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8212Y1 - 씨디 수납 케이스 - Google Patents

씨디 수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8212Y1
KR200228212Y1 KR2020000028217U KR20000028217U KR200228212Y1 KR 200228212 Y1 KR200228212 Y1 KR 200228212Y1 KR 2020000028217 U KR2020000028217 U KR 2020000028217U KR 20000028217 U KR20000028217 U KR 20000028217U KR 200228212 Y1 KR200228212 Y1 KR 2002282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ers
storage
receiving
cover member
storag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82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맹형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엔아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엔아이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엔아이디
Priority to KR20200000282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82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82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8212Y1/ko

Links

Landscapes

  • Packaging For Recording Disk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씨디 수납 케이스는, 가로방향으로 포개어짐과 동시에 상부에 여러장의 CD를 낱장씩 삽입할 수 있는 개구부(12)가 각각 형성된 다수의 수납부재(10)와, 상기 다수의 수납부재(10)들이 서로 접하는 일측단에 각각 힌지되어 다수의 수납부재(10)를 서로 연결함과 동시에 사용시 다수의 수납부재(10)들의 간격을 넓혀주고 비사용시 다수의 수납부재(10)의 간격을 좁혀주는 다수의 상부 및 하부 힌지부재(20a)(20b)와, 상기 다수의 수납부재(10)의 일측에 걸림방식으로 착탈가능케 결합되어 좁혀진 다수의 수납부재(10)의 상부 개구부(12)들을 동시 개폐하는 투명체의 덮개부재(3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되어 있으므로, 많은 점유공간이 필요없을 뿐만 아니라 덮개부재(30)를 열지 않고서 다수의 수납부재(10)에 보관 및 정렬된 CD의 제목등을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음은 물론, 수납여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씨디 수납 케이스{A STORAGE OF CD-CASE}
본 고안은 씨디 수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CD를 수평방향으로 일정하게 정렬 및 보관할 수 있는 씨디 수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씨디 수납 케이스는 대체로 CD를 낱장씩 보관하거나 또는 CD가 보관된 여러개의 케이스를 진열대에 진열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CD는 케이스 내에 보관채로 각각 사용되거나 또는 진열대를 이용하여 보관되기 때문에 많은 점유공간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필요한 CD를 사용시 낱장씩 케이스 내에서 매번 꺼내고 다시 넣어야 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 등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시중에서 구입된 CD를 케이스와 분리하여 하나의 케이스내에 여러개를 동시 보관 및 정렬할 수 있게 하여 사용이 편리하도록 함은 물론, 보관 및 정렬된 CD가 투명체를 통해 외부에서 용이하게 육안식별이 가능토록 한 씨디 수납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씨디 수납 케이스는, 씨디 수납 케이스에 있어서, 가로방향으로 포개어짐과 동시에 상부에 여러장의 CD를 낱장씩 삽입할 수 있는 개구부가 각각 형성된 다수의 수납부재와, 상기 다수의 수납부재들이 서로 접하는 일측단에 각각 힌지되어 다수의 수납부재를 서로 연결함과 동시에 사용시 다수의 수납부재들의 간격을 넓혀주고 비사용시 다수의 수납부재의 간격을 좁혀주는 다수의 상부 및 하부 힌지부재와, 상기 다수의 수납부재의 일측에 걸림방식으로 착탈가능케 결합되어 좁혀진 다수의 수납부재의 상부 개구부들을 동시 개폐하는 투명체의 덮개부재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씨디 수납 케이스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씨디 수납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씨디 수납 케이스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수납부재 12 : 개구부
14 : 걸림돌기 16 : 수용홈
18 : 힌지핀 20a,20b : 상부 및 하부 힌지부재
22 : 수평부 24 : 힌지홈
26 : 수직부 30 : 덮개부재
32 : 걸림홀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씨디 수납 케이스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얇은 두께의 직사각 형상으로 각각 이루어져 가로방향으로 포개어짐과 동시에 상부에 여러장의 CD를 낱장씩 삽입할 수 있는 개구부(12)가 각각 형성된 다수의 수납부재(10)와, 상기 다수의 수납부재(10) 내측 좌우 양단 상하부에 각각 힌지되어 다수의 수납부재(10)를 서로 연결함과 동시에 사용시 다수의 수납부재(10)들의 간격을 넓혀주고 비사용시 다수의 수납부재(10)의 간격을 좁혀주는 다수의 상부 및 하부 힌지부재(20a)(20b)와, 상기 다수의 수납부재(10)중 맨 바깥 양측에 위치한 수납부재(10)에 걸림방식으로 착탈가능케 결합되어 좁혀진 다수의 수납부재(10)의 상부 개구부(12)들을 동시 개폐하는 투명체의 덮개부재(30)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다수의 수납부재(10)는 적어도 10장 이상의 CD가 대체로 절반면적만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상부에 개구부(12)가 각각 형성된 낱개로 이루어져 있다.
또, 상기 다수의 수납부재(10)중 바깥 양측에 위치한 수납부재(10)의 바깥면 중앙 상단에는 상기 덮개부재(30)가 걸려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한쌍의 걸림돌기(14)가 일체로 돌설되고, 다수의 수납부재(10)중 바깥 양측에 위치한 수납부재(10)를 제외한 나머지 다수의 수납부재(10)의 가장자리에 대하여 세로측 전후 상하단에는 상기 다수의 상부 및 하부 힌지부재(20a)(20b)의 양단이 각각 힌지결합되어 다수의 수납부재(10)를 하나로 연결하도록 수용홈(16) 내에 힌지핀(18)이 각각 일체로 돌설되어 있다.
이때, 상기 수용홈(16)은 상기 다수의 수납부재(10)가 접혀질때 상기 상부 및 하부 힌지부재(20a)(20b)가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수용되게 하며, 다수의 수납부재(10)가 펼쳐질때 상기 상부 및 하부 힌지부재(20a)(20b)가 수평으로 눕혀지면서 돌출되게 한다.
상기 다수의 상부 및 하부 힌지부재(20a)(20b)는 상기 다수의 수납부재(10)의 사이 사이에 개재되는 수평부(22)와, 상기 수평부(22)의 양단 상하측에 수직으로 돌설되어 상기 다수의 수납부재(10)의 수용홈(16) 내에 형성된 다수의 힌지핀(18)에 각각 힌지되도록 상하단에 힌지홈(24)이 각각 형성된 수직부(2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덮개부재(30)는 그 하부가 개구된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하단 양측 중앙에 상기 다수의 수납부재(10)에 형성된 한쌍의 걸림돌기(14)에 각각 대응되게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걸림홀(32)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여러장의 CD를 수납 케이스내에 수납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1에 도시한 수납부재(10)의 개구부(12)를 덮고있는 덮개부재(30)를 분리시킨다.
그런 후, 다수의 수납부재(10)의 개구부(12)를 통해 여러장의 CD를 낱장씩 각각 삽입시키면, 이 CD들은 대체로 절반 정도가 수용되면서 나머지 절반 정도는 외부로 돌출되어 덮개부재(3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는 상태에 놓이게 된다.
여기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수납부재(10)를 수평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다수의 수납부재(10)들을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상부 및 하부 힌지부재(20a)(20b)가 수평으로 각도가 변화되면서 다수의 수납부재(10)의 사이 사이 일정한 간격으로 벌려줌과 동시에 다수의 수납부재(10)가 소정의 경사각도로 세워지도록 지지하게 된다.
이때, 다수의 수납부재(10)는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경사지게 세워지기 때문에 다수의 수납부재(10)에 보관된 여러장의 CD가 경사방향으로 동시 정렬되고,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CD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음은 물론, 수납부재(10)에서 CD를 꺼내지 않고 CD에 적혀있는 제목등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소정간격으로 벌려진 다수의 수납부재(10)를 접으면 다수의 상부 및 하부 힌지부재(20a)(20b)가 수직상태로 세워지면서 다수의 수납부재(10)들이 서로 면접촉됨으로써 부피를 줄여주게 된다.
여기서, 다수의 상부 및 하부 힌지부재(20a)(20b)는 수직으로 세워질때 다수의 수납부재(10)의 양단에 형성된 수용홈(16)에 각각 수용되면서 다수의 수납부재(10)들이 서로 면접촉될 수 있도록 돕게 되고, 상기 다수의 수납부재(10)는 접혀질때 그 폭이 덮개부재(30)의 폭과 동일하게 된다.
이때, 도 1과 같이 접혀진 다수의 수납부재(10)의 상부 개구부(12)를 향해 덮개부재(30)를 씌우면 덮개부재(30)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홀(32)이 다수의 수납부재(10)중 바깥 양단에 위치한 수납부재(10)에 돌설된 걸림돌기(14)에 각각 대응되게 일치되면서 결합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씨디 수납 케이스는, 다수의 수납부재 내에 여러개를 CD를 보관 및 정렬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많은 점유공간이 필요없을 뿐만 아니라 덮개부재를 열지 않고서 보관 및 정렬된 CD의 제목등을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음은 물론, 수납여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씨디 수납 케이스에 있어서,
    가로방향으로 포개어짐과 동시에 상부에 여러장의 CD를 낱장씩 삽입할 수 있는 개구부(12)가 각각 형성된 다수의 수납부재(10)와,
    상기 다수의 수납부재(10)들이 서로 접하는 일측단에 각각 힌지되어 다수의 수납부재(10)를 서로 연결함과 동시에 사용시 다수의 수납부재(10)들의 간격을 넓혀주고 비사용시 다수의 수납부재(10)의 간격을 좁혀주는 다수의 상부 및 하부 힌지부재(20a)(20b)와,
    상기 다수의 수납부재(10)의 일측에 걸림방식으로 착탈가능케 결합되어 좁혀진 다수의 수납부재(10)의 상부 개구부(12)들을 동시 개폐하는 투명체의 덮개부재(3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씨디 수납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상부 및 하부 힌지부재(20a)(20b)는,
    상기 다수의 수납부재(10)의 사이 사이에 개재되는 수평부(22)와,
    상기 수평부(22)의 양단 상하측에 수직으로 돌설되어 상기 다수의 수납부재(10)의 수용홈(16) 내에 형성된 다수의 힌지핀(18)에 각각 힌지되도록 상하단에 힌지홈(24)이 각각 형성된 수직부(2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디 수납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재(10)와 덮개부재(30)의 일측에는 서로 대응되게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걸림돌기(14)와 걸림홀(32)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디 수납 케이스.
KR2020000028217U 2000-10-10 2000-10-10 씨디 수납 케이스 KR2002282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217U KR200228212Y1 (ko) 2000-10-10 2000-10-10 씨디 수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217U KR200228212Y1 (ko) 2000-10-10 2000-10-10 씨디 수납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8212Y1 true KR200228212Y1 (ko) 2001-06-15

Family

ID=73090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8217U KR200228212Y1 (ko) 2000-10-10 2000-10-10 씨디 수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821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3254A (en) Tool case with multiple storage compartments
RU2060168C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хранения и система из контейнеров
US5685624A (en) Door for a refrigerator having rotatable pockets
US5746314A (en) Disc case
US6044973A (en) Case with split panels
US5551560A (en) Container for compact disc and jewel box
US4478335A (en) Floppy diskette storage container and display device
EP0536785B1 (en) Multi-stage storage case for cassettes or cassette blocks
US5388713A (en) Storage container
US5383553A (en) Case for receiving at least one data storage disk
RU97118679A (ru) Кассета с выбрасываемым компакт-диском
EP1007291B1 (en) Tool case with externally-accessible compartments
AU646610B2 (en) Multi-media file
KR200228212Y1 (ko) 씨디 수납 케이스
US5816393A (en) CD storage module
CA2303551C (en) Tool case with snap-in modules
US6000537A (en) Housing with readable side walls for a disc-shaped information carrier
US5373945A (en) Cassette for storing several disk-like data carriers or the like
KR200228210Y1 (ko) 씨디 수납 케이스
KR940008577Y1 (ko) 콤팩트 디스크 보관케이스
KR200320234Y1 (ko) 도서 진열장
KR200148766Y1 (ko) 보관대용 칸막이 고정장치
US6074026A (en) Storage case with cartridge receiving units
JP2001213438A (ja) 物品収納ボックス
KR200324838Y1 (ko) 컴팩트 디스크 보관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