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5256Y1 - 시트벨트의 웨빙가이드치 - Google Patents

시트벨트의 웨빙가이드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5256Y1
KR0115256Y1 KR2019940036677U KR19940036677U KR0115256Y1 KR 0115256 Y1 KR0115256 Y1 KR 0115256Y1 KR 2019940036677 U KR2019940036677 U KR 2019940036677U KR 19940036677 U KR19940036677 U KR 19940036677U KR 0115256 Y1 KR0115256 Y1 KR 01152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spring
torque wrench
relief valve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66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1964U (ko
Inventor
김주년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400366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5256Y1/ko
Publication of KR9600219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19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52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52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4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ide, door, or roof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18Belt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토오크렌치의 릴리이프 밸브를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에어토오크렌치의 릴리이프 밸브는 공압 공급관에 설치되어 과부하시 공압을 유출시키는 것으로, 상면에 상기 공압공급관과 연통되는 개구부를 갖으며 외주면에 제2배출구가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감싸며 외주면에 제1배출구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면의 하단에 설치되는 눈금판과, 상기 지지부재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스프링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 되어 상기 개구를 개폐하며 상부에 유입구멍이 형성된 중공을 가지는 제2니들과, 상기 제2니들의 중공에 제1스프링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 되어 상기 유입구멍을 개폐하는 제1니이들과,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에 설치되어 제1.2스프링을 각각 지지하는 제1,2고정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에 지지된 제3고정부재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1,2고정부재를 승강시키는 제1,2레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트벨트의 웨빙가이드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토오크렌치의 릴리이프 밸브를 도시한 일부절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릴리이프밸브 3 : 눈금판
4 : 하우징 4a, 5b : 제1, 2배출구
5 : 지지부재 5a : 개구부
6,7 : 제1, 2니들 6a, 7b : 제1,2스프링
7a : 에어유입구멍 9, 9' : 제1, 2레버
본 고안은 에어토오크렌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어 토오크렌치에 공압을 일정하게 공급하기 위한 릴리이프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밀한 조립제품의 볼트나 너트등을 죄거나 풀경우에는 1차적으로 일반공구(예를들면 렌치) 등으로서, 가볍게 조인후 2차적으로 토오크렌치로서 정확하게 토오크치를 가하거나 에어렌치로 1차적으로 볼트나 너트를 조인후 2차적으로 토오크렌치로 죄는 것이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볼트나 너트등을 조일 때에는 2번에 걸쳐 작업을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와 같은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 에어 토오크렌치이다. 하지만 종래 에어토오크렌치에 있어서는 특정 토오크 값을 입력하여 이에 해당되는 볼트나 너트 등을 조이는 것으로서 그 사용범위가 한정되어 토오크 값조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상기 에어 토오크 렌치에 공압을 공급하기 위한 공압공급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압력이 설정값 이상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토오크치를 적용시킬수 있는 에어 토오크렌치의 릴리이프 밸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공압 공급관에 설치되어 과부하시 공압을 유출시키는 에어 토오크랜치의 릴리이프 밸브에 있어서, 상면에 상기 공압공급관과 연통되는 개구부를 갖으며 외주면에 제2배출구가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감싸며 외주면에 제1배출구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면의 하단에 설치되는 눈금판과, 상기 지지부재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스프링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상기 개구를 개폐하며 상부에 유입구멍이 형성된 중공을 가지는 제2니들과, 상기 제2니들의 중공에 제1스프링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 되어 유입구멍을 개폐하는 제1니이들고,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에 설치되어 제1,2스프링을 각각 지지하는 제1,2고정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에 지지된 제3고정부재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1,2,고정부재를 승강시키는 제1,2레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릴리이프 밸브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는 에어 토오크 렌치의 공압공급관에 설치되는 릴리이프 밸브의 일예를 나타내 보였다. 이는 볼트, 너트 등을 직접죄는 작동부(도시되지 않음)로 공압(예를 들면 에어)를 공급하는 공압공급관(1)에 설치되어 작동부에 설정된 압력 이상이 가하여지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압공급관(1)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제1배출구(4a)가 형성되고 하단에 눈금판(3)이 설치된 하우징(4)과, 상기 하우징(4)의 내부에 고정되며 상부에 개구부(5a)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제1배출구(4a)와 연통되는 제2배출구(5b)가 형성된 지지부지(5)와, 상기 지지부재(5)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5a)를 개폐하여 상기 지지부재(5)에 설치된 제2고정부재(8')에 의해 지지된 제2스프링(7b)에 의해 상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되는 제2니들(7)를 포함한다. 상기 제2니들(7)에는 중공이 형성되어 그 상부에 유입구멍(7s)이 형성된다.
상기 제2니들(7)의 중공에는 상기 유입구멍(7a)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니들(6)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제1니들(6)은 제2고정부재(8')에 의해 지지지된 제1고정부재(8)에 지지되는 제1스프링(6a)에 대해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 된다. 이때 상기 제2스프링(7b)은 상기 제1스프링(6a)보다 고 탄성력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5)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1고정부재(8)을 지지하는 제3고정부재(8)이 설치되는데, 상기 제3고정부재(8)에는 제2고정부재(8')를 승강시키게 위한 제2레버(9')가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제2레버(9')에는 상기 제1고정부재(8)을 승강시켜 제1스프링(6a)에 유입구멍(7a)에 대한 제1니들(6)의 가압력을 조조절하는 제2레버(9)가 나사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토오크 렌치에 장착되는 릴리이프밸브(2)는 상기 공압공급관(1)을 통하여 에어 토오크 렌치의 작동부로 공압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눈금판(3)에 설치된 제1,2레버(9)(9')를 각각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제2니들(7)의 유입구멍(7a)에 대한 제1니들(6)의 가압력과, 지지부재(5)에 대한 제2니들(7)의 가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제1니들과 제2니들이 낮은 공압과 높은 공압에서 승강되도록 함으로써 에어 토오크 렌치의 작동부에 의한 토오크 값이 높은 값과 낮은값 즉, 소정의 범위를 갖도록 설정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그 작동부(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볼트나 너트등을 조이기 시작한다. 이때 공압 공급관(1)의 내부압력이 상기 릴리이프 밸브(2)의 해당 토오크 값에 이르게 되면, 제1니들(6)에 공압공급관에 가하여지는 공압이 제1스프링(6a)의 탄성력보다 크게 되어 제1니들(6)이 하방으로 밀리게 되고, 이에 따라 제2니들(7)의 유입구멍(7a) 제1니들(6) 사이에 유로가 형성되어 이를 통하여 공압 즉, 에어가 제2배출구(5b) 및 하우징(4)의 제1배출구(4a)를 통하여 배출됨으로써 더 이상의 공압이 작동부 쪽으로 공압이 공급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작동부에 의한 회전토오크는 설정된 값을 넘지 않게된다. 또한 공압공급관(1)에 가하여 지는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에는 제1니들(6)은 더욱 하방으로 쳐지고 동시에 지지부재(5)의 개구부(5a)를 차단하고 있던 제2니들(7)이 하방으로 밀리게 된다.
이에따라 제1니들(6)과 제2니들(7) 및, 상기 제2니들(7)과 지지부재(5)사이에 유로가 형성되어 제2니들(7)의 에어 유입구멍(7a) 및 지지부재(5)와 하우징(4)의 제1,2배출구멍(4a)(5b)를 통하여 배출되어 작동부에 과도한 공압이 가하여 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2니들(6)(7)에 의한 작동력의 조절은 상기 제1,2레버(9)(9')를 각각 정역회전시켜 제1고정부재(8) 및 제2고정부재(8')를 승강시킴으로써 제1,2니들을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제1,2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이루어 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에어토오크렌치에 의하면 릴리이프밸브를 통하여 토오크값을 설정함으로써 정확한 토오크 값으로 너트, 볼트등을 조일수 있으며 특히 토오크 값의 변화가 있을시에는 릴리이프밸브의 레버를 통하여 손쉽게 조절할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에어토오크렌치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공압을 이용한 에어모터등 다방면으로 활용 가능하다는 것은 주지할 수 있다.

Claims (1)

  1. 시트하부의 차량 측벽면에 착설시킨 리트렉터로부터 인출된 시트벨트를 상부에서 안내되도록 하여 다시고정구에 체결고정되도록 안내하는 벨트가이드레 있어서,양측으로 병설된 2개의 지지간(13)을 차체 측벽면(100)의 상부에 착설시킨 "ㄷ"자형 브라켓(11)의 양단부에힌지축설하고,그 중간부에는 고정봉(14)이 타단부에는 벨트(200)가 안내되는 회동로울러(15)가 축설되는 구성의 작동부(10)와;미세공(22C)이 천공된 피스톤헤드(22B)와 상기 피스톤헤드(22B)를 저부에서 탄지하는 스프링(22A)이 탄설된 실린더본체(22)를 상기 브라켓(11) 직하부의 차체 측벽면(100)에 부착시킨 축지구(2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축설되도록 하고, 상기 실린더(22)로부터 인출되는 피스톤(23) 상단부는 상기 고정봉(14)에 축지지되도록 한 베어링(24)에 일체로 연결되는 구성의 완충부(20);로 형성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의 웨빙가이드.
KR2019940036677U 1994-12-28 1994-12-28 시트벨트의 웨빙가이드치 KR01152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6677U KR0115256Y1 (ko) 1994-12-28 1994-12-28 시트벨트의 웨빙가이드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6677U KR0115256Y1 (ko) 1994-12-28 1994-12-28 시트벨트의 웨빙가이드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1964U KR960021964U (ko) 1996-07-20
KR0115256Y1 true KR0115256Y1 (ko) 1998-04-21

Family

ID=19403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6677U KR0115256Y1 (ko) 1994-12-28 1994-12-28 시트벨트의 웨빙가이드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525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1964U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14016B (zh) 紧固装置
US6135213A (en) Pneumatic power wrench with adjustable exhaust restriction
US4869289A (en) Adjustable compressor valve which can accommodate changing operating conditions in the compressor to which it is attached
JPH08243447A (ja) 流動体噴射発生装置
US4571976A (en) Blind riveting apparatus for rivets of different sizes
US3484084A (en) Carburetor idle speed control
KR0115256Y1 (ko) 시트벨트의 웨빙가이드치
US4413649A (en) Air pressure regulator
US4547938A (en) Yarn texturing jet
US4799507A (en) Adjustable compressor valve which can accommodate changing operating conditions in the compressor to which it is attached
KR0115156Y1 (ko) 에어토크렌치의 릴리이프 밸브
DE4416526A1 (de) Befestigungswerkzeug mit verbesserter Druckreglervorrichtung
EP0473272B1 (en) Pre-set regulator assembly
US4240464A (en) Combined pressure control and shut-off valve
JPH0623952A (ja) 輪転印刷機、特に枚葉紙オフセット印刷機の版胴の緊張レールに対して締付けレールを操作するための装置
US4394873A (en) Fluid valve with compressible channel
JP3844020B2 (ja) 二段開閉ダイヤフラム弁
KR100259643B1 (ko) 자동보정형타이밍벨트텐셔너구조
JPH0124449Y2 (ko)
CN218510239U (zh) 一种减压阀
KR870004049Y1 (ko) 유압밸브의 조정레버 장치
EP0638730A1 (en) Control means for a hydraulic motor
US4856553A (en) Pump with valve adjusting screw
JP2582443Y2 (ja) 減圧弁
CN217784860U (zh) 阀门用气动压力控制器及气动调节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