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1766B1 -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1766B1
KR102091766B1 KR1020180097313A KR20180097313A KR102091766B1 KR 102091766 B1 KR102091766 B1 KR 102091766B1 KR 1020180097313 A KR1020180097313 A KR 1020180097313A KR 20180097313 A KR20180097313 A KR 20180097313A KR 102091766 B1 KR102091766 B1 KR 102091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e
block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mod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1685A (ko
Inventor
이동군
Original Assignee
(주)군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군월드 filed Critical (주)군월드
Priority to KR1020180097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766B1/ko
Publication of KR20200021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비자가 직접 복수 개의 블록으로 원하는 모델하우스를 결합 형성하고 해당 결합 형성된 모델하우스를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로 실제와 같이 3차원 영상 체험할 수 있도록 구현한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 개의 하우스 블록이 상호 결합하여 하나의 모델하우스로 형성하며; 인식기가 상부면에 하우스 블록을 형성하도록 하여, 하우스 블록을 인식하며;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인식기에서 인식한 하우스 블록을 통보받아, 하우스 블록에 대응하는 각 3차원 영상정보를 판독하고 결합시켜 VR영상정보로 생성하며; VR기기가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생성시킨 VR영상정보를 수신받아 모델하우스의 VR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Description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System,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model house service}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비자가 직접 복수 개의 블록으로 원하는 모델하우스를 결합 형성하고 해당 결합 형성된 모델하우스를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로 실제와 같이 3차원 영상 체험할 수 있도록 구현한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델하우스는 아파트, 빌라 등의 공동주택을 건축할 때에 이를 매수하려는 사람들에게 보여 주기 위해 미리 지어 놓은 견본용 건물이다. 모델하우스를 제작하는 것은, 건축업자들이 건축하는 공동주택이 완공되기 전에 이를 매수하려는 사람들을 모집하여 입주 계약을 미리 하기 위함이다. 또한, 모델하우스는 최근 들어 기술의 발전으로 가상현실로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가상현실을 통한 모델하우스는, 현실성이 높아 매수자에게 현실에 가까운 내부 뷰를 제공하여 공간분할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 주고 있다. 그리고 매수자들은 보통 구매한 층에서 보는 외관 즉, 외부 뷰를 확인하고 싶어 하는데, 외부 뷰를 확인하고 싶어 하는 이유는 건물의 위치인 동별 및 층별로 외부 뷰가 다르기 때문이다. 즉, 매수자는 방이 위치한 동별 및 층별로 외부 뷰가 다른 것을 확인하고 싶어 한다. 외부 뷰가 동별 및 층별로 달라지는 이유는, 동에 해당하는 건물의 위치 및 해당 방의 높이에 따라 주변의 높은 건물에 의해서 빛이 들어오는 시간이 짧거나, 또는 바다, 산 등의 외관이 가려지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08439호(2017.12.06 등록)는 VR 모델하우스 제공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모바일 장치가 삽입된 VR 기기를 통해 건축되어질 건물의 구매예정자가 구매하려는 집을 구매예정자가 볼 수 있도록 건물위치 및 집이 위치한 층에 따른 가상의 모델하우스를 보여주되, 구매예정자는 모바일 장치가 삽입된 VR 기기를 통해 구매하려는 집의 건물위치 및 집이 위치한 층에 대응되도록 가상의 모델하우스에서 외부 뷰를 확인할 수 있고, 가상의 모델하우스에서 시간에 따른 빛이 들어오는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VR 모델하우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VR 기기는 내부 공간에 모바일 장치를 삽입하고, 삽입된 모바일 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VR 기기를 착용한 구매예정자에게 VR 영상으로 변환하여 보여주고, 모바일 장치는 유선 통신, 데이터 통신, 블루투스 통신, 또는 와이파이 통신으로 가상의 모델하우스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 저장소로부터 해당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며, 데이터저장소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으로, 서버의 데이터저장소, PC의 데이터저장소, 또는 모바일 장치의 내부 데이터저장소를 사용하는 것이며, 모바일 장치의 제어부는 데이터 저장소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통해 영상으로 변환하여 모바일 장치의 화면에 출력시키는 것이며, 외부 뷰는 집 내부에서 보이는 외관으로, 현실의 해당 위치에서 360ㅀ영상을 촬영한 영상을 가상으로 생성한 건물과 합성하는 3D 보정 작업 통해 생성하여 모바일 장치의 화면에 출력함으로써, 창밖으로 외부경치가 보이는지, 또는 외부에 시야 및 빛을 가로막고 있는 외부건물이 있지 않은지를 보여줄 수 있으며, 외부 뷰에 들어갈 360ㅀ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드론에 360ㅀ카메라를 설치하여 해당 집의 위치에 드론을 띄워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되, 드론을 통해 촬영하는 것으로 아파트의 외부 뷰 영상을 획득하며, 드론에서 촬영한 360ㅀ영상을 PC에 저장한 후, PC에서 360ㅀ영상과 건축될 다수 개의 가상의 모델하우스가 모여 생성된 가상의 건물을 합성하는 3D 보정 작업을 통해 가상공간을 생성하는 것이며, 구매예정자가 모바일 장치가 삽입된 VR 기기를 통해 가상공간 내의 가상의 모델하우스에서 외부 뷰를 볼 때, 구매하려는 집 외에도 같이 건축되는 다른 동의 건물까지 함께 보이도록 하여 현실의 집에 입주할 시 집의 외부 뷰가 모바일 장치의 화면에서 보았던 가상의 모델하우스의 외부 뷰와 최대한 동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66704호(2018.06.19 공개)는 병렬 GPU 컴퓨팅 기술을 이용하여 초고해상도의 3D 모델하우스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렌더링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모션인식을 통해 상호작용이 가능한 영상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몰입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실시간 병렬 렌더링 기반의 사이버 모델하우스 체험 시스템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각 화면의 경계부가 맞닿게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모델하우스 공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영상출력장치로 구성되는 영상출력모듈; 다수의 영상출력장치와 대응 연결되는 다수의 병렬렌더링장치로 구성되는 병렬렌더링모듈;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하여 모션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병렬렌더링모듈로 송출하는 모션인식모듈을 포함하고, 병렬렌더링모듈은 다수의 병렬렌더링장치 중 특정된 하나의 병렬렌더링장치가 서버로, 나머지 병렬렌더링장치가 클라이언트로 구성되며, 모델하우스콘텐츠와 분할영역데이터가 각 병렬렌더링장치에 저장되되, 모델하우스콘텐츠는 실내공간을 구성하는 실내공간데이터, 실내공간데이터의 창문 밖으로 보이는 조망 이미지에 해당하는 조망데이터, 실내공간데이터의 내에 배치되는 가구데이터, 광원에 의한 조명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브젝트로 구성되고, 병렬렌더링장치는 모델하우스콘텐츠와 분할영역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모델하우스콘텐츠를 불러오는 콘텐츠로딩부,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분할영역데이터를 불러오는 분할영역로딩부, 모션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부에서 해당 모션데이터와 매칭되는 모션명령데이터를 불러오는 모션처리부, 모델하우스콘텐츠를 분할영역데이터에 따라 분할하고 모션명령데이터를 기반으로 분할된 모델하우스콘텐츠를 렌더링하는 렌더링부, 렌더링부에 의해 렌더링된 분할 모델하우스콘텐츠를 병렬렌더링장치에 연결된 영상출력장치로 송출하는 분할콘텐츠송출부를 포함하고, 콘텐츠로딩부는 불러온 모델하우스콘텐츠를 오브젝트별로 추출하는 오브젝트추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가상현실을 통한 모델하우스의 경우에, 실제 모델하우스 건설 후 그 내부를 촬영하여 제작한 이미지 기반의 VR 파노라마 영상을 VR기기를 이용하여 보여주는 방식으로, 고정된 모델하우스만을 위한 가상현실로 3차원 영상을 제공할 수 있을 뿐, 소비자가 모델하우스의 내부 구조를 변환시키거나, 인테리어 내장재 또는 가구를 교체하는 등으로 원하는 형태로 모델하우스를 제공하지 못하며, 이에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08439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66704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비자가 직접 복수 개의 블록으로 원하는 모델하우스를 결합 형성하고 해당 결합 형성된 모델하우스를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로 실제와 같이 3차원 영상 체험할 수 있도록 구현한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상호 결합하여 하나의 모델하우스로 형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하우스 블록; 상부면에 상기 하우스 블록을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하우스 블록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기; 상기 인식기에서 인식한 하우스 블록을 통보받아, 상기 하우스 블록에 대응하는 각 3차원 영상정보를 판독하고 결합시켜 VR영상정보로 생성하기 위한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생성시킨 VR영상정보를 수신받아 모델하우스의 VR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VR기기를 포함하는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하우스 블록에 대응하는 3차원 영상정보를 블록식별자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설치물에 대응하는 3차원 영상정보를 설치물식별자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하우스 블록은, 자기 자신을 식별할 수 있는 블록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하우스 블록은, 상기 인식기의 블록식별자 인식 시에 인식되어지는 블록식별자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하우스 블록은,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 개의 블록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하우스 블록은, 각 모서리 부분에 각 블록식별자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블록식별자는, 무선태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블록식별자는, RFID, NFC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하우스 블록은, 업체별이나 종류별이나 설치물별로 분류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하우스 블록은, 업체별이나 종류별이나 설치물별로 복수 개를 선택 조합해서 상호 결합하여 하나의 모델하우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하우스 블록은, 종류별로 각각 다른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하우스 블록은, 방, 부엌, 욕실, 거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하우스 블록은, 종류별로 상기 하우스 블록을 선택하여 조합해서 상호 결합하여 하나의 모델하우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하우스 블록은, 설치물별로 각각 다른 구성을 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하우스 블록은, 방에 설치되는 설치물, 부엌에 설치되는 설치물, 욕실에 설치되는 설치물, 거실에 설치되는 설치물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하우스 블록은, 설치물별로 상기 하우스 블록을 선택하고, 설치물의 배치를 선택한 후에, 선택된 설치물의 배치를 포함한 하우스 블록을 조합해서 상호 결합하여 하나의 모델하우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하우스 블록은, 자기 자신을 식별할 수 있는 설치물식별자를 각각 구비한 복수 개의 설치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하우스 블록은, 상기 인식기의 설치물식별자 인식 시에 인식되어지는 설치물식별자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설치물은,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 개의 설치물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설치물은, 각 모서리 부분에 각 설치물식별자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설치물식별자는, 무선태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설치물식별자는, RFID, NFC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하우스 블록은, 결합 개수나 결합 방식이나 결합 순서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의 모델하우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식기는, 지정된 각 위치에 각각 구비된 복수 개의 식별자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식별자센서는, 무선태그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식기는, 식별자센서를 이용해서 상부면에 형성된 각 하우스 블록을 각각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식기는, 상기 하우스 블록에 구비된 블록식별자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식기는, 인식된 하우스 블록에 해당하는 위치정보 또는 설치 방향이나 배치 위치에 대한 정보와 블록식별자정보를 상기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식기는, 식별자센서를 이용해서 상부면에 형성된 각 설치물을 각각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식기는, 상기 설치물에 구비된 설치물식별자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식기는, 인식된 설치물에 해당하는 위치정보 또는 설치 방향이나 배치 위치에 대한 정보와 설치물식별자정보를 상기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식기는, 복수 개의 압전센서를 구비하여, 상부면에 형성된 하우스 블록 또는 설치물을 압전센서로 인식하여 하우스 블록 또는 설치물에 해당하는 위치정보 또는 설치 방향이나 배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식기는, 상기 설치물을 배치하거나 상기 하우스 블록으로 원하는 모델하우스를 결합 형성한 후에 블록식별자 또는 설치물식별자를 인식하도록 하기 위한 인식버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식버튼은, 식별자센서를 구동시켜 상부면에 형성된 하우스 블록 또는 설치물을 인식하고, 인식된 하우스 블록에 해당하는 위치정보와 블록식별자정보, 또는 인식된 설치물에 해당하는 위치정보와 설치물식별자정보를 상기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도록 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식버튼은, 소비자가 원하는 복수 개의 모델하우스를 복수 개의 VR로 제공해서 3차원 영상 비교 체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능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기능스위치는, 상기 인식기가 순차적으로 복수 번으로 블록식별자 또는 설치물식별자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식기는, 기능스위치를 누를 때마다 상부면에 형성된 하우스 블록 또는 설치물을 인식하고, 인식된 하우스 블록에 해당하는 위치정보와 블록식별자정보, 또는 인식된 설치물에 해당하는 위치정보와 설치물식별자정보를 순차적으로 상기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인식기로부터 위치정보 또는 설치 방향이나 배치 위치에 대한 정보와 블록식별자정보를 수신받아, 블록식별자정보에 대응하는 3차원 영상정보를 판독하며, 판독한 3차원 영상정보를 위치정보 또는 설치 방향이나 배치 위치에 대한 정보에 맞게 배치하여 결합시켜 VR영상정보로 생성하여 상기 VR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인식기로부터 위치정보와 설치물식별자정보를 수신받아, 설치물식별자정보에 대응하는 3차원 영상정보를 판독하며, 판독한 3차원 영상정보를 위치정보 또는 설치 방향이나 배치 위치에 대한 정보에 맞게 배치하여 결합시켜 VR영상정보로 생성하여 상기 VR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는, 순차적으로 수신받은 각 블록식별자정보에 대응하는 3차원 영상정보를 각각 판독하여 순차적으로 수신받은 각 위치정보에 맞게 각각 배치함과 동시에, 순차적으로 수신받은 각 설치물식별자정보에 대응하는 3차원 영상정보를 각각 판독하여 순차적으로 수신받은 각 위치정보에 맞게 각각 배치한 후에, 이를 결합시켜 순차적으로 VR영상정보로 생성하여 상기 VR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인식기로부터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각 위치정보와 각 블록식별자정보 또는 각 설치물식별자정보를 각각 수신받아, 순차적으로 각 VR영상정보를 각각 생성시켜 상기 VR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는, 1차적으로 수신받은 각 블록식별자정보에 대응하는 3차원 영상정보를 각각 판독하여 1차적으로 수신받은 각 위치정보에 맞게 각각 배치함과 동시에, 1차적으로 수신받은 각 설치물식별자정보에 대응하는 3차원 영상정보를 각각 판독하여 1차적으로 수신받은 각 위치정보에 맞게 각각 배치한 후에, 이를 결합시켜 1차 VR영상정보로 생성하며, 2차적으로 수신받은 각 블록식별자정보에 대응하는 3차원 영상정보를 각각 판독하여 2차적으로 수신받은 각 위치정보에 맞게 각각 배치함과 동시에, 2차적으로 수신받은 각 설치물식별자정보에 대응하는 3차원 영상정보를 각각 판독하여 2차적으로 수신받은 각 위치정보에 맞게 각각 배치한 후에, 이를 결합시켜 2차 VR영상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VR기기는, 상기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각 VR영상정보를 각각 수신받아, 각 VR영상정보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변환시켜 각 모델하우스의 VR영상을 번갈아가면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다른 한 특징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인식기 및 VR기기와 연동하여 상기 인식기에서 인식한 하우스 블록을 통보받아 전달한 후에, VR영상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VR기기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전달되는 인식 하우스 블록에 대응하는 각 3차원 영상정보를 판독하는 영상판독부; 및 상기 영상판독부에서 판독한 각 3차원 영상정보를 결합시켜 VR영상정보로 생성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는 VR생성부를 포함하는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를 제공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특징에 따르면, 복수 개의 하우스 블록을 인식기의 상부면에서 상호 결합하여 하나의 모델하우스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인식기가 상부면에 형성된 하우스 블록을 인식하는 단계;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인식기에서 인식한 하우스 블록을 통보받아, 상기 하우스 블록에 대응하는 각 3차원 영상정보를 판독하고 결합시켜 VR영상정보로 생성하는 단계; 및 VR기기가 상기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생성시킨 VR영상정보를 수신받아 모델하우스의 VR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로는, 소비자가 직접 복수 개의 블록으로 원하는 모델하우스를 결합 형성하고 해당 결합 형성된 모델하우스를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로 실제와 같이 3차원 영상 체험할 수 있도록 구현한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가상현실을 통한 모델하우스의 경우에, 고정된 모델하우스만을 위한 가상현실로 3차원 영상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가 모델하우스의 내부 구조를 변환시키거나, 인테리어 내장재 또는 가구를 교체하는 등으로 원하는 형태로 모델하우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인식기를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있는 인식기를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복수 개의 하우스 블록(110), 인식기(120),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130), 데이터베이스(140), VR기기(150), 네트워크(160)를 포함한다.
하우스 블록(110)은, 모델하우스를 형성하기 위해 복수 개로 구비되어, 인식기(120)의 상부면에서 상호 결합하여 하나의 모델하우스로 형성해 줌으로써, 소비자가 직접 복수 개의 하우스 블록(110)으로 원하는 모델하우스를 결합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우스 블록(110)은, 자기 자신을 식별할 수 있는 각 블록식별자(예를 들어, RFID, NFC 등과 같은 무선태그)를 각각 포함시켜 줄 수 있으며, 이에 인식기(120)의 블록식별자 인식 시에 인식되어지는 블록식별자정보를 인식기(12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이때, 하우스 블록(110)은, 보다 정확한 설치 방향이나 배치 위치를 인식기(120)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 개의 블록식별자를 포함시킬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각 모서리 부분에 각 블록식별자를 각각 포함시킬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우스 블록(110)은, 업체별, 종류별 또는 설치물(111-1 ~ 111-4)별로 분류해 둘 수 있으며, 이에 해당 분류된 업체별, 종류별 또는 설치물(111-1 ~ 111-4)별로 복수 개를 선택 조합해서 상호 결합하여 하나의 모델하우스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우스 블록(110)은, 종류별로 각각 다른 형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1하우스 블록(110-1)은 방을 다양하게 복수 개로 형성하며, 제2하우스 블록(110-2)은 부엌을 다양하게 복수 개로 형성하며, 제3하우스 블록(110-3)은 욕실을 다양하게 복수 개로 형성하며, 제4하우스 블록(110-4)은 거실을 다양하게 복수 개로 형성하는 등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종류별로 각각의 하우스 블록(110)을 선택한 후에, 해당 선택된 복수 개의 하우스 블록(110)을 조합해서 상호 결합하여 하나의 모델하우스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우스 블록(110)은, 설치물(111-1 ~ 111-4)별로 각각 다른 구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1하우스 블록(110-1)은 방에 설치되는 설치물(111-1)로서 침대, 장롱, 화장대 등을 다양하게 복수 개로 형성하며, 제2하우스 블록(110-2)은 부엌에 설치되는 설치물(111-2)로서 냉장고, 싱크대, 식탁 등을 다양하게 복수 개로 형성하며, 제3하우스 블록(110-3)은 욕실에 설치되는 설치물(111-3)로서 욕조, 변기, 세면대 등을 다양하게 복수 개로 형성하며, 제4하우스 블록(110-4)은 거실에 설치되는 설치물(111-4)로서 티브이, 소파, 거실 테이블 등을 다양하게 복수 개로 형성하는 등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설치물(111-1 ~ 111-4)별로 각각의 하우스 블록(110)을 선택하고, 또한 설치물(111-1 ~ 111-4)의 배치를 다양하게 선택한 후에, 해당 선택된 설치물(111-1 ~ 111-4)의 배치를 포함한 복수 개의 하우스 블록(110)을 조합해서 상호 결합하여 하나의 모델하우스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우스 블록(110)은, 자기 자신을 식별할 수 있는 각 설치물식별자(예를 들어, RFID, NFC 등과 같은 무선태그)를 각 설치물(111-1 ~ 111-4)에 각각 포함시켜 줄 수 있으며, 이에 인식기(120)의 설치물식별자 인식 시에 인식되어지는 설치물식별자정보를 인식기(120)로 전송해 줄 수도 있다. 이때, 설치물(111-1 ~ 111-4)은, 보다 정확한 설치 방향이나 배치 위치를 인식기(120)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 개의 설치물식별자를 포함시킬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각 모서리 부분에 각 설치물식별자를 각각 포함시킬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우스 블록(110)은, 결합 개수, 결합 방식 또는 결합 순서 등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모델하우스를 형성할 수 있다.
인식기(120)는, 상부면에 하우스 블록(110)을 형성하도록 하여, 상부면에 형성된 각 하우스 블록(110)을 각각 인식하며, 해당 인식된 각 하우스 블록(110)을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통보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인식기(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정된 각 위치에 각 식별자센서(121)(예를 들어, RFID, NFC 등과 같은 무선태그센서)를 각각 구비할 수 있으며, 해당 각 식별자센서(121)를 이용해서 상부면에 형성된 각 하우스 블록(110)(즉, 하우스 블록(110)에 구비된 블록식별자(예를 들어, RFID, NFC 등과 같은 무선태그))를 각각 인식할 수 있으며, 해당 인식된 각 하우스 블록(110)에 해당하는 각 위치정보(또한, 설치 방향이나 배치 위치에 대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음)와 각 블록식별자정보를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인식기(120)는, 각 식별자센서(121)를 이용해서 상부면에 형성된 각 설치물(111-1 ~ 111-4)(즉, 설치물(111-1 ~ 111-4)에 구비된 설치물식별자(예를 들어, RFID, NFC 등과 같은 무선태그))를 각각 인식할 수 있으며, 해당 인식된 각 설치물(111-1 ~ 111-4)에 해당하는 각 위치정보(또한, 설치 방향이나 배치 위치에 대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음)와 각 설치물식별자정보를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전송해 줄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인식기(120)는, 복수 개의 압전센서 등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상부면에 형성된 각 하우스 블록(110) 또는 각 설치물(111-1 ~ 111-4)을 해당 압전센서로 인식하여 각 하우스 블록(110) 또는 각 설치물(111-1 ~ 111-4)에 해당하는 각 위치정보(또한, 설치 방향이나 배치 위치에 대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음)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인식기(120)는, 소비자가 직접 각 설치물(111-1 ~ 111-4)을 배치하거나 복수 개의 하우스 블록(110)으로 원하는 모델하우스를 결합 형성한 후에 블록식별자 또는 설치물식별자를 인식하도록 하기 위한 인식버튼(122)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인식버튼(122)을 누르게 되면 각 식별자센서(121)를 구동시켜 상부면에 형성된 각 하우스 블록(110) 또는 각 설치물(111-1 ~ 111-4)을 각각 인식하고, 해당 인식된 각 하우스 블록(110)에 해당하는 각 위치정보와 각 블록식별자정보, 또는 해당 인식된 각 설치물(111-1 ~ 111-4)에 해당하는 각 위치정보와 각 설치물식별자정보를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전송해 줄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인식버튼(122)은, 소비자가 원하는 모델하우스를 여러 가지로 결합 형성하여 복수 개의 모델하우스를 이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VR로 제공해서 실제와 같이 3차원 영상 비교 체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능스위치를 더 추가 구비할 수 있으며, 해당 기능스위치의 선택 시에 인식기(120)가 순차적으로 복수 번으로 블록식별자 또는 설치물식별자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인식기(120)는, 기능스위치를 누를 때마다 상부면에 형성된 각 하우스 블록(110) 또는 각 설치물(111-1 ~ 111-4)을 각각 인식할 수 있으며, 해당 인식된 각 하우스 블록(110)에 해당하는 각 위치정보와 각 블록식별자정보, 또는 해당 인식된 각 설치물(111-1 ~ 111-4)에 해당하는 각 위치정보와 각 설치물식별자정보를 순차적으로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전송해 줄 수도 있다.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인식기(120)로부터 인식된 각 하우스 블록(110)을 통보받아, 해당 통보받은 각 하우스 블록(110)에 대응하는 각 3차원 영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각각 판독하며, 해당 판독한 각 3차원 영상정보를 결합시켜 VR영상정보로 생성하여 VR기기(150)로 전송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인식기(120)로부터 전송되는 각 위치정보(또한, 설치 방향이나 배치 위치에 대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음)와 각 블록식별자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각 블록식별자정보에 대응하는 3차원 영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각각 판독할 수 있으며, 해당 판독한 각 3차원 영상정보를 해당 수신받은 각 위치정보(또한, 설치 방향이나 배치 위치에 대한 정보)에 맞게 각각 배치하여 결합시켜 VR영상정보로 생성하여 VR기기(15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인식기(120)로부터 전송되는 각 위치정보와 각 설치물식별자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각 설치물식별자정보에 대응하는 3차원 영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각각 판독할 수 있으며, 해당 판독한 각 3차원 영상정보를 해당 수신받은 각 위치정보에 맞게 각각 배치하여 결합시켜 VR영상정보로 생성하여 VR기기(150)로 전송해 줄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순차적으로 수신받은 각 블록식별자정보에 대응하는 3차원 영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각각 판독하여 순차적으로 수신받은 각 위치정보에 맞게 각각 배치함과 동시에, 순차적으로 수신받은 각 설치물식별자정보에 대응하는 3차원 영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각각 판독하여 순차적으로 수신받은 각 위치정보에 맞게 각각 배치한 후에, 이를 결합시켜 순차적으로 VR영상정보로 생성하여 VR기기(150)로 전송해 줄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인식기(120)로부터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각 위치정보와 각 블록식별자정보 또는 각 설치물식별자정보를 각각 수신받아, 순차적으로 각 VR영상정보를 각각 생성시켜 VR기기(150)로 순차적으로 전송해 줄 수도 있다. 이때,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1차적으로 수신받은 각 블록식별자정보에 대응하는 3차원 영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각각 판독하여 1차적으로 수신받은 각 위치정보에 맞게 각각 배치함과 동시에, 1차적으로 수신받은 각 설치물식별자정보에 대응하는 3차원 영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각각 판독하여 1차적으로 수신받은 각 위치정보에 맞게 각각 배치한 후에, 이를 결합시켜 1차 VR영상정보로 생성할 수 있으며, 또한 2차적으로 수신받은 각 블록식별자정보에 대응하는 3차원 영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각각 판독하여 2차적으로 수신받은 각 위치정보에 맞게 각각 배치함과 동시에, 2차적으로 수신받은 각 설치물식별자정보에 대응하는 3차원 영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각각 판독하여 2차적으로 수신받은 각 위치정보에 맞게 각각 배치한 후에, 이를 결합시켜 2차 VR영상정보로 생성할 수 있는 등으로, 복수 차의 VR영상정보들을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40)는, 각 하우스 블록(110)에 대응하는 3차원 영상정보를 각 블록식별자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둔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베이스(140)는, 각 설치물(111-1 ~ 111-4)에 대응하는 3차원 영상정보를 각 설치물식별자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둘 수도 있다.
VR기기(150)는,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130)로부터 전송되는 VR영상정보를 수신받아 모델하우스의 VR영상을 디스플레이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VR기기(150)는,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130)로부터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각 VR영상정보를 각각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각 VR영상정보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변환시켜 각 모델하우스의 VR영상을 번갈아가면서 디스플레이해 줌으로써, 소비자가 원하는 복수 개의 모델하우스를 VR로 실제와 같이 3차원 영상 비교 체험하도록 할 수 있다.
네트워크(16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여, 인식기(120)와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130) 사이 및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130)와 VR기기(150) 사이에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형성시켜, 인식기(120)와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130) 사이 및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130)와 VR기기(15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해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시스템(110)은, 소비자가 직접 복수 개의 하우스 블록(110)으로 원하는 모델하우스를 결합 형성하고 해당 결합 형성된 모델하우스를 VR로 실제와 같이 3차원 영상 체험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가상현실을 통한 모델하우스의 경우에, 고정된 모델하우스만을 위한 VR로 3차원 영상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가 모델하우스의 내부 구조를 변환시키거나, 인테리어 내장재 또는 가구를 교체하는 등으로 원하는 형태로 모델하우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인터페이스부(131), 영상판독부(132), VR생성부(133)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131)는, 네트워크(160)를 통해 인식기(120) 및 VR기기(150)와 연동하여 인식기(120) 및 VR기기(150)와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영상판독부(132)는, 인식기(120)로부터 인식된 각 하우스 블록(110)을 인터페이스부(131)를 통해 통보받아, 해당 통보받은 각 하우스 블록(110)에 대응하는 각 3차원 영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각각 판독하며, 해당 판독한 각 3차원 영상정보를 VR생성부(133)로 전달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영상판독부(132)는, 인식기(120)로부터 전송되는 각 위치정보(또한, 설치 방향이나 배치 위치에 대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음)와 각 블록식별자정보를 인터페이스부(131)를 통해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각 블록식별자정보에 대응하는 각 3차원 영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각각 판독할 수 있으며, 해당 판독한 각 3차원 영상정보를 해당 수신받은 각 위치정보(또한, 설치 방향이나 배치 위치에 대한 정보)와 함께 VR생성부(133)로 전달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영상판독부(132)는, 인식기(120)로부터 전송되는 각 위치정보와 각 설치물식별자정보를 인터페이스부(131)를 통해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각 설치물식별자정보에 대응하는 각 3차원 영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각각 판독할 수 있으며, 해당 판독한 각 3차원 영상정보를 해당 수신받은 각 위치정보(또한, 설치 방향이나 배치 위치에 대한 정보)와 함께 VR생성부(133)로 전달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영상판독부(132)는, 인식기(120)로부터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각 위치정보와 각 블록식별자정보 또는 각 설치물식별자정보를 인터페이스부(131)를 통해 각각 수신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영상판독부(132)는, 1차적으로 수신받은 각 블록식별자정보에 대응하는 3차원 영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각각 판독하여 1차적으로 수신받은 각 위치정보와 함께 VR생성부(133)로 전달함과 동시에, 1차적으로 수신받은 각 설치물식별자정보에 대응하는 3차원 영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각각 판독하여 1차적으로 수신받은 각 위치정보와 함께 VR생성부(133)로 전달해 줄 수 있으며, 또한 2차적으로 수신받은 각 블록식별자정보에 대응하는 3차원 영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각각 판독하여 2차적으로 수신받은 각 위치정보와 함께 VR생성부(133)로 전달함과 동시에, 2차적으로 수신받은 각 설치물식별자정보에 대응하는 3차원 영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각각 판독하여 2차적으로 수신받은 각 위치정보와 함께 VR생성부(133)로 전달해 줄 수 있는 등으로, 복수 차의 각 3차원 영상정보와 각 위치정보를 각각 순차적으로 VR생성부(133)로 전달해 줄 수 있다.
VR생성부(133)는, 영상판독부(132)로부터 각 3차원 영상정보를 전달받아, 해당 전달받은 각 3차원 영상정보를 결합시켜 VR영상정보로 생성하여 인터페이스부(131)를 통해 VR기기(150)로 전송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VR생성부(133)는, 영상판독부(132)로부터 전달되는 각 3차원 영상정보를 영상판독부(132)로부터 전달되는 각 위치정보(또한, 설치 방향이나 배치 위치에 대한 정보)에 맞게 각각 배치하여 결합시켜 VR영상정보로 생성하여 인터페이스부(131)를 통해 VR기기(15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VR생성부(133)는, 순차적으로 각 VR영상정보를 각각 생성시켜 인터페이스부(131)를 통해 VR기기(150)로 순차적으로 전송해 줄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VR생성부(133)는, 영상판독부(132)로부터 1차적으로 전달받은 각 블록식별자정보에 대응하는 각 3차원 영상정보를 영상판독부(132)로부터 1차적으로 전달받은 각 위치정보에 맞게 각각 배치함과 동시에, 영상판독부(132)로부터 1차적으로 전달받은 각 설치물식별자정보에 대응하는 각 3차원 영상정보를 영상판독부(132)로부터 1차적으로 전달받은 각 위치정보에 맞게 각각 배치한 후에, 이를 결합시켜 1차 VR영상정보로 생성할 수 있으며, 또한 영상판독부(132)로부터 2차적으로 전달받은 각 블록식별자정보에 대응하는 각 3차원 영상정보를 영상판독부(132)로부터 2차적으로 전달받은 각 위치정보에 맞게 각각 배치함과 동시에, 영상판독부(132)로부터 2차적으로 전달받은 각 설치물식별자정보에 대응하는 각 3차원 영상정보를 영상판독부(132)로부터 2차적으로 전달받은 각 위치정보에 맞게 각각 배치한 후에, 이를 결합시켜 2차 VR영상정보로 생성할 수 있는 등으로, 복수 차의 VR영상정보들을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모델하우스를 형성하기 위해 복수 개로 구비되어 있는 하우스 블록(110)의 경우에, 자동(예를 들어, 크레인, 집게 등과 같은 기계장치를 이용한 행위) 또는 수동(예를 들어, 소비자가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행위)으로 인식기(120)의 상부면에서 상호 결합하여 하나의 모델하우스로 형성해 줌으로써, 소비자가 직접 복수 개의 하우스 블록(110)으로 원하는 모델하우스를 결합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S401).
상술한 단계 S401에서 모델하우스를 형성함에 있어서, 자기 자신을 식별할 수 있는 각 블록식별자(예를 들어, RFID, NFC 등과 같은 무선태그)를 각각 포함하고 있는 하우스 블록(110)의 경우에, 인식기(120)의 블록식별자 인식 시에 인식되어지는 블록식별자정보를 인식기(12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401에서 모델하우스를 형성함에 있어서, 보다 정확한 설치 방향이나 배치 위치를 인식기(120)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하우스 블록(110)의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 개의 블록식별자를 포함시킬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하우스 블록(110)의 각 모서리 부분에 각 블록식별자를 각각 포함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401에서 모델하우스를 형성함에 있어서, 하우스 블록(110)을 업체별, 종류별 또는 설치물(111-1 ~ 111-4)별로 분류해 두는 경우에, 해당 분류된 업체별, 종류별 또는 설치물(111-1 ~ 111-4)별로 복수 개의 하우스 블록(110)을 선택 조합해서 상호 결합하여 하나의 모델하우스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401에서 모델하우스를 형성함에 있어서, 종류별로 각각 다른 형태를 포함하고 있는 하우스 블록(110)의 경우에, 예를 들어 제1하우스 블록(110-1)은 방을 다양하게 복수 개로 형성하며, 제2하우스 블록(110-2)은 부엌을 다양하게 복수 개로 형성하며, 제3하우스 블록(110-3)은 욕실을 다양하게 복수 개로 형성하며, 제4하우스 블록(110-4)은 거실을 다양하게 복수 개로 형성하는 등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401에서 모델하우스를 형성함에 있어서, 종류별로 각각의 하우스 블록(110)을 선택한 후에, 해당 선택된 복수 개의 하우스 블록(110)을 조합해서 상호 결합하여 하나의 모델하우스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401에서 모델하우스를 형성함에 있어서, 설치물(111-1 ~ 111-4)별로 각각 다른 구성을 포함하고 있는 하우스 블록(110)의 경우에, 예를 들어 제1하우스 블록(110-1)은 방에 갖추어야 할 설치물(111-1)로서 침대, 장롱, 화장대 등을 다양하게 복수 개로 형성하며, 제2하우스 블록(110-2)은 부엌에 갖추어야 할 설치물(111-2)로서 냉장고, 싱크대, 식탁 등을 다양하게 복수 개로 형성하며, 제3하우스 블록(110-3)은 욕실에 갖추어야 할 설치물(111-3)로서 욕조, 변기, 세면대 등을 다양하게 복수 개로 형성하며, 제4하우스 블록(110-4)은 거실에 갖추어야 할 설치물(111-4)로서 티브이, 소파, 거실 테이블 등을 다양하게 복수 개로 형성하는 등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401에서 모델하우스를 형성함에 있어서, 설치물(111-1 ~ 111-4)별로 각각의 하우스 블록(110)을 선택하고, 또한 설치물(111-1 ~ 111-4)의 배치를 다양하게 선택한 후에, 해당 선택된 설치물(111-1 ~ 111-4)의 배치를 포함한 복수 개의 하우스 블록(110)을 조합해서 상호 결합하여 하나의 모델하우스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401에서 모델하우스를 형성함에 있어서, 자기 자신을 식별할 수 있는 각 설치물식별자(예를 들어, RFID, NFC 등과 같은 무선태그)를 각 설치물(111-1 ~ 111-4)에 각각 포함시켜 준 경우에, 인식기(120)의 설치물식별자 인식 시에 인식되어지는 설치물식별자정보를 인식기(120)로 전송해 줄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401에서 모델하우스를 형성함에 있어서, 보다 정확한 설치 방향이나 배치 위치를 인식기(120)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설치물(111-1 ~ 111-4)의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 개의 설치물식별자를 포함시킬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설치물(111-1 ~ 111-4)의 각 모서리 부분에 각 설치물식별자를 각각 포함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401에서 모델하우스를 형성함에 있어서, 하우스 블록(110)의 결합 개수, 결합 방식 또는 결합 순서 등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모델하우스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401에서 모델하우스를 형성하게 되면, 상부면에 하우스 블록(110)을 형성하도록 한 인식기(120)에서는, 상부면에 형성된 각 하우스 블록(110)을 각각 인식하며, 해당 인식된 각 하우스 블록(110)을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통보해 주게 된다(S402).
상술한 단계 S402에서 인식된 각 하우스 블록(110)을 통보함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정된 각 위치에 각 식별자센서(121)(예를 들어, RFID, NFC 등과 같은 무선태그센서)를 각각 구비하고 있는 인식기(120)에서는, 해당 각 식별자센서(121)를 이용해서 상부면에 형성된 각 하우스 블록(110)을 각각 인식할 수 있는데, 이때 각 하우스 블록(110)에 구비된 블록식별자(예를 들어, RFID, NFC 등과 같은 무선태그))를 각각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인식기(120)에서는, 해당 인식된 각 하우스 블록(110)에 해당하는 각 위치정보(또한, 설치 방향이나 배치 위치에 대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음)와 각 블록식별자정보를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402에서 인식된 각 하우스 블록(110)을 통보함에 있어서, 인식기(120)에서는, 복수 개의 압전센서 등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상부면에 형성된 각 하우스 블록(110)을 해당 압전센서로 인식하여 각 하우스 블록(110)에 해당하는 각 위치정보(또한, 설치 방향이나 배치 위치에 대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음)를 보다 더 정확하게 확인할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402에서 인식된 각 하우스 블록(110)을 통보함에 있어서, 인식기(120)에서는, 각 식별자센서(121)를 이용해서 상부면에 형성된 각 설치물(111-1 ~ 111-4)을 각각 인식할 수 있는데, 이때 각 설치물(111-1 ~ 111-4)에 구비된 설치물식별자(예를 들어, RFID, NFC 등과 같은 무선태그))를 각각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인식기(120)에서는, 해당 인식된 각 설치물(111-1 ~ 111-4)에 해당하는 각 위치정보(또한, 설치 방향이나 배치 위치에 대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음)와 각 설치물식별자정보를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전송해 줄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402에서 인식된 각 하우스 블록(110)을 통보함에 있어서, 복수 개의 압전센서 등을 구비하고 있는 인식기(120)의 경우에, 상부면에 형성된 각 설치물(111-1 ~ 111-4)을 해당 압전센서로 인식하여 각 설치물(111-1 ~ 111-4)에 해당하는 각 위치정보(또한, 설치 방향이나 배치 위치에 대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음)를 보다 더 정확하게 확인할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402에서 인식된 각 하우스 블록(110)을 통보함에 있어서, 소비자가 직접 각 설치물(111-1 ~ 111-4)을 배치하거나 복수 개의 하우스 블록(110)으로 원하는 모델하우스를 결합 형성한 후에 블록식별자 또는 설치물식별자를 인식하도록 하기 위한 인식버튼(122)을 구비하고 있는 인식기(120)의 경우에, 인식버튼(122)을 누르게 되면, 각 식별자센서(121)(또는, 압전센서)를 구동시켜 상부면에 형성된 각 하우스 블록(110) 또는 각 설치물(111-1 ~ 111-4)을 각각 인식하고, 해당 인식된 각 하우스 블록(110)에 해당하는 각 위치정보와 각 블록식별자정보, 또는 해당 인식된 각 설치물(111-1 ~ 111-4)에 해당하는 각 위치정보와 각 설치물식별자정보를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전송해 줄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402에서 인식된 각 하우스 블록(110)을 통보함에 있어서, 소비자가 원하는 모델하우스를 여러 가지로 결합 형성하여 복수 개의 모델하우스를 VR로 실제와 같이 3차원 영상 비교 체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능스위치를 더 추가 구비하고 있는 인식버튼(122)의 경우에는, 해당 기능스위치의 선택 시에, 인식기(120)가 순차적으로 복수 번으로 블록식별자 또는 설치물식별자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402에서 인식된 각 하우스 블록(110)을 통보함에 있어서, 인식기(120)에서는, 기능스위치를 누를 때마다 상부면에 형성된 각 하우스 블록(110) 또는 각 설치물(111-1 ~ 111-4)을 각각 인식할 수 있으며, 해당 인식된 각 하우스 블록(110)에 해당하는 각 위치정보와 각 블록식별자정보, 또는 해당 인식된 각 설치물(111-1 ~ 111-4)에 해당하는 각 위치정보와 각 설치물식별자정보를 순차적으로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전송해 줄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402에서 인식된 각 하우스 블록(110)을 통보하게 되면,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130)에서는, 인식기(120)로부터 인식된 각 하우스 블록(110)을 통보받아, 해당 통보받은 각 하우스 블록(110)에 대응하는 각 3차원 영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각각 판독하게 된다(S403).
상술한 단계 S403에서 3차원 영상정보를 판독함에 있어서, 인식기(120)로부터 전송되는 각 위치정보(또한, 설치 방향이나 배치 위치에 대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음)와 각 블록식별자정보를 수신받는 경우,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130)에서는, 해당 수신받은 각 블록식별자정보에 대응하는 3차원 영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각각 판독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403에서 3차원 영상정보를 판독함에 있어서, 인식기(120)로부터 전송되는 각 위치정보와 각 설치물식별자정보를 수신받는 경우에,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130)에서는, 해당 수신받은 각 설치물식별자정보에 대응하는 3차원 영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각각 판독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403에서 3차원 영상정보를 판독함에 있어서,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130)에서는, 1차적으로 수신받은 각 블록식별자정보에 대응하는 3차원 영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각각 판독함과 동시에, 1차적으로 수신받은 각 설치물식별자정보에 대응하는 3차원 영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각각 판독하며, 또한 2차적으로 수신받은 각 블록식별자정보에 대응하는 3차원 영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각각 판독함과 동시에, 2차적으로 수신받은 각 설치물식별자정보에 대응하는 3차원 영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각각 판독하는 등으로 순차적으로 복수 차의 3차원 영상정보를 각각 판독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403에서 3차원 영상정보를 판독한 다음에,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130)에서는, 상술한 단계 S403에서 판독한 각 3차원 영상정보를 결합시켜 VR영상정보로 생성하여 VR기기(150)로 전송해 주게 된다(S404).
상술한 단계 S404에서 VR영상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130)에서는, 상술한 단계 S403에서 판독한 각 3차원 영상정보를 상술한 단계 S403에서 수신받은 각 위치정보(또한, 설치 방향이나 배치 위치에 대한 정보)에 맞게 각각 배치하여 결합시켜 VR영상정보로 생성하여 VR기기(15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404에서 VR영상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130)에서는, 상술한 단계 S403에서 판독한 각 3차원 영상정보를 상술한 단계 S403에서 수신받은 각 위치정보에 맞게 각각 배치하여 결합시켜 VR영상정보로 생성하여 VR기기(150)로 전송해 줄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404에서 VR영상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상술한 단계 S403에서 인식기(120)로부터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각 위치정보와 각 블록식별자정보 또는 각 설치물식별자정보를 각각 수신받는 경우라면,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130)에서는, 순차적으로 각 VR영상정보를 각각 생성시켜 VR기기(150)로 순차적으로 전송해 줄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404에서 VR영상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130)에서는, 상술한 단계 S403에서 1차적으로 판독한 각 블록식별자에 대응하는 3차원 영상정보를 상술한 단계 S403에서 1차적으로 수신받은 각 위치정보에 맞게 각각 배치함과 동시에, 상술한 단계 S403에서 1차적으로 판독한 각 설치물식별자정보에 대응하는 3차원 영상정보를 상술한 단계 S403에서 1차적으로 수신받은 각 위치정보에 맞게 각각 배치한 후에, 이를 결합시켜 1차 VR영상정보로 생성할 수 있으며, 또한 상술한 단계 S403에서 2차적으로 판독한 각 블록식별자에 대응하는 3차원 영상정보를 상술한 단계 S403에서 2차적으로 수신받은 각 위치정보에 맞게 각각 배치함과 동시에, 상술한 단계 S403에서 2차적으로 판독한 각 설치물식별자정보에 대응하는 3차원 영상정보를 상술한 단계 S403에서 2차적으로 수신받은 각 위치정보에 맞게 각각 배치한 후에, 이를 결합시켜 2차 VR영상정보로 생성할 수 있는 등으로, 복수 차의 VR영상정보들을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404에서 VR영상정보를 전송하게 되면, VR기기(150)에서는,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130)로부터 전송되는 VR영상정보를 수신받아 모델하우스의 VR영상을 디스플레이해 주게 된다(S405).
상술한 단계 S405에서 VR영상을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130)로부터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각 VR영상정보를 각각 수신받는 경우에, VR기기(150)에서는, 해당 수신받은 각 VR영상정보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변환시켜 각 모델하우스의 VR영상을 번갈아가면서 디스플레이해 줌으로써, 소비자가 원하는 복수 개의 모델하우스를 VR로 실제와 같이 3차원 영상 비교 체험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시스템
110: 하우스 블록
120: 인식기
130: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
131: 인터페이스부
132: 영상판독부
133: VR생성부
140: 데이터베이스
150: VR기기
160: 네트워크

Claims (5)

  1. 상호 결합하여 하나의 모델하우스로 형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하우스 블록; 상부면에 상기 하우스 블록을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하우스 블록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기; 상기 인식기에서 인식한 하우스 블록을 통보받아, 상기 하우스 블록에 대응하는 각 3차원 영상정보를 판독하고 결합시켜 VR영상정보로 생성하기 위한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생성시킨 VR영상정보를 수신받아 모델하우스의 VR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VR기기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스 블록에 대응하는 3차원 영상정보를 블록식별자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스 블록은, 자기 자신을 식별할 수 있는 블록식별자를 포함하고, 설치물별로 각각의 하우스 블록을 선택하고 설치물의 배치를 선택한 후에, 선택된 설치물의 배치를 포함한 하우스 블록을 조합해서 상호 결합하여 하나의 모델하우스를 형성하며;
    상기 인식기는, 상기 하우스 블록에 구비된 블록식별자를 인식하고, 복수 개의 압전센서를 구비하여, 상부면에 형성된 하우스 블록을 인식하여, 인식된 하우스 블록에 해당하는 위치정보, 설치 방향, 배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인식기로부터 위치정보, 설치 방향, 배치 위치에 대한 정보와 블록식별자정보를 수신받아, 블록식별자정보에 대응하는 3차원 영상정보를 판독하며, 판독한 3차원 영상정보를 위치정보, 설치 방향, 배치 위치에 대한 정보에 맞게 배치하여 결합시켜 VR영상정보로 생성하여 상기 VR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네트워크를 통해 인식기 및 VR기기와 연동하여 상기 인식기에서 인식한 하우스 블록을 통보받아 전달한 후에, VR영상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VR기기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전달되는 인식 하우스 블록에 대응하는 각 3차원 영상정보를 판독하는 영상판독부; 및 상기 영상판독부에서 판독한 각 3차원 영상정보를 결합시켜 VR영상정보로 생성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는 VR생성부를 포함하는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가 하우스 블록에 대응하는 3차원 영상정보를 블록식별자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며;
    상기 하우스 블록은, 자기 자신을 식별할 수 있는 블록식별자를 포함하고, 설치물별로 각각의 하우스 블록을 선택하고 설치물의 배치를 선택한 후에, 선택된 설치물의 배치를 포함한 하우스 블록을 조합해서 상호 결합하여 하나의 모델하우스를 형성하며;
    상기 인식기는, 상기 하우스 블록에 구비된 블록식별자를 인식하고, 복수 개의 압전센서를 구비하여, 상부면에 형성된 하우스 블록을 인식하여, 인식된 하우스 블록에 해당하는 위치정보, 설치 방향, 배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인식기로부터 위치정보, 설치 방향, 배치 위치에 대한 정보와 블록식별자정보를 수신받아, 블록식별자정보에 대응하는 3차원 영상정보를 판독하며, 판독한 3차원 영상정보를 위치정보, 설치 방향, 배치 위치에 대한 정보에 맞게 배치하여 결합시켜 VR영상정보로 생성하여 상기 VR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
  5. 복수 개의 하우스 블록을 인식기의 상부면에서 상호 결합하여 하나의 모델하우스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인식기가 상부면에 형성된 하우스 블록을 인식하는 단계;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인식기에서 인식한 하우스 블록을 통보받아, 상기 하우스 블록에 대응하는 각 3차원 영상정보를 판독하고 결합시켜 VR영상정보로 생성하는 단계; 및 VR기기가 상기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생성시킨 VR영상정보를 수신받아 모델하우스의 VR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데이터베이스가 상기 하우스 블록에 대응하는 3차원 영상정보를 블록식별자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며;
    상기 하우스 블록은, 자기 자신을 식별할 수 있는 블록식별자를 포함하고, 설치물별로 각각의 하우스 블록을 선택하고 설치물의 배치를 선택한 후에, 선택된 설치물의 배치를 포함한 하우스 블록을 조합해서 상호 결합하여 하나의 모델하우스를 형성하며;
    상기 인식기는, 상기 하우스 블록에 구비된 블록식별자를 인식하고, 복수 개의 압전센서를 구비하여, 상부면에 형성된 하우스 블록을 인식하여, 인식된 하우스 블록에 해당하는 위치정보, 설치 방향, 배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인식기로부터 위치정보, 설치 방향, 배치 위치에 대한 정보와 블록식별자정보를 수신받아, 블록식별자정보에 대응하는 3차원 영상정보를 판독하며, 판독한 3차원 영상정보를 위치정보, 설치 방향, 배치 위치에 대한 정보에 맞게 배치하여 결합시켜 VR영상정보로 생성하여 상기 VR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80097313A 2018-08-21 2018-08-21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091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313A KR102091766B1 (ko) 2018-08-21 2018-08-21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313A KR102091766B1 (ko) 2018-08-21 2018-08-21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685A KR20200021685A (ko) 2020-03-02
KR102091766B1 true KR102091766B1 (ko) 2020-03-20

Family

ID=69805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313A KR102091766B1 (ko) 2018-08-21 2018-08-21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176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9319A (ja) 2005-01-26 2006-08-10 Sekisui House Ltd 住宅用3次元cgシステム
JP2011014108A (ja) * 2009-07-06 2011-01-20 Nec Soft Ltd 空間統合制御システム、データ、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三次元モデル生成装置、三次元モデル生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729A (ko) * 2007-03-27 2009-01-0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웹 기반 사이버 모델 하우스 구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93123B1 (ko) * 2013-05-30 2016-02-12 서영수 홍보 브이알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72863A (ko) * 2014-12-15 2016-06-24 안석훈 신개념 3d max 모델하우스
KR101808439B1 (ko) 2016-07-20 2017-12-12 이익재 Vr 모델하우스 제공방법
KR20180066704A (ko) 2016-12-09 2018-06-19 주식회사 비주얼리액터 실시간 병렬 렌더링 기반의 사이버 모델하우스 체험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9319A (ja) 2005-01-26 2006-08-10 Sekisui House Ltd 住宅用3次元cgシステム
JP2011014108A (ja) * 2009-07-06 2011-01-20 Nec Soft Ltd 空間統合制御システム、データ、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三次元モデル生成装置、三次元モデル生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685A (ko) 202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8439B1 (ko) Vr 모델하우스 제공방법
US2020002015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avigating a user in a virtual reality model
Damala et al. Merging augmented reality based features in mobile multimedia museum guides
KR102399248B1 (ko) 건물 설계도 기반의 디지털 트윈 공간 생성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03890603B (zh) 一种用于重构无线设备周围环境的地图的方法及实现该方法的无线设备
CN114972726A (zh) 捕获房间中信息以用于建筑物的可用性评估的自动化指示
CN114969882A (zh) 使用所捕获的房间中图像的视觉数据对建筑物进行自动化可用性评估
US20130202267A1 (en) Interactive video reflection shopping aid
KR20200097637A (ko) 시뮬레이션 모래상자 시스템
US11288510B2 (en) Washroom device augmented reality installation system
CN109903369A (zh) 三维户型模型构建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JP2007034415A (ja) 設計支援システム
Horch et al. Why should only your home be smart?-a vision for the office of tomorrow
KR102091766B1 (ko) 모델하우스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JP2020079817A (ja) 建造物設計支援装置、建造物設計支援方法、及び建造物設計支援システム
KR102019096B1 (ko) 결합형 사이버 모델 하우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JP2003006674A (ja) 高品質な3次元立体間取り図配布/表示システム
JP7085222B2 (ja) 不動産情報検索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23006346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3d model based on changing viewpiont
JP7130215B1 (ja) 建築予定建物確認システム
CN108961405A (zh) 基于soa的面向公众服务的房产信息系统
KR101036107B1 (ko) 고유식별 정보를 이용한 증강 현실 구현시스템
RU161581U1 (ru)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даленного подбора товаров
KR20200053285A (ko) 지향성 스피커를 이용한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6983879B2 (ja) 電子装置のための平面状の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