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6839B1 - Character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Google Patents

Character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6839B1
KR100556839B1 KR1020020068208A KR20020068208A KR100556839B1 KR 100556839 B1 KR100556839 B1 KR 100556839B1 KR 1020020068208 A KR1020020068208 A KR 1020020068208A KR 20020068208 A KR20020068208 A KR 20020068208A KR 100556839 B1 KR100556839 B1 KR 100556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terminal
buttons
input
vow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82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39949A (en
Inventor
송국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8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6839B1/en
Publication of KR20040039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99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6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68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의 측면 버튼을 이용하여 양손 혹은 여러 손가락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글 문자의 입력 시 버튼 입력 횟수를 최소화하고 빠르게 완성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키패드의 숫자 버튼(0∼9)와 기능 버튼(*,#)에 기본단자음과 모음을 배치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버튼을 직접 눌러 기본 단자음과 모음을 입력한 후, 상기 버튼에 연속하여 측면에 배치된 버튼(up 버튼, down 버튼)을 입력받아, 그 측면 버튼을 누르는 횟수에 따라, 상기 기본 단자음과 모음의 다음 순서에 해당하는 자모 및 쌍자음으로 변환하여 입력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enables the user to simultaneously use both hands or multiple fingers by using the side button of the terminal, thereby minimizing the number of button inputs and quickly completing the input of Korean characters. In a terminal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by arranging basic terminal sounds and vowels on the number buttons (0 to 9) and function buttons (*, #), the basic terminal tones and vowels are input by pressing the button directly, and then the buttons are consecutive. By inputting the buttons (up button, down button) arranged on the sid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side button is pressed, the basic terminal sound and vowels corresponding to the next order of vowel Can be.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CHARACTER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Character input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도 1은 종래의 천지인 방식 문자 입력을 위한 자판 배치 구조를 보인 예시도.Figure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keyboard layout structure for the conventional character input method.

도 2는 종래의 이지(ez) 한글 입력을 위한 자판 배치 구조를 보인 예시도.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keyboard layout for a conventional easy (ez) Hangul input.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자판 배치 구조를 보인 예시도.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keyboard layout struc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상기 도3의 버튼 조합에 의한 자음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4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consonant input method by the button combination of FIG.

도 5는 상기 도3의 버튼 조합에 의한 모음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5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vowel input method using the button combination of FIG.

도 6은 상기 도3에서 공백 버튼과 측면 버튼의 조합에 따른 변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6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conversion function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a blank button and a side button in FIG.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한글 입력 방법과 종래의 한글 입력 방법에 의한 버튼 입력 횟수를 비교한 예시도.7 is an exemplary view comparing the number of button input by the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ventional Hangul input method.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방법으로 한글을 입력하는 모습을 보인 예시도.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how to input Korean by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의 측면 버튼을 이용하여 양손 혹은 여러 손가락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글 문자의 입력 시 버튼 입력 횟수를 최소화하고 빠르게 완성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 particular, by using both hands or multiple fingers at the same time by using the side button of the terminal, to minimize the number of button input when inputting the Hangul characters to complete quick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최근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단순한 전화 기능에 여러 가지 부가기능을 더하여 휴대 가능한 정보기기로 점차 발전하고 있으며, SMS(Short Message Service)나 전화번호, 스케쥴, 메모 및 기타정보 등의 입력 기능은 기본으로 구비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재는 채팅 및 웹서핑 까지도 가능한 상황이다.Recentl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gradually developing into portable information devices by adding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to simple telephone functions, and input functions such as SMS (Short Message Service), telephone number, schedule, memo and other information are basically provided. Not only that, but now it is possible to chat and surf the web.

그런데, 상기 부가 기능들은 대부분이 문자를 입력하여 수행되는 기능으로서, 단말기에 부착된 키패드를 이용해 문자를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However, most of the additional functions are performed by inputting a character, and are configured to input a character by using a keypad attached to the terminal.

따라서, 단말기 제조업체에서는 통화 품질을 좋게 하는 것 이외에도, 문자를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도 중요한 분야가 되고 있다.Therefore, in addition to improving the call quality, the terminal manufacturer has also become an important field for improving the user's convenience by easily inputting characters.

종래의 대표적인 문자 입력 방법으로는 천지인 방식과 이지(ez) 한글 입력 방식 등이 있는데, 두 방법 모두 숫자 버튼(0 ~ 9)과 기능 버튼(*,#)만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한다.Conventional character input methods include the Cheonjiin method and the easy (ez) Hangul input method, and both methods input the Hangul using only the numeric buttons (0 ~ 9) and the function buttons (*, #).

상기 천지인 방식은 도1과 같은 자판 배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자음의 경우 모두 7개의 버튼에 두 개 혹은 세 개의 자음을 할당하고, 모음은 (ㅣ),(ㆍ),(ㅡ) 3 개의 버튼만으로 모두 입력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The Cheonjiin method has a keyboard layout structure as shown in FIG. 1, and in the case of consonants, two or three consonants are allocated to seven buttons, and a vowel is composed of only three buttons (ㅣ), (·), (ㅡ). All can be input.

상기와 같이 천지인 방식은 3 개의 버튼만으로 모든 모음을 완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하나의 버튼을 여러 번 누를 경우 사용자가 실수를 할 수 있으며 하나의 손가락에 계속적인 무리가 가해 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Cheonjiin method has the advantage of completing all the vowels with only three buttons. However, if one button is pressed several times, the user may make a mistake and a problem may be applied to one finger. have.

다음, 상기 이지(ez) 한글 입력 방식은 도2와 같은 자판 배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1,2,4,5,7,8) 번 버튼에 자음을 각 하나씩 할당하고 나머지 자음은 기능 버튼(*,#)을 획 추가 버튼으로 이용하여 입력하고, 모음은 (3,6) 번 버튼에 두 개, (9,0) 번 버튼에 하나씩 할당을 하고, 나머지 모음은 자음과 마찬가지로 획 추가 버튼을 이용하여 글자를 완성하는 방식이다.Next, the easy Hangul input method has a keyboard layout structure as shown in FIG. 2, and assigns one consonant to the (1, 2, 4, 5, 7, 8) button and the other consonants are function buttons ( Enter *, #) as the Add Stroke button, assign two vowels to the (3,6) button and one to the (9,0) button. It is a way to complete the letters.

다시 말해, 상기 천지인 방식의 경우 세 개의 버튼만으로 모든 모음을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하나의 버튼을 여러 번 누를 경우 사용자가 실수를 할 수 있으며, 하나의 손가락에 계속적인 무리가 가해 질 수 있고, 문자 전송이 활성화되면서 다양한 모음이 사용되는데, 가령 (ㅔ),(ㅖ),(ㅐ),(ㅒ),(ㅝ),(ㅞ),(ㅚ),(ㅙ) 등의 모음을 누르기 위해선 비교적 많은 횟수의 버튼을 눌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the Cheonjiin metho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ll the vowels can be made with only three buttons. However, when one button is pressed several times, a user may make a mistake and a continuous force may be applied to one finger. , The character transmission is activated and various vowels are used. For example, to press vowels (ㅔ), (ㅖ), (ㅐ), (ㅒ), (ㅝ), (ㅞ), (ㅚ), (ㅙ), etc. There is a problem of pressing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buttons.

또한, 이지(ez) 한글 입력 방식은 천지인에 비해 하나의 버튼을 여러 번 누르는 경우는 적지만, 글자 하나를 완성하기 위해 서로 다른 버튼을 여러 번 눌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기본적으로 두 가지 방법 모두 하나의 손가락(예 : 엄지 손가락)만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모음 입력에 있어서 자주 쓰이는 (ㅔ)나 (ㅢ)를 누르기 위해서는 여러 번의 버튼을 입력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ez Hangul input method is less likely to press a button multiple times than Cheonjiin, but there is a problem that you need to press a different button several times to complete a character, basically both methods It is designed to use only your finger (eg thumb). In addition, in order to press frequently used (버튼) or (자주) in the vowel inp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plurality of buttons must be input.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단말기의 측면 버튼을 이용하여 양손 혹은 여러 손가락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글 문자의 입력 시 버튼 입력 횟수를 최소화하고 빠르게 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by using the side button of the terminal to enable the use of both hands or multiple fingers at the same time, minimize the number of button input when entering the Hangul characters and quickly combin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acter inpu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키패드의 숫자 버튼(0∼9)와 기능 버튼(*,#)에 기본단자음과 모음을 배치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버튼을 직접 눌러 기본 단자음과 모음을 입력한 후, 상기 버튼에 연속하여 측면에 배치된 버튼(up 버튼, down 버튼)을 입력받아, 그 측면 버튼을 누르는 횟수에 따라, 상기 기본 단자음과 모음의 다음 순서에 해당하는 자모 및 쌍자음으로 변환하여 입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rminal for inputting Korean by arranging a basic terminal sound and a vowel on a numeric button (0-9) and a function button (*, #) of a keypad. After inputting a terminal sound and a vowel, a button (up button, a down button) arranged on the side consecutively is input to the button, and the letter corresponding to the next order of the basic terminal sound and the vowel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side button is pressed.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convert to a consonan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자판 배치 구조를 보인 예시도로서, 기존의 버튼 소리 또는 통화음 조절을 위해 사용되는 단말기의 측면 버튼(Up, Down)에 삭제 버튼(Del)을 추가하여 본 발명에서 문자 입력을 위해 사용하고, 복모음(ㅔ, ㅢ) 입력 버튼을 별도로 설정하여 한 번의 버튼으로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물론, 상기 복모음(ㅔ, ㅢ) 입력 버튼을 포함하여 모음 입력을 위한 버튼은 4개(ㅣ, ㅡ, ㅔ, ㅢ)를 구비하고, 각 자음과 모음은 숫자 버튼과 측면 버튼(Up, Down)을 이용하여 입력한다.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layout of the keyboard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a delete button (Del) to the side buttons (Up, Down) of the terminal used for adjusting existing button sounds or call sound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used for character input, and a double vowel (ㅔ, ㅢ) input button is separately set to enable input with a single button. Of course, the button for vowel input including the vowel input button has four (ㅣ, ㅡ, ㅔ, ㅢ), and each consonant and vowel have a number button and a side button (Up, Down) Enter with.

각 자음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은 버튼의 조합에 의해 완성할 수 있으며, 모든 자음을 숫자 버튼(1,2,4,5,7,8)과 측면 버튼(Up, Down) 한 번만으로 표현 가능함을 보여 주고 있다. 상기 도4에서 (△) 및 (▽)는 각각 측면에 있는 Up 버튼과 Down 버튼을 한 번 누르는 것을 의미하며, 두 개씩 표시되어 있는 것은 두 번 누르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삭제(Del) 버튼은 이전에 자음 혹은 모음을 하나 지우는 기능을 한다.Each consonant can be completed by a combination of buttons as shown in Fig. 4, and all consonants are represented only once with the number buttons (1, 2, 4, 5, 7, 8) and the side buttons (Up, Down). It shows the possibility. In FIG. 4, (△) and (▽) mean pressing the Up button and the Down button on the side, respectively, and the two displayed means to press twice. And, the Delete button deletes one consonant or vowel before.

예컨대, 숫자 버튼(1,2,4,5,7,8)에 표시된 기본 단자음(ㄱ,ㄴ,ㄷ,ㅂ,ㅅ,ㅈ)을 누르고, Up 버튼을 누르면 (ㄴ)을 제외하고 쌍자음(ㄲ,ㄸ,ㅃ,ㅆ,ㅉ)으로 변환되고, Down 버튼을 누르면 (ㄴ,ㅅ)을 제외하고 상기 기본 단자음에 대한 격음(ㅋ,ㅌ,ㅍ,ㅊ)으로 변환된다. 물론, 복자음을 입력할 경우에는 필요한 기본 단자음을 누르면 된다.
또한, 상기 단자음 버튼에서 생략된 'ㄹ'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버튼을 누른 후 Up 버튼을 눌러 입력할 수 있고,'ㅁ'은 'ㄴ'버튼을 누른 후 Down 버튼을 눌러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대부분의 단말기 특성 상 자모의 수에 비해 버튼의 수가 모자라기 때문에, 모든 자음이나 모음을 버튼에 표시하지 않는데, 그 자모를 표시하지 않더라도 해당 단말기의 입력 방식(예: '획추가' 버튼이나 '쌍자음 변환' 버튼 입력)에 따라 버튼에 표시된 자모의 다음 순서에 해당하는 자모(자음, 모음)를 입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도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버튼에 표시되지 않은 자모를 입력하기 위해서, 그 자모의 순서에 따라 버튼에 표시된 자모를 먼저 누른 후 단말기 측면에 있는 버튼(업/다운 버튼)을 한번(또는, 설정 방식에 따라서는 두번) 눌러 입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For example, press the basic terminal sound (a, b, c, k, k, b) displayed on the number buttons (1, 2, 4, 5, 7, 8), and press the Up button, except for (b). ㄲ, ㄸ, ㅃ, ㅆ, ㅉ), and when the Down button is pressed, it is converted to the sound (ㅋ, ㅌ, ,,)) for the basic terminal sound except (b, ㅅ). Of course, when inputting a double consonant sound, it is necessary to press the required basic terminal sound.
In addition, the 'd' omitted from the terminal sound button may be input by pressing the Up button after pressing the 'b' button as shown in FIG. 4, and 'ㅁ' by pressing the Down button after pressing the 'b' button. You can enter
On the other hand, due to the nature of most terminals, the number of buttons is short compared to the number of alphabets. Therefore, all consonants or vowels are not displayed on the buttons, even if the alphabets are not displayed. This is because the consonants (vowels, vowels) corresponding to the next order of the consonants displayed on the button can be input according to the 'conversion of consonants' button.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input a letter not displayed on the button, first press the letter displayed on the button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letter and then press the button (up / down button) on the side of the terminal once (or Of course, depending on the setting method, it can be pressed twice.

다음, 각 모음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버튼의 조합에 의해 완성할 수 있으며, 모든 모음을 숫자 버튼(3,6,9,#) 한 번과 측면 버튼(Up, Down) 한 번 혹은 두 번으로 입력 가능하다. 특히, 문자 전송 시에 자주 사용이 되는 (ㅔ)와 (ㅢ) 모음을 단 한 번의 버튼 입력만으로 가능하게 함으로써 문자 입력 시 사용자의 피로감을 줄여 준다.Next, each vowel can be completed by a combination of buttons as shown in Fig. 5, and all the vowels are once or twice with the number buttons (3, 6, 9, #) and the side buttons (Up, Down). You can enter it once. In particular, the vowels (모음) and (자주), which are frequently used in text transmission, can be made with only one button input, thereby reducing the user's fatigue during text input.

예컨대, 숫자 버튼(3,6,9,#)에 표시된 기본 모음(ㅣ,ㅡ,ㅔ,ㅢ)을 누르고, Up 버튼을 두 번 누르면 (ㅑ,ㅠ,ㅞ,ㅝ)로 변환되고, Up 버튼을 한 번 누르면 (ㅏ,ㅜ,ㅖ,ㅟ)로 변환되고, Down 버튼을 두 번 누르면 (ㅕ,ㅛ,ㅒ,ㅙ)로 변환되고, Down 버튼을 한 번 누르면 (ㅓ,ㅗ,ㅐ,ㅚ)로 변환된다.For example, press the default vowel (ㅣ, ㅡ, ㅔ, ㅢ) displayed on the number buttons (3, 6, 9, #), and press the Up button twice to convert it to (ㅑ, ㅠ, ㅞ, ㅝ), Up button Press once to switch to (ㅏ, TT, ㅖ, ㅟ), press down button twice to switch to (ㅕ, ㅛ, ㅒ, ㅙ), press down button once to press (ㅓ, ㅗ, ㅐ, ㅟ). Is converted to).

또한, 단문 메시지 작성 시 자주 쓰이는 특수 문자인 (.),(,),(?),(_) 등도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숫자 버튼과 측면 버튼의 조합으로 간단하게 입력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special characters (.), (,), (?), (_), Etc., which are frequently used when writing a short message, can also be easily input by a combination of numeric buttons and side buttons as shown in FIG. Can be.

예컨대, 기능 버튼(*)에 할당된 (.)와 숫자 버튼(0)에 할당된 '공백'에 대하여, 각각 Up 버튼을 두 번 누르면 (!), '전체 삭제' 가 되고, Up 버튼을 한 번 누르면 (,), '한줄 삭제'가 되고, Down 버튼을 두 번 누르면 (_), '두줄 넘김'이 되고, Down 버튼을 한 번 누르면 (?), '줄 넘김'이 된다.For example, for the 'space' assigned to the function button (*) and the 'space' assigned to the numeric button (0), pressing the Up button twice will cause (!) To delete all, and press the Up button. If you press the button once, it becomes 'Delete single line', if you press the Down button twice, it becomes '2 lines', and if you press the Down button once, it becomes 'line feed'.

상기 도6에서는 공백 버튼과 측면 버튼의 조합에 따른 기능이 나와 있는데, 기존의 방법에서는 많은 양의 버튼 조작이 필요한 줄 넘기기 및 줄 삭제, 화면 삭제 등이 몇 번의 버튼 입력만으로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 준다.In FIG. 6, a function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a blank button and a side button is shown. In the conventional method, it is possible to turn a line, delete a line, and delete a screen that require a large amount of button manipulation with only a few button inputs.

다음,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한글 입력 방법과 종래의 한글 입력 방법에 의한 버튼 입력 횟수를 비교한 예시도로서, 본 발명이 천지인 방법에 비해서는 자음과 모음에서 모두 평균적으로 적게 누르는 것이 가능하며, 이지(ez) 한글 입력 방식과 비교했을 때는 모음에서는 평균적으로 조금 더 눌러야 하지만 자음 입력에 있어서는 누르는 횟수가 상당히 감소함을 알 수 있다.Next, Figure 7 is an exemplary view comparing the number of button input by the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ventional Hangul input method, compared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ss less on both consonants and vowels on average. In comparison with the EZ (Korean) input method, the vowel should be pressed a little more on average, but the number of presses in the consonant input decreases considerably.

또한, 기존의 한글 입력 방법은 주로 한 손 혹은 양손 엄지 손가락 만으로 입력이 되기 때문에 피로가 쉽게 올뿐만 아니라, 정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측면 버튼을 사용하기 때문에 양손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엄지 손가락 이외의 손가락을 같이 사용함으로써 피로감을 줄여 주고 정확도도 올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Hangul input method is not only easy to get tired because it is mainly input by one hand or both hands thumb, but also had the disadvantage of falling accuracy,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eely utilize both hands because the side button is used. In addition to using the finger together with the thumb,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atigue and increase the accuracy.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방법으로 한글을 입력하는 모습을 보인 예시도로서, (a)는 오른손으로 측면 버튼을 누르고 왼손으로 정면의 숫자 버튼을 누르는 모습이며, (b)는 오른손으로 정면의 숫자 버튼을 누르고 왼손으로 측면 버튼을 누르는 모습이다.Figure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how to enter the Hangul by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figure of pressing the side button with the right hand and the front of the number button with the left hand, (b) is the number of the front with the right hand Pressing the button and pressing the side button with his left han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측면에 삭제(Del) 버튼을 추가함으로써 빠른 삭제가 가능하고, '공백' 버튼과 측면 버튼을 활용하여 장문의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때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들이 구현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delete by adding a delete button on the side, and various functions that can be utilized when transmitting a long text message by using the 'blank' button and the side button can be implement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은, 단말기의 측면 버튼을 이용하여 양손 혹은 여러 손가락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글 문자의 입력 시 버튼 입력 횟수를 최소화하고 빠르게 조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user to simultaneously use both hands or multiple fingers by using the side button of the terminal, so that the number of button inputs can be minimized and quickly combined when inputting Korean characters. It is effective.

Claims (7)

키패드의 숫자 버튼(0∼9)와 기능 버튼(*,#)에 기본단자음과 모음을 배치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단말기에 있어서,In a terminal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by placing a basic terminal sound and a vowel on the number buttons (0-9) and the function buttons (*, #) of the keypad, 상기 버튼을 직접 눌러 기본 단자음과 모음을 입력한 후, Press the button directly to enter the default terminal sound and vowel, 상기 버튼에 연속하여 측면에 배치된 버튼(up 버튼, down 버튼)을 입력받아, 그 측면 버튼을 누르는 횟수에 따라, 상기 기본 단자음과 모음의 다음 순서에 해당하는 자모 및 쌍자음으로 변환하여 입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Receive a button (up button, down button) arranged on the side in succession to the button, an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side button is pressed, to convert the input to the alphabet and twin consonants corresponding to the next order of the basic terminal sound and vowel Character inpu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ma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에 배치할 기본 모음을 (ㅣ,ㅡ,ㅔ,ㅢ)로 설정할 경우, 기 지정된 횟수의 측면 버튼(Up)을 누름에 따라 한 번이면 (ㅏ,ㅜ,ㅖ,ㅟ)로 변환되고, 두 번이면(ㅑ,ㅠ,ㅞ,ㅝ)로 변환되고, 다른 측면 버튼(Down)을 한 번 누르면 (ㅓ,ㅗ,ㅐ,ㅚ)로 변환되고 두 번 누르면 (ㅕ,ㅛ,ㅒ,ㅙ)로 변환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n the basic vowel to be placed on the button is set to (ㅣ, ㅡ, ㅔ, ㅢ), the 측면, Up, ㅖ, (ㅟ, ㅠ, ㅞ, ㅝ), it is converted to (ㅓ, ㅠ, 한, ㅝ), and when the other side button (Down) is pressed once, it is converted to (ㅓ, ㅗ, ㅐ, ㅚ),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convert to (, ㅒ, ㅙ).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문자 또는 '공백'을 위한 버튼을 할당하여, 그 '특수문자' 및 '공백' 기능이 할당된 버튼이 입력된 후, 기 지정된 횟수의 측면 버튼(Up)을 누름에 따라 (!), '전체 삭제', (,), '한줄 삭제'가 되고, 기 지정된 횟수의 다른 측면 버튼(Down)을 누름에 따라 (_), '두줄 넘김', (?), '줄 넘김' 기능이 수행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utton for allocating the special character or the 'blank' is assigned, and the button assigned with the 'special character' and the 'blank' function is input, and then the side button Up is press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ccording to (!), 'Delete All', (,), 'Delete Single Line', and by pressing the other side button (Dow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_), 'Twist Line', (?), ' Character inpu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line feed' function is performed. 삭제delete
KR1020020068208A 2002-11-05 2002-11-05 Character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5568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208A KR100556839B1 (en) 2002-11-05 2002-11-05 Character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208A KR100556839B1 (en) 2002-11-05 2002-11-05 Character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9949A KR20040039949A (en) 2004-05-12
KR100556839B1 true KR100556839B1 (en) 2006-03-10

Family

ID=37337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8208A KR100556839B1 (en) 2002-11-05 2002-11-05 Character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683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904B1 (en) * 2003-02-20 2009-10-06 이승우 The method of hangeul input using like telephone keypa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6009A (en) * 1999-03-10 1999-06-25 김영일 Apparatus for inputting numbers or characters quickly in compact devices or desktop telephones
KR20010087753A (en) * 2000-12-26 2001-09-26 송기석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Celluar phone.
KR20020007852A (en) * 2000-07-19 2002-01-29 백승헌 Text input method of portable phone and portable phone using thereof
KR20020013234A (en) * 2000-08-12 2002-02-20 윤종용 Message inputting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0041677A (en) * 2001-11-21 2003-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Character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6009A (en) * 1999-03-10 1999-06-25 김영일 Apparatus for inputting numbers or characters quickly in compact devices or desktop telephones
KR20020007852A (en) * 2000-07-19 2002-01-29 백승헌 Text input method of portable phone and portable phone using thereof
KR20020013234A (en) * 2000-08-12 2002-02-20 윤종용 Message inputting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10087753A (en) * 2000-12-26 2001-09-26 송기석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Celluar phone.
KR20030041677A (en) * 2001-11-21 2003-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Character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9949A (en) 200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4841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inputing vowel of the Hangul in the same
KR100652744B1 (en) Keypad structure and character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556839B1 (en) Character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336493B1 (en) Expanded telephone keypad system accepting Korean characters
KR20000044417A (en) Method for inputting alphabet simply
KR100370427B1 (en) Hangul input method in a mobile station
KR20010104193A (en) A display methode of text for basic form character
KR20010106807A (en) Phone keypad use Hangul input method
KR100451206B1 (en) Hangul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432267B1 (en) Easy korean keyboard
KR100697251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inputting hangul thereto
KR100628076B1 (en) A Keypad in Mobile phone
KR20000041317A (en) Device for inputting korean alphabet and english
KR20060107646A (en) Hangeul inputting system for digital terminal
KR20040042272A (en) Character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20012823A (en)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character conversion button
KR100990242B1 (en) Keypad Assembly
KR20050013921A (en) Method of inputting a hangeul of mobile terminal and keyboard used for it
KR100373330B1 (en) Method for korean character inpu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377416B1 (en) Telephone and Hangul inputting method using it
KR20070082777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ethod for having character input function
KR20070031076A (en) Hangul Vowel Input Method
KR20040003092A (en) Hangul input method and device based on new expanded keypad
KR20010091356A (en) Efficient Hangul Input Device and Method of Mobile Phone
KR20030042272A (en) korean language input system of wireless phone using a blind pers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