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5600B1 -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좌석안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좌석안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5600B1
KR101825600B1 KR1020120014379A KR20120014379A KR101825600B1 KR 101825600 B1 KR101825600 B1 KR 101825600B1 KR 1020120014379 A KR1020120014379 A KR 1020120014379A KR 20120014379 A KR20120014379 A KR 20120014379A KR 101825600 B1 KR101825600 B1 KR 101825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mobile terminal
screen
user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4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2836A (ko
Inventor
조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to KR1020120014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600B1/ko
Publication of KR20130092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2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좌석안내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할 때, 모바일 단말기가 서버로부터 좌석배치 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의 현 위치와 사용자가 입력한 좌석번호에 해당하는 좌석의 위치를 파악하여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해 안내한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인근의 좌석에 부착된 태그가 촬영됨에 따라 이를 영상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의 현 위치를 파악한다.

Description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좌석안내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GUIDING DESIGNATED SEAT BASED ON AUGMENTED REALITY TECHNIQUE}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술분야에 속한다.
증강현실 기술은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되면서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분야 가운데 하나이다.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통해 비춰진 영상에 사용자 현 위치 주변의 지형지물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이며, 이러한 형태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증강현실 기술은 사용자 인근의 각종 이벤트나 광고 기타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되기도 하며 때로는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오프라인 지형물을 찾을 수 있도록 길을 안내하는 용도로 활용되기도 한다.
특히, 후자와 관련하여 증강현실 기술과 네비게이션을 결합하여 사용자의 스마트폰 화면에 비춰진 영상에 목적지까지 가야할 방향이나 거리를 표시하는 방법이 개발되기도 했다.
한편, 극장이나 공연장, 야구장 등 좌석번호가 정해진 장소에서 사용자들은 자신의 티켓에 해당하는 좌석을 찾아가야하나 때로는 공간이 너무 넓거나 좌석의 수가 너무 많아 자신의 좌석을 찾기 어려운 일이 흔하다.
이러한 경우에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좌석을 안내한다면 한층 편리한 이용이 가능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경기나 공연 등의 감상을 위해 자신의 좌석을 찾을 때는 물론, 자신의 좌석에서 화장실이나 매점으로 갔다가 다시 돌아오기 위한 경로를 안내받을 수 있다면 이러한 불편함이 크게 해소될 것이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증강현실 기술분야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GPS 위성신호를 이용하는 방법이 흔히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GPS를 이용한 길안내, 위치안내 방법의 경우 오차가 수미터에 이르며, 위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실외 환경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한편, 인근 기지국과의 거리차를 계산하여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도 있으나 역시 오차가 크고, 위치를 대략적으로만 파악할 수 있을 뿐이어서 좌석안내와 같이 수십 센티미터 이내의 오차만을 허용하는 정교한 위치안내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의 증강현실 기술에 의할 때 이러한 좌석 안내까지는 불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이러한 문제점의 해소를 위한 새로운 접근방식의 모색이 필요하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10-2011-0134177호 "증강현실을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문헌 2.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0877114호 "의료 영상 제공 시스템 및 의료 영상 제공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영상 분석을 통하여 사용자의 현 위치와 사용자가 찾고자하는 좌석의 위치를 안내하는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좌석안내 장치 및 그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좌석안내 장치는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하는 화면 제어수단;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서버로부터 하나 이상의 좌석들의 번호와 위치를 포함하는 좌석배치 정보를 제공받는 유무선 통신수단;
모바일 단말기 자신의 오프라인상 현 위치, 방위, 기울기 가운데 하나 이상의 정보를 파악하는 위치 판정수단;을 구비하되,
위치 판정수단은 사용자로부터 좌석번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좌석배치 정보 상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좌석의 위치를 판정한 다음, 사용자가 입력한 좌석번호에 해당하는 좌석의 오프라인상 위치를 판정하며,
상기 화면 제어수단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되, 화면상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좌석번호에 해당하는 좌석의 오프라인상 위치에 소정의 표식을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좌석안내 방법은 모바일 단말기가 유무선 통신수단에 의하여 서버로부터 하나 이상의 좌석들의 번호와 위치를 포함하는 좌석배치 정보를 제공받는 제 110 단계;
사용자로부터 좌석번호를 입력받음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좌석배치 정보 상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좌석의 위치를 판정하는 제 120 단계;
모바일 단말기가 현 위치, 방위, 기울기 가운데 하나 이상의 정보를 획득하는 제 130 단계;
모바일 단말기가 사용자가 입력한 좌석번호에 해당하는 좌석의 오프라인상 위치를 판정하는 제 140 단계;
모바일 단말기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되, 화면상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좌석번호에 해당하는 좌석의 오프라인상 위치에 소정의 표식을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제 150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3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기가 촬영된 태그를 분석함으로써 상기 좌석의 좌석번호를 획득하고, 상기 좌석배치 정보로부터 획득한 좌석번호에 해당하는 위치를 현 위치로 판정하며,
상기 제 14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기가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현위치를 기준으로 하나 이상의 방위각에 따라 좌석의 수를 카운트함으로써 현 위치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좌석번호에 해당하는 좌석의 상대위치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할 때, 촬영된 태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현 위치를 파악하고 사용자의 좌석을 안내함으로써 GPS 신호를 잡을 수 없는 실내공간에서도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 매우 낮은 오차범위로 좌석의 안내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모바일 단말기와 서버가 연결되는 관계를 설명하는 망구성도이며,
도 2는 모바일 단말기가 촬영한 영상에 각종 정보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모습을 예시하는 참고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좌석안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기능블록도이며,
도 4는 모바일 단말기가 현 위치에 해당하는 좌석과 사용자가 찾고자하는 좌석의 위치를 판정하는 모습을 개념적으로 설명하는 참고도이며,
도 5는 모바일 단말기 화면상에 화장실로의 이동경로가 표시되는 모습을 설명하는 화면예시도이며,
도 6은 모바일 단말기 화면상에 동영상이 오버레이되어 표시되는 모습을 설명하는 화면예시도이며,
도 7은 모바일 단말기 화면상에 이벤트에 당첨된 좌석이 특수하게 표시되는 모습을 설명하는 화면예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좌석안내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에 있어, 화장실이나 매점 등의 오프라인 지형지물의 위치를 안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며,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에 있어, 오프라인상 전광판 등에 동영상을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방법을 부연하는 플로우차트이며,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에 있어, 이벤트에 당첨된 좌석을 특수하게 표시하는 방법을 부연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관련없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한다.
한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수단", "~부", "~모듈", "~블록"으로 명명된 구성요소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들 각각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망구성도에 의할 때, 모바일 단말기(1)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2)로 접속하여 오프라인 지형지물에 관한 각종 정보를 수신한다.
한편,이러한 모바일 단말기(1)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위의 모습을 촬영하며,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하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상 오프라인 지형지물의 위치에 수신한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이는 증강현실기술의 일반적인 형태이기도 하며, 본 발명 또한 이러한 증강현실 기술의 한 형태에 해당한다.
이때, 모바일 단말기(1)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2)와 통신할 수 있어야 하며, 카메라를 내장하되, 바람직하게는 자신의 현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GPS 모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제약을 모두 만족하는 수단은 스마트폰이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1)는 반드시 스마트폰이라는 명칭으로 지칭되는 하드웨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타블렛이나 노트북 컴퓨터 기타 다양한 하드웨어의 형태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의한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좌석안내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1)에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본 발명에 의한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좌석안내 장치는 카메라(110), 화면 제어수단(120), 유무선 통신수단(130) 및 위치 판정수단(140)을 구비한다.
이때, 카메라(110)는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수단이며, 화면 제어수단(120)은 상기 카메라(11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한다.
한편, 유무선 통신수단(130)은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서버(2)로 접속하여 하나 이상의 좌석들의 번호와 위치를 포함하는 좌석배치 정보를 제공받는다.
좌석배치 정보란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공연장, 극장, 야구장 기타 각 좌석별로 번호가 정해져 있는 공간에서 각 좌석들의 번호와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한다.
한편, 통상의 증강현실기술과 마찬가지로 실시간으로 촬영되어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에 각종 정보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하기 위해 위치 판정수단(140)은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좌석의 오프라인상 위치정보와 모바일 단말기의 현 위치(즉, 사용자의 현 위치)정보를 획득하여야 한다.
종래의 일반적인 증강현실기술에 의할 때, 찾고자하는 지점의 GPS 좌표값을 인출하거나 서버(2)로부터 제공받으며, GPS 모듈에 의해 현 좌표값을 획득함으로써 현 위치와 찾고자 하는 지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도 이러한 공지의 방법을 반드시 배제하는 것은 아니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 좌석별로 GPS 좌표값이 DB화되어 있지 아니함은 물론, 공연장, 극장 등의 장소가 대체로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실내인 경우가 많으며, GPS 신호 자체가 수미터 단위의 오차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확한 좌석 위치를 파악하는 것은 용이하지 아니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위치 판정수단(140)은 우선 현 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각 좌석에 부착된 태그를 촬영하여 분석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공연장이나 경기장 등에 입장하여 자신의 좌석을 찾기 위해 우선 모바일 단말기(1)의 카메라(110)를 구동하여 인근의 임의의 좌석 뒤에 부착된 태그를 촬영한다.
이때 태그는 소정의 정보를 포함하는 일차원, 이차원 바코드 등의 형태일 수도 있으나, 단순한 좌석번호일 수도 있다.
위치 판정수단(140)은 태그를 분석함으로써 사용자가 촬영한 좌석의 좌석번호를 판독한다.
태그가 일차원, 이차원 바코드 등의 형태인 경우 소정의 알고리즘에 의해 판독함으로써 해당 좌석 번호를 얻을 수 있으며, 단순한 좌석번호인 경우 OCR(Optical Character Reading) 기법에 의해 해당 좌석 번호를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이렇게 좌석 번호가 인지됨에 따라 위치 판정수단(140)은 해당 좌석 번호에 해당하는 위치를 사용자의 현 위치로 판단한다.
이에 의하여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은 좌석배치 정보 상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특정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사용자의 위치를 GPS 좌표값과 같은 절대위치 정보로 표현할 수는 없을 것이나 전체 좌석 가운데 사용자의 현재의 상대 위치를 특정하는 것은 가능해진다.
이때, 위치 판정수단(140)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특정하는 것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서는 내장된 방위계를 이용하거나, 촬영된 태그와 사용자의 각도 등을 이용하여 방위값을 획득하거나, 내장된 기울기 센서를 이용하여 기울기, 경사도 등의 정보를 더 획득할 수도 있다.
한편, 위치 판정수단(140)은 사용자로부터 찾고자하는 좌석 번호가 입력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좌석 배치 정보로부터 입력된 좌석 번호에 해당하는 위치를 특정한다.
이후, 상기 위치 판정수단(140)은 카메라(110)를 통해 영상이 촬영됨에 따라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현위치를 기준으로 하나 이상의 방위각에 따라 좌석의 수를 카운트함으로써 현 위치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좌석번호에 해당하는 좌석의 오프라인상 상대위치를 판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좌석이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2칸 위쪽, 6칸 왼쪽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위치 판정수단(140)은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윗쪽 방향으로 좌석들을 카운트하여 2칸, 왼쪽 방향으로 좌석들을 카운트하여 6칸 이동한 위치를 판정한다.
이에 의해 판정된 위치가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좌석의 오프라인상 위치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화면 제어수단(120)은 카메라(11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되, 화면상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좌석번호에 해당하는 좌석의 오프라인상 위치에 소정의 표식을 오버레이하여 표시한다.
예컨대, 목적지 깃발 모양이라거나, 좌석번호와 같은 표식을 화면상 해당 좌석 부분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쉽게 찾아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위치 판정수단(140)은 이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한 좌석의 위치에 소정의 표식을 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사용자의 현 위치에서 해당 좌석까지 이동하기 위한 경로를 생성하여 이를 안내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4의 예의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좌석에 이르는 경로는 좌측 윗쪽으로 꺾은 화살표 모양이 되며, 이에 따라 화면 제어수단(120)은 카메라(11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하되, 상기 판정된 경로를 화면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에 의할 때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좌석의 위치와 이에 이르는 경로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사용자의 좌석을 찾아주는 것에서 더 나아가 화장실이나 매점 등의 위치를 안내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유무선 통신수단(130)이 서버로부터 제공받는 좌석배치 정보에는 해당 공연장, 경기장의 좌석들의 위치나 번호 이외에도 인근의 화장실이나 매점 기타의 오프라인 지형지물의 위치정보가 더 포함된다.
한편, 사용자가 도 4와 같은 화면에서 화장실이나 매점 기타의 오프라인 지형지물을 선택하면, 위치 판정수단(140)은 이러한 좌석배치 정보를 이용하여 현 위치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오프라인 지형지물에 이르는 경로를 판정하며, 화면 제어수단(120)은 카메라(11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하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정된 경로를 화면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한다.
한편, 이와 같이 좌석과 오프라인 지형지물의 위치와 경로를 안내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해 경기장 내 전광판이나 광고판 등의 오프라인 지형지물에 각종 동영상 등의 컨텐츠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1)를 이용하여 경기장 내 전광판 등을 비추는 경우 스타의 동영상 인사 컨텐츠가 오버레이하여 재생되도록 하는 등이 그것이다.
이를 위하여 유무선 통신수단(130)이 서버(2)로부터 제공받는 좌석배치 정보에는 전광판이나 광고판 등 컨텐츠가 오버레이되어 표시될 오프라인 지형지물의 위치정보가 더 포함된다.
한편, 유무선 통신수단(130)은 서버(2)로부터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더 제공받는다.
위치 판정수단(140)은 좌석배치 정보를 이용하여 현 위치로부터 전광판이나 광고판 등의 오프라인 지형지물의 상대위치를 판정한다.
한편, 화면 제어수단(120)은 카메라(11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하되, 상기 판정된 전광판이나 광고판 등 오프라인 지형지물의 오프라인상 위치에 상기 제공받은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오버레이하여 표시한다.
한편, 이와 같은 변형례 이외에도 특정 좌석의 고객을 이벤트에 당첨시키는 등의 이벤트 수행시에도 증강현실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경기장이나 공연장 등에서 이벤트시 추첨을 하여 특정 좌석번호를 구두로 호명하는 대신 증강현실 기술을 통해 당첨된 특정좌석을 표시하는 것이 그것이다.
도 7은 이벤트에 당첨된 좌석이 모바일 단말기(1) 화면상에 빨간색으로 빛나게 보이는 모습을 예시한다.
이를 위하여 유무선 통신수단(130)은 서버로부터 당첨된 좌석 번호를 제공받는다.
위치 판정수단(140)은 상기 제공받은 좌석번호에 해당하는 좌석의 오프라인상 위치를 판정하는데, 좌석의 오프라인상 위치를 판정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해당 좌석의 오프라인상 위치가 판정됨에 따라 화면 제어수단(120)이 카메라(11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하되, 화면상에 해당 당첨된 좌석번호의 오프라인상 위치에 소정의 표식을 오버레이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해당 좌석이 빨간색으로 빛나게 처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좌석안내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좌석안내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우선 모바일 단말기(1)가 유무선 통신수단(130)에 의하여 서버(2)로부터 하나 이상의 좌석들의 번호와 위치를 포함하는 좌석배치 정보를 제공받는다(S110).
좌석배치 정보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좌석들의 번호와 상대위치를 포함하며, 더 나아가 매점이나 화장실 등의 오프라인 지형지물의 위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는 자신의 티켓에 기재된 자신의 좌석번호를 모바일 단말기(1)에 입력하며, 모바일 단말기(1)는 좌석번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은 좌석배치 정보 상에서 입력받은 좌석의 상대위치를 판정한다(S120).
모바일 단말기(1)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좌석의 오프라인상 실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우선 모바일 단말기(1)의 현 위치를 파악한다(S130). 이때, 방위나 기울기 등의 정보를 더 획득할 수도 있다.
현 위치 파악을 위해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1)를 조작하여 근처의 좌석에 부착된 태그를 촬영하면 모바일 단말기(1)는 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촬영한 좌석의 좌석번호를 판정한다.
모바일 단말기(1)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촬영한 좌석을 사용자의 현 위치로 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좌석의 오프라인상 위치를 판단한다(S140).
이를 위해 모바일 단말기(1)는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좌석의 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사용자가 입력한 좌석의 오프라인상 위치를 판정할 수 있다.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한 좌석이 현재 위치로부터 2칸 위쪽, 6칸 왼쪽에 존재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1)는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윗쪽 방향으로 좌석들을 카운트하여 2칸, 왼쪽 방향으로 좌석들을 카운트하여 6칸 이동한 위치를 판정한다. 이때, 필요하다면 방위값을 더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한 좌석의 오프라인상 위치가 판정됨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는 카메라(11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되, 화면상에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좌석번호에 해당하는 좌석의 오프라인상 위치에 소정의 표식을 오버레이하여 표시한다(S150).
이때, 현 위치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좌석에 이르는 경로를 판정한 다음 이를 화면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에 있어, 화장실이나 매점 등의 오프라인 지형지물의 위치를 안내하는 방법을 부연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모바일 단말기(1)가 서버(2)로부터 제공받는 좌석배치 정보에는 좌석들 인근의 화장실, 매점 등의 오프라인 지형지물의 위치정보가 더 포함된다.
모바일 단말기(1)는 이러한 좌석배치 정보를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화면에 표시하며, 사용자가 화장실 또는 매점 등을 선택함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의 현 위치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오프라인 지형지물에 이르는 경로를 판정한다(S161).
한편, 모바일 단말기(1)는 카메라(11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되,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화면에 상기 판정된 경로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한다(S162).
한편,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에 있어, 오프라인상 전광판 등에 동영상을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방법을 부연하는 플로우차트이다.
S11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기가 제공받는 좌석배치 정보에는 좌석들 인근의 전광판, 광고판 등의 오프라인 지형지물의 위치정보가 더 포함된다.
한편, 모바일 단말기(1)는 좌석배치 정보 이외에도 서버(2)로부터 상기 전광판, 광고판 등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 데이터를 더 제공받는다.
한편, S150 단계 이후, 모바일 단말기(1)는 좌석배치 정보를 이용하여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광고판, 전광판 등의 오프라인 지형지물의 오프라인상 위치를 판정한다(S171).
이후, 모바일 단말기(1)가 카메라(11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되, 상기 판정된 전광판 등의 오프라인 지형지물 위치에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오버레이하여 표시한다(S172).
한편,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에 있어, 이벤트에 당첨된 좌석을 특수하게 표시하는 방법을 부연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모바일 단말기(1)는 서버(2)로부터 이벤트에 당첨된 좌석의 좌석번호를 제공받는다(S181). 당첨좌석번호는 푸쉬 메시지의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1)를 보유한 사용자들에게 동시 다발적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이러한 당첨좌석번호는 S110 단계에서 제공받은 좌석배치 정보에 속하는 좌석 가운데 하나 또는 그 이상임은 물론이다.
모바일 단말기(1)는 이와 같이 당첨좌석 번호를 제공받음에 따라 제공받은 좌석번호에 해당하는 좌석의 오프라인상 위치를 판정한다(S182).
이후, 모바일 단말기(1)가 카메라(11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되, 화면상 상기 제공받은 좌석번호의 오프라인상 위치에 소정의 표식을 오버레이하여 표시한다(S183).
예컨대,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벤트에 당첨된 좌석을 모바일 단말기(1) 화면상에 빨간색으로 빛나게 보이도록 처리하는 등이 그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좌석안내 방법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수록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을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DVD-ROM, CD-ROM, 하드 디스크, USB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수록된다는 표현은 대량으로 기록매체에 수록되어 패키지 형태로 유통되는 경우는 물론 데이터 패킷의 형태로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어 기록매체에 수록되는 경우를 모두 포괄한다.
상기에서는 "서버"라는 표현을 사용하였으나,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는 기능이나 부하를 다수의 서버로 분할하여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서버"는 반드시 단일한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지칭하지 아니하며,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서버군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네트워크라는 표현을 사용하였으나 이때 네트워크는 거리와 규모에 따라서는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접속경로의 특징에 따라서는 인트라넷, VPN(Virtual Private Network), 접속방식에 따라서는 와이브로, WiFi, 이동통신망과 같이 지칭되는 다양한 네트워크 연결방식을 모두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및 상기와 같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오직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며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은 증강현실 기술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1 : 모바일 단말기
2 : 서버
110 : 카메라
120 : 화면 제어수단
130 : 유무선 통신수단
140 : 위치 판정수단

Claims (17)

  1. 모바일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하는 화면 제어수단;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서버로부터 하나 이상의 좌석들의 번호와 위치를 포함하는 좌석배치 정보를 제공받는 유무선 통신수단;
    모바일 단말기 자신의 오프라인상 현 위치의 정보를 파악하는 위치 판정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위치 판정수단은 사용자로부터 좌석번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좌석배치 정보 상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좌석의 위치를 판정한 다음, 사용자가 입력한 좌석번호에 해당하는 좌석의 오프라인상 위치를 판정하며,
    상기 화면 제어수단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되, 화면상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좌석번호에 해당하는 좌석의 오프라인상 위치에 소정의 표식을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며,
    각 좌석에는 고유의 태그가 부여되며,
    상기 위치 판정수단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태그로부터 현 위치를 판정하며,
    상기 위치 판정수단은 태그와 좌석번호의 매칭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태그로부터 확인된 현 위치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좌석번호의 위치로부터 상대위치를 판정하며,
    상기 화면 제어수단은 상기 상대위치를 화면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좌석안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카메라가 임의의 좌석에 부착된 태그를 촬영함에 따라 상기 위치 판정수단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방위, 기울기 가운데 하나 이상의 정보를 더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좌석안내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판정수단은 좌석배치 정보를 이용하여 현 위치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좌석번호에 해당하는 좌석에 이르는 경로를 판정하며,
    상기 화면 제어수단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하되, 상기 판정된 경로를 화면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좌석안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선 통신수단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제공받는 좌석배치 정보에는 상기 좌석들과 소정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오프라인 지형지물의 위치정보가 더 포함되며,
    상기 위치 판정수단은 좌석배치 정보를 이용하여 현 위치로부터 상기 오프라인 지형지물에 이르는 경로를 판정하며,
    상기 화면 제어수단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하되, 상기 판정된 경로를 화면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좌석안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선 통신수단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제공받는 좌석배치 정보에는 상기 좌석들과 소정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오프라인 지형지물의 위치정보가 더 포함되고,
    상기 유무선 통신수단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서버로부터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제공받으며,
    상기 위치 판정수단은 좌석배치 정보를 이용하여 현 위치로부터 상기 오프라인 지형지물의 상대위치를 판정하되,
    상기 화면 제어수단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하되, 상기 판정된 오프라인 지형지물의 오프라인상 위치에 상기 제공받은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좌석안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선 통신수단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서버로부터 상기 좌석배치 정보에 속하는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좌석의 번호를 제공받으며,
    상기 위치 판정수단이 상기 제공받은 좌석번호에 해당하는 좌석의 오프라인상 위치를 판정하며,
    상기 화면 제어수단이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하되, 화면상 상기 제공받은 좌석번호의 오프라인상 위치에 소정의 표식을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좌석안내 장치.
  9. 모바일 단말기가 유무선 통신수단에 의하여 서버로부터 하나 이상의 좌석들의 번호와 위치를 포함하는 좌석배치 정보를 제공받는 제 110 단계;
    사용자로부터 좌석번호를 입력받음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좌석배치 정보 상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좌석의 위치를 판정하는 제 120 단계;
    모바일 단말기가 현 위치의 정보를 획득하는 제 130 단계;
    모바일 단말기가 사용자가 입력한 좌석번호에 해당하는 좌석의 오프라인상 위치를 판정하는 제 140 단계;
    모바일 단말기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되, 화면상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좌석번호에 해당하는 좌석의 오프라인상 위치에 소정의 표식을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제 150 단계;를 포함하며,
    각 좌석에는 고유의 태그가 부여되며,
    상기 제 130 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태그로부터 현 위치를 판정하며,
    상기 제 140 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태그와 좌석번호의 매칭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태그로부터 확인된 현 위치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좌석번호의 위치로부터 상대위치를 판정하며,
    상기 제 150 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상대위치를 화면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좌석안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3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기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임의의 좌석에 부착된 태그를 촬영함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방위, 기울기 가운데 하나 이상의 정보를 더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좌석안내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5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기가 좌석배치 정보를 이용하여 현 위치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좌석번호에 해당하는 좌석에 이르는 경로를 판정한 다음 판정된 경로를 화면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좌석안내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1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기가 제공받는 좌석배치 정보에는 하나 이상의 좌석들과 소정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오프라인 지형지물의 위치정보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 150 단계 이후, 모바일 단말기가 좌석배치 정보를 이용하여 현 위치로부터 상기 오프라인 지형지물에 이르는 경로를 판정하는 제 161 단계; 및
    모바일 단말기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되, 화면에 상기 판정된 경로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제 162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좌석안내 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10 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 데이터를 더 제공받으며, 모바일 단말기가 제공받는 좌석배치 정보에는 하나 이상의 좌석들과 소정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오프라인 지형지물의 위치정보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 150 단계 이후, 모바일 단말기가 좌석배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오프라인 지형지물의 오프라인상 위치를 판정하는 제 171 단계; 및
    모바일 단말기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되, 상기 판정된 오프라인 지형지물의 오프라인상 위치에 상기 제공받은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제 17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좌석안내 방법.
  16. 제 9 항에 있어서,
    제 150 단계 이후 모바일 단말기가 유무선 통신수단에 의하여 서버로부터 상기 좌석배치 정보에 속하는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좌석의 번호를 제공받는 제 181 단계;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제공받은 좌석번호에 해당하는 좌석의 오프라인상 위치를 판정하는 제 182 단계; 및
    모바일 단말기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되, 화면상 상기 제공받은 좌석번호의 오프라인상 위치에 소정의 표식을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제 183 단계;를 더 포함하는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좌석안내 방법.
  17. 제 9 항 내지 제10항, 제13항 내지 제 16 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의한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좌석안내 방법을 컴퓨터상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
KR1020120014379A 2012-02-13 2012-02-13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좌석안내 장치 및 그 방법 KR101825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379A KR101825600B1 (ko) 2012-02-13 2012-02-13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좌석안내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379A KR101825600B1 (ko) 2012-02-13 2012-02-13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좌석안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836A KR20130092836A (ko) 2013-08-21
KR101825600B1 true KR101825600B1 (ko) 2018-02-05

Family

ID=49217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4379A KR101825600B1 (ko) 2012-02-13 2012-02-13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좌석안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56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9857A (ko) 2018-12-26 2020-07-06 블루베리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증강현실을 이용한 공연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의 제공방법
KR102320214B1 (ko) 2020-09-07 2021-11-02 김소현 증강 현실을 이용한 공연 영상 컨텐츠 제공장치 및 방법
KR20230094659A (ko) 2021-12-21 2023-06-28 김성재 메타버스 공연관람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421B1 (ko) * 2017-05-12 2019-10-15 주식회사 팬라이트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을 제어하는 군중 제어 시스템
US11288510B2 (en) 2017-09-15 2022-03-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ashroom device augmented reality installation system
KR102036076B1 (ko) * 2018-10-18 2019-10-24 주식회사 에스트렐라노바 미팅 참석자의 위치 정보를 설정하는 방법 및 그 사용자 단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9857A (ko) 2018-12-26 2020-07-06 블루베리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증강현실을 이용한 공연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의 제공방법
KR102320214B1 (ko) 2020-09-07 2021-11-02 김소현 증강 현실을 이용한 공연 영상 컨텐츠 제공장치 및 방법
KR20230094659A (ko) 2021-12-21 2023-06-28 김성재 메타버스 공연관람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836A (ko) 201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0885B2 (en) Digitally encoded marker-based augmented reality (AR)
US1063618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guiding a user to a vicinity of a viewpoint
US966598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augmented reality platform
KR101825600B1 (ko)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좌석안내 장치 및 그 방법
US8872851B2 (en) Augmenting image data based on related 3D point cloud data
US20170328730A1 (en) Dynamic map synchronization
US9721388B2 (en) Individual identification character display system, terminal device, individual identification character display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08921894B (zh) 对象定位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5060047B2 (ja) 混雑状況提示装置、及び、混雑状況情報閲覧システム
CN106982240B (zh) 信息的显示方法和装置
EP3190581B1 (en) Interior map establishment device and method using cloud point
US1001982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indoor map using cloud point
CN102332091A (zh) 摄像装置及其控制方法、拍摄支持系统及个体评价方法
CN111512119A (zh) 增强现实、计算机视觉和数字售票系统
US7643060B2 (en) User guiding apparatus and an image capturing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using same
CN107221030B (zh) 增强现实提供方法、增强现实提供服务器、以及记录介质
JP6617547B2 (ja) 画像管理システム、画像管理方法、プログラム
US20150178567A1 (en) System for providing guide service
JP7332197B2 (ja) 情報共有装置、イベント支援システム、情報共有方法、及びイベント支援システムの生産方法
TWI639133B (zh) 使用點雲的室內地圖構建裝置及方法
JP7039535B2 (ja) 生成装置、生成方法、および生成プログラム
KR20180117379A (ko) 증강현실 앨범 제공 장치, 증강현실 앨범 제공 서버 및 증강현실 앨범 제공 방법
JP6959305B2 (ja) 生成装置、生成方法、および生成プログラム
TW201346220A (zh) 導覽定位方法及導覽定位系統
WO2018142421A1 (en) Location based system displaying historical timel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