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2777A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ethod for having character input function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ethod for having character input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2777A
KR20070082777A KR1020060015838A KR20060015838A KR20070082777A KR 20070082777 A KR20070082777 A KR 20070082777A KR 1020060015838 A KR1020060015838 A KR 1020060015838A KR 20060015838 A KR20060015838 A KR 20060015838A KR 20070082777 A KR20070082777 A KR 20070082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input
character
row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58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나호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5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82777A/en
Publication of KR20070082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277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haracter input function and a method for inputting the character are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find easily a position of a character by sequences by allocating the characters displayed in the keypad keyboard in sequence, thereby reducing character input tim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haracter input function comprises the followings: a key input unit(106) for displaying characters; a memory unit(105) for storing a character input algorithm according to kinds of the characters and the character data; a control unit(108) for determining characters which are allocated to a button inputted through the key input unit; and a display unit(107) for receiving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displaying the determined characters.

Description

문자 입력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문자 입력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ETHOD FOR HAVING CHARACTER INPUT FUNCTION}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ETHOD FOR HAVING CHARACTER INPUT FUNCTION}

도 1은 종래 천지인 방식에서 사용하는 자판 배열을 보인 예시도.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keyboard arrangement used in the conventional Cheonjiin method.

도 2는 종래 이지(ez) 한글 입력 방식에서 사용하는 자판 배열을 보인 예시도.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keyboard layout used in the conventional easy (ez) Hangul input metho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을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haracter inp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자판 배열을 보인 예시도.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keyboard layou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판 배열을 이용한 자음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5 is a table for explaining a consonant input method using a keyboard layo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판 배열을 이용한 모음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6 is a table for explaining a vowel input method using a keyboard layo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판 배열을 이용한 복모음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7 is a table for explaining a vowel input method using a keyboard layo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판 배열을 이용한 영문자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8 is a table for explaining an English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keyboard layo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을 보인 순서도.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haracter inpu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자판 배열에 따른 한글 입력 시 입력 타수와 시간을 종래 의 문자 입력 방식과 비교한 테이블.10 is a table comparing the input stroke number and time with a conventional character input method when inputting Korean characters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1 : 무선 통신부 102 : 마이크101: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2: microphone

103 : 스피커 104 : 음성 입출력부103: speaker 104: voice input and output unit

105 : 메모리부 106 : 키 입력부105: memory unit 106: key input unit

107 : 표시부 108 : 제어부107: display unit 108: control uni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문자 입력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문자 입력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xt inpu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ext input function for shortening a text input time and a text input method thereof.

최근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단순한 전화 기능에 여러 가지 부가기능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예컨대, SMS(Short Message Service)나 전화번호, 일정, 메모 및 기타정보 등의 입력 기능은 기본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채팅 및 웹서핑 까지도 가능한 상황이다.Rec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equipped with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in addition to simple telephone functions. For example, input functions such as SMS (Short Message Service), phone number, schedule, memo and other information are basically provided, and even chatting and web surfing are possible.

그런데, 상기 부가 기능들은 대부분 문자를 입력하여 수행되는 기능으로서, 단말기에 부착된 키 패드를 이용해 문자를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단말기 제조업체에서는 문자를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많은 연구를 하고 있다.However, most of the additional functions are performed by inputting a character, and the character is input by using a keypad attached to the terminal. Therefore, a lot of researches are being made by terminal manufacturers to develop a method for easily inputting characters.

종래의 대표적인 한글 입력 방법으로는 천지인과 이지(ez) 한글 입력 방식이 있다.Conventional Korean input methods include Cheonjiin and ez (Korean) input method.

도1은 종래 천지인 방식에서 사용하는 자판 배열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2는 종래 이지(ez) 한글 입력 방식에서 사용하는 자판 배열을 보인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keyboard arrangement used in the conventional Cheonjiin method,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keyboard arrangement used in the conventional easy (ez) Hangul input method.

도1을 참조하면, 상기 천지인 방식은 7개의 버튼에 상기 천지인 방식에서 지정하는 대표 자음을 두 개씩 할당하고, 3 개의 버튼에 모음 입력을 위한 기능(ㅣ,ㆍ,ㅡ)키로 사용하도록 할당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Cheonjiin method is assigned to assign seven representative buttons to each of two representative consonants designated by the Cheonjiin method, and to use three buttons as function (ㅣ, ·, ㅡ) keys for vowel input. .

상기와 같은 자판 배열을 갖는 천지인 방식은 3 개의 버튼만으로 모든 모음을 완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하나의 버튼을 여러 번 누를 경우 사용자가 실수를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하나의 손가락에 계속적인 무리가 가해 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복모음(예 : ㅔ,ㅖ,ㅐ,ㅒ,ㅝ,ㅞ,ㅚ,ㅙ 등)을 입력하기 위해서 비교적 많은 횟수의 버튼을 입력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The Cheonjiin method with the keyboard layout as described above has the advantage of completing all the vowels with only three buttons. However, if one button is pressed several times, the user may make a mistake. There is a problem that an excessive force can be appli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buttons must be input in order to input a double vowel (eg, ㅔ, ㅖ, ㅐ, ㅒ, ㅝ, ㅞ, ㅚ, ㅙ, etc.).

다음, 도2를 참조하면, 상기 이지(ez) 한글 입력 방식은 6개의 버튼에 상기 이지(ez) 한글 입력 방식에서 지정하는 대표 자음을 각 한 개씩 할당하고, 3개의 버튼에 상기 이지(ez) 한글 입력 방식에서 지정하는 대표 모음을 각 한 개 또는 두 개씩 할당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Next, referring to FIG. 2, the ez Hangul input method allocates one representative consonant designated by the ez Hangul input method to each of six buttons, and assigns the ez to the three buttons. One or two representative vowels specified by the Korean input method are assigned and used.

상기와 같은 이지(ez) 한글 입력 방식에서 버튼에 표시되지 않은 자음과 모음은 획 추가 버튼 또는 쌍 자음 버튼을 이용하여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Consonants and vowels not displayed on the buttons in the easy Hangul input method as described above are configured to be input using a stroke addition button or a double consonant button.

그러나, 상기 이지(ez) 한글 입력 방식은 천지인 방식에 비해 하나의 버튼을 여러 번 입력하는 경우는 적지만, 문자 완성을 위해 멀리 떨어져 배열된 버튼을 입 력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문제점에 의해 손가락의 이동에 많은 시간이 소요됨으로써 그 만큼 문자 입력 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EZ Korean input method is less frequently used to input one button many times than the Cheonjiin method,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buttons arranged far apart for character completion are input. Since a large amount of time is required for the movement of the fing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haracter input time is increased.

그리고, 처음 사용하는 사용자들 중 대다수가 키 패드 자판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ㅋ, ㄷ, ㅌ, ㅂ, ㅍ, ㅈ, ㅊ, ㅎ 의 자음입력에 혼란을 느끼게 된다.And, many of the first-time users are confused by the consonant input of ㅋ, ,, ㅌ, ㅂ, ,, ,, ㅎ, ㅎ which are not displayed on the keypad.

또한, 상기 두 가지 문자 입력 방식은 공통적으로 하나의 손가락(예 :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버튼 입력 횟수의 증가에 따라 손가락에 무리가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wo character input methods are designed to input characters using one finger (for example, a thumb) in comm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nger is increased as the number of button inputs increases. .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키 패드 자판에 표시하는 문자를 순차로 할당하여, 그 순서에 의해 사용자가 문자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문자 입력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by sequentially assigning the characters displayed on the keypad keyboar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find the character position by the sequence, and thus the character input tim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of inputting the text, which can shorten the time.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 자판에 단자음과 단모음을 모두 표시하여 격음을 포함한 자음과 모음의 위치를 키패드 자판을 보면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문자 입력을 용이하게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play both the terminal sound and the short vowels on the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display the location of the consonants and vowels, including the voicing intuitively by looking at the keypad keyboard to facilitate character input and it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acter input method.

또한, 본 발명은 자판에 배열하는 모든 단자음을 좌측 열에 할당하고, 모든 단모음을 우측 열에 할당함으로써, 한 손 입력은 물론 양손 입력을 자연스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haracter input method for allocating all the terminal sounds arranged on the keyboard to the left column and all the short vowels to the right column, so that one-hand input as well as two-hand input can be performed naturally. There is a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획 추가 버튼이나 쌍 자음 버튼과 같은 문자 입력을 위한 기능 키를 별도로 사용하지 않고도 동일한 키 버튼의 반복 입력을 통해 쌍자음을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for inputting the characters to easily input the consonants through repeated input of the same key button without separately using a function key for inputting a character such as a stroke addition button or a consonant button The purpose is to provid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키 패드 자판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두 열(1열,2열)과 상측에서 하측으로 네 행(1행~3행)의 각 버튼에 한글의 단자음을 순차로 두 개씩 할당하고, 4행의 첫 번째 열(1열) 버튼에 한글의 마지막 두 단자음이 표시되는 키 입력부와; 상기 문자 데이터와 그 문자의 종류에 따른 문자 입력 알고리즘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버튼에 할당된 문자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판단된 문자를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rminal sound of Hangul to each button of two rows (1 column, 2 columns) from the left side to the right side of the keypad keyboard and four rows (1 to 3 row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 key input unit which allocates two in sequence and displays the last two terminal tones of Hangul in the first column (column 1) button of four rows; A memory unit for storing the character data and a character input algorithm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haracter;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a character assigned to a button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And a display configured to display the determined charact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키 패드 자판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첫 번째 열(3열)과 상측에서 하측으로 네 행(1행~4행)의 각 버튼에 한글의 단모음을 순차로 두 개씩 할당하고, 마지막 행(4행)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첫 번째 열(3열)과 두 번째 열(2열) 버튼에 한글의 마지막 네 단모음을 순차로 두 개씩 할당하여 표시하는 키 입력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e first column (three columns) from the right side to the left side of the keypad keyboard and four buttons (1 to 4 row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ssign two short vowels in sequence, and display the last four short vowels in order in the first column (column 3) and the second column (column 2) buttons from right to left in the last row (row 4). It comprises a key input unit configured to.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키 패드 자판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세 열(1열~3열)과 상측에서 하측으로 네 행(1행~4행)의 각 버튼에 영문자를 순차로 두 개씩 할당하고, 마지막 행(4행)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두 번째 열(2열)과 세 번째 열(3열) 버튼에 마지막 여섯 개의 영문자를 순차로 세 개씩 할당하여 표시하는 키 입력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has three columns (1 to 3 columns) from the left side to the right side of the keypad, and four buttons (1 to 4 row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ssigns two alphabetic characters sequentially and displays the last six alphabetic characters in sequence in the second column (column 2) and the third column (column 3) buttons from left to right in the last row (row 4). It comprises a key input uni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을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haracter inp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 되는 무선 신호로부터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추출하는 무선 통신부(101)와;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송수신 되는 음성 신호를 마이크(102) 및 스피커(103)를 통해 입출력하는 음성 입출력부(104)와; 단말기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부(105)와; 단말기에 부착된 키의 입력을 검출하는 키 입력부(106)와; 단말기의 동작 및 각종 기능 수행에 따른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107) 및 상기 각 기능블록을 제어하는 제어부(108)를 포함한다.3,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1 for extracting voice and data signals from a wireless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n antenna; A voice input / output unit 104 for inputting / outputting a voice signal transmitted /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rough a microphone 102 and a speaker 103; A memory unit 105 for storing various data and programs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A key input unit 106 for detecting an input of a key attached to the terminal; A display unit 107 for display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and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and a control unit 108 for controlling the respective functional blocks.

다만, 상기 기능 블록들은 실시예에 따라서는 동일한 명칭의 기능블록에서 다른 기능을 추가적으로 실시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However, it is obvious that the functional blocks may additionally perform other functions in the functional block of the same nam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한편, 상기 키 입력부(106)와 표시부(107)는 분리되어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 기능과 표시 기능을 하나로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Meanwhile, although the key input unit 106 and the display unit 107 are generally configured to be separated, it is noted that the input function and the display function may be combined into one, such as a touch screen.

본 발명에서 상기 메모리부(105)는 특징적으로 각 국가별 문자 데이터와 그 문자의 종류에 따른 문자 입력 알고리즘을 저장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는 대표적으로 한글과 영문자를 이용한 문자 입력 알고리즘을 설명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ory unit 105 stores character data for each country and a character input algorithm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haracter. Hereinaft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haracter input algorithm using Korean and English characters will be described.

상기 제어부(108)는 키 입력부(106)를 통해 문자 입력을 위한 키 버튼이 입력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문자 입력을 위한 키 버튼이 입력될 경우 표시부(107)를 제어하여 입력된 문자를 디스플레이 한다.The controller 108 determines whether a key button for character input is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06,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107 to display the input character when the key button for character input is input.

상기 문자 입력 모드는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모드, 영문을 입력하기 위한 모드를 포함하고, 그 모드 선택에 따라 한글 또는 영문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문자 입력 모드는 단말기의 동작 상태(예 : 전화 통화, 문자 메시지 전송, 이-메일 전송, 메모 등)에 따라 자동으로 전환되거나, 사용자가 수동으로 메뉴를 직접 선택하여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The character input mode includes a mode for inputting Korean and a mode for inputting English, and enables input of Korean or English according to the mode selection. The text input mode is automatically switched according to an operation state of the terminal (eg, a phone call, a text message transmission, an e-mail transmission, a memo, etc.), or the user can manually select a menu to switch.

상기 제어부(108)는 키 입력부(106)를 통해 문자 입력 모드 전환을 위해 미리 지정된 키 버튼이 입력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키 버튼이 입력될 경우 지정된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한다.The controller 108 determines whether a predetermined key button is input for switching the character input mode through the key input unit 106, and switches to the designated character input mode when the key button is input.

또한, 상기 제어부(108)는 상기 전환된 문자 입력 모드에 따라, 상기 키 입력부(106)를 통해 입력되는 키 버튼과 그 키 버튼이 입력되는 횟수를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키 버튼 입력 횟수에 따라 그 키 버튼에 할당된 문자를 판단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08 detects a key button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06 and the number of times the key button is input according to the switched character input mode. The character assigned to the key butt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key button inputs.

상기와 같이 키 버튼을 통해 입력되는 문자가 판단되면, 제어부(108)는 표시부(107)를 제어하여 상기 판단된 문자를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되는 문자는 문자 입력 모드에 따라 한글, 영문자이거나, 상기 실시예에서 언급하지 않은 다른 국가의 문자가 될 수 있다.When the character input through the key button is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08 controls the display unit 107 to display the determined character. The displayed characters may be Korean or English characters or characters of other countries not mentioned in the above embodiment, depending on the character input mode.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 상기 키 버튼과 그 키 버튼의 입력 횟수에 따른 문자의 판단 방법에 대하여 도4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determining a character according to the key button and the number of times the key button is inpu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when inputting a character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자판 배열을 보인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keyboard layou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자판(4행*3열 자판)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두 열(1열,2열)과 상측에서 하측으로 네 행(1행~4행)의 각 버튼에 한글의 단자음을 순차로 두 개씩 할당하여 표시한다. 이때, 순서 상 마지막 두 자음(ㅍ,ㅎ)은 자판의 마지막 행(4행)의 첫 번째 열(1열) 버튼에 할당된다.Referring to Fig. 4, the key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four rows by three columns) is divided into two columns (1 column, 2 columns) from left to right and four rows (1 row to 4 rows) from top to bottom. Display and assign two terminal sounds of Korean in sequence. At this time, the last two consonants (ㅍ, ㅎ) in the order are assigned to the first column (column 1) button of the last row (line 4) of the keyboard.

그리고, 한글의 단모음은 상기 자판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첫 번째 열(3열)과 상측에서 하측으로 네 행(1행~4행)의 각 버튼에 순차로 두 개씩 할당하여 표시한다. 이때, 순서 상 마지막 네 모음(ㅜ,ㅠ,ㅡ,ㅣ)은 자판의 마지막 행(4행)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첫 번째 열(3열)과 두 번째 열(2열)에 순차로 두 개씩 할당하여 표시한다.In addition, the Korean single vowels are assigned to each button in the first row (three columns) from the right side to the left side of the keyboard and four buttons (1 to 4 rows) in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t this time, the last four vowels (TT, ㅠ, ㅡ, ㅣ) are two in sequence in the first column (column 3) and the second column (column 2) from right to left of the last row (line 4) of the keyboard. Assign it and display it.

이때, 상기 자판에 표시되지 않는 한글의 쌍자음, 복자음, 복모음 등은 각 버튼에 직접 할당하지 않더라도 상기 버튼을 조합하여 입력할 수 있다.In this case, a double consonant, a consonant consonant, a consonant vowel, and the like, which are not displayed on the keyboard, may be input by combining the buttons even if they are not directly assigned to each button.

그리고, 영문자는 상기 자판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세 열(1열~3열)과 상측에서 하측으로 네 행(1행~4행)의 각 버튼에 순차로 두 문자씩 할당하여 표시하되, 순서 상 마지막 여섯 개의 영문자(U, V, W, X, Y, Z)는 자판의 마지막 행(4행)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두 번째 열(2열)과 세 번째 열(3열)에는 순차로 세 개씩 할당하여 표시한다.In addition, the alphabetic characters are displayed by assigning two characters in sequence to each of three buttons (1 to 3 columns) from the left to the right of the keyboard and four buttons (1 to 4 rows)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 last six letters (U, V, W, X, Y, Z) are sequentially placed in the second column (column 2) and the third column (column 3) from the left to the right of the last row (line 4) of the keyboard. Display by assigning one by one.

이때, 숫자는 상기 자판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세 열(1열~3열)과 상측에서 하 측으로 네 행(1행~4행)의 각 버튼에 한 개씩씩 할당하여 배열하되, 순서 상 마지막 행(4행)의 첫 번째 열(1열)에는 * 버튼, 두 번째 열(2열)에는 마지막 숫자(0), 세 번째 열(3열)에는 # 버튼이 할당된다.In this case, numbers are arranged by assigning one to each of three buttons (1 to 3 columns) from the left to the right of the keyboard and four buttons (1 to 4 rows) from the top to the bottom, but the last row in the sequence. In the first column (column 4), the * button is assigned to the first column (column 1), the second column (column 2), the last digit (0), and the third column (column 3).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자판 배열을 이용한 자음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숫자 버튼을 기준으로 자음 입력 방법을 설명한다.5 is a table illustrating a consonant input method using a keyboard layo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consonant input method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number buttons.

도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한글의 단자음을 입력하기 위해서 입력하고자 하는 단자음이 할당된 버튼을 누른다. 이때, 상기 버튼에 할당된 자음은 그 버튼을 누르는 횟수에 따라 순차로 입력된다. Referring to FIG. 5, a user presses a button to which a terminal sound to be input is assigned in order to input a terminal sound of Korean. At this time, the consonants assigned to the buttons are sequentially input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button is pressed.

예컨대, 자음 'ㄱ,ㄴ'이 할당된 1번 버튼을 1회 누르면 'ㄱ'이 입력되고, 2회 누르면 'ㄴ'이 입력된다. 마찬가지로, 자음 'ㄷ,ㄹ'이 할당된 2번 버튼을 1회 누르면 'ㄷ'이 입력되고, 2회 누르면 'ㄹ'이 입력된다. 이하 나머지 단자음(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의 입력 방법도 상기 단자음 입력 방법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For example, pressing the first button to which the consonants 'ㄱ, ㄴ' is assigned, enters 'ㄱ' once, and presses '2' twice to enter 'ㄴ'. Similarly, pressing the button 2 to which the consonants 'ㄷ, ㄹ' is assigned is inputted once 'ㄷ', and pressed twice to input 'ㄹ'. Hereinafter, since the input method of the remaining terminal sounds (ㅁ, ㅂ, ㅅ, ㅇ, ㅈ, ㅋ, ㅋ, ㅌ,, ㅎ) is also the same as the input method of the terminal sou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각 버튼에 직접 할당되지 않은 쌍자음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그 쌍자음을 구성하는 자음이 할당된 버튼을 1회 추가로 더 눌러 입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nput the consonants that are not directly assigned to each button, the consonant constituting the consonants constituting the consonants may be further pressed once more.

예컨대, 한글의 쌍자음(예 : ㄲ, ㄸ, ㅃ, ㅆ, ㅉ) 중 'ㄲ'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그 구성 자음인 'ㄱ'이 할당된 1번 버튼을 3회 눌러 입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쌍자음 'ㄸ'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그 구성 자음인 'ㄷ'이 할당된 2번 버튼을 3회 눌러 입력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쌍자음의 입력 방법도 상기 쌍자음 입력 방 법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For example, in order to input '중' among the Korean consonants (eg, ㄲ, ㄸ, ㅃ, ㅆ, ㅉ), the button 1 to which the constituent consonant 'ㄱ' is assigned can be input by pressing 3 times. Similarly, in order to input the consonant 'ㄸ', the second consonant 'c' can be input by pressing the button 2 to which the consonant 'c' is assigned three times. Hereinafter, since the input method of the remaining consonants is the same as the input method of the consonants,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상기 각 버튼에 직접 할당되지 않은 복자음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그 복자음을 구성하는 자음이 할당된 버튼을 순차로 눌러 입력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input a consonant that is not directly assigned to each of the buttons, the consonants constituting the consonant may be sequentially inputted by pressing buttons.

예컨대, 한글의 복자음(예 :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 중 'ㄳ'은 'ㄱ'이 할당된 1번 버튼과 'ㅅ'이 할당된 5번 버튼을 각각 1회씩 순차로 눌러 입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복자음 'ㄵ'은 'ㄴ'이 할당된 1번 버튼을 2회 누르고, 이어서 'ㅈ'이 할당된 7번 버튼을 1회 눌러 입력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복자음의 입력 방법도 상기 복자음 입력 방법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For example, '복' is the number 1 button assigned to 'a' and 'ㅅ' among the Hangul consonants (eg,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 Can be entered by pressing button 5 one time at a time. Similarly, the double consonant 'ㄵ' can be input by pressing twice the first button to which 'b' is assigned and then pressing the seventh button to which 'ㅈ' is assigned. Hereinafter, since the method of inputting the remaining consonant sounds is the same as the method of inputting the consonant sou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자판 배열을 이용한 모음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이다.6 is a table for explaining a vowel input method using a keyboard layo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한글의 단모음을 입력하기 위해서 입력하고자 하는 단모음이 할당된 버튼을 누른다. 이때, 상기 버튼에 할당된 모음은 그 버튼을 누르는 횟수에 따라 순차로 입력된다. Referring to FIG. 6, a user presses a button to which a short vowel to be input is assigned in order to input a short vowel in Korean. At this time, the vowels assigned to the buttons are sequentially input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button is pressed.

예컨대, 모음 'ㅏ,ㅑ'가 할당된 3번 버튼을 1회 누르면 'ㅏ'가 입력되고, 2회 누르면 'ㅑ'가 입력된다. 마찬가지로, 모음 'ㅓ,ㅕ'가 할당된 6번 버튼을 1회 누르면 'ㅓ'가 입력되고, 2회 누르면 'ㅕ'가 입력된다. 이하 나머지 단모음(ㅗ, ㅛ, ㅜ, ㅠ, ㅡ, ㅣ)의 입력 방법도 상기 단모음 입력 방법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For example, pressing the number 3 button to which the vowel 'ㅑ, ㅑ' is assigned once enters 'ㅏ' and presses twice to enter 'ㅑ'. Similarly, pressing button 6 to which the vowel 'ㅓ, ㅕ' is assigned once enters 'ㅓ', and pressing it twice enters 'ㅕ'. Hereinafter, since the input method of the remaining short vowels (ㅗ, ㅛ, TT, ㅠ, ㅡ, ㅣ) is also the same as the short vowel input metho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각 버튼에 직접 할당되지 않은 복모음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그 복모음을 구성하는 단모음이 할당된 각 버튼을 순차로 눌러 입력할 수 있다.Meanwhile, in order to input a vowel vowel not directly assigned to each button, each button to which the vowel constituting the vowel vowel is assigned can be sequentially pressed.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자판 배열을 이용한 복모음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이다.7 is a table illustrating a method of inputting a double vowel using a keyboard layo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예컨대, 도7을 참조하면 한글의 복모음(예 : ㅘ, ㅙ, ㅚ, ㅝ, ㅞ, ㅟ, ㅢ) 중 'ㅘ'는 모음 'ㅗ'가 할당된 9번 버튼과 모음 'ㅏ'가 할당된 3번 버튼을 각각 1회씩 순차로 눌러 입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복모음 'ㅙ'는 모음 'ㅗ'가 할당된 9번 버튼을 1회 누르고, 이어서 모음'ㅏ'가 할당된 3번 버튼을 1회 누르고, 모음'ㅣ'가 할당된 0번 버튼을 2회 눌러 입력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복모음의 입력 방법도 상기 복모음 입력 방법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7, '9' among Korean vowels (eg, 예, ㅙ, ㅚ, ㅝ, ㅞ, ㅟ, ㅢ) is assigned to button 9 and vowel ㅏ You can enter it by pressing button 3 one by one each time. Similarly, double vowel 'ㅙ' presses button 9 once assigned vowel 'ㅗ', then press button 3 assigned vowel 'ㅏ' once and press button 0 assigned vowel 'ㅣ' 2 Press once to enter. Hereinafter, since the input method of the remaining double vowels is the same as the input method of the double vowels,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에서 예시하지 않은 쌍자음 및 복자음과 복모음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각 구성 단자음 또는 구성 단모음이 할당된 버튼을 문자 구성 순서에 따라 순차로 눌러 입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nput the double consonant, the double consonant and the double vowel not illustrated above, it is obvious that the buttons to which the respective constituent terminal sounds or the constituent short vowels are pressed can be sequentially input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 composition order.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자판 배열을 이용한 영문자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이다.8 is a table for explaining an English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keyboard layo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예컨대, 도8을 참조하여 영 단어 'WORD'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 'W'가 할당된 0번 버튼을 3회 누르고, 'O'이 할당된 8번 버튼을 1회 누르고, 'R'이 할당된 9번 버튼을 2회 누르고, 'D'가 할당된 2번 버튼을 2회 눌러 입력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8, when the English word 'WORD' is to be input, press button 0 assigned with 'W' three times, press button 8 assigned with 'O' once, and 'R' It can be entered by pressing the assigned button 9 twice and pressing the button 2 assigned 'D' twice.

종래의 영문 자판 배열을 살펴보면 한 버튼에 적어도 3개의 영문자를 할당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최대 4개의 영문자를 할당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한 버튼에 2개의 영문자를 기본으로 할당하고, 최대 3 개의 영문자를 할당하여 사용함으로써, 종래와 비교할 때 단어를 구성하는 문자수에 따라 적어도 3회 이상의 입력 타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conventional English keyboard layout, at least three alphabetic characters are allocated to one button, and in some cases, up to four alphabetic characters are us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ssigning two alphabetic characters to one button as a basis and assigning up to three alphabetic characters, the number of input strokes can be reduced at least three times or more depending on the number of characters constituting a wor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art. It works.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ext inpu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9를 참조하면, 제어부(108)는 문자 입력을 위한 임의의 키 버튼 입력이 검출될 경우(S101) 단말기에 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를 판단한다(S102). 상기 문자 입력 모드를 근거로 제어부(108)는 입력할 문자의 종류와 그 문자의 종류에 따른 입력 알고리즘을 선택한다(S103). Referring to FIG. 9, when an arbitrary key button input for character input is detected (S101), the controller 108 determines a character input mode set in the terminal (S102). Based on the character input mode, the controller 108 selects a type of a character to be input and an input algorithm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haracter (S103).

예컨대, 상기 입력 알고리즘의 선택은 입력할 문자가 한글인지 또는 영문인지에 따라 입력 알고리즘이 상이하기 때문이다.For example, the selection of the input algorithm is because the input algorithm is different depending on whether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Korean or English.

아울러, 제어부(108)는 상기 키 버튼의 입력 횟수를 검출하고(S104), 상기 입력 알고리즘을 근거로 상기 입력 횟수에 따라 그 키 버튼에 할당된 문자 중 해당하는 문자를 판단한다(S105). 상기와 같이 입력된 문자가 판단되면 제어부(108)는 표시부(107)를 제어하여 상기 판단된 문자를 디스플레이 한다(S106).In addition, the controller 108 detects the number of times of input of the key button (S104), and determines a corresponding character among the letters assigned to the key butt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inputs based on the input algorithm (S105). When the input character is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08 controls the display unit 107 to display the determined character (S106).

도10은 본 발명의 자판 배열에 따른 한글 입력 시 입력 타수와 시간을 종래의 문자 입력 방식과 비교한 테이블이다. FIG. 10 is a table comparing input stroke numbers and time with a conventional character input method when inputting Korean characters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0을 참조하면, 동일한 문장에 대하여 본 발명의 문자 입력 방식은 문자의 입력 타수에 있어서 천지인 방식의 입력 타수와 비슷하며, 이지(ez) 한글 입력 방식에 비해서는 많은 편이다. Referring to FIG. 10,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same sentence is similar to the input stroke of the celestial method in the number of characters inputted, and is much larger than the easy (ez) Korean input method.

그러나, 본 발명은 입력 타수에 비하여 자음과 모음 입력을 위한 손가락의 동선이 이지(ez) 한글 입력 방식에 비하여 짧기 때문에 문자의 입력 시간에서 이지(ez) 한글 입력 방식에 비하여 짧음을 알 수 있다.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shorter than the ez Korean input method in the character input time because the movement of the finger for consonant and vowel input is shorter than that of the ez Korean input method.

또한, 천지인 방식의 경우 모음+자음+자음으로 구성된 문자를 입력할 때, 커서가 다음 문자 입력임을 인식하기 위해 대기하거나, 사용자가 강제로 다음 문자를 입력받기 위한 버튼을 눌러주어야 하므로, 입력 타수는 본 발명의 입력 방법과 비슷하지만 실질적인 입력시간이 더 길어짐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heonjiin method, when inputting a character consisting of vowel + consonant + consonant, the input stroke is required to wait to recognize that the cursor is the next character input or to press a button for forcibly inputting the next character. It is similar to the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t can be seen that the actual input time is longer.

물론, 상기 입력 시간은 사용자의 자판 숙달도 및 실험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Of course, the input time may vary according to the user's keyboard mastery and experimental method.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문자 입력을 사용해보지 않은 실험자들을 그룹으로 구분하고, 각 그룹별로 지정된 문자 입력 방법을 교육한 후, 동일한 문장을 입력하도록 하여 그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erimenters who have not used the character input are divided into groups, the character input method for each group is trained, and the same sentence is inputted so that the reliability can be increased by measuring the time.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common or dictionary meanings, bu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키 패드 자판에 표시하는 문자를 순차로 할당하여, 그 순서에 의해 사용자가 문자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문자 입력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hortening the character input time by sequentially assigning the characters displayed on the keypad keypa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find the character position by the order.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 자판에 단자음과 단모음을 모두 표시하여 격음을 포함한 자음과 모음의 위치를 사용자가 바로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문자 입력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facilitating character input by displaying both the terminal sound and the short vowel on the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the user immediately knows the location of the consonant and the vowel including the sound.

또한, 본 발명은 자판에 배열하는 모든 단자음을 좌측 열에 할당하고, 모든 단모음을 우측 열에 할당함으로써, 한 손 입력은 물론 양손 입력을 자연스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한 손가락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ssigning all the terminal sounds arranged on the keyboard to the left column and all the short vowels to the right column, so that one-hand input as well as two-hand input can be performed naturally, so that one finger does not become unreasonable. .

또한, 본 발명은 획 추가 버튼이나 쌍 자음 버튼과 같은 문자 입력을 위한 기능 키를 별도로 사용하거나 손가락을 이동하지 않고도 동일한 키 버튼의 반복 입력을 통해 한글의 쌍자음을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easily inputting the Korean consonants of the Hangul through repeated input of the same key button without using a separate function key for inputting characters, such as a stroke addition button or a pair of consonant buttons or moving fingers. have.

Claims (16)

키 패드 자판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두 열(1열,2열)과 상측에서 하측으로 네 행(1행~4행)의 각 버튼에 한글의 단자음을 순차로 두 개씩 할당하고, 4행의 첫 번째 열(1열) 버튼에 한글의 마지막 두 단자음이 표시되는 키 입력부와;Assign two Hangul terminal sounds in sequence to each of the two rows (1 column, 2 columns) from the left to the right of the keypad, and the four rows (rows 1 to 4) from the top to the bottom. A key input unit for displaying the last two terminal sounds of the Korean language in the first row (column 1) button; 상기 문자 데이터와 그 문자의 종류에 따른 문자 입력 알고리즘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A memory unit for storing the character data and a character input algorithm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haracter;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버튼에 할당된 문자를 판단하는 제어부와;A controller for determining a character assigned to a button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판단된 문자를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determined charact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키 버튼의 입력 횟수를 검출하고, Detect the number of times of input of the key button, 상기 입력 알고리즘을 근거로 상기 버튼 입력 횟수에 따라 그 키 버튼에 할당된 단자음 중 상기 버튼 입력 횟수에 해당하는 순서의 단자음을 입력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And determining to input terminal tone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button inputs among the terminal tones assigned to the key butt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button inputs based on the input algorithm.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control unit, 쌍자음을 입력하고자 할 경우 그 쌍자음을 구성하는 단자음이 할당된 버튼을, 단자음 입력을 위해 누르는 버튼 입력 횟수에 추가로 1회를 더 눌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And a button to which a terminal sound constituting the twin consonant is input, when the user wants to input the twin consonant, by pressing the button one more time in addition to the number of button inputs pressed for inputting the terminal consonan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control unit, 복자음을 입력하고자 할 경우 그 복자음을 구성하는 단자음이 할당된 버튼을, 상기 복자음을 구성하는 단자음의 순서대로 순차로 눌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And a button to which a terminal sound constituting the consonant sound is assigned in order to input the consonant sou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key input unit, 1행1열 버튼에 'ㄱ,ㄴ', 1행2열 버튼에 'ㄷ,ㄹ', 2행1열 버튼에 'ㅁ,ㅂ', 2행2열 버튼에 'ㅅ,ㅇ', 3행1열 버튼에 'ㅈ,ㅊ', 3행2열 버튼에 'ㅋ,ㅌ', 4행1열 버튼에 'ㅍ,ㅎ'을 할당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ㄱ, ㄴ' for 1st row and 1st column buttons, 'ㄷ, ㄹ' for 1st row and 2nd column buttons, 'ㅁ, ㅂ' for 2nd row 1st column button, and 'ㅅ, ㅇ' for 2nd row 2nd button, 3rd row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is assigned by assigning 'ㅈ, ㅊ' to the 1st column button, 'ㅋ, ㅌ' to the 3rd row and 2nd column buttons, and '', ㅎ 'to the 4th row and 1st column buttons. 키 패드 자판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첫 번째 열(3열)과 상측에서 하측으로 네 행(1행~4행)의 각 버튼에 한글의 단모음을 순차로 두 개씩 할당하고, 마지막 행(4행)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첫 번째 열(3열)과 두 번째 열(2열) 버튼에 한글의 마지막 네 단모음을 순차로 두 개씩 할당하여 표시하는 키 입력부와;Assign two short vowels of Hangul to each button in the first row (3 columns) from the right to the left of the keypad, and the four rows (rows 1 to 4)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the last row (row 4) A key input unit for sequentially displaying two last four vowels of the Hangul to the first column (column 3) and the second column (column 2) buttons from right to left; 상기 문자 데이터와 그 문자의 종류에 따른 문자 입력 알고리즘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A memory unit for storing the character data and a character input algorithm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haracter;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버튼에 할당된 문자를 판단하는 제어부와;A controller for determining a character assigned to a button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판단된 문자를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determined charact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키 버튼의 입력 횟수를 검출하고, Detect the number of times of input of the key button, 상기 입력 알고리즘을 근거로 상기 버튼 입력 횟수에 따라 그 키 버튼에 할당된 단모음 중 상기 버튼 입력 횟수에 해당하는 순서의 단모음을 입력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And a short vowel having a sequenc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button inputs among the short vowels assigned to the key butt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button inputs, based on the input algorithm.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6 or 7, wherein the control unit, 복모음을 입력하고자 할 경우 그 복모음을 구성하는 단모음이 할당된 버튼을, 상기 복모음을 구성하는 단모음의 순서대로 순차로 눌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And a button for which the single vowels constituting the double vowels are sequentially pressed in order to input the double vowel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부는,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key input unit, 1행3열 버튼에 'ㅏ,ㅑ', 2행3열 버튼에 'ㅓ,ㅕ', 3행3열 버튼에 'ㅗ,ㅛ', 4행 3열 버튼에 'ㅜ,ㅠ', 4행2열 버튼에 'ㅡ,ㅣ'를 할당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ㅏ, ㅑ' on the 1st row and 3rd column buttons, 'ㅓ, ㅕ' on the 2nd row, 3rd column button, 'ㅗ, ㅛ' on the 3rd row, 3rd column button, and 'TT, ㅠ', 4th, 3rd row butt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assigning and displaying 'ㅡ, ㅣ' to the second row of buttons. 키 패드 자판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세 열(1열~3열)과 상측에서 하측으로 네 행(1행~4행)의 각 버튼에 영문자를 순차로 두 개씩 할당하고, 마지막 행(4행)의 좌 측에서 우측으로 두 번째 열(2열)과 세 번째 열(3열) 버튼에 마지막 여섯 개의 영문자를 순차로 세 개씩 할당하여 표시하는 키 입력부와;Assign two English characters sequentially to each button in three rows (1 to 3 columns) from the left to the right of the keypad, and four rows (1 to 4 rows)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the last row (4 rows). A key input unit for allocating the last six alphabetic characters three by one in order from the left side to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column (column 2) and the third column (column 3) buttons; 상기 문자 데이터와 그 문자의 종류에 따른 문자 입력 알고리즘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A memory unit for storing the character data and a character input algorithm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haracter;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버튼에 할당된 문자를 판단하는 제어부와;A controller for determining a character assigned to a button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판단된 문자를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determined charact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키 버튼의 입력 횟수를 검출하고, Detect the number of times of input of the key button, 상기 입력 알고리즘을 근거로 상기 버튼 입력 횟수에 따라 그 키 버튼에 할당된 영문자 중 상기 버튼 입력 횟수에 해당하는 순서의 영문자를 입력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And determining to input alphabetical letter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button inputs among alphabets assigned to the key butt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button inputs based on the input algorithm.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 패드는,The keypa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wherein 키 버튼을 4행 3열로 구성하고, 각 종류별 문자를 하나의 키 버튼에 중복 할당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four key lines arranged in three rows and a plurality of types of characters assigned to one key button.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wherein the control unit, 단말기에 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를 판단하고, Determine the text input mode set in the terminal, 상기 문자 입력 모드에 따른 문자 데이터와 그 문자의 입력 알고리즘을 읽어,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버튼에 할당된 문자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And a character assigned to a button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by reading character data according to the character input mode and an input algorithm of the charact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 모드는,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character input mode, 단말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전환되거나, 사용자의 메뉴 선택을 받아 수동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automatic switching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terminal, or manually switched by receiving a user's menu selec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부는,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key input unit, 1행1열 버튼에 'A,B',1행2열 버튼에 'C,D', 1행3열 버튼에 'E,F', 2행1열 버튼에 'G,H', 2행2열 버튼에 'I,J', 2행3열 버튼에 'K,L', 3행1열 버튼에 'M,N', 3행2열 버튼에 'O,P', 3행3열 버튼에 'Q,R', 4행1열 버튼에 'S,T', 4행2열 버튼에 'U,V,W', 4행3열 버튼에 'X,Y,Z'를 할당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A, B' for 1st row and 1st column button, 'C, D' for 1st row and 2nd row buttons, 'E, F' for 1st row and 3rd row buttons, 'G, H' and 2nd row of 2nd row 1st button 'I, J' on the 2nd column button, 'K, L' on the 2nd row 3rd button, 'M, N' on the 3rd row 1st button, 'O, P' on the 3rd row2 button, 3rd, 3rd row Assign 'Q, R' to the button, 'S, T' to the 4 row and 1 button, 'U, V, W' to the 4 row and 2 button, and 'X, Y, Z' to the 4 row and 3 button Display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문자 입력을 위한 임의의 키 버튼 입력이 검출될 경우 단말기에 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와;Determining a character input mode set in the terminal when any key button input for character input is detected; 상기 문자 입력 모드를 근거로 입력할 문자의 종류와 그 문자의 종류에 따른 입력 알고리즘을 선택하는 단계와;Selecting a type of a character to be input and an input algorithm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haracter based on the character input mode; 상기 키 버튼의 입력 횟수를 검출하고, 상기 입력 알고리즘을 근거로 상기 키 버튼에 할당된 문자 중, 상기 버튼 입력 횟수에 해당하는 순서의 문자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Detecting the number of times of input of the key button, and determining that characters of an ord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button inputs are input from among the characters assigned to the key button based on the input algorithm.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terminal.
KR1020060015838A 2006-02-17 2006-02-17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ethod for having character input function KR2007008277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5838A KR20070082777A (en) 2006-02-17 2006-02-17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ethod for having character input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5838A KR20070082777A (en) 2006-02-17 2006-02-17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ethod for having character input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2777A true KR20070082777A (en) 2007-08-22

Family

ID=38612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5838A KR20070082777A (en) 2006-02-17 2006-02-17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ethod for having character input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82777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8876A1 (en) * 2010-03-24 2011-09-29 Baik Hyung-Chong Layout for letters of the english alphabet on the keypad of a mobile phone
KR101384455B1 (en) * 2012-02-15 2014-04-10 백형종 Computer, electronic dictionary, smartphone keyboard Japanese alphabet arrange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8876A1 (en) * 2010-03-24 2011-09-29 Baik Hyung-Chong Layout for letters of the english alphabet on the keypad of a mobile phone
KR101384455B1 (en) * 2012-02-15 2014-04-10 백형종 Computer, electronic dictionary, smartphone keyboard Japanese alphabet arrang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4115B1 (en) Key input device
US6947771B2 (en)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O2010099835A1 (en) Improved text input
US20060279433A1 (en) Method of mapping characters for a mobile telephone keypad
KR20060101367A (en) Apparatus for inputting a character using number key and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KR20110003130A (en) Method for inputting letter in a mobile phone
KR20070082777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ethod for having character input function
KR100906777B1 (en) Alphabet input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N102422621A (en) Alphabet input method and apparatus
KR100652744B1 (en) Keypad structure and character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348630B1 (en) Character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370427B1 (en) Hangul input method in a mobile station
CN1936787A (en) Character inputting device of mobile phone and inputting method thereof
KR101261227B1 (en) Virtual keyboard input device, and data input method thereof
KR100415728B1 (en) Method for inputting letters using specific key-buttons and mobile phone implementing the same
KR20060095145A (en) System of converting character input mode using input key set and method thereof
KR20050110329A (en) Input device of character for mobilephone and the method thereof
US20050225537A1 (en) Keypad having -shaped button arrangement and method of inputting letters using the same
KR100686655B1 (en) Keypad for use wit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 using the same
KR100697518B1 (en) Input device of character for mobilephone and the method thereof
KR100917034B1 (en) Terminal for Inputting Character
JP2009064236A (en) Character input device, portable terminal, character input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the program recorded thereon
KR100504602B1 (en) Mobile terminal and its character input method for supporting user's tractable input using shift key
JP2001075708A (en) Key input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japanese
KR101086590B1 (en) Method for inputting hangul and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