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2474Y1 - 자동차의 미끄러짐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미끄러짐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2474Y1
KR0112474Y1 KR2019930003620U KR930003620U KR0112474Y1 KR 0112474 Y1 KR0112474 Y1 KR 0112474Y1 KR 2019930003620 U KR2019930003620 U KR 2019930003620U KR 930003620 U KR930003620 U KR 930003620U KR 0112474 Y1 KR0112474 Y1 KR 01124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pipe
slip
storage tank
pipe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36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2356U (ko
Inventor
우종천
Original Assignee
우종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종천 filed Critical 우종천
Priority to KR20199300036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2474Y1/ko
Publication of KR9400223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23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24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24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9/00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9/02Vehicle fittings for scattering or dispensing material in front of its wheels
    • B60B39/04Vehicle fittings for scattering or dispensing material in front of its wheels the material being granular, e.g. sand
    • B60B39/08Vehicle fittings for scattering or dispensing material in front of its wheels the material being granular, e.g. sand the dispensing being effected by fluid means
    • B60B39/086Vehicle fittings for scattering or dispensing material in front of its wheels the material being granular, e.g. sand the dispensing being effected by fluid means dispensing being effected by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목적]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구동 휠의 주변에 논 슬립재를 효과적으로 살포할 수 있게 되어 있는 자동차의 미끄러짐 방지 장치
구성] 모래, 톱밥 등의 논 슬립재가 수용되는 저장 탱크와, 일측단이 상기한 저장 탱크의 증심 하측방으로 열려진 통로에 연통 접속되고 타측단은 경사면으로 절단되어 일정의 면적이 열려진 노즐을 갖추고 있는 공급관과, 통상의 공압 펌프에서 구동 휠의 주위로 연장 배치되는 산포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공급관의 타측단은 상기한 산포관의 외주를 관통하여 직교상으로 연통 접합된 구성으로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미끄러짐 방지장치
제1도는 자동차에서 본 고안이 적용된 부위를 나타내기 위한 일부 측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부분 A의 확대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구성도
제5도 및 제6도는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 예를 나다내는 개략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저장탱크 2 : 논 슬립재
10 : 공급관 11 : 노즐
12 : 체류부 13 : 통로
20 : 공압펌프 21 : 산포관
본 고안은 눈길이나 빙판 길의 운행 시 자동차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러짐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빙판 길의 운행 시 구동 휠의 전방에 논 슬립재를 분사하여 구동 휠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자동차의 미끄러짐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눈길이나 빙판 길의 운행은 차륜과 노면 사이의 마찰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미끄러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스노우 체인 또는 스노우 타이어가 실용화되고 있으나. 전자의 경우는 설치와 철거 작업이 번거롭다는 폐단이 있고 또 주행 시에는 타이어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스파이크로 인하여차체가 진동을 일으켜 승차감이 나빠질 뿐만 아나라 노면도 파손시키게 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후자는 타이어의 트레드를 깊고 굴곡지게 형성한 것이기 때문에 심한 눈길이나 빙판 길에서는 미끄러짐 방지 효과가 반감되어 나댜나는 단점이 있다.
상술한 방법과는 별개로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보 제973호, 공고 번호 제88-3945호, 자동차용 미끄럼 방지장치는 엔진의 배기가스 압력을 보조 배기관으로 경유케 하여 모래 통에 수용된 모래가 구동 휠의 주위로 흩뿌려지게 하는 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이 방식은 모래의 살포로 인해 구동 휠의 마찰력이 증대되기 때문에 눈길이나 빙판 길 주행에 상당한 효과를볼 수 있다 그러나 배기 매나홀드에서 별도로 보조배기관을 연통 설치해야 하고, 이 보조 배기관은 다시 모래통의 중앙으로 관통 설치시켜야 하는 등, 조립 수공이 복잡하여 대량 생산에 부적합하고, 뿐만 아나라 자동차에 장착하는 경우에도 배관 작업과 부품 고정 작업이 번거로워 작업을 어렵게 하는 단점이 있어서 실용화되지 않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도 구동 휠의 주변에 논 슬립재를 효과적으로 살포할 수 있게 되어 있는 자동차의 미끄러짐 방지 장치를 제공하여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모래, 톱밥 등의 논 슬립재가 수용되는 저장 탱크와, 일측만이 상기한 저장 탱크의 중심 하측방으로 열려진 통로에 면통 접속되고 타측단은 경사면으로 절단되어 일정의 면적이 열려진 노즐을 갖추고 있는 공급관과, 통상의 공압 펌프에서 구동 휠의 주위로 연장 배치되는 산포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공급관의 타측단은 상기한 산포관의 의주를 관통하여 직교상으로 연통 접합원 구성으로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상기한 공압 펌프에 의해 발생되는 압축 공기가 산포관을 통해 토출될 때에 그도중을 관통하여 연통된 공급관의 타측단에서 논 슬립재가 부압의 작용으로 분사되어져 구동 휠의 주위로 산포됨에 따라 상기한 구동 휠과 노면 사이의 마찰력을 증강시켜 미끄러짐이 방지되는 것이고,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대량 생산에 적합할 뿐만 아나라 자동차에 설치하기도 용이하게 되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의 도시와 같이 자동차의 엔진 룸 휀더 부위에는 저장 탱크(1)가 장착 고정되어 있고. 이 저장 탱크(1)의 내부에는 모래나 건조 톱밥과 같은 논 슬립재(2)가 수용되어 있으며 이것은 상단의 캡(3)을 통해 저장된다.
한편, 상기한 저장 탱크(1)의 바닥면은 중앙을 향하여 경사면(4)을 이루고 있고, 이 경사면(4)의 중심에는 출구(5)가 연장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논 슬립재(2)는 지장 탱크(1)의 바닥측 경사면(4)을 타고 출구(5)로 안내되어 도출된다.
상기한 출구(5)에는 공급관(10)이 연통 접속된다. 이 공급관(10)은 종단이 대략 45도 각도로 절단된 예각형태의 노즐(11)로 형성되어 있고, 또 상기한 공급관(10)의 도중은 거의 S자에 유사한 형태로 절곡된 체류부(12)를 갖추고 있다.
상기한 체류부(12)에는 저장 탱크(1)로부터 낙하되는 논 슬립재(2)가 저류 되어서 소량씩 노즐(11)을 통해 인출된다.
상기한 노즐(11)은 제3도의 도시와 같이 중간부로 한정하여 열려진 통로(13)를 보유하고 있고 이 통로(13)의 주위는 일측부(14)가 길게 연장되어 예각형으로 절단된 형태를 이루는 경사면(15)으로 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의 공급관(10)은 통상의 공압 펌프(20)에서 연장된 산포관(21)의 도중으로 삽입 연통 된다.
상기한 산포관(21)의 개구단(22)은 구동 휠(W)의 상측에 의치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산포관(21)의 도중으로 연통 접속되는 공급관(10)의 노즐(11)은 종단의 일측부(14)가 공압 펌프(20)를 향하게 배치되어야 한다.
공압 펌프(20)는 엔진의 구동력으로 작동되는 형식이면 족하고 그 작동의 제어를 위한 전자 클러치를 갖춘것이 적당하다.
상기한 전자 클러치는 운전석에서 조작되는 버튼에 의해 원격 단속된다.
상술한 구성의 본 고안은 공압 펌프(20)가 작동될 때에 발생되는 압축 공기의 흐름을 타고 저장 탱크(1)에 보관된 논 슬립재(2)가 이동하여 구동 휠(W)의 주변으로 산포 된다.
압축 공기는 산포관(21)을 경유하여 외부로 불어나올 때, 상기한 노즐(11)의 일측부(l4)에 부딪치게 되고, 이 때문에 노즐(11)의 통로(13) 주위에서 상기한 일측부(14)에 의해 은폐된 공간의 압력이 저하되어 부압 영역이 발생하게 되며. 상기한 부압은 노즐(11)을 통해 공급되는 논 슬립재(1)가 기류를 타고 흩어져 나가게 작용한다.
이와 같이 노즐(11)에서 논 슬립재(1)가 기류에 편승하여 홑어져 버림에 따라 공급관(10)의 체류부(12)에 정체되어 있는 논 슬립재(2)는 조금씩 불려 나가 논 슬립재(1)는 지속적으로 공급된다. 또, 구동 휠(W)의 미끄럼을 해소시키고자 공급되어야 하는 논 슬립재(2)의 본량은 많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상기한 체류부(12)에 주체되어서 기류의 공급으로 인해 발생되는 부압에 흡인되어 나가는 정도의 분량만으로도 충분한 논 슬립 효과를 거둘 수 있다.
한편, 저장통(1)에 보관된 논 슬립재(2)는 차량이 주행을 시작함에 따라 가해지는 차체의 진동 등에 의해 다시 체류관(12)으로 낙하 공급되어 다음 전 사용시 까지 정체되어 있게 된다.
상술한 구성의 본 고안은 제4도의 도시와 같이 공급관(10)을 양쪽으로 분지 시키고. 이렇게 분지된 공급관(10)의 종단에 각각 산포관(21)을 연통 접속하거나 또는 제5도의 도시와 같이 산포관(21)의 종단을 둘로 분지하여 구성하면 2개의 구동 휠(W)로 논 슬립재(2)를 동시에 산포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본 고안의 장치는 제6도의 도시와 같이 각 구동 휠(W)에 독자적으로 배치시켜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측에 공급관이 연통 접속된 저장 탱크와, 통상의 공압 펌프에서 연장되는 산포관을 갖춘 간단한 구성으로 되는 것이기 매문에 대량 생산에 적합하고, 또 자동차에 설치 시에도 간편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어서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모래, 톱밥 등의 논 슬립재(2)가 수용되는 저장 탱크(1)의 하측 출구로 공급관(10)이 연통되고, 이 공급관(10)은 종단부가 경사면(15)으로 절단 형성된 경사면(15)으로 절단된 노즐(11)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노즐(11)은 통상의 공압 펌프(20)에서 구동 휠(W)의 주위로 연장되는 산포관(21)의 도중을 관통하여 내부로노출되게 설치된 구성으로 된 자동차의 미끄럼 방지 장치.
KR2019930003620U 1993-03-12 1993-03-12 자동차의 미끄러짐 방지장치 KR01124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3620U KR0112474Y1 (ko) 1993-03-12 1993-03-12 자동차의 미끄러짐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3620U KR0112474Y1 (ko) 1993-03-12 1993-03-12 자동차의 미끄러짐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2356U KR940022356U (ko) 1994-10-20
KR0112474Y1 true KR0112474Y1 (ko) 1998-04-09

Family

ID=19351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3620U KR0112474Y1 (ko) 1993-03-12 1993-03-12 자동차의 미끄러짐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247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2356U (ko) 1994-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00175A (en) Tire traction enhancing kit
US6946621B1 (en) Automotive safety device for melting snow and ice from roadways
US5269547A (en) Spray suppressant apparatus
US5580106A (en) Traction device
KR0112474Y1 (ko) 자동차의 미끄러짐 방지장치
US5582441A (en) Device for applying sand to roads for use in vehicles
US3058757A (en) Grime deflector for vehicles
CA1154051A (en) Grit supply system for motor vehicles
KR102088946B1 (ko) 튜브타입으로 작동되는 급제동장치
JPH07279138A (ja) 自動車用雪道融雪装置
KR910003135Y1 (ko) 자동차의 미끄럼방지용 모래분사장치
JPH04334602A (ja) 砂を利用した自動車用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KR200201218Y1 (ko) 차량용 모래 살포장치
JPS60248409A (ja) 接地パタ−ンを変更可能にした車両用タイヤ
KR880003945Y1 (ko) 자동차용 미끄럼 방지장치
KR19980014135U (ko) 차량의 빗길 미끄럼 방지장치
KR200369150Y1 (ko) 공기분사장치
KR200259390Y1 (ko) 압축공기 분사에 의한 빗길 자동차 제동장치
JPH07329506A (ja) 自動車用タイヤ滑り止め装置
KR19980016468U (ko) 차량의 수막현상 방지장치
CN86201166U (zh) 一种机动车辆冰雪坡路安全防滑器
JP2565185Y2 (ja) 車両用滑止め砂噴射装置
JPH11245609A (ja) 自動車用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KR0115270Y1 (ko) 자동차 타이어의 공기주입장치
KR20040096034A (ko) 자동차 살사장치(모래 살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0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