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4952B1 - 통신시스템에서의 음성 전자메일/팩시밀리 발송 및 확인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시스템에서의 음성 전자메일/팩시밀리 발송 및 확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4952B1
KR100684952B1 KR1020050013363A KR20050013363A KR100684952B1 KR 100684952 B1 KR100684952 B1 KR 100684952B1 KR 1020050013363 A KR1020050013363 A KR 1020050013363A KR 20050013363 A KR20050013363 A KR 20050013363A KR 100684952 B1 KR100684952 B1 KR 100684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l
service
voice
subscriber
fa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3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2470A (ko
Inventor
허철균
Original Assignee
(주) 콘텔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콘텔라 filed Critical (주) 콘텔라
Priority to KR1020050013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4952B1/ko
Publication of KR20060092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2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4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4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시스템에서의 음성 전자메일/팩시밀리 발송 및 확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화접속 서비스를 이용하여 음성 전자메일(E-Mail)의 발송 및 확인이 보다 범용적으로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통신시스템에서 전화기를 이용한 전자메일(E-Mail) 전송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가입된 가입자의 전화번호에 E-Mail 주소를 가입자별 E-Mail 테이블에 대응시켜 등록하는 서비스 등록 단계; 전화접속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서비스 접속 단계; 상기 전화접속 서비스 서버가 접속된 서비스 가입자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E-Mail 주소를 발신 E-Mail 주소로 하고 서비스 가입자가 발화한 착신 E-Mail 주소를 문자로 변환하는 주소 변환 단계; 및 상기 전화접속 서비스 서버가 서비스 가입자가 발화한 전송 내역을 문자로 변환하여, 변환된 문자 파일을 외부 E-Mail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착신 E-Mail 주소로 전송하는 E-Mail 전송 단계를 포함한다.
음성 전자메일(E-Mail), 음성 팩시밀리(FAX), 전화. VEMS, SMS

Description

통신시스템에서의 음성 전자메일/팩시밀리 발송 및 확인 방법{Voice E-mail/FAX transmission and receiving method in telecommunication system}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음성 전자메일/팩시밀리 발송 및 확인을 위한 통신시스템의 구성 예시도,
도 2 는 상기 도 1의 음성 전자메일 서버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
도 3a 및 3b 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전자메일/팩시밀리 발송 및 확인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가입자별 전자메일/팩시밀리 테이블의 구성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1 : 발신 단말기 12 : 발신 교환기(MSC)
13 : 홈위치등록기(HLR) 14 : 착신 교환기(MSC)
15 : 착신 단말기 16 : 음성 전자메일 서버(VEMS)
17 : 단문서비스 센터(SMSC) 18 : 사용자 단말기
본 발명은 통신시스템에서의 음성 전자메일(Voice E-Mail)/팩시밀리(FAX) 발송 및 확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화접속 서비스를 이용하여 음성 전자메일(E-Mail)의 발송 및 확인이 가능하고, 아울러 음성 팩시밀리(FAX)의 발송 및 확인이 가능한, 음성 전자메일/팩시밀리(FAX) 발송 및 확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전화가 대중화되면서 다양한 환경에서 전화를 사용하게 된다. 특히, 무선통신의 발달과 함께 많은 사람들이 휴대전화(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고 가정에서는 무선 전화기가 대중화되면서 전화는 이제 집안에서만 하는 것이 아니라 언제 어디서나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인터넷 발달에 힘입어, 전자메일(E-Mail)의 사용도 급증하고 있고, 현재는 없어서는 안될 만큼 전세계 인구에 급속히 파급되어 있다. 전자메일(E-Mail)은 메일 클라이언트 프로그램(메일을 송수신할 때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이용한 방식과 함께 웹브라우저에서 전자메일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메일(web mail) 방식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웹 메일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전세계 어디에 있는 컴퓨터라도 그것이 웹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상황이라면, 메일을 주고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컴퓨터를 사용할 수 없는 장소(여행중이나 기타 다른 이유로 인해 컴퓨터가 없는 장소)에서는 상기 전자메일(E-Mail) 전송 및 확인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만약 자신의 전화기 또는 휴대폰 등을 이용하여 전자메일(E-Mail)을 발송 및 확인할 수 있다면 보다 편리할 것이다. 물론, 공공의 컴퓨터를 사용한 전자메일(E-Mail)의 전송 및 확인은 개인정보 유출이나 해킹(hacking)의 위험성이 내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환경을 배제키로 한다.
하지만, 현재의 기술 수준으로 볼 때, 전화를 이용한 음성메일을 보내고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전혀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이를 위해서는 자신의 단말기 및 메일 서버에 반드시 음성메일 솔루션이 있어야만 하므로 극소수만이 전화 전자메일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점이 있다.
즉, 전화 전자메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문자데이터를 음성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합성기능, 전화로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기능이 제공되어야 하나, 이러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음성모듈을 구비하여야만 하며, 이러한 비용을 결국 사용자가 부담하게 되고, 반드시 사용자의 현재 환경에서 구비하고 있는 단말기가 이러한 기능을 제공한다는 보장 역시 불분명하다.
따라서, 컴퓨터를 사용할 수 없는 장소(여행중이나 기타 다른 이유로 인해 컴퓨터가 없는 장소)에서 자신의 단말기 및 메일 서버에 반드시 음성메일 솔루션이 없더라도 자신의 전화기 또는 휴대폰 등을 이용하여 전자메일(E-Mail)을 발송 및 확인할 수 있다면 보다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아울러, 팩시밀리(FAX)의 사용량 역시 급증하고 있는 바, FAX 장치가 없는 장소에서도 자신의 전화기 또는 휴대폰 등을 이용하여 팩시밀리(FAX)을 발송 및 확인할 수 있다면 보다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본 발명은 상기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전화접속 서비스를 이용하여 음성 전자메일(E-Mail)의 발송 및 확인이 보다 범용적으로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음성 전자메일 발송 및 확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전화접속 서비스를 이용하여 음성 팩시밀리(FAX)의 발송 및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음성 팩시밀리(FAX) 발송 및 확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신시스템에서 전화기를 이용한 전자메일(E-Mail) 전송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가입된 가입자의 전화번호에 E-Mail 주소를 가입자별 E-Mail 테이블에 대응시켜 등록하는 서비스 등록 단계; 전화접속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서비스 접속 단계; 상기 전화접속 서비스 서버가 접속된 서비스 가입자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E-Mail 주소를 발신 E-Mail 주소로 하고 서비스 가입자가 발화한 착신 E-Mail 주소를 문자로 변환하는 주소 변환 단계; 및 상기 전화접속 서비스 서버가 서비스 가입자가 발화한 전송 내역을 음성 파일화하여, 외부 E-Mail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착신 E-Mail 주소로 상기 음성 파일을 첨부하여 전송하는 E-Mail 전송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통신시스템에서 전화기를 이용한 전자메일(E-Mail) 확인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가입된 가입자의 전화번호에 E-Mail 주소를 가입자별 E-Mail 테이블에 대응시켜 등록하는 서비스 등록 단계; 상기 E-Mail 주소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단문서비스(SMS)를 통해 E-Mail 착신을 알리는 SMS 전송 단계; 전화접속 서 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서비스 접속 단계; 및 상기 전화접속 서비스 서버가 상기 가입자별 E-Mail 테이블에서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상기 E-Mail 주소에 맵핑된 문자 혹은 음성 파일을 독출하여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E-Mail 확인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한편, 본 발명은 전화기를 이용한 음성 전자메일(E-Mail) 확인을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통신시스템에, 서비스 가입된 가입자의 전화번호에 E-Mail 주소를 가입자별 E-Mail 테이블에 대응시켜 등록하는 서비스 등록 기능; 상기 E-Mail 주소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단문서비스(SMS)를 통해 E-Mail 착신을 알리는 SMS 전송 기능; 전화접속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서비스 접속 기능; 및 상기 전화접속 서비스 서버가 상기 가입자별 E-Mail 테이블에서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상기 E-Mail 주소에 맵핑된 문자 혹은 음성 파일을 독출하여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E-Mail 확인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전화기를 이용한 음성 팩시밀리(FAX) 발송을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통신시스템에, 서비스 가입된 가입자의 전화번호에 FAX 번호를 가입자별 FAX 테이블에 대응시켜 등록하는 서비스 등록 기능; 상기 FAX 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단문서비스(SMS)를 통해 FAX 착신을 알리는 SMS 전송 기능; 전화접속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서비스 접속 기능; 및 상기 전화접속 서비스 서버가 상기 가입자별 FAX 테이블에서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상기 FAX 번호에 맵핑된 문자 파일을 독출하여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FAX 확인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삭제
본 발명은 공중전화망, 이동통신망 등에서 데이터 서비스(data service)를 사용하지 않고 음성만으로 상대방에게 전자메일(E-Mail) 혹은 팩시밀리(FAX), 음성첨부메일을 보내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물론 전자메일(E-Mail) 혹은 팩시 밀리(FAX) 등을 수신하였을 때는 단문서비스(SMS)로 통보하여 주고, 서버에 접속하면 문자-음성 변환(Text-To-Speech) 기능을 사용하여 텍스트(E-Mail 문서, FAX 문서)를 음성으로 읽어준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음성 전자메일/팩시밀리 발송 및 확인을 위한 통신시스템의 구성 예시도로서,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동통신망 환경을 일예로 보여준다.
본 발명의 '음성 전자메일/팩시밀리 발송 및 확인 서비스'는 전화접속 서비스를 이용하여 음성 전자메일(E-Mail)의 발송이 가능하고, 아울러 전화접속 서비스를 통한 음성 팩시밀리(FAX)의 발송이 가능하다. 이때, 전자메일(E-Mail) 혹은 팩시밀리(FAX) 등을 수신하였을 때는 단문서비스(SMS)로 통보받고, 이의 음성 확인이 가능하다.
따라서, 서비스 가입자가 음성 전자메일 서버(VEMS : Voice E-Mail Server)(16)와 통화가 가능한 특정번호를 눌러 접속한 다음 음성으로 전자메일(E- Mail) 혹은 팩시밀리(FAX)를 작성하면, 음성 전자메일 서버(VEMS)(16)에서 음성(speech)을 문자(text)로 변환하여 해당 주소로 발송한다.
또한, 서비스 가입자가 음성 전자메일 서버(VEMS)(16)와 통화가 가능한 특정번호를 눌러 접속한 다음 자신이 등록해 놓은 전자메일(E-Mail) 혹은 팩시밀리(FAX) 번호로 전송된 내용(문서)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음성 전자메일 서버(VEMS)(16)에서는 문자(text)를 음성(speech)으로 변환하여 들려준다.
음성 전자메일 서버(VEMS)(16)는 서비스 가입자가 전자메일(E-Mail) 혹은 팩시밀리(FAX)를 수신하거나 보내야 되는 상황에서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이 가능한 컴퓨터와 같은 정보기기에 접근하기 어려운 경우에 단순 음성만으로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해주며, 공공의 컴퓨터 사용시 발생하기 쉬운 개인정보 유출이나 해킹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성 전자메일/팩시밀리 발송 및 확인 서비스'는 이동통신 시스템 뿐만 아니라, 공중전화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혹은 이동통신망에 부가적으로 공중전화망(PSTN)이 연동된 환경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음성 통화가 가능한 한 그 망에 한정되지 않고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따라서, 이하에서의 발/착신 단말기(11,15)는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셀룰러폰 혹은 PCS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등과 같은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휴대단말기(PDA) 외에도, 음성통신이 가능한 일반 유무선 전화기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음성 전자메일/팩시밀리 확인 서비스'를 위해서 일반 유무선 전화기로 사용되는 착신 단말기(15)는 SMS 가능한 단말기면 족하다.
사용자 단말기(18)로는 PC, 노트북, 개인휴대단말기(PDA), 유선 인터넷(WEB) 단말기, 무선 인터넷(WAP/ME) 단말기, 휴대 인터넷 단말기 등의 E-Mmail 가능한 단말기면 족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발/착신 단말기(11,15)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가정한 것에 불과할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미리 밝혀둔다.
그럼,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일반적인 CDMA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살펴보면, 이동통신 단말기(MS : Mobile Station)(11,15), 기지국(BTS :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기지국 제어기(BSC : Base Station Controller), 교환기(MSC : Mobile Switching Center)(12,14), 방문자위치등록기(VLR : Vistor Location Register), 홈위치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13), 그리고 단문서비스 센터(SMSC : SMS Center)(17) 등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CDMA 이동통신시스템 환경은 당해 분야에서 이미 주지된 기술에 지나지 아니하므로 여기에서는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음성 전자메일/팩시밀리 발송 및 확인 서비스''를 위해서는 음성합성 및 음성인식 기능을 제공하는 음성 전자메일 서버(VEMS)(16)를 구비하여야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MS)(11,15)는 임의의 기지국(BTS)의 범위내에 있고, 이동통 신 단말기(MS)(11,15)의 정보는 기지국(BTS)과 이를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BSC)를 거쳐 교환기(MSC)(12,14)에 전송되며, 교환기(MSC)(12,14)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는 기지국 제어기(BSC) 및 기지국(BTS)을 거쳐 이동통신 단말기(MS)(11,15)로 전송된다.
기지국(BTS)은 이동통신 단말기(MS)(11,15)와 무선을 통해 통신하고, 기지국 제어기(BSC)와 유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유무선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기지국 제어기(BSC)는 기지국(BTS)을 교환기(MSC)(12,14)에 접속시켜 기지국(BTS)간의 연결을 조정하며, 기지국(BTS)과 교환기(MSC)(12,14)간의 통신을 위한 신호처리 기능을 한다.
교환기(MSC)(12,14)는 방문자위치등록기(VLR)를 구비하며, 홈위치등록기(HLR)(13) 및 단문서비스 센터(SMSC)(17)와 연동하여 이동통신 가입자 호를 처리한다. 그리고, 교환기(12,14)는 기지국 제어기(BSC)와 접속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15)의 통화설정 및 해제 기능 등을 수행하고, 호처리 및 부가서비스 관련 각종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발신 사용자가 있는 발신 교환기(OMSC : Origination MSC)(12), 착신 사용자가 있는 착신 교환기(TMSC : Termination MSC)(14)로 구분하며, 발신 사용자와 착신 사용자가 동일 MSC내에 있을 수도 있다.
방문자위치등록기(VLR)는 이동통신 단말기(MS)(11,15)가 방문자위치등록기(VLR)에 의해 제어되는 지역내에 있는 동안 이동통신 단말기(11,15)와 관련된 가입자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자신이 담당하는 영역으로 위치 등록한 이동통신 단말기(MS)(11,15) 및 가입자의 정보를 홈위치등록기(HLR)(13)로부터 가져와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교환기(MSC)(12,14)에 실장된다.
홈위치등록기(HLR)(13)는 교환기(MSC)(12,14) 및 단문서비스 센터(SMSC)(17)에 연결되어 이동전화 가입자의 각종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여러 교환기(MSC)(12,14)와 연동하여 가입자 위치 등록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이동통신 단말기(MS)(11,15) 및 가입자의 영구적인 정보 및 위치정보 등을 저장하며, 방문자위치등록기(VLR)와 상호 작용하여 호처리 및 부가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기능을 지원한다.
단문서비스 센터(SMSC)(18)는 교환기(MSC)(12,14), 홈위치등록기(HLR)(13)에 연결되어 SMS 라우팅 기능의 핵심을 담당하며, SMS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입력되는 메시지의 목적지 주소(Destination Address)를 해석하여 해당하는 망요소로 이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음성 전자메일/팩시밀리 발송 및 확인 서비스'를 위해서는 우선 통화가 가능한 특정번호(전화번호(700-xxxx), 혹은 서비스 식별코드 "##", "**" 등)를 눌러 음성 전자메일 서버(VEMS)(16)에 접속하여, 도 4의 가입자별 전자메일/팩시밀리 테이블에 음성 전자메일/팩시밀리 발송 및 확인 대상 단말기의 전화번호A, 음성 전자메일 발송 및 확인 대상 전자메일 주소, 음성 전자메일 발송 및 확인 대상 FAX 장치의 전화번호B(FAX번호)를 등록시켜 놓는다.
따라서, 발신자의 음성 전자메일 발송시 상기 전자메일 주소가 자동으로 발신 주소가 된다. 한편, 상기 전자메일 주소로 메시지가 착신되면, E-Mail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전화번호A로 SMS를 통해 E-Mail 착신을 통보한다. 또한, 상기 FAX 장치의 전화번호B로 FAX 메시지가 착신되면, FAX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전화번호A로 SMS를 통해 FAX 착신을 통보한다.
이를 위해서, 음성 전자메일 서버(VEMS)(1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가지의 상이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network interface)를 지원하는데, 하나는 디지털 라인 인터페이스(digital line interface)를 통해 기존의 공중전화망(PSTN)/이동통신망(PLMN)과 연동하여 일반 유무선 전화기 혹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접속(access)을 지원하고 공중전화망(PSTN)과 연결되어 FAX 서버와의 연동을 지원하는 것과, 다른 하나는 IP 인터페이스를 통해 패킷망(IP 망)과 연결되어 E-mail 서버 등과 연동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유/무선 전화기(11,15)를 사용하여 디지털 라인 인터페이스(digital line interface)를 통해 음성 전자메일 서버(VEMS)(16)에 접속(access)하여 안내음성에 따라 서비스를 선택(DTMF를 누름)함으로써 음성 E-mail 전송, 음성 FAX 전송, 음성 E-mail 확인, 음성 FAX 확인이 가능하다.
그럼, 우선 발신자의 음성 전자메일 발송 과정을 도 2, 도 3a 및 3b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서비스 가입자A가 음성 전자메일 서버(VEMS)(16)와 통화가 가능한 특정번호를 눌러 디지털 라인 인터페이스(digital line interface)를 통해 음성 전자메일 서버(VEMS)(16)에 접속하면(301), 음성 전자메일 서버(VEMS)(16)는 서비스 안내멘트를 송출한다(302). 예를 들면, '등록/변경을 원하시는 경우에는 "#" 버튼, 음성 전자메일 발송은 1번, 음성 전자메일 확인은 2번, 팩시밀리 발송은 3번, 팩시밀리 확인은 4번을 눌러 주십시요'라는 안내멘트를 송출한다.
만약, 서비스 가입자A가 등록/변경을 선택한 경우에(303), 서비스 가입자A는 음성 전자메일/팩시밀리 발송 및 확인 대상 단말기의 전화번호A, 음성 전자메일 발송 및 확인 대상 전자메일 주소, 음성 전자메일 발송 및 확인 대상 FAX 장치의 전화번호B를 등록하거나, 기 등록된 정보(전화번호, 전자메일 주소, FAX번호)를 변경할 수 있다(304).
이후, 등록/변경에 대한 가입자A의 확인 절차를 거쳐, 다른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305) 안내멘트 송출 단계(302)로 천이하고, 더 이상 서비스 절차를 진행하지 않는 경우에는(305) 종료된다.
여기서, 서비스 등록/변경 과정은 전화접속 서비스에 국한되지 않고, 유무선 인터넷 접속을 통해 언제든 변경 가능하다.
한편, 서비스 가입자A가 음성 전자메일 발송 서비스를 선택한 경우에(306), 자동으로 도 4의 가입자별 전자메일/팩시밀리 테이블을 바탕으로 해당 전화번호에 매핑된 전자메일 주소가 발신주소가 되며, 착신주소를 서비스 가입자A로부터 음성 입력받는다(307). 이때, 등록된 발신주소에 대해서는 안내멘트를 통해 서비스 가입자A의 확인을 득할 수도 있으며, 서비스 가입자A는 착신주소가 "cde@empal.com"인 경우, "씨, 디, 이, 엣(/골뱅이), 이, 엠, 피, 에이, 엘, 점(/돗트), 씨, 오, 엠, 이상(/끝)" 등으로서 수신자의 전자우편 주소를 순서대로 입력하게 된다. 만약, 수신자가 2인 이상이면, "착신주소1"을 순서대로 입력한 후, "그리고"를 발화하여 다 음 착신주소가 이어짐을 알리고, "착신주소2"를 입력한 후 마지막 주소 뒤에 "이상(/끝)"을 발화하여 수신자들의 전자우편 주소를 순서대로 입력하면 된다.
여기서, 입력된 착신주소에 대해서는 안내멘트를 통해 서비스 가입자A의 확인을 득하는 과정이 수반된다. 즉, 발송자(서비스 가입자A)에 의해 음성 입력된 언어를 문자 조합을 거쳐 다시 발송자(서비스 가입자A)에게 음성으로 확인시킨다(TTL).
이후, 음성-문자 변환부(Speech-to-Text)(21)가 발신자(서비스 가입자A)의 전자메일 주소 및 음성으로 등록된 수신자의 전자메일 주소를 문자로 변환한다(308).
다음으로, 안내멘트에 따라 서비스 가입자A(발송자)는 전송방식(문자, 음성첨부파일)을 선택하고 전송할 내역(제목 포함)을 음성 입력한다(309). 이때, 서비스 가입자A의 입력 음성에 대해서는 안내멘트를 통해 가입자A의 확인을 득하는 과정이 수반될 수도 있다(선택적).
만약, 서비스 가입자A(발송자)가 문자 전송 방식을 선택한 경우에는, 음성-문자 변환부(Speech-to-Text)(21)가 발신자(서비스 가입자A)의 음성 전송내역을 문자로 변환하여(310) 문자 파일을 서비스 가입자A의 발신주소에 매핑시켜 저장부(23)에 저장해 둔다(311). 이때, 만약 착신주소가 서비스 가입자B에 의해 등록되어 있다면, 상기 문자 파일은 서비스 가입자B의 착신주소에 동일하게 매핑되어 저장된다.
이후, E-Mail 처리부(24)에서는 해당 문자 파일을 문서 변환부(26)를 통해 전자메일 포맷(HTML)에 맞춰 패킷망을 통해 E-Mail 서버와 연동하여 해당 착신주소로 전송한다(312).
만약, 착신주소가 서비스 가입자B에 의해 등록되어 있다면, 서비스 가입자B의 전화번호로 SMS를 통해 E-Mail 착신을 통보한다(313). 이때, 콜백(call-back) 번호를 함께 전송하여 음성 전자메일 서버(VEMS)(16)의 자동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서비스 가입자A(발송자)가 음성첨부파일 전송 방식을 선택한 경우에는, 발신자(서비스 가입자A)의 음성 전송내역은 PCM 등의 음성 파일 형태로 서비스 가입자A의 발신주소에 매핑되어 저장부(23)에 저장된다(314). 이때, 만약 착신주소가 서비스 가입자B에 의해 등록되어 있다면, 상기 음성 파일은 서비스 가입자B의 착신주소에 동일하게 매핑되어 저장된다.
이후, E-Mail 처리부(24)에서는 해당 음성 파일을 첨부파일 형태로 패킷망을 통해 E-Mail 서버와 연동하여 해당 착신주소로 전송한다(315).
만약, 착신주소가 서비스 가입자B에 의해 등록되어 있다면, 서비스 가입자B의 전화번호로 SMS를 통해 E-Mail 착신을 통보한다(316). 이때 역시, 콜백(call-back) 번호를 함께 전송하여 음성 전자메일 서버(VEMS)(16)의 자동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사용자C가 서비스가입자B의 착신주소로 E-Mail을 전송한 경우에, 음성 전자메일 서버(VEMS)(16)는 외부 E-Mail 서버와 연동되어 있으므로, 서비스 가입자B의 전자메일 주소로 착신되는 문자 파일 혹은 음성 첨부파일을 서비스 가입자B의 착신주소에 매핑시켜 저장부(23)에 저장해 둔다. 그리고, 서비스 가입자B의 전화번호로 SMS를 통해 E-Mail 착신을 통보한다. 이때 역시, 콜백(call-back) 번호를 함께 전송하여 음성 전자메일 서버(VEMS)(16)의 자동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서비스 가입자B는 음성 전자메일 확인 서비스를 선택하여(306), 도 4의 가입자별 전자메일/팩시밀리 테이블을 바탕으로 자신의 전화번호에 매핑된 전자메일 주소로 착신된 내용(문자 파일, 음성첨부파일)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때 문자 파일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문자-음성 변환부(Text-to-Speech)(22)가 발신자(서비스 가입자A)의 문자 파일을 음성으로 변환하여(317) 음성 코덱을 통해 출력한다(318). 그러나, 음성 파일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음성 코덱을 통해 출력한다(318). 따라서, 서비스 가입자B는 자신이 등록해 놓은 전자메일 주소로 착신된 문자 혹은 음성첨부파일 형태의 메시지를 음성으로 청취할 수 있다.
즉, 서비스 가입자B의 단말기로 착신되는 SMS 메시지에는 콜백번호(call- back)가 함께 전송되어, 해당 E-Mail을 세션(session)으로 곧바로 연결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가입자는 통화버튼을 누름으로써, 해당 E-Mail 세션에 접근이 가능하며, 음성 전자메일 서버(VEMS)(16)는 해당 E-Mail의 내용을 TTS(Text-to-Speech)기능을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읽어준다.
한편, 서비스 가입자A가 음성 전자메일 서버(VEMS)(16)와 통화가 가능한 특정번호를 눌러 디지털 라인 인터페이스(digital line interface)를 통해 음성 전자메일 서버(VEMS)(16)에 접속하여(301), 안내멘트에 따라(302) 음성 팩시밀리(FAX) 발송 서비스를 선택한 경우에(306), 자동으로 도 4의 가입자별 전자메일/팩시밀리 테이블을 바탕으로 해당 전화번호에 매핑된 FAX번호가 발신번호가 되며, 착신번호를 서비스 가입자A로부터 음성 입력받는다(319). 이때, 등록된 발신번호(FAX번호)에 대해서는 안내멘트를 통해 서비스 가입자A의 확인을 득할 수도 있으며, 서비스 가입자A는 착신번호(FAX번호)가 "02)123-4567"인 경우, "공, 이, 일, 이, 삼, 사, 오, 육, 칠, 이상(/끝)" 등으로서 수신자의 FAX번호를 순서대로 입력하게 된다. 여기서, 입력된 착신번호(FAX번호)에 대해서는 안내멘트를 통해 서비스 가입자A의 확인을 득하는 과정이 수반된다. 즉, 발송자(서비스 가입자A)에 의해 음성 입력된 언어를 문자 조합을 거쳐 다시 발송자(서비스 가입자A)에게 음성으로 확인시킨다(TTL).
이후, 음성-문자 변환부(Speech-to-Text)(21)가 발신자(서비스 가입자A)의 FAX번호 및 음성으로 등록된 수신자의 FAX번호를 문자로 변환한다(320).
다음으로, 안내멘트에 따라 서비스 가입자A(발송자)는 FAX로 전송할 내역(제목 포함)을 음성 입력한다(321). 이때, 서비스 가입자A의 입력 음성에 대해서는 안내멘트를 통해 가입자A의 확인을 득하는 과정이 수반될 수도 있다(선택적).
이어서, 음성-문자 변환부(Speech-to-Text)(21)가 발신자(서비스 가입자A)의 음성 전송내역을 문자로 변환하여(323) 문자 파일(FAX 문서)을 서비스 가입자A의 FAX번호에 매핑시켜 저장부(23)에 저장해 둔다(311). 이때, 만약 착신번호(FAX번호)가 서비스 가입자B에 의해 등록되어 있다면, 상기 문자 파일(FAX 문서)은 서비스 가입자B의 FAX번호에 동일하게 매핑되어 저장된다.
이후, FAX 처리부(25)에서는 해당 문자 파일을 문서 변환부(26)를 통해 FAX 전송에 필요한 포맷(TIFF)에 맞춰 공중전화망(PSTN)을 통해 FAX 서버와 연동하여 해당 착신번호(FAX번호)의 FAX 장치로 전송한다(324).
만약, 착신번호(FAX번호)가 서비스 가입자B에 의해 등록되어 있다면, 서비스 가입자B의 전화번호로 SMS를 통해 E-Mail 착신을 통보한다(325). 이때, 콜백(call-back) 번호를 함께 전송하여 음성 전자메일 서버(VEMS)(16)의 자동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사용자C가 서비스가입자B의 FAX번호로 FAX를 전송한 경우에, 음성 전자메일 서버(VEMS)(16)는 외부 FAX 서버와 연동되어 있으므로, 서비스 가입자B의 FAX번호로 착신되는 문자 파일(FAX 문서)를 서비스 가입자B의 FAX번호에 매핑시켜 저장부(23)에 저장해 둔다. 그리고, 서비스 가입자B의 전화번호로 SMS를 통해 FAX 착신을 통보한다. 이때 역시, 콜백(call-back) 번호를 함께 전송하여 음성 전자메일 서버(VEMS)(16)의 자동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서비스 가입자B는 팩시밀리(FAX) 확인 서비스를 선택하여(306), 도 4의 가입자별 전자메일/팩시밀리 테이블을 바탕으로 자신의 전화번호에 매핑된 FAX번호로 착신된 내용(문자 파일)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때 문자 파일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문자-음성 변환부(Text-to-Speech)(22)가 발신자(서비스 가입자A)의 문자 파일을 음성으로 변환하여(326) 음성 코덱을 통해 출력한다(327). 따라서, 서비스 가입자B는 자신이 등록해 놓은 FAX번호로 착신된 문자 파일 형태의 메시지를 음성으로 청취할 수 있다.
즉, 서비스 가입자B의 단말기로 착신되는 SMS 메시지에는 콜백번호(call- back)가 함께 전송되어, 해당 FAX를 세션(session)으로 곧바로 연결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가입자는 통화버튼을 누름으로써, 해당 FAX 세션에 접근이 가능하며, 음성 전자메일 서버(VEMS)(16)는 해당 FAX의 내용을 TTS(Text-to-Speech)기능을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읽어준다.
상기에서, 서비스 가입자A는 자신이 발송한 E-Mail 및 FAX 내역이 가입자별 전자메일/팩시밀리 테이블에 매핑되어 저장되어 있으므로, 이의 조회가 언제든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현재 컴퓨터가 없는 이동 중이거나 기타 다른 상황에서 전화기(이동통신 단말기 포함)를 통해 음성으로 간단하게 전자메일(E-Mail), 팩시밀리(FAX)를 전송하거나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3)

  1. 삭제
  2. 통신시스템에서 전화기를 이용한 전자메일(E-Mail) 전송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가입된 가입자의 전화번호에 E-Mail 주소를 가입자별 E-Mail 테이블에 대응시켜 등록하는 서비스 등록 단계;
    전화접속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서비스 접속 단계;
    상기 전화접속 서비스 서버가 접속된 서비스 가입자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E-Mail 주소를 발신 E-Mail 주소로 하고 서비스 가입자가 발화한 착신 E-Mail 주소 를 문자로 변환하는 주소 변환 단계; 및
    상기 전화접속 서비스 서버가 서비스 가입자가 발화한 전송 내역을 음성 파일화하여, 외부 E-Mail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착신 E-Mail 주소로 상기 음성 파일을 첨부하여 전송하는 E-Mail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음성 전자메일 발송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E-Mail 전송 단계에서,
    상기 착신 E-Mail 주소가 상기 가입자별 E-Mail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착신 E-Mail 주소에 상기 변환된 문자 파일을 맵핑시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음성 전자메일 발송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E-Mail 주소가 상기 가입자별 E-Mail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착신 E-Mail 주소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단문서비스(SMS)를 통해 E-Mail 착신을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음성 전자메일 발송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서비스(SMS)를 통한 E-Mail 착신 알림시,
    상기 전화접속 서비스 콜백 번호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음성 전자메일 발송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등록 단계는,
    상기 전화접속 서비스 서버를 통해 접속하거나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여 서비스 가입자의 전화번호 및 E-Mail 주소를 등록/갱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음성 전자메일 발송 방법.
  7. 제 4 항의 음성 전자메일 발송 방법에 의해 발송된 E-Mail을 확인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화접속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서비스 접속 단계; 및
    상기 전화접속 서비스 서버가 상기 가입자별 E-Mail 테이블을 바탕으로 접속된 서비스 가입자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E-Mail 주소에 맵핑된 문자 혹은 음성 파일을 독출하여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E-Mail 확인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음성 전자메일 확인 방법.
  8. 통신시스템에서 전화기를 이용한 전자메일(E-Mail) 확인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가입된 가입자의 전화번호에 E-Mail 주소를 가입자별 E-Mail 테이블에 대응시켜 등록하는 서비스 등록 단계;
    상기 E-Mail 주소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단문서비스(SMS)를 통해 E-Mail 착신을 알리는 SMS 전송 단계;
    전화접속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서비스 접속 단계; 및
    상기 전화접속 서비스 서버가 상기 가입자별 E-Mail 테이블에서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상기 E-Mail 주소에 맵핑된 문자 혹은 음성 파일을 독출하여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E-Mail 확인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음성 전자메일 확인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등록 단계는,
    상기 전화접속 서비스 서버를 통해 접속하거나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여 서비스 가입자의 전화번호 및 E-Mail 주소를 등록/갱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음성 전자메일 확인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SMS 전송 단계에서,
    상기 단문서비스(SMS)를 통한 E-Mail 착신 알림시, 상기 전화접속 서비스 콜백 번호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음성 전자메일 확인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통신시스템에서 전화기를 이용한 팩시밀리(FAX) 확인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가입된 가입자의 전화번호에 FAX 번호를 가입자별 FAX 테이블에 대응시켜 등록하는 서비스 등록 단계;
    상기 FAX 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단문서비스(SMS)를 통해 FAX 착신을 알리는 SMS 전송 단계;
    전화접속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서비스 접속 단계; 및
    상기 전화접속 서비스 서버가 상기 가입자별 FAX 테이블에서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상기 FAX 번호에 맵핑된 문자 파일을 독출하여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FAX 확인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음성 팩시밀리 확인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등록 단계는,
    상기 전화접속 서비스 서버를 통해 접속하거나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여 서비스 가입자의 전화번호 및 FAX 번호를 등록/갱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음성 팩시밀리 확인 방법.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SMS 전송 단계에서,
    상기 단문서비스(SMS)를 통한 FAX 착신 알림시, 상기 전화접속 서비스 콜백 번호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음성 팩시밀리 확인 방법.
  20. 삭제
  21. 전화기를 이용한 음성 전자메일(E-Mail) 확인을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통신시스템에,
    서비스 가입된 가입자의 전화번호에 E-Mail 주소를 가입자별 E-Mail 테이블에 대응시켜 등록하는 서비스 등록 기능;
    상기 E-Mail 주소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단문서비스(SMS)를 통해 E-Mail 착신을 알리는 SMS 전송 기능;
    전화접속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서비스 접속 기능; 및
    상기 전화접속 서비스 서버가 상기 가입자별 E-Mail 테이블에서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상기 E-Mail 주소에 맵핑된 문자 혹은 음성 파일을 독출하여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E-Mail 확인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2. 삭제
  23. 전화기를 이용한 음성 팩시밀리(FAX) 발송을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통신시스템에,
    서비스 가입된 가입자의 전화번호에 FAX 번호를 가입자별 FAX 테이블에 대응시켜 등록하는 서비스 등록 기능;
    상기 FAX 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단문서비스(SMS)를 통해 FAX 착신을 알리는 SMS 전송 기능;
    전화접속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서비스 접속 기능; 및
    상기 전화접속 서비스 서버가 상기 가입자별 FAX 테이블에서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상기 FAX 번호에 맵핑된 문자 파일을 독출하여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FAX 확인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50013363A 2005-02-18 2005-02-18 통신시스템에서의 음성 전자메일/팩시밀리 발송 및 확인 방법 KR100684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363A KR100684952B1 (ko) 2005-02-18 2005-02-18 통신시스템에서의 음성 전자메일/팩시밀리 발송 및 확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363A KR100684952B1 (ko) 2005-02-18 2005-02-18 통신시스템에서의 음성 전자메일/팩시밀리 발송 및 확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2470A KR20060092470A (ko) 2006-08-23
KR100684952B1 true KR100684952B1 (ko) 2007-02-22

Family

ID=37593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3363A KR100684952B1 (ko) 2005-02-18 2005-02-18 통신시스템에서의 음성 전자메일/팩시밀리 발송 및 확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495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0880A (ja) * 1996-12-27 1998-07-21 Casio Comput Co Ltd 移動端末音声認識/電子メール・fax作成送信シ 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0880A (ja) * 1996-12-27 1998-07-21 Casio Comput Co Ltd 移動端末音声認識/電子メール・fax作成送信シ ステ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088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2470A (ko) 2006-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56890B2 (ja) メール通知システム、ゲートウェイ装置、及び携帯電話端末
EP2014107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ms2pstn united messaging service using sms/mms gateway
EP1321002B1 (en) Instant video- and voicemail messaging method and means
RU2303332C2 (ru) Система отправки текстовых сообщений, преобразованных в речь, через соединение интернет с телефоном и способ ее работы
US7317929B1 (en) Delivery of voice data from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messages
WO2003030471A1 (en) Packetized voice messaging
KR100729991B1 (ko) W-cdma망에서 동영상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 및장치
KR100754449B1 (ko) 착신 단말기의 발신자 개인 정보 전달 방법 및 시스템
KR100627784B1 (ko) 이종 시스템간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정보 공유 방법
KR100684952B1 (ko) 통신시스템에서의 음성 전자메일/팩시밀리 발송 및 확인 방법
KR20050041742A (ko) 문자 메시지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050101924A (ko) 단말기의 지원 언어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 변환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6270891A (ja) メッセージ変換システム、メッセージ変換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50027332A (ko) 지능망을 이용한 휴대폰 위치확인 시스템
JPWO2002060165A1 (ja) 所定の言語により通信する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サーバ、端末、および通信方法
KR100693751B1 (ko) 엠엠에스를 이용한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075795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선 전화로의 문자 메시지 전송시스템 및 방법
KR20040040543A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sms 폰 메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10099095A (ko) 통합메세징시스템의 이메일주소록검색방법
KR20040031482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메시지로부터 변환된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방법
JP2005168003A (ja) メール通知システム
CN101217610A (zh) 基于媒体服务器的传真方法
KR101172262B1 (ko) 착신 호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서버와 이를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465916B1 (ko) 무선 통신망에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통합 채널의구성 방법 및 장치
KR20010047655A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우편 답장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