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6055A - 세면실 디바이스 증강 현실 설치 시스템 - Google Patents

세면실 디바이스 증강 현실 설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6055A
KR20200036055A KR1020207008870A KR20207008870A KR20200036055A KR 20200036055 A KR20200036055 A KR 20200036055A KR 1020207008870 A KR1020207008870 A KR 1020207008870A KR 20207008870 A KR20207008870 A KR 20207008870A KR 20200036055 A KR20200036055 A KR 20200036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or
image
washroom
unique identifier
enviro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8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0770B1 (ko
Inventor
주니어 프레드릭 제이. 윌리엄스
바박 알. 가지
알렉산드라 엘. 윌슨
스테픈 벡커
앤드류 제이. 톰슨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200036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6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30Managing network names, e.g. use of aliases or nicknames
    • H04L61/3015Name registration, generation or assignment
    • H04L67/3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2Matching criteria, e.g. proximity meas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2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augmented reality sce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achieving an enlarged field of view, e.g. panoramic image cap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30Types of network names
    • H04L2101/365Application layer names, e.g. buddy names, unstructured names chosen by a user or home appliance n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60Type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9Types of network addresses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e.g. room nu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증강 현실 설치 디바이스의 사용에 의해 네트워크에 디바이스를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본원에 설명된 설치 시스템은, 시설, 예를 들어, 디바이스가 최종 사용자 사용을 위해 장착되거나 위치되는, 영역에서 디바이스(들)의 이미지를 캡처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하는, 설치 디바이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포함한다. 그런 다음, 설치 디바이스 상의 이미지 분석 기술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통해서, 예를 들어 이미지에서, 분배기를 개별적으로 식별하고 네트워크에 연결한다.

Description

세면실 디바이스 증강 현실 설치 시스템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상에 세면실 디바이스를 결합(또는 설치)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무선 네트워크는 많은 환경에서 흔하다. 네트워크 상의 디바이스 결합(또는 설치 또는 위임)은 많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 통신을 전송 또는 수신하기 위해 네트워크 내의 그 디바이스를 고유하게 또는 준-고유하게 식별하는 데 예로 사용될 수 있는 명칭 또는 참조 식별자를 할당받거나 수신하는 네트워크를 결합한 디바이스를 유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의 주제는 디바이스, 예를 들어, 손 타월 분배기와 같은 세면실 디바이스를, 네트워크에 결합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주제의 일 측면은, 스크린 및 촬영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설치 디바이스로서, 상기 촬영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가능 세면실 분배기를 갖는 환경의 표현을 캡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크린은 사용자가 보기 위한 표현을 시각적으로 제시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설치 디바이스; 및 상기 표현을 분석해서, 분배기 디바이스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배기를 식별하고, 상기 표현 상에 오버레이로서, 사용자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호작용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배기를 선택할 수 있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배기의 고유 식별자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고유 식별자와 상이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배기에 대한 네트워크 명칭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 측면의 다른 실시예들은 대응하는 방법들,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주제의 다른 측면은, 설치 디바이스의 사용을 통해서, 네트워크 가능 세면실 분배기를 갖는 세면실 환경의 이미지를 캡처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 상에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의 표시와 동시에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면실 분배기를 선택하기 위한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의 사용자 입력을 수용하는 단계; 상기 분배기의 고유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세면실 환경에서 상기 분배기의 상대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분배기에 대한 네트워크 명칭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 측면의 다른 실시예들은 대응하는 시스템들, 장치들,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들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주제의 특정 실시예는 다음 이점 중 하나 이상을 실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디바이스 설치 시스템은 디바이스를 개별적으로 또는 수동으로 식별할 필요 없이 네트워크에 디바이스의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어, 각 디바이스에 대한 디바이스 ID를 수동으로 입력하는 것과 반대로, 본 시스템은,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각적으로, 각 디바이스를 식별하고, 시설, 예를 들어 세면실에서의 각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여 네트워크에 결합할 수 있다. 이는, 네트워크에 디바이스를 결합할 때 인간의 오류를 감소시키고 또한 프로세스를 가속시켜 세부 디바이스 정보의 시간 소모적인 수동 입력이 회피되거나 감소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위치 정보는, 일부 구현예들에서, 디바이스 명칭에 내장될 수 있어서, 사용자가 그 명칭만을 검사함으로써 디바이스의 위치를 즉시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명칭에 기초하여, 리더, 예를 들어, 시설 서비스 담당자는 표 또는 리스트를 (만들고 그 후) 참조할 필요 없이 또는 디바이스 명칭과 대응하는 위치들을 기억할 필요 없이 룸 또는 영역에 특정 디바이스의 위치를 찾아내고 식별할 수 있다. 세면실 손 타월 분배기의 맥락에서, 분배기의 네트워크 명칭을 포함한 메시지 또는 경보는 분배기를 리필할 필요가 있을 때 서비스 직원에게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 명명 컨벤션의 사용을 통해, 메시지 또는 경보는 단순히 디바이스 명칭을 포함할 수 있고 그 정보만으로 서비스 직원은 (더 큰 메시지 파일 및/또는 추가 대역폭 및/또는 추가 시스템 자원을 필요로 하는) 메시지에 추가 위치 정보를 포함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서비스 직원이 리스트 또는 표를 참조하여 위치를 결정하거나 디바이스 위치를 기억할 필요 없이, 리필될 필요가 있는 분배기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더 짧은 파일 또는 더 적은 전송 대역폭이 메시지에 요구되기 때문에 또는 디바이스 명칭을 위치와 연결하는 추가 표 또는 리스트를 생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시스템 자원은 보존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주제의 하나 이상의 구현예들의 세부사항은 첨부 도면 및 설명에서 이하 설명된다. 주제의 다른 특징, 측면 및 장점은 설명, 도면 및 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세면실 디바이스 설치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환경의 블록도이다.
도 2a는 세면실 환경을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도 2a의 환경의 이미지를 캡처하는 예시적인 설치 디바이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 2c는 세면실 환경의 표현을 오버레이하는 설치 디바이스 상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 2d는 예시적인 템플릿 디바이스 이미지 및 장치의 대응하는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용 네트워크 명칭을 생성하는 예시적인 방법이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참조 문자의 반복적인 사용은 본 발명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징 또는 요소를 나타내기 위해 의도된다.
디바이스를 네트워크에 결합하는 것은 종종 매우 수동의, 시간이 소요되고 오류가 발생하기 쉬운 과정이었다. 본원에 설명된 설치 시스템은, 시설, 예를 들어, 디바이스가 최종 사용자 사용을 위해 장착되거나 위치되는, 영역에서 디바이스(들)의 이미지를 캡처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하는, 설치 디바이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포함한다. 그런 다음, 설치 디바이스 상의 이미지 분석 기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이미지 내에서, 디바이스, 예를 들어, 분배기들이 개별적으로 식별되고 네트워크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설치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예를 들어, 광학 문자 인식 프로세스, 일련 번호, 또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와 같은 장치 상의 다른 식별 마크를 통해서, 설치 디바이스가 "판독"하게 하도록 GUI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 식별자를 손에 가지고, 설치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설치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네트워크 서버에 의해 개시되는 핸드셰이크 프로세스를 통해, 디바이스를 네트워크에 결합하는 프로세스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분석 프로세스를 통해, 설치 디바이스는 시설 내에서 디바이스들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비누 분배기(X)는 시설의 입구에 가장 가깝고 손 타월 분배기(Y)는 비누 분배기(X)의 바로 좌측에 있다. 또한, 설치 디바이스에 이용 가능하거나 접근 가능한 다른 위치 기능, 예를 들어 GPS, 셀룰러 및/또는 Wi-Fi 신호 강도 레벨, 및/또는 다른 위치 서비스 또는 기술, 예를 들어 삼각측량을 활용함으로써, 설치 디바이스는 상대 및/또는 절대 위치 정보를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 디바이스에 할당할 수 있다. 이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설치 시스템은 사용자가 디바이스의 위치를 쉽게 구별할 수 있게 하는 디바이스의 명칭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바이스의 신속한 시각적 평가를 통해 디바이스의 그룹 사이에서 특정 디바이스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이 시스템은, 세면실 디바이스 설치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환경의 블록도인, 도 1a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의 환경(100)은, 시설(107), 예를 들어, 세면실, 하나 이상의 종점 디바이스(104),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102) 및 설치 디바이스(105)를 포함할 수 있는 디바이스 설치 시스템(123)을 포함한다. 시스템(123)은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디바이스(104)를 네트워크에 연결시킨다. 보다 일반적으로, 환경(100)은, 하나 이상의 시설(107), 예를 들어, 준-전용 또는 공중 세면실(107), 휴게실(107), 또는 디바이스(104), 위생 분배기가 위치되는 다른 한정된 공간 또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시설(107)은 적어도 하나의 도어 또는 입구/출구 지점을 갖는 밀폐되거나 한정된 룸 또는 공간이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종점 디바이스(104)는, 설치 시스템(123)이 그 디바이스(104)에 대한 명칭을 갖거나 생성할 임의의 디바이스이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디바이스(104)는,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을 통해, 네트워크를 통해, 그리고/또는 설치 시스템(123)과 통신하는 수신기, 송신기 또는 송수신기를 갖도록 네트워크로 실행되는 디바이스이다. 종점 디바이스(104)는, 예를 들어, 손 타월 분배기(104a), 욕실 티슈 분배기(104b), 손 비누(또는 다른 클렌징) 분배기(104c), 손 또는 얼굴 케어 분배기(도시되지 않음), 변기 또는 소변기를 위한 표면 세정, 살균 또는 소독 분배기(도시되지 않음), 및/또는 기타 등등, 도어 개방/폐쇄 카운터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 각각은 다른 유형의 종점 디바이스(104)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 결합(또는 설치)은 디바이스(104)를 그 네트워크 또는 설치 시스템(123)과 연결시켜서 설치 시스템(123)이 그 디바이스(104)에 대한 명칭을 생성 (그리고 선택적으로 할당)해서, 예를 들어 메시지를 그 디바이스(104)로부터 수신하고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위해 네트워크 상의 그 디바이스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술한 대로, 설치 시스템(123)은 무선 또는 유선 채널, 또는 이들의 일부 조합체를 가로질러 분배기(104)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치 시스템(123)은 송수신기 및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러한 통신을 용이하게 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설치 시스템(123)은 WAN 또는 LAN에 접속되어서 종점 디바이스(104) 및 모바일 디바이스, 예컨대 모바일 설치 디바이스(105) 및/또는 서버와 같은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한다.
설치 시스템(123)은, 환경(100) 내 각각의 시설(107)에 대하여, 예컨대 다층 빌딩, 빌딩 또는 빌딩 세트의 층에 대하여,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각각의 시설(107)과 종점 디바이스(104)를 연관짓는 종점 디바이스(104)를 위한 구성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구성 데이터는 각각의 종점 디바이스(104)에 대한 명칭 및 종점 디바이스(104)와 그 디바이스(104)가 위치되는 시설(107) 또는 빌딩 사이의 연관성을 포함한다. 디바이스(104)의 명칭은 환경(100)에서 디바이스(104)를 고유하게 또는 준-고유하게 식별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설치 시스템(123)은,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각 시설(107)에 정의된 경로(예, 경로(115))를 따라 그들의 상대 위치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04)를 명명한다.
도 2a는 세면실 환경을 나타낸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a는 기준점(119)에 근접하여 취한 도 1의 세면실 환경을 도시하며, 좌측에서 우측으로, 손 타월 분배기(104ai), 세면대(151a), 손 비누 분배기(104ci), 손 비누 분배기(104cii), 세면대(151b), 및 손 타월 분배기(104aii)를 보여주고 있다. 도 2b는 도 2a의 환경의 이미지를 캡처하는 예시적인 설치 디바이스(105)를 나타낸 것이다.
설치 디바이스(105)는 스크린(220) 및 촬영 디바이스, 예를 들어 카메라(미도시함)를 포함한다. 설치 디바이스(105)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랩톱 등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2b에 도시된 설치 디바이스(105)는 도 2a의 세면실 환경의 표현을 캡처하였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105)의 카메라는 도 2a의 시설(107)의 디바이스(104) 및 고정구(예, 세면대)의 사진을 찍는 데 사용되었다. 더욱 일반적으로, 촬영 디바이스(105)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가능 세면실 분배기(104)를 갖는 환경(100)(예, 시설(107))의 표현/이미지를 캡처하고, 스크린(220)은 사용자가 보기 위한 표현을 시각적으로 제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시설(107)에 존재하는 모든 디바이스(104)를 보여주는 시설(107)의 다수의 표현(예, 직사각형 세면실(107)의 전체 4개의 벽)을 캡처하기 위해 설치 디바이스(105)를 사용할 수 있다. 표현은 오버랩, 예를 들어, 동일한 디바이스(104) 중 하나 이상을 보여줄 수 있거나, 다른 표현에 의해 캡처되지 않은 별개의 디바이스(104)를 각각 보여줄 수 있거나 이미지는 시설(107) 내의 모든 디바이스(104)를 캡처하기 위한 연속 비디오 패닝일 수 있다.
설치 시스템(123)은 또한 애플리케이션(125)을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125)은 이미지에 캡처된 표현을 분석해서 상기 표현에 도시된 분배기 디바이스(104)를 식별한다.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사용자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270)와 상호 작용함으로써 분배기 디바이스(104)를 선택할 수 있는, 표현 또는 이미지 상의 오버레이로서, 설치 디바이스(105)가 스크린(220) 상에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270)를 제공하게 한다. 애플리케이션(125)은 또한 각 분배기 디바이스(104)의 고유 식별자, 예를 들어, 일련 번호를 결정하고, 대응하는 고유 식별자와 상이한 각 분배기 디바이스(104)에 대한 네트워크 명칭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고유 식별자는 디바이스의 일련 번호일 수 있고, 네트워크 명칭은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디바이스 위치를 포함하는 영숫자 문자열일 수 있다.
도 2c는 세면실 환경(100)의 표현을 오버레이하는 설치 디바이스(105) 상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270)를 나타낸 것이다. 도 2c를 참조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디바이스(104)는 고유 식별자(250)를 가지는데, 예를 들어, 디바이스(104ai)는 고유 식별자(150ai)를 가지며 디바이스(104cii)는 고유 식별자(250cii)를 갖는다. 이 고유 식별자들은, 예를 들어, 관리자에 의해 디바이스(104)에 할당된 디바이스(104) 일련 번호, MAC 어드레스, 또는 조작(fabricated) 또는 가공의(fanciful) 숫자, 글자 또는 영숫자일 수 있다. 이 식별자들은, 예를 들어, 영숫자 형태, 또는 바 또는 QR 코드와 같은 코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디바이스(104) 상에서 볼 수 있고 그리고/또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프로세스를 통해 접근 가능하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디바이스(104)는, 디바이스(104)가 예를 들어, 셀룰러, 블루투스 및/또는 NFC 프로토콜 및 절차를 통해, 설치 디바이스(105)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게 하는 무선 통신 장비(예를 들어,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설치 디바이스(105)는 디바이스(104)를 무선으로 조사하여 자신의 고유 식별자를 질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치 디바이스(105)는, 예를 들어, 이러한 통신을 위한 범위 내의 유일한 분배기인, 그것에 가장 가까운 디바이스(104)에 NFC를 이용해서 질의한다. 질의에 응답하여, 디바이스(104)는 그의 식별자를 송신하고 (선택적으로) 시각적 대기열(예, 플래시 LED 또는 분배 제품)을 생성하여 어느 디바이스(104)가 설치 디바이스(105)와 통신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디바이스(104)는, 사용자가 작동할 때(예, 누를 때) 디바이스(104)가 설치 디바이스(105)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자신의 고유 식별자를 무선으로 전달(broadcast)하게 하는 작동자(예, 누름 버튼 등)를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애플리케이션(125)은,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가 표현에서 식별된 디바이스(104)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식별된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옵션(254), 디바이스(104)가 결합될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옵션(256), 및 선택된 디바이스(104)가 선택된 네트워크에 결합되도록 야기하는 결합 디바이스 옵션(258)을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125)의 동작은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데, 이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디바이스(104)에 대한 네트워크 명칭을 생성하는 예시적인 방법(300)이다.
설치 디바이스의 사용을 통해, 네트워크 가능 세면실 분배기를 갖는 세면실 환경의 이미지가 캡처된다(302). 예를 들어, 설치 디바이스(105)는 그 촬영 디바이스를 사용해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104)를 갖는 시설(107)의, 이미지, 예를 들어, 사진 또는 표현을 캡처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사용자는 설치 디바이스(105)를 사용해서, 다수의 이미지, 예를 들어, 디바이스(104) 당 하나의 이미지 또는 시설(107)의 벽 당 하나의 이미지(이러한 벽은 다수의 디바이스(104)를 가짐)를 캡처할 수 있거나, 전체 시설(107)의 파노라마 이미지 또는 패닝 비디오 클립을 캡처할 수 있다. 캡처된 이미지는, 이러한 식별자가 디바이스(104)에시각적으로 표시, 예를 들어, 인쇄된 또는 스탬프 일련 번호 또는 디바이스(104)에 적용된 라벨에 인쇄된 바 또는 QR 코드라는 가정 하에, 디바이스(104)의 고유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는 설치 디바이스(304) 상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이미지는,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 디바이스(105)의 스크린(220) 상에 표시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이미지는 추후 액세스와 사용을 위해 설치 디바이스(105)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다수의 시설(107)의 다수의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고, 나중에 그러한 이미지들에 캡처된 디바이스(104)를 네트워크에 결합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들 이미지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이미지는 하나 이상의 기준 지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설(107)에 대한 각 이미지 또는 이미지들의 세트는 시설(107) 내로의 입구(103)와 같은 기준 지점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시설(107)에 대한 다수의 이미지를, 모든 디바이스(104)와 서로 및/또는 입구(103)와 같은 기준 지점에 대한 그들의 상대 위치를 보여주는 전체 시설(107)의 파노라마 이미지로 "스티치"(stitch)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사용자는 시설(107)의 이미지를 캡처하여 각 이미지의 일부가 서로 오버랩되어 함께 스티치된 파노라마 이미지에서 개별 이미지들의 배치를 정의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설치 디바이스(105)를 사용하여 디바이스(A, B, C)와 입구를 가진 시설(107)의 제1 이미지를 취한다. 제2 이미지는 디바이스(C 및 D)를 캡처하고, 디바이스(D, E 및 F)와 입구를 가진 최종 이미지를 캡처할 것이다. 설치 디바이스(105)(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102))는, 애플리케이션(125)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오버랩 이미지들에 캡처된 디바이스(104)(및/또는 다른 특징부)의 공통성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함께 조각할 수 있다. 이미지는 고정된 시점(예, 카메라 사진)에서 환경(100)(또는 그 일부분)을 캡처하는 정적 표현일 수 있거나, 실시간(예, 비디오 피드)으로 환경의 라이브 및 연속적인 캡처일 수 있거나, 이 실시간 이미지는 나중에 다시 재생될 비디오로서 기록될 수 있고, 거기서 프로세스(300)가 수행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125)의 지시로, 설치 디바이스(105)는 이미지를 캡처/촬영한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로 이미지를 태그한다. 예를 들어, 설치 디바이스(105)는, 위치 정보를 결정 또는 생성하기 위해, GPS, 셀룰러 어시스트 기능이 있는 GPS 무선 신호 삼각측량, 알려진 통신 지점으로부터의 비행 근접/시간 분석, 고도 데이터, 나침반, 사용자 입력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정보는 디바이스(104)의 절대 위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 문맥에서의 절대 위치는, 알려진, 고정된 그리드 또는 좌표 시스템, 예를 들어 위도 및 경도, 카테르시아 좌표 시스템에 대한 디바이스(104)의 위치를 의미한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이미지(306)의 디스플레이와 동시에 제공된다. 예를 들어, 설치 디바이스(105)에 의해 접근 가능한 애플리케이션(125)은, 예를 들어,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미지와 스크린(220)에 동시에 표시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270)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애플리케이션(125)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또는 랩톱(예, 설치 디바이스(105))과 같은 모바일 컴퓨팅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스크립트 또는 코드로도 알려짐)은 컴파일형 또는 해석형 언어, 선언형 또는 절차형 언어를 비롯한 임의의 형태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될 수 있고, 그것은 자립형 프로그램 또는 모듈, 구성요소, 서브루틴, 또는 컴퓨팅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비롯하여 임의의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125)은, (예,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으로서의 소프트웨어로서 설치 디바이스(105),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102) 둘 다에 함께 설치되거나, 설치 디바이스(105) 및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102) 중 하나 또는 둘 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270)는 설치 디바이스(105)의 터치스크린(220)과 공동으로 작동한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터치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270)에 의해 감지되고 해석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125)은 또한 이미지 내의 특징부 또는 아이템의 식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125)은, 제한 없이, Blob 검출, 템플릿 매칭 및 SURF 특징부 추출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분석 기술을 통해 이미지에 존재하는 디바이스(104)를 식별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애플리케이션(125)은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104)의 (예를 들어, 다양한 각도에서 그리고 상이한 거리로부터) 다수의 공지된 이미지에 대한 액세스를 가지며, 이들은 템플릿 디바이스 이미지(127)로 지칭된다. 애플리케이션(125)은, (예를 들어, 픽셀들 또는 이미지 특징부 유사점들에 기초하여) 템플릿 디바이스 이미지(127)를 이미지의 부분들과 비교해서 가능한 매칭을 검출하며, 예를 들어, 비교한 픽셀들 또는 특징부들의 90% 넘게 대응하는 이미지 부분과 템플릿 디바이스 이미지(127) 간에 매칭된다.
템플릿 디바이스 이미지(127)는 각각의 템플릿 디바이스 이미지(127)가 대응하는 디바이스(104)를 설명하거나 특징화하는 메타데이터 또는 다른 정보와 연관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125)은 이러한 설명 데이터 또는 정보에 대한 액세스를 갖는다. 이러한 데이터 또는 정보는 디바이스 유형, 예를 들어 손 타월 분배기, 비누 분배기, 욕실 티슈 분배기, 디바이스(104)의 제조업자, 디바이스(104)의 제조 및/또는 모델 등을 설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시적인 템플릿 디바이스 이미지(127) 및 디바이스(104)의 대응하는 이미지를 나타낸 도 2d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템플릿 디바이스 이미지(290)는 손 타월 디바이스(104ai)에 대응한다. 이 디바이스(104)에 대한 설명 데이터(292)는 그것이 손 타월 분배기이고 제조사 X로부터의 모델 Y임을 설명한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의 사용자 입력이 수용되어 적어도 하나의 세면실 분배기(308)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전술한 디바이스 식별 프로세스를 통해, 애플리케이션(125)은 이미지에 표현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104)를 식별하였다. 이어서, 사용자는, 설치 디바이스(105) 상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270)와 상호작용할 수 있고, 스크린(220) 상의 이미지에 표현된 식별된 디바이스(104)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린(220)은 터치스크린일 수 있고, 사용자는 디바이스(104)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스크린의 영역을 터치함으로써(한 번 또는 몇몇 경우에 여러 번) 디바이스(104)를 선택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애플리케이션(125)은, 이미지를 캡처하는 설치 디바이스(105)에 응답하여 이미지 내의 디바이스(104)를 자동으로 식별한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식별 프로세스는, Select Device(디바이스 선택) 지시(254)를 선택하는 사용자에 의해 개시된다. 어느 경우에도, 일부 구현예들에서, 애플리케이션(125)에 의해 식별된 디바이스(104)는, 예를 들어, 컬러, 텍스트에 의해, 원 또는 정사각형으로 강조되거나 둘러싸임으로써, 이들이 선택가능한 아이템임을 나타내기 위해 스크린(220) 상에 부각될 것이다.
분배기의 고유 식별자가 결정된다(310). 전술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4)의 고유 식별자는, 관리자에 의해 디바이스(104)에 할당된 일련 번호, MAC 어드레스, 또는 조작된 숫자, 글자 또는 영숫자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이들 고유 식별자는, 예를 들어, 영숫자 형태 또는 바 또는 QR 코드와 같은 코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c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4ai 및 104cii)에 대한 고유 식별자는 각각 250ai 및 250cii이다.
고유 식별자들이 디바이스(104) 상에서 볼 수 있고 이미지 내에 캡처되는 일부 구현예들에서, 애플리케이션(125)은, 예를 들어 광학 문자 인식 프로세스를 통해 또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에 사용될 수 있는 특징부 식별 및 디코딩 프로세스를 통해, 디바이스(104)에 대한 고유 식별자를 캡처된 이미지로부터 판독할 수 있다.
디바이스(104)가 결합될 수 있는 이용가능한 네트워크(들)는 아이템과의 상호작용, 예를 들어 버튼(256)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이용가능한 네트워크는, 이용가능한 네트워크로부터의 전달(broadcast)을 인식하는 프로세스를 통해 애플리케이션(125)에 의해 결정되거나 관리자에 의해 사전 설정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디바이스(104)가 연결될 수 있는 단 하나의 네트워크만이 있으며, 따라서 아이템(256)이 이용가능하지 않다.
분배기에 대한 네트워크 명칭은 세면실 환경(312) 내의 분배기의 상대 위치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디바이스(104)의 네트워크 명칭(예, 위생 분배기)은, 시설(107)에서의 그 위치에 대하여 그 배치를 전달한다. 일단 디바이스(104)가 주어진 네트워크에 결합되도록 선택되었다면, 사용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270)에 의해 제공되는 Join Device(디바이스 연결) 아이템(258)과 상호작용함으로써 그 디바이스(104)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125)은 디바이스(104)의 고유 식별자를 "판독"하고, 일부 구현예들에서, 디바이스(104)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 정보에 액세스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4)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 정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어 또는 입구(예, 입구(103))와 같은 시설(107) 내의 기준점을 참조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1 프로토콜은 (i) (각각의 시설(107) 내에서) 디바이스(104)의 공간 배향에 따른 디바이스(104)의 시퀀스 및 (ii) 상기 시퀀스(115)에 대한 기점을 정의하는 레퍼런스를 기초로 디바이스(104)에 대한 명명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규칙을 정의한다. 애플리케이션(125)은 규칙에 대한 액세스를 갖는다. 각 디바이스(104)의 상대적인 위치는 시퀀스(115)에서 그의 특정 위치/순서에 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시퀀스(115) 내의 제1 디바이스(104)는 시퀀스 순서 번호 1을 가지며 시퀀스(115) 내의 제3 디바이스는 시퀀스 순서 번호 3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주어진 시설(107)에 대하여, 디바이스(104) 각각은, (동일한 시설 내)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104)의 위치에 대한 그 위치 및/또는 시설(107) 내 다른 기준점, 예컨대 시설(107) 안팎으로의 도어 또는 입구(103)를 정의하는 공간 배향을 갖는다. 예를 들어, 도 1의 시설(107)과 관련하여, 디바이스(104bi)는 도어(103)와 디바이스(104bii) 사이에 있다. 또는, 시설(107)의 중앙 기준점(119)과 관련하여, 디바이스(104bi)는 도어(103)(예를 들어, 기점)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예를 들어, 경로(115)를 따라) 제1 디바이스이다. 마찬가지로, 디바이스(104bii)는 도어(103)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제3 디바이스이고, 디바이스(104cii)는 도어(103)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제6 디바이스이다.
도어(103)로부터 반시계 방향과 관련하여, 디바이스(104aii)는 제1 디바이스이고 디바이스(104cii)는 제2 디바이스이다. 다른 공간 배향 체계가 또한 고려된다. 예를 들어, 증분화는, 시설(107) 내 디바이스(104)의 유형에 기초할 수 있어서, 디바이스 유형의 각각의 공통 세트가 1 내지 X, 예를 들어, 욕실 티슈 분배기 1 내지 X, 손 타월 분배기 1 내지 X, 손 비누 분배기 1 내지 X로 번호를 매길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층 또는 빌딩에서 적어도 하나의 시설(107)은 적어도 두 개의 다른 유형의 종점 디바이스(104)를 포함한다.
시퀀스(115)는 디바이스(104)의 공간 배향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시설(107) 주위의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디바이스(104)가 처리되는 (예컨대 명명되는) 순서를 정의한다. 기점은 시퀀스(115)에서 제1 디바이스(104)를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기점은, 시퀀스(115)의 제1 디바이스가 시계 방향(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도어(103)에 가장 가까운 디바이스(104) (또는 시설(107)의 다른 기준점)이도록 지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4)의 공간 관계 또는 위치는 캡처된 이미지 내의 디바이스(104)의 위치 설정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125)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 분석 기법들을 통해, 애플리케이션(125)은, (시설 별 기준으로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설정되거나 설치 디바이스(105)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기점을 결정할 수 있고, 다른 디바이스에 대한 이미지 내의 각 디바이스(104)의 위치(및/또는 제1 순서 디바이스(104)에 대한 기점)를 비교함으로써 시퀀스(115)에서 디바이스(104)를 명령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애플리케이션(125)은, 절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104)의 상대 위치 정보를 결정 또는 보충하기 위해 자신의 위치 및 배향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치 도구(105)의 특징부들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125)은 (설치 디바이스(105)를 통해 이용가능한 것에 따라) 몇 가지 예를 들자면, GPS, 무선 신호 강도 레벨, 삼각측량, 나침반 데이터, 가속도계, 기압계, 고도계 중 하나 또는 조합을 사용하여, 설치 디바이스(105)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맵핑 정보에서 오버레이된, 애플리케이션(125)은 이 위치 정보를 사용해서 설치 디바이스(105)가 위치하는, 주소, 도시, 주, 국가 등을 결정할 수 있다. 고층 빌딩에서, 빌딩 레이아웃에 접근할 수 있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설치 툴(105)이 있는 방을 결정할 수 있다(예, 3층의 북서쪽 코너에 있는 남자 화장실). 애플리케이션(125)은 또한 이 정보를 사용하여 디바이스(104)의 절대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치 디바이스(105)의 공지된 위치, 디바이스(104)의 이미지를 캡처했을 때 설치 디바이스(105)의 배향, 및 예를 들어, 그 시점에 촬영 디바이스의 초점 깊이 또는 길이의 분석을 통해 결정된 바와 같이, 이미지를 캡처했을 때 설치 디바이스(105)로부터 디바이스(104)의 거리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125)은 디바이스(104)의 절대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내의 디바이스(104)의 상대 위치의 이미지 분석에 단독으로 기초하여 시퀀스를 구성하는 것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애플리케이션(125)은 디바이스(104)의 절대 위치에 기초하여 시퀀스(115)를 결정할 수 있다.
규칙은, 예를 들어 프로그램 코드 또는 스크립트에서 관리자에 의해, 프로그램에 따라 정의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관리자에 의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수동으로 지정될 수 있다. 규칙은 또한 추가 명명 컨벤션을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빌딩의 세면실 시설의 맥락에서, 컨벤션은 "세면실 성별/층 번호-디바이스 유형-디바이스 위치 시퀀스"일 수 있으며, 여기서 세면실 성별은 남성(M), 여성(FE) 또는 가족(FA)이고; 층은, 시설(107)이 위치하는 층 번호여서 제1 층은 1일 것이고, 제2 층은 2일 것이고; 디바이스 유형은 손 타월 분배기(HT), 욕실용 티슈 분배기(BT), 비누 분배기(SO) 등과 같은 디바이스 유형이고; 시퀀스에서 디바이스 위치는 전술한 바와 같은 시퀀스에서 디바이스 번호이다.
따라서, 시퀀스(115)에 따라 도어로부터 두 번째 위치한 1층에 있는 남성용 세면실에서 손 타월 분배기에 대해 시스템(123)은 디바이스 M1-HT-2로 명명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시퀀스에 따라 도어로부터 세 번째 위치한 3층의 여성용 세면실에서 비누 분배기에 대하여 시스템(123)은 디바이스 W3-SO-3으로 명명할 것이다. 이런 식으로, 예를 들어, 빌딩에 대한 서비스 담당자가, 예를 들어, 종이가 부족하기 때문에, 손 타월 분배기(104)가 서비스될 필요가 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할 때, 메시지 내 분배기(104)의 명칭은 담당자에게 분배기(104)의 특정 위치에 대하여 통지하고, 또 다른 데이터베이스나 리스트를 교차 점검하거나 참조할 필요 없이 그 분배기(104)로 직접 이동할 수 있다. 이는, 추가 대역폭이 전송되도록 요구하고 덜 효율적인, 더 긴 산문으로 쓴 설명을 메시지에 포함하는 것과 대조적으로, 간결한 메시지를 더 허용한다.
일부 시나리오에서, 다수의 동일한 룸 유형(예를 들어, 2개의 남성용 세면실)이 단일 층에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들에서, 예를 들어, 규칙들은 다음과 같은 명명 컨벤션: "세면실 성별/층 번호-시설 명칭 수식자-디바이스 유형-디바이스 위치 시퀀스"를 지정하고, 여기에서 시설 명칭 수식자는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수식자는 즉시 위치 정보를 부여하기 위해 기술적이다. 예를 들어, 층이 남성용 세면실을 빌딩의 남쪽 및 북쪽에 포함하는 경우, 각각의 수식자는 남측 또는 북측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시퀀스에 따라 도어로부터 두 번째에 위치하는 1층의 남쪽에서 남성용 세면실의 손 타월 분배기 및 시퀀스에 따라 도어로부터 네 번째에 위치하는 1층의 북쪽에 있는 남성용 세면실에서 손 타월 분배기에 대하여, 시스템(123)은 디바이스를 각각 M1-남측-HT-2 및 M1-북측-HT-4로 명명할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세면실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예를 들어 사무실, 휴게실, 제조 구역, 음식 조리 구역 등에서 디바이스와 같은 다른 유형의 시설 및 장치도 고려된다.
실시예
실시예 1. 스크린 및 촬영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설치 디바이스로서, 상기 촬영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가능 세면실 분배기를 갖는 환경의 표현을 캡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크린은 사용자가 보기 위한 표현을 시각적으로 제시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설치 디바이스; 및 상기 표현을 분석해서, 분배기 디바이스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배기를 식별하고, 상기 표현 상에 오버레이로서, 사용자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호작용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배기를 선택할 수 있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배기의 고유 식별자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고유 식별자와 상이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배기에 대한 네트워크 명칭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시스템.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배기의 고유 식별자를 결정하는 것은 이미지 처리 기술을 사용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배기 상에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일련 번호 또는 코드를 광학적으로 판독하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실시예 3. 전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배기의 고유 식별자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배기를 조사해서 상기 고유 식별자를 질의하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실시예 4. 전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설치 디바이스로부터 실행되는, 시스템.
실시예 5. 전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설치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로부터 실행되는, 시스템.
실시예 6. 전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표현은 환경 내의 기준점을 포함하고 상기 고유 식별자와 상이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배기에 대한 네트워크 명칭을 생성하는 것은 상기 기준점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배기의 상대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명칭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실시예 7. 전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표현은 상기 환경의 이미지이고, 상기 표현을 분석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배기를 식별하는 것은 상기 이미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배기의 형상을 각각의 공지된 분배기를 묘사하는 다수의 분배기 이미지들 중 하나에 매칭하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실시예 8. 설치 디바이스의 사용을 통해서, 네트워크 가능 세면실 분배기를 갖는 세면실 환경의 이미지를 캡처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 상에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의 표시와 동시에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면실 분배기를 선택하기 위한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의 사용자 입력을 수용하는 단계; 상기 분배기의 고유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세면실 환경에서 상기 분배기의 상대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분배기에 대한 네트워크 명칭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실시예 9. 실시예 8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의 고유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를 이미지 처리해서 상기 분배기 상에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일련 번호 또는 코드를 광학적으로 판독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실시예 10. 실시예 8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의 고유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분배기를 조사해서 상기 고유 식별자를 질의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실시예 11. 실시예 8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설치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인, 방법.
실시예 12. 실시예 8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카메라를 가지고, 세면실 환경의 이미지를 캡처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를 사용해서 상기 세면실 환경의 사진을 찍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실시예 13. 실시예 12에 있어서, 세면실 환경의 이미지를 캡처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를 사용해서 상기 세면실 환경의 다수의 사진을 찍어서 상기 세면실 환경의 파노라마 뷰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실시예 14. 실시예 8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을 수용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분배기를 시각적으로 부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실시예 15. 실시예 8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설치 디바이스의 위치 및 배향에 기초하여 시설 내의 디바이스의 위치 및 상기 이미지 내의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본 개시내용의 요소들 또는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입할 때, "한", "하나", "그", "상기" 라는 구는 그 요소들의 하나 이상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이라는 용어들은, 포괄적인 것이며, 열거된 요소들 외의 다른 추가 요소들이 존재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정 구현예의 세부사항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임의의 발명 또는 청구될 수 있는 범위에 대한 제한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특이적일 수 있는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별도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소정의 특징은 또한 단일 실시예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특징은 또한 다수의 실시예에서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적합한 서브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특징들은 소정의 조합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위에서 설명되고 심지어 처음에 이와 같이 청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물로부터 하나 이상의 특징들이 어떤 경우에는 조합물로부터 삭제될 수 있고, 청구된 조합물은 부조합물 또는 부조합물의 변형물로 유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주제 및 동작의 구현예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조 및 그것의 구조 등가물을 포함한, 디지털 전자 회로로,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또는 그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주제의 구현예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즉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한 실행을 위해 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컴퓨터 저장 매체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의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프로그램 명령은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한 실행을 위해 적절한 수신기 장치로 송신을 위해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해 발생되는, 인위적으로 발생된 전파 신호, 예를 들어, 기계 발생된 전기적, 광학적 또는 전자기 신호에 인코딩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디바이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기판, 랜덤 또는 직렬 액세스 메모리 어레이 또는 디바이스,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거나 그것에 포함될 수 있다. 더욱이, 컴퓨터 저장 매체는 전파 신호가 아니라, 컴퓨터 저장 매체는 인위적으로 발생된 전파 신호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의 소스 또는 수신지일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또한 하나 이상의 분리된 물리적 구성요소 또는 매체(예를 들어, 다수의 CD, 디스크 또는 다른 저장 디바이스)일 수 있고 또는 그것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동작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디바이스에 저장되거나 다른 소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대해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처리 장치 또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이라는 용어는 예로서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 컴퓨터, 칩 상의 시스템, 또는 전술한 것들 중 다수의 것들, 또는 조합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종류의 장치, 디바이스 및 기계를 포함한다. 장치는 특수 목적 논리 회로, 예를 들어 FPGA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 또는 ASIC(주문형 집적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치는 하드웨어 이외에 당해 컴퓨터 프로그램을 위한 실행 환경을 생성하는 코드, 예를 들어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교차-플랫폼 실시시간(cross-platform runtime) 환경, 가상 기계,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 및 실행 환경은 웹 서비스, 분산 컴퓨팅 및 그리드 컴퓨팅 기반시설과 같은 다양한 다른 컴퓨팅 모델 기반시설을 실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스크립트 또는 코드로도 알려짐)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 선언적 또는 절차적 언어를 비롯한 임의의 형태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될 수 있고, 그것은 자립형 프로그램 또는 모듈, 구성요소, 서브루틴, 객체 또는 컴퓨팅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비롯하여 임의의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대응할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프로그램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를 유지하는 파일의 부분에, 당해 프로그램 전용 단일 파일에, 또는 다수의 통합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서브프로그램 또는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에 저장될 수 있다. 하나의 컴퓨터에서 또는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다수의 사이트에 분배되고 통신 네트워크로 상호 연결되는 다수의 컴퓨터에서 실행되도록 컴퓨터 프로그램을 배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공정 및 논리 흐름은 입력 데이터를 조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특수 목적 논리 회로, 예를 들어 FPGA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 또는 ASIC(주문형 집적 회로)에 의해 공정 및 논리 흐름을 또한 수행할 수 있고 장치를 또한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적합한 프로세서는 예로서 범용 및 특수 목적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임의의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읽기 전용 메모리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양자로부터 명령 및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필수 요소는 명령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 및 명령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 디바이스들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또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대용량 저장 디바이스, 예컨대, 자기, 광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를 포함하거나, 그들로부터 또는 그들에 데이터를 수신 또는 전송하거나 이들 모두를 위해서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는 이러한 디바이스들을 가질 필요는 없다. 더욱이, 컴퓨터는 다른 디바이스, 예컨대, 두 서너 가지 예만 들면, 휴대폰, 개인용 정보 단말기(PDA), 모바일 오디오 또는 비디오 플레이어, 게임 콘솔, 위성 위치확인 시스템(GPS) 수신기, 또는 휴대용 저장 디바이스(예컨대, 범용 직렬 버스 (USB) 플래시 드라이브)에 내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디바이스들은, 예로서,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자기 디스크, 예컨대 내부 하드 디스크 또는 분리성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및 CD-ROM 및 DVD-ROM 디스크를 포함한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특수 목적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 안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주제의 구현예들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로서 백-엔드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또는 미들웨어 구성요소,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포함하고, 또는 프런트-엔드 구성요소,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예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클라이언트 컴퓨터, 또는 이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또는 프런트-엔드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들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의 임의의 형태 또는 매체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의 예는 근거리 통신망("LAN") 및 광역 통신망 ("WAN"), 인터-네트워크(예컨대, 인터넷) 및 피어 투 피어 네트워크(예컨대, 애드 혹 피어 투 피어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컴퓨팅 시스템은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일반적으로 서로 원격되어 있으며, 통상적으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작용한다.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관계는, 각각의 컴퓨터에서 실행되며 서로 클라이언트-서버 관계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들에 의해 발생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서버는 (예를 들어, 사용자 컴퓨터와 상호 작용하는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자 컴퓨터에 데이터(예를 들어, HTML 페이지)를 전송한다. 사용자 컴퓨터에서 발생된 데이터(예를 들어, 사용자 상호작용의 결과)는 서버에서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정 구현예의 세부사항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임의의 발명 또는 청구될 수 있는 범위에 대한 제한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오히려 구체적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특정한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별도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소정의 특징은 또한 단일 실시예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특징은 또한 다수의 실시예에서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적합한 서브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특징들은 소정의 조합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위에서 설명되고 심지어 처음에 이와 같이 청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물로부터 하나 이상의 특징들이 어떤 경우에는 조합물로부터 삭제될 수 있고, 청구된 조합물은 부조합물 또는 부조합물의 변형물로 유도될 수 있다.
유사하게, 동작은 도면에서 특정 순서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것은 바람직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서 상기 동작이 도시된 특정 순서로 또는 순차적 순서로 수행되거나, 도시된 모든 동작이 수행될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상황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처리가 유리할 수 있다. 더욱이,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들의 분리는 모든 실시예들에서 그러한 분리를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고,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들 및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에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들로 패키징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 서술된 설명은 본 발명을 개시된 정확한 방식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예들의 변경, 수정 및 변형을 가져올 수 있다.

Claims (15)

  1. 시스템으로서,
    스크린 및 촬영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설치 디바이스로서, 상기 촬영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가능 세면실 분배기를 갖는 환경의 표현을 캡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크린은 사용자가 보기 위한 표현을 시각적으로 제시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설치 디바이스; 및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상기 표현을 분석해서, 분배기 디바이스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배기를 식별하고, 상기 표현 상에 오버레이로서, 사용자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호작용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배기를 선택할 수 있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배기의 고유 식별자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고유 식별자와 상이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배기에 대한 네트워크 명칭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배기의 고유 식별자를 결정하는 것은 이미지 처리 기술을 사용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배기 상에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일련 번호 또는 코드를 광학적으로 판독하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배기의 고유 식별자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배기를 조사해서 상기 고유 식별자를 질의하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설치 디바이스로부터 실행되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로부터 실행되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현은 환경 내의 기준점을 포함하고 상기 고유 식별자와 상이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배기에 대한 네트워크 명칭을 생성하는 것은 상기 기준점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배기의 상대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명칭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현은 상기 환경의 이미지이고, 상기 표현을 분석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배기를 식별하는 것은 상기 이미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배기의 형상을 각각의 공지된 분배기를 묘사하는 다수의 분배기 이미지들 중 하나에 매칭하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8. 방법으로서,
    설치 디바이스의 사용을 통해서, 네트워크 가능 세면실 분배기를 갖는 세면실 환경의 이미지를 캡처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 상에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의 표시와 동시에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면실 분배기를 선택하기 위한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의 사용자 입력을 수용하는 단계;
    상기 분배기의 고유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세면실 환경에서 상기 분배기의 상대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분배기에 대한 네트워크 명칭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의 고유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를 이미지 처리해서 상기 분배기 상에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일련 번호 또는 코드를 광학적으로 판독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의 고유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분배기를 조사해서 상기 고유 식별자를 질의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인,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카메라를 가지고, 세면실 환경의 이미지를 캡처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를 사용해서 상기 세면실 환경의 사진을 찍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세면실 환경의 이미지를 캡처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를 사용해서 상기 세면실 환경의 다수의 사진을 찍어서 상기 세면실 환경의 파노라마 뷰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을 수용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분배기를 시각적으로 부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디바이스의 위치 및 배향에 기초하여 시설 내의 디바이스의 위치 및 상기 이미지 내의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07008870A 2017-09-15 2017-09-15 세면실 디바이스 증강 현실 설치 시스템 KR1023707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7/051735 WO2019055024A1 (en) 2017-09-15 2017-09-15 SYSTEM FOR INSTALLATION OF INCREASED REALITY OF TOILET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055A true KR20200036055A (ko) 2020-04-06
KR102370770B1 KR102370770B1 (ko) 2022-03-04

Family

ID=65723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8870A KR102370770B1 (ko) 2017-09-15 2017-09-15 세면실 디바이스 증강 현실 설치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11288510B2 (ko)
EP (1) EP3682616B1 (ko)
KR (1) KR102370770B1 (ko)
CN (1) CN111066302B (ko)
AU (1) AU2017431769B2 (ko)
BR (1) BR112020003838A2 (ko)
CA (1) CA3073928C (ko)
CO (1) CO2020003116A2 (ko)
WO (1) WO201905502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8260A1 (ko) * 2021-09-13 2023-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40746B2 (en) 2017-08-31 2021-10-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ashroom device installation system
WO2020126038A1 (en) 2018-12-21 2020-06-25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Installation of hygiene equipment
PL3771390T3 (pl) 2019-08-02 2022-02-07 Cws International Gmbh Sposób i układ do wykrywania poziomu napełnienia w dozowniku ręcznika higieniczneg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0091A1 (en) * 2012-04-04 2013-10-10 Nestec S.A. Beverage dispenser with identification code
US20160071325A1 (en) * 2010-06-15 2016-03-10 James Paul Callaghan Generating augmented reality images using sensor and location data
US20160212223A1 (en) * 2015-01-15 2016-07-21 Cisco Technology, Inc. Network device identification in an industrial control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83380B2 (en) * 2003-12-31 2010-08-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monitoring and controlling washroom dispensers and products
US7673071B2 (en) * 2004-11-10 2010-03-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name for a system of devices
US9420423B1 (en) * 2005-04-12 2016-08-16 Ehud Mendelson RF beacon deployment and method of use
US7899583B2 (en) * 2005-04-12 2011-03-01 Ehud Mendelson System and method of detecting and navigating to empty parking spaces
US8750892B2 (en) * 2006-06-21 2014-06-10 Scenera Mobile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naming a location based on user-specific information
US8566630B2 (en) * 2006-11-30 2013-10-22 Eaton Corporation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supporting automatic network identification for power supplies
US7885145B2 (en) * 2007-10-26 2011-0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on of an object of interest during physical browsing by finger pointing and snapping
CN101498781A (zh) * 2008-01-29 2009-08-05 日电(中国)有限公司 独立定位器以及自治超声波定位系统和方法
US20110053614A1 (en) * 2008-03-07 2011-03-03 Hitachi, Ltd. Position information system
US20100029326A1 (en) * 2008-07-30 2010-02-04 Jonathan Bergstrom Wireless data capture and sharing system, such as image capture and sharing of digital camera images via a wireless cellular network and related tagging of images
KR20110104988A (ko) * 2009-01-06 2011-09-23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하나 이상의 제어가능한 디바이스 소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 및 그러한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
US9250746B2 (en) * 2010-03-12 2016-02-02 Shafa Wala Position capture inpu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8743145B1 (en) * 2010-08-26 2014-06-03 Amazon Technologies, Inc. Visual overlay for augmenting reality
US8811377B1 (en) * 2010-08-30 2014-08-19 Synapsense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rumenting devices to measure power usage using a multi-tier wireless network
US9047074B2 (en) * 2010-08-30 2015-06-02 Synapsense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power capacity in data centers using a wireless sensor network
KR101744723B1 (ko) * 2010-12-20 2017-06-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내 위치 인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내 위치 인식 방법
US8818706B1 (en) * 2011-05-17 2014-08-26 Google Inc. Indoor localization and mapping
US8538442B1 (en) * 2011-06-15 2013-09-17 Google Inc. Indoor localization of mobile device using labels
CN102307386B (zh) * 2011-08-31 2015-03-11 公安部第三研究所 基于Zigbee无线网络的室内定位监控系统及方法
US8990682B1 (en) * 2011-10-05 2015-03-24 Google Inc. Methods and devices for rendering interactions between virtual and physical objects on a substantially transparent display
US9002401B2 (en) * 2012-02-06 2015-04-0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erminal and method for recognizing communication target
KR101825600B1 (ko) * 2012-02-13 2018-02-05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좌석안내 장치 및 그 방법
US9395189B2 (en) * 2012-06-21 2016-07-19 Qualcomm Incorporated Indoor structure inference using points of interest
US9256961B2 (en) * 2012-06-28 2016-02-09 Here Global B.V. Alternate viewpoint image enhancement
US9448758B2 (en) * 2012-07-18 2016-09-20 The Boeing Company Projecting airplane location specific maintenance history using optical reference points
CN103049772B (zh) * 2012-12-11 2016-08-10 上海大学 基于无源射频识别技术的室内定位跟踪系统和方法
CN103905710A (zh) * 2012-12-25 2014-07-02 夏普株式会社 图像捕获方法及其移动终端和设备
US9380275B2 (en) * 2013-01-30 2016-06-28 Insitu, Inc. Augmented video system providing enhanced situational awareness
EP3012587A4 (en) * 2013-06-17 2017-03-08 Sony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O2015008290A2 (en) * 2013-07-18 2015-01-22 Secure4Drive Communication Ltd. Method and device for assisting in safe driving of a vehicle
KR101627169B1 (ko) * 2013-09-27 2016-06-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증강현실 컨텐츠 저작 및 제공 시스템
WO2015047033A1 (en) * 2013-09-30 2015-04-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loud printing service
US9058375B2 (en) 2013-10-09 2015-06-16 Smart Screen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ding descriptive metadata to digital content
CN106062842B (zh) * 2014-01-30 2019-11-05 飞利浦灯具控股公司 照明系统以及用于控制其的控制器和移动用户终端
WO2016019287A2 (en) * 2014-07-31 2016-02-04 Convida Wireless, Llc Mechanism and service for device naming
EP3010225B1 (en) * 2014-10-14 2019-07-24 Nokia Technologies OY A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automatically capturing an image
CN104526699B (zh) * 2014-12-05 2016-03-02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室内清洁机器人
US20160171577A1 (en) * 2014-12-10 2016-06-16 Meijer,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person retailer assistance to customers in a retail environment
US10325294B2 (en) * 2014-12-10 2019-06-18 Meijer, Inc. System and method for notifying customers of checkout queue activity
US9665960B1 (en) * 2014-12-22 2017-05-30 Amazon Technologies, Inc. Image-based item location identification
SE1550006A1 (sv) * 2015-01-07 2016-06-14 Viscando Ab Method and system for categorization of a scene
US9588514B2 (en) * 2015-01-26 2017-03-07 Fisher-Rosemount Systems, Inc. Commissioning field devices in a process control system supported by big data
WO2016124424A1 (en) * 2015-02-03 2016-08-11 Philips Lighting Holding B.V.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conditional access to indoor location information
US11386479B1 (en) * 2015-03-17 2022-07-12 Pinterest, Inc.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presenting object identifiers for real world objects on wearable and portable devices
US10350839B2 (en) * 2015-05-21 2019-07-16 The Boeing Company Remote advanced repair guidance
US10406045B2 (en) * 2015-06-22 2019-09-10 Stryker Corporation Patient support apparatuses with navigation and guidance systems
TWI593988B (zh) * 2015-07-24 2017-08-01 P-Square Inc Indoor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CN105094335B (zh) * 2015-08-04 2019-05-10 天津锋时互动科技有限公司 场景提取方法、物体定位方法及其系统
EP3135617A1 (en) * 2015-08-27 2017-03-01 Posterfy Oy Method for monitoring dispensers
US10709300B2 (en) * 2015-10-30 2020-07-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duct use acoustic determination system
US10984373B2 (en) * 2016-03-07 2021-04-20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WO2017215899A2 (en) * 2016-05-27 2017-12-21 Holobuilder Inc,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WO2017223242A1 (en) * 2016-06-22 2017-12-28 United States Postal Service Item tracking using a dynamic region of interest
US10118292B2 (en) * 2016-08-18 2018-11-06 Saudi Arabian Oil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guring field devices using a configuration device
US10412041B2 (en) * 2016-09-21 2019-09-10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Internet protocol (IP) addressing using an industrial control program
US10412042B2 (en) * 2016-09-21 2019-09-10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Topology based internet protocol (IP) addressing
CN106358150B (zh) * 2016-09-30 2019-10-29 浙江大学 一种移动设备室内定位方法
US10990106B2 (en) * 2016-10-09 2021-04-27 Zhejiang Guozi Robot Technology Co., Ltd. Mobile unit, inventory management system and the method for mobile unit localization
US10417781B1 (en) * 2016-12-30 2019-09-17 X Development Llc Automated data capture
CN106714302A (zh) * 2017-01-23 2017-05-24 吉林大学 一种基于BP‑Landmarc神经网络的室内定位装置和控制方法
US10817724B2 (en) * 2017-05-01 2020-10-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al time object surface identification for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s
US10839064B2 (en) * 2017-06-20 2020-11-17 Citrix Systems, Inc. Securely entering credentials via head-mounted display device
US11140746B2 (en) 2017-08-31 2021-10-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ashroom device install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71325A1 (en) * 2010-06-15 2016-03-10 James Paul Callaghan Generating augmented reality images using sensor and location data
WO2013150091A1 (en) * 2012-04-04 2013-10-10 Nestec S.A. Beverage dispenser with identification code
US20160212223A1 (en) * 2015-01-15 2016-07-21 Cisco Technology, Inc. Network device identification in an industrial control networ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8260A1 (ko) * 2021-09-13 2023-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066302A (zh) 2020-04-24
WO2019055024A1 (en) 2019-03-21
CA3073928A1 (en) 2019-03-21
AU2017431769B2 (en) 2022-11-10
CA3073928C (en) 2022-10-18
BR112020003838A2 (pt) 2020-09-08
US11288510B2 (en) 2022-03-29
KR102370770B1 (ko) 2022-03-04
US20220254156A1 (en) 2022-08-11
CN111066302B (zh) 2023-07-21
CO2020003116A2 (es) 2020-04-13
US20200218894A1 (en) 2020-07-09
AU2017431769A1 (en) 2020-03-19
EP3682616A4 (en) 2021-04-21
EP3682616A1 (en) 2020-07-22
EP3682616B1 (en) 2023-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54156A1 (en) Washroom device augmented reality installation system
KR20190108119A (ko) 혼합 현실 시스템들을 위한 로컬화 결정
US20150310664A1 (en) Augmented reality based management of a representation of a smart environment
US9398413B1 (en) Mapping electronic devices within an area
CN103890603B (zh) 一种用于重构无线设备周围环境的地图的方法及实现该方法的无线设备
KR101898101B1 (ko) Iot 상호작용 시스템
WO2017154806A1 (ja) 位置検索システム、位置検索方法、発信装置、位置検出装置および設備機器
KR102144866B1 (ko) 세면실 디바이스 설치 시스템
KR102019096B1 (ko) 결합형 사이버 모델 하우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JP6684730B2 (ja) 複合個室群管理システム
JP2019114272A (ja) 端末装置、システム、情報提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50134689A1 (en) Image based location determination
WO2021084949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80309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oor mapping, positioning, or navigation
KR102091766B1 (ko)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Braun et al. Low-cost indoor localization using cameras–evaluating ambitrack and its applications in ambient assisted living
WO2024084736A1 (ja) 映像出力方法、映像出力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WO2024075344A1 (ja) 映像出力方法、映像出力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10737337A (zh) 一种人机交互系统
JP2022155085A (ja) 推定システム、推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202217663A (zh) 感測裝置、處理方法及程式
TW201705070A (zh) 使用者之需求提醒方法及系統
KR20200021687A (ko) 복합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TW201339985A (zh) 交替視覺呈現技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