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7959B1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선 전화로의 문자 메시지 전송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선 전화로의 문자 메시지 전송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7959B1
KR100757959B1 KR1020040033277A KR20040033277A KR100757959B1 KR 100757959 B1 KR100757959 B1 KR 100757959B1 KR 1020040033277 A KR1020040033277 A KR 1020040033277A KR 20040033277 A KR20040033277 A KR 20040033277A KR 100757959 B1 KR100757959 B1 KR 100757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 message
voice
message
landline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3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8498A (ko
Inventor
한경돈
이원기
Original Assignee
(주)엠아이티 아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아이티 아레아 filed Critical (주)엠아이티 아레아
Priority to KR1020040033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7959B1/ko
Publication of KR20050108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8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7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7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21V17/16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the parts being subjected to bending, e.g. snap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선 전화로의 문자 메시지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문자 메시지에 대한 수신 번호가 유선 전화 번호일 경우, 상기 수신된 문자 메시지가 해당 유선 전화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무선 교환기; 및 상기 무선 교환기로부터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소정의 음성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변환된 메시지를 상기 해당 유선 전화로 전송하는 음성 변환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유선 전화, 문자 메시지, 음성 변환기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선 전화로의 문자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SHORT MESSAGE SERVECE FROM MOBILE PHONE TO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단문 전환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선 전화로의 문자 메시지 전송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변환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선 전화로의 문자 메시지 전송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선 전화로의 문자 메시지 전송을 위한 각 엘리먼트들간의 메시지 전송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선 전화로의 문자 메시지 전송 메뉴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200 : 이동통신 단말기 101, 201 : 무선 교환기
102, 202 : 홈위치 등록기 103 : 원격 특성 제어부
104, 203 : 단문 서비스 센터 105 : 음성/IP 통합 시스템
106 : 단문전환 서비스 시스템 107 : 인터넷 네트워크
108, 206 : 공중 전화 교환망 109 : PC
110, 207 : 유선 전화 204 :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
205 : 음성 변환기 300 : 메시지 분석부
301 : 음성 변환부 302 : 배경음 합성부
303 : 목소리 선택부 304 : 배경음 선택부
305 : 저장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송한 문자 메시지를 유선 전화에서 수신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선 전화로의 문자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이 발전하고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보급이 확산되면서 현대인들에게 이동통신 단말기는 생활의 필수 요소로서 자리잡고 있다. 이에 따라 이를 이용한 각종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는데 그 중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서비스는 사용자가 단말기 등을 이용하여 문자열을 작성하고 이를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문자 메시지 서비스이다.
상기 문자 메시지 서비스는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 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자열을 작성하고 수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와 함께 무선망 사업자에게 전송하면, 무선망 사업자가 상기 해당 수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에 의해 전달한다.
한편, SMS 또는 LMS 서비스는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보다 확장된 형태의 서비스 개념들로 발전하게 되었다. 예컨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입력한 문자 메시지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저장 매체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음성 신호를 유선 전화를 통해 연결하여 청취하는 서비스가 제안되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전송한 문자 메시지를 다양한 통신 기기, 예컨대 컴퓨터 단말기, 팩스 등의 수단을 통해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도 제안되었다. 이들 서비스는 통상적으로 통합 메시지 서비스(Universal Messaging Service; UMS)라 칭하며, 전화(Voice mail), 팩스(Fax[image] mail) 및 E-mail(text mail)을 상호 연동/통합하는 IT 기술을 말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단문 전환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의 단문 전환 서비스 시스템(106)은 무선망 사업자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통신할 수 있고, 인터넷(107)을 통해 개인용 컴퓨터(109)와 접속되며, 공중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이하, 'PSTN'이라 한다)(108)을 통해 유선 전화(110)와 통화로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0)란 셀룰러 폰, PCS, PDA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할 수 있는 이동형 단말기를 의미하고, 유선 전화(110)는 상기 PSTN(108)을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단말 기를 의미한다.
한편, 단문 전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 및 유선 전화(110) 사용자는 무선망 사업자의 원격 특성 제어부(Remote Feature Controller; 이하, 'RFC' 라 한다)(103)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요청하고, 상기 RFC(103)가 이러한 요구를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ration; 이하, 'HLR' 이라 한다)(102)로 전송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단문 전환 서비스 시스템(106)으로 저장하는 선행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HLR(102)는 단문 전환 서비스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기 위한 별도의 필드를 구비한다.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발신자가 전송한 단문 메시지는 무선망 사업자의 이동 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이하, 'MSC'라 한다)(101)를 통해 단문 서비스 센터(SMS Center; 이하, 'SMSC'라 한다)(104)로 전송되며, 상기 SMSC(104)는 상기 HLR(102)에 저장된 수신자의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수신된 메시지를 단문 전환 서비스 시스템(106)으로 전송한다.
상기 단문 전환 서비스 시스템(106)은 수신된 메시지를 사용자별로 저장하고, 사용자가 메시지 확인을 요청하면 메시지 확인에 사용되는 단말기의 형태에 따라 메시지를 가공하여 제공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단문 전환 서비스 시스템(106)에 접속한 경우에는 상기 단문 메시지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제공하거나 상기 단문 형태 그대로 무선 단말기로 전송해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개인용 컴퓨터(109)를 통해 단문 전환 서비스 시스템(106)에 접속한 경우에는 상기 단문 메시지를 이메일(E-mail) 형식으로 제작하거나 마크업 랭귀지(Markup Language)를 이용한 웹 페이지 형식으로 제작하여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유선 전화(110)를 사용하여 접속한 경우에는 상기 단문 메시지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무선 인터넷 기능을 이용하여 단문 전환 서비스 시스템(106)에 접속한 경우에는 상기 단문 메시지를 왑 페이지(WAP page) 형식으로 제작하여 제공한다.
한편, 음성/IP 통합 시스템(TIIS; 105)은 IP(Internet Protocol)망과 음성 기반의 이동통신망 사이의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에서와 같이 사용자에게 단문 메시지를 제공하는 경우 중개 역할을 한다. 즉, 단문 전환 서비스 시스템(106)에서 수신 단말기 특성별로 가공한 단문 메시지는 상기 TIIS(105)의 중개에 의해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에서 설명한 단문 전환 서비스 시스템(106)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직접적으로 유선 전화(110)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단문 전환 서비스 시스템(106)에서 미리 상기 유선 전화(110)의 수신 방법을 설정한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문자 메시지가 전송되면, 상기 전송된 문자 메시지를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유선 전화(110)를 통해 상기 단문 전환 서비스 시스템(106)에 접속하여 상기 저장된 문자 메시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문자 메시지의 도착 여부를 알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실시간으로 상기 문자 메시지를 상기 유선 전화로 전송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단문 전환 서비스 시스템(106)을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유선 전화(110)로의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은 직접적인 메시지 전송 방법이 아니라는 단점이 있다. 즉, 상술한 종래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통해 유선 전화(110)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경우라 하더라도, 수신자 번호를 소정의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로 입력하여 전송한다. 예컨대,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발신자 번호는 "011-XXX-XXXX'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가 되며, 수신측 번호도 "011-△△△-△△△△'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가 된다.
따라서,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였을 경우이거나, 상기 단문 메시지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경우에 상기 유선 전화를 통해 상기 전송된 문자 메시지를 간접적으로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유선 전화로의 효과적이고 직접적인 실시간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유선 전화로 문자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선 전화로의 문자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 번호를 유선 전화 번호로하여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선 전 화로의 문자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선 전화로 전송한 문자 메시지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선 전화로의 문자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선 전화로 전송한 문자 메시지를 사용자가 선택한 종류의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선 전화로의 문자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선 전화로 전송한 문자 메시지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소정의 배경음을 합성하여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선 전화로의 문자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선 전화로의 문자 메시지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문자 메시지에 대한 수신 번호가 유선 전화 번호일 경우, 상기 수신된 문자 메시지가 해당 유선 전화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무선 교환기; 및 상기 무선 교환기로부터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소정의 음성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변환된 메시지를 상기 해당 유선 전화 로 전송하는 음성 변환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선 전화로의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문자 메시지를 입력하고, 상기 문자 메시지에 대한 수신 번호를 소정의 유선 전화 번호로 하여 전송하는 단계; 무선 네트워크에서 상기 전송된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문자 메시지에 대한 수신 번호가 유선 전화 번호일 경우, 상기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유선 네트워크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문자 메시지를 음성 신호로 변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메시지를 상기 해당 유선 전화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고 용이하게 설명하려고 하는 것이다. 도면 상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후술하는 설명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란 셀룰러 폰, PCS, PDA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할 수 있는 이동형 단말기를 의미하고, '유선 전화'란 공중 전화 교환망을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유선 단말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선 전화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때, 수신측 번호를 상기 유선 전화 번호로 입력하고, 상기 문자 메시지를 음성 신호로 변환 하여 상기 입력된 유선 전화 번호에 따라 해당 유선 전화로 직접적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수신측 번호를 식별하게 되는 무선 이동국에서는 상기 문자 메시지 전송에 따른 수신측 번호가 유선 전화 번호일 경우 상기 문자 메시지를 폐기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유선 전화로 전송하도록 제어하여야 한다.
이때, 상기 유선 전화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야 하므로, 상기 유선 전화로 전송된 문자 메시지를 소정의 음성 변환기에 의해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음성 신호의 변환에서 목소리의 종류를 사용자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하도록 구현할 수 있으며, 소정의 배경음을 합성하여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유선 전화로 전송된 문자 메시지는 종래 기술에 의하면 폐기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라 소정의 음성 신호로서 실시간으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선 전화로 전송된 메시지를 수신측에서 수신하지 못할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문자 메시지로부터 변환된 음성 신호를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유선 전화에서 상기 음성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때까지 소정의 주기동안 반복해서 전송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때 상기 유선 전화에서 벨이 울리고, 수신측에서 상기 유선 전화의 수화기를 들게 됨으로써 상기 음성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 가능할 경우, 상기 저장된 음성 신호는 폐기시키며, 이후에는 더이상 전송되지 않도록 구현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선 전화로의 문자 메시지 전송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무선 교환기(210), 음성 변환기(20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소정의 유선 전화(207)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에서 소정의 문자 메시지(단문 또는 장문)를 입력하고 수신측 번호를 상기 해당 유선 전화(207)의 번호로 설정한다. 따라서, 예컨대 발신측 전화번호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번호인 "011-OOO-OOOO"과 같이 되며, 수신측 전화번호는 상기 유선 전화(207)의 번호인 "02-XXX-XXXX"와 같이 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통해 상기와 같이 수신 번호를 유선 전화(207) 번호로 하여 소정의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면, 상기 전송된 문자 메시지는 소정의 무선 네트워크 종단 장치들(예컨대, 기지국 및 기지국 제어기)(미도시)를 거쳐 무선 교환기(201)로 전송된다.
이때, 일반적으로 상기 무선 교환기(201)는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의 수신 번호가 적합한 이동통신 단말기(204)의 번호일 경우,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204)로 상기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단문 메시지 센터(SMSC; 203)로 상기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단문 메시지 센터(203)로 전송된 문자 메시지는 HLR(202)을 통해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04)의 위치를 확인한 후, 해당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04)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04)의 사정에 의해 상기 전송한 단문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할 경우, 상기 단문 메시지 센터(203)는 상기 단문 메시지를 상기 해당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04)로 주기적으로 재전송한다.
또한, 종래의 상기 무선 교환기(201)는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의 수신 번호가 적합하지 않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번호이거나 유선 전화(207)의 번호일 경우, 해당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폐기하거나, 전송측에게 정상적으로 전송하지 못하였음을 알리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무선 교환기(201)는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의 수신 번호가 유선 전화(207)의 번호로 판단될 경우, 종래와 같이 상기 문자 메시지를 폐기하지 않고 소정의 음성 변환기(Text To Speech; 205)로 전송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하여 상기 이동 교환기(201)에 상기 문자 메시지의 수신 번호가 유선 전화의 번호일 경우에 대한 제어를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성 변환기(205)로 전송된 상기 문자 메시지는 소정의 음성 신호로 변환된다. 이때, 상기 음성 신호의 종류는 사용자가 기설정하여 둘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전송하는 해당 문자 메시지에 첨부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변환된 음성 신호에 배경음(Background Music; BGM)을 합성할 수도 있다. 상기 음성 변환기의 구체적인 동작예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음성 변환기(205)에서 소정의 음성 신호로 변환된 상기 문자 메시지는 공중 전화 교환망(206)을 통해 해당 유선 전화(207)로 전송된다.
결국, 상기 유선 전화(207)에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전송한 문자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음성 신호로 들을 수가 있게 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음성 변환기(205)의 세부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한편, 후술하는 음성 변환기(205)의 세부적인 기능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이며, 본 발명에 따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형태로도 구현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변환기(205)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변환기(205)는 메시지 분석부(300), 음성 변환부(301), 배경음 합성부(302), 목소리 선택부(303), 배경음 선택부(304) 및 저장부(305)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음성 변환기(205)는 소정의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때, 음성 변환시키고자 하는 목소리와 배경음을 선택한 정보를 상기 문자 메시지와 함께 전송하였을 때를 가정하여 구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발신자가 상기 목소리와 배경음을 선택하지 않고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경우, 상기 음성 변환기(205)는 상기 음성 변환부(301)만으로도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목소리 및 배경음의 선택 방법은 상기와 같이 문자 메시지 전송시 발신자가 직접 선택하여 상기 문자 메시지와 같이 전송할 수도 있으며, 다른 설정 수단(예컨대, 컴퓨터 단말기 등)을 통해 자신의 기본적인 목소리 및 배경음을 디폴트(default)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발신자는 문자 메시지만을 전송하도록 구현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목소리 및 배경음을 문자 메시지 전송시 발신자가 직접 선택하여 상기 문자 메시지와 같이 전송할 경우에는 상기 문자 메시지에 상기 목소리 및 배경음의 선택 정보가 포함되어 전송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음성 변환기(205)로 입력된 메시지는 먼저 상기 메시지 분석부(300)에서 상기 수신된 메시지 정보로부터, 목소리 선택 정보 및 배경음 선택 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상기 메시지 분석부(300)에서 구분된 정보들 중 문자 메시지 정보는 상기 음성 변환부(301)로 출력되며, 상기 목소리 선택 정보는 상기 목소리 선택부(303)로 출력되고, 상기 배경음 선택 정보는 상기 배경음 선택부(304)로 출력된다.
그런다음, 상기 음성 변환부(301)에서는 상기 목소리 선택부(303)로부터 목소리 선택 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문자 메시지를 소정의 선택된 목소리(즉, 성별, 연령 등에 따라 다양한 목소리들 중 선택된 목소리)의 음성 신호로 변환시키게 된다. 상기 음성 신호로 변환된 문자 메시지는 배경음 합성부(302)로 입력되며, 상기 배경음 합성부(302)에서는 상기 배경음 선택부(304)로부터 배경음 선택 정보를 입력 받아, 해당 음성 신호에 소정의 선택된 배경음을 합성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배경음 합성부(302)에서 생성된 최종 합성된 음성 신호는 해당 수신측 유선 전화로 전송되게 된다. 이때, 상기 유선 전화에서의 수신이 한번에 성공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전송되는 음성 신호는 소정의 저장부(305)에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선 전화에서 상기 음성 신호를 성공적으로 수신 할 경우 상기 저장부(305)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즉, 상기 유선 전화에서 상기 음성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저장부(305)에 저장된 상기 음성 신호를 소정의 주기만큼 반복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선 전화로의 문자 메시지 전송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유선 전화로 소정의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기 설정된 유선 전화 문자 메시지 서비스 메뉴를 선택(401 단계)하고, 해당 서비스 메뉴를 제공받는다. 한편, 상술한 목소리 및 배경음의 선택 과정이 문자 메시지 전송시 이루어지지 않고, 이미 설정된 값으로 전송하거나 다른 수단에 의해 설정하거나 상기 목소리 및 배경음 선택 기능이 없을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 메뉴를 따로 구성하지 않고도 구현이 가능하다. 즉, 종래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메뉴에서 수신측 전화 번호를 단지 유선 전화의 번호로 입력하고 상기 입력된 유선 전화의 번호를 무선 교환기에서 식별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소정의 문자 메시지를 입력(402 단계)하게 되고, 목소리 및 배경음을 선택(403 단계)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목소리 및 배경음의 선택 과정은 다른 방법에 의해 구현함으로써 생략될 수 있다.
그런다음, 상기 입력된 문자 메시지에 대한 수신 번호를 유선 전화 번호로 하여 상기 문자 메시지를 전송(404 단계)한다. 상기 전송된 문자 메시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교환기에서 상기 수신 번호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유선 전화로의 문자 메시지로 판단하여 폐기하지 않고 해당 음성 변환기로 전송한다.
상기 음성 변환기에서는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상기 선택된 목소리의 음성 신호로 변환(405 단계)한다. 또한, 상기 음성 신호로 변환된 메시지를 기설정된 배경음과 합성한 후 소정의 저장부에 저장(406 단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음성 신호로 변환된 메시지(즉, 배경음과 합성된 메시지)는 상기 유선 전화 번호에 따른 해당 유선 전화로 전송(407 단계)된다.
그런다음 상기 해당 유선 전화에 벨이 울리고, 상기 유선 전화의 수화기를 들어 수신측에서 콜셋업을 하게 되면, 상기 음성 신호가 정상적으로 전송되게 된다. 이때, 상기 유선 전화로부터 상기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피드백 신호를 전송(410 단계)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유선 전화에 벨이 울려도 상기 수신측에서 전화를 받지 않거나, 상기 유선 전화의 수신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는, 소정의 기설정된 T시간 동안 대기한 후, 상기 저장부에 기저장된 상기 음성 신호를 상기 유선 전화로 재전송(409 단계)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선 전화로의 문자 메시지 전송을 위한 각 엘리먼트들간의 메시지 전송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501 단계)하면, 상기 전송된 단문 메시지는 소정의 무선 종단 장치들(미도시)을 거쳐 교환기로 전송된다. 이때, 상기 교환기는 상기 전송된 문자 메시지의 수신자 번호를 확인(502 단계)함으로써 상기 문자 메시지의 처리 방법을 결정하게 된다.
만약, 상기 문자 메시지의 수신 번호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번호(예컨대, '011-XXXX-XXXX')일 경우에는 상기 문자 메시지를 단문 서비스 센터(SMSC)(편의상 단문으로 표현함)로 전송(503 단계)하게 되며, 상기 문자 메시지의 수신 번호가 유선 전화의 번호(예컨대, '02-OOO-OOOO'일 경우에는 상기 문자 메시지를 음성 변환기로 전송(504 단계)한다.
상기 음성 변환기에서는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소정의 기설정된 목소리의 음성 신호로 변환(505 단계)한 후, 상기 음성 신호를 소정의 기설정된 배경음과 합성(506 단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배경음 합성 과정은 서비스 구현 방법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그런다음, 상기 음성 신호를 해당 유선 전화로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유선 전화를 호출(Paging)(507 단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호출 신호에 따라 상기 유선 전화에서는 벨소리가 울리게 된다. 만약, 수신측에서 상기 벨소리를 듣고 수화기를 들게되는 경우 상기 수신측에서 수신 가능함을 나타내는 신호(Setup)를 피드백(508 단계)한다. 상기 수신측에서 수신 가능함을 인지한 상기 음성 변환기는 상기 생성한 음성 신호를 상기 유선 전화로 전송(509 단계)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수신측 유선 전화에서 수신 가능함을 피드백하지 않을 경우, 상기 음성 변환기에서는 주기적으로 상기 유선 전화를 호출하여 상기 음성 신호의 전송을 시도하게 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선 전화로의 문자 메시지 전송 메뉴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6a를 참조하면, 소정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유선 전화로의 문자 메시지 전송이 가능하다. 즉,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소지한 송신측 사용자가 유선 전화로의 직접적인 통화가 어려울 경우(예컨대, 극장 같은경우)에는 "엄마 나 경훈인데 영화보고 11시까지 올게요"와 같은 문자 메시지를 유선 전화로 전송할 수가 있다. 이때, 상기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는 수신자 번호에는 '02-555-5555'와 같이 유선 전화의 번호를 입력하게 된다.
상기 도 6b에서는 상기 문자 메시지 입력과 아울러 상기 문자 메시지를 음성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목소리를 선택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목소리의 선택은 상기 메시지 전송시 선택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 미리 선택하거나, 다른 수단을 통해 선택하거나 디폴트로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목소리의 종류는 성별, 나이, 목소리 톤 등에 따라 다양한 목소리로 구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도 6c에서는 상기 목소리 선택과 아울러 배경음도 선택할 수 있도록 메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배경음을 상기 전송하려는 음성 신호에 합성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메시지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송한 단문 메시지를 유선 전화에서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말로 전달하기 어려운 환경에서의 유선 전화로의 메시지 전송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가족간의 신뢰감이 증대되고, 상황을 즉각적으로 확인함에 따라 안심할 수 있는 분위기가 형성된다.
또한, 문자 메시지를 음성 신호로 변환할 때 목소리의 종류를 사용자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하도록 구현할 수 있으며, 소정의 배경음을 합성하여 전송함으로써 메시지 전송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유선 전화로의 메시지 전송이 실패할 경우 소정의 주기동안 반복해서 전송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유선 전화에서 수신자 부재가 많은 경우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4)

  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선 전화로의 문자 메시지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문자 메시지에 대한 수신 번호가 유선 전화 번호일 경우, 상기 수신된 문자 메시지가 해당 유선 전화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무선 교환기; 및
    상기 무선 교환기로부터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소정의 음성 신호로 변환시킨 후, 상기 변환된 음성 신호를 상기 해당 유선 전화로 전송하는 음성 변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음성 변환기는 상기 변환된 음성 신호를 상기 유선 전화가 정상적으로 수신할 때까지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상기 유선 전화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선 전화로의 문자 메시지 전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변환기는,
    상기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기설정된 소정의 목소리로 변환시키는 음성 변환부; 및
    상기 음성 변환부로부터 음성 변환된 메시지에 소정의 기설정된 배경음을 합성하는 배경음 합성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선 전화로의 문자 메시지 전송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전송하는 문자 메시지에는 목소리 선택 정보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선 전화로의 문자 메시지 전송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변환기는,
    상기 무선 교환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로부터 목소리 선택 정보를 추출하는 메시지 분석부; 및
    상기 메시지 분석부에서 추출된 목소리 선택 정보에 따라 선택된 목소리 정보를 상기 음성 변환부로 입력시키는 목소리 선택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선 전화로의 문자 메시지 전송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전송하는 문자 메시지에는 배경음 선택 정보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선 전화로의 문자 메시지 전송 시스템.
  6.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변환기는,
    상기 무선 교환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로부터 배경음 선택 정보를 추출하는 메시지 분석부; 및
    상기 메시지 분석부에서 추출된 배경음 선택 정보에 따라 선택된 배경음 정보를 상기 배경음 합성부로 입력시키는 배경음 선택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선 전화로의 문자 메시지 전송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변환기는,
    상기 변환된 음성 신호를 상기 음성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선 전화로의 문자 메시지 전송 시스템.
  8. 삭제
  9.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선 전화로의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문자 메시지를 입력하고, 상기 문자 메시지에 대한 수신 번호를 소정의 유선 전화 번호로 하여 전송하는 단계;
    무선 네트워크에서 상기 전송된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문자 메시지에 대한 수신 번호가 유선 전화 번호일 경우, 상기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유선 네트워크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문자 메시지를 음성 신호로 변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메시지를 상기 유선 전화가 정상적으로 수신할 때까지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상기 유선 전화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선 전화로의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기설정된 소정의 목소리로 변환시키는 음성 변환 단계; 및
    상기 음성 변환된 메시지에 소정의 기설정된 배경음을 합성하는 배경음 합성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선 전화로의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전송하는 문자 메시지에는 목소리 선택 정보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선 전화로의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전송하는 문자 메시지에는 배경음 선택 정보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선 전화로의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메시지를 음성 신호로 변환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음성 신호를 상기 유선 전화로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유선 전화를 호출하는 단계; 및
    상기 호출에 따라 상기 유선 전화가 응답하고, 소정의 응답 메시지를 피드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선 전화로의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
  14. 삭제
KR1020040033277A 2004-05-12 2004-05-12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선 전화로의 문자 메시지 전송시스템 및 방법 KR100757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277A KR100757959B1 (ko) 2004-05-12 2004-05-12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선 전화로의 문자 메시지 전송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277A KR100757959B1 (ko) 2004-05-12 2004-05-12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선 전화로의 문자 메시지 전송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8498A KR20050108498A (ko) 2005-11-17
KR100757959B1 true KR100757959B1 (ko) 2007-09-13

Family

ID=37284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3277A KR100757959B1 (ko) 2004-05-12 2004-05-12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선 전화로의 문자 메시지 전송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79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177B1 (ko) * 2007-01-08 2008-02-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유무선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491A (ko) * 2001-06-25 2003-01-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단문메시지 전달방법
KR20040004305A (ko) * 2003-12-17 2004-01-13 유비에이텔레콤 주식회사 문자데이터 음성출력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491A (ko) * 2001-06-25 2003-01-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단문메시지 전달방법
KR20040004305A (ko) * 2003-12-17 2004-01-13 유비에이텔레콤 주식회사 문자데이터 음성출력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8498A (ko) 2005-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04633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a data file
EP1784970B1 (en) Method of obtaining caller information in a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therefore
US7058429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ring tone data used for generating ring tone of mobile phones
US7317929B1 (en) Delivery of voice data from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messages
US20050064883A1 (en) Unified messaging server and method bridge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functions with legacy handsets
US20030063580A1 (en) Packetized voice messaging
JP2004503184A (ja) 通話応答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070072602A1 (en) Automated reply to voice call
US201001973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mitting maintenance of privacy of main number assigned to wireless device
KR20000055316A (ko) 무선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음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0621147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
CN1659853B (zh) 用于识别电信用户的方法
KR10075795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선 전화로의 문자 메시지 전송시스템 및 방법
JP2007013648A (ja) 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
JPWO2002060165A1 (ja) 所定の言語により通信する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サーバ、端末、および通信方法
KR100693751B1 (ko) 엠엠에스를 이용한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0986264B1 (ko) 이동단말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KR100696818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메시지 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0684952B1 (ko) 통신시스템에서의 음성 전자메일/팩시밀리 발송 및 확인 방법
KR20040040543A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sms 폰 메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WO200201354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call notification message prior to a call acceptance
JP2002164934A (ja) 高齢者用情報バリアフリーサービスシステム
KR20030026089A (ko) 전화번호 검색 방법
KR20060067191A (ko) 문자 음성 변환기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수신 기능이 없는 단말기로의 단문 메시지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05236A (ko) 소정의 언어에 의해 통신하는 시스템에 이용되는 서버,단말기, 및 통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