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747B1 - 3방향(3축) 감속신호와 가변 기준치를 이용한 자동차용 에어백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3방향(3축) 감속신호와 가변 기준치를 이용한 자동차용 에어백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747B1
KR970001747B1 KR1019940028168A KR19940028168A KR970001747B1 KR 970001747 B1 KR970001747 B1 KR 970001747B1 KR 1019940028168 A KR1019940028168 A KR 1019940028168A KR 19940028168 A KR19940028168 A KR 19940028168A KR 970001747 B1 KR970001747 B1 KR 970001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reference value
axis
collision typ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8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경선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19940028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1747B1/ko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JP8514463A priority patent/JPH10512514A/ja
Priority to CA002204009A priority patent/CA2204009A1/en
Priority to CN95196562A priority patent/CN1168655A/zh
Priority to PCT/KR1995/000140 priority patent/WO1996013407A1/en
Priority to BR9509539A priority patent/BR9509539A/pt
Priority to AU37105/95A priority patent/AU695023B2/en
Priority to IL11583595A priority patent/IL115835A0/xx
Priority to EP95307762A priority patent/EP0709257A1/en
Priority to US08/550,791 priority patent/US58153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7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2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vehicle motion parameters, e.g. to vehicle longitudinal or transversal deceleration or speed value
    • B60R21/013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vehicle motion parameters, e.g. to vehicle longitudinal or transversal deceleration or speed value by integrating the amplitude of the input sign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2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vehicle motion parameters, e.g. to vehicle longitudinal or transversal deceleration or speed value
    • B60R21/01332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vehicle motion parameters, e.g. to vehicle longitudinal or transversal deceleration or speed value by frequency or waveform analysis
    • B60R21/013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vehicle motion parameters, e.g. to vehicle longitudinal or transversal deceleration or speed value by frequency or waveform analysis using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2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vehicle motion parameters, e.g. to vehicle longitudinal or transversal deceleration or speed value
    • B60R2021/01325Vertical accel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3방향(3축) 감속신호와 가변 기준치를 이용한 자동차용 에어백 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의 기능적 흐름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충돌유형별 기준치 설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제3도는 종래 시스템에서의 에어백 전개 여부판단의 기준치 설정 방법을 도시한 그래프.
제4도는 종래 시스템에서의 기준치 설정예를 도시한 그래프.
제5도는 충돌유형별 차량 진행방향 감속신호의 1차 적분치 비교 그래프.
제6도는 충돌유형별 차량 좌우방향 감속신호의 1차 적분치 비교 그래프.
제7도는 충돌유형별 차량 상하방향 감속신호의 1차 적분치 비교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가속도 센서 102 : 저주파 필터
103 : X성분 비교부 105 : 적분기
106 : 충돌유형 판별부 108 : 에어백 전개 판단부
110 : 클럭(clock) 111 : 한계시간 초과 확인부
본 발명은 차량의 운행시 발생할 수 있는 충돌 사고로부터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에어백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3방향(3축) 감속 신호와 충돌유형별 가변 기준치를 이용한 제어논리를 제시하여 에어백 전개 여부에 대한 보다 정확한 판단과 최적의 에어백 전개 시작 시기 결정을 제공하는 자동차용 에어백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에어백 제어장치는 차량의 충돌과 같이 급격한 감속이 일어날 경우에 그 충돌의 심각성(승객에 대한 상해 가능성)에 따라 짧은 시간내에 에어백의 전개 여부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때, 판단의 정확성은 승객의 안전 및 보호에 직결되는 문제로서 에어백의 성능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즉, 에어백의 전개 여부에 대한 판단이 정확하지 않으면 에어백이 전개되어야 하는 정도의 심각한 충돌에서도 에어백이 전개되지 않을 수 있어 충돌에 의해 승객이 상해를 입게 되고, 에어백의 전개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에어백이 전개되면 운전자의 전방시야가 가려져 안전사고의 가능성이 있으며 에어백의 재설치와 같은 불필요한 경비를 발생시킨다.
또한, 에어백의 승객 보호효과는 에어백이 만개되는 순간에 승객과 에어백이 접촉되어야 가장 커지며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각 충돌 상황별로 승객의 거동에 따라 최적 전개 시작 시기가 결정되어야 한다.적재 전재 시작 시기는 에어백이 만개되었을 때 에어백의 표면에 도달하는 위치까지 승객의 머리가 이동하는 시점에서 0.03초(30ms)를 감하여 결정하는데 이를 「5″-30ms」기준이라 일컫는다. 따라서 에어백 전개 여부의 판단 시기는 최적 전개 시작 시기보다 빨라야 에어백의 승객 보호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만약 에어백의 전개 시작 시기보다 늦어질 경우 에어백의 승객 보호 효과는 떨어지며 많이 늦어지는 경우에는 이미 승객이 상해를 입은 이후에 전개되는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에어백 시스템의 성능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는 에어백의 전개 여부에 대한 판단의 정확성과 에어백의 전개 시작 시기이다.
종래 에어백 시스템의 에어백 전개 여부에 대한 판단 방법은 가속도 센서로부터의 감속 신호를 사전에 결정된 기준치와 비교하고 이 감속 신호가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에 즉시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 때 에어백 전개 여부 판단의 기준치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러 가지 충돌유형에 대한 충돌실험을 통하여 각각의 경우에 대한 속도 변화 곡선(A,B,C,D)과 최적 전개 시작 시기(e,f,g,h)를 결정하고 이 시기 이전에 에어백을 전개시키며, 에어백의 전개가 불필요한 충돌의 한계(no-go limit)(L)에서는 에어백을 전개시키지 않는 조건을 만족시키는 범위에서 설정된다. 이 때, 실제 에어백의 전개 시작 시기는 결정된 기준치(S)와 발생된 충돌상황의 각각의 속도변화 곡선(A,B,C,D)이 만나는 시점(a,b,c,d)이 되며 제3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통상 최적 전개 시작 시기(e,f,g,h)와는 일치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시스템과 기준치 설정 방법으로는 정확한 에어백 전개 여부 판단을 최적 전개 시작 시기 이전에 내리는데 문제가 있으며 이의 해결을 위해서는 많은 실험, 개발기간, 개발비용이 필요하다. 예를들어 제4도와 같이 약한(soft) 차체 앞부분(front body)을 가진 소형차에서는 특히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동 도면에서 에어백의 전개가 불필요한 충돌의 한계(no-go limit)는 8마일 정면충돌(41)이며 에어백의 전개가 필요한 충돌로 12마일 정면충돌(42), 30마일 정면충돌(43), 14마일 30도 기울어진 충돌(44), 16마일 센타 폴 충돌(45) 등이고, 각 곡선상에 표시된 점(j,k,l,m)들은 최적 전개 시작 시기이다. 이 때, 종래의 방법을 사용하여 기준치를 설정할 경우 16마일 센타 폴 충돌에서는 최적 전개 시작 시기 이전의 신호가 에어백의 전개가 불필요한 8마일 정면충돌(41)의 발생신호보다 약하기 때문에 16마일 폴 충돌의 판단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16마일 센타 폴의 경우 에어백의 전개 시기가 늦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차체를 보강, 비교적 약(soft)한 차량의 중심 부위를 통한 감속 신호의 전달을 향상시키거나 크러쉬 존(crush zone) 내에 센서를 추가하여 초기에 충돌을 감지하는 등의 방법을 취하고 나머지 충돌의 감지를 위한 기준치(46)를 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우선 차체 개조에 따른 개발비가 과중하고 새로이 설정된 기중치(46)마저도 12마일 정면충돌(42)의 경우에 있어서 에어백의 전개 시기가 늦어지는 등 최적의 전개 시작 시기를 정확히 만족시키지 못하여 승객의 보호효과는 떨어지게 된다.특히 기계식 센서의 경우 기준치가 물리적 특성상 거의 직선의 형태를 보여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기준치 설정에 어려움이 많다.
본 발명에서는 이상과 같은 종래 시스템에서의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충돌유형에 따라 최적 전개 시작 시기를 정확히 만족시키는 가변 기준치 적용을 제시한다. 가속도 센서를 사용할 경우 기준치는 제어장치의 롬(ROM)에 저장되는 값으로 정해진다.
따라서, 기계식 센서와 같이 시간에 따른 기준치의 특성이 직선의 형태를 가져야 되는 제약은 없어진다. 즉, 기준치가 시간에 대한 테이블(table)의 형태로 입력된다면 기존의 기준치(46)와는 달리 최적의 전개 시작 시기를 정확히 만족시키는 형태의 기준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발생한 충돌유형을 판별해내고 각 충돌유형별로 차별화된 기준치를 적용한다면 최적의 전개 시작 시기를 정확하게 만족시키면서 에어백 전개여부 판단의 실패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충돌 감지에 3방향(3축)의 감속신호를 이용하여 충돌유형을 판별하고 각 상황에 대하여 차별화된 기준치를 적용하여 에어백 전개 여부의 정확한 판단 논리를 제공하고, 최적의 에어백 전개 시기 결정으로 승원 보호효과를 극대화한 에어백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백 제어장치는 3방향(3축)의 감속신호와 가변기준치를 이용하며, 충돌에 의한 차량의 감속시에 감속신호를 발생시키는 가속도 센서와'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감속신호를 입력받는 저주파 필터와; 상기 저주파 필터의 출력을 적분하는 적분기와; 상기 적분기로부터 적분치를 입력받아 충돌유형을 판별하는 충돌유형 판별부와; 상기 저주파 필터로부터 차량진행방향(X축) 성분의 감속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1차 기준치와 비교하여 에어백 제어장치의 작동여부를 결정하고, 클럭을 초기화시키는 X성분 비교부와; 상기 적분기로부터 X감속 성분의 적분치를 입력받고, 상기 충돌유형 판별부에서의 입력을 처리하여 에어백 전개부로 에어백 전개신호를 출력하는 에어백 전개 판단부와; 상기 X성분 비교부의 출력에 따라 상기 적분기, 충돌유형 판별부, 에어백 전개 판단부를 초기화시키고, 초기화 이후 각 회로에 통일된 기준시간을 제공하는 클럭과; 산기 클럭의 기준시간을 입력받는 한계시간 초과 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충돌이 있는 경우에 3방향(3축)의 기속도 센서(101)는 X,Y,Z의 3방향(3축)의 감속신호를 성분별(X,Y,Z축)로 발생시킨다. X축은 차량의 전후방향을, Y축은 차량의 좌우방향을, Z축은 차량의 상하방향을 각각 표시한다. X,Y,Z축의 전후, 좌우, 상하를 구분하기 위하여 X축의 전방을(+)방향으로, Y축의 좌방을 (+)방향으로, Z축의 상방을 (+)방향으로 각각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Y,Z축은 차량의 전방 진행 방향(X축)에 대해 각각 90도의 각을 갖는다. 아울러, 차체의 특성상 감지가 어려운 충돌유형(예를 들어, 차량의 전후, 좌우, 상하 방향에 대해 소정각도(90도 이외의 각도) 비껴서 충돌한 유형)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경우를 대비하여 3개의 가속도 센서(즉, X,Y,Z축의 센서)의 설치방향을 차량의 전후, 좌우, 상하 방향과는 일치하지는 않지만, 상호 각각 9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하거나 상호 각각 90도 이외의 각을 이루도록 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은 동종업계에 종사하는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라도 알 수 있는 내용이다.
이 가속도 센서(101)에서 발생된 X,Y,Z축의 3방향 감속신호는 잡음 및 진동 등의 고주파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저주파 필터(102)로 입력된다. 이 저주파 필터(102)의 출력은 적분기(105)로 3축 성분이 입력되고 X성분의 일부는 X성분 비교부(103)로 입력된다. X성분 비교부(103)는 정상적인 주행상태가 아닌 경우 경우를 판단하는 회로로서, 클럭(clock)(110)을 초기화(reset)하여 회로의 작동을 결정하게 되며 이를 위하여 저주파 필터(102)를 통과한 X성분의 감속신호가 사전에 결정된 1차 기준치(104)를 초과하여 일정시간 유지되는지를 비교, 판단한다. X성분 감속신호에 대한 1차 비교 판단은 충돌이 일어날 경우 충돌의 시작시기(zsro second)를 결정하여 전체 회로에 충돌 발생 이후의 지속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기능은 시간에 따른 각 성분 감속신호의 경향을 기준으로 특정 충돌유형을 판별하기 위한 회로에 시간에 대한 기준을 제공하여 준다. X성분 비교부의 출력은 클럭(110)의 초기화 명령으로 입력된다.
적분기(105)는 저주파 필터(102)로 부터 3방향(3축)의 감속신호를 입력받아 적분하여 각 성분에 대한 속도 변화량을 산출하고 이를 성분별로 충돌유형 판단부(106)에 출력한다. 충돌유형 판별부(106)에서는 원하는 충돌유형 판별을 위한 각 성분별 판별기준(107)을 입력과 비교하여 판별된 충돌유형에 대한 정보(기준치 변경에 대한 정보)를 에어백 전개 판단부(108)에 전달한다. 이때, 적분기(105)가 2차 적분을 수행하고 충돌유형 판별부(106)에서는 각 방향 감속신호의 2차 적분치(거리변화량)를 입력으로 이를 각 성분별 판별기준(107)과 비교하여 충돌유형을 판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일반적인 2차 적분 방법(주로, 대형자동차에 적용됨)을 채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 경우 1차 적분에 비해 응답속도는 약간 늦겠지만(즉, 차량충돌시 에어백이 전개되는 시점이 약간 늦추어지겠지만)잡음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에어백 전개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보다 정확한 신호를 구할 수 있게 됨은 동종업계의 통상적인 지식을 지닌 사람이라면 누구든지 알고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상기 적분기(105)는 저주파 필터(102)로부터 3방향(3축)의 감속신호를 입력받아 X축 성분의 감속신호에 대해서 1차 적분할 수도 있고, 3방향의 감속신호의 합성치에 대해 1차 적분 또는 2차 적분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클럭(110)은 X성분 비교부(103)로 부터 초기화 명령을 받아 적분기(105), 충돌유형 판별부(106), 에어백전개 판단부(108)를 작동시키고 전체 회로에 통일된 기준 시간을 제공하게 된다. 일단 초기화가 완료되면 X성분 비교부(103)가 다시 초기화되기 이전에는 계속 신호를 발생하여 전체회로를 작동시킨다. 또한, 클럭(110)에서 발생된 기준시간은 한계시간 초과 확인부(111)에 입력되어 X성분 비교부(103)를 통과하더라도 에어백의 전개가 불필요한 충돌의 경우를 배제시킨다. 즉, 정상주행 상태가 아니더라도 기준치(109)를 초과하는 신호(에서백의 전개가 필요한 상황)가 한계시간(예:100ms)을 초과하여서도 발생되지 않는다면 X성분 비교부(103)를 다시초기화한다.
에어백 전개 판단부(108)는 적분기(105)로부터 X성분의 1차 적분치(X-velocity)를 입력받아 가변 기준치(109)와 비교하여 기준치를 초과한 신호가 일정시간 유지되는 경우 에어백의 전개를 결정하게 되며 만약 충돌유형 판별부(106)로부터 충돌유형에 대한 정보(기준치 변경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그 충돌유형에 적합한 가변 기준치(109)를 사용한다. 따라서 가변기준치(109)는 충돌유형별 기준치를 저장하고 있어야 하며 이는 사전에 결정된 값이다. 최종적으로 에어백 전개 판단부(108)로 부터 출력된 에어백 전개 결정신호는 에어백 전개부(112)에 입력되어 가스발생기(inflator)의 기폭기(ignitor)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기신호가 발생되고 에어백은 전개된다.
차량의 충돌유형을 판별하기 위하여서는 제5도, 제6도, 제7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충돌상황별 3방향(3축)감속신호의 1차 적분치를 이용한다. 각 그림에 표시된 충돌유형은 8마일 정면충돌(51)(61)(71), 14마일 30도 기울어진 충돌(52)(62)(72)과 16마일 센타 폴 충돌(53)(63)(73)의 3가지 경우이며 제5도는 X축 감속신호, 제6도는 Y축 감속신호, 제7도는 Z축 감속신호의 1차 적분치를 각각 나타낸다. 3가지 충돌유형의 3방향(3축) 감속신호 1차 적분치는 도면에 나타난 것과 같이 각각 다른 양상을 보이며 이 3가지 신호에 대한 적절한 기준치의 적용으로 충돌유형을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다. 14마일 30도 기울어진 충돌의 경우 Y축 감속신호의 1차 적분치(62)에 대한 기준치 적용으로 판별할 수 있고 16마일 센타 폴의 경우는 X축 신호의 지연(53)과 Y축 신호(63) 및 Z축 신호(73)에 대한 기준치 적용으로 판별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각 충돌유형별로 3방향(3축)의 감속신호에 대한 기준치를 적용할 경우 충돌유형을 판별해낼 수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제어장치에서 사용하는 충돌유형별 기준치 설정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충돌유형별 기준치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우선 차량의 특성을 고려하여 에어백의 전개를 제어할 경우 동일한 상황으로 판단하여도 무방한 경우로 충돌유형을 분류(21)한다. 분류된 충돌유형별로 대표적인 충돌속도에 대하여 충돌 실험을 실시(22)하고 각 충돌속도별로 속도 변화 곡선을 산출(23)한다. 산출된 속도 변화 곡선에 최적 전개 시작 시기를 표시(24)하여 설정하고자 하는 기준치가 최소한 만족하여야 하는 조건을 결정하고 각각의 최적 전개 시작 시기를 연결하는 곡선에 대한 곡선맞춤(curve fitting)(25)을 실시하여 요구되는 기준치를 시간의 함수로 표시(25)한다.
이와 같은 곡선맞춤 작업은 속도별 충돌실험 횟수를 중이는 잇점이 있다. 각 충돌유형별로 결정된 기준치 함수를 모아 가변 기준치(109)를 결정할 수 있으며 결정된 가변 기준치(109)는 각 충돌 유형에 대한 결정인자와 기준치의 시간에 대한 함수로 구성된다. 제1도를 참조하여 앞에서 설명한 제어장치에서 에어백 전개 판단부(108)는 충돌 유형판별부(106)에서 제공된 충돌유형에 대한 정보(기준치 변경에 대한 정보)를 가변 기준치(109)의 충돌유형 결정인자와 비교하고 그 값이 서로 일치하는 충돌유형의 기준치 함수에 클럭(110)에서 제공되는 기준시간을 대입하여 기준치 값을 산출하고 X성분 1차 적분치와 비교하여 에어백 전개 여부에 대한 판단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시 발생되는 감속을 차량 진행방향(X축) 감속 성분외에 Y 및 Z축 성분까지 모두 감지하여 각 성분에 대한 기준치 적용으로, 발생된 충돌유형을 판별하고 충돌유형별로 차별화된 기준치를 적용한다.
따라서 종래의 시스템이 일정한 기준치를 가짐으로써 발생하는 충돌의 심각성(승객에 대한 상해 가능성)판단의 한계를 극복하여 에어백 전개여부 판단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최적의 에어백 전개 시작 시기를 구현함으로써 승객 보호 효과를 극대화시킨다. 예를들어, 제4도의 16마일 센타 폴 충돌(45)과 같은 경우에 센타 폴 충돌을 정면충돌과 구별하여 이 충돌에 대하여서는 별도의 낮은 기준치를 적용시켜 정확한 판단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차 실내의 한곳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운전석과 조수석 에어백을 동시에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해 종래의 시스템에서 최적 기준치 설정에 수반되는 여러 가지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차체의 특성상 감지가 어려운 충돌유형이 발생할 경우에는 별도의 기준치 적용으로 차체에 대한 구조수정 등의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2)

  1. 자동차용 에어백 제어장치에 있어서, 충돌에 의한 차량의 감속신호를 발생시키는 가속도 센서(101)와; 상기 가속도 센서(101)로부터 감속신호를 입력받는 저주파 필터(102)와; 상기 저주파필터(102)의 출력을 적분하는 적분기(105)와; 상기 적분기(105)로 부터 적분치를 입력받아 충돌유형을 판별하는 충돌유형 판별부(106)와; 상기 저주파 필터(102)로 부터 차량진행 방향(X축) 성분의 감속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1차 기준치(104)와 비교하여 에어백 제어장치의 작동여부를 결정하고, 클럭(110)을 초기화시키는 X성분 비교부(103)와; 상기 적분기(105)로부터 X감속성분의 적분치를 입력받고, 상기 충돌유형 판별부(106)에서의 입력을 처리하여 에어백 전개부(112)로 에어백 전개신호를 출력하는 에어백 전개 판단부(108)와; 상기 X성분비교부(103)의 출력에 따라 상기 적분기(105), 충돌유형 판별부(106), 에어백 전개 판단부(108)를 초기화시키고, 초기화 이후 각 회로에 통일된 기준시간을 제공하는 클럭(110)과; 상기클럭(110)의 기준시간을 입력받는 한계시간 초과 확인부(1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3축) 감속신호와 가변 기준치를 이용한 자동차용 에어백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 센서(101)는 차량의 전방 진행 방향(X축)과 그 방향에 대해 각각 90도의 각도를 갖는 방향(Y,Z축)의 3방향(X,Y,Z축)의 각 성분 감속신호로 전후, 좌우,상하 또는 그 조합상황 및 차량의 충돌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3축) 감속신호와 가변 기준치를 이용한 자동차용 에어백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 센서(101)는 3개의 가속도 센서를 상호 각각 90도 또는 임의의 각도로 정렬하여 3차원 성분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3방향(3축)감속신호와 가변 기준치를 이용한 자동차용 에어백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유형 판별부(106)는 3방향 감속신호의 1차 적분치를 클럭(110)에서 제공되는 기준시간에 따라 각각의 충돌유형 판별 기준(107)과 비교하여 충돌유형을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3축) 감속신호와 가변 기준치를 이용한 자동차용 에어백 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유형 판별부(106)는 3방향 감속신호의 2차 적분치를 클럭(110)에서 제공되는 기준시간에 따라 각각의 충돌유형 판별기준(107)과 비교하여 충돌유형을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3축) 감속신호와 가변 기준치를 이용한 자동차용 에어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전개 판단부(108)는 차량 전방 진행방향(X축)성분의 감속신호의 1차 적분치를 상기 충돌유형 판별부(106)의 출력에 따라 결정된 가변 기준치(109)와 비교하여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3축) 감속신호와 가변 기준치를 이용한 자동차용 에어백 제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전개 판단부(108)는 차량 전방 진행방향(X축) 성분의 감속신호의 2차 적분치의 신호처리값을 상기 충돌유형 판별부(106)의 출력에 따라 결정된 가변 기준치(109)와 비교하여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3축) 감속신호와 가변 기준치를 이용한 자동차용 에어백 제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전개 판단부(108)는 3방향(X,Y,Z축)감속신호의 합성치의 1차 적분치의 신호처리값을 상기 충돌 유형 판별부(106)의 출력에 따라 결정된 가변 기준치(109)와 비교하여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3축) 감속신호와 가변 기준치를 이용한 자동차용 에어백 제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전개 판단부(108)는 3방향(X,Y,Z축) 감속신호의 합성치의 2차 적분치의 신호처리값을 상기 충돌유형 판별부(106)의 출력에 따라 결정된 기준치(109)와 비교하여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3축) 감속신호와 가변 기준치를 이용한 자동차용 에어백 제어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전개 판단부(108)는 충돌유형 결정인자와 각 충돌유형별 기준치로 구성된 가변 기준치(109)로부터 에어백 전개 여부 판단 기준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3축) 감속신호와 가변 기준치를 이용한 자동차용 에어백 제어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계시간 초과 확인부(111)는 상기 클러(110)의 기준시간이 사전에 정해진 판단 한계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전체시스템을 재초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3축) 감속신호와 가변 기준치를 이용한 자동차용 에어백 제어장치.
  12. 제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 센서(101)는 차량 실내의 임의의 곳에 장착 가능하고 한 곳에 설치된 센서(101)에 의해 운전석과 조수석 에어백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3축) 감속신호와 가변 기준치를 이용한 자동차용 에어백 제어장치.
KR1019940028168A 1994-10-31 1994-10-31 3방향(3축) 감속신호와 가변 기준치를 이용한 자동차용 에어백 제어장치 KR970001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8168A KR970001747B1 (ko) 1994-10-31 1994-10-31 3방향(3축) 감속신호와 가변 기준치를 이용한 자동차용 에어백 제어장치
CA002204009A CA2204009A1 (en) 1994-10-31 1995-10-30 Airbag deployment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and the method
CN95196562A CN1168655A (zh) 1994-10-31 1995-10-30 车辆的气囊展开控制装置及其方法
PCT/KR1995/000140 WO1996013407A1 (en) 1994-10-31 1995-10-30 Airbag deployment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and the method
JP8514463A JPH10512514A (ja) 1994-10-31 1995-10-30 自動車用エアバッグの展開制御装置及び方法
BR9509539A BR9509539A (pt) 1994-10-31 1995-10-30 Aparelho e processo para controlar o desdobramento e expansão de uma bolsa de ar de choque para veículos automóveis
AU37105/95A AU695023B2 (en) 1994-10-31 1995-10-30 Airbag deployment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and the method
IL11583595A IL115835A0 (en) 1994-10-31 1995-10-31 Airbag deployment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s and method of use
EP95307762A EP0709257A1 (en) 1994-10-31 1995-10-31 Vehicle airbag deployment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08/550,791 US5815393A (en) 1994-10-31 1995-10-31 Airbag deployment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and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8168A KR970001747B1 (ko) 1994-10-31 1994-10-31 3방향(3축) 감속신호와 가변 기준치를 이용한 자동차용 에어백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747B1 true KR970001747B1 (ko) 1997-02-15

Family

ID=19396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8168A KR970001747B1 (ko) 1994-10-31 1994-10-31 3방향(3축) 감속신호와 가변 기준치를 이용한 자동차용 에어백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815393A (ko)
EP (1) EP0709257A1 (ko)
JP (1) JPH10512514A (ko)
KR (1) KR970001747B1 (ko)
CN (1) CN1168655A (ko)
AU (1) AU695023B2 (ko)
BR (1) BR9509539A (ko)
CA (1) CA2204009A1 (ko)
IL (1) IL115835A0 (ko)
WO (1) WO19960134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8562A (en) * 1995-08-31 2000-10-03 Siemens Aktiengesellschaft Control unit actuating a triggering device for a seat belt pretensioner in a vehicle
JP3335815B2 (ja) * 1995-10-12 2002-10-21 三菱電機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の起動装置
GB2311157B (en) * 1996-03-14 1999-11-03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crash detector
DE19619412C1 (de) * 1996-05-14 1997-08-28 Telefunken Microelectron Auslöseverfahren für passive Sicherheitseinrichtungen in Fahrzeugen
US6023664A (en) * 1996-10-16 2000-02-08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Vehicle crash sensing system
DE19647920C1 (de) * 1996-11-20 1998-03-05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m Erzeugen von Crashsignalen
JP3333813B2 (ja) 1996-11-20 2002-10-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の起動制御装置
DE19707856C2 (de) * 1997-02-27 2000-05-18 Mannesmann Vdo Ag Verfahren zur Bewertung fahrdynamischer Daten im Hinblick auf ein Unfallereignis
DE59809501D1 (de) * 1997-06-19 2003-10-09 Siemens Ag Vorrichtung zum steuern eines insassenschutzmittels eines kraftfahrzeugs
DE19732081A1 (de) * 1997-07-25 1999-01-28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Anordnung zum Ermitteln der Inertiallage eines Fahrzeugs
JP3044709B2 (ja) 1997-09-19 2000-05-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の起動制御装置
DE19744084A1 (de) * 1997-10-06 1999-04-08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Anordnung zum Ermitteln der Inertiallage eines Fahrzeugs
JP3910293B2 (ja) * 1998-03-12 2007-04-25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ユニット
DE19813943A1 (de) * 1998-03-28 1999-09-30 Telefunken Microelectron Vorrichtung zur Ansteuerung von Rückhalteeinrichtungen in einem Fahrzeug
JP3063731B2 (ja) 1998-04-02 2000-07-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の起動制御装置
US6186539B1 (en) * 1998-07-01 2001-02-13 Trw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ctuatable restraint device using crash severity indexing and crush zone sensor
US6076028A (en) * 1998-09-29 2000-06-13 Veridian Engineer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vehicle event detection, characterization and reporting
DE19854380A1 (de) 1998-11-25 2000-05-31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erfahren zum Erkennen der Schwere eines Fahrzeugzusammenstoßes
US6460882B1 (en) 1999-01-07 2002-10-08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Airbag actuation event discrimination system and method
JP3346472B2 (ja) * 1999-02-01 2002-11-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の起動制御装置
JP3436185B2 (ja) 1999-02-09 2003-08-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の起動制御装置
EP1053917A1 (de) * 1999-05-21 2000-11-22 Siemens Aktiengesellschaft Steuervorrichtung für eine Unfallschutzeinrichtung in einem Fahrzeug mit vier Beschleunigungssensoren
US6249730B1 (en) 2000-05-19 2001-06-19 Trw, Inc. Vehicle occupant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utilizing Z-axis central safing
US6520536B2 (en) * 2001-05-04 2003-02-18 Trw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occupant side restraining device with enhanced side safing function
DE10245781A1 (de) * 2002-10-01 2004-04-1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Auslösung eines Rückhaltesystems in einem Fahrzeug
DE10308881B3 (de) * 2003-02-28 2004-09-02 Siemens Ag Steueranordnung und Verfahren zur Funktionsüberprüfung einer derartigen Steueranordnung für Insassenschutzmittel in einem Kraftfahrzeug
DE10311524A1 (de) * 2003-03-17 2004-09-30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Auslösung von Rückhaltemitteln
DE10330954A1 (de) * 2003-07-08 2005-02-17 Daimlerchrysl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bschätzung der Schwere von Unfallereignissen
SE528484C2 (sv) * 2005-04-11 2006-11-28 Advanced Inertial Measurement Kontrollsystem för fordon
AU2007321749A1 (en) * 2006-11-15 2008-05-22 Radio Terminal Systems Pty Ltd Vehicle movement processing system
US20090055053A1 (en) * 2007-08-26 2009-02-26 Yoram Carmeli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a motorcycle rider
KR101697922B1 (ko) * 2010-12-23 2017-01-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승객보호장치 제어방법
CN103043022B (zh) * 2012-12-25 2016-02-24 陕西宝成航空仪表有限责任公司 汽车安全气囊控制器
US9415713B2 (en) 2013-01-24 2016-08-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lexible seatback system
US9409504B2 (en) 2013-01-24 2016-08-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lexible seatback system
US9399418B2 (en) 2013-01-24 2016-07-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dependent cushion extension and thigh support
KR101526715B1 (ko) * 2013-11-26 2015-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측면 에어백 전개 시스템 및 방법
US9315131B2 (en) 2014-01-23 2016-04-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uspension seat back and cushion system having an inner suspension panel
US9421894B2 (en) 2014-04-02 2016-08-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ing assembly with manual independent thigh supports
US9789790B2 (en) 2014-10-03 2017-10-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uned flexible support member and flexible suspension features for comfort carriers
US10046682B2 (en) 2015-08-03 2018-08-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ack cushion module for a vehicle seating assembly
US9849817B2 (en) 2016-03-16 2017-12-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mposite seat structure
US10286818B2 (en) 2016-03-16 2019-05-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ual suspension seating assembly
US9994135B2 (en) 2016-03-30 2018-06-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dependent cushion thigh support
US10220737B2 (en) 2016-04-01 2019-03-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Kinematic back panel
US9889773B2 (en) 2016-04-04 2018-02-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nthropomorphic upper seatback
US9802512B1 (en) 2016-04-12 2017-10-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orsion spring bushing
US9845029B1 (en) 2016-06-06 2017-12-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assive conformal seat with hybrid air/liquid cells
US9849856B1 (en) 2016-06-07 2017-12-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ide airbag energy management system
US9834166B1 (en) 2016-06-07 2017-12-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ide airbag energy management system
US10377279B2 (en) 2016-06-09 2019-08-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decking arm support feature
US10166895B2 (en) 2016-06-09 2019-01-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back comfort carrier
US10286824B2 (en) 2016-08-24 2019-05-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preader plate load distribution
US10279714B2 (en) 2016-08-26 2019-05-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ing assembly with climate control features
US10391910B2 (en) 2016-09-02 2019-08-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dular assembly cross-tube attachment tab designs and functions
US10239431B2 (en) 2016-09-02 2019-03-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ross-tube attachment hook features for modular assembly and support
DE102016222082A1 (de) 2016-11-10 2018-05-17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Ansteuerung einer Personen-Schutzvorrichtung
US9914378B1 (en) 2016-12-16 2018-03-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corative and functional upper seatback closeout assembly
US10596936B2 (en) 2017-05-04 2020-03-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lf-retaining elastic strap for vent blower attachment to a back carrier
US10668882B2 (en) * 2018-03-30 2020-06-02 Veoneer Us Inc. Mechanical transfer function cancellation
CN111157756B (zh) * 2020-02-25 2022-02-11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转向管柱动态溃缩速度测量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16587A1 (de) * 1988-05-16 1989-11-23 Messerschmitt Boelkow Blohm Einrichtung zur ausloesung einer passiven sicherheitseinrichtung
US5483447A (en) * 1988-09-17 1996-01-09 Robert Bosch Gmbh Apparatus for tripping a system for the protection of occupants of a vehicle
JP2768710B2 (ja) * 1988-09-17 1998-06-25 ローベルト・ボッシュ・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車両の搭乗者を保護する保護装置を起動する装置
DE3924507A1 (de) * 1989-02-18 1990-08-23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ausloesung von rueckhaltemitteln
WO1990011207A1 (de) * 1989-03-20 1990-10-04 Siemens Aktiengesellschaft Steuergerät für ein insassen-rückhaltesystem und/oder -schutzsystem für fahrzeuge
DE3920091A1 (de) * 1989-04-06 1990-10-11 Bosch Gmbh Robert Sicherheitseinrichtung fuer fahrzeuginsassen
DE3921250A1 (de) * 1989-06-29 1991-01-03 Bosch Gmbh Robert Insassen-sicherheits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sselben
US4980573A (en) * 1989-10-02 1990-12-25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Firing circuit with three crash sensors
US5109341A (en) * 1989-11-03 1992-04-28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a vehicle crash in the frequency domain
JP2905240B2 (ja) * 1990-02-07 1999-06-14 アスコ株式会社 車両安全装置のための制御システム
DE4128230C2 (de) * 1990-08-24 1997-01-09 Kanto Seiki Co Steuersystem für einen in einem Kraftfahrzeug angebrachten Airbag
JP2879611B2 (ja) * 1991-02-12 1999-04-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5202831A (en) * 1991-07-09 1993-04-13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occupant restraint system using real time vector analysis
DE59205908D1 (de) * 1991-10-31 1996-05-09 I M M B Pineroli Vorrichtung zum ermitteln von fahrzustandsgrössen eines kraftfahrzeuges
DE4239582A1 (en) * 1991-11-26 1993-05-27 Delco Electronics Corp Triggering inflation of vehicle safety restraining system, e.g. air-bag - comparing vehicle speed with time-dependent speed value after acceleration threshold is exceeded
DE4207153C2 (de) * 1992-01-21 1993-10-28 Autoliv Dev Auslösevorrichtung für eine Fahrzeug-Sicherheitseinrichtung
JP3141534B2 (ja) * 1992-06-22 2001-03-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アバック制御装置
EP0723894A3 (de) * 1992-12-23 1996-09-25 Siemens Ag Verfahren zur Steuerung der Steuereinheit eines Fahrzeuginsassenschutzsystems
JP3036278B2 (ja) * 1993-01-25 2000-04-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乗員拘束装置の制御装置
JP3324220B2 (ja) * 1993-09-07 2002-09-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乗員拘束装置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04009A1 (en) 1996-05-09
IL115835A0 (en) 1996-01-19
EP0709257A1 (en) 1996-05-01
AU695023B2 (en) 1998-08-06
WO1996013407A1 (en) 1996-05-09
AU3710595A (en) 1996-05-23
US5815393A (en) 1998-09-29
JPH10512514A (ja) 1998-12-02
CN1168655A (zh) 1997-12-24
BR9509539A (pt) 1998-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1747B1 (ko) 3방향(3축) 감속신호와 가변 기준치를 이용한 자동차용 에어백 제어장치
US5285188A (en) Vehicle collision detecting system
KR100202941B1 (ko) 3방향(3축) 감속신호를 이용한 자동차용 충돌유형 판별장치
US20040073346A1 (en) Method for determining a decision for the triggering of restraint means in a vehicle
JPH08169297A (ja) 車両の衝突状態制御システム
US6496764B1 (en) Vehicle impact-sensing method with improved severity discrimination
JPH02270656A (ja) 車輌用安全装置の制御装置
JP2006525913A (ja) 車両乗員のためのセーフティシステム
EP0900702A2 (en) Occupant protective device
Chan A treatise on crash sensing for automotive air bag systems
JP2006160066A (ja) エアバッグ展開制御装置、エアバッグ展開制御方法
KR100496338B1 (ko) 자동차 에어백 제어방법
KR100250767B1 (ko) 캡오버형 차량용 충돌센서
JP3452014B2 (ja) 乗員保護装置の起動制御装置
JP2008528377A (ja) セーフティシステム
CN112172724A (zh) 使安全气囊起爆的方法
JPH04252758A (ja) 衝突判断回路
JP2003095058A (ja) 車両用乗員保護装置
GB2369708A (en) Control system for vehicle safety device
KR102227219B1 (ko) 에어백 전개를 위한 스몰 오버랩 충돌 판단 방법
JP3452012B2 (ja) 乗員保護装置の起動制御装置
KR20180116867A (ko) 자동차 에어백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362098B1 (ko) 자동차의 에어백 작동을 위한 충돌판별 방법
JP3452013B2 (ja) 乗員保護装置の起動制御装置
KR940011925B1 (ko) 3방향(3축) 감속 신호 및 그 합성치를 이용한 자동차용 에어백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