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7251B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inputting hangul thereto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inputting hangul thereto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7251B1
KR100697251B1 KR1020050076681A KR20050076681A KR100697251B1 KR 100697251 B1 KR100697251 B1 KR 100697251B1 KR 1020050076681 A KR1020050076681 A KR 1020050076681A KR 20050076681 A KR20050076681 A KR 20050076681A KR 100697251 B1 KR100697251 B1 KR 100697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al character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ssigned
conson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66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22449A (en
Inventor
이성일
홍상혁
김성용
김병근
김상억
신성일
Original Assignee
이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일 filed Critical 이성일
Priority to KR1020050076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7251B1/en
Publication of KR20070022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24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7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72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최대 2개의 기본 자음군 및/또는 특수문자를 할당한 8개의 자음/특수문자키와, 최대 2개의 기본 모음군 및/또는 특수문자를 할당한 4개의 모음/특수문자키를 구비하고, 8개의 자음/특수문자키 중 2개의 키가 동시에 선택되면, 격음, 경음, 합용병서 중 하나의 문자를 생성하여 화면상에 표시하고, 4개의 모음/특수문자키 중 2개의 키가 동시에 선택되면, 기본 모음군 이외의 모음, 이중모음 중 어느 하나의 문자를 생성하여 화면상에 표시하며, 8개의 자음/특수문자키와 4개의 모음/특수문자키에 할당된 특수문자 중 어느 하나의 특수문자가 선택되면, 해당 키에 할당된 특수문자를 생성하여 화면상에 표시한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a Korean input method of a mobile terminal, wherein up to two basic consonant groups and / or special characters are assigned eight consonant / special character keys, and up to two basic vowel groups and / or special characters. Equipped with four vowel / special character keys to which letters are assigned, and when two keys among eight consonant / special character keys are selected at the same time, one of the following letters is generat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If two keys among four vowel / special character keys are selected at the same time, any one of vowels and double vowels other than the default vowel group is generat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If any one of the special characters assigned to the special character key is selected, the special character assigned to the key is creat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2개의 키를 동시에 눌러 한글의 경음과 격음, 복잡한 이중모음을 손쉽게 입력할 수 있으므로 한글 입력이 매우 용이함은 물론, 문자 입력에 따른 버튼 선택의 횟수를 크게 줄일 수 있으며, 특수문자 입력시 별도의 모드변경 없이 바로 입력할 수 있으므로 특수문자의 입력속도가 향상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easily press the two keys at the same time, and can easily input the horn and vowels, complex double vowels of the Hangul Hangul input is very easy, as well as greatly reduce the number of button selec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 input, When inputting special characters, the input speed of special characters is improved because you can directly input them without changing the mode.

이동통신 단말기, 한글, 자음, 모음, 특수문자 Mobile terminal, Hangul, Consonant, Vowel, Special characters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inputting hangul thereto}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inputting hangu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방법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angul input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에 적용되는 키패드 구조를 나타낸 도면,2 is a view showing a keypad structure applied to the Hangul inpu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의 실시예에 의한 키패드를 나타낸 도면,3 is a view showing a key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Hangul inpu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의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 순서도이다.Figure 4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in detail the process of the Hangul input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2 : 키 입력부12: key input unit

14 : 제어부14: control unit

16 : 메모리16: memory

18 : 표시부18: display unit

22 : 자음/특수문자키22: Consonant / Special Character Key

24 : 모음/특수문자키24: Vowel / Special Character Key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Hangul input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키패드(3행 4열의 12개 키)에 한글 자음/모음과 함께 특수문자를 할당함으로써, 한글 및 특수문자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by assigning a special character along with a Korean consonant / vowel to a keypad (12 rows of 4 rows, 12 keys)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can easily input Korean and special characte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gul input method of a communication terminal.

최근들어 유선통신 서비스의 기술 확대와 더불어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에 기초한 개인 휴대 통신(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과 같은 개인 무선 통신 서비스에 대한 비약적인 기술적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가입자 수가 크게 증가함에 따라 기본적인 통신 서비스 이외에 다양한 부가 서비스들이 활발하게 서비스되고 있다.In recent years, with the expansion of wired communication services, significant technological advances have been made for personal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s such a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CS) based o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technology. As the number of subscribers increases significantly, various additional services are actively being provided in addition to basic communication services.

이러한 부가 서비스 중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성된 키패드를 통해 문자를 입력한 후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메일, 채팅 등의 서비스가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음성 통화 기능, 메시지 기능뿐만 아니라 일별, 주별 또는 월별 스케줄 정보 및 연락처 정보 등을 저장하는 전자 수첩 기능 등으로 점차 기능이 다양해지고 있다.Among these additional services, services such as short message service (SMS), mail, and chat, which input and transmit text through a keypad configur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ccupy the largest portion. Recently, voice call function, In addition to the message function, functions are increasingly diversified, such as an electronic notebook function for storing daily, weekly or monthly schedule information and contact information.

다양한 부가 기능들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들이 문자를 직접 입력하여야 하는데, 문자를 입력할 경우 사용자들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 부여된 문자 버튼을 눌러 한글, 영문, 특수문자 등을 조합하는 방식을 사용한다.In order to use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user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must directly input text. When inputting text, users press a text button on the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combine Korean, English, and special characters. use.

하지만 각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업체들마다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가 서로 다르고, 특히 한글은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문자를 생성하기 때문에 각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업체마다 보다 편하고 빠르게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한글 입력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However, each mobile terminal manufacturer has a different character input interface, and in particular, Hangul generates characters by combining consonants and vowels. have.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표적인 한글 입력 방식으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에 자음 및 모음을 모두 디스플레이한 후 사용자들이 원하는 문자를 조합하는 방식, 사용자들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12개의 키(1, 2, 3, 4, 5, 6, 7, 8, 9, 0, *, #)에 각각 할당된 모음 및 자음을 선택하여 원하는 문자를 조합하는 방식 등이 제시되어 있다.As a typical Korean input method using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ethod in which all the consonants and vowels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n a combination of characters desired by the user and the 12 keys (1) , 2, 3, 4, 5, 6, 7, 8, 9, 0, *, #), and a method of combining desired characters by selecting vowels and consonants, respectively.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한글 입력 방식은, 사용자들이 원하는 문자를 입력할 때 버튼을 눌러야 하는 횟수가 많았으며, 이에 따라 한글 입력에 따른 시간이 많이 소비될 뿐만 아니라 한글 입력에 따른 동선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Korean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has a large number of times when a user presses a button when inputting a desired character, and thus, not only consumes a lot of time according to the Korean input, but also a copper wire according to the Korean input. There was a problem with this lengthening.

또한, 한글 이외에 '.', ',', ';', ':', '@', '?' 등과 같은 특수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들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현된 모드변경메뉴를 조작하거 나 또는 별도로 구비된 키를 조작하여 한글 입력모드를 특수문자 입력모드로 변환한 후, 원하는 특수문자를 직접 찾아서 입력하여야 하며, 특수문자를 입력한 이후 한글을 다시 입력하고자 할 경우에는 한글 입력모드로 다시 변경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Also, in addition to Hangul, '.', ',', ';', ':', '@', '?' In order to input a special character such as a user, the user can operate a mode change menu implement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key provided separately to convert a Hangul input mode into a special character input mode, and then directly convert a desired special character. If you want to re-enter Korean after inputting special characters, you have to change to Korean input mode again.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3행 4열의 키패드 각각에 자음, 모음, 특수문자를 적절하게 할당함으로써, 한글의 입력과 자주 사용하는 특수문자의 입력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appropriately assigning consonants, vowels, and special characters to each of the three rows and four columns of keypads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putting Korean characters and inputting frequently used special character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Hangul input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be easily perform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들이 자음, 모음, 특수문자가 할당된 2개의 키를 동시에 눌러 하나의 문자를 생성함으로써, 한글의 경음과 격음, 복잡한 이중모음을 손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user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o simultaneously press two keys assigned with consonants, vowels, and special characters to generate a single character, thereby making it easier to input a horn, a vowel, and a complex double vowel in Korean. It is to provide a Hangul input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들이 특수문자 입력모드로 변환하지 않고 자주 사용되는 특수문자를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문자 입력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increase the text input speed by allowing user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directly input a special character frequently used without converting to a special character input mode. It is to provide Hangul input method.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3행 4열의 키패드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최대 2개의 기본 자음군 및/또는 특수문자가 할당되는 8개의 자음/특수문자키와, 최대 2개의 기본 모음군 및/또는 특수문자가 할당되는 4개의 모음/특수문자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hree-row, four-column keypad for inputting characters, up to two basic consonant groups and / or eight consonants to which special characters are assigned / Special character keys, and up to two basic vowel groups and / or four vowel / special character keys to which special characters are assign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3행 4열의 키패드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에 있어서, 최대 2개의 기본 자음군 및/또는 특수문자를 할당한 8개의 자음/특수문자키와, 최대 2개의 기본 모음군 및/또는 특수문자를 할당한 4개의 모음/특수문자키를 구비하고, 8개의 자음/특수문자키 중 2개의 키가 동시에 선택되면, 격음, 경음, 합용병서 중 하나의 문자를 생성하여 화면상에 표시하고, 4개의 모음/특수문자키 중 2개의 키가 동시에 선택되면, 기본 모음군 이외의 모음, 이중모음 중 어느 하나의 문자를 생성하여 화면상에 표시하며, 8개의 자음/특수문자키와 4개의 모음/특수문자키에 할당된 특수문자 중 어느 하나의 특수문자가 선택되면, 해당 키에 할당된 특수문자를 생성하여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angul input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Hangul input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three-row, four-column keypad for inputting characters, assigning up to two basic consonant groups and / or special characters Eight consonant / special character keys, up to two basic vowel groups and / or four vowel / special character keys assigned special characters, and two of the eight consonant / special character keys are selected simultaneously. If one of the four vowel / special character keys is selected at the same time, one of the vowels and double vowels other than the basic vowel group is generated. Create and display on the screen. If any one of the special characters assigned to the eight consonants / special character keys and four vowels / special character keys is selected, create the special characters assigned to the key and display the screen. Show on Characterized in tha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Hangul inpu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한글은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근저로 하는 경우,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ㅆ, ㅉ의 19개 초성과,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ㅐ, ㅒ, ㅔ, ㅖ, ㅚ, ㅟ, ㅢ, ㅘ, ㅝ, ㅙ, ㅞ의 21개 중성과, ㄱ, ㄴ, ㄷ,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ㅉ,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ㅯ, ㅄ의 28개 종성으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초성, 중성, 종성을 조합하여 이론상 만들 수 있는 글자의 수는 11,172(19×21×28)자가 된다. 그러나 실제 상용되는 글자의 수는 약 2,500자 정도이며,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완성형 코드나 조합형 코드의 경우 1800자부터 1900자 정도의 한글을 표현할 수 있다.Hangul is based on the unification of Korean spelling, a, b, c, d, ㅁ, ㅂ, ㅅ, ㅇ, ㅈ, ㅁ, ㅋ, ㅌ,, ㅎ, ㄲ, ㄸ, ㅃ, ㅆ, ㅉ Twenty-one of the four foramen, ,, ㅑ, ㅓ, ㅕ, ㅗ, ㅛ, TT, ㅠ, ㅡ, ㅣ, ㅐ, ㅒ, ㅔ, ㅖ, ㅚ, ㅟ, ㅢ, ㅘ, ㅝ, ㅙ, ㅞ Neutral, a, b, c, d, k, k, k, k, k, k, k, k, k, k, k, k, k, k, k, k, k, k, k, k It consists of 28 species,, ㅀ, ㅯ, ㅄ. Therefore, the number of letters that can be theoretically formed by combining initial, neutral, and final is 11,172 (19 × 21 × 28) characters. However, the actual number of characters commonly used is about 2,500 characters, and in the case of commonly used completed codes or combined codes, 1800 to 1900 characters can be expressed in Korean.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3행 4열의 12개 키(1, 2, 3, 4, 5, 6, 7, 8, 9, 0, *, #)에 자음, 모음 및 특수문자를 각각 할당하고, 각 키에 할당된 자음, 모음 및 특수문자를 선택하여 문자를 조합하는 방법을 제시하며, 빠른 문자 입력을 위한 상하좌우 방향이동, 입력된 문자를 지우기 위한 취소 등의 일반적인 기능 및 제공되는 특수문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기본설정에 따른다.In the present invention, consonants, vowels, and special characters are respectively assigned to 12 keys (1, 2, 3, 4, 5, 6, 7, 8, 9, 0, *, #) of 3 rows and 4 columns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signs, selects consonants, vowels, and special characters assigned to each key, and shows how to combine the characters; general functions such as up, down, left, and right movement for quick character input, and cancellation to erase the entered character. Special characters follow the basic settings commonly applied t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방법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angul input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12개의 키 각각에 할당된 자음, 모음 및 특수문자 선택신호를 제어부(14)로 출력하는 키 입력부(12)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동을 제어하며, 키 입력부(12)로부터 입력된 자음, 모음 및 특수문자 선택신호에 해당하는 문자의 폰트를 생성하여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4)와, 한글 자음, 모음 및 특수문자에 대한 폰트가 내장된 메모리(16)와, 제어 부(14)의 제어에 따라 키 입력부(12)로부터 입력된 한글 및 특수문자를 표시하는 표시부(18)로 구성된다.As shown, a key input unit 12 for outputting consonant, vowel, and special character selection signals assigned to each of the 12 keys selected by the user to the control unit 14, and controls driv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troller 14 controls to generate a font of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a consonant, vowel, and special character selection signal inputted from the input unit 12, and to display it on the screen, and fonts for Korean consonants, vowels, and special characters are embedded. Memory 16 and a display unit 18 for displaying Korean characters and special characters inputted from the key input unit 12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4.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키 입력부(12)를 통해 한글 또는 특수문자를 입력하면, 키 입력부(12)로부터 키 값을 입력받은 제어부(14)에서 메모리(16)에 내장되어 있는 폰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자음, 모음 및 특수문자를 조합하여 한글 또는 특수문자를 생성하고, 생성된 한글 또는 특수문자를 표시부(18)를 통해 표시하며, 이를 사용자가 확인하면서 원하는 한글 또는 특수문자를 입력한다.When the user inputs Korean characters or special characters through the key input unit 1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font embedded in the memory 16 by the controller 14 receiving a key value from the key input unit 12. By using the combination of consonants, vowels and special characters selected by the user to create a Hangul or special characters, and displays the generated Hangul or special characters through the display unit 18, while checking the desired Hangul or special characters Enter i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에 적용되는 키패드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 자음, 모음 및 특수문자를 할당할 경우 코딩(chording) 방식의 입력(자음 두 개를 동시에 입력하거나, 모음 두 개를 동시에 입력하는 방식)을 위하여 겹치는 자음이 없도록 설계하며, 모음의 경우에는 한국인들이 한글을 학습할 때 사용하는 방식과 영어식 발음표기 방식을 사용하여 쉽게 한글 입력방식의 학습이 가능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원칙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keypad structure applied to a Korean inpu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onsonant, a vowel, and a special character are assigned to a keypa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coding method is input (consonant two) Inputting dogs at the same time or inputting two vowels simultaneously) is designed so that there are no overlapping consonants.In case of vowels, Korean is easily input by using the method used by Koreans when learning Korean and English phonetic notation. The principle is to design the method so that it can be learned.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3행 4열의 키패드는, 기본 자음군 및/또는 특수문자를 할당한 8개의 자음/특수문자키(22)와, 기본 모음군 및/또는 특수문자를 할당한 4개의 모음/특수문자키(24)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1, 2, 3, 4, 5, 6, 7, 9에는 자음/특수문자키가 할당되며, 8, 0, *, #에는 모음/특수문자키가 할당된다.As shown, the three-row, four-column keypad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ight consonant / special character keys 22 to which basic consonant groups and / or special characters are assigned, and basic vowel groups and / or special characters. It consists of four vowel / special character keys 24 assigned to. For example, consonants / special character keys are assigned to 1, 2, 3, 4, 5, 6, 7, and 9, and vowel / special character keys are assigned to 8, 0, *, and #.

이때, 기본 자음군은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및 ㅎ으로 구성되 며, 기본 모음군은 ㅏ, ㅓ, ㅗ, ㅜ, ㅡ 및 ㅣ로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basic consonant group is composed of a, b, c, d, ㅁ, ㅂ, ㅅ, ㅇ, ㅈ and ㅎ, and the basic vowel group is composed of ㅏ, ㅓ, ㅗ, TT, ㅡ and ㅣ.

8개의 자음/특수문자키(22)는 자음과 자음, 자음과 특수문자 등 최대 2개의 자음 및/또는 특수문자가 할당되며, 4개의 모음/특수문자키(24)는 모음과 모음, 모음과 특수문자 등 최대 2개의 모음 및/또는 특수문자가 할당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각 키에 할당된 자음, 모음 및 특수문자를 입력할 때, 키를 한 번 누르면 첫 번째 할당된 문자를 화면상에 표시하고, 동일한 키를 연속하여 두 번 누르면 두 번째 할당된 문자를 화면상에 표시한다.Eight consonants / special character keys 22 are assigned up to two consonants and / or special characters such as consonants and consonants, consonants and special characters, and four vowels / special character keys 24 are assigned to vowels, vowels, vowels Up to two vowels and / or special characters, such as special characters, may be assigned. Then, when the user enters consonants, vowels, and special characters assigned to each key, pressing the key once displays the first assigned letter on the screen, and pressing the same key twice in succession, the second assigned lett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8개의 자음/특수문자키(22)와 4개의 모음/특수문자키(24) 중 일부에 할당되는 특수문자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 단계에서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특수문자가 설정되지만, 추후 사용자가 자신의 편의에 따라 임의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사용자가 특수문자 변경을 선택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4)에서는 등록 가능한 특수문자 전체를 표시부(18)에 표시하고, 이를 확인한 사용자가 새로운 특수문자 및 해당 특수문자가 할당될 키를 선택하면, 해당 키에 할당된 특수문자를 사용자가 선택한 새로운 특수문자로 변경한다.The special characters assigned to some of the eight consonants / special character keys 22 and the four vowel / special character keys 24 are set to special characters that are commonly used in the mobile terminal manufacturing stage. Of course, it can be used to change arbitrarily at your convenience. That is, when the user selects to change the special character, the control unit 14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s all the registerable special characters on the display unit 18, and the user who confirms the new special characters and the key to which the special characters are assigned are displayed. When selected, changes the special character assigned to the key to a new special character selected by the user.

사용자에 의해 8개의 자음/특수문자키(22) 중 2개의 자음/특수문자키가 동시에 선택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ㅋ, ㅌ, ㅊ, ㅍ의 격음, 또는 ㄲ, ㄸ, ㅆ, ㅉ, ㅃ의 경음, 또는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ㅯ, ㅄ의 합용병서를 생성하여 화면상에 표시한다.When two consonant / special character keys of the eight consonant / special character keys 22 are selected by the user at the same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he sound of ㅋ, ㅌ, ㅌ, ㅍ, or ㄲ, ㄸ, ㅆ, ㅉ, ㅃ. 경, or 합,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ㅯ, 생성 and create a combination statement on the screen.

즉, 자음/특수문자키(22) 중 'ㅎ' 자음이 할당된 키에 격음 기능을 함께 할당하고, 사용자가 격음 기능이 할당된 키와 각 격음의 평음에 해당되는 ㄱ, ㄷ, ㅈ , ㅂ의 기본 자음군이 할당된 키를 동시에 선택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ㅋ, ㅌ, ㅊ, ㅍ의 격음을 표시부(18)에 표시한다. 또한, 자음/특수문자키(22) 중 'ㅇ' 자음이 할당된 키에 경음 기능을 함께 할당하고, 사용자가 경음 기능이 할당된 키와 각 경음의 평음에 해당되는 ㄱ, ㄷ, ㅅ, ㅈ, ㅂ의 기본 자음군이 할당된 키를 동시에 선택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ㄲ, ㄸ, ㅆ, ㅉ, ㅃ의 경음을 표시부(18)에 표시한다. 또한, 사용자가 자음/특수문자키(22) 중 2개의 키를 동시에 선택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동시에 선택한 2개의 자음이 합용병서를 생성할 수 있는 키 조합인가를 확인한 후, 합용병서 생성이 가능한 키 조합이면 동시에 선택된 자음에 따라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ㅯ, ㅄ의 합용병서를 표시부(18)에 표시한다.That is, a consonant function is assigned to a key to which a consonant is assigned to the consonant / special character key 22, and the user is assigned to the key to which the consonant function is assigned and a, c, r, ㅂ corresponding to the flat sound of each consonant. When the basic consonant group of is selected simultaneously with the assigned ke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s the sound of k, k, k, k on the display unit 18. In addition, a consonant function is assigned to a key to which consonants are assigned to the consonant / special character key 22, and the user is assigned to the consonant function and the a, c, ㅅ, r If the basic consonant group of, ㅂ is selected at the same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s the beep on the display unit 18 of k, k, k, k, k. 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two keys of the consonant / special character key 22 at the same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ecks whether the two consonants simultaneously selected by the user are a key combination that can generate a combined disease statement, and then generates a combined disease statement. If this possible key combin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 a combination statement of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ㅯ, ㅄ will be displayed at the same time.

사용자에 의해 4개의 모음/특수문자키(24) 중 2개의 모음/특수문자키가 동시에 선택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ㅑ, ㅕ, ㅛ, ㅠ의 반모음, 또는 ㅐ, ㅒ, ㅔ, ㅖ, ㅚ, ㅟ, ㅢ, ㅘ, ㅝ, ㅙ, ㅞ의 이중모음을 생성하여 화면상에 표시한다.If two vowel / special character keys of the four vowel / special character keys 24 are selected by the user at the same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half vowel of ㅑ, ㅕ, ㅛ, ㅠ, or ㅐ, ㅒ, ㅔ, ㅖ, ㅚ. Create a double vowel of, ㅟ, ㅢ, ㅝ, ㅝ, ㅙ, ㅞ and display it on the screen.

즉, 모음/특수문자키(24) 중 영어식 발음표기의 'y'에 해당하는 ㅣ모음이 할당된 키와 ㅏ, ㅓ, ㅗ, ㅜ의 기본 모음군이 할당된 키가 동시에 선택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ㅑ, ㅕ, ㅛ, ㅠ의 반모음을 생성하여 표시부(18)에 표시한다. 또한, 모음/특수문자키(24) 중 2개의 키가 동시에 선택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동시에 선택한 2개의 모음이 이중모음을 생성할 수 있는 키 조합인가를 확인한 후, 이중모음 생성이 가능한 키 조합이면 동시에 선택된 모음에 따라 ㅐ, ㅒ, ㅔ, ㅖ, ㅚ, ㅟ, ㅢ, ㅘ, ㅝ, ㅙ, ㅞ의 이중모음을 생성하여 표시부(18)에 표시한다.That is, when the vowel / key, 24, ㅗ, ㅜ, and the vowels assigned to the basic vowel group corresponding to 'y' of the English phonetic notation among the vowel / special character keys 24 are selected at the same time, The communication terminal generates a half vowel of ㅑ, ㅕ, ㅛ, ㅠ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18. In addition, if two keys of the vowel / special character key 24 are selected at the same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ecks whether two vowels simultaneously selected by the user are a key combination capable of generating a double vowel, and then a double vowel can be generated. In the key combination, a double vowel of V, V, V, V, V, V, V, V, V, V and V is generat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 at the same time.

사용자에 의해 8개의 자음/특수문자키(22) 중 1개의 자음/특수문자키가 선택되어 종성이 입력된 후, 사전에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2초)동안 다음 문자의 초성이 입력되지 않으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종성으로 입력된 문자를 다음 문자의 초성으로 인식한다.After one consonant / special character key of the eight consonant / special character keys 22 is selected by the user and the finality is input, the first character of the next character is not input for a preset time (for example, 2 seconds). Otherwi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ognizes the character input as the last character as the first character of the next character.

사용자에 의해 8개의 자음/특수문자키(22)와 4개의 모음/특수문자키(24) 중 어느 하나의 키 입력이 사전에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2초)을 초과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해당 키에 할당된 숫자를 생성하여 화면상에 표시한다.When the user inputs any one of the eight consonant / special character keys 22 and the four vowel / special character keys 24 by a user for a preset time (for example, two second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Generates a number assigned to the key and displays it on the scree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의 실시예에 의한 키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key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Hangul inpu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3행 4열의 12개 키 중 1번 키에는 자음 'ㄱ'과 특수문자 ','가 할당되고, 2번 키에는 자음 'ㄴ'과 'ㄹ'이 할당되고, 3번 키에는 자음 'ㄷ'과 특수문자 '.'가 할당되고, 4번 키에는 자음 'ㅂ'과 특수문자 ':'이 할당되고, 5번 키에는 자음 'ㅅ'과 'ㅁ'이 할당되고, 6번 키에는 자음 'ㅈ'과 특수문자 ';'이 할당되고, 7번 키에는 자음 'ㅇ'과 경음 기능이 할당되고, 8번 키에는 모음 'ㅏ'와 'ㅓ'가 할당되고, 9번 키에는 자음 'ㅎ'과 경음 기능이 할당되고, * 키에는 모음 'ㅗ'와 'ㅜ'가 할당되고, 0번 키에는 모음 'ㅡ'와 특수문자 '@'가 할당되며, # 키에는 모음 'ㅣ'와 특수문자 '?'가 할당된다.As shown, 1 of 12 keys in 3 rows 4 columns are assigned consonants 'ㄱ' and special characters ',', 2 keys are assigned consonants 'b' and 'ㄹ' and 3 keys Consonants 'ㄷ' and special characters '.' Are assigned, consonants 'ㅂ' and special characters ':' are assigned to keys 4, consonants 'ㅅ' and 'ㅁ' are assigned to keys 5, 6 Key is assigned consonant 'ㅈ' and special character ';', key 7 is assigned consonant 'ㅇ' and sound function, key 8 is assigned vowel 'ㅏ' and 'ㅓ', and key 9 is assigned. Keys are assigned consonants 'ㅎ' and the sound function, * keys are assigned vowels 'ㅗ' and 'TT', keys 0 are assigned vowels 'ㅡ' and the special character '@', and # keys are vowels. 'ㅣ' and the special character '?' Are assigned.

도 3의 키패드를 예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example of the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using the keypad of FIG. 3 as an example.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철수와 영희는 친구입니다.' 라는 문장을 본 발 명에 따른 한글 입력방식으로 입력할 경우, 다음의 순서로 입력한다.(여기서, +는 동시입력을 나타낸다.)Mobile device users say, 'Cheol and Young-Hee are friends.' In the Korean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ter the following order (where + indicates simultaneous input).

- 철 : (9+6) / 8 / 8 / 2 / 2 (5타)Iron: (9 + 6) / 8/8/2/2 (5 strokes)

- 수 : 5 / * / * (3타)-Number: 5 / * / * (3 strokes)

- 와 : 7 / (8+*) (2타)-With: 7 / (8 + *) (2 strokes)

- 띄어쓰기(space) : 방향키 (1타)Space: Arrow keys (1 stroke)

- 영 : 7 / (#+8) / (#+8) / 7 (4타)Young: 7 / (# + 8) / (# + 8) / 7 (4 strokes)

- 희 : 9 / (#+0) (2타)-Hee: 9 / (# + 0) (2 strokes)

- 는 : 2 / 0 / 2 (3타)-Is: 2/0/2 (3 strokes)

- 띄어쓰기(space) : 방향키 (1타)Space: Arrow keys (1 stroke)

- 친 : (9+6) / # / 2 (3타)-Chin: (9 + 6) / # / 2 (3 strokes)

- 구 : 1 / * / * (3타)-Sphere: 1 / * / * (3 strokes)

- 입 : 7 / # / 4 (3타)Mouth: 7 / # / 4 (3 strokes)

- 니 : 2 / # (2타)-Knee: 2 / # (2 strokes)

- 다 : 3 / 8 (2타)-Everything: 3/8 (2 strokes)

- .(특수문자) : 3 / 3 (2타)-. (Special characters): 3/3 (2 strokes)

상술한 문장을 예로 하였을 때,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방법으로는 총 36번의 키 입력이 수행된다. 하지만, 현재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천지인 방식에 따라 한글을 입력할 경우에는 특수문자인 '.'를 제외하고도 43번의 키 입력이 요구된다.Taking the above sentence as an example, a total of 36 key inputs are performed by the Korean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when inputting Hangul according to Cheonjiin's most widely used method, 43 keystrokes are required except for the special character '.'.

즉, 자음, 모음, 특수문자가 할당된 2개의 키를 동시에 눌러 하나의 문자를 생성하고, 특수문자를 직접 입력할 수 있는 본원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은, 기존의 한글 입력방식보다 훨씬 적은 횟수의 키 입력이 필요하게 됨을 확인할 수 있다.That is, the Hangul input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generate one character by pressing two keys simultaneously assigned with consonants, vowels, and special characters, and directly input the special characters. We can see that a much smaller number of keystrokes are required.

다음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의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the process of the Hangul input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의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Figure 4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in detail the process of the Hangul input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12개의 자음/특수문자키(22) 또는 모음/특수문자키(24)에 할당되어 있는 특수문자를 선택하면(S10),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해당 특수문자를 화면상에 표시한다(S20).First, when a mobile terminal user selects special characters assigned to 12 consonants / special character keys 22 or vowel / special character keys 24 (S10), the mobile terminal selects the special characters selected by the user. Display on the screen (S20).

사용자가 선택한 특수문자를 화면상에 표시한 이후, 또는 사용자가 특수문자를 선택하지 않으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음절의 초성을 입력하기 위해 자음/특수문자키(22)를 선택하는지를 판단하고(S30), 자음/특수문자키(22)를 선택하면 기본 자음 입력을 위한 하나의 자음/특수문자키(22)를 선택하는지, 아니면 ㅋ, ㅌ, ㅊ, ㅍ의 격음, 또는 ㄲ, ㄸ, ㅆ, ㅉ, ㅃ의 경음 입력을 위한 2개의 자음/특수문자키(22)를 동시에 선택하는지를 판단한다(S40).After displaying the special character selected by the user on the screen, or if the user does not select the special character, the mobi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user selects the consonant / special character key 22 to input the consonant of the syllable desired. (S30), the consonant / special character key (22) selects one consonant / special character key (22) for basic consonant input, or the vowel sound of the ㅋ, ㅌ,, 격, or ㄲ, ㄸ, In operation S40, it is determined whether two consonant / special character keys 22 are selected at the same time.

판단 결과 사용자가 경음 또는 격음 입력을 위한 2개의 자음/특수문자키(22)를 동시에 선택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동시선택된 해당 격음 또는 경음을 음절의 초성으로 화면상에 표시하고(S50), 사용자가 하나의 자음/특수문자키(22)를 선택하면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및 ㅎ의 기본 자음을 음절의 초성으로 화면상에 표시한다(S60).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user selects two consonant / special character keys 22 for inputting the sound or the sound at the same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s the corresponding sound of the sound or the sound simultaneously selected on the screen as syllables (S50). If a single consonant / special character key 22 is selected, the basic consonants of a, b, c, d, ㅁ, ,, ㅅ, ㅇ, ㅎ and ㅎ are displayed on the screen as the consonants of the syllables (S60).

음절의 초성을 화면상에 표시한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음절의 중성을 입력하기 위해 모음/특수문자키(24)를 선택하는지를 판단하고(S70), 모음/특수문자키(24)를 선택하면 기본 모음 입력을 위한 하나의 모음/특수문자키(24)를 선택하는지, 아니면 ㅑ, ㅕ, ㅛ, ㅠ의 반모음, 또는 ㅐ, ㅒ, ㅔ, ㅖ, ㅚ, ㅟ, ㅢ, ㅘ, ㅝ, ㅙ, ㅞ의 이중모음 입력을 위한 2개의 모음/특수문자키(24)를 동시에 선택하는지를 판단한다(S80).After displaying the syllable of the syllable on the screen, the mobi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user selects the vowel / special character key 24 to input the syllable neutral (S70), and selects the vowel / special character key 24. Select to select one vowel / special character key (24) for basic vowel entry, or ㅑ, ㅕ, ㅛ, 반 half vowel, or ㅐ, ㅒ, ㅔ, ㅖ, ㅚ, ㅟ, ㅢ, ㅘ, ㅝ It is determined whether two vowels / special character keys 24 for inputting a double vowel of ㅙ, ㅙ, ㅞ are selected at the same time (S80).

판단 결과 사용자가 반모음 또는 이중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2개의 모음/특수문자키(24)를 동시에 선택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동시선택된 해당 반모음 또는 이중모음을 음절의 중성으로 화면상에 표시(즉, 상술한 단계 S60에서 표시되는 음절의 초성과 결합하여 화면에 표시)하고(S90), 사용자가 하나의 모음/특수문자키(24)를 선택하면, ㅏ, ㅓ, ㅗ, ㅜ, ㅡ 및 ㅣ의 기본 모음을 음절의 중성으로 화면상에 표시한다(S100).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user selects two vowels / special character keys 24 for inputting half vowels or double vowels at the same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s the corresponding half vowels or double vowels simultaneously selected as syllable neutrals (i.e., Display on the screen in combination with the initial syllable of the syllable displayed in the above-described step S60) (S90), and when the user selects one vowel / special character key 24, 의, ㅓ, ㅗ, TT, ㅡ and ㅣ The basic vowel is displayed on the screen as the syllable neutral (S100).

음절의 초성과 중성을 화면상에 표시한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음절의 종성을 입력하기 위해 자음/특수문자키(22)를 선택하는지를 판단하고(S110), 자음/특수문자키(22)를 선택하면 기본 자음 입력을 위한 하나의 자음/특수문자키(22)를 선택하는지, 아니면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ㅯ, ㅄ의 합용병서 입력을 위한 2개의 자음/특수문자키(22)를 동시에 선택하는지를 판 단한다(S120).After displaying the syllables of the syllable and the neutral on the screen, the mobi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user selects the consonant / special character key 22 to input the final syllable (S110), and the consonant / special character key (22). ) Selects one consonant / special character key (22) for basic consonant input, or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ㅯ, ㅄ It is determined whether two consonant / special character keys 22 for input are simultaneously selected (S120).

판단 결과 사용자가 합용병서를 입력하기 위한 2개의 자음/특수문자키(22)를 동시에 선택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동시선택된 해당 합용병서를 음절의 종성으로 화면상에 표시(즉, 상술한 단계 S100에서 표시되는 음절의 초성/중성과 결합하여 화면에 표시)하여 음절을 완성하고(S130), 사용자가 하나의 자음/특수문자키(22)를 선택하면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및 ㅎ의 기본 자음을 음절의 종성으로 화면상에 표시하여 음절을 완성한다(S140).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user selects two consonant / special character keys 22 for inputting the combined medical note at the same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s the corresponding selected combined medical note on the screen with the finality of the syllable (that is, the above-described step S100). (S130) to complete the syllable by combining the consonant / neutral of the syllable displayed in the syllable (S130), and when the user selects one consonant / special character key (22), a, b, c, d, d, r, k , ㅅ, ㅇ, ㅈ and ㅎ by displaying the final consonants of the syllable on the screen to complete the syllable (S140).

하나의 음절이 완성된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한글 및 특수문자의 입력을 종료하는지를 판단하여, 한글 및 특수문자의 입력을 종료하면 문자입력모드를 중지하고, 한글 및 특수문자의 입력을 종료하지 않으면 전술한 단계 S10 이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S150).After one syllable is complet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user ends the input of Hangul and special characters, and when the input of the Hangul and special characters ends, stops the text input mode and ends the input of the Hangul and special characters. If not, it is repeated after step S10 described above (S150).

한편, 단계 S30에서 사용자가 자음/특수문자키(22)를 선택하지 않거나, 또는 단계 S70에서 음절의 초성이 표시된 이후 사용자가 모음/특수문자키(24)를 선택하지 않거나, 또는 단계 S110에서 음절의 초성/중성이 표시된 이후 사용자가 자음/특수문자키(22)를 선택하지 않으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절의 완성 여부에 상관없이 현재 상태로 표시되는 문자를 그대로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음의 한글 또는 특수문자의 표시를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does not select the consonant / special character key 22 in step S30, or the user does not select the vowel / special character key 24 after the syllable of the syllable is displayed in step S70, or the syllable in step S110. If the user does not select the consonant / special character key 22 after the initial / neutrality is displayed, the mobile terminal displays the character displayed in its current state as it is, regardless of whether the syllable is completed. Display of Korean characters or special characters.

또한, 사용자가 특정 자음/특수문자키(22)를 선택하여 음절의 종성을 입력한 이후, 일정 시간 동안 다음 문자의 초성을 입력하지 않으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해당 종성을 다음 문자의 초성으로 자동으로 인식하여 화면상에 표시한다.In addition, after the user selects a specific consonant / special character key 22 and inputs the finality of the syllable, if the user does not input the initiality of the next character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mobile terminal automatically generates the finality as the initiality of the next character. Recognize and display on the screen.

또한, 사용자가 자음/특수문자키(22) 또는 모음/특수문자키(24)를 일정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누르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해당 키에 할당된 숫자를 화면상에 표시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continuously presses the consonant / special character key 22 or the vowel / special character key 24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s the number assigned to the corresponding key on the screen.

또한, 한글/특수문자 이외에 영문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모드변경을 선택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한글/특수문자 입력모드를 영자 입력모드로 변경한 후,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해당 영문자를 화면상에 표시한다.In addition, if a user who wants to input English characters other than Korean / special characters selects the mode chang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nges the Korean / special character input mode to English input mode, and then displays the corresponding English characters according to the user's key operation. Mark on.

여기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in,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variously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And can be changed.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각각의 키마다 최대 2개의 자음, 모음, 특수문자가 할당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들이 한글 및 각종 특수문자를 손쉽게 입력할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모드변경 없이 특수문자를 바로 입력할 수 있으므로 문자 입력속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Hangul input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up to two consonants, vowels, and special characters are assigned to each key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the user As well as easy to enter characters, special characters can be entered directly without changing the mode, the character input speed is improved.

또한, 2개의 키를 동시에 눌러 한글의 경음, 격음 및 복잡한 이중모음을 손쉽게 입력할 수 있으므로 문자 입력에 따른 버튼 선택의 횟수를 크게 줄일 수 있음은 물론, 문자 입력속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pressing the two keys at the same time can easily input the hard, vowel and complex double vowels of the Hangul can greatly reduce the number of button selec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 inpu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haracter input speed is improved.

또한, 한글을 학습하면서 익힌 내용을 바탕으로 한 다중모음의 입력방식을 구현하고, 영어식 발음기호의 응용을 통해 입력시 불필요한 학습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mplements an input method of multiple vowels based on the contents learned while learning Hangul, and minimizes unnecessary learning time during input through the application of English phonetic symbols.

Claims (20)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3행 4열의 키패드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hree-row, four-column keypad for inputting characters, 최대 2개의 기본 자음군 및/또는 특수문자가 할당되는 8개의 자음/특수문자키; 및Eight consonant / special character keys to which up to two basic consonant groups and / or special characters are assigned; And 최대 2개의 기본 모음군 및/또는 특수문자가 할당되는 4개의 모음/특수문자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up to two basic vowel groups and / or four vowel / special character keys to which special characters are assign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자음군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asic consonant group,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및 ㅎ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 b, c, d, ㅁ, ㅂ, ㅅ, ㅇ, ㅈ and ㅎ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모음군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asic vowel group, ㅏ, ㅓ, ㅗ, ㅜ, ㅡ 및 ㅣ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통신, ㅓ, ㅗ, TT, ㅡ and ㅣ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8개의 자음/특수문자키와 상기 4개의 모음/특수문자 키에 할당된 특수문자 중 어느 하나의 특수문자가 선택되면,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n any one of the eight consonants / special character keys and the special characters assigned to the four vowel / special character keys is selected, 해당 키에 할당된 특수문자를 생성하여 화면상에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 special character assigned to the key to display on the screen.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8개의 자음/특수문자키와 상기 4개의 모음/특수문자키 중 일부에 할당되는 특수문자는,The method of claim 1 or 4, wherein the special characters assigned to some of the eight consonants / special character keys and the four vowel / special character keys are: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can change arbitrarily us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8개의 자음/특수문자키 중 2개의 자음/특수문자키가 동시에 선택되면,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f two consonant / special character keys of the eight consonant / special character keys are selected at the same time, ㅋ, ㅌ, ㅊ, ㅍ의 격음, 또는 ㄲ, ㄸ, ㅆ, ㅉ, ㅃ의 경음, 또는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ㅯ, ㅄ의 합용병서를 생성하여 화면상에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ㅋ, ㅌ, ,, 격, or ㄲ, 경, ㅆ, ㅉ, 경, 경, ㄵ, ㄶ, ㄺ, 합, ㄼ, ㄽ, ㄾ, ㄿ, ㅀ, ㅯ, 합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 display on the scree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모음/특수문자키 중 2개의 모음/특수문자키가 동시에 선택되면,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f two of the four vowel / special character keys are selected at the same time, ㅑ, ㅕ, ㅛ, ㅠ의 반모음을 생성하여 화면상에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by generating half vowels of, ㅕ, ㅛ, ㅠ and displaying them on the scree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8개의 자음/특수문자키 중 1개의 자음/특수문자키가 선택되어 종성이 입력된 후, 사전에 설정된 시간 동안 다음 문자의 초성이 입력되지 않으면, 종성으로 입력된 문자를 다음 문자의 초성으로 인식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ccording to claim 1, If one of the eight consonant / special character keys of the consonant / special character key is selected after the final character is input, if the initial character of the next character is not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haracter entered as the final charact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recognizes as the consonant of the next charac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8개의 자음/특수문자키와 상기 4개의 모음/특수문자키 중 어느 하나의 키 입력이 사전에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되면, 해당 키에 할당된 숫자를 생성하여 화면상에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ccording to claim 1, If the key input of any one of the eight consonants / special character keys and the four vowel / special character keys lasts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generates a number assigned to the key on the scr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3행 4열의 키패드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에 있어서,In the Hangul inpu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three-row, four-column keypad for inputting characters, 최대 2개의 기본 자음군 및/또는 특수문자를 할당한 8개의 자음/특수문자키와, 최대 2개의 기본 모음군 및/또는 특수문자를 할당한 4개의 모음/특수문자키를 구비하고,Eight consonant / special character keys assigned up to two basic consonant groups and / or special characters, and four vowel / special character keys assigned up to two basic vowel groups and / or special characters, 상기 8개의 자음/특수문자키 중 2개의 키가 동시에 선택되면, 격음, 경음, 합용병서 중 하나의 문자를 생성하여 화면상에 표시하고,When two keys of the eight consonant / special character keys are selected at the same time, one character among a vowel, a horn, and a combination letter is generat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상기 4개의 모음/특수문자키 중 2개의 키가 동시에 선택되면, 반모음, 이중모음 중 어느 하나의 문자를 생성하여 화면상에 표시하며,If two keys of the four vowel / special character keys are selected at the same time, one of the half vowels and the double vowels is generat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상기 8개의 자음/특수문자키와 상기 4개의 모음/특수문자키에 할당된 특수문자 중 어느 하나의 특수문자가 선택되면, 해당 키에 할당된 특수문자를 생성하여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When any one of the eight consonants / special character keys and the special characters assigned to the four vowel / special character keys is selected, a special character assigned to the corresponding key is generat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Hangul input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자음군은,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basic consonant group,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및 ㅎ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Hangul inpu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 b, c, d, ㅁ, ㅂ, ㅅ, ㅇ, ㅈ and ㅎ.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모음군은,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basic vowel group, ㅏ, ㅓ, ㅗ, ㅜ, ㅡ 및 ㅣ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Hangul inpu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ㅏ, ㅓ, ㅗ, TT, ㅡ and ㅣ.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특수문자키 중 'ㅎ' 자음이 할 당된 키에 격음 기능이 함께 할당되며,The method of claim 10 or 11, wherein the consonant function is assigned to the key to which the 'ㅎ' consonants among the consonant / special character keys are assigned together. 사용자에 의해 상기 격음 기능이 할당된 키와, 각 격음의 평음에 해당되는 ㄱ, ㄷ, ㅈ, ㅂ의 기본 자음군이 할당된 키가 동시에 선택되면,If a key to which the sound function is assigned by the user and a key to which the basic consonant groups of a, c, ㅈ, and 되는 corresponding to the flat sound of each sound sound are selected at the same time, ㅋ, ㅌ, ㅊ, ㅍ의 격음을 생성하여 화면상에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A Hangul inpu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generates the sound of the ㅋ, ㅌ, ,, ㅍ and display it on the screen.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특수문자키 중 'ㅇ' 자음이 할당된 키에 경음 기능이 함께 할당되며,12. The method of claim 10 or 11, wherein a consonant function is assigned to a key to which a consonant is assigned to a consonant / special character key. 사용자에 의해 상기 경음 기능이 할당된 키와, 각 경음의 평음에 해당되는 ㄱ, ㄷ, ㅅ, ㅈ, ㅂ의 기본 자음군이 할당된 키가 동시에 선택되면,When a key to which the horn function is assigned by the user and a key to which the basic consonant groups of a, c, ,, ㅈ, and 되는 corresponding to the flat sound of each horn are simultaneously selected, ㄲ, ㄸ, ㅆ, ㅉ, ㅃ의 경음을 생성하여 화면상에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A Hangul inpu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by generating a beep, ㄲ, ㅆ, ㅉ, 경 to display on the screen.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특수문자키 중 2개의 키가 동시에 선택되면,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if two of the consonant / special character keys are selected at the same time,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동시에 선택된 2개의 자음이 합용병서를 생성할 수 있는 키 조합인가를 확인한 후,After confirming that the two consonants selected at the same time at the mobile terminal are key combinations that can generate a combined medical certificate, 합용병서 생성이 가능한 키 조합이면 동시에 선택된 자음에 따라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ㅯ, ㅄ의 합용병서를 생성하여 화면상에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If a combination of key combinations can be created, the combined combination of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ㅯ, ㅄ is display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selected consonants. Hangul input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0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특수문자키 중 ㅣ모음이 할당된 키와 ㅏ, ㅓ, ㅗ, ㅜ의 기본 모음군이 할당된 키가 동시에 선택되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or 12, wherein when a key to which a vowel is assigned and a key to which a basic vowel group of ㅏ, ㅓ, ㅗ, and TT are assigned are simultaneously selected among the vowel / special character keys, ㅑ, ㅕ, ㅛ, ㅠ의 반모음을 생성하여 화면상에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A Korean inpu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by generating a half vowel of ㅑ, ㅕ, ㅛ, ㅠ and displaying it on the screen. 삭제delet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8개의 자음/특수문자키와 상기 4개의 모음/특수문자키에 할당된 특수문자의 변경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if a change of the special characters assigned to the eight consonants / special character keys and the four vowel / special character keys is selected by the user,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등록 가능한 특수문자 전체를 화면상에 표시하고,Display all the special characters that can be registe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n the screen, 화면상에 표시된 특수문자들을 확인한 사용자가 새로운 특수문자 및 해당 특수문자가 할당되는 키를 선택하면, 해당 키에 할당된 특수문자를 사용자가 선택한 새로운 특수문자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When a user who checks the special characters displayed on the screen selects a new special character and a key to which the special character is assigned, the mobile termi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es changing the special character assigned to the key to a new special character selected by the user. Hangul input method.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8개의 자음/특수문자키 중 1개의 자음/특수문자키가 선택되어 종성이 입력된 후, 사전에 설정된 시간 동안 다음 문자의 초성이 입력되지 않으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after one consonant / special character key of the eight consonant / special character keys is selected and the finality is input, the initial character of the next character is not input for a preset time.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종성으로 입력된 문자를 다음 문자의 초성으로 인식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A Hangul inpu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racter input as the last charact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recognize the first character of the next characte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8개의 자음/특수문자키와 상기 4개의 모음/특수문자키 중 어느 하나의 키 입력이 사전에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지속되면,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if the key input of any one of the eight consonants / special character keys and the four vowel / special character keys continues for more than a preset time,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해당 키에 할당된 숫자를 생성하여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Korean inpu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 number assigned to the corresponding key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display on the screen.
KR1020050076681A 2005-08-22 2005-08-22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inputting hangul thereto KR1006972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6681A KR100697251B1 (en) 2005-08-22 2005-08-22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inputting hangul theret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6681A KR100697251B1 (en) 2005-08-22 2005-08-22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inputting hangul thereto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2449A KR20070022449A (en) 2007-02-27
KR100697251B1 true KR100697251B1 (en) 2007-03-22

Family

ID=41563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6681A KR100697251B1 (en) 2005-08-22 2005-08-22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inputting hangul thereto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725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130B1 (en) * 2006-11-30 2007-11-23 삼성네트웍스 주식회사 The method having service of inputting korean alphabet designed by user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the method
KR100927167B1 (en) * 2007-10-24 2009-11-18 신부용 Universal pronunciation input device using 10 Hangul basic consona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2449A (en) 2007-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0343B1 (en) Language input method and device by numeric keys
KR100364841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inputing vowel of the Hangul in the same
KR100579814B1 (en) Character Inputting System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20010044081A (en)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inputting korean to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KR100697251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inputting hangul thereto
KR100370427B1 (en) Hangul input method in a mobile station
KR101368770B1 (en) Input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education device
KR100652744B1 (en) Keypad structure and character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9990069519A (en) Message input device of communication terminal
US20050225537A1 (en) Keypad having -shaped button arrangement and method of inputting letters using the same
JP2000276288A (en) Portable terminal
KR101083178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KR100905575B1 (en) Two dimension character input method for mobile terminal
KR100428691B1 (en) korean language input system and mehtod thereof
KR100918624B1 (en)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
JP2011515756A (en) Japanese input device and method
KR100580066B1 (en) A character input method for a portable terminal
KR100777815B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by Using Simultaneous Inputting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KR100686655B1 (en) Keypad for use wit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 using the same
KR20020012823A (en)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character conversion button
KR2005004211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the korean alphabet based on the order of handwriting
KR2006009669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 of portable terminal
KR20050058843A (en) Korean language input method using direction key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5100044A (en) Input device and input method
KR100422379B1 (en) Hangul input device for info-communications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