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5813Y1 - 수중 펌프용 이물질 걸름망이 부설된 수량조절구 - Google Patents

수중 펌프용 이물질 걸름망이 부설된 수량조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5813Y1
KR0115813Y1 KR2019950046309U KR19950046309U KR0115813Y1 KR 0115813 Y1 KR0115813 Y1 KR 0115813Y1 KR 2019950046309 U KR2019950046309 U KR 2019950046309U KR 19950046309 U KR19950046309 U KR 19950046309U KR 0115813 Y1 KR0115813 Y1 KR 01158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blocking plate
fixture
water
foreign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63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1841U (ko
Inventor
문동철
Original Assignee
문동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동철 filed Critical 문동철
Priority to KR20199500463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5813Y1/ko
Publication of KR9700418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18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58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58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8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specially for liquid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중펌프의 흡입구측에 결합하여 이물질이 수중펌프의 흡입구에 유입되는 것을 걸름망으로 걸른 다음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도록 하는데 유입구는 필요에 따라 개폐 조정할 수 있게 하여 물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수중펌프(P)의 흡입구측에 등간격으로 유입구(31)와 차단판(33)을 갖는 고정구(30)를 결합하고 고정구(30)에 대응하여 그 전면에 유입구(21)와 차단판(23)을 갖는 조절구(20)를 결합한 다음 다수의 걸름구(11)가 형성된 걸름망(10)을 결합하여 이물질이 걸러지게 하면서 걸름망(10)의 좌우 이동에 의하여 조절구(20)의 유입구(21)와 차단판(23)이 움직여 고정구(30)의 유입구(31)와 차단판(33)을 교차시키므로 각기 차단판(23)(33)으로 유입구(21)(31)를 차폐시키면서 수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중 펌프용 이물질 걸름망이 부설된 수량조절구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이 수중 펌프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수량 조절상태를 보인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10 : 걸름망
11 : 걸름구 12 : 눈금
13 : 홈 14 : 결삽홈
20 : 조절구 21 : 유입구
22 : 돌턱 23 : 차단판
24 : 결합대 25 : 결합홈
30 : 고정구 31 : 유입구
33 : 차단판 34 : 결합대
35 : 기준금 36 : 결합홈
P : 수중펌프
본 고안은 수족관 및 분수대 그리고 수경재배기등에 설치되는 수중펌프용 이물질 걸름망이 부설된 수량 조절구에 관한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수중펌프의 흡입구측에 결합하여 이물질이 수중펌프의 흡입구에 유입되는 것을 걸름망으로 걸른 다음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도록 하는데 유입구는 필요에 따라 개폐 조정할 수 있게 하여 물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수중펌프는 펌프내에 회전자와 임펠러를 회전시키므로 물의 흡입구를 통해 흡인하여 토출구 측으로 물을 토출시키는데 수중펌프에 있어 유입되는 물에서 이물질을 걸러 주는 것을 수중펌프의 수명과 성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며 출원인의 선고안된 수중펌프용 이물질 걸름구(공고번호 93-2824)에서도 잘 나타내고 있다.
즉 수중에 이물질과 미생물등에 의해 물의 흡입구를 차폐 시키므로 수중펌프의 성능이 저하되고 심각한 경우 펌프의 동작을 중단시켜 소손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도 있으며, 분수대와 같이 물의 유입량이 일정하여야 하는데 이물질이 분수대의 중간을 차단시키게 되면 분수대의 물줄기가 갈라지면서 불균일하게 분수되므로 아름다운 물줄기를 볼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수족관의 경우 수중펌프이기 때문에 동작되는 상태를 볼 수 없으므로 수중펌프가 회전을 멈추게 되면 물을 유동시켜 대기중의 산소를 물에 용존시키는데 펌프의 동작을 멈추므로 물고기가 산소공급 부족으로 폐사하는 경우도 발생될 수 있으므로 수중펌프를 3-4개월 정도의 주기로 수중펌프를 청소하여야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소형 수중펌프에 있어 물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것은 분수대의 경우 다양한 구조와 크기를 가지므로 분수대에 따라 각기 수중펌프를 제작하기는 난해한 문제가 따르기 때문에 물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흔히 사용되는 수족관의 경우 물고기의 움직임에 활성화와 함께 물속에 산소용존량을 높이기 위해 물속에 물의 흐름을 주고 이와함께 대기중의 산소와 물의 접촉을 높여 수중 산소용존량을 증대시키므로 물고기의 호흡을 도와 주게 되는데 여기에서도 물고기의 산란중에는 유속을 느리게 해 주어야 한다거나 물의 흐름이 빠른 것을 싫어하는 어종의 경우에도 적절한 물의 토출량의 조절이 필요하다.
이러한 점들에 대하여 종래에는 별도의 걸름망을 설치하여 수량 조절기능을 갖는 수중펌프를 사용할 수 있으나 비교적 고가이므로 설치비용이 증대되고 일반 수중펌프는 보편적으로 수량조절기능을 갖지 않아 수량조절이 불가능한 점등의 각기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단순한 구조로 일반 수중펌프의 유입구에 설치하므로 이물질을 제거하여 펌프의 효율을 높이면서 전기 소모를 감소시키고, 용도에 따라 물의 토출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고안한 것이다.
위의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반 수중펌프의 흡입구측에 유입구와 차단판을 갖는 고정구를 결합하고 고정구의 전면에 다시 유입구와 차단판을 갖는 조절구를 결합한 다음 조절구에 걸름구가 형성된 걸름망을 결합하여 이물질을 걸러지게 하면서 걸름망의 좌우 이동에 의하여 고정구의 유입구와 차단판 그리고 조절구 유입구와 차단판이 교차되면서 유입구를 차폐시켜 수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중펌프(P)의 흡입구측에 등간격으로 유입구(31)의 차단판(33)을 갖는 고정구(30)를 결합하고 고정구(30)에 대응하여 그 전면에 유입구(21)와 차단판(33)을 갖는 조절구(20)를 결합한다음 다수의 걸름구(11)가 형성된 걸름망(10)을 결합하여 이물질이 걸러지게 하면서 걸름망(10)의 좌우 이동에 의하여 조절구(20)의 유입구(21)와 차단판(23)이 움직여 고정구(30)의 유입구(31)와 차단판(33)을 교차시키므로 각기 차단판(23)(33)으로 유입구(21)(31)를 차폐시키면서 수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걸름망(10)의 외주에 눈금(12)을 표시하고 홈(13)이 형성된 결삽홈(14)에 돌턱(22)과 결합대(24)를 결합하여 홈(13)과 돌턱(22)의 결합에 의해 걸름망(10)과 조절구(20)가 같이 움직이게 한다음 고정구(30)의 전면에 기준금(35)이 표시된 결합대(34)가 조절구(20)의 결합홈(25)에 결합되어 걸름망(10)의 좌우 이동으로 기준금(35)에 눈금(12)의 이동으로 유입구(21)(31)의 개폐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유입구(21)와 차단판(23)을 갖는 조절구(20)와 이에 대응하여 유입구(31)와 차단판(33)을 갖는 고정구(30)를 결합하여 조정구(20)의 좌우회전에 의해 각기 유입구(31),(21)와 차단판(33)(23)이 교차되면서 유입구(31)(21)가 개폐되도록 하여 수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일반 수중펌프(P)의 흡입구측에 설치하여 수중펌프(P)의 동작으로 물이 흡인되어 토출구측으로 토출되는데 흡인되는 물은 1차 걸름망(10)의 걸름구(11)에 의하여 이물질이 걸려져 다시 조절구(20)의 유입구(21)와 고정구(30)의 유입구(31)를 통하여 수중펌프(P)측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때 물의 토출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고정구(30)의 결합홈(36)은 수중펌프(P)의 흡입구측에 억지끼워 결합함으로 고정된 상태가 되어 움직이지 않는 상태가 되며 조절구(20)는 걸름망(10)의 홈(13)과 돌턱(22)이 결삽홈(14)과 결합대(24)로 결합이 이루어져 조절구(20)와 걸름망(10)이 같이 움직이도록 되며 조절구(20)의 결합홈(25)과 고정구(30)의 결합대(34)가 좌우로 유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등간격으로 형성된 고정구(30)의 유입구(31)와 차단판(33)에 대응하여 결합된 조절구(20)의 유입구(21)와 차단판(23)이 걸름망(10)의 좌우 이동에 따라 각기 유입구(31).(21)와 차단판(33).(23)이 차폐와 개방이 이뤄지므로서 수량조절이 이뤄지게 되며 유입구(31).(21)와 차단판(33).(23)의 개방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게 기준금(35)와 눈금(12)으로 표시하여 이를 기준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이물질 걸름망이 부설된 수량조절구는 간단한 구조로 일반 수중펌프에 설치되도록 하여 수중펌프의 동작에 장애가 되는 이물질의 유입을 차폐시키므로 펌프의 효율을 높이며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물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한 고안이다.

Claims (3)

  1. 수중펌프(P)의 흡입구측에 등간격으로 유입구(31)의 차단판(33)을 갖는 고정구(30)를 결합하고 고정구(30)에 대응하여 그 전면에 유입구(21)와 차단판(23)을 갖는 조절구(20)를 결합한다음 다수의 걸름구(11)가 형성된 걸름망(10)을 결합하여 이물질이 걸러지게 하면서 걸름망(10)의 좌우 이동에 의하여 조절구(20)의 유입구(21)와 차단판(23)이 움직여 고정구(30)의 유입구(31)와 차단판(33)을 교차시키므로 각기 차단판(23)(33)으로 유입구(21)(31)를 차폐시키면서 수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펌프용 이물질 걸름망이 부설된 수량조절구.
  2. 제 1항에 있어서, 걸름망(10)의 외주에 눈금(12)을 표시하고 홈(13)이 형성된 결삽홈(14)에 돌턱(22)과 결합대(24)를 갖는 조절구(20)를 결합하여 홈(13)과 돌턱(22)의 결합에 의해 걸름망(10)과 조절구 (20)가 같이 움직이게 한다음 고정구(30)의 전면에 기준금(35)이 표시된 결합대(34)가 조절구(20)의 결합홈(25)에 결합되어 걸름망(10)의 좌우 이동으로 기준금(35)에 눈금(12)의 이동으로 유입구(21).(31)의 개폐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펌프용 이물질 걸름망이 부설된 수량조절구.
  3. 제1항에 있어서, 유입구(21)와 차단판(22)을 갖는 조정구(20)와 이에 대응하여 유입구(31)와 차단판(33)을 갖는 고정구(30)를 결합하여 조절구(20)의 좌우 회전에 의해 각기 유입구(31).(21)와 차단판(33).(23)이 교차되면서 유입구(31).(21)가 개폐되도록 하여 수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펌프용 이물질 걸름망이 부설된 수량조절구.
KR2019950046309U 1995-12-20 1995-12-20 수중 펌프용 이물질 걸름망이 부설된 수량조절구 KR01158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6309U KR0115813Y1 (ko) 1995-12-20 1995-12-20 수중 펌프용 이물질 걸름망이 부설된 수량조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6309U KR0115813Y1 (ko) 1995-12-20 1995-12-20 수중 펌프용 이물질 걸름망이 부설된 수량조절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1841U KR970041841U (ko) 1997-07-29
KR0115813Y1 true KR0115813Y1 (ko) 1998-04-22

Family

ID=19437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6309U KR0115813Y1 (ko) 1995-12-20 1995-12-20 수중 펌프용 이물질 걸름망이 부설된 수량조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581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4903A (ko) * 2001-11-02 2002-01-16 김동훈 양수기 흡입 여과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1841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8879B2 (en) Fluid strainer assembly
US5728293A (en) External filter assembly for aquariums
US4944871A (en) Filtering device
US6054045A (en) Skimmer filters for ponds
US4545905A (en) Filter backwash water saver and water filter to clean swimming pool filter
DE60204790D1 (de) Überlaufkammer
US7731841B1 (en) Flow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artificial ponds
KR0115813Y1 (ko) 수중 펌프용 이물질 걸름망이 부설된 수량조절구
US1140608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ment and filtration of water
CN108126387B (zh) 组合式阀门
US6527949B1 (en) Landscaping pond system
CN110122407A (zh) 一种鱼池或鱼缸过滤系统
US20100102010A1 (en) Vortex generator for a fluid filter
KR102377786B1 (ko) 수족관용 유출입부재 및 이 유출입부재를 구비한 순환여과식 수족관
KR101330560B1 (ko) 양식장의 급수 시스템
ATE166795T1 (de) Rückspülbare filtereinrichtung
JP3391726B2 (ja) 水槽用濾過装置
CN214962039U (zh) 一种外置式背滤盒
JP2007296489A (ja) 水表面浮遊物除去用器具及び除去装置
JP4069131B2 (ja) 水槽
CN217627838U (zh) 一种高效阻垢反渗透净水器
KR930002824Y1 (ko) 수중펌프용 이물질 걸름구
CN215836600U (zh) 一种鱼缸油膜过滤器
CN208865299U (zh) 一种兜兰浇灌用水净化装置
KR200156986Y1 (ko) 용수 조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8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