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3849Y1 - 슬롯형 단자 및 슬롯형 단자를 구비한 단자 블록 - Google Patents

슬롯형 단자 및 슬롯형 단자를 구비한 단자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3849Y1
KR0113849Y1 KR2019940010120U KR19940010120U KR0113849Y1 KR 0113849 Y1 KR0113849 Y1 KR 0113849Y1 KR 2019940010120 U KR2019940010120 U KR 2019940010120U KR 19940010120 U KR19940010120 U KR 19940010120U KR 0113849 Y1 KR0113849 Y1 KR 01138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t
terminal
wire
terminal block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01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4402U (ko
Inventor
안영숙
Original Assignee
안영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숙 filed Critical 안영숙
Priority to KR20199400101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3849Y1/ko
Priority to US08/737,195 priority patent/US6093047A/en
Priority to PCT/KR1995/000048 priority patent/WO1995031015A1/en
Publication of KR9500344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44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38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3849Y1/ko
Priority to US09/379,094 priority patent/US6142820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being plates having a single slot
    • H01R4/2425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 H01R4/2429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 H01R4/2433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one part of the base being movable to push the cable into the slo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 H01R13/501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comprising an integral hinge or a frangible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1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crew or screw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 H01R4/246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contact members being in a slotted bent configuration, e.g. slotted bight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슬롯형 단자는 날이 형성된 슬롯의 하부가 도선의 심선과 동일한 지름의 원호상으로서, 슬롯에 피복 도선을 삽입하면 도선의 피복은 슬롯의 날에 의해 벗겨지고 그 내부의 심선은 적어도 하반부가 슬롯 단자와 접촉하여 도통 상태가 되며, 본 고안의 그러한 슬롯형 단자를 구비한 단자 블록은 그 본체 및 뚜껑에 슬롯형 단자로 이어지는 도선 수용 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슬롯형 단자에 접속되는 도선의 인입부가 안정되게 고정되며, 또한 뚜껑에는 맨 윗부분에 필름상 부분만 남아 있고 그 아래 부분은 절취된 스냅 힌지가 형성되어 있는데, 스냅 힌지를 중심으로 도선 수용 홈이 형성되어 있는 쪽 부분은 본체의 갈고리에 의해서만 고정되어 있어서 도선 접속시나 검사시에 갈고리를 밀고 뚜껑을 스냅 힌지를 피봇축으로 하여 열어 젖히므로써 간단히 작업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슬롯형 단자 및 슬롯형 단자를 구비한 단자 블록
제1도는 종래의 도선 접속용 단자 블록의 일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2도는 피복 도선의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단자 블록에 사용되는 슬롯형 단자에 피복 도선을 끼운 상태를 도시한 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최선의 실시예에 의한 도선 접속용 단자 블록의 분해 사시도로서, a도는 단자 블록 덮개, b도는 도선 접속 단자, c도는 단자 블록 본체를 각각 도시한 도면.
제5도는 도선 접속 단자와 단자 블록 본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a도는 융기부의 상면이 평탄한 도선 접속 단지. b도는 융기부와 위치되는 부분에 이 융기부를 받칠 수 있는 융기 지지부가 형성된 단자 블록 본체의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도선 접속 단자의 또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7도는 제6도의 선Ⅶ-Ⅶ를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본체에 단자를 설치하고 도선을 접속하고 덮개를 덮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8도는 단자 블록 덮개의 하면에 누름 돌기가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7도와 동일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제9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선 접속 단자의 사시도.
제10도는 제9도의 선 X-X에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단자 블록 본체에 도선 접속 단자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11도는 제10도의 실시예와 유사하며 도선 접속 단자에 수평 절개부와 절결을 형성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도선 접속 단자에 도선을 접속하고 덮개를 덮은 상태의 단자 블록을 도시한 단면도.
제13도는 단자 블록의 덮개의 하면에 누름 돌기가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12도와 동일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제14도 및 제15도는 도선 접속 단자를 각각 세 개 및 네 개 구비한 본 발명의 단자 블록의 실시예를 도선 접속이 완료된 상태에서 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단자 블록 20, 20A : 덮개
21 : 누름 돌기 30 : 단자 블록 본체
40, 40A : 도선 접속 단자 44, 44A : 핀 접속구
42 : 슬롯 52 : 융기부
48 : 측부 모서리 50, 50A, 50B : 도선 접속 단자
52, 52A : 융기부 54 : 슬롯
56 : 테이퍼부 58 : 목부
60 : 원호부 62 : 수직 절개부
64 : 수직 방향의 여유 구멍 66 : 수평 절개부
67, 68 : 수평 방향의 여유 구멍 59 : 원호상 부분
69 : 절취부
본 고안은 도선 접속용 슬롯형 단자 및 슬롯형 단자를 구비한 단자 블록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두 개 이상의 도체를 도통 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한 단자 접접을 구비한 단자 블록은 통신이나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각종 회로선과 장치 사이의 접속이나 회로선 사이의 접속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선 접속 단자의 접점에 회로선을 접속시키기 위해서 회로선의 절연 피복을 벗겨 내어 그 심선을 접점에 납땜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작업이 번거롭고 숙련을 요한다.
이런 불편을 극복하기 위해 도선 접속 단자의 접점을 슬롯으로 하고 슬롯의 모서리를 예리하게 함으로써 도선의 절연 피복을 미리 벗겨내지 않은 채 접속 단자의 슬롯에 끼워 넣으면 슬롯에 접촉하는 피복이 슬롯의 예리한 날에 의해 제거되어 그 속의 심선이 슬롯과 접촉하여 도통할 수 있게 한 소위 슬롯형 단자가 개발되었다.
이하, 제1도 내지 제3도에 따라 종래의 도선 접속 단자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슬롯형 단자를 구비한 종래의 단자 블록의 분해 사시도이다.
W는 도선, 1은 단자 블록 본체, 2는 단자 블록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도선 접속 단자, 3은 덮개이다.
제2도는 피복 도선(W)의 단면도로서, Wc는 도선 심선, D는 도선 심선의 지름, Wi는 피복을 가리킨다.
제3도는 제1도의 단자 블록 등에 사용되는 종래의 슬롯형 도선 접속 단자에 도선이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1도에 있어서, 단자 블록 본체(1)은 다수의 도선을 접속할 수 있는 형태의 것으로서, 도전성 재료 스트립으로 만들어진 도선 접속 단자(2)를 수용하는 요홈(4)가 여러 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선 접속 단자(2)는 길다란 직사각형 베이스부(5)와, 베이스부(5)의 한 쪽 단부에 형성되는 핀 커넥터부(도시 않음)와, 베이스부(5)의 다른 쪽 단부 및 그로부터 일정 간격을 유지한 위치에서 각각 베이스부(5)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수직 부재(6)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직 부재(6)의 상부 중앙에는 아래쪽으로 수렴되는 테이퍼상의 수직 모서리(7)을 갖는 U자형 슬롯(8)이 이루어져 있고, 상기 수직 모서리(7)의 중간 부분에는 예리한 날이 서 있어 칼날을 형성한다.
수직 모서리(7)의 칼날부 사이의 거리는 대략 심선(Wc)의 지름과 같아서 도선을 슬롯(8)의 위로부터 아래로 내리 누르면 칼라부가 도선의 피복에 침투하여 피복 내부의 심선과 접촉한다.
즉, 도선(W)와 단자(2) 사이의 접속은 두 개의 점, 즉 접점(C1, C2) 사이에서 슬롯(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협지되어 접속을 유지한다.
도선 접속 단자(2)의 피복 도선(W)의 삽입이 완료되면 덮개(3)을 덮는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3)은 그 양측단으로부터 햐향 현수되는 협지부(9, 9)를 단자 블럭 본체(1) 양쪽의 대응하는 홈(2', 2')에 끼워 맞추거나 네 귀퉁이를 나사 등으로 체결함으로써 본체(1)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종래의 슬롯형 단자는 슬롯의 수직 모서리(7)이 칼날부와 도선이 두 개의 접점(C1 및 C2)에서만 접촉을 하고 나머지 부분, 예컨대 제3도의 초생달 모양의 부분(R) 등에는 피복이 그대로 덮혀 있고 접촉을 못하므로 접속의 신뢰도가 낮다.
또, 수직 부재(6)은 도선을 두 개의 접점(C1, C2)에서의 탄성 복원력만으로 협지되므로 접점(C1, C2)에 힘이 집중되어 심선이 가해지는 응력이 과도하여 심선이 휘어지거나 손상 또는 전달되기 쉽다.
심선이 곧바로 절단되지는 않더라도 접점에 생긴 균열이 발전하여 장기간 경과 후에는 심선이 절단되어버리기도 한다.
한편, 제1도와 같은 종래의 단자 블럭에 있어서는 도선의 접속 불량 등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덮개(3)을 완전히 들어 내야 한다.
덮개를 개방시킨 경우 접속된 모든 도선들이 일시에 노출되어 검사시에 조작자의 부주의로 단락되면 장치에 심각한 손상을 줄 우려가 있으므로 덮개를 개방할 때에는 검사 대상 장치 이외에도 접속된 모든 장치의 전원 공급을 중단해야 한다.
한편, 부재의 제작을 간단히 하기 위해 도전성 스트립의 한쪽 단부를 역U자형으로 구부려 그 융기부에 슬롯을 형성한 것도 있다.
이러한 단자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U자형 슬롯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슬롯형 단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슬롯형 단자의 슬롯이 그에 삽입된 도선의 심선에 가하는 응력을 감소시켜 심선의 손상을 방지하고 또한 슬롯이 도선의 심선과 넓은 각도에 걸쳐서 안정되게 접촉하여 접속의 신뢰성이 향상된 슬롯형 단자 및 이를 구비한 단자 블럭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또한 단자 블럭의 접속 단자마다 덮개를 별도로 마련하는 한편, 덮개를 커넥터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 부분과, 특별한 공구 없이도 개폐 가능한 가동부로 구성하고, 단자 블럭의 본체에는 덮개의 가동부를 스냅식으로 협지될 수 있도록 갈고리가 마련된 단자 블럭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접속 후에 발생하는 단자 접점의 휘어짐이나 절단 등의 손상을 방지함은 물론 도선의 접속위치를 확실히 유지하기 위한 단자 블럭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슬롯형 단자는 길이가 긴 베이스 부재의 한 쪽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 부재에 슬롯이 형성되고 슬롯의 측면부에는 날이 형성되어 도선을 슬롯에 삽입하여 위로부터 내리누름으로써 도선의 피복이 슬롯의 날에 의해 벗겨지고 그 내부의 심선이 슬롯에 접촉하게 되어 접속이 완료되는 슬롯형 도선 접속 단자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적어도 아랫 부분이 도선의 심선과 거의 같은 지름을 갖고 날이 서 있는 반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최선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직 부재는 역U자형으로 구부러져 융기부를 형성하며 상기 슬롯은 상기 융기부를 관통하여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슬롯형 단자를 구비한 단자 블럭에 있어서, 단자 블럭 덮개의 하면에 슬롯형 단자의 슬롯과 마주하는 위치에 인접하여 도선의 피복을 누를 수 있는 누름돌기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슬롯의 하단으로부터 아래로 수직 절개부가, 그리고 수직 절개부 하단으로부터 수평 방향 양쪽으로 수평 절개부가 연장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롯형 단자의 슬롯의 상기 반원형부의 상부는 위로 발산하는 테이퍼형으로 연장된다.
이하에 본 고안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4도는 본 고안의 단자블럭(10)의 구성을 보인 것으로서, 단자블럭의 덮개(a), 슬롯형 도선 접속 단자(b), 슬롯형 도선 접속 단자의 삽입 요부가 형성된 단자 블럭 형태(c)의 세가지 요소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단자 블럭(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단자블럭(10)의 덮개(20)에는 한쪽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관통 구멍(22)가 뚫려 있으며, 그로부터 일정 거리 안쪽에는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절취부(24)가 역테이퍼 노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절치부(24)의 상부(25)는 얇은 필림상으로 되어 있어서 가동부(27)을 선회시키는 스탭 힌지로서 작용할 수 있다.
단자 블럭의 본체(30)에는 슬롯형 도선 접속 단자를 수용하기 위한 요부(31)이 형성된다. 요부(31)은 도선 수용 요흠(33)으로 연결된다. 또한, 덮개의 관통구멍(22)에 상응하는 나사 구멍(34)가 형성되어 있어서 덮개(20)은 본체(30)에 나사로 고정된다. 보수, 검사나 도선 교환 등을 할 때에는 덮개(20)의 나사를 풀 필요가 없이 간단히 가동 부분(27)을 힌지(25)를 중심으로 선회시켜 열 수 있다. 단자 블럭 본체(30)의 나사 구멍(34)의 반대쪽 단부에는 갈고리(36, 38)이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갈고리(36, 38)사이의 거리는 그에 대응하는 부분의 덮개(20)의 폭과 거의 같고, 갈고리(36, 38)의 상부에는 덮개(20)의 두께와 같은 높이에 걸림턱이 내향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덮개(20)을 본체에 덮으면 덮개(20)의 상면은 갈고리(36, 38)의 상부 걸림 턱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덮개(20)의 하면 및 단자 블럭 본체(30)이 상면에는 각각 도선 수용 요홈(23, 33)이 형성되어 있어서 도선을 단자 블럭 내에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즉, 도선 수용 요홈(23, 33)에 의해 형성되는 원통형 구멍의 지름은 도선의 바깥 지름보다 약간 작아서 도선의 인입부를 도선 수용 요홈(33)에 놓고 뚜껑을 덮으면 도선의 인입부는 도선 수용 요홈(23, 33)내에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도선 수용 요홈(23, 33)과 덮개(20)의 하면, 단자 블럭 본체(30)의 상면 등에 방수용 패킹(도시 않음)을 설치하여 단자 블럭의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슬롯형 도선 접속 단자(40)은 그 한쪽 단부가 역U자형으로 융기되어 있으며, 그 융기부에는 접속 단자(40)의 길이 방향으로 슬롯(42)가 형성되어 있다.
슬롯(42)는 그 하부가 접속될 도선의 심선이 지름(D)와 거의 같은 지름의 반원형이고, 원호상으로서, 원호각은 180°이상이다.
상기 원호상 부분의 상부에는 대략 평행하게 수직으로 뻗어 있거나 위로 발산하는 테이퍼상이며, 슬롯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날이 서 있다.
따라서, 도선 접속 단자(40)의 슬롯(42)에 피복 도선을 화살표 I방향으로 내리 누르면 슬롯의 날에 의해 피복이 적어도 도선의 하반부에 걸쳐 절단되어 도선이 도선 접속 단자(40)과 도통 상태로 된다.
융기부의 중앙부에는 피복 도선의 바깥지름 보다 큰 폭의 확대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피복은 융기부의 수직벽 부분에서만 절단되며, 확장부에서는 피복 도선이 그대로 통과된다.
도선 접속 단자(40)의 다른 쪽 단부에는 핀 접속부(44)가 형성되어 있다.
단자 블럭으로의 도선의 인입부를 도선 수용 요홈(33)에 삽입하고 덮개(20)을 덮어 본체(30)과 나사로 체결하면 도선은 단자 블럭 내에서 견고하게 고정되어 외부 도선이 움직이더라도 도선 접속 단자(40)과 도선의 접속이 안정되게 유지된다.
제5도(a)는 슬롯형 도선 접속 단자의 역U자형 융기부(52A)의 상면이 평탄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5도(b)는 단자 블럭 본체(30)의 접속 단자 수용 요부(31)에 도선 접속 단자(40A)의 융기부(52A)를 받칠 수 있는 융기 지지부(32)가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제5도(b)의 단자 블럭 본체(30)은 두 개의 도선 접속 단자를 수용한다.
즉, 단자 블럭 본체(30)에는 그 하면에도 접속 단자 수용 요부 및 도선 수용 요홈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덮개(도시 않음)는 상부 덮개와 동일한 방법으로 고정되며, 이를 위해 단자 블럭 본체(10)에는 갈고리(36, 38) 아래쪽으로 그와 대칭을 이루는 갈고리(37, 39)가 연장된다.
단자 블럭 본체(30)의 융기 지지부(32)는 슬롯형 도선 접속 단자(40A)의 융기부 하방을 받침으로써 융기부가 휘어지거나 좌굴되는 것을 방지하여 도선 삽입시에 도선 피복이 쉽게 절단되도록 하고 접속 상태를 향상시킨다.
제4도 및 제5도에는 도선 접속 단자(40, 40A)의 한 쪽 단부에 핀 접속구(44, 44A)가 형성되어 있고 그 대향되는 다른 단부에 역U자형 단부가 설치된 실시예를 도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양 단부에 역U자형 융기부 및 슬롯을 형성할 수도 있고, 그 밖에도 핀 접속구(44, 44A)의 위치를 변경하는 등의 변경을 가할 수도 있다.
또한, 한 쪽 단부에는 한 개의 역U자형 융기부 및 슬롯을, 그에 대향되는 쪽 단부에는 여러개의 역U자형 융기부 및 슬롯들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선 접속 단자(40)의 슬롯(42)은 적어도 하반부가 심섬과 접촉하므로 제3도와 같이 도선(W)와 접속 단자가 점(C1, C2)에서만 심선을 파지하는 종래의 접속단자(2)보다 접촉 및 파지가 더 우수하다.
또한, 단자 블럭(10)으로의 도선의 인입부가 도선 수용 요홈에 밀착 수용되어 덮개(20)과 단자 블럭 본체(30) 사이의 체결력에 의해 강하게 고정되어 외부 도선이 이동하더라도 도선 접속 단자(40)에서의 접속이 양호하게 유지된다.
또한, 도선의 접속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덮개의 나사를 해제할 필요가 없이 갈고리(36, 38)를 좌우로 젖히고 덮개(20)의 가동부분(27)을 들어 올림으로써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제6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슬롯형 도선 접속 단자(50)을 도시한 것이며, 제7도는 제6도의 본체(30)에 수용된 접속 단자(50)에 도선(W)을 접속하고 덮개(20)를 덮은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슬롯이 테이퍼부(56)와 원호상 부분(59)로 되어 있고 슬롯의 전체 모서리에 도선의 피복을 절단하기에 적당한 날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선의 피복은 테이퍼부(56)을 통과 할 때 피복이 측부가 절단되고 슬롯의 하단에 이르면 도선 피복의 하반부 이상이 원호상 부분(59)에 의해 절단되어 도선 심선의 원주 부분중 하반부 이상이 슬롯과 접촉을 이룬다. 따라서 제3도에서 슬롯의 하단부에 R과 같은 초승달형 비접촉 부분을 가지면서 두점(C1, C2)에서만 접촉이 이루어지면 종래의 도선 접속 단자와 비교할 때 본 고안은 훨씬 넓은 범위에서 안정되게 접속된다.
제8도는 제7도의 본체(30)및 도선 접속 단자(50)에 누름 돌기(P)가 형성된 덮개(20A)를 결합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누름 돌기(P)는 도선 접속 단자(50)에 접속된 도선을 내리 누름으로써 단자(50)과 도선 심선 사이의 접촉을 확실히 하는 한편, 도선의 위치를 더욱 안정시킬 수 있다.
제9도는 슬롯(54)의 하단부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수직 절개부(62)가 형성되어 있는 도선 접속 단자(50A)의 사시도이다.
수직 절개부(62)의 하단에는 여유 구멍(64)가 뚫려 있다.
제10도는 제9도의 접속 단자(50A)를 단자 블럭 본체(30)의 요부(31)에 삽입하고 제9도의 선X-X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선 접속 단자(50A)의 융기부(52)에 형성된 슬롯(54)는, 아래 방향으로 수렴하는 테이퍼부(56)과 그 아래의 원형부(60)으로 되어 있다.
원형부(60)은 접속된 도선의 심선과 같은 지름의 원호로서 원호각은 180°를 초과한다. 그러므로, 테이퍼부(56)과 원호부(60)사이의 목부(58)은 도선의 심선의 지름보다 작은 폭의 통로를 형성하며, 도선의 심선이 목부(58)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목부(58)에 측압을 가하게 된다.
목부(58)에 측압이 작용하면 슬롯은 좌우로 벌어지고, 이때 절개부(62) 및 여유 구멍(64)는 슬롯이 쉽게 벌어질 수 있도록 한다.
심선이 목부(58)를 통과하면 측압이 해제되므로 슬롯은 원위치로 탄성 복원하고 심선은 원호부(60) 내에 고정된다.
슬롯의 테이퍼부(56)은 도선의 피복을 전단 작용에 의해 보다 효과적으로 절단할 수 있다.
목부(58)의 폭 δ는 도선이 통과할 때 도선 하부의 피복을 가능한 한 많이 절단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좁게 하는 것이 유리하지만, δ가 지나치게 작으면 목부(58)이 심선에 미치는 응력이 증가하여 피복뿐만 아니라 심선도 지나치게 손상시킬 정도로 커질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목부(58)의 폭 δ는 도선이 목부(58)을 통과할 때 심선이 작용하는 전단 응력은 수직 절개부(62) 및 여유 구멍(64)에 의해 충분히 완화되어 주로 피복만이 절단되도록 적당한 크기로 결정한다.
제11도는 슬롯의 수직 절개부(62)의 하단에서 수평 절개부(66)이 좌우로 연장되고 수평 절개부(66)의 양단부에 여유 구멍(67, 68)이 형성되어 있는 도선 접속 단자(50B)를 단자 블럭 본체(30)와 함께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선 접속 단자(50B)에는 수직 절개부(62) 이외에 수평 절개부(66)도 형성되어 있으므로 심선이 목부(58)을 통과할 때 슬롯이 제10도의 실시예에서 보다 쉽게 벌어진다.
또한, 융기부 하단의 좌우 모서리에는 절취부(69)가 형성되어 도선 삽입시에 슬롯이 더욱 쉽게 벌어질 수 있다.
제12도는 제11도의 단자 블럭 본체(20)의 요부(31)에 수용된 도선 접속 단자(50B)에 도선(W)을 접속하고 덮개(20)를 덮은 상태의 단면도이고 제13도는 하면에 누름 돌기(21)이 형성된 덮개(20A)를 덮은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8도 및 제13도의 실시예와 같이 덮개(20A)의 하면에 누름 돌기(21)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누름 돌기(P)는 도선 접속 단자의 융기부 전방 및 후방을, 그리고 도선 접속 단자의 융기부가 종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되는 경우에는 융기부와 융기부의 사이도 누르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슬롯의 원호부(60) 하단에는 연장되는 수직 절개부(62) 또는 수직 절개부(62)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 절개부(66)이외에, 예컨대 방사상 절개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절개부는 반드시 직선일 필요는 없으며, 또한 일정한 폭의 슬릿으로 할 수도 있다.
슬롯의 확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든 채택 가능하다.
제14도 및 제15도는 여러개의 도선 접속 단자를 포함하며, 각 단자마다 하나씩의 뚜껑을 구비한 단자 블럭의 정면도이다.
제14도는 상방과 하방 및 좌측에 하나씩 모두 세 개의 도선을 접속하는 실시예를, 제15도는 상하 좌우에 하나씩 모두 네 개의 도선을 접속하는 실시예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제14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자 블럭 본체(30)의 도선 수용 홈(33)과 이에 대응하는 덮개(20)의 도선 수용 홈(23)이 맞대어져 이루어지는 원통형 구멍의 직경은 피복 전선의 외경보다 약간 작아서 덮개가 닫히면 도선이 눌리게 되어 도선의 위치가 확고히 유지될 수 있다.
각각의 덮개는 제4도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힌지(25)를 중심으로 하여 도선 수용 요홈(23)이 형성되어 있는 쪽 부분 즉 가동부(27)은 단자 블럭 본체(30)에 형성된 갈고리에 의해서, 그리고 그 반대편 부분 즉 고정부는 단부에 인접한 구멍(22)를 통해 체결되는 나사에 의해 블럭 본체(30)에 고정된다.
따라서, 가동부(27)은 갈고리를 젖히고 힌지(25)를 중심으로 하는 선회 동작에 의해 쉽게 들어 올릴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고 기술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가 그러한 특정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라면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도선 접속 단자(40)은 한 쪽 단부에 핀 접속구(44), 다른 한 쪽에 역U자형 융기부가 형성된 것을 설명하였으나, 상기 핀 접속구는 도선 접속 단자의 중앙 부분에 배치하고 도선 접속 단자의 양단에 역U자형 융기부를 각각 형성할 수도 있다.
또, 역U자형 융기부로 하지 않고 제3도와 같은 수직벽에 본 고안의 슬롯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 단자 블럭에 접속되는 도선을 +선과, -선, 그리고 접지선 등으로 구분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단자 블럭 본체의 도선 수용 요홈(33)에 각각의 도선을 구분하는 색깔이 있는 고무 패킹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단자 블럭 본체(30)과 덮개(20)이 맞닿는 면 전체에 걸쳐 시일을 부착하고 전선 인입부 등에도 고무 패킹을 하여 단자 블럭을 방수 밀봉시킴으로써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도선 접속 단자는 융기부를 두 개 이상 두어 도선의 접속을 더욱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수직 절개부를 복수개 형성하거나 방사상 절개부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또 절개부를 곡선이나 일정한 폭의 슬릿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서, 상기 실시예에서는 단자 블럭 본체의 한면에 도선 접속 단자가 하나만 수용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한 면에 여러개의 도선 접속 단자도 수용할 수 있다.

Claims (15)

  1. 도전성 스트립으로 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적어도 한 쪽 단부에 인접하여 역U자형으로 구부러진 융기부로써 형성되고, 상기 융기부의 상단으로부터 아래 쪽으로는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도전성 심선과 심선을 둘러싸는 절연성 피복으로 구성되는 피복 도선의 피복을 절단하기 위한 날이 서 있는 단자 블럭용 슬롯형 단자에 있어서, 상기 슬롯(42)는 그 하부가 상기 피복 도선(W)의 심선(Wc)와 동일한 지름의 원호상으로서 원호각이 180°이상이고, 상기 원호상 하부에는 피복 도선(W)의 피복을 절단하기 위한 날이 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롯형 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42)의 원호상 하부의 윗부분은 윗쪽으로 발산하는 테이퍼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롯형 단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42) 하부의 원호각 180°이고 그 상부로는 슬롯이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롯형 단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이 슬롯(42)의 원호상 하부의 하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수직 절개부(62)가 연장되고 수직 절개부(62)의 하단에는 원형 여유구멍(6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롯형 단자.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42)의 원호상 하부의 하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수직 절개부(62)가 연장되고, 상기 수직 절개부(62)의 하단으로부터 좌우로 수평 절개부(66)이 연장되고, 상기 수평 절개부(66)의 좌단 및 우단에는 원형 여유 구멍(67, 68)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롯형 단자.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쪽 단부에는 한 개의 역U자형 융기부(52: 52A)와 슬롯(42)을, 다른 쪽 단부에는 복수개의 역U자형 융기부(52: 52A)및 슬롯(4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롯형 단자.
  7. 도전성 스트립으로 된 베이스부의 적어도 한 쪽 단부가 역U자형으로 구부러져 형성된 융기부의 상부에 베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피복과 심선으로 된 피복 도선의 피복을 절단하기 위한 날이 서 있는 한 개 이상의 슬롯형 단자와, 상기 슬롯형 단자를 수용하기 위한 한 개 이상의 요홈을 구비한 본체와, 상기 본체를 덮는 덮개로서 구성되는 단자 블럭에 있어서, 상기 슬롯형 단자의 슬롯(54)는 그 하부가 상기 피복 도선(W)의 심선(Wc)과 동일한 지름의 원호상으로서 원호각이 180°이상이고, 상기 원호상 하부에는 피복도선(W)의 피복(Wi)을 절단하기 위한 날이 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블럭.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30)의 상면에는 상기 각각의 슬롯형 단자 수용요홈(31)로 부터 상기 본체(30)의 한 쪽 단부로 뻗고 상기 피복 도선과 동일한 지름을 갖는 반원형 단면의 도선 수용 요홈(3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덮개(20)의 하면에도 본체(30) 상면의 상기 도선 수용 요홈(33)과 대칭으로 동일한 형상과 크기의 도선 수용 요홈(2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블럭.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0)에는 상기 도선 수용 요홈(23)이 형성된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 인접한 부분에 두 개의 나사 구멍(22)가 뚫려 있고, 상기 본체(30)에는 상기 덮개(20)의 나사 구멍(22)에 상응하는 나사 구멍(34)가 두 개 뚫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블럭.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0)은 그 두께에 걸쳐서 상단의 일부 두께를 제외하고는 상기 덮개(20)의 길이 방향에 직각으로 절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단자 블럭.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30)의 상기 도선 수용 요홈(33)이 형성된 쪽 단부에는 그 양단으로 부터 윗쪽으로, 상기 덮개(20)을 파지하기 위한 갈고리(36, 38)이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단자 블럭.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0)의 밑면에는 상기 슬롯형 단자(40)에 인접한 위치에서 슬롯(42)에 삽입된 피복 도선(W)을 내리 누르기 위한 돌기(2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블럭.
  13.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42)의 원호상 하부의 윗부분은 윗쪽으로 발산하는 테이퍼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블럭.
  14.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42)의 원호상 하부의 하단으로 부터 아래쪽으로 수직 절개부(62)가 연장되고 수직 절개부(62)의 하단에는 윈형 여유 구멍(6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블럭.
  15.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42)의 원호상 하부의 하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수직 절개부(62)가 연장되고, 상기 수직 절개부(62)의 하단으로부터 좌우로 수평 절개부(66)이 연장되고 수평 절개부(66)의 좌단 및 우단에는 원형 여유 구멍(67, 68)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블럭.
KR2019940010120U 1994-05-07 1994-05-07 슬롯형 단자 및 슬롯형 단자를 구비한 단자 블록 KR01138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0120U KR0113849Y1 (ko) 1994-05-07 1994-05-07 슬롯형 단자 및 슬롯형 단자를 구비한 단자 블록
US08/737,195 US6093047A (en) 1994-05-07 1995-05-04 Slot type terminal and the terminal block provided with the same
PCT/KR1995/000048 WO1995031015A1 (en) 1994-05-07 1995-05-04 A slot type terminal and the terminal block provided with the same
US09/379,094 US6142820A (en) 1994-05-07 1999-08-23 Slot type terminal and the terminal block provided with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0120U KR0113849Y1 (ko) 1994-05-07 1994-05-07 슬롯형 단자 및 슬롯형 단자를 구비한 단자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4402U KR950034402U (ko) 1995-12-18
KR0113849Y1 true KR0113849Y1 (ko) 1998-04-15

Family

ID=19382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0120U KR0113849Y1 (ko) 1994-05-07 1994-05-07 슬롯형 단자 및 슬롯형 단자를 구비한 단자 블록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6093047A (ko)
KR (1) KR0113849Y1 (ko)
WO (1) WO199503101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0339A (ko) 2022-02-09 2023-08-17 주식회사 세종파마텍 배수 성능이 향상된 고속 믹서기
KR20230120340A (ko) 2022-02-09 2023-08-17 주식회사 세종파마텍 개폐력 조절이 가능한 고속 믹서기의 베셀 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5370A (ja) * 1999-11-05 2001-05-18 Yazaki Corp 圧接コネクタ及び電線圧入装置
US6398580B2 (en) * 2000-01-11 2002-06-04 Visteon Global Tech., Inc. Electrical terminal member
WO2001069970A2 (en) * 2000-03-13 2001-09-20 Sarnoff Corporation Hearing aid format selector
US7121869B2 (en) * 2004-12-29 2006-10-17 Topower Computer Industrial Co., Ltd. Power cord electric connection structure
TW200922009A (en) * 2007-12-07 2009-05-16 Jye Chuang Electronic Co Ltd Contact terminal
EP2747206B1 (en) * 2011-10-14 2018-07-18 Omron Corporation Terminal
US9964326B2 (en) 2013-03-15 2018-05-0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Electrostatic discharge connector and method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2055213B1 (ko) 2015-02-03 2019-12-12 브로제 파르초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뷔르츠부르크 전기 모터 및 그에 대한 스위칭 유닛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08045A (en) * 1945-01-04 1946-09-24 Turner R Cottrell Line connector
AU5574573A (en) * 1972-05-30 1974-11-21 Amp Inc Electrical contact elements and connectors electrical contact elements and connectors
US4074929A (en) * 1973-08-29 1978-02-21 Amp Incorporated Cable card edge connector
US3877773A (en) * 1973-10-29 1975-04-15 Amp Inc Double-ended conductor-in-slot connecting device
US3897128A (en) * 1974-03-25 1975-07-29 Amp Inc Pre-insulated connecting device for a plurality of wires having insulation displacing features
US4109991A (en) * 1974-05-10 1978-08-2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elf-stripping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l
US3964816A (en) * 1974-08-22 1976-06-22 Thomas & Betts Corporation Electrical contact
US4118103A (en) * 1977-09-15 1978-10-03 Amp Incorporated Double-ended connecting device
FR2408923A1 (fr) * 1977-09-21 1979-06-08 Alsthom Cgee Borne a raccordement rapide
US4141618A (en) * 1977-12-05 1979-02-27 Amp Incorporated Transversely slotted barrel terminal
FR2421484A1 (fr) * 1978-03-31 1979-10-26 Socapex Element de contact auto-denudant a ancrage radial pour connecteur, et connecteur comportant un tel element de contact
US4296988A (en) * 1980-02-20 1981-10-27 Amp Incorporated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 support
US4354719A (en) * 1980-09-22 1982-10-19 Amp Incorporated Two-row electrical connector composed of connector modules
NL8601094A (nl) * 1986-04-29 1987-11-16 Philips Nv Elektrisch kontaktorgaan en werkwijze voor de vervaardiging daarvan.
GB8812322D0 (en) * 1988-05-25 1988-06-29 Amp Gmbh Electrical connector
US5088934A (en) * 1991-02-20 1992-02-18 Chian Chyun Enterprise Co. Ltd. Electrical terminal
US5295857A (en) * 1992-12-23 1994-03-22 Toly Elde V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wire termination system
US5683266A (en) * 1994-03-31 1997-11-04 Bitron S.P.A. Device and method for the mechnical and electrical connection of a termina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0339A (ko) 2022-02-09 2023-08-17 주식회사 세종파마텍 배수 성능이 향상된 고속 믹서기
KR20230120340A (ko) 2022-02-09 2023-08-17 주식회사 세종파마텍 개폐력 조절이 가능한 고속 믹서기의 베셀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5031015A1 (en) 1995-11-16
KR950034402U (ko) 1995-12-18
US6142820A (en) 2000-11-07
US6093047A (en)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40270A (en) Electrical terminal unit
US5009612A (en) Multi-conductor electrical cable connector
US3805214A (en) Resilient electrical contact
US3102767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cable
US3997233A (en) Flat conductor cable connector
US6471541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ables
KR0113849Y1 (ko) 슬롯형 단자 및 슬롯형 단자를 구비한 단자 블록
US4533190A (en) Electrical power track system
US4533193A (en) IDC termination for coaxial cable having alignment & stabilizing means
KR910006166B1 (ko) 통신케이블와이어 접속장치
CA1088173A (en) Connector adapter assembly for modular telephone interconnection system
JPS6326972A (ja) 電線保持装置
US20100048059A1 (en) Electrical connector
JPH1022010A (ja) 平型柔軟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4037906A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ontact
US5476393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able
US6741453B1 (en) Board-mounted electronic device, in particular an electronic gas lighter, including means for fast connection of insulated electric wires to an electric circuit on the board
US9184515B1 (en) Terminal blocks for printed circuit boards
US4842545A (en) Cable connector
US4226494A (en) Circuit panel connector
CA1078481A (en) Insulation-piercing contact
US5049088A (en) Multi conductor electrical cable connector
EP0382482B1 (en) Multi conductor electrical cable connector
JPS6297273A (ja) 電気コネクタ
US4611874A (en) Device for making LSA-PLUS contact with conductor wires of different types and siz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