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4301Y1 - 명함 보관함 - Google Patents

명함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4301Y1
KR0114301Y1 KR2019950003775U KR19950003775U KR0114301Y1 KR 0114301 Y1 KR0114301 Y1 KR 0114301Y1 KR 2019950003775 U KR2019950003775 U KR 2019950003775U KR 19950003775 U KR19950003775 U KR 19950003775U KR 0114301 Y1 KR0114301 Y1 KR 01143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iness card
cover
lower body
protrusion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37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0750U (ko
Inventor
송재문
Original Assignee
송재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재문 filed Critical 송재문
Priority to KR20199500037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4301Y1/ko
Publication of KR9600307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07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43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4301Y1/ko

Link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명함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에 단순히 명함으로 보관하는 기능이외에 명함을 필요에 따라 편리하고 용이하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명함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상면에 스프링이 장착되는 하판(2)과 전방 내측에 상면에 홈이 형성된 수직 지지대가 각각 장착되고 후방 내측에 내향하는 돌기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돌기 하측에 반구형으로 물림돌기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 하판(2)에 수직으로 세워져 형성되는 수직벽으로 이루어진 하부체 및 선단에 인출홈이 형성되며 또한 상단에 하향하여 형성되어 상기 수직 지지대에 맞물리는 한편 하부체 사이에 틈을 형성하도록 하향 돌기가 형성되는 상판과 후방 측면에 돌기 삽입공과 다수의 물림돌기 물림홈이 형성되는 명함 꽂이부로 이루어진 덮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 보관함을 제공해준다.

Description

명함 보관함
제1도는 본 고안의 양호한 일실시예에 따른 명함 보관함에 일부 절개 분해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명함 보관함의 조립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명함 보관함의 사용상태도로서, 도면(a)는 명함 보관함의 하부체에 덮개를 덮어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면(b)는 덮개를 재쳐놓고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부체 2 : 하판
3 : 수직벽 4 : 통공
5 : 스프링 6 : 스프링 장착돌기
7 : 측벽 8 : 수직 지지대
9 : 돌기 10 : 물림 돌기
11 : 덮개 12 : 상판
13 : 명함 꽂이부 14 : 인출홈
15 : 하향 돌기 16 : 돌기 삽입공
17 : 물림홈 18 : 통공
본 고안은 명함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다수의 명함을 뚜껑이 있는 통상의 함에 넣어 두었다가 필요시 꺼내어 사용하는 방식으로 명함을 보관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명함 보관함은 명함 보관함내에 다수의 명함을 넣어두고 필요할 경우 뚜껑을 개방하여 명함을 꺼내어 사용하는 단순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 이외에 별다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여 사용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에 단순히 명함을 보관하는 기능 이외에 명함을 필요에 따라 편리하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명함 보관함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는 명함 보관함은 하부체와 하부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덮개로 이루어지며, 하부체는 상면에 스프링이 장착되는 하판을 가지고 전방 내측에 상면에 홈이 형성된 각각의 수직 지지대가 형성되며 후방 내측에 대향하는 돌기가 형성하고 상기 돌기하측에 반구형으로 물림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하판에 수직으로 세워져 형성되는 수직벽으로 이루어지고, 덮개는 상판과 그 후방에 명함 꽂이부를 가지며 상판의 선단 중앙에 인출홈이 형성되고 선단 양측에 하향 돌기가 형성되어 하향 돌기는 하부체의 수직 지지대에 맞물리면 하부체와 상판 사이에는 틈이 형성되며 덮개의 후방 측면에 형성된 돌기 삽입공과 그 주위의 물림홈이 형성되게 구성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양호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명함 보관함의 일부 절개 분해사시도이며,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명함 보관함의 조립상태도이다.
제1도에 도시된 부호 1은 명함 보관함의 하부체를 나타낸다.
본 고안의 명함 보관함의하부체(1)는 평평한 하판(2)과 그 테두리에 수직으로 세워진 수직벽(3)과 측벽(7)으로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하판(2)은 중앙부에 통공(4)을 형성하여 재료를 절감하고 있다.
상기 하판(2)의 상면 좌우에는 스트립으로 형성된 스프링(5)이 하판(2)에 형성된 스프링 장착돌기(6)에 삽입된다. 측벽(7)의 내측 선단 모서리 부분에는 상면에 홈이 형성된 수직 지지대(8)가 하판(2)과 수직벽(3)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한편, 하부체(1)의 후방에는 대향하여 돌출하는 돌기(9)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덮개의 돌기삽입공에 끼워지고, 돌기(9)의 하측에는 반구형의 물림돌기(10)가 형성된다.
제1도에 도시된 부호 11은 명함 보관함의 덮개를 나타낸다.
명함 보관함의 덮개(11)는 평평한 상판(12)과 그 하부에 명함을 보관하는 명함 꽂이부(13)로 형성된다. 상판(12)의 전방 중앙부에는 손가락으로 명함을 눌러 명함을 뽑아 낼 수 있는 인출홈(14)이 형성되고 선단 측방에 상기 하부체(1)의 수직 지지대(8)와 맞물리는 하향돌기(15)가 형성된다. 수직 지지대(8)과 하향돌기(15)가 맞물리면 덮개(11)의 상판(12)과 하부체(1) 사이에는 틈이 형성된다.
덮개(11)의 명함꽂이부(13)의 측벽에는 하부체(1)의 돌기(9)가 삽입되는 돌기 삽입공(16)과 하부체(1)의 물림 돌기(10)가 삽입되어 선택적으로 맞물리게 되는 다수개의 반구형의 물림홈(17)은 하부체(1)의 회전에 따라 적당한 위치에서 하부체(1)의 물림 돌기(10)와 맞물릴 수 있게 배치된다.
도면에 도시된 덮개(11)의 상판(12)에는 재료의 절감을 위해서 통공(18)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명함 보관함의 작동을 설명한다.
제3도에는 본 고안의 명함 보관함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데, 도면(a)는 명함 보관함의 하부체에 덮개를 덮어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면(b)는 덮개를 재쳐 놓아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본 고안의 명함 보관함의 덮개(11)는 제1도에 도시된 하부체(1)에 형성된 돌기(9)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먼저 제2도에 도시된 덮개(11)를 열어 덮개(11)의 명함 꽂이부(13)에 적당량의 명함(19)을 넣고 덮개(11)를 닫으면 제3a도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덮개(11)의 상판(12)과 하부체(1) 사이에는 틈이 형성되어 손가락을 인출홈(14)에 넣어서 명함(19)을 당기면 명함이 하나씩 인출된다. 하나의 명함(19)이 인출되면 제1도에 도시된 하부체(1)에 장착된 스프링(5)이 작용하여 나머지 명함(19)을 상부로 밀어 올린다.
제3a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덮개(11)를 재쳐서 제3b도의 상태로 이동시키면 덮개(11)는 제1도에 도시된 하부체(1)의 돌기(9)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하부체(1)의 물림돌기(10)가 적당한 위치의 물림홈(17)과 맞물리게 된다.
제3b도에 도시된 상태에는 덮개(11)가 하부체(1)위로 세워지고 덮개(11)의 명함 꽂이부(13)에 보관된 명함(19)은 외부로 노출되어 주변에서 용이하게 명함을 인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명함 보관함은 덮개(11)가 닫힌상태에서도 덮개(11)의 인출홈(14)을 이용하여 스프링(5)의 힘에 의해서 밀쳐지는 명함을 인출할 수있어 종래와 같이 뚜껑을 열지 않아도 명함을 원활하게 인출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Claims (1)

  1. 하부체(1)와 하부체(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덮개(11)로 이루어지는 공지의 명함 보관함에 있어서, 상기 하부체(1)는 하판(2)과 그 테두리에 수직으로 세워진 수직벽(3)과 측벽(7)으로 형성되며 하판(2)의 상면에 스프링(5)이 장착되는 스프링 장착돌기(6)가 형성되고 수직벽(3)과 측벽(7)에 인접하게 전방 내측에 상면에 홈이 형성된 각각의 수직 지지대(8)가 형성되며 측벽(7) 내측에 대향하는 돌기(9)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 (9) 하측에 반구형으로 물림 돌기(10)가 형성되게 이루어지고, 덮개(11)는 상판(12)과 그 후방 측면에 명함 꽂이부(13)를 가지며 상판(12)의 선단 중앙에 인출홈(14)이 형성되고 선단 양측에 하향 돌기(15)가 형성되어 하향 돌기(15)는 하부체(1)의 수직 지지대(8)에 맞물리면 하부체(1)와 상판(12) 사이에는 틈이 형성되며 덮개(11)의 후방 측면에 형성된 돌기 삽입공(16)과 그 주위의 물림홈(17)이 형성되게 구성된 명함 보관함.
KR2019950003775U 1995-03-06 1995-03-06 명함 보관함 KR01143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3775U KR0114301Y1 (ko) 1995-03-06 1995-03-06 명함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3775U KR0114301Y1 (ko) 1995-03-06 1995-03-06 명함 보관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0750U KR960030750U (ko) 1996-10-22
KR0114301Y1 true KR0114301Y1 (ko) 1998-04-16

Family

ID=19408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3775U KR0114301Y1 (ko) 1995-03-06 1995-03-06 명함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430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0750U (ko) 1996-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8910A (en) Cleaning wand caddy
US5096091A (en) Magnetic roller paper clip dispenser
KR0114301Y1 (ko) 명함 보관함
US4401220A (en) Cassette tape case
JPS6025218Y2 (ja) 手術用縫合針収納ケ−ス
JP2507437Y2 (ja) ペ―パ―タオル用ホルダ―
JP2589408Y2 (ja) 記録紙保持構造
JPH062594Y2 (ja) コンパクト容器
KR920004265Y1 (ko) 콤팩트 디스크 보관함의 디스크 추출장치
JPH0511831Y2 (ko)
JP2582978Y2 (ja) レフィル容器
KR200228212Y1 (ko) 씨디 수납 케이스
JPH0847418A (ja) レフィル容器
JP2582969Y2 (ja) レフィル容器
JP2593299Y2 (ja) ティッシュペーパーケース付き携帯収納箱
JPS61158692U (ko)
JPS6215904Y2 (ko)
KR880003323Y1 (ko) 동전지갑
KR200279251Y1 (ko) 담배케이스
JP2539059Y2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の収納ケース
JPH0752646Y2 (ja) レフイル容器
JPH0436726Y2 (ko)
JPS6220065Y2 (ko)
JPH0538663Y2 (ko)
JPS633494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