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166B1 - 통신케이블와이어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통신케이블와이어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166B1
KR910006166B1 KR1019880002941A KR880002941A KR910006166B1 KR 910006166 B1 KR910006166 B1 KR 910006166B1 KR 1019880002941 A KR1019880002941 A KR 1019880002941A KR 880002941 A KR880002941 A KR 880002941A KR 910006166 B1 KR910006166 B1 KR 910006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wire
connection
legs
connector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2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1955A (ko
Inventor
게르케 디터
뮐러 만프레드
Original Assignee
크로네 악티엔게젤샤프트
닥터 엘재서, 슈미트-라이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로네 악티엔게젤샤프트, 닥터 엘재서, 슈미트-라이헤 filed Critical 크로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880011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1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 H01R4/2458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contact members being in a slotted tubular configuration, e.g. slotted tube-end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통신케이블와이어 접속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구의 일부절개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접속구의 정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접속구의 측면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접속구의 평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구에 케이블와이어가 삽입된 상태의 평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구의 전개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평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평면도.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의 평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의 평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의 평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의 평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에 케이블와이어가 삽입된 상태의 정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의 전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접속구 2, 3 : 지지부
4 : 접속자 5 : 조임용슬롯
6, 6a, 7, 7a : 접속래그 8 : 접속슬롯
9 : 면접촉자 10, 11 : 지지부
12 : 절단용슬롯 13 : 절단부
14, 15 : 선단부 18 : 케이블와이어
본 발명은 통신장비내에서 케이블와이어를 접속시켜 주기 위한 통신용케이블와이어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속구몸체에 외부와 연통된 조임용슬롯이 최소한 하나이상 형성되고, 접속구 몸체내측에 조임용 슬롯이 접속구몸체와 일체로 형성된 통신케이블와이어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장치내에서 케이블와이어를 접속시켜 주기 위해 설치되는 접속장치는, 독일연방공화국 특허출원 제32 36 867호에 기재된 통신용케이블 접속장치와 같은 것이 있는바, 이 장치는 플라스틱재질로 만들어지면서 그 주변벽에 래치부를 갖춘 조임용슬롯이 구비된 접속구 몸체와, 금속재질 접속슬롯트를 갖추고서 금속재질로 된 절단 및 조임용접촉자가 상호조립되도록 한 2개부품의 구조로 되어, 절연피복이 입혀진 케이블와이어를 상기 접속슬롯내에 압입시킬 때, 1차적으로 와이어절연피복이 접속슬롯의 양쪽으로 대향된 칼날에 의하여 절단되어지면서 절연피봇내의 도전성코어(전도체)가 절단 및 조임용접촉자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절단 및 조임용접촉자를 이용한 케이블와이어 접속방법은, 스크류를 체결시키거나 납땜작업 또는 절연피복을 벗기는 등의 작업를 할 필요가 없으므로 여러가지 장점을 갖고는 있으나, 절단 및 조임용접촉자가 접속구몸체의 표면이나 접속구몸체의 내측에 자유로운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접속용슬롯과 조임용슬롯의 간격에 따라 일정직경의 케이블와이어만을 접속시켜줄 수밖에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케이블의 직경이나 연선의 가닥수에 관계없이 케이블와이어를 접속시켜줄 수 있도록 한 케이블와이어의 접속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와이어 접속장치는, 금속재질로 된 접속구의 벽체일부를 절개한 후 접속구의 안쪽으로 절곡시켜 절단 및 조임용접촉자를 이루는 접속레그부가 되게함으로써, 직경에 관계없이 여러종류의 케이블와이어를 상기 접촉자에 접속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직경이 큰 케이블와이어를 접속해 줄 경우에는 접속용슬롯의 간격이 넓어지게되므로 이에 따라 조임용슬롯의 간격이 넓어지게 되어 큰 접속력이 얻어지게 되고 긴밀한 접속을 이룰수 있게 한다. 그리고 케이블의 직경변화에 따라 상기 접속용슬롯이 적절한 접속력을 유지하게 되며, 또 접속구에 가해지는 기계적인 응력이 접속슬롯에 직접가해지지 않게됨으로써, 종래의 접속방법에서와 같은 불편 즉 케이블와이어를 지지시켜주기 위해 접속구외부에 별도의 조임용리브를 설치해 놓아야 하는 불편을 제거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접속 레그는 케이블와이어의 길이방향에 대해 약45o의 각도로 케이블이 접속되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져 상기 케이블와이어가 접속레그의 칼날부에 의해 그 절연피복이 대각선으로 절단되어지면서 접촉자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접속레그부를 경사면을 갖춘 측벽형태로 형성시켜, 여기에 연선형케이블와이어가 면접촉하도록 해준 다음 케이블와이어를 접속시켜 주면 연선가닥을 손상시키지않고 접속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예시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6도에는 본 발명 케이블와이어 접속장치의 제1실시예가 도시되어져 있는바, 이 접속장치의 접속구(1)는 원형단면으로 형성되면서 이 접속구(1)의 벽체(33) 전체길이에 걸쳐 1개 이상의 조임용슬롯(5)이 형성되고, 이 조임용슬롯(5)의 반대편에는 바닥(13)이 칼날형태로 된 길이가 짧은 절단용슬롯(13)이 형성되며, 상기 각 슬롯(5,13)의 상단부에는 약간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16,17)이 갖추어져 있는 한편, 상기 접속구(1)내측에는 접속구(1)의 벽체(33)일부가 절개되어져 안쪽으로 구부려짐으로써 이루는 조임용접촉자(4)의 지지부(2,3)에 의해 접속레그(6,7)가 형성되게 한 구조로 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접속구를 형성시켜주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즉, 케이블와이어 접속장치를 이루는 접속구(1)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판을 펀칭해서 만들어진 벽체(33)를 타원형으로 벤딩해줌으로써 형성되게 되는데, 이와 같이 금속판을 펀칭해 줄 때 접속구(1)의 중앙에 상부 및 하부 수평절개면(29)과 함께 수직절개면(30)으로 형성된 U자형 절개부(35)를 따냄으로써 지지부(2,3)가 형성되게 하고, 이 지지부(2,3)의 자유단을 이루는 수직절개면(30)을 벤딩측(31)을 중심으로 하여 접속구(1)의 안쪽으로 절곡시켜 절단 및 조임용접촉자(4)로서의 접속레그(6,7)를 형성시키되, 이들 접속레그(6,7)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선단이 서로 마주보면서 그 사이에 접속슬롯(8)이 형성되게 한다. 이때 상기 접속레그(6,7)는 조임용슬롯(5)을 통과하는 중심축선(34)과 약 45o의 기술기(β)를 이루며 절곡되게 한다.
다음에는 이러한 구조의 접속구(1)에 케이블와이어를 접속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케이블와이어(18)를 조임용슬롯(5)과 절단용슬롯(12)의 경사면(16,17)을 통해 삽입시켜 케이블와이어(18)의 케이블축이 중심축선(34)과 정확하게 일치된 상태에서, 도시되지 아니한 연장으로 상기 케이블와이어(18)를 아래로 내리누르면 상기 조임용슬롯(5)이 케이블와이어(18)의 직경에 맞추어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외경부인 절연피복부분을 잡아주게 되는바, 이에 따라 역시 탄성이 있는 상기 접속레그(6,7)가 연결시키고자 하는 케이블와이어(18)의 직경에 따라 벌어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게이블와이어를 더욱더 내려누르면, 접속레그(6,7)의 삽입면(27)에 의해 안내되짐으로 인해 조임용슬롯(5)의 중심축선을 따라 내려가면서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슬롯(8)의 선단부(14,15)에 형성된 칼날(20,21)에 의해 케이블와이어(18)의 절연피복(22)이 대각선방향으로 절단됨과 동시에, 접속레그(6,7)가 절연피복(22)내로 파고 들어가 케이블와이어(18)내부의 도전성코어(19)에 접속되게됨으로써 접속구(1)와 케이블와이어(18)사이에 전기적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조임용슬롯(5)과 접속슬롯(8)을 이용함으로써 케이블와이어(18)를 보다 안전하고 확실하게 접속시켜질 수 있게 되는 한편, 접속구(1)외부로 돌출되는 케이블와이어(18)의 선단부는 절단용슬롯(12)의 절단부(13)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이 케이블와이어(18)를 내리누를 때 깨끗하게 절단되어 외부모양새가 깨끗해지게 된다.
한편 상기 2개의 접속레그(6,7)는 조임용슬롯(5)과 접속슬롯(8)을 잇는 중심축선(34)에 대한 각도를 제7도 내지 제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달리 형성시켜 줄 수가 있는바, 제7도에서는 접속레그(6,7)가 조임용슬롯(5)을 지나는 중심축선(34)에 대해90o의 각도(α)를 갖도록 절곡형성시킨 것으로서, 이 접속레그부(6,7)의 선단에 칼퀴형접속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제8도와 제9도는 상기 접속레그(6,7)를 조임용슬롯(5)을 지나는 중심축선(34)에 대해 45。 각도(β)로 절곡형성시킨 것으로서, 그 선단에 삼각형태의 접속구(37)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들 제8도와 제9도에 도시한 실시예는 접속레그(6,7)가 조임용슬롯(5)을 향해 절곡되어 있는것과 그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져 있다는 점에서 양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제8도에 도시된 삼각형태의 접속부(37)는 제9도에 도시된 접속부(37)보다 케이블와이어가 삽입될 때 벌어지는 정도가 작게되고, 또 접속레그(6,7)의 탄성에 있어서도 제9도에 도시되어져 있는 접속레그(6,7)보다 제8도에 도시된 접속구(6,7)의 탄성력이 더 커지게 되며, 그 결과 제9도에 도시된 삼각형태의 접속부(37)에 케이블와이어(18)가접속될 때 접속슬롯(8)에는 상관없이 조임용슬롯(5)의 간격만이 제8도에 도시된 삼각형태의 접속부(37)간격보다 더 벌어지게 된다.
다음에는 도전성코어(전선)가 다수개의 연선가닥으로 이루어진 연선형케이블와이어를 접속하도록 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제10도 내지 제1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개의 연선가닥(32)을 갖춘 연선형케이블와이어(23)을 손상시키지 않고 접속시켜주기 위해서, 제4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접속구(1)내에다 면접촉자(9)를 형성시켜줄 수 있는바, 이 접속구(1)의 구조는 금속판에다 펀칭기를 가지고 좌우로 나란히 한 쌍의 상측슬롯(24)과 하측슬롯(25)을 형성시켜주면서 상측슬롯(24)의 중앙부위에 절단팁(26)을 형성시켜주면, 상측슬롯(24)과 하측슬롯(25)사이에 형성되는 지지부(2,3)가 접힘면(38)을 이루면서 접속구내측으로 접혀져 V자형접속레그부(6a,7a)로 되는 각형지지부(10,11)가 형성되어지게 되는데. 이때 한쌍의 상측슬롯(24)의 중앙부위에 각각 형성된 절단팁(26)이 일정간격을 유지한채 마주보면서 이들 절단팁(26)사이에 접속슬롯(8)을 형성시켜주게 된다.
이와같은 구조를 갖는 실시예에서 연성형케이블와이어(23)를 압입시키면 절단팁(26)이 케이블와이어(23)의 절연피복을 절단해주게 되고, 이어 좀더 압입해주게 되면 케이블와이어(23)의 연선가닥(32)들이 슬롯면(27)에 접촉되면서 연선형케이블와이어(23)와 접속구(1)간에 전기적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연선가닥(32)이 손상되지 않고 케이블와이어(23)에 접속되게 됨과 더불어 접속슬롯(8)이 벌여졌다 오무려지는 탄성력을 갖고 있어서 케이블와이어(23)의 직경에 관계없이 접속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절단팁(26)의 크기 및 대향면적을 다양하게 하면 V자형접속레그부(6a,7a)의 길이를 케이블와이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맞추어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체(33)의 하단에 도전성의 연장부(28)가 형성되어져 있어서 인접하고 있는 다른 접속구(1)에 쉽게 접속시켜 줄 수 있게 된다.

Claims (11)

  1. 통신장비내에 설치되어 그 길이방향으로 슬릿트가 형성되어 이 슬릿트를 통해 케이블을 삽입시켜 줌으로써 케이블와이어를 접속시켜주도록 된 접속구로 이루어진 통신케이블와이어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1)의 내부에, 이 접속구(1)의 벽체(33)일부가 절개된 상태에서 안쪽으로 구부러져 케이블와이어의 접속레그(6,7)역할을 하는 지지부(2,3)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케이블와이어 접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접속구(1) 내측에 형성된 한쌍의 접속레그(6,7)간에의 형성각도가 0。에서 180。의 범위내에서 선택되고, 접속구(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조임용슬롯(5)과 접속레그(6,7)에 의해 형성된 접속슬롯(8)이 중심축선(34)상에 위치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와이어 접속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레그(6,7)는 그 내각(α)이 180o이고, 접속구(1)의 조임용슬롯(5)을 지나는 중심축선(34)과 이루는 각도(β)가 약 45o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와이어 접속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 접속레그(6,7)는 그 내각(α)이 90o이고, 접속구(1)의 조임용슬롯(5)을 지나는 중심축선(34)과 이루는 각도(β)는 약 45o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와이어 접속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레그(6,7)는 이들간의 접속슬롯(8)이 접속구(1)의 조임용슬롯(5)과 반대방향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와이어 접속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레그(6,7)는 이들간의 접속슬롯(8)이 접속구(1)의 조임용슬롯(5)과 같은 방향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와이어 접속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레그(6,7)가 접속구(1)의 벽체(33)의 일부가 절개된 U자형절개부(35)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와이어 접속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접속구(1)내측에서 면접촉자(9)를 이루게 되는 접속레그(6a,7a)가 본체(33)의 상측과 하측에 형성된 슬롯(24)(25)사이의 지지부(20,11)를 내측으로 절곡시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와이어 접속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여러가지 상기 지지부(10,11)가 접속구내측을 향해 V자형으로 절곡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와이어 접속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레그(6,7)사이에 형성된 접속슬롯(8)의 상단부에 경사면(2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와이어 접속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접속구(1)의 하단면에 다른 접속구(1)와 접속시키기 위한 도전성의 연장부(2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와이어 접속장치.
KR1019880002941A 1987-03-20 1988-03-19 통신케이블와이어 접속장치 KR9100061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3709376A DE3709376C1 (de) 1987-03-20 1987-03-20 Schneidklemm-Huelsenkontakt
DEP3709376.2 1987-03-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1955A KR880011955A (ko) 1988-10-31
KR910006166B1 true KR910006166B1 (ko) 1991-08-16

Family

ID=6323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2941A KR910006166B1 (ko) 1987-03-20 1988-03-19 통신케이블와이어 접속장치

Country Status (26)

Country Link
US (1) US4897040A (ko)
EP (1) EP0283427B1 (ko)
JP (2) JPS63264880A (ko)
KR (1) KR910006166B1 (ko)
CN (1) CN1009975B (ko)
AT (1) ATE103111T1 (ko)
AU (1) AU601030B2 (ko)
BR (1) BR8801258A (ko)
CA (1) CA1286741C (ko)
DD (1) DD269496A5 (ko)
DE (2) DE3709376C1 (ko)
DK (1) DK151088A (ko)
FI (1) FI881311A (ko)
HU (1) HU196864B (ko)
IL (1) IL85648A (ko)
IN (1) IN168922B (ko)
IS (1) IS1453B6 (ko)
MX (1) MX166411B (ko)
MY (1) MY103725A (ko)
NO (1) NO172617C (ko)
NZ (1) NZ223698A (ko)
PT (1) PT87026B (ko)
SU (1) SU1660593A3 (ko)
TR (1) TR25096A (ko)
YU (1) YU54088A (ko)
ZA (1) ZA88193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6765A (en) 1989-02-21 1991-01-22 Amp Incorporated Insertable latch means for use in an electrical connector
DE4130940C1 (ko) * 1991-09-13 1992-07-16 Krone Ag, 1000 Berlin, De
GB9326230D0 (en) * 1993-12-22 1994-02-23 Amp Italia Insulation displacing barrel contact
KR970703054A (ko) * 1994-05-06 1997-06-10 프랭크 에이.오울플링 절연 제거 방식으로 적층된 컨덕터를 결합시키기 위한 구조의 전기 터미널
US6419518B1 (en) * 2001-02-16 2002-07-16 Y-Connect, Incorporated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 for use with fine wires
DE502005003488D1 (de) * 2005-09-22 2008-05-08 Delphi Tech Inc Vorrichtung zum Trennen eines elektrischen Leiters
US20070254521A1 (en) * 2006-04-28 2007-11-01 D Agostini Roberto Insulation displacement terminal
US7442045B1 (en) 2007-08-17 2008-10-28 Centipede Systems, Inc. Miniature electrical ball and tube socket with self-capturing multiple-contact-point coupling
US8096828B2 (en) * 2008-06-24 2012-01-1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for terminating a coaxial cable
US8888527B2 (en) 2011-10-25 2014-11-18 Perfectvision Manufacturing, Inc. Coaxial barrel fittings and couplings with ground establishing traveling sleeves
DE102012200210A1 (de) * 2012-01-09 2013-07-11 Wissenschaftlich-technische Werkstätten GmbH Sensorhalter
US9343822B2 (en) 2013-03-15 2016-05-17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Communications connector system
US9627827B2 (en) 2014-04-14 2017-04-18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Communication outlet with shutter mechanism and wire manager
US9515437B2 (en) 2014-04-14 2016-12-06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Communication outlet with shutter mechanism and wire manager
CA2945752C (en) 2014-04-14 2023-09-05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Communication outlet with shutter mechanism and wire manager
USD752590S1 (en) 2014-06-19 2016-03-29 Leviton Manufacturing Co., Ltd. Communication outlet
US9608379B1 (en) 2015-10-14 2017-03-28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Communication connector
US10135207B2 (en) 2016-01-31 2018-11-20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High-speed data communications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45455A (en) * 1973-10-12 1974-10-29 Amp Inc Tubular conductor-in-slot connecting device
IL54479A0 (en) * 1977-04-18 1978-07-31 Bunker Ramo Electrical connectors
US4141618A (en) * 1977-12-05 1979-02-27 Amp Incorporated Transversely slotted barrel terminal
JPS5527429A (en) * 1978-08-15 1980-02-27 Sanko Metal Ind Corp Ltd Forming machine of draining plate
US4283105A (en) * 1979-12-07 1981-08-11 Amp Incorporated Terminal for cross connect apparatus
DE3044888C2 (de) * 1980-11-28 1984-09-06 Krone Gmbh, 1000 Berlin Freistehendes, befestigbares Anschlußelement in Z-förmiger Ausführung eines LSA-PLUS-Kontaktes
CH653179A5 (de) * 1981-11-04 1985-12-13 Schurter Ag Schneidklemmenvorrichtung.
CA1194950A (en) * 1981-11-13 1985-10-08 Vasantrai A. Vachhani Electrical connector module
GB2112216B (en) * 1981-12-16 1985-11-27 Plessey Co Plc Electrical connectors for use in telecommunications equipment
DE3214896C1 (de) * 1982-04-22 1983-10-06 Krone Gmbh Anschlusselement fuer Kabeladern und Dopwire-Kabel
US4431247A (en) * 1982-04-23 1984-02-1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Insulated terminal and module
US4591223A (en) * 1984-09-18 1986-05-27 Magnetic Controls Co. Electrical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87026B (pt) 1995-03-01
AU1326488A (en) 1988-09-22
BR8801258A (pt) 1988-10-25
KR880011955A (ko) 1988-10-31
IL85648A (en) 1992-05-25
DD269496A5 (de) 1989-06-28
JPS63264880A (ja) 1988-11-01
MX166411B (es) 1993-01-07
IS3316A7 (is) 1988-09-21
MY103725A (en) 1993-09-30
US4897040A (en) 1990-01-30
TR25096A (tr) 1992-09-23
FI881311A0 (fi) 1988-03-18
PT87026A (pt) 1989-03-30
AU601030B2 (en) 1990-08-30
IL85648A0 (en) 1988-08-31
SU1660593A3 (ru) 1991-06-30
IN168922B (ko) 1991-07-13
FI881311A (fi) 1988-09-21
HUT46170A (en) 1988-09-28
CN88101546A (zh) 1988-10-26
ZA881937B (en) 1988-11-30
ATE103111T1 (de) 1994-04-15
NO881183L (no) 1988-09-21
IS1453B6 (is) 1991-01-16
NZ223698A (en) 1989-09-27
NO172617C (no) 1993-08-11
HU196864B (en) 1989-01-30
CA1286741C (en) 1991-07-23
JPH0656971U (ja) 1994-08-05
DK151088D0 (da) 1988-03-18
DE3888375D1 (de) 1994-04-21
EP0283427A3 (en) 1990-10-31
YU54088A (en) 1990-12-31
NO172617B (no) 1993-05-03
EP0283427B1 (de) 1994-03-16
DK151088A (da) 1988-09-21
CN1009975B (zh) 1990-10-10
EP0283427A2 (de) 1988-09-21
NO881183D0 (no) 1988-03-17
DE3709376C1 (de) 1988-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6166B1 (ko) 통신케이블와이어 접속장치
KR890000970B1 (ko) 접속요소에 납땜, 나사체결, 절연재 제거를 요하지 않고 다중접점을 형성하는 접속용구
US5586905A (en) Insulation displacement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strain relief
US5588884A (en) Stamped and formed contacts for a power connector
US5088934A (en) Electrical terminal
US4317608A (en) Slotted pate terminal for stranded wire
EP0251736B1 (en) Wiring holding device in an electrical connector
KR100318720B1 (ko) 전기커넥터
US4973258A (en) Grounding clip of the insulation displacement type
JP2655073B2 (ja) 電気コネクタ
US4370009A (en) Slotted plate terminal renewable as spade terminal
US4561714A (en) Contact assembly for ribbon cable
KR910004799B1 (ko) 소켙 코넥터
EP0112051A1 (en) Electrical contact for terminating insulated conductors
JPH0235423B2 (ko)
EP0147218A2 (en) Insulation piercing compression connector
EP0549158B1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 having backup spring
AU2003216996B2 (en) A contact
KR890004399B1 (ko) 케이블 접속기
JPS63136478A (ja) 切込みクランプ式端子エレメント
GB2112217A (en) An electrical connector
JPS638589B2 (ko)
IE78623B1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 element
EP0027062A1 (en) Electrical contact adapted for mating with an insulated electrical wire and method of making same
RU2136119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коммутатор с размыкающимися контактами для коммутирования различных видов проводов в телефонных сетя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