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1786Y1 - 광픽업의 대물렌즈 위치제어서보 - Google Patents

광픽업의 대물렌즈 위치제어서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1786Y1
KR0111786Y1 KR2019940005434U KR19940005434U KR0111786Y1 KR 0111786 Y1 KR0111786 Y1 KR 0111786Y1 KR 2019940005434 U KR2019940005434 U KR 2019940005434U KR 19940005434 U KR19940005434 U KR 19940005434U KR 0111786 Y1 KR0111786 Y1 KR 01117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o
optical pickup
signal
objective lens
foc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54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8424U (ko
Inventor
손명규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400054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1786Y1/ko
Publication of KR9500284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84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17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1786Y1/ko

Links

Landscapes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픽업의 포커싱서보 계통에 관한 것으로, 포커싱서보와 트래킹서보와 이송서보를 구비하여 광픽업의 대물렌즈를 움직이며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광픽업의 서보계통에 있어서, 광픽업으로부터 포커싱 에러신호의 합신호를 입력하여 광픽업의 이송 및 정지시에 상기 대물렌즈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대물렌즈 위치제어서보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픽업의 대물렌즈 위치제어부
제1도는 종래의 일반적인 광디스크 시스템의 광픽업 관편 서보계통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서보들의 동작 타이밍을 도시한 타이밍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광픽업의 서보계통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서보들의 동작 타이밍을 도시한 타이밍도이고,
제5도는 제3도에 도시된 서보들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광픽업 14 : 포커싱서보
16 : 트레킹서보 18 : 이송(SEEK)서보
20 : 마이컴 22 : 신호처리부
30 : 대물렌즈 위치제어서보
본 고안은 광픽업의 서보 계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픽업 이송시 대물렌즈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대물렌즈 위치제어 서보가 부가된 광픽업의 서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디스크시스템의 구동계통을 살펴보면, 광픽업의 레이져빔의 촛점을 항상 디스크면에 일치시키는 포커싱 엑츄에이터와, 레이져빔을 트랙의 중심에 일치시키는 트래킹 엑츄에이터와, 광픽업을 목표트랙으로 이동시키는 조동모터(coarse motor)와,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스핀들모터(spindle motor)가 있다. 또한, 이들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서보계통은 포커싱서보, 트래킹서보, 이송(SEEK)서보, 회전서보 등이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광픽업의 서보계통을 도시한 개략도로서, 광픽업(12), 포커싱서보(14), 트래킹서보(16), 이송서보(18), 마이컴(20) 및 신호처리부(22)로 구성된다.
제1도에 있어서, 포커싱서보(14)는 광픽업(12)과 디스크 사이에 존재하는 약 0.2~0.3㎜ 정도의 면진동에 대응하여 대물렌즈를 상,하로 움직여 디스크와 대물렌즈 사이의 거리를 렌즈의 촛점심도 이내로 유지한다. 이를 위하여 광픽업(12)으로부터 포커싱에러신호(FER)를 입력하여 포커싱 엑츄에이터를 구동하는 신호(FD)를 출력한다. 트래킹서보(16)는 회전하고 있는 디스크의 트랙을 추종하기 위하여 트래킹에러신호(TER)를 입력하여 마이컴(20)의 제어에 따라 트레킹 엑츄에이터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TD)를 출력한다. 트래킹서보(16)는 이송서보(18)와 함께 연동되어 광픽업을 이송할 경우에는 이송서보(18)로 이송하고, 이송이 완료된 후 광픽업내의 트래킹 엑츄에이터를 통해 트래킹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신호처리부(22)는 광픽업(12)으로부터 광전 변환된 재생신호를 입력하여 원래의 신호로 재생하고, 제어데이타를 마이컴(20)으로 출력한다. 광픽업(12)은 대물렌즈, 레이져 다이오드, 포토다이오드, 광학메카니즘 및 대물렌즈를 움직이는 엑츄에이터를 포함한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서보들의 동작 타이밍을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제2도의 (A)는 트래킹 서보(TRCK.SRV)의 온,오프 타이밍을 도시한 것이고, 제2도의 (B)는 이송서보(SEEK.SRV)의 동작 타이밍을 도시한 것이고, 제2도의 (C)는 포커스서보(FCUS.SRV)의 동작 타이밍을 도시한 것이다. 제2도에 있어서, 정상 동작중에는 트래킹 서보(TRCK.SRV)와 포커싱 서보(FUCS.SRV)가 '하이(온)'이고, 광픽업을 이송하기 위하여 마이컴(20)이 이송서보(SEEK.SRV)를 '온'하면 트래킹서보(TRCD.SRV)는 '로우(오프)'가 된다. 광픽업의 이송이 완료되면, 이송서보(SEEK.SRV)를 '오프'하고, 트래킹 서보(TRCK.SRV)를 '온'한다. 이때 포커싱 서보(FCUS.SRV)는 계속 '온'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광픽업의 서보계통에서는 광픽업이송시 및 정지시에 대물렌즈의 흔들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물렌즈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대물렌즈 위치제어서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장치는 포커싱서보와 트래킹서보와 이송서보를 구비하여 광픽업의 대물렌즈를 움직이며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광픽업의 서보계통에 있어서, 상기 광픽업으로부터 포커싱에러신호의 합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광픽업의 이송 및 정지시에 상기 대물렌즈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대물렌즈 위치제어서보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광픽업의 서보계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광픽업의 서보계통은 광픽업(12), 포커싱서보(14), 트래킹서보(16), 이송서보(18), 마이컴(20), 신호처리부(22) 및 대물렌즈 위치제어서보(30)를 구비한다. 제3도에 있어서, 포커싱서보(14)는 대물렌즈를 상,하로 움직여 디스크와 대물렌즈 사이의 거리를 렌즈의 촛점심도 이내로 유지한다. 이를 위해 나이프에지법이나 비점수차법등으로 포커싱 에러신호(FER)를 검출하여, 마이컴(20)의 제어에 따라 광픽업(12)의 포커싱 엑츄에이터를 구동하는 신호(FD)를 출력한다. 즉, 디스크와 대물렌즈의 거리가 촛점거리보다 짧은 경우 검출렌즈와 원통렌즈를 통해 4분할 포토다이오드(A,B,C,D)에 맺히는 상은 좌,우보다 상,하가 긴 타원형을 이루고, 이때의 포커스 에러신호((A+B)-(C+D))는 '0'보다 크다.
또한 디스크와 대물렌즈의 거리가 촛점거리와 일치하면, 이때 검출렌즈와 원통렌즈를 통해 4분할 포토 다이오드에 맺히는 상은 원형을 이루고, 이때의 포커스 에러신호((A+B)-(C+D))는 '0'이 된다. 또한, 디스크와 대물렌즈의 거리가 촛점거리보다 긴 경우에는 검출렌즈와 원통렌즈를 통해 4분할 포토 다이오드에 맺히는 상은 상,하보다 좌,우가 긴 타원형을 이루고, 이때의 포커스 에러신호((A+B)-(C+D))는 '0'보다 작다. 트래킹서보(16)는 회전하고 있는 디스크의 트랙을 추종하기 위하여 트래킹 에러신호(TER)를 입력하여 마이컴(20)의 제어에 따라 트레킹 엑츄에이터를 구동하는 신호(TD)를 출력한다. 트래킹서보(16)는 이송서보(SEEK.18)와 함께 연동되어 광픽업(12)을 이송할 경우에는 이송서보(18)로 이송하고, 이송이 완료된 후 광픽업내의 트레킹 엑츄에이터를 통해 트래킹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신호처리부(22)는 광픽업(12)으로부터 광전 변환된 재생신호를 입력하여 원래의 신호로 재생하고, 제어데이타를 마이컴(20)으로 출력한다. 광픽업(12)은 대물렌즈, 레이져다이오드, 포토다이오드, 광학메카니즘 및 대물렌즈를 움직이는 엑츄에이터들을 포함한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대물렌즈 위치제어서보(30)는 포커싱에러 신호의 합신호(FSUM)를 입력하여 광픽업(12)의 이송시에나 정지시에 대물렌즈의 흔들림을 방지한다. 즉, 광픽업에 위치한 4분할 포토다이오드로부터 결상 모양에 따라 변화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합한 포커스합신호(FSUM)를 입력하여 새로운 대물렌즈의 위치제어하는 구동신호(POS)를 출력한다. 4분할포토 다이오드는 포토 다이오드 A,B,C,D 4개로 구성되어 검출렌즈와 원통렌즈를 통해 입력되는 광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포토다이오드 A와 B의 출력을 합한 신호(A+B)에서, 포토다이오드 C와 D를 합한 신호(C+D)를 감산하면 통상의 포커스 에러신호(FES=(A+B)-(C+D))가 되어 포커싱제어에 이용되고, 포토 다이오드 A와 B의 출력을 합한 신호(A+B)에서 포토 다이오드 C와 D를 합한 신호(C+D)를 합산한 포커스 합신호(FSUM=(A+B)-(C+D))는 대물렌즈 위치제어서보(30)에 이용한다.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서보의 동작 타이밍을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제4도의 (A)는 트래킹 서보(TRCK.SRV)의 온, 오프 타이밍을 도시한 것이고, 제4도의 (B)는 이송서보(SEEK,SRV)의 동작 타이밍을 도시한 것이고, 제4도의 (C)는 포커스서보(FCUS.SRV)의 동작 타이밍을 도시한 것이고, 제4도의 (D)는 대물렌즈 위치제어서보(POSSRV)의 동작 타이밍을 도시한 것이다. 제4도에 있어서, 정상 동작중에는 트래킹 서보(TRCK.SRV)와 포커싱 서보(FCUS.SRV)의 타이임이 '하이(온)'이고, 광픽업을 이송하기 위하여 마이컴(20)이 이송서보(SEEK.SRV)를 '하이(온)'로 하면, 트래킹서보는 '로우(오프)'가 된다. 이때 대물렌즈의 위치제어 서보(POS.SRV)도 '온'되어 대물렌즈의 흔들림을 방지한다. 광픽업이 이송이 완료되면, 이송서보와 대물렌즈 위치에서 서보를 '오프'하고, 트래킹서보를 '온'한다. 이때 포커싱서보는 계속 '온'하고 있다.
제5도는 제3도의 서보들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제5도에 있어서, 정상상태에서 트래킹서보(16)와 포커싱서보(14)가 '온'되어 동작하고 있다.(100). 이때 픽업이송신호가 전달되면(101), 트래킹서보(16)는 '오프'되고 포커싱서보(14)는 계속 '온' 된다. 이와 더불어 대물렌즈 위치제어서보(30)가 '온'되고, 이송서보(18)가 '온'되어 광픽업(12)을 목표 트랙으로 이송한다. 목표 트랙으로의 이송이 완료되면, 이송서보(18)와 대물렌즈 위치제어서보(30)를 '오프'하고, 트래킹서보(16)를 '온'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장치는 광디스크시스템의 광픽업서보계통에 사용되어, 광픽업 이송시에 대물렌즈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정정) 대물렌즈, 레이져 다이오드, 포토 다이오드, 광학메카니즘 및 대물렌즈를 움직이는 엑츄에이터들을 포함하는 광픽업; 상기 광픽업으로부터 포커싱 에러신호(RER)를 입력하여 포커싱 엑츄에이터를 구동하는 신호(FD)를 출력하는 포커싱 서보; 디스크의 트랙을 추종하기 위하여 상기 광픽업으로부터 트래킹 에러신호(TER)를 입력하여 트래킹 엑츄에이터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TD)를 출력하는 트래킹 서보; 상기 광픽업을 소정의 목표 위치로 이송하는 이송서보; 상기 광픽업으로부터 광전 변화된 재생신호를 입력하여 원래의 신호로 재생하고 제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광픽업에 위치한 4분할 포토 다이오드로부터 결상 모양에 따라 변화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합한 포커스 합 신호(FSUM)를 입력하여 대물렌즈의 위치를 제어하는 구동신호(POS)를 출력하는 대물렌즈 위치제어 서보; 상기 신호 처리부터 출력된 제어 데이터를 입력하여 상기 포커싱 서보, 대물렌즈 위치제어 서보, 트래킹 서보, 및 이송서보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광픽업 서보장치.
KR2019940005434U 1994-03-17 1994-03-17 광픽업의 대물렌즈 위치제어서보 KR01117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5434U KR0111786Y1 (ko) 1994-03-17 1994-03-17 광픽업의 대물렌즈 위치제어서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5434U KR0111786Y1 (ko) 1994-03-17 1994-03-17 광픽업의 대물렌즈 위치제어서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8424U KR950028424U (ko) 1995-10-20
KR0111786Y1 true KR0111786Y1 (ko) 1998-04-07

Family

ID=19379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5434U KR0111786Y1 (ko) 1994-03-17 1994-03-17 광픽업의 대물렌즈 위치제어서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178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523B1 (ko) * 2001-05-23 2007-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 디스크 시크시의 안정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8424U (ko) 199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455011A1 (es) Perfeccionamientos introducidos en un sistema automatico de enfoque optico, para un aparato para leer pistas de informa-cion en un registro.
JPS54128303A (en) Optical reproducing device of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disc
EP0910073A3 (en) Optical disc apparatus having collision preventing mea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d optical disc apparatus
KR0156800B1 (ko) 레이저 다이오드를 이용한 자동 초점 조절 장치
EP0331475B1 (en) Optic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ith peak hold circuit for gain control signal
KR0111786Y1 (ko) 광픽업의 대물렌즈 위치제어서보
JP2768418B2 (ja) 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
US5444233A (en) Optical or magnetooptical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a focusing pull-in method for such apparatus generating a light beam for focusing error signal detection
JPH10112035A (ja) 光ディスク装置及び光ヘッドの制御方法
JP3945811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S6093647A (ja) 光学式デイスクプレ−ヤの再生用光学系制御機構
JP2577209B2 (ja) フオ−カスサ−ボ装置
JPH0438685A (ja) トラックジャンプ装置
JP2555030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2641553B2 (ja) フォーカスサーボ装置
JP2827186B2 (ja) 光ディスクの反り検出方法および光ピックアップ
JPH0432030A (ja) 光カード記録再生装置
JPH08235600A (ja) 光ディスクプレーヤ装置
JPH064897A (ja) 光ヘッド
JPS6419909U (ko)
JPS6329328A (ja) 光カ−ド処理装置
JPH0455933A (ja) 多チャネルadコンバータ読込方式
JPH0492218A (ja) 光ディスク装置
JPS61170931A (ja) フオ−カスサ−ボ装置
KR19990026836A (ko) 광디스크 시스템의 트랙점프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