면,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복합 와이어 패널 연결구를 확대하여 도시한 요부 사시도로서, 설명에 명료성을 기하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절결하여 도시하였다.
제2도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홀딩 케이스(10)는 전면에 구멍(11)이 형성되어 있으며, 나머지는 금속으로 둘러 쌓인 밀폐체로서 내부가 빈 중공부(13)속에 상기 구멍(11)쪽으로 경사진 쐐기(1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링크 부재(3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판상체로서, 상기 판상체의 일측면에 수직하게 형성된 한쌍으로 이루어진 분할핀(31)이 일정거리로 이격되게 대칭되게 배열되어 있다. 상기 분할핀(31)은 그 폭(W)이 상기 구멍(11)의 폭(W1)보다 동일하거나 작게 설계되어 있으며, 길이(L)는 상기 쐐기(15)와 홀딩 케이스(10)의 길이(L1)와 동일 유사하게 설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분할핀(31)의 끝단에는 일체로 형성된 톱니형태의 요철(33)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복합 와이어 패널 연결구에 따른 작용예와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a도 및 제3b도를 참조하면, 제3a도 및 제3b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복합 와이어 패널 연결구를 통해 서로 인접한 복합 와이어 패널들을 연결하는 상태를 수직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요부 단면도로서, 제3a도는 홀딩 케이스에 링크 부재가 결합되기 전 상태이며, 제3b도는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참고로,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 중 홀딩 케이스(10)는 복합 와이어 패널 제작시 그 가장자리부에 일정간격으로 구멍(11)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열한 뒤,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되게 되므로 상기 홀딩 케이스(10)는 복합 와이어 패널에 내장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복합 와이어 패널(20)은 신축중인 건물에 조립할 때, 제3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게 위치되어지는 복합 와이어 패널(20)에 내장된 홀딩 케이스(10)가 서로 인접되게 위치되어 링크 부재(30)에 의해 연결되어지게 된다. 서로 인접한 홀딩 케이스(10)를 연결할 경우, 상기 링크 부재(30)의 각각의 분할핀(31)을 각각의 구멍(11)속으로 삽입한 뒤, 망치 등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링크 부재(30)를 때려 박는다. 이때, 한쌍으로 이루어진 상기 분할핀(31)은 상기 분할핀(31) 사이에 위치한 쐐기(15)에 의해 양측으로 분할되어 상기 홀딩 케이스(10)의 내벽쪽으로 휘어져 끝단이 말려지게 된다.
이와 같이 서로 이웃한 상기 홀딩 케이스(10) 중공부(13)속에 분할핀(31)이 위치되어 링크 부재(30)가 견고히 결합됨으로써 상하 좌우로 인접한 복합 와이어 패널이 서로 견고히 연결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패널 연결구는 그 용도가 복합 와이어 패널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고 일반적인 건축물 조립식 패널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복합 와이어 패널 연결구는 신축 건물에 링크 부재를 통해 이웃하게 배열되는 복합 와이어 패널을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복합 와이어 패널의 조립공정을 현저하게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Claims (1)

  1. 링크 부재를 통하여 복수개의 복합 와이어 패널을 상호 연결하는 조립식 건축물의 복합 와이어 패널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복합 와이어 패널의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링크 부재(30)를 고정할 수 있는 홀딩케이스(10)가 배열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설치된 상기 홀딩 케이스(10)는 쐐기(15)의 둘레에 중공부(13)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13)를 개방하도록 일면에 구멍(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링크 부재(30)는 상기 홀딩 케이스(10)의 구멍(11)속으로 삽입된 후, 소정의 압력에 의해서 상기 쐐기(15)와 부딛혀 양측으로 절곡되는 한쌍의 분할핀(31)과 상기 한쌍의 분할핀(31)과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다른 한쌍의 분할핀(3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의 복합 와이어 패널 연결구.
KR2019940009513U 1994-04-30 1994-04-30 조립식 건축물의 복합 와이어 패널 연결구 KR01158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9513U KR0115832Y1 (ko) 1994-04-30 1994-04-30 조립식 건축물의 복합 와이어 패널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9513U KR0115832Y1 (ko) 1994-04-30 1994-04-30 조립식 건축물의 복합 와이어 패널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582U KR950030582U (ko) 1995-11-20
KR0115832Y1 true KR0115832Y1 (ko) 1998-04-22

Family

ID=19382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9513U KR0115832Y1 (ko) 1994-04-30 1994-04-30 조립식 건축물의 복합 와이어 패널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583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582U (ko) 1995-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37390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柱梁の接合構造およびこの接合構造を含んだ架構構造、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柱梁の接合方法
KR0115832Y1 (ko) 조립식 건축물의 복합 와이어 패널 연결구
KR200357642Y1 (ko) 인코너판넬 보강구조
JPH09165864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及びその接合方法
JP3820292B2 (ja) 建物ユニット用連結具
KR100727383B1 (ko) 조립식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KR0137603Y1 (ko) 조립식 패널
JPH06158736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の接合構造
JP3539697B2 (ja) フック継手をもつセグメント
JP3177730B2 (ja) 構造物の補強構造
KR102581632B1 (ko) 천장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
JP3854987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パネル構造物
KR100504229B1 (ko) 거푸집 시스템
JPH11310965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および該部材からなる構造体
JPS6336102Y2 (ko)
JP2725014B2 (ja) 地下室等のpcコンクリートパネル
JP3877421B2 (ja) 床パネル及び建物ユニット
JPH1181454A (ja) 柱と梁の結合構造
JP3772758B2 (ja) 柱と梁のコーナー連結具
JPH022810Y2 (ko)
KR100196532B1 (ko) 건축물의 개구부틀
JPH11190096A (ja) 合成セグメント構造
JPH0248539Y2 (ko)
JP2742029B2 (ja) 屋根構造
JPH03151429A (ja) 型枠付鉄筋先組梁及び型枠付鉄筋先組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