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3423Y1 - 냉/온장겸용 저장고의 제상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냉/온장겸용 저장고의 제상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3423Y1
KR0113423Y1 KR2019930007578U KR930007578U KR0113423Y1 KR 0113423 Y1 KR0113423 Y1 KR 0113423Y1 KR 2019930007578 U KR2019930007578 U KR 2019930007578U KR 930007578 U KR930007578 U KR 930007578U KR 0113423 Y1 KR0113423 Y1 KR 01134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rost
temperature
cold
refriger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75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7262U (ko
Inventor
유병윤
유동균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300075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3423Y1/ko
Publication of KR9400272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72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34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34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02Defroster control
    • F25D21/006Defroster control with electronic control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08Removing frost by electric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온장 겸용 저장고의 제상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냉장운전상태에서 제상운전을 선택하는 제상선택부(80); 상기 제상선택부(80)에 의해 제상운전을 선택시 제상온도를 감지하는 제상온도감지부(90); 상기 제상온도감지부(90)에서 감지된 제상온도를 설정온도와 비교하는 비교부(100); 상기 비교부(10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압축기구동부(70)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압축기정지부(110); 상기 제상선택부(80)에 의해 제상운전을 선택시 히터구동부(60)를 구동시키는 히터제어부(120); 및 상기 제상선택부(80)에 의해 제상운전을 선택시 상기 히터제어부(120)를 구동하는 상태에서 팬모터(M)를 구동하는 팬모터구동부(1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냉장시 발생되는 서리의 제상을 보다 빠른 시간에 행할 수 있게 되므로, 제상시간 단축으로 인한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상완료 후에 냉장운전이 빠르게 전환되게 되어 냉장 및 제상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냉/온장겸용 저장고의 제상제어장치
도1은 본 고안이 적용된 냉/온장 겸용 저장고의 단면도.
도2는 본 고안의 냉/온장 겸용 저장고의 제상제어장치에 대한 제어블록도.
도3은 본 고안의 냉/온장 겸용 저장고의 제상제어장치에 대한 상세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냉/온장선택부 20 : 전원공급부
30 : 온장온도감지부 40 : 냉장온도감지부
50 : 비교부 60 : 히터구동부
70 : 압축기구동부 80 : 제상선택부
90 : 제상온도감지부 100 : 비교부
110 : 압축기정지부 120 : 히터제어부
130 : 팬모터구동부
본 고안은 냉/온장 겸용 저장고의 제상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냉장운전과 온장운전을 겸용할 수 있도록 된 저장고에 있어서, 냉장시 발생한 증발기상의 서리를 히터와, 팬모터를 이용하여 히터열을 강제대류시켜 제상하고, 제상완료후에는 다시 냉장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한 냉/온장 겸용 저장고의 제상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냉/온장 겸용 저장고의 제상제어장치에 있어서는 식품 냉장시 증발기상에 발생되는 서리를 제거하기 위하여, 제상중에 히터를 구동시킨 상태에서 서리를 제거하여야 하며 이때 서리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운전시 히터열을 자연대류시키는데 서리제상에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될뿐만 아니라, 장시간 히터 구동으로 인한 전력소비를 가중시키게 되며, 제상완료후 냉장온도로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져 효과적인 냉장운전 및 제상운전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냉/온장 겸용 저장고의 제상장치에 있어서 냉장시 제상온도를 감지하여 히터 및 팬모터를 구동시켜 히터열을 강제대류시켜 서리를 제거할 수 있어서 제상시간이 단축되어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줄이는 한편 제상완료후에는 냉장운전으로 전환함에 의해 냉장운전 및 제상운전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냉/온장 겸용 저장고의 제상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저장할 식품에 따라 냉장운전 또는 온장운전을 겸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냉장운전 또는 온장운전을 선택하기 위한 온장스위치(SW1)와 냉장스위치(SW2)를 구비한 냉/온장선택부(10)와; 상기 온장스위치(SW1) 또는 냉장스위치(SW2)가 스위칭될시 구동전원을 인가하는 전원공급부(20)와; 상기 써미스터들에 의해 감지된 고내온도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기준온도를 비교하는 비교기들을 구비하고, 온장운전 또는 냉장운전에 따라 개별적으로 비교하는 비교부(50)와; 상기 비교부(50)의 비교결과 감지된 고내온도 보다 설정된 기준온도가 크면 상기 비교기의 출력신호에 의해 히터를 온/오프시키는 히터구동부(60)와; 상기 비교부(50)에서 각각 비교된 냉장 온도신호에 의해 압축기(C)를 온/오프 구동시키는 압축기 구동부(70)와; 상기 냉/온장선택부(10)에서 선택된 온장온도상태를 각각 표시하는 온장온도표시부(140)와; 상기 냉/온장선택부(10)에서 선택된 냉장온도상태를 각각 표시하는 냉장온도표시부(145)를 구비한 냉/온장 겸용 저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온장선택부(10)에 의해 냉장운전시 제상운전을 선택하는 제상선택부(80); 상기 제상선택부(80)에 의해 제상운전을 선택시 제상온도를 감지하는 제상온도감지부(90); 상기 제상온도감지부(90)에서 감지된 제상온도를 설정온도와 비교하는 비교부(100); 상기 비교부(10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압축기구동부(70)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압축기정지부(110); 상기 제상선택부(80)에 의해 제상운전을 선택시 상기 히터구동부(60)를 구동시키는 히터제어부(120); 및 상기 제상선택부(80)에 의해 제상운전을 선택시 상기 히터제어부(120)를 구동하는 상태에서 팬모터(M)를 구동하는 팬모터구동부(1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이 적용된 냉/온장 겸용 저장고의 단면도이다. 도면부호에 따라 동작설명을 하기로 한다. 1은 냉장 및 온장을 할 수 있는 냉/온장 겸용 저장고이고, 2는 제어부로서, 상기 냉/온장 겸용 저장고를 냉장운전 또는 온장운전을 선택하고 및 선택된 냉장운전/온장운전을 구동하며 이를 표시하도록 한다. 3은 도어로서, 저장될 식품을 고내로 투입, 투출 및 저장된 식품의 상태를 투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4, 5는 하부/상부선반 히터로서, 상기 제어부(2)의 온장운전을 선택한 경우, 재치 저장중인 식품을 가열하도록 되어 있고, 6은 온장온도써미스터로서, 온장시 고내온도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7은 압축기로서, 상기 제어부(2)에서 냉장운전 선택시, 저장되는 식품을 냉장하기 위하여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 하도록 되어 있다. 8은 응축기로서, 상기 압축기(7)에서 고온고압의 냉매를 외부공기에 의해 냉각, 응축하도록 되어 있다. 9는 증발기로서, 상기 응축기(8)에서 응축된 냉매가 감압되어 유입되는 냉매로 고내의 열을 흡수하여 고내를 냉각시켜 저장식품을 냉장하도록 되어 있다. 10은 냉장온도 써미스터로서, 냉장운전에서 고내온도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11은 단열판으로써, 내부에 충전된 단열재로 외부와의 단열, 보온을 하도록 되어 있다. 12는 대류 팬모터로서, 상기 히터 및 압축기가 작동시 구동하게 된다.
도2는 본 고안의 냉/온장 겸용 저장고의 제어블록도이고, 도3은 본 고안의 냉/온장 저장고의 상세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냉/온장 식품에 따라 각각의 냉장/온장 겸용 저장고에 있어서, 저장하고자 하는 식품에 따라 냉장 또는 온장을 선택하는 저항(R1)(R2), 온장/냉장스위치(SW1)(SW2)로 구성되는 냉/온장 선택부(10)와; 상기 냉/온장선택부(10)에서 냉장/온장선택시, 구동전원을 인가하는 다이오드(D1)(D2), 정지스위치(SW3), 저항((R3∼R5), 트랜지스터(TR1∼TR2)로 구성되는 전원공급부(20)와; 상기 냉/온장선택부(10)에서 냉장선택시, 고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트랜지스터(TR3∼TR5), 저항(R6∼R10), 발광다이오드(L1), 써미스터(TH1)로 구성된 온장온도감지부(30)와; 상기 냉/온장선택부(10)에서 온장선택시, 고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저항((R19∼R23), 트랜지스터(TR7∼TR9), 발광다이오드(L5), 써미스터(TH2)로 구성된 냉장온도감지부(40)와; 상기 냉/온장 온도감지부(30)(40)에서 감지된 냉/온장 온도를 기준온도와 비교하는 비교기(COMP1)(COMP2)로 구성되는 비교부(50)와; 상기 비교부(50)에서 각각 비교된 온장 온도신호에 의하여 압축기(C)를 온/오프 구동시키는 저항(R30)(R31), 트랜지스터(TR10), 릴레이(RY2), 다이오드(D4), 압축기(C)로 구성되는 압축기구동부(70)와; 상기 비교부(50)에서 각각 비교된 냉장 온도신호에 의하여 히터(H)를 온/오프 구동시키는 저항(R17)(R18), 트랜지스터(TR6), 릴레이(RY1), 다이오드(D3), 히터(H)로 구성되는 히터구동부(60)와; 상기 냉/온장선택부(10)에서 선택된 온장온도상태를 각각 표시하는 저항(R11∼R16), 발광다이오드(L2∼L4), 상기 냉/온장선택부(10)에서 선택된 냉장온도상태를 각각 표시하는 저항(R24~R29), 발광 다이오드(L6~L8), 드라이브(TA1), 온장온도설정스위치(SS1)로 구성되는 온장온도표시부(140)와; 상기 냉/온장선택부(10)에서 선택된 냉장온도상태를 각각 표시하는 저항(R24∼R29). 발광다이오드(L6∼L8) 드라이브(TA2), 냉장온도설정스위치(SS2)로 구성되는 냉장온도표시부(145)로 구성된 냉/온장 겸용 저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온장 선택부(10)에 의해 냉장운전시 제상운전을 선택하게 되는 저항(R32∼R35), 트랜지스터(TR11)(TR12), 발광다이오드(L9), 제상스위치(SW4), 다이오드(D5)로 구성되는 제상선택부(80)와; 상기 제상선택부(80)이 제상운전을 선택시 제상온도를 감지하는 저항(R36∼R38), 써미스터(TH3)로 구성되는 제상온도감지부(90)와; 상기 제상온도감지부(90)에서 감지된 제상온도를 설정온도와 비교하는 비교부(100)와; 상기 비교부(10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압축기구동부(70)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저항(R39)(R40), 트랜지스터(TR13)로 구성되는 압축기정지부(110)와; 상기 히터구동부(60)를 구동시키는 저항(R41∼R43), 트랜지스터(TR14)로 구성되는 히터제어부(120)와; 상기 히터제어부(120)를 구동하는 상태에서 팬 모터(M)를 구동하는 트랜지스터(TR15), 저항(R44), 릴레이(RY4), 다이오드(D5)로 구성되는 팬모터구동부(130)로 구성하여서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저장고(1)가 냉장중인 상태에서 냉/온장선택부(10)의 온장운전스위치(SW1)를 눌러 주게 되면, 전원 전압(VCC)이 저항(R1), 온장운전스위치(SW1), 다이오드( D2)를 통해서 전원공급부(20)의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단자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TR1)를 “온”시키게 되므로 트랜지스터(TR2)도 “온”구동되어 비교부(50)와 압축기구동부(70), 히터구동부(60)에 전원공급이 개시되고, 또한 상기 전원전압(VCC)은 냉장온도감지부(40)의 트랜지스터(TR7)를 “온”시켜 주게 되어 이전의 냉장운전시 냉장운전스위치(SW2)로부터 인가되던 전원을 차단하게 되므로 압축기구동부(70)를 구동시키지 못하게 되어 저장고(1)는 냉장운전을 해제하고 온장운전으로 전환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누르고 있던 온장운전스위치(SW1)를 떼어도 상기 전원전압(VCC)이 온장온도감지부(30)의 트랜지스터(TR4)를 “온”시키게 되므로 트랜지스터(TR5)도 “온”시키게 되어 온장운전을 표시하게 되는 발광다이오드(L1)가 점등되면서 온장운전을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온장운전을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전원전압(VCC)은 저항(R10)을 통해서 비교부(50)의 비교기(COMP1)의 비반전단자(+)에 입력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비교기(COMP1)에 입력되는 전압은 고내온도를 설정하는 온장온도설정스위치(SS1)에서 설정된 “고, 중, 저”에 의해 설정된 온도의 전압 즉 상기 저항(R10)과 저항(R14∼R16)에 의한 분압된 전압(V1)=(R14∼R16)/R10+(R14∼R16)×VCC이 입력되게 된다. 또한, 온장온도표시부(140)에는 상기 온장온도감지부(30)에서 상기 온장온도설정스위치(SS1)에서 설정된 “고, 중, 저”중 어느 하나의 드라이브(TA1)에서 “로우”신호가 출력되게 되므로 발광다이오드(L2∼L4)중 상기 온장온도설정스위치(SS1)에서 설정된 발광다이오드(L2∼L4)를 점등시켜 온장온도를 표시하게 된다.
한편, 상기 비교부(50)의 비교기(COMP1)의 반전단자(-)에는 도1에 도시된 온장온도를 감지하는 써미스터(TH1)로서 온장운전 중인 고내의 온도를 감지하게 되는데 이때 고내온도감지는 상기 저항(R9)과, 써미스터(TH1)에 의한 분압된 전압(V2)=RTH1/R15+RTH1×VCC이 입력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비교부(50)의 비교기(COMP1)에서는 상기 반전단자(-), 비반전단자(+)에 입력되는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비반전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이 크면 상기 비교기(COMP1)의 출력단에서는 “하이”신호가 출력되게 되므로, 히터구동부(60)의 트랜지스터(TR6)를 “온”구동되어 릴레이(RY1)를 구동시킴으로써, 히터(H)에 전원이 인가되어 히터(H)가 가열하면서 고내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때 상승되는 고내온도는 써미스터(TH1)로 감지하게 되고, 상기 써미스터(TH1)은 온도가 상승하므로 해서 감지된 온도가 상기 온장온도설정스위치(SS1)에서 설정된 온도보다 높게 되면, 상기 비교부(50)의 비교기(COMP1)에서는 “로우”신호를 출력하게 되므로 상기 히터구동부(60)의 트랜지스터(TR6)를 “온”상태에서 “오프”상태로 전환시키게 되어 상기 릴레이(RY1)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되어 히터(H)의 구동을 정지시켜 주게 되고, 이어서 상기 고내온도가 낮아져 상기 써미스터(TH1)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온도 보다 낮게 되면 상기 비교기(COMP1)의 출력단에서 “하이”신호를 출력하게 되면서 상기 히터구동부(60)의 트랜지스터(TR6)를 구동시키게 되어 릴레이(RY1)를 “온”구동하면서 히터(H)를 가열함에 의해 낮아져 있던 고내온도를 상기 설정된 온도까지 상승시키면서 고내온도를 온장온도로 유지하여 저장식품을 보온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저장고(1)를 냉장고로 사용하고 싶으면 사용자가 상기 냉/온장선택부(10)의 냉장운전스위치(SW2)를 눌러 주게 되면, 전원전압(VCC)은 저항(R1), 냉장운전스위치(SW2), 다이오드(D1)를 통해서 전원공급부(20)의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단자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TR1)을 “온”시키게 되므로 트랜지스터(TR2)도 “온”구동되어 비교부(50)와 압축기구동부(70), 히터구동부(60)에 전원공급이 개시되고, 또한 상기 전원전압(VCC)은 온장온도감지부(30)의 트랜지스터(TR3)를 “온”시켜 주게 되어 이전의 온장운전시 온장운전스위치(SW1)로부터 인가되던 전원을 차단하게 되므로 히터구동부(60)를 구동시키지 못하게 되어 저장고(1)는 온장운전을 해제하고 냉장운전으로 전환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누르고 있던 냉장운전스위치(SW2)를 떼어도 상기 전원전압(VCC)이 냉장온도감지부(40)의 트랜지스터(TR8)를 “온”시키게 되므로 트랜지스터(TR9)도 온시키게 되어 냉장운전을 표시하게 되는 발광다이오드(L5)가 점등 되면서 냉장운전을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냉장운전을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전원전압(VCC)은 저항(R23)을 통해서 비교부(50)의 비교기(COMP2)의 비반전단자(+)에 입력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비교기(COMP2)에 입력되는 전압은 고내온도를 설정하는 냉장온도설정스위치(SS2)에서 설정된 “고, 중, 저”에 의하여 설정된 온도의 전압 즉 상기 저항(R23)과 저항(R27∼R28)에 의해 분압된 전압(V3)=(R27∼R28)/R23+(R27∼R28)×VCC 이 입력되게 된다. 또한 냉장온도표시부(145)에는 상기 냉장온도감지부(30)에서 상기 냉장온도설정스위치(SS2)에서 설정된 “고, 중, 저” 중 어느 하나의 드라이브(TA2)에서 “로우”신호가 출력되게 되므로 발광다이오드(L6∼L8)중 상기 냉장온도설정스위치(SS2)에서 설정된 발광다이오드(L6∼L8)를 점등시켜 냉장온도를 표시하게 된다.
한편, 상기 비교부(50)의 비교기(COMP2)의 반전단자(-)에는 도1에 도시된 냉장온도써미스터(10)인 써미스터(TH2)로서 냉장운전 중인 고내의 온도를 감지하게 되는데 이때 고내온도 감지는 상기 저항(R22)와, 써미스터(TH2)에 의한 분압된 전압(V4)=RTH2/R22+RTH1×VCC 이 입력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비교부(50)의 비교기(COMP2)에서는 상기 반전단자(-), 비반전단자(+)에 입력되는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비반전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이 크면 상기 비교기(COMP2)의 출력단에서는 “하이”신호가 출력되게 되므로, 압축기구동부(70)의 트랜지스(TR10)를 “온”구동시키게 되어 릴레이(RY2)를 구동시킴으로써, 압축기(C)에 전원이 인가되어 압축기(C)가 구동하면서 고내온도를 하강시키게 된다.
이때, 하강되는 고내온도는 써미스터(TH2)로 감지하게 되고, 상기 써미스터(TH2)는 온도가 하강하므로 해서 감지된 온도가 상기 냉장온도설정스위치(SSW2)에서 설정된 온도보다 낮게 되면, 상기 비교부(50)의 비교기(COMP2)에서는 “로우”신호를 출력하게 되므로 상기 압축기구동부(70)의 트랜지스터(TR10)가 “온”상태에서 “오프”상태로 전환시키게 되어 상기 릴레이(RY2)를 정지시키게 되고 따라서 압축기(C)의 구동을 정지시켜주게 된다.
이어서 상기 고내온도가 높아져 상기 써미스터(TH2)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게 되면 상기 비교기(COMP2)의 출력단에서 “하이”신호를 출력하게 되면서 상기 압축기구동부(70)의 트랜지스터(TR10)를 구동시키게 되어 릴레이(RY2)를 “온”구동하면서 압축기(C)를 구동하여 높아져 있던 고내온도를 상기 설정된 온도까지 하강시키면서 고내온도를 냉장온도로 유지하여 저장식품을 냉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냉장운전을 하던 도중에 상기 증발기 상에는 서리가 끼게 되고 이 서리로 인하여 냉장능력이 저하되게 되므로, 이서리를 제거해 주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상선택부(80)의 제상선택스위치(SW4)를 눌러주게 되면 상기 저장고(1)는 냉장운전중이므로 상기 냉장온도감지부(40)로부터 구동전압이 제상선택부(80)의 저항(R32), 상기 제상선택스위치(SW4)를 통해서 트랜지스터(TR11)(TR12)를 “온”구동시켜, 발광다이오드(L9)를 점등시킴으로써 제상운전이 시작됨을 표시해 주게 되고, 이어서 제상온도감지부(90)에서는 상기 제상선택부(80)에서 공급되는 전압(V)을 저항(R37)(R38)에 의한 분압된 전압(V3)=R38/R37+R38×VCC과 제상온도를 감지하는 써미스터(TH3)와 저항(R36)에 의한 분압된 전압(V4)=RTH3/R36+RTH3×VCC으로 제상온도를 감지하게 되고, 이 감지된 전압(V3)(V4)은 비교부(100)인 비교기(COMP3)의 반전단자(-)와 비반전단자(+)에 각각 입력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비교부(100)에서는 상기 입력되는 두신호전압(V3)(V4)를 비교하여 상기 기준전압(V4)보다 상기 제상온도감지전압(V3)이 높게 되면 즉 서리가 많이 끼어 있는 상태이면, 상기 비교부(100)의 출력단에서 “하이”신호를 출력시키게 되고, 이 “하이”신호는 압축기정지부(110)의 저항(R40)을 통해서 트랜지스터(TR13)의 베이스단자에 입력되게 되어 상기 트랜지스터(TR13)는 구동되므로, 냉장운전시 상기 압축기구동부(70)로 입력되는 전원을 차단시켜, 상기 압축기(C)의 구동을 정지시켜 줌으로써 냉장운전을 정지 시키는 반면에, 상기 비교부(100)에서 출력되는 “하이”신호는 상기 히터제어부(120)의 저항(R43)을 통해서 트랜지스터(TR14)를 구동시켜줌과 아울러, 상기 팬모터구동부(130)의 트랜지스터(TR15)를 구동시키게 되어 상기 구동이 정지되어 있던 히터구동부(60)의 릴레이(RY1)를 구동시켜 주게되어 히터(H)를 가열하고 상기 팬모터구동부(130)의 릴레이(RY3)를 구동시켜 팬모터(M)를 구동시켜 주게 되므로 상기 히터(H)에서 발생되는 열을 상기 팬모터(M)로 강제 대류시키게 되어 상기 증발기(9)상에 서리를 강제 제상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상중에 상기 제상온도감지부(90)에서는 써미스터(TH3)를 통해서 제상온도를 감지하게 되고, 이때 감지된 제상온도인 전압(V4)이 기준온도의 전압(V3)보다 낮으면 상기 비교부(100)의 출력단에서는 “로우”신호를 출력하게 되므로 상기 히터제어부(120)의 트랜지스터(TR14)를 “오프”시키게 되어 상기 히터구동부(60)의 릴레이(RY1)와 상기 팬모터구동부(130)의 릴레이(RY3)에 전원전압이 흐르지 못해 상기 히터(H)와 팬모터(M)는 자동으로 “오프”되어 히터 가열 및 강제대류가 정지하는 한편, 상기 비교부(100)로부터 출력되는 “로우”신호는 상기 압축기정지부(110)의 트랜지스터(TR13)를 구동시키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냉장운전시 상기 제상선택부(80)의 트랜지스터(TR11)에 인가되던 전압이 중지되어 제상시 점등되던 발광다이오드(L9)를 “오프”시켜 제상운전을 정지하게 된다. 반면에, 압축기구동부(70)에는 제상시 정지되어 있던 압축기구동부(70)의 트랜지스터(TR10)를 계속하여 구동시켜 주게 되어 상기 냉/온장 겸용 저장고(1)는 냉장운전을 계속해서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온장 또는 냉장운전을 정지하고 싶을 경우 전원공급부(20)의 정지스위치(SW3)를 온시키게 되면, 상기 온장운전 또는 냉장운전시 인가되던 전원전압(VCC)이 차단되게 되므로 상기 비교부(50) 및 부하단 즉 히터구동부(60), 압축기구동부(70)에 전원공급이 중단되어 상기 온장/냉장운전이 모두 정지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저장하고자 하는 식품에 따라 냉장 또는 온장고로 겸용 사용할 수 있도록 저장고에 있어서, 냉장시 발생한 증발기상의 서리를 온장시 사용되는 히터 및 팬모터를 이용하여 강제 제상하고, 제상완료후에는 다시 냉장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냉장시 발생되는 서리의 제상을 보다 빠른 시간에 행할 수 있게 되므로, 제상시간 단축으로 인한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상완료후에 냉장운전이 빠르게 전환되게 되어 냉장 및 제상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저장할 식품에 따라 냉장운전 또는 온장운전을 겸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냉장운전 또는 온장운전을 선택하기 위한 온장스위치(SW1)와 냉장스위치(SW2)를 구비한 냉/온장선택부(10)와; 상기 온장스위치(SW1) 또는 냉장스위치(SW2)가 스위칭될시 구동전원을 인가하는 전원공급부(20)와; 상기 써미스터들에 의해 감지된 고내온도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기준온도를 비교하는 비교기들을 구비하고, 온장운전 또는 냉장운전에 따라 개별적으로 비교하는 비교부(50)와; 상기 비교부(50)의 비교결과 감지된 고내온도 보다 설정된 기준온도가 크면 상기 비교기의 출력신호에 의해 히터를 온/오프시키는 히터구동부(60)와; 상기 비교부(50)에서 각각 비교된 냉장 온도신호에 의하여 압축기(C)를 온/오프 구동시키는 압축기구동부(70)와; 상기 냉/온장선택부(10)에서 선책된 온장온도상태를 각각 표시하는 온장온도표시부(140)와; 상기 냉/온장선택부(10)에서 선택된 냉장온도상태를 각각 표시하는 냉장온도표시부(145)를 구비한 냉/온장 겸용 저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온장선택부(10)에 의해 냉장운전시 제상운전을 선택하는 제상선택부(80); 상기 제상선택부(80)에 의해 제상운전을 선택시 제상온도를 감지하는 제상온도감지부(90); 상기 제상온도감지부(90)에서 감지된 제상온도를 설정온도와 비교하는 비교부(100); 상기 비교부(10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압축기구동부(70)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압축기정지부(110); 상기 제상선택부(80)에 의해 제상운전을 선택시 상기 히터구동부(60)를 구동시키는 히터제어부(120); 및 상기 제어선택부에 의해 제상운전을 선택시 상기 히터제어부(120)를 구동하는 상태에서 팬모터(M)를 구동하는 팬모터구동부(1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장 겸용 저장고의 제상제어장치.
KR2019930007578U 1993-05-07 1993-05-07 냉/온장겸용 저장고의 제상제어장치 KR01134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7578U KR0113423Y1 (ko) 1993-05-07 1993-05-07 냉/온장겸용 저장고의 제상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7578U KR0113423Y1 (ko) 1993-05-07 1993-05-07 냉/온장겸용 저장고의 제상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7262U KR940027262U (ko) 1994-12-09
KR0113423Y1 true KR0113423Y1 (ko) 1998-04-13

Family

ID=19354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7578U KR0113423Y1 (ko) 1993-05-07 1993-05-07 냉/온장겸용 저장고의 제상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342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7262U (ko) 1994-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29576A (ja) 冷蔵庫
KR0113423Y1 (ko) 냉/온장겸용 저장고의 제상제어장치
KR0113422Y1 (ko) 냉,온장겸용 저장고
JP4396301B2 (ja) 冷凍冷蔵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冷蔵庫
KR100557434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JP3389373B2 (ja) 低温庫
KR920003185Y1 (ko) 냉장고의 팬 모우터 제어회로
ES2213308T3 (es) Procedimiento de control para refrigerador.
KR100241451B1 (ko) 냉장고 냉장실 온도보상 장치
JP2513551B2 (ja) 故障保全機能付冷蔵装置
KR100197696B1 (ko) 냉장고의 급속냉동 장치 및 방법
KR100421617B1 (ko) 전자식 냉장고의 저온 운전제어방법
KR200158901Y1 (ko) 냉장고의 고내온도 제어장치
KR0158010B1 (ko) 냉장고의 제상방법
JP3384655B2 (ja) 低温庫
KR100273350B1 (ko) 조립형 냉장고의 제어장치
KR200193593Y1 (ko) 냉장고의 제상장치
KR100291300B1 (ko) 3면입체냉장고에서의센서제어장치및그방법
KR100453238B1 (ko) 전시모드를 구비한 냉장고와 그 제어방법
JP2001133098A (ja) 保冷庫
JP6310407B2 (ja) 冷却庫
KR0156693B1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KR19990028104U (ko) 냉온장 기능을 갖는 냉동고
JPH064760A (ja) 自動販売機の庫内温度制御装置
KR19990034689A (ko) 냉장고의 이슬맺힘 방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