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4449B1 - 착신 단말기의 발신자 개인 정보 전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착신 단말기의 발신자 개인 정보 전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4449B1
KR100754449B1 KR1020050033469A KR20050033469A KR100754449B1 KR 100754449 B1 KR100754449 B1 KR 100754449B1 KR 1020050033469 A KR1020050033469 A KR 1020050033469A KR 20050033469 A KR20050033469 A KR 20050033469A KR 100754449 B1 KR100754449 B1 KR 100754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er
personal inform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3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1112A (ko
Inventor
박성수
이동학
정원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3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4449B1/ko
Publication of KR20060111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1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4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4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9/00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having characteristics specified in one of the subgroups of this gro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Apparatus or tools for mounting or dismounting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신 단말기의 발신자 개인 정보 전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착신자가 발신자의 발신자 개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망을 포함한 발신자 개인 정보 전달 시스템으로서, 상기 이동통신망, 유선 전화 또는 인터넷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발신자 개인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호 설정 실패 신호 및 호 설정 성공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발신자 전화 번호, 특정 DTMF 정보를 포함한 발신자 개인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받은 후, 상기 발신자 개인 정보를 추출하여 전송하는 고객 서비스 서버; 상기 발신자의 키 값 입력을 받아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고객 서비스 서버에 무선으로 접속하고, 상기 착신자에게 전달할 상기 발신자 개인 정보를 입력받아 전송하며, 무선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발신자 개인 정보 표시 서비스에 등록하는 발신 단말기; 및 상기 고객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발신자 개인 정보를 전송받아 출력하는 착신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고객 서비스 서버는 상기 발신자 개인 정보를 메시지 시스템을 통해 메시지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특정 DTMF 정보로 입력된 전화 번호와 발신 표시에 의한 전화 번호가 다를 경우, 상기 특정 DTMF 정보로 입력된 전화 번호를 기반으로 상기 고객 서비스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발신자 개인 정보를 검색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자의 발신자 개인 정보 전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착신자가 발신자 미확인으로 인한 불필요한 전화 통화 시도방지와 중요한 전화를 잃어버리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발신자 개인 정보, 착신 단말기, 발신 단말기, 발신 표시 전화 번호

Description

착신 단말기의 발신자 개인 정보 전달 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aller Information Management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기의 발신자 개인 정보 전달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착신자의 발신자 개인 정보 전달 시스템에서 발신자 개인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간 통화에 발신자 개인 정보 표시 서비스를 적용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선 전화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간 통화에 발신자 개인 정보 표시 서비스를 적용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객 서비스 서버에 입력, 저장되어 착신 단말기로 표시되는 발신자 개인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발신 단말기 110: 착신 단말기
120: 이동통신망 121, 124: 무선 접속망
122, 125: 기지국 전송기 123, 126: 기지국 제어기
127: 홈 위치 등록기(HLR) 128: SMS 센터
129: 이동통신 교환국 130: 고객 서비스 서버
132: 개인 정보 서버 134: 고객 정보 서버
본 발명은 착신 단말기의 발신자 개인 정보 전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부재중이나 회의, 단말 전원 오프 등으로 인해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에서 착신 단말기에서 발신자 개인 정보를 알 수 있도록 발신 단말기로부터 입력되어 등록된 발신자 개인 정보를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착신 단말기의 발신자 개인 정보 전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확대된 가입자 보급으로 인해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의 서비스는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통신 사업자들은 다양한 환경을 고려한 부가 서비스를 개발하여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 중 유무선 전화 서비스에서 착신자가 발신자가 누구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부재중 통화에 대한 효과적인 처리를 통해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는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면, 걸려온 전화에 대해 누가 전화를 걸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발신자 번호 표시 서비스와, 간단한 문자 인사말 전송이 가능한 발신자 애칭 표시 서비스, 단말기 전원이 꺼져 있을 동안 걸려온 전화에 대해 착신자 단말의 전원이 켜지면 발신 번호를 통보해 주는 서비스, 상대방이 전화를 받지 않을 경우 자 신의 메시지를 녹음하는 음성 사서함 서비스, 발신자의 전화 번호를 문자 메시지로 전달해주는 서비스 등이 있다.
이러한 서비스를 통해 부재중 호를 수신한 사용자는 부재중 호에 대한 발신자 정보를 확인하고 재통화를 시도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발신자 설정 문자 정보, 발신 번호 표시 정보 및 착신 단말 내장 전화 번호부의 정보 등을 고려하여 부재중 통화호에 대한 발신자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하지만, 부재중 통화호에 있어서 전술한 정보만으로 발신자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가 존재하며, 이러한 경우 직접 전화 통화를 통해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여기서, 발신 번호 표시(CID: Caller ID) 서비스란, 발신자의 전화 번호를 통화 개시 전 또는 통화 중에 착신자 단말기(착신자의 전화기 또는 표시 단말기)에 표시하여 주는 서비스이다.
종래에 제공되고 있는 발신 번호 표시 서비스는 호 착신할 때 착신자 단말기에 발신자 단말기의 전화 번호가 표시되거나 발신자 단말기의 전화 번호에 상응하여 착신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화면이 함께 표시되는 방법으로 제공되고 있다.
여기서, 발신자 애칭 표시 서비스란 착신 교환기와 착신 단말간 호 설정 과정에서 신호 메시지의 부가 정보로 발신 가입자가 설정해 놓은 메시지를 전달하게 된다.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하고 있는 애칭 서비스는 단말의 디스플레이 등을 고려하여, 16 바이트 정도의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 중에 대부분은 자신의 신상 정보와 관련이 없는 인사말을 등록하여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착신자는 발신 번호 표시 서비스에 의한 발신자의 전화 번호와 발신자 애칭 표시 서비스에 의한 발신자의 이름, 애칭으로 착신 호에 대한 발신자를 유추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발신자와 착신자가 어떠한 관계도 없는 경우 발신자에 대한 정보 획득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발신자 번호 표시 서비스는 전화 번호만으로 발신자를 식별하여야 하므로 착신자가 자신의 단말기 내에 저장된 전화 번호와 발신자의 전화 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발신자가 누구인지를 파악하기 어렵다. 또한, 발신자가 발신 번호 표시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사설 교환기의 유선 전화를 사용하거나 착신이 금지된 발신 전용 전화인 경우 착신자가 누구인지를 판단하거나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발신 번호 표시 서비스와 발신자 애칭 표시 서비스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애칭 부분에 자신의 이름과 같은 신상 정보를 함께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발신자 애칭 표시 서비스의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정 화면에 한 줄로 표기하기 위해 8 자(16 바이트) 정도의 문자로만 제한된다. 따라서 착신자는 발신 번호 표시 서비스에 의한 발신 사용자의 전화 번호와 발신자 애칭 표시 서비스에 의한 발신자의 이름으로 착신 호에 대한 발신자를 유추해내야 한다.
따라서, 부재중 통화에 대한 정보가 이름과 발신 전화 번호인 경우 발신자와 착신자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어, 착신자가 이름 및 전화 번호 정도로 발신자가 누구인지를 정확히 알 수 있다면, 응답 전화를 해야 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 전화 통화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
하지만, 친분이나 기존에 아무런 정보가 없는 사람에 의한 전화, 전화 번호 변경 등으로 인해 착신자가 기존의 정보만으로 발신자를 식별할 수 없는 경우 착신 자는 어색함을 감수하면서 발신 번호 표시 서비스에 의해 획득한 전화 번호로 통화를 시도하여 부재중 호의 발신 사용자를 확인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그렇지 않으면 부재중 전화를 무시하고 다시 전화가 걸려올 때까지 기다리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며, 발신자의 전화가 착신자에게 중요한 전화인 경우 착신자에게 중요한 전화 통화 기회를 잃어 버릴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부재중 또는 전원 오프와 같은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 또는 음성 호가 연결된 상황에서 착신자가 발신자의 발신자 개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착신자의 발신자 개인 정보 전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발신자가 입력한 발신자 개인 정보를 등록, 저장하였다가 특정 DTMF 정보, 호 미착신 또는 호 착신시 착신 단말기의 발신자 개인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유선 전화와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특정 DTMF 정보, 호 미착신 또는 호 착신시 착신 단말기의 발신자 개인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발명의 제 1 목적에 의하면, 착신자가 발신자의 발신자 개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망을 포함한 발신자 개인 정보 전달 시스템으로서, 상기 이동통신망, 유선 전화 또는 인터넷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발신자 개인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호 설정 실패 신호 및 호 설정 성공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발신자 전화 번호, 특정 DTMF 정보를 포함한 발신자 개인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받은 후, 상기 발신자 개인 정보를 추출하여 전송하는 고객 서비스 서버; 상기 발신자의 키 값 입력을 받아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고객 서비스 서버에 무선으로 접속하고, 상기 착신자에게 전달할 상기 발신자 개인 정보를 입력받아 전송하며, 무선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발신자 개인 정보 표시 서비스에 등록하는 발신 단말기; 및 상기 고객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발신자 개인 정보를 전송받아 출력하는 착신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고객 서비스 서버는 상기 발신자 개인 정보를 메시지 시스템을 통해 메시지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특정 DTMF 정보로 입력된 전화 번호와 발신 표시에 의한 전화 번호가 다를 경우, 상기 특정 DTMF 정보로 입력된 전화 번호를 기반으로 상기 고객 서비스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발신자 개인 정보를 검색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자의 발신자 개인 정보 전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에 의하면, 이동통신 교환국을 포함한 이동통신망, 발신 단말기, 착신 단말기 및 고객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발신자 개인 정보 전달 시스템에서 상기 착신 단말기의 발신자 개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상기 발신자 개인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전달할 상기 발신자 개인 정보를 입력받아 발신자 개인 정보 표시 서비스에 등록하는 단계; (b)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단말기 간에 호 설정 실패 신호 또는 호 설정 성공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으로부터 발신자 전화 번호, 특정 DTMF 정보를 포함한 상기 발신자 개인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발신자 개인 정보 요청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발신자 전화 번호 또는 상기 특정 DTMF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 번호를 질의어로 상기 발신자 개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추출하는 단계; 및 (d) 추출한 상기 발신자 개인 정보를 메시징 시스템을 통해 메시지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특정 DTMF 정보로 입력된 전화 번호와 발신 표시에 의한 전화 번호가 다를 경우, 상기 질의어는 상기 특정 DTMF 정보로 입력된 전화 번호를 기반으로 상기 고객 서비스 서버의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발신자 개인 정보를 검색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단말기의 발신자 개인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기의 발신자 개인 정보 전달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기(110)의 발신자 개인 정보 전달 시스템은 발신 단말기(100), 착신 단말기(110), 이동통신망(120), 고객 서비스 서버(1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발신 단말기(100)는 이동통신망(120)을 통해 고객 서비스 서버(130)에 무선으로 접속하기 위한 기능을 구비하고, 사용자의 키 값 입력에 따라 고객 서비스 서버(130)에 접속하여 발신자 개인 정보 표시 서비스에 가입하며, 발신자의 개인 정보를 입력하여 고객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발신 단말기(100)는 이동통신망(120)과 연결되어 착신 단말기(110)와의 무선 통신으로 통상적인 음성 통화를 수행하도록 하며, 이동통신망(120)으로부터의 세션 설정 요청에 따라 자동적으로 세션 설정 절차를 수행하고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기이다.
착신 단말기(110)는 발신 단말기(100)와 통화호를 시도하다 실패한 경우 발신자 개인 정보 표시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발신 단말기(100)의 개인 정보를 고객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전송받아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발신/착신 단말기(100, 110)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MBS폰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제 4 세대 시스템에서 사용될 이동통신 단말기를 말한다. 또한, 발신/착신 단말기(100, 110)가 이동통신망(120)을 통해 고객 서비스 서버(130)에 접속하기 위한 수단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브라우저(Browser)가 설치되어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브라우저는 무선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에 기반한 WAP 브라우저,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HTML에 기반한 MIE(Microsoft Internet Explorer), 핸드헬드 디바이스 트랜스포트 프로토콜(HDTP: Handheld Device Transport Protocol) I-mode, BREW(Binary Runtime Environment for Wireless), SK 텔레콤사의 'NATE' 등이 될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신/착신 단말기(100, 110)에서 사용하는 인터넷 접속 프로토콜 중에서, MIE는 HTML을 약간 변형시켜 축약한 m-HTML을 사용하고, i-Mode의 경우에는 HTML의 서브 세트인 콤팩트 HTML(c-HTML)이라는 언어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발신자 개인 정보 표시 서비스를 예로 들고 있지만 유선으로 연결되는 유선 전화와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발신자 개인 정보 표시 서비스를 공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120)은 무선 접속망(RAN: Radio Access Network)(121, 124), 이동통신 교환국(129),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127),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Visitor Location Register)(미도시), SMS 센터(128)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이동통신망(120)은 IS-95B 방식의 이동통신망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무선 인터넷을 포함한 SIP 기반의 동기 방식의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시스템, SIP 기반의 비동기 방식, IS-95C 방식의 이동통신망, W-CDMA 이동통신망, 휴대 인터넷망 등 단말기 사이의 무선 데이터를 중개하는 어떠한 이동통신망(120)도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무선 접속망(121, 124)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는 지상의 인프라로서, 핸드오프(Handoff) 및 무선 자원 관리 기능 등을 포함한다. 무선 접속망(121, 124)은 기지국 전송기(BTS: Base-station Transmission System)(122, 125), 기지국 제어기(BSC: Base Station Controller)(123, 126) 및 중계기(Cell Enhancer: 미도시) 등으로 구성되고 동기식 및 비동기식을 모두 지원한다.
기지국 전송기(122, 125)는 신호 채널 중 트래픽(Traffic) 채널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통화 요청 신호를 기지국 제어기(123, 126)로 전송한다. 또한, 기지국 전송기(122, 125)는 기저 대역 신호 처리, 유무선 변환, 무선 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망 종단(Endpoint) 장치이다.
또한, 기지국 전송기(122, 125)는 각기 셀(Cell) 단위로 배치되어 있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통화 요청을 이동통신 교환국(129)으로 전송하거나 자신이 관할하는 셀 영역에 존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정보 등록을 수행한다.
기지국 전송기(122, 125)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로부터 기지국 전송기(122, 125)의 위치 정보를 순방향 링크 호출 채널의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달한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자신이 속해 있는 셀의 기지국 전송기(122, 125)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자신의 이동 거리를 계산함으로써 새로운 위치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위치 정보 등록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상태, 식별자, 슬롯 주기 및 그 밖의 다른 특징들을 해당 기지국 전송기(122, 125)를 통하여 이동통신 교환국(129)에 알리는 처리 절차로서, 기지국 전송기(122, 125)를 통하여 이동통신 교환국(129)으로 착신 호를 설정하고자 할 때 이동통신 단말기를 효과적으로 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절차이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등록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할 때, 이동통신 단말기가 핸드오프(Handoff)할 때,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스템 파라미터가 변경되는 경우에 실시된다.
기지국 제어기(123, 126)는 기지국 전송기(122, 125)를 제어하며,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무선 채널 할당 및 해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기지국 전송기(122, 125)의 송신 출력 제어, 셀간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 및 하드 핸드오프(Hard Handoff) 결정, 트랜스코딩(Transcoding) 및 보코딩(Vocoding),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클럭 분배, 기지국에 대한 운용 및 유지 보수 기능 등을 수행한다. 기지국 제어기(123, 126)는 기지국 전송기(122, 125)를 통하여 수신된 통화 요청 신호를 이동통신 교환국(129)으로 전달한다.
이동통신 교환국(129)은 제어부, 통화로부 및 주변기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위치 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 타 망과의 연동 기능 등을 수행한다. IS-95 A/B/C 시스템의 이동통신 교환국(129)은 분산된 호 처리의 기능을 수행하는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 집중화된 호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운용 및 보전의 집중화 기능을 담당하는 CCS(Central Control Subsystem), 이동 가입자에 대한 정보의 저장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LRS(Location Registration Subsystem) 등의 서브 시스템을 포함한다.
또한, 3 세대 및 4 세대를 위한 이동통신 교환국(129)에는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스위치(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는데, ATM 스위치는 셀 단위의 패킷 전송으로 전송 속도와 회선 사용의 효율을 증대시킨다.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 이하 'HLR'이라 칭함)(127)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미도시)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전송받아 등록 인식, 등록 삭제, 위치 확인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홈 위치 등록기(127)에는 통화 대기 중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로파일(Profile)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프로파일 정보란 이동통신 단말기의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ESN(Electronic Serial Number) 및/또는 가입된 이동 통신 서비스 정보 등을 말한다.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Visitor Location Register)(미도시)는 위치 등록이 수행되는 방문 가입자의 위치 정보, 발신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발신의 경우, 착신 이동 통신 단말기로의 착신 등의 경우에 가입자 데이터를 이동통신 교환국(129)으로부터 전달받아 저장한다. 방문자 위치 등록기(미도시)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 정보 등록을 수행할 때, 가입자 정보를 임시로 저장하여 방문자 위치 등록기(미도시)로 통보를 하며 방문자 위치 등록기(미도시)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 식별 번호, 단말기 고유 번호 및 서비스 정보 등의 복사본을 넘겨받아 관리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제어, 호 처리, 외부 동작 처리 등에 활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SMS 센터(128)는 이동통신 교환국(129)과 연동하고 있으며, 발신자 개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고객 서비스 서버(130)의 개인 정보 서버(132)로부터의 SMS 메시지 요청에 따라 전달 메시지(발신자 개인 정보)를 SMS 메시지로 전환하여 수신측인 착신 단말기(110)로 전송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객 서비스 서버(130)는 개인 정보 서버(132), 고객 정보 서버(13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개인 정보 서버(132)는 발신 단말기(100)로부터 발신자 개인 정보 표시 서비스에 가입한 발신자 개인 정보(이름, 직장명, 직장 전화 번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 이메일 주소 등)를 포함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등록, 저장하며, 발신 단말기(100)의 발신자 개인 정보 표시 서비스에 가입한 등록 정보를 고객 정보 서버(134)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개인 정보 서버(132)는 이동통신 교환국(129)으로부터 발신자 개인 정보 전송을 요청받으면, 이동통신 교환국(129)과 연동하고 있는 메시징 시스템을 통해 다양한 형태(SMS, MMS, 이메일 등)로 발신자 개인 정보를 착신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고객 정보 서버(134)는 개인 정보 서버(132)로부터 발신자 개인 정보 표시 서비스에 가입한 발신 단말기(100)의 등록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이동통신 교환국(129)으로부터 발신자 개인 정보 표시 서비스에 발신자가 등록되었는지 질의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질의 요청 신호에 대한 발신자의 등록 여부를 알 수 있는 응답 신호를 생성하여 이동통신 교환국(129)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착신자의 발신자 개인 정보 전달 시스템에서 발신자 개인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발신 단말기(100)는 이동통신망(120)을 통해 고객 서비스 서버(130)에 접속하여 유선 인터넷을 통한 홈페이지 접속 또는 무선 인터넷 접속을 통한 포탈 접속으로 컨텐츠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발신자 개인 정보 표시 서비스를 등록한다. 발신 단말기(100)로부터 착신 단말기(110)로 전달할 발신자 개인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받아 고객 서비스 서버(130)의 개인 정보 서버(132)에 등록, 저장한다(S200). 개인 정보 서버(132)는 발신 단말기(100)의 발신자 개인 정보 표 시 서비스에 가입한 사실을 포함한 등록 정보를 고객 정보 서버(134)로 전송하여 저장시킨다(S202). 발신자 개인 정보 표시 서비스에 가입된 발신 단말기(100)가 착신 단말기(110)에 음성 통화를 시도하게 되면(S204), 이동통신 교환국(129)에서는 전술한 등록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고객 서비스 서버(130)의 고객 정보 서버(134)에 발신 단말기(100)가 발신자 개인 정보 표시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등록여부를 질의하고 대응되는 등록 여부 응답 신호를 전송받은 후, 착신 단말기(110)로 호 설정을 요청한다(S206, S208).
착신 단말기(110)로 호 설정이 이루어지면, 착신자가 전화를 받아 음성 통화를 하게 되며, 일반적인 발신자 개인 정보 표시 서비스는 중단된다. 물론 착신이 성공한 음성호에 대해서도 발신자 개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착신자의 부재중 또는 다른 사유로 인해 호 착신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착신 호 설정은 중단되고, 음성 사서함 서비스로 연결을 시도하며 발신자는 음성 사서함에 자신의 용건과 전화 번호를 남긴 후에 서비스를 종료하게 된다.
발신호가 착신자의 부재로 인해 부재중 호로 종료되는 경우 이동통신 교환국(129)은 발신 단말기(100)가 발신자 개인 정보 표시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고객 서비스 서버(130)의 개인 정보 서버(132)로 발신자 개인 정보 전송을 요청하게 된다(S210). 이어서, 개인 정보 서버(132)는 연동되어 있는 메시징 시스템(SMS, MMS, 이메일 등)을 이용하여 발신자 개인 정보를 메시지 형태로 변환하여 착신 단말기(110)에 전송한다(S212).
도 2는 부재중 호 착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발신 번호 표시 서비스를 이용하여 발신자의 전화 번호를 식별자로 고객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발신자 개인 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한 발신자 개인 정보를 메시지 형태로 착신 단말기(110)에 출력하는 발신자 개인 정보 표시 서비스의 전송 흐름을 보여준 실시예이다.
발신자가 발신 번호 표시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사설 교환기상의 유선 전화를 사용하거나, 착신이 금지된 발신 전용 전화를 사용하는 경우, 착신자는 발신자가 누구인지를 판단하거나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런 경우를 대비하여 이하 도 3과 도 4는 발신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DTMF(Dual Tone Multifrequency) 정보를 전송하여 고객 서비스 서버(130)에 발신자 개인 정보 표시 서비스를 요청한 후, 추출된 발신자 개인 정보를 착신 단말기(110)로 출력하는 발신자 개인 정보 표시 서비스의 전송 흐름을 보여준 실시예이다. 여기서 도 3은 이동통신 단말기 간, 도 4는 유선 전화와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발생하는 발신자 개인 정보 표시 서비스의 전송 흐름을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 간 통화에 발신자 개인 정보 표시 서비스를 적용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발신 단말기(100)는 이동통신망(120)을 통해 고객 서비스 서버(130)에 접속하여 유선 인터넷을 통한 홈페이지 접속 또는 무선 인터넷 접속을 통한 포탈 접속으로 발신자 개인 정보 표시 서비스를 고객 서비스 서버(130)에 신청하고, 착신 단말기(110)에 전달할 발신자 개인 정보를 발신 단말기(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하여 고객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함으로써 발신자 개인 정보 표시 서비스를 요청하게 된다(S300). 이때 서비스 가입자는 발신자 개인 정보를 착신 단말기 (110)로 출력하기 위해 고객 서비스 서버(130)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할 식별자로 발신자에 의해 입력한 특정 전화 번호 및/또는 특수키나 발신 단말기(100)의 전화 번호 등을 지정할 수 있다.
이어서, 고객 서비스 서버(130)는 발신 단말기(100)에서 입력되어 저장된 발신자 개인 정보를 이용하여 발신자 개인 정보 표시 서비스의 가입 여부를 나타내는 등록 정보를 HLR(127)로 전송함으로써 발신자 개인 정보 표시 서비스에 가입을 HLR(127)에 통지한다(S302). 전술한 등록 정보는 고객 서비스 서버(130)에도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고객 서비스 서버(130)에 질의를 통해 발신자 개인 정보 표시 서비스에 가입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발신자 개인 정보는 발신자의 이름, 직장명, 직장 전화 번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 메모 및 이메일 주소 등을 나타낸다.
발신 단말기(100)로부터 착신 단말기(110)로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 먼저 발신 단말기(100)로부터 무선 접속망(121, 124)을 통해 발신 이동통신 교환국으로 발신호를 요청한다(S304). 이어서 발신 이동통신 교환국이 착신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를 HLR(127)로 요청하는 경우, 착신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 HLR(127)은 발신자 개인 정보 표시 서비스에 가입 여부를 나타내는 등록 정보를 포함한 위치 정보 응답 메시지를 발신 이동통신 교환국으로 전송한다. 발신 이동통신 교환국은 통화로 설정을 위해 착신 이동통신 교환국으로 호 설정을 요청한다(S308).
발신 이동통신 교환국으로부터 호 설정을 요청받은 착신 이동통신 교환국은 데이터 착신 요청 신호가 포함한 정보로부터 착신 단말 페이징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통신망(120)을 통해 착신 단말기(110)로 전송한다(S310).
여기서, 페이징 메시지는 이동통신망(120)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음성 호 또는 데이터 호가 도착했음을 알리는 메시지로서, 무선 채널 가운데 페이징 채널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다수의 메시지 중 하나이다.
착신 단말기(110)에서 일정 시간 동안 호 착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이동통신 시스템은 호 연결을 취소하게 되고,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로 이동하여 음성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며, 음성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발신자 개인 정보 표시 서비스의 사용을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착신 단말기(110)에서 음성 사서함 서비스가 제공되기 전 또는 제공되는 중 발신 단말기(100)는 발신자가 선택한 키 선택 신호를 입력받아 특정 DTMF 정보를 생성한 후 발신 이동통신 교환국을 통해 착신 이동통신 교환국으로 특정 DTMF 정보를 전송한다(S312). 발신/착신 이동통신 교환국에서는 특정 DTMF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호 연결에 대한 종료 정보로 인식한다. 호 설정 실패 신호를 수신한 착신 이동통신 교환국은 발신 단말기(100)의 전화 번호 또는 발신자가 발신 단말기(100)에 입력한 특정 전화 번호 및/또는 특수키 등을 식별자로 입력받아 고객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함으로써 발신자 개인 정보를 고객 서비스 서버(130)에 요청하게 된다(S314).
여기서 특정 DTMF 정보는 발신 단말기(100)에 발신자가 입력한 특정키("** + A의 전화 번호 + *")를 단축키 형태로 저장하여 해당 번호를 누르면 복합 주파수 신호가 이동통신 교환국(129)에 인가되고 이동통신 교환국(129)에서는 이를 해독하여 디짓 정보로 변환하여 고객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한다.
고객 서비스 서버(130)는 전술한 식별자에 포함되어 있는 발신자가 입력한 특정 전화 번호, 발신 단말기(100)의 전화 번호 등을 질의어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대응되는 발신자 개인 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발신자 개인 정보를 착신 이동통신 교환국으로 전송하며(S316), 발신자 개인 정보를 수신한 착신 이동통신 교환국은 메시징 시스템(미도시)와 연동하여 특정 신호 메시지, SMS(Short Message Service) 및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등 어느 하나의 메시지 형태로 변환하여 해당 착신 단말기(110)로 전송한다(S318). 착신 단말기(110)에 발신자 개인 정보를 표시하는 방식에는 특정 신호 메시지, SMS 및 MMS 이외에도 이메일, 발신자 개인 정보에 부여된 유알엘(URL: 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 등 다양한 방식의 메시지 형태로 발신자 개인 정보를 착신 단말기(110)로 출력할 수 있다.
발신자가 특정 DTMF 정보로 입력한 전화 번호와 발신 표시에 의한 전화 번호가 다를 경우, 전술한 질의어는 특정 DTMF 정보로 입력된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고객 서비스 서버(130)의 데이터베이스에서 발신자 개인 정보를 검색하여 추출한다.
메시징 시스템은 SMS, MMS, 특정 신호 메시지, URL 정보 및 이메일 등 어느 하나 이상의 메시지 형태를 생성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또한, 발신 단말기(100)의 발신호 요청으로 착신 단말기(110)에 호 착신이 이루어져 통상적인 음성 통화가 가능해지는 경우에도 착신 단말기(110)에 발신자 개인 정보가 출력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착신 단말기(110)에 수신되는 메시지는 기존의 발신 표시 전화 번호, 사용자에 의해 입력한 전화 번호, 발신자 개인 정보 또는 발신자 개인 정보를 액세스할 수 있는 URL 정보를 포함한다.
발신자의 발신 번호가 현재 자신의 대표 번호가 아닌 경우 발신 번호에 기초하여 발신자 개인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부재중 호에서 착신자에게 발신자를 잘못 인식하게 할 수 있다.
즉, 발신자 A가 친구 C의 발신 단말기(100)로 착신자 B의 착신 단말기(110)에게 통화를 하는 경우 B의 착신 단말기(110)에는 C 발신 단말기(100)의 전화 번호가 출력되어 부재중 호인 경우 B는 A가 전화한 사실을 모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A가 호 수신 대기 동안 특정키("** + A의 전화 번호 + *")의 형태로 발신 단말기(100)에 입력한 후 통화를 종료하면, 착신 이동통신 교환국에서는 B와의 통화 대기음(RBT: Ring Back Tone) 구간 동안 B의 착신 단말기(110)에 발신자를 C 발신 단말기(100)의 전화 번호에서 A 발신 단말기(100)의 전화 번호로 변환하게 된다. 착신 이동통신 교환국은 기존 발신 표시 전화 번호가 어떤 번호로 전달되었는지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착신 단말기(110)의 착신 이력에서 기존 발신 표시 전화 번호를 발신자 개인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새로운 전화 번호로 대체하게 된다.
또한, 기존에 발신 표시 전화 번호를 발신자 개인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새로운 전화 번호로 대체하는 것 뿐만 아니라 발신자 개인 정보를 전체적으로 추가시켜 대체하며, 착신 단말기(110)에 수신되는 발신자 개인 정보 또는 URL 정보를 통 해 액세스하는 발신자 개인 정보를 착신 단말기(110)에 저장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선 전화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 간 통화에 발신자 개인 정보 표시 서비스를 적용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발신 유선 단말기(유선 전화)는 발신 유선 통신 교환국을 거쳐 게이트 웨이를 통해 고객 서비스 서버(130)에 접속하여 유선 인터넷을 통한 홈페이지 접속 또는 무선 인터넷 접속을 통한 포탈 접속으로 발신자 개인 정보 표시 서비스를 고객 서비스 서버(130)에 신청하고, 착신 단말기(110)에 전달할 발신자 개인 정보를 발신 유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하여 고객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함으로써 발신자 개인 정보 표시 서비스를 요청하게 된다(S400). 이때 서비스 가입자는 발신자 개인 정보를 착신 단말기(110)로 출력하기 위해 고객 서비스 서버(130)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할 식별자로 발신자에 의해 입력한 특정 전화 번호 및/또는 특수키나 발신 유선 단말기의 전화 번호 등을 지정할 수 있다. 여기서, 발신자 개인 정보는 발신자의 이름, 직장명, 직장 전화 번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 및 이메일 주소 등을 나타낸다.
발신 유선 단말기로부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 먼저 발신 유선 단말기로부터 공중 전화망을 통해 발신 이동통신 교환국으로 발신호를 요청한다(S402). 발신호를 수신한 발신 유선통신 교환국은 게이트 웨이를 통해 착신 이동통신 교환국으로 호 연결을 위한 호 설정을 요청한다(S404).
발신 유선통신 교환국으로부터 호 설정을 요청받은 착신 이동통신 교환국은 데이터 착신 요청 신호가 포함된 정보로부터 착신 단말 페이징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통신망(120)을 통해 착신 단말기로 전송한다(S406). 여기서, 페이징 메시지는 이동통신망(120)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음성 호 또는 데이터 호가 도착했음을 알리는 메시지로서, 무선 채널 가운데 페이징 채널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다수의 메시지 중 하나이다.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일정 시간 동안 호 착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이동통신 시스템은 호 연결을 취소하게 되고,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로 이동하여 음성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며, 음성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발신자 개인 정보 표시 서비스의 사용을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음성 사서함 서비스가 제공되기 전 또는 제공되는 중에 발신 유선 단말기는 발신자가 선택한 키 선택 신호를 입력받아 특정 DTMF(Dual Tone Multifrequency) 정보를 생성한 후, 발신 유선통신 교환국을 통해 게이트 웨이로 특정 DTMF 정보를 전송한다(S408).
여기서 게이트 웨이는 무선 통신 시스템과 유선 통신 시스템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각 망에 적합한 형태로 프로토콜, 신호 및 데이터를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일반적으로 게이트 웨이는 이동통신 교환국(129)과 직접 연결되어 유선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을 연결한다.
발신 유선통신 교환국 및 게이트 웨이는 특정 DTMF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호 연결에 대한 종료 정보로 인식하게 된다.
호 설정 실패 신호를 수신한 게이트 웨이는 발신 유선 단말기의 전화 번호 또는 발신자가 발신 유선 단말기에 입력한 특정 전화 번호 및/또는 특수키 등을 식 별자로 입력받아 고객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함으로써 발신자 개인 정보를 고객 서비스 서버(130)에 요청하게 된다(S410). 고객 서비스 서버(130)는 전술한 식별자에 포함되어 있는 특정 전화 번호를 질의어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대응되는 발신자 개인 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발신자 개인 정보를 게이트 웨이를 거쳐 착신 이동통신 교환국으로 전송하며(S412), 발신자 개인 정보를 수신한 착신 이동통신 교환국은 메시징 시스템(미도시)와 연동하여 특정 신호 메시지, SMS(Short Message Service) 및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등 어느 하나의 메시지 형태로 변환하여 해당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S414). 여기서, 메시징 시스템은 SMS, MMS, 특정 신호 메시지, URL 정보 및 이메일 등 어느 하나 이상의 메시지 형태를 생성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발신자 개인 정보를 표시하는 방식에는 특정 신호 메시지, SMS 및 MMS 이외에도 이메일, 발신자 개인 정보에 부여된 유알엘(URL: 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 등 다양한 방식으로 발신자 개인 정보를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발신 유선 단말기의 발신호 요청으로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호 착신이 이루어져 통상적인 음성 통화가 가능해지는 경우에도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발신자 개인 정보를 출력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또한, 발신자의 발신 번호가 현재 자신의 대표 번호가 아닌 경우 발신 번호에 기초하여 발신자 개인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부재중 호에서 착신자에게 발신자를 잘못 인식하게 할 수 있다.
즉, 발신자 A가 친구 C의 발신 유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착신자 B의 착신 이 동통신 단말기로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 B의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C의 발신 유선 단말기의 전화 번호가 출력되어 부재중 호인 경우 B는 A가 전화한 사실을 모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발신자 A가 호 수신 대기 동안 특정키("** + A의 전화 번호 + *")의 형태로 발신 유선 단말기에 입력한 후 통화를 종료하면, 착신 이동통신 교환국에서는 B와의 통화 대기음(RBT: Ring Back Tone) 구간 동안 B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발신자를 C 발신 유선 단말기의 전화 번호에서 A 발신 유선 단말기의 전화 번호로 변환하게 된다. 착신 이동통신 교환국은 기존 발신 표시 전화 번호가 어떤 번호로 전달되었는지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이력에서 기존 발신 표시 전화 번호를 발신자 개인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새로운 전화 번호로 대체하게 된다.
또한, 기존에 발신 표시 전화 번호를 발신자 개인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새로운 전화 번호로 대체하는 것 뿐만 아니라 발신자 개인 정보를 전체적으로 추가시켜 대체하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수신되는 발신자 개인 정보 또는 URL 정보를 통해 액세스하는 발신자 개인 정보를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객 서비스 서버에 입력, 저장되어 착신 단말기로 표시되는 발신자 개인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발신자 개인 정보는 발신 단말기(100)로부터 고객 서비스 서버(130)로 제공되어 저장되며, 부재중 통화호 발생시 착신 단말기(110)로 출력되어 부재중 통화를 시도하려는 발신자가 누구였는지, 발신자의 통화 목적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발신자 개인 정보는 발신자의 이름, 직장명, 직장 전화 번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 메모, 유선 전화 번호 및 이메일 주소 등을 나타낸다.
즉 기존의 발신자 표시 서비스에서 발신자의 전화 번호, 애칭 정보, 발신자의 전화 번호에 상응하는 기설정된 스크립트 이미지 등을 통해 부재중 통화호의 발신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전술한 정보만으로 발신자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발신자가 발신 번호 표시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사설 교환기상의 유선 전화를 사용하거나, 착신이 금지된 발신 전용 전화를 사용하는 경우, 착신자는 발신자가 누구인지를 판단하거나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도 5에서와 같이 발신자에 대한 발신자 개인 정보를 착신 단말기(110)에 제공함으로써 발신자 미확인으로 인한 불필요한 전화 통화 방지와 중요한 전화를 무시하는 상황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 이외에 간단한 사진 등을 추가하여 보다 정확한 발신자 개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발신자 개인 정보는 이메일, SMS, MMS 등과 같은 메시지 수단을 통해 착신 단말기(110)에 출력함으로써, 착신자는 발신자에게 음성 통화를 통해 확인하지 않더라도 발신자가 누구인지를 확인할 수 있고, 자신이 확인 전화를 해야 할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부재중 통화호 이외에 착신이 성공한 음성호에 대해서도 발신자 개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고객 서비스 서버(130)는 발신 단말기(100)로부터 특정 DTMF 정보 또는 발신자 전화 번호를 수신하는 경우, 발신자가 입력한 특정 DTMF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특정 전화 번호, 발신 단말기(100)의 전화 번호 등을 질의어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대응되는 발신자 개인 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한 발신자 개인 정보를 연동하고 있는 메시징 시스템을 통해 이메일, SMS, MMS 등의 메시지 형태로 변환하여 착신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이때, 고객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추출한 발신자 개인 정보를 메시지 형태로 전송하거나 발신자 개인 정보를 액세스할 수 있는 URL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URL 정보는 전자 우편(e-mail)의 본문 중에 하이퍼 링크(Hyper link)가 부착된 URL과 같이 이것을 더블 클릭하면 외부 프로그램의 웹 브라우저가 자동적으로 기동하여 지정된 URL의 홈 페이지에 접속되는 인터넷상에서 정보의 위치를 나타내는 주소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의 URL 정보는 착신 단말기(110)상에서 "발신자 개인 정보" 라는 문구가 출력되어 있는 경우 착신자가 이 부분을 클릭하면 고객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발신자 개인 정보를 내려받아 출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존 발신자 표시 서비스에 의해 제공되는 발신자의 전화 번호는 발신자에 의해 입력된 특정 DTMF 정보에 포함된 특정 전화 번호로 변경하는데 사용한다.
즉, 고객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전송받은 발신자 개인 정보 또는 URL 정보를 발신자에 의해 입력된 특정 DTMF 정보에 포함된 특정 전화 번호와 연계하여 출력함으로써 착신자가 쉽게 발신자 개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부재중 통화 호가 발생한 경우 착신 단말기에서 발신자 개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때문에 확인 전화 통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신자가 발신자 미확인으로 인한 불필요한 전화 통화 시도방지와 중요한 전화를 잃어버리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성 통화 시도 중 특정 DTMF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정확히 발신자가 누구인지 파악하여 발신자 개인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착신자는 발신자가 누구인지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착신자가 발신자의 발신자 개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망을 포함한 발신자 개인 정보 전달 시스템으로서,
    상기 이동통신망, 유선 전화 또는 인터넷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발신자 개인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호 설정 실패 신호 및 호 설정 성공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발신자 전화 번호, 특정 DTMF 정보를 포함한 발신자 개인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받은 후, 상기 발신자 개인 정보를 추출하여 전송하는 고객 서비스 서버;
    상기 발신자의 키 값 입력을 받아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고객 서비스 서버에 무선으로 접속하고, 상기 착신자에게 전달할 상기 발신자 개인 정보를 입력받아 전송하며, 무선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발신자 개인 정보 표시 서비스에 등록하는 발신 단말기; 및
    상기 고객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발신자 개인 정보를 전송받아 출력하는 착신 단말기
    를 포함하되, 상기 고객 서비스 서버는 상기 발신자 개인 정보를 메시지 시스템을 통해 메시지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특정 DTMF 정보로 입력된 전화 번호와 발신 표시에 의한 전화 번호가 다를 경우, 상기 특정 DTMF 정보로 입력된 전화 번호를 기반으로 상기 고객 서비스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발신자 개인 정보를 검색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자의 발신자 개인 정보 전달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이동통신 교환국을 포함한 이동통신망, 발신 단말기, 착신 단말기 및 고객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발신자 개인 정보 전달 시스템에서 상기 착신 단말기의 발신자 개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상기 발신자 개인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전달할 상기 발신자 개인 정보를 입력받아 발신자 개인 정보 표시 서비스에 등록하는 단계;
    (b)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단말기 간에 호 설정 실패 신호 또는 호 설정 성공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으로부터 발신자 전화 번호, 특정 DTMF 정보를 포함한 상기 발신자 개인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발신자 개인 정보 요청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발신자 전화 번호 또는 상기 특정 DTMF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 번호를 질의어로 상기 발신자 개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추출하는 단계; 및
    (d) 추출한 상기 발신자 개인 정보를 메시징 시스템을 통해 메시지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특정 DTMF 정보로 입력된 전화 번호와 발신 표시에 의한 전화 번호가 다를 경우, 상기 질의어는 상기 특정 DTMF 정보로 입력된 전화 번호를 기반으로 상기 고객 서비스 서버의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발신자 개인 정보를 검색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단말기의 발신자 개인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050033469A 2005-04-22 2005-04-22 착신 단말기의 발신자 개인 정보 전달 방법 및 시스템 KR100754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469A KR100754449B1 (ko) 2005-04-22 2005-04-22 착신 단말기의 발신자 개인 정보 전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469A KR100754449B1 (ko) 2005-04-22 2005-04-22 착신 단말기의 발신자 개인 정보 전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112A KR20060111112A (ko) 2006-10-26
KR100754449B1 true KR100754449B1 (ko) 2007-08-31

Family

ID=37619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3469A KR100754449B1 (ko) 2005-04-22 2005-04-22 착신 단말기의 발신자 개인 정보 전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44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57869A (zh) * 2015-07-15 2017-01-25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来电显示方法、系统及移动终端、家庭来电显示控制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712B1 (ko) * 2008-11-17 2011-09-14 주식회사 케이티 고객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322479B1 (ko) * 2010-03-05 2013-10-2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통화 상대방의 고객정보 제공 시스템 및 통화 상대방의 고객정보 제공 방법
WO2020145907A1 (en) * 2019-01-08 2020-07-16 Donmezer Semih The method by which the caller and the texted are known by the person who is called and texted on mobil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50224A1 (en) 1996-06-27 1997-12-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method of calling a mobile station in a mobile telephone system
KR20020037457A (ko) * 2000-11-14 2002-05-22 구자홍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못한 호 정보 제공 방법.
KR20020041937A (ko) * 2000-11-29 2002-06-05 구자홍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부재 중 전화 표시 방법
KR100374964B1 (en) 2002-03-12 2003-03-06 Welgate Corp Originator information system for non-completion call of cellular phone
KR20030072285A (ko) * 2003-08-13 2003-09-13 양창호 유무선 통신의 발신 불완료호에 대한 문자 전송 관리 시스템
KR20040065325A (ko) * 2003-01-13 2004-07-22 주식회사 웰게이트 불완료호에 대한 발신자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50224A1 (en) 1996-06-27 1997-12-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method of calling a mobile station in a mobile telephone system
KR20020037457A (ko) * 2000-11-14 2002-05-22 구자홍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못한 호 정보 제공 방법.
KR20020041937A (ko) * 2000-11-29 2002-06-05 구자홍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부재 중 전화 표시 방법
KR100374964B1 (en) 2002-03-12 2003-03-06 Welgate Corp Originator information system for non-completion call of cellular phone
KR20040065325A (ko) * 2003-01-13 2004-07-22 주식회사 웰게이트 불완료호에 대한 발신자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30072285A (ko) * 2003-08-13 2003-09-13 양창호 유무선 통신의 발신 불완료호에 대한 문자 전송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57869A (zh) * 2015-07-15 2017-01-25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来电显示方法、系统及移动终端、家庭来电显示控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112A (ko) 2006-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9314B2 (en) Peer-to-peer mobile data transfer method and device
JP6000125B2 (ja) 選択的なメッセージサービスブロッキングに関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0754449B1 (ko) 착신 단말기의 발신자 개인 정보 전달 방법 및 시스템
KR100785408B1 (ko) 발신자정보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46377B1 (ko) 스팸 호 수신 거부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05051A (ko) 유무선 레터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861217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메시지 인증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60003628A (ko) 발신자 등록을 이용한 실질적인 발신정보 제공 시스템 및이의 운용방법
KR100501163B1 (ko) 특정 메시지 전송 차단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특정 메시지 전송 차단 방법
KR100994778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번호 변경 장치 및 방법
KR100797069B1 (ko) 통화중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461991B1 (ko) 발신정보 인증 장치와 이를 이용한 발신정보 제공 시스템및 그 제공 방법
KR100529462B1 (ko) 사용자 부재시 위치정보 제공 방법
KR100553541B1 (ko) 통화 요청시 문자 메시지를 함께 전송할 수 있는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73233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폰북을 이용한 그룹 콜 구현 방법
KR100986264B1 (ko) 이동단말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KR100603010B1 (ko) 발신 정보 제공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40088622A (ko) 통화중 또는 통화종료후 착신자에게 자동으로 메시지를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806177B1 (ko) 유무선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649590B1 (ko) 통화 중 이벤트 메시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465916B1 (ko) 무선 통신망에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통합 채널의구성 방법 및 장치
KR20040095092A (ko) 이동통신 단말기로 예약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시스템
KR20060114155A (ko) 착신 단말기의 위치에 따른 착신호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97338A (ko) 단문 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27970A (ko) 개인정보 노출 방지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망에서의 애칭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