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824Y1 - 수중펌프용 이물질 걸름구 - Google Patents

수중펌프용 이물질 걸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824Y1
KR930002824Y1 KR2019910004366U KR910004366U KR930002824Y1 KR 930002824 Y1 KR930002824 Y1 KR 930002824Y1 KR 2019910004366 U KR2019910004366 U KR 2019910004366U KR 910004366 U KR910004366 U KR 910004366U KR 930002824 Y1 KR930002824 Y1 KR 9300028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submersible pump
present
pump
foreign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43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8290U (ko
Inventor
문동철
Original Assignee
문동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동철 filed Critical 문동철
Priority to KR20199100043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2824Y1/ko
Publication of KR9200182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82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8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8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8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specially for liquid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중펌프용 이물질 걸름구
제1도는 본 고안 걸름구의 분리 상태와 수중펌프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걸름구의 종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걸름체와 지지체의 다른 결합 실시예를 나타낸 측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걸름구 2 : 수중펌프
10 : 지지체 11 : 결삽공
12 : 돌륜부 13 : 결삽부
W : 주면폭 20 : 걸름체
20a : 내부공간 21 : 삽입공
22,22a : 통과공 23,23a : 걸름대
24 : 걸림턱
본 고안은 주로 수족관내에 설치되는 수중펌프의 유입구에 착탈되는 이물질 걸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중펌프는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용수가 유입구로 유입된 후 토출구로 토출된다. 따라서 유입구내로 이물질이 들어갈 경우 임펠러의 동작 방해는 소형 크기의 수중 펌프일수록 더욱 심각한 결점으로 대두되었고, 이와같이 이물질에 의해 임펠러가 정지되면 수중펌프 자체에 부하가 발생될 뿐 아니라 그 부하에 의해 모타가 타 버리므로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중펌프에 분수대등을 부설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수중펌프를 통해 이물질이 분수대로 투입되어 분수대의 출구를 막아버리거나 또는 분수대로부터 분사되는 물줄기의 확산을 방해하므로서 분수물줄기가 균일하고 고르게 확산되지 않게하는 주 요인이 되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수중펌프의 유입구에 걸름망등을 설치하여 이물질이 수중펌프내로 유입되는 것을 사전 예방하였으나, 이는 단순한 걸름망에 지나지 않을뿐만 아니라 걸름망 자체가 유입구와 근접되어 있으므로 수중펌프내로 유입되는 용수의 흐름을 방해하므로서 펌프의 능력이 저하되는 결점이 있었고, 또한 걸름망의 걸름면적이 적어 이물질의 누적 현상이 초래되므로서 자주 소제를 해주지 않으면 펌프의 유입구가 막혀 버리는 문제점 및 빈번한 소제작업에 따른 번잡, 불편한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었다.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수중펌프의 유입구로 유입되는 용수의 흐름을 전혀 방해하지 않고도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수중펌프용 이물질 걸름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목적은 설치가 용이하고 길이를 가감할 수 있는 이물질 걸름구를 제공함으로써 펌프의 설치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설치 가능하게 하려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수중펌프의 유입구에 끼워설치되는 지지체와 이 지지체에 끼워지는 걸름체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걸름구는 내부공간과 걸름면적을 크게 갖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1도는 본 고안의 걸름구(1)와 수중펌프(2)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걸름구(1)는 지지체(10)와 걸름구(20)로 분리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체(10)는 중앙에 결합공(11)이 뚫여 있고 이 결삽공(11) 외측에는 돌륜부(12)가 돌설되어 있으며 돌륜부(12) 외측으로는 결삽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삽부(13)는 주면폭(W)이 넓을수록 바람직하고 결삽공(11)은 건 길이를 가질수록 안정적인 결합을 도모하게 된다.
한편, 걸름체(20)는 후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서 내부 공간(20a) 후측에 상기한 지지체(10)의 결합부(13)가 끼워지는 삽입공(21)이 뚫려 있고, 이 삽입공(21) 선측에는 주면에 다수의 통과공(22)이 형성되도록 하는 긴 길이를 가지는 걸름대(23)가 일체로 형성되게 하되 이 걸림대(23)가 삽입공(21) 내주면측으로 돌설되도록 형성되게 하여 걸림턱(24)이 형성되게 하는, 한편 걸림체(20)의 선측주면에 원형의 다수의 통과공(22a)이 천공되게 하여 선측 걸림대(23a)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면중 미 설명 부호 3은 유입구, 4는 임펠러, 5는 토출구, 6은 회동자, 7은 고정자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걸림체(20)의 삽입공(21)으로 지지체(10)의 결삽부(13)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이같이 결합된 걸름구(1)는 결삽공(11)으로 수중펌프(2)의 유입구(3)가 끼워지도록 조립시켜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수중펌프(2)의 임펠러(4)가 회동되면 용수(미도시)가 유입구(3)내로 유입케 되는바, 이때 유입구(3)에 걸름구(1)가 결착되어 있으므로 용수는 걸름구(1)를 통해서 유입되게 된다. 즉, 용수는 걸름체(20)의 통과공(22)(22a)을 통해 내부공간(20a)내로 유입되고 이같이 용수는 유입구(3)로 유입되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용수에 섞여있는 이물질(K)이 좁은 통과하지(22)(22a)을 통과하지 못하고 걸름대(23)(23a)에 걸리게 되므로서 내부공간(20a)내로 이물질(K)이 거의 유입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걸름대(23)(23a)에 걸리지 않고 통과공(22)(22a)으로 통과되는 이물질(K)은 매우 작은 크기의 이물질이기 때문에 유입구(3)를 막히게 하거나 임펠러(4)에 걸리게 되어 회전을 방해하지는 않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같이 이물질(K)이 걸리게 되는 본 고안은 비교적 넓은 내부공간(20a)을 갖고 있기 때문에 용수흐름의 저해 요인이 없으므로 유입구(3)로 들어가는 용수가 원만한 흐름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유입구(3)에 기존과 같이 단순한 걸름망을 설치한 것이 아니고 유입구(3)에 결삽되는 지지체(10)를 구비하고 이 지지체(10)에는 이보다 외형이 큰 걸름체(20)를 결합시킨 걸름구(1)이기 때문에 보다 많은 걸름면적을 보유하게 되므로 이물질의 과대한 누적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제2도와 같이 지지체(10)의 돌륜부(1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걸름체(20)와 결합되게 하거나 또는 제5도와 같이 돌륜부(12)가 걸름체(20)의 내부공간(20a)내로 삽입되도록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것은 둘륜부(12)가 외부로 노출될 경우는 걸름구(1)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아지게 되므로 수중펌프(1)의 설치장소 또는 그 주위의 타물체 설치상태에 따라 걸름구(1)의 길이를 가감할 필요성이 있을 때 선택적으로 길이 조정하여 사용하므로써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이물질의 걸름효과가 뛰어나고 용수의 유입 흐름의 저해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착탈이 용이하여 설치가 간편, 용이하고 길이 조정이 용이하여 폭넓은 사용효과를 제공하며 이물질에 의한 수중펌프의 고장을 배제케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수중펌프(2)의 유입구(3)에 삽탈되는 걸름구(1)를 구성함에 있어서, 내부공간(20a)과 통과공(22)(22a) 및 걸름대(23)(23a)와 걸림턱(24)을 구비한 걸름체(20)의 삽입공(21)에 결삽공(11)과 돌륜부(12)를 구비한 지지체(10)의 결삽부(13)가 결삽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펌프용 이물질 걸름부.
KR2019910004366U 1991-03-30 1991-03-30 수중펌프용 이물질 걸름구 KR9300028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4366U KR930002824Y1 (ko) 1991-03-30 1991-03-30 수중펌프용 이물질 걸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4366U KR930002824Y1 (ko) 1991-03-30 1991-03-30 수중펌프용 이물질 걸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8290U KR920018290U (ko) 1992-10-19
KR930002824Y1 true KR930002824Y1 (ko) 1993-05-22

Family

ID=19312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4366U KR930002824Y1 (ko) 1991-03-30 1991-03-30 수중펌프용 이물질 걸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28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710B1 (ko) * 2008-02-21 2010-07-06 강남필터 주식회사 간편한 필터 교환이 가능한 가습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275B1 (ko) * 2002-01-14 2004-03-30 문동철 콘덴서 기동형 유도전동 펌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710B1 (ko) * 2008-02-21 2010-07-06 강남필터 주식회사 간편한 필터 교환이 가능한 가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8290U (ko) 199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1092B2 (en) Pump
US8038879B2 (en) Fluid strainer assembly
US5100541A (en) In-line debris trap for swimming pool filtration system
KR930002824Y1 (ko) 수중펌프용 이물질 걸름구
US7264720B2 (en) Pool filter with a pre-filtering unit
KR20100000395A (ko) 유압을 이용한 스크린 자동 세척식 여과장치
US5965018A (en) In-line metal particle removal and retention apparatus
KR200146593Y1 (ko) 세탁기 필터장치의 걸름망
KR100813583B1 (ko) 하수도용 탈착식 스크린을 갖는 저류장치
KR20020096223A (ko) 하수도 맨홀용 배수구 자동개폐장치
KR930003651Y1 (ko) 농업용수 여과기
US2004014931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a water filter
KR930004979Y1 (ko) 배수전
KR950004776Y1 (ko) 이물질 고임구조를 가진 휠터 내장형 순환펌프
KR920008014Y1 (ko) 펌프 유입수의 여과통
KR200244693Y1 (ko) 배수트랩
KR20020079016A (ko) 배수관의 여과장치
KR960009122Y1 (ko) Y형 원통 스트레이너(Strainer)의 자동세척장치
EP0626477B1 (en) Trap device
KR200200818Y1 (ko) 바닥 배수용 배수구
SU1153021A1 (ru) Водозаб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20050254963A1 (en) Water play pump
KR200382220Y1 (ko) 치과용 공기압축 시스템의 드라이탱크 구조
KR0115813Y1 (ko) 수중 펌프용 이물질 걸름망이 부설된 수량조절구
KR920006286Y1 (ko) 보일러의 순환 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5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