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6493B1 - Expanded telephone keypad system accepting Korean characters - Google Patents

Expanded telephone keypad system accepting Korean charact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6493B1
KR100336493B1 KR1019990047543A KR19990047543A KR100336493B1 KR 100336493 B1 KR100336493 B1 KR 100336493B1 KR 1019990047543 A KR1019990047543 A KR 1019990047543A KR 19990047543 A KR19990047543 A KR 19990047543A KR 100336493 B1 KR100336493 B1 KR 100336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s
consonants
hangul
vowels
distribu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75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39239A (en
Inventor
이영직
이항섭
양재우
Original Assignee
오길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길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오길록
Priority to KR1019990047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6493B1/en
Publication of KR20010039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92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6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6493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기를 통하여 한글 문자를 입력할 경우, 사용자가 한글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입력용 자판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eyboard system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that enables a user to easily input Korean characters when inputting Korean characters through a telephone.

본 발명에 따르면, 10 개의 아라비아 숫자(0 ~ 9) 버튼 키 및 2 개의 특수 서비스 버튼 키(*, #)를 포함하고, 상기 10 개의 아라비아 숫자 버튼 키에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이 동시에 병기되어 있는 전화기용 한글 자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10 개의 아라비아 버튼 키에 한글 자음이 통상의 수순대로 배치되어 있는 한글 자음 자판부와; 별도로 마련되어, 10 개의 한글 모음들이 통상의 수순대로 배치되어 있는 한글 모음 자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용 한글 자판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Arabic numerals (0 to 9) button keys and two special service button keys (*, #), and the Hangul consonants and Hangul vowels are written simultaneously on the 10 Arabic numeral button keys. A Hangul keyboard system for a telephone, comprising: a Hangul consonant keyboard unit in which Hangul consonants are arranged in the usual order on the ten Arabic button keys; Provided separately, there is provided a Hangul keyboard system for a phone, characterized in that made up of 10 Hangul vowels arranged in the usual order.

Description

전화기의 한글 입력용 자판 시스템 {Expanded telephone keypad system accepting Korean characters}Expanded telephone keypad system accepting Korean characters}

본 발명은 전화기의 한글 입력용 자판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전화기를 통하여 한글 문자를 입력할 경우 사용자가 한글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입력용 자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board system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of a tele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keyboard input system for Korean characters that enables a user to easily input Korean characters when inputting Korean characters through a telephone.

종래의 전화기 자판 시스템은 상대방의 전화 번호를 누르는 목적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주로 숫자를 누르는 용도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간단한 문자 메시지 또는 상대방의 이름 및 상호 등을 입력해야 할 필요가 점차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기존의 전화기 자판 시스템에 한글을 입력하는 여러 가지 방식이 제안되어 왔다.Conventional telephone keyboard systems have been used primarily for dialing numbers because they are made for the purpose of dialing the phone number of the other party. However, in recent years, the need to input a simple text message or the name and trade name of the other party is gradually increasing. For this purpose, various methods of inputting Hangul into the existing telephone keyboard system have been proposed.

그러나, 지금까지 제안된 여러 방법은 대부분 기존의 4x3 크기의 전화기 자판에 한글 자모를 할당하는 방식이었다. 즉, 24 개의 한글 자모를 12 개의 키에 할당하므로 매우 복잡하였다. 키 배열이 복잡하므로, 이를 누르는 방법도 따라서 복잡하게 되어, 하나의 자소를 입력하기 위하여 눌러야 하는 평균 키의 개수가 많았다.이를 좀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한글의 기계화에 있어서 무시할 수 없는 연구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거의 모든 글자를 비교적 적은 수의 키로 용이하게 입력하게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더 나아가서, 이러한 한글글쇠가 표준화 되어야 함도 중요한 것이다.이전에는 컴퓨터용 자판의 한글글쇠에도 2벌식과 3벌식이 혼용되는 등, 표준화에 어려움을 겪었지만, 이제는 적어도 대한민국 내에서 유력하게 유포된 한글글쇠는 표준화를 이루고 있다.현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한글자모는 아래의 표와 같다.기본자음은 단자음이라고 지칭되며, 쌍자음과 부자음은 통칭적으로 복자음이라고 지칭되기도 한다. 기본자음과 쌍자음은 초성과 종성 모두에 쓰이므로 그 사용빈도가 크며, 부자음은 종성에만 쓰이므로 그 사용빈도가 비교적 작다.컴퓨터용 자판의 표준화된 한글글쇠에서는 그 사용빈도를 고려하여 기본자음에 대해서는 독자적인 키를 배분하였으며, 쌍자음에 대해서는 각각의 대응하는 기본자음과 동일한 키를 배분하되, 쌍자음을 입력할 때에는 [Shift]키를 누르고 해당키를 치게 되어 있다. 부자음은 그 사용빈도가 작으므로, 별도의 키를 부여하지 아니 하고, 두 개의 기본자음 키를 순서대로 누르면, 해당 부자음이 입력되게 하였다.한편, 모음에 대해서는 기본모음 10자와 부모음 중에서도 비교적 사용빈도가 높은 'ㅐ' 및 'ㅔ'에 대해서는 별도의 키를 부여하였고, 'ㅒ' 및 'ㅖ'는 'ㅐ' 및 'ㅔ'와 동일한 키를 배분하되, [Shift]키를 누르고 해당키를 치게 되어 있다. 나머지 7자의 부모음은 그 사용빈도가 작으므로, 별도의 키를 부여하지 아니 하고, 두 개의 키를 순서대로 누르면, 해당 부모음이 입력되게 하였다.이러한 표준화 된 컴퓨터용 자판에서는 여러가지 인체공학적 설계인자를 고려하여 자음을 좌측에 모아서 배치하고 모음을 우측에 모아서 배치하고 있다.그런데, 전화기에서 다이얼버튼을 배치하는 면은 그 활용면적이 협소하여 컴퓨터용 자판처럼 많은 수의 키를 배치할 수 없으며, 따라서 현재까지의 연구는 전자식 전화기의 다이얼버튼으로 배치된 표준사양의 키인 12키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게 하려는 데에 집중되고 있다.따라서, 전화기의 다이얼버튼을 위한 한글글쇠의 설계에서는 사용자의 입력의 용이성에 대한 고려는 그다지 없었으며, 어떻게 하면 12개의 키를 이용하여 위 51자의 자모음을 모두 입력할 수 있게 하느냐에 집중되고 있다.그 결과, 어떤 제품은 이른바 '천지인한글글쇠'라는 변형된 글쇠를 설계하여 요구되는 키의 수를 줄이기도 하였고, 제각기 설계된 방식으로 키 하나 당 적절한 수의 자음과 모음을 배분하여 입력하게 하고 있다.자음과 모음의 구분배치에 있어서도, 어떤 제품에서는 그 구분이 거의 없이 배치하고 있거나, 어떤 제품에서는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하고 있고, 일부 제품에서만 모음에 대해 서너개의 키를 배분하여 우측에 모아 두고 있다.이와 같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는 한글글쇠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들이 구매하는 제품마다 해당 글쇠를 입력하기 위한 각각의 키의 기능을 익혀야 한다.However, many methods proposed so far have been to assign Hangul alphabet to the existing 4x3 phone keyboard. That is, it is very complicated because 24 Hangul alphabets are assigned to 12 keys. Since the key arrangement is complicated, the method of pressing it is also complicated, and the average number of keys that must be pressed in order to input a single phoneme is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It is about making it easy to enter almost all the letters in use with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keys. Furthermore, it is also important that these Hangul keys should be standardized. Previously, the Hangul fonts for computer keyboards used to be mixed with 2 beol and 3 beol, but now, at least, the most prominent Korean characters are distributed in Korea. Font is standardized. Currently, the Hangul alphabet commonly used is shown in the table below. Basic consonants are called terminal consonants, and double consonants and rich consonants are sometimes referred to collectively as double consonants. Since the basic consonants and double consonants are used for both the initial and the final consonants, they are used frequently, and since the rich consonants are used only for the final consonants, their frequency is relatively small. For the consonants, the individual keys are allocated, and for the consonants, the same key as the corresponding basic consonants is allocated, but when entering the consonants, the [Shift] key is pressed and the corresponding key is pressed. Since the low-frequency consonants have a low frequency of use, they do not have to be given separate keys, and the two main consonants are pressed in sequence, so that the corresponding lower-level consonants are entered. Separate keys are assigned for 'ㅐ' and 'ㅔ' which are relatively frequently used. 'ㅒ' and 'ㅖ' allocate the same key as 'ㅐ' and 'ㅔ', but press the [Shift] key. It is supposed to be a key. Since the remaining 7-character parent sounds are less frequently used, they are not given separate keys and two keys are pressed in sequence so that the parent sounds are input.In these standardized computer keyboards, various ergonomic design factors In consideration of this, the consonants are collected and arranged on the left side, and the vowels are arranged on the right side. Therefore, research to date has focused on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12 keys, which are standard keys arranged as dial buttons of an electronic telephone. Therefore, in the design of the Hangul font for dial buttons of a telephone, user input There was little consideration of the ease of use, and how to collect the 51 consonants with the 12 keys. As a result, some products designed a variant of the so-called `` Chinese Hangul Key '' to reduce the number of keys required, and each designed in a way that had the proper number of consonants per key. And vowels are divided and input. In some products, there is almost no distinction between consonants and vowels, and some products are placed above or below, and only some products have three or four vowels. In order to use the Hangul keys that are developed and applied in this way, users must learn the function of each key to input the corresponding key for each product they purchase.

기존 핸드폰의 한글 문자 입력 기능을 살펴보면, 상기 기능을 익히는 데에 많은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기능의 학습이 어려워, 대부분의 사용자가 상기 기능을 잘 사용하지 않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Looking at the Hangul character input function of the existing mobile phone, it can be seen that a lot of effort is required to learn the function. That is, the learning of the function is difficul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most users do not use the function well.

실험 결과, 하나의 자소를 입력하기 위하여 기존의 자판에서는 평균 1.5 회 이상 키를 눌러야 했고, 한글 입력 전화 자판을 사용하여 본 적이 없는 사람이 상기 방법을 설명 듣고, 곧장 13 개의 이름과 3 개의 간단한 문장을 입력하는데 걸리는 평균 시간을 측정하여 보면, 270 초 내지 300 초가 걸렸다. 이는 기존의 자판 배열이 일반인의 상식과 일치하지 않는 점 및 사용 방법이 쉽게 숙달되지 않기 때문이다.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전화기용 다이얼버튼에 적용되는 한글글쇠에서는 이용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한글글쇠의 개발이 심각하게 요구되고 있으며, 또한, 적절한 방식을 채택하여 시급하게 표준화 할 것이 요구된다.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n order to input one phoneme, the average keyboard had to press the key more than 1.5 times on average. When measuring the average time it takes to enter, it took 270 to 300 seconds. This is because the existing keyboard layout does not match the common sense of the general public and how to use it is not easily mastered. As described above, the Hangul pad that is applied to the dial button for a telephone can be easily used by the user. Its development is seriously demanded, and it is also urgently required to standardize it urgently by adopting appropriate method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화기를 통하여 한글 문자를 입력할 경우 사용자가 한글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입력용 자판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또한, 이 발명에서는 컴퓨터용 자판에 익숙해진 사용자들이 키위치를 용이하게 암기하고 숙달조작할 수 있도록, 전화기용 다이얼버튼을 이용하여 구현되는 한글글쇠에서 자음을 우측에 모아서 배치하고 모음을 우측에 모아서 배치한 한글글쇠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keyboard input system for the Hangul input the user can easily enter the Hangul characters through the phone.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users familiar with the computer keyboard can easily memorize and master the key position, the consonants are arranged on the right side of the Hangul pad implemented using the dial button for the phone, and the vowels are collected on the right side. We want to provide the Hangul alphabet you pla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x5 크기의 한글 입력용 자판 시스템의 구성도이고,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keyboard system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of 4x5 siz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4x5 크기의 한글 입력용 자판 시스템의 구성도이고,2 is a block diagram of a keyboard system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of 4x5 siz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4x5 크기의 한글 입력용 자판 시스템의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keyboard system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of 4x5 siz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10 개의 아라비아 숫자(0 ~ 9) 버튼 키 및 2 개의 특수 서비스 버튼 키(*, #)를 포함하고, 상기 10 개의 아라비아 숫자 버튼 키에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이 동시에 병기되어 있는 전화기용 한글 자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10 개의 아라비아 버튼 키에 한글 자음이 통상의 수순대로 배치되어 있는 한글 자음 자판부와; 별도로 마련되어, 10 개의 한글 모음들이 통상의 수순대로 배치되어 있는 한글 모음 자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용 한글 자판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it comprises 10 Arabic numerals (0 ~ 9) button keys and two special service button keys (*, #), the Hangul to 10 Arabic numerals button keys A phonetic Korean keyboard system in which consonants and Hangul vowels are written simultaneously, comprising: a Hangul consonant keyboard unit in which Hangul consonants are arranged in the usual order on the ten Arabic button keys; Provided separately, there is provided a Hangul keyboard system for a phone, characterized in that made up of 10 Hangul vowels arranged in the usual order.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양호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In the following,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x5 한글 입력용 자판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keyboard system for 4x5 Korean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x5 한글 입력용 자판은 기존의 전화기 자판에 있는 숫자 키(101) 및 특수 키(102, 103)를 가지고 있다. 여기에 한글 자음 입력을 위한 키(101) 및 모음 입력을 위한 키(104)를 따로 분리하여 구비하였고, 입력 도중 오류를 정정하기 위한 삭제 키 및 빈칸이나 음절 완성을 위한 다음 문자 키를 구비하였다.도 1에 보이듯이, 기본자음 14자와 쌍자음 5자를 포함하는 19자의 자음은 그 유사도에 따라 10종으로 분류되어 1부터 0까지의 10개의 숫자키의 각각에 배분된다. 10종으로 배분하는 이유는 기본자음 14자 중에서 격음 4자를 제외한 10자, 즉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은 그 음이 비교적 상이하게 들리는 독립적 음소이고, 격음 4자와 쌍자음 5자는 위 독립적인 음소 중 해당하는 자음과 유사하게 분류될 수 있는 종속적 음소이기 때문이다.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음을 제외한 위 10자의 기본자음은 1부터 0까지의 10개의 숫자키에 대해 국어사전에 표기된 순서대로 배분되어 있다.표준화된 컴퓨터용 자판의 한글글쇠나 앞서 개발된 다른 전화기용 다이얼버튼의 한글글쇠와 마찬가지로, 부자음 11자는 위 기본자음의 키를 순서대로 누르면 입력되게 구성된다.모음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암기하여 숙련된 동작으로 입력하게 하기 위하여, 기본모음 10자 중에서 복모음 4자 (ㅑ, ㅕ, ㅛ, ㅠ)를 제외한 6자에 대해 각각의 키를 독립적으로 배분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부모음 11자 중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단모음인 'ㅐ' 및 'ㅔ'에 대해 각각의 키를 독립적으로 배분한다.이러한 8개의 키는 기존의 전화기의 12개의 다이얼버튼에 추가하여 별도로 증설하며, 이미 인체공학적 고려에 의해 최적의 위치인 것으로 판단되어 컴퓨터용 자판에 채택되었고, 그로 인해 컴퓨터용 자판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 익숙해진 위치에 배치하기 위해, 자음키집합으로 이용되는 기존의 12키의 우측에 증설한다.4x5 Korean input key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numeric key 101 and a special key (102, 103) in the existing phone keyboard. In addition, a key 101 for inputting Korean consonants and a key 104 for vowel input are separately provided, and a delete key for correcting an error during input and a next character key for completing a blank or syllable are provided. As shown in Fig. 1, 19 consonants including 14 basic consonants and 5 consonants are classified into 10 types according to their similarities and distributed to each of 10 numeric keys 1 to 0. The reason for the distribution of the 10 species is that of the 14 basic consonants, except the 4 vowels, that is, [a, b, c, d, ㅁ, ㅂ, ㅅ, ㅇ, ㅈ, ㅎ] are independent sounds that sound relatively different. This is because the phoneme is a phoneme, and the four consonants and the five consonants are dependent phonemes that can be classified similarly to the corresponding consonants among the independent phonemes. As shown in FIG. The 10 numeric keys from 0 to 0 are distributed in the order shown in the Korean dictionary. Like the Korean keys on standard computer keyboards or the dial buttons on other telephone buttons developed earlier, 11 sub-consonants The key is configured to be input by pressing the keys in order. For the vowel, 6 vowel vowels (ㅑ, ㅕ, ㅛ, ㅠ) out of the 10 main vowels are included in order to allow the user to easily memorize and input them with skillful operation. Each key is allocated independently for.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each key is individually allocated to 'ㅐ' and 'ㅔ', which are frequently used short vowels among 11 parent sounds. These eight keys are added to the 12 dial buttons of the existing telephone. In addition, it is already considered to be an optimal location by ergonomic considerations and has been adopted for computer keyboards, and as a result, it is used as a consonant key set to be placed in a position familiar to users who use computer keyboards. Add to the right of the existing 12 keys.

한글을 입력하고자 할 때에는 음소 순서에 따라 입력한다. 하나의 키에 여러 개의 자소가 할당되어 있는 경우에는 반복 누름을 0.5초 이내에 하여야 한다. 입력을 잘못 하였을 경우에는 삭제 키를 눌러 하나의 자소를 지운 뒤, 다시 입력한다. 띄어쓰기를 하기 위하여는 다음 문자 키를 두 번 누른다.If you want to input Hangul, enter it in phoneme order. If multiple letters are assigned to a key, the repeated press must be made within 0.5 seconds. If you make a mistake, press the Delete key to delete one phoneme and enter it again. To enter a space, press the next letter key twice.

자음은 자음 자판(101)에 나타나는 대로 누르되, 한 번 누르면 처음에 쓰인 글자가, 두 번 반복하여 누르면 두 번째에 쓰인 글자가, 세 번 반복하여 누르면 세 번째에 쓰인 글자가 입력된다. 하나의 키에 두 개 이상의 자음이 할당된 경우에 한하여, 하나의 키 음절의 시작이라 간주한다.Consonants are pressed as shown in the consonant keyboard 101, the first letter is written once, the second letter is pressed twice, the third letter is pressed three times repeatedly. Only when two or more consonants are assigned to a key is considered the start of one key syllable.

모음 자판(104)의 경우, 역시 위와 동일하다. 모음 키의 경우에는 반복 누름 시간의 제한을 두지 않는다. 모음 중 'ㅐ'는 'ㅏ ㅣ'의 조합으로도 입력이 가능하며, 'ㅔ'는 'ㅓ ㅣ'의 조합으로도 입력이 가능하다.In the case of the collection keyboard 104, the same as above. In the case of a vowel key, there is no limit on the repetition press time. Among the vowels, 'ㅐ' can be entered as a combination of 'ㅏ ㅣ' and 'ㅔ' can also be entered as a combination of 'ㅓ ㅣ'.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4x5 한글 입력용 자판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도 1과 전부 동일하되, 'ㅐ'는 'ㅏ ㅣ'의 조합으로, 'ㅔ'는 'ㅓ ㅣ'의 조합으로만 입력하는 방식이다. 본 방식은 한글 자음 자판과 한글 모음 자판의 크기가 달라 사용자가 자판을 찾는 데에 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keyboard system for 4x5 Korean inp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the same as in FIG. 1 except that 'ㅐ' is a combination of 'ㅏ ㅣ' and 'ㅔ' is 'ㅓ ㅣ' It can be entered only by the combination of '. This method has the advantage that the user can reduce the time to find the keyboard because the size of the Hangul consonant keyboard and Hangul vowel keyboard is different.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4x5 한글 입력용 자판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도 1 및 도 2와 전부 동일하되, 한글 모음 자판(301)을 한글 자음 자판과 어긋나게 배열하였다. 본 방식은 한글 자음 자판과 한글 모음 자판의 위치가 달라 사용자가 자판을 찾는 데에 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4x5 Hangul input keyboard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the same as that of FIGS. 1 and 2, but the Hangul vowel keyboard 301 is arranged to be displaced from the Hangul consonant keyboard. This method has the advantage that the position of the Hangul consonant keyboard and Hangul vowel keyboard is different, so that the user can save time to find the keyboard.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람의 상식과 유사하도록 한글 자음 자판부 및 한글 모음 자판부를 분리함으로써, 직관적으로 한글을 쉽게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s the Hangul consonant keyboard portion and the Hangul vowel keyboard portion to resemble common sense of the human being,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easily input Hangul intuitively.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일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is is by way of example only and not by way of limit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is obvious that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imit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3)

10 개의 숫자버튼과 2개의 확장버튼을 포함하고 4행 3열로 배열된 통상적인 전화기의 다이얼버튼을 이용하여 구현된 전화기용 한글 자판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Korean keyboard system for telephones, which includes 10 number buttons and two expansion buttons, and is implemented using dial buttons of a conventional telephone arranged in four rows and three columns, 상기 다이얼버튼이 배치된 위치의 우측에 3행 2열로 배열되어 집합되게 증설된 6개의 버튼을 포함하며,It includes six buttons which are expanded to be arranged in a row arranged in three rows and two columns on the right side of the position where the dial buttons are arranged, 기본자음 14자 중에서 격자음 4자를 제외한 10자가 상기 다이얼버튼의 10개의 숫자버튼에 각각 하나씩 배분되고,10 characters except four grid sounds among 14 basic consonants are allocated to 10 number buttons of the dial button, respectively. 상기 기본자음 14자 중에서 제외된 격자음 4자와 쌍자음 5자는 상기 10자의 기본자음 중에서 유사한 소리를 갖는 자음이 배분된 숫자버튼에 중복적으로 배분되며,Four lattice sounds and five consonants excluded from the basic consonants are distributed to the number buttons to which consonants having similar sounds among the basic consonants are distributed. 기본모음 10자 중에서 복모음 4자를 제외한 단모음 6자가 상기 증설된 6개의 버튼에 각각 하나씩 배분되고,Six short vowels except four double vowels among 10 basic vowels are distributed to each of the six additional buttons, 상기 기본모음 10자 중에서 제외된 복모음 4자는 상기 6자의 단자음 중에서 유사한 소리를 갖는 모음이 배분된 버튼에 중복적으로 배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용 한글 자판 시스템.The Korean vowel system for a telephone, characterized in that four vowels excluded from the basic vowels are distributed to the buttons to which vowels having similar sounds among the six digits are distributed.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3행 2열로 이루는 상기 증설된 6개의 버튼의 아래쪽에서 4번째 행을 이루게 증설된 2개의 버튼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며,Additionally including two buttons extended to form a fourth row from the bottom of the expanded six buttons having three rows and two columns, 기본모음 이외에 사용빈도가 큰 부모음 2자인 'ㅐ'와 'ㅔ'가 상기 부가적으로 증설된 2개의 버튼에 각각 하나씩 배분되고,In addition to the basic vowel, two frequently used parent sounds 'ㅐ' and 'ㅔ' are distributed to each of the two additionally added buttons, 상기 'ㅐ'와 'ㅔ'가 배분된 버튼에는 그 각각과 유사한 소리를 갖는 복모음인 'ㅒ'와 'ㅖ'가 중복적으로 배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용 한글 자판 시스템.The Hangul keyboard system for a ph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된' and 'ㅔ' is distributed in the double vowels 'ㅒ' and 'ㅖ' having a similar sound to each of them is distributed.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증설된 6개의 버튼의 각 행을 이루는 버튼은 그 높이중심이 상기 다이얼버튼의 행간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용 한글 자판 시스템.And a button constituting each row of the six expanded buttons is arranged such that a height center thereof is disposed at the same height as the interval between the dial buttons.
KR1019990047543A 1999-10-29 1999-10-29 Expanded telephone keypad system accepting Korean characters KR1003364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543A KR100336493B1 (en) 1999-10-29 1999-10-29 Expanded telephone keypad system accepting Korean charact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543A KR100336493B1 (en) 1999-10-29 1999-10-29 Expanded telephone keypad system accepting Korean charact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239A KR20010039239A (en) 2001-05-15
KR100336493B1 true KR100336493B1 (en) 2002-05-15

Family

ID=19617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7543A KR100336493B1 (en) 1999-10-29 1999-10-29 Expanded telephone keypad system accepting Korean charact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649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471B1 (en) 2007-01-05 2008-08-08 박찬용 Key pad for text inpu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0427B1 (en) * 2000-07-31 2003-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Hangul input method in a mobile station
KR100418066B1 (en) * 2001-12-22 2004-02-14 강훈기 Method for input character of cellular phone
KR100810316B1 (en) * 2004-05-31 2008-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inputting the letter and the letter arrangement on the keypad in wireless terminal
KR100659379B1 (en) * 2005-03-08 2006-12-19 김민서 Keyboard for the Mobile Terminal and Array Method Thereof
KR100707852B1 (en) * 2005-12-19 2007-04-18 김민서 Keyboard for the mobile terminal
KR101113960B1 (en) * 2010-01-14 2012-03-13 매튜 와이. 안 Key pad for charact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0375B1 (en) * 1987-10-10 1991-01-24 배명진 Telephone system with hangul letters on push-butt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0375B1 (en) * 1987-10-10 1991-01-24 배명진 Telephone system with hangul letters on push-butt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471B1 (en) 2007-01-05 2008-08-08 박찬용 Key pad for text inp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239A (en)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6493B1 (en) Expanded telephone keypad system accepting Korean characters
KR100371381B1 (en) a word input unit with letter reconizing module
US20040105714A1 (en) Arabic-persian alphabet input apparatus
CN102422621A (en) Alphabet input method and apparatus
KR100683338B1 (en) Method for inputing Hangul in a mobile station
CN104503599B (en) A kind of Tibetan language input system based on 36 key mappings
KR100362747B1 (en) Method for inputting hangul character set in the mobile phone
KR19990039862A (en) How to use phone number plate and input keyboard
KR100370427B1 (en) Hangul input method in a mobile station
KR20010077823A (en) Korean character input device applying basic sentence
KR20010106807A (en) Phone keypad use Hangul input method
KR100852946B1 (en) A keypad array of mobile phone for Japanese
KR100351644B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486866B1 (en) Method of inputting a hangeul of mobile terminal and keyboard used for it
KR100662549B1 (en) Device for inputting character
JP3222445B2 (en) Electronic equipment with character input keyboard
KR100637745B1 (en) Korean literature key pad
KR20020012823A (en)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character conversion button
KR100428691B1 (en) korean language input system and mehtod thereof
KR200276555Y1 (en) Korean Letter Input System Using 3 Contact Point Keybutton
KR100450587B1 (en) Apparatus for inputting a character data
KR200289579Y1 (en) Supplementary Keybuttons Installation Using Blank Space Between the Neumeric Keybuttons in Small Keypad and Letter Array System
KR100377416B1 (en) Telephone and Hangul inputting method using it
KR100577675B1 (en) Hangul Hanson PlusKey Pad
JP2649139B2 (en) Keyboard for inputting Roman charac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