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3551Y1 - 배수용수중펌프의 전선인출구 실링장치 - Google Patents

배수용수중펌프의 전선인출구 실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3551Y1
KR0113551Y1 KR2019950032990U KR19950032990U KR0113551Y1 KR 0113551 Y1 KR0113551 Y1 KR 0113551Y1 KR 2019950032990 U KR2019950032990 U KR 2019950032990U KR 19950032990 U KR19950032990 U KR 19950032990U KR 0113551 Y1 KR0113551 Y1 KR 01135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ing
pump
sealing device
wire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29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4198U (ko
Inventor
장재홍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500329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3551Y1/ko
Publication of KR9700241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41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35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35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8Sealings
    • F04D29/10Shaft sealings
    • F04D29/106Shaft sealing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용수중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펌프몸체에서 인출된 전선과 몸체사이에 기밀히 유지되는 배수용수중펌프의 전선인출구 실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단에 요구가 형성된 펌프몸체의 인출구를 통해 인출되어 펌프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제어수단에 연결되는 전선과 인출구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실링장치가 구비된 배수용수중펌프에 있어서, 상기 실링장치는 전선의 직경과 같은 내경을 갖는 중공체와 그 하단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전선에 기밀히 압입된 채 요구에 내장되는 제 1 부싱과, 상기 제 1 부싱의 중공체 외주연에 기밀히 압입되며 상단에 플랜지가 형성된 제 2 부싱과, 상기 제 2 부싱의 상단으로 돌출된 제 1 부싱의 중공체 외주연에 압입되어 제 2 부싱의 상단에 중첩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상단으로 돌출된 제 1 부싱의 중공체 외주연에 압입되어 누름판을 눌러 요구상단에 고정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뤄짐을 고안의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배수용수중펌프의 전선인출구 실링장치
제1도는 종래의 배수용수중펌프의 전선인출구 실링장치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용수중펌프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용수중펌프의 전선인출구 실링장치를 나타낸 제 2 도 A부의 분해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용수중펌프의 전선인출구 실링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펌프몸체 12 : 인출구
14 : 요구 16, 72 : 나사홈
20 : 전선 30 : 플로트스위치
40 : 제 1부싱 42, 52 : 플랜지
44 : 중공체 50 : 제 2부싱
60 : 누름판 70 : 커버
100 : 배수용수중펌프
본 고안은 배수용 수중펌프의 전선인출구 실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위의 높낮이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되는 배수용 수중펌프의 전선인출구 실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용 수중펌프는 펌프전체가 물속에 잠기도록 설치되면 내부에 장착된 임펠러의 회전에 의한 압력차를 이용하여 흡입구로부터 물을 흡수하여 토출구를 통하여 물을 배출하는 것이다. 이에 펌프 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부품이 물에 노출되지 않도록 펌프의 구성을 기밀히 유지해야 한다.
제1도는 종래의 배수용 수중펌프의 전선인출구 실링장치를 나타낸 분해단면도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종래의 배수용수중펌프는 펌프의 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외부전원과 연결된 전선(2)이 펌프몸체(1)의 인출구(1a)로 인출되어 제어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인출구(1a)의 실링수단으로서 몰딩처리되고 고무재로 이루어지며 외주연에 플랜지(4a)가 형성된 부싱(4)이 인출구(1a)에 기밀히 압입되고 그 상측에 부싱(4)의 이탈을 방지하며 기밀을 보강하기 위하여 스테인리스재인 커버(3)가 덮여져 커버(3), 부싱(4)의 프랜지(4a), 펌프몸체(1)가 일체로 나사(5)체결된다.
그러나 상기 구성을 갖는 종래의 배수용수중펌프의 실링장치는 고무재인 부싱(4)과 외주연이 플라스틱재인 전선(2)간의 재질이 상이함과, 실랑부재인 부싱(4)의 구조적 한계에 의해 부싱(4)내경과 전선(2)의 외주연, 부싱(4) 외주연과 인출구(1a)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여 상기 틈새를 통해 펌프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고가인 스테인리스재를 사용하고, 체결수단으로 별도의 나사(5)를 복수개 사용하게 되어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펌프몸체에서 인출된 전선과 펌프몸체사이에 기밀히 유지되는 배수용 수중펌프의 전선인출구 실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단에 요구가 형성된 펄프몸체의 인출구를 통해 인출되어 펌프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제어수단에 연결되는 전선과 인출구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실링장치가 구비된 배수용수중펌프에 있어서, 상기 실링장치는 전선의 직경과 같은 내경을 갖는 중곡체와 그 하단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전선에 기밀히 압입된 채 요구에 내장되는 제 1 부싱과, 상기 제 1 부싱의 중공체 외주연에 기밀히 압입되며 상단에 플랜지가 형성된 제 2 부싱과, 상기 제 2 부싱의 상단으로 돌출된 제 1 부싱의 중공체 외주연에 압입되어 제 2 부싱의 상단에 중첩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상단으로 돌출된 제 1부싱의 중공체 외주연에 압입되어 누름판을 눌러 요구상단에 고정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 제2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에서 배수용수중펌프(100)는 임펠러가 내장되어 물을 흡입 및 토출하는 펌프몸체(10)와, 수위의 높낮이에 따라 펌프를 작동시키는 제어수단인 플로트스위치(float switch)(30)와, 상기 플로트스위치(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선(20)으로 구성된다.
제3도를 참조하면, 상기 전선(20)은 펌푸몸체(10)에 형성된 인출구(12)를 통해 인출되고 상기 인출구(12)상단에는 외주연에 나사홈(16)이 형성된 요구(14)가 형성되며, 상기 요구(14)에는 전선(20)과 인출구(12)의 실링수단으로서 고무재인 제1부싱(40), 고무재인 제 2 부싱(50), 누름판(60), 커버(70)가 순차장착된다.
제3도와 제4도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부싱(40)은 전선(20)의 직경과 같은 내경을 갖는 중공체(44)와, 요구(14)의 내경과 같은 외경을 갖는 플랜지(42)가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중공체(44)를 통해 전선(20)이 압입된 채 플랜지(42)가 요구(14)저면에 기밀히 밀착된다.
제 2 부싱(50)은 외경이 요구(14)의 내경과 같고 내경이 상기 제 1 부싱(40)의 중공체(44)외경과 같은 중공체로 되어 있고, 상단에 플렌지(52)가 형성되어 제 1 부싱(40)의 중공체(44) 외주연에 압입되며, 상기 플랜지(52)는 요구(14)의 상단에 놓인다.
누름판(60)은 제 2 부싱(50)을 통해 돌출한 제 1 부싱(40)의 외주연에 압입되고 제 2 부싱(50)의 플랜지(52) 상단에 중첩된다.
커버(70)는 내경에 나사홈(72)이 형성되어 제 2 부싱(50) 및 누름판(60)을 통해 돌출한 제 1 부싱(40)의 중공체(44) 외주연에 압입되며 누름판(60)을 누른 상태에서 요구(14)의 나사홈(16)에 체결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커버(70)의 체결력은 누름판(60), 제 2 부싱(50)을 통해 요구(14)의 내경과 같은 직경으로 요구(14)의 저면에 밀착된 제 1 부싱(40)의 플랜지(42)를 가압하여, 상기 플랜지(42)를 요구(14)저면에 밀착시킴으로서 요구(14)저면과 제 1 부싱(40)하단 사이의 기밀히 유지된다.
그리고, 전선(20)에 압입된 제 1 부싱(40)의 중공체(44) 외주연에 제 2 부싱(50), 누름판(60), 커버(70)가 순차 압입됨으로써, 전선(20)외주연과 제 1 부싱(40)의 중공체(44) 내경사이에 기밀히 유지되어 인출구(12)를 통해 펌프몸체(10) 내부로 물의 유입이 방지된다.
또한 제 1 부싱(40)과 제 2 부싱(50)을 저가인 고무재로 제작하고, 커버(70)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이 배제되어 원가절감의 효과도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전선의 인출구를 실시예로 들었으나 전선이 인출 및 인입되어 실링을 요하는 전부분에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배수용수중펌프의 전선인출구 실링장치는 그 구조를 변형하고, 부품을 저가재로 제작함으로써 인출구의 기밀이 보장됨은 물론 원가절감의 효과도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상단에 요구가 형성된 펌프몸체의 인출구를 통해 인출되어 펌프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제어수단에 연결되는 전선과 인출구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실링장치가 구비된 배수용수중펌프에 있어서, 상기 실링장치는 전선의 직경과 같은 내경을 갖는 중공체와 그 하단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전선에 기밀히 압입된 채 요구에 내장되는 제 1 부싱과, 상기 제 1 부싱의 중공체 외주연에 기밀히 압입되며 상단에 플랜지가 형성된 제 2 부싱과, 상기 제 2 부싱의 상단으로 돌출된 제 1 부싱의 중공체 외주연에 압입되어 제 2 부싱의 상단에 중첩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상단으로 돌출된 제 1 부싱의 중공체 외주연에 압입되어 누름판을 눌러 요구상단에 고정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수중펌프의 전선인출구 실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싱은 플랜지가 요구의 상단에 놓여지고 하단이 제 1 부싱의 플랜지에 밀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수중펌프의 전선인출구 실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고정수단으로서 커버의 내경에 나사홈을 형성하고, 요구의 외주연에 나사홈을 형성하여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수중펌프의 전선인출구 실링장치.
KR2019950032990U 1995-11-10 1995-11-10 배수용수중펌프의 전선인출구 실링장치 KR01135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2990U KR0113551Y1 (ko) 1995-11-10 1995-11-10 배수용수중펌프의 전선인출구 실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2990U KR0113551Y1 (ko) 1995-11-10 1995-11-10 배수용수중펌프의 전선인출구 실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4198U KR970024198U (ko) 1997-06-20
KR0113551Y1 true KR0113551Y1 (ko) 1998-04-13

Family

ID=19428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2990U KR0113551Y1 (ko) 1995-11-10 1995-11-10 배수용수중펌프의 전선인출구 실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355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299Y1 (ko) * 2009-09-16 2012-03-22 한일전기엠엠씨 주식회사 배수용 수중펌프의 전선 방수 실링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299Y1 (ko) * 2009-09-16 2012-03-22 한일전기엠엠씨 주식회사 배수용 수중펌프의 전선 방수 실링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4198U (ko) 199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61157A (en) Submersible pump
KR0113551Y1 (ko) 배수용수중펌프의 전선인출구 실링장치
US3318249A (en) Submersible drive apparatus
JPH04134681U (ja) ダイアフラムポンプ
US3782860A (en) Sumpless pump
US3234881A (en) Sump pump switch
US3280751A (en) Sump pump
US3307000A (en) Sump pump switch
US20040173518A1 (en) Coaxial filter and pump
JPH0573290U (ja) 竪型水中電動ポンプの結合構造
KR200153274Y1 (ko) 세탁기의 드레인펌프
JPS58101295A (ja) ポンプ装置
JP2004218576A (ja) 竪型水中電動ポンプの浸水検知機構
JP4369144B2 (ja) 自吸式ポンプ
CN210540826U (zh) 一种烹饪器具
CN209733524U (zh) 液体加热容器
KR800001300Y1 (ko) 펌 프 장 치
JPH07293496A (ja) 水中ポンプ
CN219863163U (zh) 一种堵头及具有该堵头的雨污分离器
CN221037758U (zh) 一种具有防水功能的压力传感器
CN219452475U (zh) 一种压力罐
KR940001088Y1 (ko) 식기세척기의 급배수장치
KR200232851Y1 (ko) 수도꼭지의호스연결기
KR102221177B1 (ko) 펌프 바디 어셈블리, 펌프, 살포 시스템 및 드론
JP2002136795A (ja) 全自動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4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