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3092A - Hangul input method and device based on new expanded keypad - Google Patents

Hangul input method and device based on new expanded keyp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3092A
KR20040003092A KR1020020035511A KR20020035511A KR20040003092A KR 20040003092 A KR20040003092 A KR 20040003092A KR 1020020035511 A KR1020020035511 A KR 1020020035511A KR 20020035511 A KR20020035511 A KR 20020035511A KR 20040003092 A KR20040003092 A KR 20040003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key
hangul
button
ke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55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승도
Original Assignee
박승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도 filed Critical 박승도
Priority to KR1020020035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3092A/en
Publication of KR20040003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3092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inputting a Korean alphabet through a new expandable keypad is provided to express most consonants and vowels of the Korean alphabet including basic consonants and basic vowels at a time with a key-in function,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key-in times and improving input speed of the Korean alphabet. CONSTITUTION: A controller sets to extract consonants and vowels of a Korean alphabet corresponding to pressed keys(210). The controller sets an operating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from a keypad(220), and selects an operational mode to change input modes of numbers, English alphabet, and the consonants/vowels of the Korean alphabet by using functional keys when inputting the Korean alphabet(230). A user combines specific Korean characters, and the controller turns on back light for buttons corresponding to combinable consonants/vowels by a key-in function(240).

Description

새로운 확장형 키패드를 통한 한글 입력 방법 및 장치 { Hangul input method and device based on new expanded keypad }Hangul input method and device based on new expanded keypad

본 발명은 전화기, 휴대폰, 컴퓨터등의 단말기에서 사용하는 숫자키패드를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한글 입력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어도 한글을 포함한 숫자 및 문자를 편리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gul input method and system for inputting Hangul by utilizing a numeric keypad used in a terminal such as a phone, a mobile phone, a computer, and more particularly, to conveniently and efficiently input numbers and characters including at least Hangul. A method and apparatus for

전자통신기술협회(TTA)가 1992년에 표준으로 결정한 전자식 전화기를 이용한 문자 입력코드(KICS. KO-05.0018)는 사용하기 불편하여 1998년에 새로운 한글입력 방식을 공모하여 표준화를 시도했으나 실패한 바 있다.The character input code (KICS.KO-05.0018) using an electronic telephone, which was decided as a standard in 1992 by the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 (TTA), was uncomfortable and attempted to standardize a new Korean input method in 1998, but failed. .

한편 휴대폰이 급속히 보급되면서 삼성전자, LG정보통신, 현대전자, 모토로라등 휴대용 전화 단말기 생산업체들은 독자적으로 한글입력방식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있다Meanwhile, with the rapid spread of mobile phones, mobile phone handset manufacturers such as Samsung Electronics, LG Information Communication, Hyundai Electronics, and Motorola have developed and applied their own Hangul input method.

휴대폰등에서 사용중인 키패드에서 한글을 표현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첫번째로 키패드에 자음 및 모음을 적절히 배열하는 방법과 두번째로 특정한 규칙에 따라 '자음' 및 '모음'을 생성하여 글자를 조합하는 방법이 있다.In order to express Korean characters on the keypad used in mobile phones, the first method is to arrange consonants and vowels properly on the keypad, and the second is to combine letters by creating 'consonants' and 'vowels' according to specific rules. have.

첫번째 방법은 기존의 키패드에서 12개의 숫자버튼에 각각 14개의 자음과 10개의 모음을 프린트하여 표현하여야 하는데 따라 특정 자/모음을 입력하기 위하여는 여러번의 키인(Key-in)이 필요하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키패드를 사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기존의 특허출원방법들은 대개 기존의 키패드가 지닌 12개의 숫자버튼을 그대로 활용함에 따라, 키패드에 있는 숫자버튼에 한글자음(기본자음, 격자음, 겹자음)을 2개~4개씩 중복되게 배열하고, 한글모음(기본모음,중모음,이중모음)도 2~3개씩 중복되게 배열하여, 해당 숫자버튼을 기설정된 횟수만큼 반복적으로 키인(Key-in)하는 것으로서 원하는 한글 자음/ 모음을 선택하여, 해당 자음 및 모음의 조합으로서 글자를 입력하는만큼 글자 입력속도가 매우 더디다는 단점이 있으며, 한개의 숫자버튼에 너무 많은 자음 및 모음이 프린트되는 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복자음 혹은 복모음의 경우에는 키패드에 구비된 기능키들(* 혹은 #)를 함께 사용하였다.The first method is to print 14 consonants and 10 vowels on 12 number buttons on the existing keypad. Therefore, it is inconvenient that several key-in is needed to input a specific consonant / vowel. there was. In more detail, existing patent application methods for inputting Hangul using the keypad generally use the 12 numeric buttons of the existing keypad as they are, so that the Korean consonants (basic consonants, lattice sounds, and multiple consonants) ) 2 ~ 4 are arranged in duplicate, Hangul vowels (basic vowel, middle vowel, double vowel) also arranged in duplicate by 2 ~ 3, to repeatedly key-in the number butto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s a consonant and vowel, you can select the desired Hangul consonants and vowels. As a combination of the corresponding consonants and vowels, the letter input speed is very slow. To solve the problem of printing too many consonants and vowels on one number button In the case of double consonants or double consonants, the function keys (* or #) provided on the keypad were used together.

이러한 방법으로는 한문자의 자음 혹은 모음을 선택할 경우에 필요한 키인(Key-in)의 횟수가 매우 많이 필요하며 이는 결국 필기에 비하여 타수의 속도가 느려지는 결과가 되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기존의 숫자키에 배열하는 자음 및 모음 위치를 변경하거나, 복자음 혹은 복모음을 선택하는 방법으로서 키인(key-in)의 횟수를 결정하거나 별도의 기능키를 사용하는 방법을 선택하는듯 주로 기존의 키패드내에서의 효과적인 자음, 모음의 배치방법에 대하여 주안점을 두었다. 그러나, 사용자 친숙성이 떨어지고, 글자를 조합하는데 필요한 키인이 너무 많다는 단점이 있다.In this method, the number of key-in required when selecting a consonant or a vowel of a single character is very high. This resulted in a slower stroke compared to handwriting. As a method of changing consonants and vowel positions arranged on the numeric keys, or selecting a consonant consonant or a vowel vowel,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number of key-in or using a separate function key is mainly used in the existing keypad. Emphasis was placed on how to arrange consonants effectively. 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user friendliness is inferior, and there are too many key ins for combining letters.

두번째 방법은 한글이 지닌 특정한 규칙에 따라 '자음' 및 '모음'을 생성함으로서, 모든 자음 및 모음을 키패드의 숫자버튼에 프린트 하지 않아도 되며, 해당 자음 및 모음을 만드는 규칙만을 알 경우 손쉽게 글자를 조합할 수 있음으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좋다. 대표적으로 삼성에서 사용중인 '천지인' 한글입력방법과 LG에서 사용중인 '나랏말2000'이 있다.The second method is to create 'consonants' and 'vowels' according to the specific rules of Hangeul, so that all consonants and vowels do not need to be printed on the number buttons on the keypad. By doing so, the user interface is good. There are 'Cheonjiin' Hangul input method used by Samsung and 'Naratmal 2000' used by LG.

삼성에서 사용중인 "천지인 제자 원리에 기반한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특허출원 99-52650)은 천지인( ?ㅡㅣ)방식을 채택하여, 키패드상의 3개의 숫자키버튼에 한글모음을 배치하고, 나머지 7개의 숫자키버튼에는 한글자음을 분산배치하여 모음의 입력을 글자모양대로 조합하여 사용한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이중모음 또는 이중자음에 대해서는 전화기 키패드상에 구비된 기능키들(* 또는 #)을 함께 사용한 조작으로 입력하도록 한다.The Korean input device and method based on the Cheonjiin Discipleship principle (Patent Application 99-52650) used by Samsung adopts Cheonjiin (? ㅡ ㅣ) method, and arranges the Hangul vowel on three numeric key buttons on the keypad. Distribute Korean consonants to seven number key buttons and combine the vowel inputs with letters. In another example, a double vowel or a double consonant is input by an operation using a combination of function keys (* or #) provided on the telephone keypad.

이러한 방법으로는 '천지인'의 경우 한글입력의 간편성은 향상되었으나 문자 표현을 위하여 버튼을 키인(Key-in)하는데 필요한 필요한 입력 타수(Key-in)가 많아져서 필기에 비하여 빠른 타수를 나타내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며, LG에서 사용중인 한글입력방식은 자음을 각기 '겹자음'과 '복자음'으로 분리하였으나 사용자가 사용방법을 새롭게 숙지하여야 하고 문자를 표현하기 위하여 버튼을 키인(Key-in)하는데 필요한 입력 타수가 많아져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In this way, in the case of 'Cheonjiin', the simplicity of Hangul input is improved. However, the number of input keys necessary to key-in the button for the character expression is increased, making it difficult to express faster strokes than handwriting. The Korean input method used by LG separates consonants into 'double consonants' and 'compjamas' respectively, but the user needs to know how to use newly and input necessary to key-in the button to express character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many strokes are inconvenient.

한글은 영문자에 비하여 초성,중성,종성을 갖는등, 전술한 입력방법을 사용할 경우 키인(Key-in)의 횟수가 많아져 사용상 불편하고 비효율적이었다.Hangul is inconvenient and inefficient in terms of the number of key-in using the above-described input method, such as initial, neutral, and final, compared to English letters.

예를들면, 전술한 겹자음, 중자음, 중모음, 및 이중모음을 표현하기 위하여 과다한 키인(Key-in) 혹은 기능키의 사용으로 인하여, 운지거리가 길어지고 타건수가 늘어나서 사용법이 매우 복잡하여서 별도의 숙지법을 익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For example, due to the excessive use of key-in or function key to express the double consonant, the middle consonant, the middle vowel, and the double vowel described above, the fingering is long and the number of hits increases, which makes the usage very complicated. There is an inconvenience to learn how to lear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키패드의 모양을 최대한 훼손하지 않으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편하게 만들어서 많은 문자의 입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키패드의 여유공간에 새로운 버튼인 문자키를 두도록 하며, 숫자키와 문자키간의 높낮이에 차별을 두어서 사용자의 손놀림에 편의를 제공하고 오타를 방지하였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a user interface easy to select and input a large number of characters without damaging the shape of the existing keypad as much as possible.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lace a new button, a text button in the free space of the existing keypad, to provide a convenience to the user's hand by preven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height and height of the numeric key and the text key to prevent typos.

예를들면, 기존의 전화기 키패드는 0~9의 숫자 및 ?*?, ?#? 문자를 표현하기 위한 12개의 숫자버튼이 존재하였으나, 이들 숫자버튼(이하, 숫자키) 사이에는 평편한 키패드의 공간이 있으며, 이때의 공간은 보통 키패드와 평면을 이루거나 약간 솟아올라있는 형태로서의 플라스틱 외형이 경우가 많았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 키패드에 존재하는 12개의 숫자버튼만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키패드내의 숫자버튼과 숫자버튼사이에 존재하는 여백의 공간을 사용하는 방안을 간구하여, 이곳에 새로운 문자버튼을 두도록 함으로써 문자를 형성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사용자에게 많은 선택을 주었고, 21개의 모음중 19개를 1번의 키인(Key-in)으로 표현하도록 하였다.For example, traditional telephone keypads have numbers 0-9 and? * ?,? #? There were 12 numeric buttons for expressing characters, but there is a flat keypad space between these numeric buttons (hereafter referred to as numeric keys), in which the space is usually formed in a flat or slightly raised form with the keypad. Appearance was often the case. In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using only 12 numeric buttons existing on the existing keypad, requesting a way to use the space of the space existing between the numeric button and the numeric buttons in the keypad, by placing a new character button here As a way to form, the user has many choices, and 19 out of 21 vowels are represented by one key-in.

이에 따라서, 적어도 초성을 비롯한 중성, 및 종성에 있어서 필요한 키인(Key-in)의 필요횟수를 줄이고 기능키의 과다한 사용을 줄이면서도, 자음 및모음들의 적절한 키배치로서 입력타수 속도의 향상을 꾀하여 필기보다 빠른 속도를 낼 수 있을뿐 아니라, 숫자 및 문자의 동시입력에서도 빠른 속도를 보장할 수 있고, 사용자의 중복된 키인으로 인한 오타를 줄일 수 있다라는 장점이 있다.Accordingly, at least the necessary number of key-in required for the initial and the neutral and finality, and the excessive use of the function keys, while reducing the excessive use of the function keys, while improving the input stroke speed by appropriate key placement of consonants and vowels Not only can it achieve faster speeds, it can also guarantee fast speeds in simultaneous input of numbers and letters, and it can reduce typos caused by duplicate key-in of users.

본 발명은 키패드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사용자의 편의성과 키패드 사용상의 효율성을 위하여 기존의 키패드에서 숫자버튼간의 빈 공간에 별도의 버튼을 두어, 사용자의 입력을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문자 입력의 간편성과 학습용이성을 최적화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hile maximizing the space of the keypad,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and the efficiency of using the keypad by placing a separate button in the empty space between the number buttons on the existing keypad, by allowing the user to receive input, simplicity of character input And optimizing learning ease.

이러한 본 발명은 숫자버튼과 숫자버튼 사이의 빈 공간을 활용함에서 있어서, 숫자버튼을 키패드에서 약간 낮게 위치하도록 하고, 키패드상에서 숫자버튼 사이의 빈 공간을 약간 높게 두어서 이곳에 알파벳 버튼을 두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숫자버튼과 알파벳 버튼 간의 버튼 입력에서의 실수를 최대한 방지하며,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의 숫자를 최대한 늘림으로써, 글자당 입력 타수를 가능한 줄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utilizing the empty space between the numeric button and the numeric button, by placing the numeric button slightly lower on the keypad, by placing the empty space between the numeric buttons on the keypad slightly higher by placing an alphabet button here In addition, the user can prevent a mistake in the button input between the numeric button and the alphabet button as much as possible, and the number of inputs per character can be reduced as much as possible by increasing the number of buttons selectable by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전화기형태의 숫자키패드의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numeric keypad of a telephone type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Hangul inp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는 본 발명의 장치에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기본 개념도이다.3 is a basic conceptual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숫자키패드를 나타낸 도면4 is a diagram showing a numeric keypa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숫자키패드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5 is a view showing the side of the numeric keypa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는 도 3의 바람직한 제 1구현예에 따른 숫자키패드의 자판을 나타낸 예시도이다.6A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keyboard of a numeric keypad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FIG. 3.

도 6b는 도 3의 바람직한 제 2구현예에 따른 숫자키패드의 자판을 나타낸 예시도이다.6B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keyboard of a numeric keypad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FIG. 3.

도 6c는 도 3의 바람직한 제 3구현예에 따른 숫자키패드의 자판을 나타낸 예시도이다.6C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keyboard of a numeric keypad according to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FIG. 3.

도 6d는 도 3의 바람직한 제 4구현예에 따른 숫자키패드의 자판을 나타낸 예시도이다.6D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keyboard of a numeric keypad according to a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FIG. 3.

도 7은 도 3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키패드가 기존 휴대폰과 연결될 때의 블록 구성도이다.FIG. 7 is a block diagram when a keypad to which the embodiment of FIG. 3 is applied is connected to an existing mobile phone.

도 8은 본 발명의 장치에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한글 입력에 따라 능동적으로 변화하여 나타나는 표시부의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of a display unit which is actively changed according to a Hangul input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확장형 키패드에 의한 한글 입력방법 및 장치는, 확장형 키패드의 숫자버튼에 한글 자음을 배열하고 문자버튼에 한글 모음을 배열한 상태에서, 각각의 키버튼을 선택하는 키버튼 조작을 인가 받음에 따라 해당 키버튼에 배정된 코드를 생성하면, 한글 자모 생성과정에서는 각각 생성된 코드에 맞는 한글 자모를 생성한 후 초성, 중성, 종성의 조합 원리에 따라 조합하여 한글 음절을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확장형 키패드의 숫자버튼에 한글 자음을 배정하는 순서 및 확장형 키패드의 문자버튼에 한글 모음을 배정하는 순서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Hangul input method and apparatus by the expandable key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gul consonants arranged on the numeric buttons of the expandable keypad and Hangul vowels on the character buttons, each key button When the code assigned to the corresponding key button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permission of the selected key button operation, the Hangul alphabet generation process generates the Hangul alphabet corresponding to each generated code and combines them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principle of initial, neutral, and final. It is characterized by generating Hangul syllables. At this time, the order of assigning Hangul consonants to the numeric buttons of the expandable keypad and the order of assigning Hangul vowels to the character buttons of the expandable keypad may vary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전화기형태의 숫자키패드의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numeric keypad of a telephone type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상기 도1을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키패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120)는 키패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110)에 의해 전반적인 동작이 실시될때의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일시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표시부(130)는 사용자의 키인 동작에 따라 키패드의 버튼에 부착된 백라이트 불빛을 변화시키거나, 연결된 LCD에 제어부(110)를 통해 인가된 신호로서 숫자 및 문자를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키입력부(140)는 본 발명의 핵심이 되는 부분으로서 기존의 키패드에 구성되는 숫자키이외에 발명에서 제안한 문자키와 특수목적에 사용되는 기능키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키패드를 통하여 소정의 키를 누르면 이를 제어부(110)로 신호가 인가된다.Referring to FIG. 1,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keypad. Memory 120 stores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keypad, and serves to temporarily store the input / output data when the overall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controller 110. The display unit 130 changes a backlight light attached to a button of a keypad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user's key or displays numbers and letters as a signal applied through the controller 110 to a connected LCD. The key input unit 140 is a key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as a function key used for a special purpose and a character key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numeric keys configured on the existing keypad, and when the user presses a predetermined key through the keypad, The signal is applied to the control unit 110.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키패드를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inputting Korean using a keypad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제안한 키패드를 사용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키패드에 마련된 숫자키(0~9) 10개와 문자키 20개에 한글의 자모를 각각 소정 형태로 분리하여 배열하고, 상기 키를 키인하는 횟수에 따라 해당 조작에 대응하는 한글 자모가 추출되도록 설정하는 단계(210)와;In the preferred embodiment using the keypad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alphabets of Korean letters are separately arranged in a predetermined form on 10 numeric keys (0 to 9) and 20 character keys provided on the keypad, respectively. Setting 210 to extract a Hangul Jamo corresponding to a correspond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key is keyed in;

상기 키패드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동작방법을 설정하는 단계(220)로서, 한글의 입력시에 별도의 기능키를 사용하여 숫자, 영문자, 한글자음의 입력모드를 각기 변경하도록 하기 위하여 동작모드를 선택하는 단계(230)를 거치거나, 기능키없이 입력모드의 변경없이 숫자키의 키인 횟수에 따라 숫자, 영문자, 한글자음이 각기 선택되도록 할 수 있는 동작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거쳐서;In step 220 of setting an operation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on the keypad, an operation mode is selected to change input modes of numbers, English letters, and Korean consonants using separate function keys when inputting Korean characters. After the step 230, or without the function key to change the input mode without changing the input mode according to the number of keys, the number of the alphabet, English letters, Hangul consonants can be selected to set the operation mode respectively;

사용자가 각기 키인하는 횟수에 따라 선택되는 한글 자모의 결합으로서 특정한 한글문자가 조합되도록 하고, 이때 사용자의 키인에 의해 인지된 한글 자모(자음 및 모음)에 대하여 결합가능한 자모에 대응하는 버튼(숫자버튼 혹은 문자버튼)에 대하여 백라이트 불빛이 들어옴으로서 사용자가 손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240)를 거쳐서 한글 문자가 조합된다.The combination of the Hangul alphabets selected by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key-in causes specific Hangul characters to be combined.In this case, a button (number button) corresponding to the Hangul alphabets (consonants and vowels) recognized by the user's key-in Or character buttons), and the Hangul characters are combined through the step 240 of allowing the user to easily select the backlight by turning on the backlight.

도 3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키패드를 활용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기본 개념도이다.3 is a basic conceptual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utilizing the keypad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숫자키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umeric keypa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4.

사용자가 키패드로 숫자 및 문자를 입력하는데 있어서, 기존에는 숫키패드에 부착되어있는 12개의 숫자키(0~9)및 기능키(* 및 #)를 활용하여, 숫자키패드에 한글의 자모음을 적절히 배열하여 해당 키를 여러 번 키인하는 횟수에 따라 표현되는 자모음을 달리하여 한글을 조합하였다. 이를 위하여 숫자키패드의 버튼에는 키마다배열된 한글 자모음 및 숫자와 영문자가 프린트되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키패드에 12개의 숫자버튼을 배열하는 것 이외에 키패드의 여유공간에 20개의 버튼(이하, 문자 버튼키)을 별도로 배열하여 사용자가 키패드에서 선택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 숫자를 크게 늘렸다. 도 2에서 보는바와 같이 일반적인 전화기에서 사용되는 숫자키패드에서는 숫자버튼(숫자 0~9, * 및 #)과 숫자버튼 사이에 어느 정도의 여유공간이 있었다. 해당 여유 공간에 문자버튼을 배열하여 사용자가 주로 활용하는 숫자버튼의 사용에는 큰 무리가 없으면서도, 키패드에서 입력인터페이스로 활용가능한 버튼 수는 크게 늘렸다. 숫자버튼 및 문자버튼을 사용자가 키인하였을 경우 소정의 신호가 도 1에서 보이는 제어부(110)에 인가하여 사용자가 키인한 버튼의 종류 및 횟수에 따라 약정된 소정의 한글 자모음이 각각 조합하여 한글문자를 만들며, 이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키패드를 사용하는 기기(전화기, 휴대폰 및 컴퓨터단말기등)에서 한글문자의 입력신호로 활용가능하다.When the user inputs numbers and characters from the keypad, the alphabetical consonants of Korean characters are properly applied to the numeric keypad by using the 12 numeric keys (0-9) and the function keys (* and #) attached to the numeric keypad. Hangul is combined by varying the consonants express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key is keyed in several times by arranging them. To this end, the buttons on the numeric keypad were printed with a Korean alphabet, numbers and English letters arranged for each key.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arranging 12 numeric buttons on the keypad, 20 buttons (hereinafter, character button keys) are separately arranged in the free space of the keypad, thereby greatly increasing the number of input interface that the user can select from the keypad. As shown in Figure 2 in the numeric keypad used in the general phone there was some free space between the number buttons (numbers 0-9, * and #) and the number buttons. By arranging the character buttons in the free space, the number of buttons that can be used as an input interface on the keypad has been greatly increased, while there is no big problem in using the number buttons mainly used by users. When the user presses the numeric button and the character button, a predetermined signal is applied to the control unit 110 shown in FIG. 1, and the predetermined Hangul alphabets according to the type and number of the buttons keyed in by the user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It can be used as an input signal of Hangul characters in the device (phone, mobile phone and computer terminal, etc.) using the keypad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숫자키패드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서 제안한 키패드에서 주로 사용되는 버튼은 숫자버튼으로서, 문자버튼과 숫자버튼의 이용시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한 키패드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숫자버튼의 크기와 문자버튼의 크기에 차별을 둘 뿐만 아니라, 키패드내에서 각 버튼의 위치에 높낮이의 차별을 두어서, 사용자의 입력시에 오타의 발생가능성을 줄였다. 특히, 도 4에서 보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제어부(110)에서는 사용자가 키인하는 버튼의 종류 및 횟수를 분석하여 하나의 문자를 조합함에 있어서, 한글 자음을 나타내는 키인과한글 모음을 나타내는 키인에 있어, 하나 이상의 자음 및 모음을 초성,중성,종성의 조합 원리에 따라 조합되어 한글 음절이 발생될 수 없는 경우의 사용자 입력은 조작상의 실수임을 인지하여 자동으로 오류를 수정하며 이를 표시부(130)를 통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포함 한다. 예를 들면, 한글의 조합원리상 ‘초성+중성’ 혹은 ‘초성+중성+종성’으로서 한글자가 조합되는데, ‘중성+중성’에 해당하는 키인 혹은 겹자음(ㄲㄸㅃㅆㅉ) 및 자음종성(ㄳㄵㄶㄺㄻㄼㄿㄾㅀㅄ)으로 활용불가능한 자음 버튼키에 해당하는 키인이 이에 속한다.Figure 5 is a view showing the side of the numeric keypa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ttons mainly used in the keypad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number button, should not be inconvenient to the user when using the character button and the number button. The keypad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discriminates the size of the numeric buttons and the size of the character buttons as shown in FIG. 3, but also distinguishes the height and height at the position of each button in the keypad, thereby preventing a typo. Reduced the likelihood of occurrence.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4, the controller 110 of FIG. 1 analyzes the type and number of buttons that a user keyes in, and combines one character with a keyin indicating a Korean consonant. In the key-in that represents Korean vowels, if one or more consonants and vowels are combined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principle of initial, neutral, and final, the user input when Korean syllable cannot be generated is recognized as an operation mistake and automatically corrects the error. This includes the function of displaying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130. For example, Hangul is combined as 'Primary + Neutral' or 'Primary + Neutral + Jongsung' based on the combination principle of Hangeul. The keyin corresponding to the unusable consonant button key belongs to this.

도면 6a~6b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키패드의 서로다른 구현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확장형 키패드의 키버튼에 한글 자모음을 각각 배열하는 형태는 여러가지로 존재 가능하며, 각각의 키버튼을 선택하는 키버튼 조작을 인가함에 따라 해당 키버튼에 배정된 코드(한글 자모음)가 생성된다.6a to 6b show different implementations of the keypad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Hangul consonants can be arranged in various ways on the key button of the extended keypad, and the key button operation for selecting each key button can be present. Upon approval, a code (Korean vowel) assigned to the corresponding key button is generated.

도 6a는 도 4의 바람직한 제 1구현예에 따른 숫자키패드의 자판을 나타낸 도면이다.6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keyboard of a numeric keypad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FIG. 4.

사용자가 키패드를 통해 한글을 입력함에 있어서, 한글 자음은 키패드의 숫자버튼에 프린트된 자음을 키인하는 횟수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1번 숫자버튼의 ㄱ/ㄲ 의 경우는 첫번째 키인에서는 ‘ㄱ’이 선택되고, 두 번째 키인에서는 ‘ㄲ’이 선택된다. 한글 모음은 키패드의 문자버튼에 프린트된 모음을 키인하는 것으로 결정된다.When the user inputs Korean characters through the keypad, the Korean consonants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key consonants printed on the numeric buttons of the keypad are keyed in. For example, in the case of ㄱ / ㄲ of the number 1 button, 'ㄱ' is selected in the first key, and 'ㄲ' is selected in the second key. Hangul vowels are determined by keying in the vowels printed on the character buttons on the keypad.

키패드에 배열된 20개의 문자버튼은 각기 21개의 한글모음중 14개의 기본모음을 포함한 19개의 한글모음을 1 번의 키인으로서 표현 가능하며, 나머지 2개의한글모음은 해당 모음의 기본모음의 조합에 맞는 문자버튼의 키인조합 또는 특정 문자버튼의 두 번의 키인으로서 인지 가능하다.The 20 character buttons arranged on the keypad can express 19 Korean vowels, including 14 basic vowels of 21 Korean vowels, as one key-in, and the remaining two Korean vowels are the characters that match the combination of the basic vowels of the vowel. It can be recognized as a key-in combination of a button or as two key-in of a specific character button.

숫자버튼에는 한글 자음이외에 숫자 혹은 특수문자가 같이 프린트되어 배열되어 있다. 이들 숫자버튼에 배열된 숫자/특수문자 및 한글자음의 선택은 각기 숫자버튼의 키인 횟수 혹은 기능키 및 키인횟수의 결합으로서 조합 가능하다. 예를 들면, 3번 숫자버튼의 경우는 기능키로서 문자 종류를 선택하는 버튼이 사용될 경우 한글 선택 기능키 선택 및 해당 숫자키의 키인횟수로 ‘ㄱ’과 ’ㄲ’가 선택되며, 기능키로서 문자 종류를 선택하는 버튼이 사용되지 않을 경우 해당 숫자키의 키인 횟수로서 ‘ㄱ’,’ㄲ’,’D’,’E’,’F’,’3’ 가 각각 선택된다. 표 1은 그림 4에서 나타난 한글 자음을 선택하기 위한 키인을 표로서 나타낸 것이며, 모음은 그림에 나타난 것과 같은 배열을 가진다.In addition to Hangul consonants, the number buttons are printed with numbers or special characters. The selection of numbers / special characters and Hangul consonants arranged on these number buttons can be combined as the number of keys or the combination of function keys and number of keys.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number 3 button, when the button for selecting the type of character is used as the function key, 'a' and 'ㄲ' are selected as the number of the Korean selection function key and the number of keys of the corresponding number key. If the button for selecting a character type is not used, the number of keys of the corresponding numeric key is selected as 'AB', 'ㄲ', 'D', 'E', 'F', '3'. Table 1 shows the keyin for selecting the Korean consonants shown in Fig. 4, and the vowels have the same arrangement as shown in the figure.

[표1]Table 1

한글자음(KeyPad push)Korean consonant (KeyPad push) 입력키인(Scan Code)Input Code (Scan Code) 한글자음(KeyPad push)Korean consonant (KeyPad push) 입력키인(Scan Code)Input Code (Scan Code) A 1One 1111 N 22 3333 C 33 6666 D 44 7777 M 55 9999 66 1717 S 77 2929 88 2#2# 99 4141 H ** 4545 Lol **** 4646 00 4040 0000 400400 ## 4#4# 6767

상기에서 겹자음(ㄲㄸㅃㅆㅉ)은 해당 기본 자음 키의 복수 키인으로서 표현하며, 자음종성(ㄳㄵㄶㄺㄻㄼㄿㄾㅀㅄ)은 해당 자음을 구성하는 기본자음들의 조합으로서 표현된다. 다만, 상기에서 하나의 숫자키(0)에 결합 가능한 자음종성의 배열(ㄿㄾ)이 존재함으로써, 사용자의 오타 발생가능성이 높다. 이는 키배열 방법의 변환으로서 방지가 가능하다.In the above, a double consonant is represented as a plurality of key consonants of the corresponding basic consonant key, and consonant finalism is expressed as a combination of basic consonants constituting the consonant. However, since there is an arrangement of consonant species that can be combined with one numeric key (0),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a user typos. This can be prevented as a conversion of the key arrangement method.

도 6b는 도 4의 바람직한 제 2구현예에 따른 숫자키패드의 자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에서 나타낸 제 1구현예와 다른 점은 숫자버튼에 배열된 자음의 배열에 변화가 있다는 점이다. 기능키(* 및 # )의 사용을 위하여, 기능키(* 및 #)에는 한글자음을 배열하지 않음으로서, 기능키(* 및 # 버튼)을 다른 용도로 사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문자선택버튼으로서의 사용 및 문자버튼에서 표현하지 못한 모음(ㅙ,ㅞ)의 선택버튼으로의 활용이 가능하며, 숫자버튼의 키인으로 표현가능한 숫자, 한글자음, 영문자등의 문자선택 버튼으로서도 활용이 가능하다. 그외에도 당 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여러가지 기능을 위한 버튼으로서 활용 가능함을 알 수 있다. 표 2는 그림 6b에서 나타난 한글 자모음을 선택하기 위한 키인을 표로서 나타낸 것이다.6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keyboard of a numeric keypad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FIG. 4. The difference from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6A is that there is a change in the arrangement of consonants arranged in the number buttons. For the use of the function keys (* and #), the function keys (* and #) are not arranged with Korean consonants, so that the function keys (* and # buttons) can be used for other purposes. For example, it can be used as a character selection button and can be used as a selection button of vowels (ㅙ, ㅞ) which can not be expressed in the character buttons, and character selection buttons such as numbers, Korean consonants, and English characters that can be expressed as key keys of the number buttons. It can be used as. In addi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be seen that it can be used as a button for various functions. Table 2 shows the keyin for selecting the Korean alphabet shown in Figure 6b.

[표 2]TABLE 2

한글자음(KeyPad push)Korean consonant (KeyPad push) 입력키인(Scan Code)Input Code (Scan Code) 한글자음(KeyPad push)Korean consonant (KeyPad push) 입력키인(Scan Code)Input Code (Scan Code) A 1One 1111 N 22 3333 C 33 6666 D 44 7777 M 55 9999 66 1717 S 77 2929 88 28 (288의 단축)28 (288 shortcuts) 99 4141 H 00 4545 Lol 2222 4646 4444 44 (444의 단축)44 (444 shortcuts) 0000 40 (400의 단축)40 (400 shortening) 8888 48 (488의 단축)48 (shortcut of 488) SPACE (공칸)SPACE (space) 5555 6767

상기에서 겹자음(ㄲㄸㅃㅆㅉ)은 해당 기본 자음 키의 복수 키인으로서 표현하도록 하며, 자음종성(ㄳㄵㄶㄺㄻㄼㄿㄾㅀㅄ)은 조합되는 자음키의 키인 조합으로서 표현하도록 한다. 사용빈도가 높은 자음은 한 번의 키인으로 표현될 수 있도록 한다.In the above, the double consonants are represented as a plurality of key consonants of the basic consonant key, and the consonants are expressed as a combination of keys of consonant keys to be combined. High frequency consonants can be expressed as a single key-in.

상기에서 자음종성으로 조합되는 자음과 조합불가능한 자음을 하나의 숫자키에 배열함으로서, 특정한 자음 종성을 표현할 때 필요한 키인 횟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예를 들면, 자음 종성(ㄶㄿㅀ)은 각각 두번째 자음(ㅍㅎ)의 입력으로서 필요한 키인이 2번이나, 이들 자음이 배열된 숫자키(0:ㅊㅍ, 8:ㅇㅎ)에 별도로 배열된 자음은 종성에서 사용되지 않는 자음으로 도 1에서 보이는 제어부(110)에서는 자음 종성(ㄶㄿㅀ)에 해당하는 키인 입력후, 한글 모음 입력없이 한글 자음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된 경우, 자음 종성의 조합으로 판단하여 자동으로서 숫자키(0,8)의 1회 키인을 각각 ‘ㅊ’,’ㅇ’의 한글 자음이 아닌 ‘ㅍ’,’ㅎ’의 자음입력으로 인식한다.By arranging consonants and non-combinable consonants combined as consonant finalities in one numeric key, the number of keys required to express a specific consonant finality can be reduced. For example, the consonant finality is twice as a key for input of the second consonant, but the consonants arranged separately on the numeric keys (0: ㅍ, 8: ㅇ) where these consonants are arranged In the control unit 110 shown in FIG. 1 as a consonant not used in the final consonant, when a key corresponding to the Korean consonant is input without inputting a Korean vowel after inputting a key corresponding to the final consonant, the consonant final consonant is combined. By judging automatically, the one-time key-in of the numeric keys (0, 8) is recognized as the consonant input of the ㅍ and ㅎ rather than the Korean consonants of the ㅊ and ㅇ respectively.

도 6c는 도 2의 바람직한 제 3구현예에 따른 숫자키패드의 자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에서 보이는 점과 다른 점은 숫자버튼에 배열된 한글 자음이 바뀌었다는 점이다. 표 3는 그림 6c에서 나타난 한글 자모음을 선택하기 위한 키인을 표로서 나타낸 것이다.6C is a diagram illustrating a keyboard of a numeric keypad according to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FIG. 2. The difference from the point shown in Fig. 6b is that the Hangul consonants arranged on the numeric buttons have been changed. Table 3 shows the keyin for selecting the Korean alphabet shown in Figure 6c.

[표 3]TABLE 3

한글자음(KeyPad push)Korean consonant (KeyPad push) 입력키인(Scan Code)Input Code (Scan Code) 한글자음(KeyPad push)Korean consonant (KeyPad push) 입력키인(Scan Code)Input Code (Scan Code) A 1One 1111 N 22 3333 C 33 5555 D 44 6666 M 2222 8888 55 1616 S 66 2828 77 27 (277의 단축)27 (shortcut of 277) 88 4141 H 99 4242 Lol 00 4545 4444 44 (444의 단축)44 (444 shortcuts) 9999 49 (499의 단축)49 (shortcut of 499) 7777 47 (477의 단축)47 (477 shortcuts) 5656

상기에서 겹자음(ㄲㄸㅃㅆㅉ)은 해당 기본 자음 키의 복수 키인으로서 표현하도록 하며, 자음종성(ㄳㄵㄶㄺㄻㄼㄿㄾㅀㅄ)은 조합되는 자음키의 키인 조합으로서 표현하도록 한다. 사용빈도가 높은 자음은 한 번의 키인으로 표현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b에서의 경우 자음종성 표현시에 필요한 키인 횟수를 줄이기 위하여, 제어부(110)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변환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였으나, 도 6c에서는 자음의 키배열을 변경함으로서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도록 하였다.In the above, the double consonants are represented as a plurality of key consonants of the basic consonant key, and the consonants are expressed as a combination of keys of consonant keys to be combined. High frequency consonants can be expressed as a single key-in. In FIG. 6B, in order to reduce the number of keys required for consonant expression, the control unit 110 may automatically convert the same. In FIG. 6C, the same effect may be obtained by changing the key arrangement of the consonants.

도 6d는 도 4의 바람직한 제 4구현예에 따른 숫자키패드의 자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는 도 6c의 숫자키패드에서 ‘ㅋ’과 ‘ㅍ’의 위치가 바뀐것으로서, 표 4에서 한글 자모음을 선택하기 위한 키인을 표로서 나타내었다.6D is a diagram illustrating a keyboard of a numeric keypad according to a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FIG. 4. This is because the positions of 'ㅋ' and 'ㄷ' on the numeric keypad of FIG. 6C are changed, and the keyin for selecting the Korean alphabet is shown in Table 4 as a table.

[표 4]TABLE 4

한글자음(KeyPad push)Korean consonant (KeyPad push) 입력키인(Scan Code)Input Code (Scan Code) 한글자음(KeyPad push)Korean consonant (KeyPad push) 입력키인(Scan Code)Input Code (Scan Code) A 1One 1111 N 22 3333 C 33 5555 D 44 6666 M 2222 8888 55 1616 S 66 2828 77 27 (277의 단축)27 (shortcut of 277) 88 4141 H 99 4242 Lol 9999 4545 4444 44 (444의 단축)44 (444 shortcuts) 00 4040 7777 47 (477의 단축)47 (477 shortcuts) 5656

도 7는 도 4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키패드가 기존 휴대폰과 연결될 때의 블록 구성도이다. 발명에서 제안한 키패드는 전화기, 휴대폰을 비롯한 컴퓨터 단말기등에서 적용 가능하다. 이때, 휴대폰의 생산시점에서 발명에서 제안한 키패드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기존에 생산되어 사용중인 휴대폰의 키패드에서 부품만을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로서 적용하고자 하는 휴대폰의 기종에서 사용중인 신호로 신호를 변환하는 변환부(750)를 가지는 것이 도 1에서 보이는 블록구성도와의 가장 큰 차이점이다. 이하, 도 7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G.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a keypad to which the embodiment of FIG. 4 is applied is connected to an existing mobile phone. The keypad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omputer terminal including a telephone and a mobile phone. In this case, the keypad proposed in the invention may be used at the time of production of the mobile phone, but it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ase where only the parts of the keypad of the mobile phone which is being produced and used are used as a signal which is being used in the model of the mobile phone to be applied. It is the largest difference from the block diagram shown in FIG.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 7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어부(110)는 키패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120)는 키패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110)에 의해 전반적인 동작이 실시될때의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일시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표시부(130)는 사용자의 키인 동작에 따라 키패드의 버튼에 부착된 백라이트 불빛을 변화시키거나, 연결된 LCD에 제어부(110)를 통해 인가된 신호로서 숫자 및 문자를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키입력부(140)는 본 발명의 핵심이 되는 부분으로서 기존의 키패드에 구성되는 숫자키이외에 발명에서 제안한 문자키와 특수목적에 사용되는 기능키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키패드를 통하여 소정의 키를 누르면 이를 제어부(110)로 신호가 인가된다.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keypad. Memory 120 stores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keypad, and serves to temporarily store the input / output data when the overall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controller 110. The display unit 130 changes a backlight light attached to a button of a keypad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user's key or displays numbers and letters as a signal applied through the controller 110 to a connected LCD. The key input unit 140 is a key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as a function key used for a special purpose and a character key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numeric keys configured on the existing keypad, and when the user presses a predetermined key through the keypad, The signal is applied to the control unit 110.

변환부(750)는 사용자에 의하여 키입력부(140)를 통하여 제어부(110)로 인가된 신호가 기존의 휴대폰에서 처리하는 신호와 다름으로써, 해당 휴대폰에서 사용중인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상기에서, 변환시켜야 할 휴대폰의 기종에 따른 신호의 종류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데이터를 근거로 하며, 이는 연결된 인터페이스 혹은 휴대폰의 통신기능을 통하여 입력 가능하다. 중앙처리장치(760)는 휴대폰에서 휴대폰에서 필요한 신호처리를 담당하는 부분으로서 변환부(750)를 통해 인가된 사용자의 입력을 해석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숫자 및 문자(한글 자모, 영문자, 및 특수문자 등)는 휴대폰내의 디스플레이부(770)와 오디오부(780)를 통해 표현된다.The conversion unit 750 converts the signal applied to the control unit 110 by the user through the key input unit 140 from the signal processed by the existing mobile phone, thereby converting the signal to the signal being used in the mobile phone. to be. In the above, the type of signal according to the model of the mobile phone to be converted is based on 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120, which can be input through the connected interface or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mobile phon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760 interprets a user's input authorized through the conversion unit 750 as a part in charge of signal processing required by the mobile phone, and inputs numbers and letters (Korean alphabet, English letters, and special characters) input by the user. Text, etc.) are expressed through the display unit 770 and the audio unit 780 in the mobile phone.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자모입력에 따라 능동적으로 한글 문자를 조합할 수 있는 한글 자음 모음들에 해당하는 키에 대하여 능동적으로 표시하는 것으로서, 도 8에서는 해당 키의 백라이트 불빛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을 예시로서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키의 백라이트 불빛 이외의 다양한 방법으로 한글 문자로서 조합가능한 한글 자모를 알려주기 위한 방법으로 표시 가능하다.8 i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tively display the keys corresponding to the Hangul consonants vowels that can actively combine the Hangul characters according to the user's Jamo input, as shown in FIG. Informing the user is shown as an ex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Hangul alphabet that can be combined as Hangul characters in various ways other than the backlight of the key.

사용자가 한글 자음에 해당하는 키를 입력하는 단계(810)를 거치면, 도 1에서 보이는 제어부(110)에서 해당 자음이 자음종성으로서 두개의 자음으로서 결부되는 겹자음(ㄲㄸㅃㅆㅉ)및 복자음(ㄳ,ㄵ,ㄶ,ㄺ,ㄻ,ㄼ,ㄿ,ㅀ,ㅄ)에서 초기에 입력되는 자음(ㄱ,ㄴ,ㄷ,ㄹ,ㅂ,ㅂ,ㅈ) 입력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820)를 거친다. 한글은 초성+중성+종성 혹은 초성+중성으로서 결합된다. 따라서, 자음종성의 초기 입력자음(ㄱ,ㄴ,ㄷ,ㄹ,ㅂ,ㅂ,ㅈ)에 해당하는 자음 입력이 아닐경우는, 한글 문자로서 조합가능한 경우는 ‘초성+중성’이므로 중성에 해당하는 키에 대하여 백라이트 불빛으로서 표시하는 단계(830)를 거치며, 자음종성의 초기 입력자음에 해당하는 경우라면, 한글 문자로서 조합가능한 경우는 ‘초성+중성’ 혹은 ‘종성’일 수 있으므로 조합가능한 모든 자음 및 모음에 해당하는 모든 키에 대하여 백라이트 불빛으로 표시되는 단계(840)를 거친다. 이때,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가 한글 자음 및 모음중 어디에 해당하는 경우인지를 확인하는 단계(850)를 거쳐서, 조합 가능한 한글 자음에 백라이트 불빛을 표시하는 단계(860)를 거치거나 모든 한글 자음에 대하여 백라이트 불빛을 표시하는 단계(870)를 거치고, 이후 사용자의 입력이 계속적으로 존재할 경우 앞서 기술한 과정을 다시 거치고, 사용자의 입력이 없을경우는 종료한다.When the user inputs a key corresponding to the Hangul consonant 810, the consonant is connected to the two consonants as consonants in the control unit 110 shown in FIG. 1 and the consonant consonant (ㄳ, In step 820,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input of the consonant (a, b, c, d, k, k, k) is initially input from m, k, k, k, k, k, k, k). Hangul can be combined as initial + neutral + final or initial + neutral. Therefore, when the consonant input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input consonant (a, b, c, ㄹ, ㅂ, ㅂ, ㅈ) of the consonant is not a consonant input, it can be combined as a Korean character because it is 'first + neutral'. If the display corresponds to the initial input consonants of the consonant species, the combination may be 'consonant + neutral' or 'single' if it can be combined as a Korean character. And step 840 of all keys corresponding to the vowels to be displayed as backlight lights. In this case, the user inputs a key to determine if the key corresponds to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850). After the step 870 of displaying the backlight light, if the user's input continues to exist, the process described above is repeated again, if there is no user input is termina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키패드보다 많은 버튼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보다 많은 입력인터페이스 선택을 제공한다. 또한, 기본자음 및 기본모음을 포함한 대부분의 한글 자모음이 한 번의 키인으로 표현 가능함으로써, 초성을 비롯한 중성 및 종성에 있어 필요한 키인의 필요 횟수를 줄이고 과다한 기능키 사용을 줄여서, 한글 입력 속도의 향상과 더불어 적절한 한글 자모음의 키배치로서 사용자의 오타를 줄이고, 숫자/ 문자의 동시 입력 속도의 향상과 타이핑시에 두 손을 동시에 사용하여 타이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more buttons than the conventional keypad, thus providing a user with more input interface selection. In addition, most Korean consonants, including basic consonants and basic vowels, can be represented by one key-in, thus reducing the number of key-in required for neutral and final consonants and reducing the use of excessive function key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ypos of users as appropriate key placement of Hangul consonants, to improve the speed of simultaneous input of numbers / characters, and to use two hands simultaneously when typing.

따라서, 적은 키인으로도 쉽고 간편하게 한글을 표현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서, 점차 늘어나는 휴대폰의 SMS서비스 및 인터넷서비스와 같이 한글입력이 필요한 많은 경우에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 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한다.Therefore, it is an advantage that Korean characters can be easily and simply expressed with a small number of keys, and can be convenient to the user in many cases where Korean input is required, such as an SMS service and an Internet service of a mobile phon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Claims (10)

전화기 형태의 숫자키패드에 있어, 기존의 숫자버튼간의 빈 공간에 추가적인 버튼을 두고, 이를 새로운 문자 (한글 모음)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여, 글자입력시 사용자의 편의성를 증대하는 것으로, 한글 겹자음(ㄲㄸㅃㅆㅉ)은 각기 그 발음이 유사한 한글 자음이 배열된 숫자키의 소정 횟수의 반복으로 인식가능하도록 하고, 한글 격자음(ㅋㅌㅍㅎ)은 한글 종성의 생성규칙에 따라 겹치지 않는 한글 자음이 배열된 숫자키의 소정 횟수의 반복으로 인식가능하도록 하며, 그 사용빈도 통계에 따라 배열되는 숫자키의 위치가 변화 가능한 한글자음 배열 및 입력방법; 및In the numeric keypad of the telephone type, an additional button is placed in the empty space between the existing numeric buttons, and a new character (Korean vowel) can be expressed,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when inputting letters. ) Is recognizable as a predetermined number of repetitions of the numeric keys arranged with the Hangul consonants, each of which is similar in pronunciation. Hangul consonant arrangement and input method that can be recognized by repetition of the number of times, the position of the numeric keys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frequency of use statistics can be changed; And 한글 기본모음(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는 키패드의 추가된 문자버튼에 각각 배열하여 한 번의 키인으로 인식 가능하도록 하며, 그외의 한글모음(ㅐㅒㅔㅖㅚㅘㅙㅟㅝㅞㅢ) 11개는 그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9개를 문자버튼에 배치하여 한 번의 키인으로 인식 가능하도록 하고, 배열되지 않은 두 개의 모음(ㅙㅞ)은 각각 해당하는 모음을 완성하는 모음키간의 두 번의 키인(ㅘ+ㅣ,ㅞ+ㅣ)으로 인식 하거나, 가장 유사한 모음버튼(ㅚㅘㅟㅝ)의 소정 횟수의 반복으로 인식가능하도록 하거나 유사한 모음버튼(ㅚㅘㅟㅝ)에 ‘變’ 버튼을 통한 획 추가등의 변화로 인식가능한 한글모음 배열 및 입력 방법; 및The basic Korean vowels (ㅏㅑㅓㅕ ㅗㅛ ㅜㅠ ㅡ ㅣ) are arranged on the additional character buttons of the keypad so that they can be recognized by one key-in. 11 other Korean vowels The 9 most frequently used are placed on the character button so that they can be recognized as a single key-in.The two unarranged vowels are the two key-in between each vowel key that completes the corresponding vowel. ㅣ, ㅞ + ㅣ), make it possible to recognize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the most similar vowel button (ㅚ ㅘ ㅟ ㅝ), or add a stroke through the '變' button to the similar vowel button (ㅚ ㅘ ㅟ ㅝ). Hangul vowel arrangement and input method recognizable as change; And 상기의 숫자키패드의 숫자버튼 및 문자버튼에 대한 소정 횟수의 반복적인 키입력에 의하여 한글 자모음이 인식되도록 하는 확장형 키패드 및 제어수단을 설정하는 전화기형태의 확장된 키패드를 활용한 문자입력 방법 및 장치.Character input method and apparatus using an extended keypad of a phone type for setting an extended keypad and a control means for recognizing the Hangul alphabet by a predetermined number of repetitive key inputs to the numeric button and the character button of the numeric keypad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 자음은 각각의 활용빈도에 따라 상기 숫자버튼의 1회 혹은 2회 입력에 의해 인식되도록, 상기 키패드 및 제어수단을 설정하는,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활용한 문자입력 방법 및 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keypad and the control means are set so that the Hangul consonants are recognized by one or two inputs of the numeric buttons according to respective utilization frequencies. And a device. 상기에서 활용빈도가 높은 자음은 1회의 키인으로 인식되며, 활용빈도가 낮은 자음은 2회의 입력으로 인식된다.The consonants with high frequency of use are recognized as one key-in, and the consonants with low frequency of use are recognized as two input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키들의 동일한 키 입력에 의해 하나 이상의 한글 자음이 조합되는 경우에, 종성을 갖는 한글문자와 종성을 갖지 않는 한글문자의 쌍으로 조합되도록, 종성으로 결합가능한 한글 자음이 하나의 숫자키에 배열되지 않도록 적응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종성으로 결합되는 경우에는 종성에 해당하는 자음이 두번의 키인으로 인지되어야 하는 경우에도 한글의 종성 생성 규칙상 결합불가능한 자음이 하나의 숫자키에 배열되어 한번의 키인으로 인지가능하도록, 상기 키패드 및 제어수단을 설정하는,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활용한 문자입력 방법 및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when one or more Hangul consonants are combined by the same key input of the numeric keys, the Hangul Consonants that can be combined in a finality are combined so as to be combined into a pair of Hangul characters having a finality and a Hangul character having no finality. It is adaptively arranged so that it is not arranged in one numeric key, and when combined with the finality, even if the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finality must be recognized as two keyin, the consonant that cannot be combined is one numeric key according to the final rule of Korean characters. Characterized input method and apparatus using a keypad in the form of a telephone, arranged in the set-up, the keypad and the control means to be recognized by one key-in. 예를들면, 도면 5의 경우를 참조할 때, 종성 ‘ㄶ’는 ‘ㄴ’에 해당하는 숫자버튼의 한번의 키인 및 ‘ㅎ’에 해당하는 숫자버튼의 두번의 키인이 필요하나, 각각 ‘ㄴ’및 ‘ㅇ’에 해당하는 숫자버튼의 한번씩의 키인으로 인지 가능하다.For example, referring to the case of FIG. 5, the finality 'ㄶ' requires one key of the number button corresponding to 'b' and two keys of the number button corresponding to 'ㅎ', but each of 'b' It is possible to recognize by one-time key-in of the numeric buttons corresponding to 'an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에 추가된 20개의 문자버튼을 21개의 한글 모음을 인지하는데 사용하는데 있어서, 한글 기본모음(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을 포함한 19개의 한글 모음은 대응하는 문자버튼 한번의 키인으로 인지가능하도록 하며, 나머지 2개의 한글 모음은 해당 모음의 조합원리에 따르는 모음키 두개의 결합 혹은, 상기 키패드에 구비된 기능키들중의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가장 유사한 모음키와의 결합 으로 인지가능하도록, 상기 키패드 및 제어수단을 설정하는,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활용한 문자입력 방법 및 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20 character buttons added to the keypad are used to recognize 21 Hangul vowels, wherein the 19 Hangul vowels including the basic Hangul vowel (ㅏㅑㅓㅕ ㅗㅛ ㅠㅠ ㅡ ㅣ) have a corresponding character button once. The remaining two Korean vowels can be recognized as a key-in, and the remaining two Korean vowels can be recognized by combining two vowel keys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principle of the vowel or by combining one of the most similar vowel keys by using one of the function keys provided on the keypad. And a keypad and a control means for setting the keypad and the control means.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키는, 상기 문자버튼에서 한글 모음에 대응하여 사용되지 않는 버튼 혹은, 사용되지 않는 */# 버튼 혹은, 소정 키패드에 부가된 버튼으로 존재하며, 상기 키패드와 연계된 소정 디스플레이수단으로 표시되어 안내하는, 상기 키패드 및 제어수단을 설정하는,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활용한 문자입력 방법 및 장치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unction key is a button not used corresponding to the Korean vowel in the character button, an unused * / # button, or a button added to a predetermined keypad. Character input method and apparatus using a keypad in the form of a phone to set the keypad and the control means displayed and guided by a predetermined display mean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에는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기능키, 12개의 숫자키 (0~9,*,#) 및 숫자키 간의 빈공간에 배열된 20개의 문자키가 각각 배열되며, 한글 입력을 위한 자음과 기본모음을 포함한 대부분의 모음 및 기능이 버튼위에 프린트되는 새로운 형태의 키패드 고안.According to claim 1, The keypad has a function key for performing a specific role, twelve number keys (0 ~ 9, *, #) and 20 character keys arranged in the empty space between the numeric keys, respectively, Hangul input Designed a new type of keypad that prints most vowels and functions on the buttons, including consonants and basic vowels.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에 배열된 숫자키 및 문자키에 있어서, 문자키는 숫자키간의 빈 공간의 하나의 버튼으로서 자리잡으며, 문자키와 숫자키간에는높낮이의 구분이 존재하여 사용자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새로운 형태의 키패드 고안.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in the numeric keys and the character keys arranged on the keypad, the character keys are positioned as one button of the empty space between the numeric keys, and there is a division of height between the character keys and the numeric keys, thereby causing a malfunction of the user. New form of keypad to prevent the design. 제 1항에 있어서, 숫자키 및 문자키의 조합으로 한글문자를 생성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오타로서 생성될 수 없는 한글문자에 대한 입력요구가 존재할 경우, 이를 상기 키패드와 연결된 소정의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하며 자동으로 오타를 수정하는, 상기 키패드 및 제어수단을 설정하는,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활용한 문자입력 방법 및 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the case of generating Korean characters using a combination of numeric keys and character keys, if there is an input request for Korean characters that cannot be generated as a typo of a user, the input is displayed on a predetermined display connected to the keypad. Character input method and apparatus using a keypad in the form of a telephone, to set the keypad and control means for automatically correcting a typo.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한글자모음에 대하여, 한글의 창제원리 및 음소결합 원리에 따라 한글자의 한글문자를 조합함에 있어서, 그 조합원리에 따라 사용자가 한글자음에 해당하는 입력을 한 경우에는 자음종성으로서 조합가능한 다른 자음 혹은 모음에 해당하는 버튼키가 소정의 형태로 표시되고, 모음을 키인한 경우에는 변환가능한 모음 혹은 조합가능한 자음에 해당하는 버튼키가 소정의 형태로 표시됨으로써, 사용자가 각각 입력하는 한글 자모가 한글문자의 구성원리인 ‘초성+중성’, ‘초성+중성+종성’의 형태로 조합될 수 있는 한글 자모에 대해 소정의 형태로 표시되어, 사용자 오타의 가능성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user inputs a Hangul consonant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principle, the Hangul consonants input by the user are combined with Hangul characters of the Hangul according to the creation principle and the phoneme combining principle of Hangul. A button key corresponding to another consonant or vowel which can be combined as a consonant type is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form. When the vowel is keyed in, a button key corresponding to a convertible vowel or a combination that can be combined is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form. Each Hangul Jamo that you input is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form for Hangul Jamo that can be combined in the form of 'chosung + neutral' and 'chosung + neutral + species', which are members of Hangul characters, to prevent the possibility of user typos. To do. 제 9항에 있어서, 버튼키는 백라이트의 불빛으로서 표시 가능하다. 사용자가 한글 자모에 대응하는 버튼키를 키인할 때, 키인된 버튼키 및 해당 버튼키와 한글문자의 구성원리로서 조합 가능한 버튼키들에 대하여 백라이트 불빛이 변화한다.The button key can be displayed as a light of a backlight. When the user keyes in a button key corresponding to the Hangul alphabet, the backlight light changes for the keyed in button key and the button keys that can be combined as a member of the button key and the Hangul character.
KR1020020035511A 2002-06-25 2002-06-25 Hangul input method and device based on new expanded keypad KR2004000309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511A KR20040003092A (en) 2002-06-25 2002-06-25 Hangul input method and device based on new expanded keyp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511A KR20040003092A (en) 2002-06-25 2002-06-25 Hangul input method and device based on new expanded keypa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3092A true KR20040003092A (en) 2004-01-13

Family

ID=37314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5511A KR20040003092A (en) 2002-06-25 2002-06-25 Hangul input method and device based on new expanded keypa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3092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651B1 (en) * 2005-06-21 2007-01-04 (주) 제나기술 Keypad
WO2009072852A2 (en) * 2007-12-06 2009-06-11 Seung Hwan Kim Keypad assembly
KR101158913B1 (en) * 2004-09-21 2012-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al capable of reduction in a number of key operation
WO2022118990A1 (en) * 2020-12-01 2022-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Remote control apparatus, method, and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4759A (en) * 1999-05-25 2000-12-15 윤종용 character inputting apparatus in commnication terminal
WO2001095358A2 (en) * 2000-05-22 2001-12-13 Digit Wireless, Llc Input devices and their use
KR20030054449A (en) * 2001-12-26 2003-07-02 김여일 Korean Letter Input System and Array Method Using 3 Contact Point Keybutton
KR20030081862A (en) * 2002-04-15 2003-10-22 김여일 Supplementary Keybuttons Installation Using Blank Space Between the Neumeric Keybuttons in Small Keypad and Letter Array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4759A (en) * 1999-05-25 2000-12-15 윤종용 character inputting apparatus in commnication terminal
WO2001095358A2 (en) * 2000-05-22 2001-12-13 Digit Wireless, Llc Input devices and their use
KR20030054449A (en) * 2001-12-26 2003-07-02 김여일 Korean Letter Input System and Array Method Using 3 Contact Point Keybutton
KR20030081862A (en) * 2002-04-15 2003-10-22 김여일 Supplementary Keybuttons Installation Using Blank Space Between the Neumeric Keybuttons in Small Keypad and Letter Array Method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913B1 (en) * 2004-09-21 2012-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al capable of reduction in a number of key operation
KR100664651B1 (en) * 2005-06-21 2007-01-04 (주) 제나기술 Keypad
WO2009072852A2 (en) * 2007-12-06 2009-06-11 Seung Hwan Kim Keypad assembly
WO2009072852A3 (en) * 2007-12-06 2009-09-11 Seung Hwan Kim Keypad assembly
WO2022118990A1 (en) * 2020-12-01 2022-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Remote control apparatus, method, and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6258B1 (en) Keypad
EP1862887A1 (en) Chinese phonetic alphabet and phonetic notation input method for entering multiword by using numerals of keypad
CN101221478A (en) Indication and operation through virtual tabletop and virtual keyboard of mobile phone touch panel
KR100810315B1 (en) Method and system for data input
KR101599227B1 (en) Touch screen type keyboard of smartphone easily changing among korean, english and other characters
KR20060101367A (en) Apparatus for inputting a character using number key and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KR2004009183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hanyu pinyin having tone
KR20040087321A (en) Character Inputting System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20040003092A (en) Hangul input method and device based on new expanded keypad
KR100370427B1 (en) Hangul input method in a mobile station
KR20060095145A (en) System of converting character input mode using input key set and method thereof
KR100661457B1 (en) Alphabet Inputting System for mobile terminal
JP2009129438A (en) Portable input device
KR100990242B1 (en) Keypad Assembly
JP2002116862A (en) System for inputting ring-shaped character and system for selecting function
KR100450587B1 (en) Apparatus for inputting a character data
JP2000276288A (en) Portable terminal
KR20030089190A (en) Chinese character input apparatus for communications equipment
JP4922990B2 (en) Key input device
KR20100110072A (en) Korean language input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020012823A (en)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character conversion button
KR100251719B1 (en) Apparatus for inputing and outputing character in keyphone system
KR100631658B1 (en) Keypad in a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inputting japanese language using thereof
JP2006081137A (en) Electronic apparatus equipped with keyboard
KR20130081518A (en) Multi-language text input device with word processing function on touch screen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