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8972B1 - 네비게이션장치 - Google Patents

네비게이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8972B1
KR100278972B1 KR1019970037139A KR19970037139A KR100278972B1 KR 100278972 B1 KR100278972 B1 KR 100278972B1 KR 1019970037139 A KR1019970037139 A KR 1019970037139A KR 19970037139 A KR19970037139 A KR 19970037139A KR 100278972 B1 KR100278972 B1 KR 100278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display
displayed
rout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7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8334A (ko
Inventor
키하치 하야시다
타케시 야나기쿠보
치히로 하야시
Original Assignee
모리 하루오
아이신에이더블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72009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816598B2/ja
Application filed by 모리 하루오, 아이신에이더블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 하루오
Publication of KR19980018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8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8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01C21/367Details, e.g. road map scale, orientation, zooming, illumination, level of detail, scrolling of road map or positioning of current position mark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15Dynamic re-routing, e.g. recalculating the route when the user deviates from calculated route or after detecting real-time traffic data or accid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10Map spot or coordinate position indicators; Map reading aids
    • G09B29/106Map spot or coordinate position indicators; Map reading aids using electron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과제]
지도가 표시되는 화면을 분할하고, 정보내용이 다른 지도를 화면상에 동시에 표시하고, 보다 많은 지리적정보를 즉시 얻을 수 있도록 한다.
[해결수단]
다른루트탐색이 명령되면(스텝SL4), 다른루트의 탐색이 행해진다(스텝SL8). 그리고, 표시화면의 분할이 행해진다(스텝SL10). 분할된 한쪽 화면인 제2화면에, 제N번째에 탐색된 안내경로가 표시되며, 제3화면에는 제(N-1)번째의 안내경로가 표시된다(스텝SL12). 이 후, 제2화면, 제3화면 중 어느쪽인가의 안내경로의 선택이 실행된다(스텝SL30).

Description

네비게이션(Navigation)장치
본 발명은 지상이동체의 이동경로를 지도정보에 의거하여 탐색함과 동시에 이 이동경로를 이동체조작자에게 정보전달하는 네비게이션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지도정보의 표시방법을 개량한 네비게이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네비게이션장치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사용자가 희망하는 에어리어의 지도가 표시된다. 이 표시된 지도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희망하는 목적지가 확정된다. 그리고, 이 설정된 목적지와, 차량의 현재위치의 사이를 연결하는 최적 안내경로가 미리 기록된 각 도로정보를 이용하여 검색된다.
이 검색된 안내경로는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지도로, 명확히 표시된다. 또한, 차량이 그 안내경로를 이동하고 있는 동안에는 주행에 필요한 정보가 음성등의 청취수단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통지된다.
또한, 종래의 네비게이션장치에서는 차량의 현재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탐색이 행해지며, 이 탐색된 경로에 의거하여 경로안내가 행해진다. 그리고, 이 경로를 따른 주행중에 그 현재안내를 받고 있는 경로란, 다른 경로를 탐색하는 요구가 입력되면, 현재의 경로와는 별도의 탐색조건에 의한 경로탐색이 실행된다. 그리고, 탐색된 경로가 새로운 안내경로가 된다. 이 다른루트탐색에 있어서는 현재주행중의 도로 탐색코스트를 올리거나, 현재안내중의 경로 탐색시에서의 탐색조건(탐색시에서의 도로데이터의 가중치)과, 다른 조건에 의하여 재탐색이 행해진다. 이에 의해, 현재주행중인 도로를 피한 도로에 의하여 구성되는 경로가 새로운 안내경로로서 탐색된다.
또한, 종래의 장치에는 차량이 안내경로에서 벗어나서 주행하면, 경로에서 벗어나 있는 것이 인식된 시점에서, 차량현재위치에서 새로운 경로를 자동적으로 재탐색하는 오토리루트기능이 있다. 혹은, 재탐색을 개시하기 위한 키를 지니며, 해당 키가 조작되면 재탐색을 실행하는 기능이 있다. 이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는 안내경로에서 벗어나서 최초의 재탐색경로는 주변탐색경로(본래의 경로로 되돌아가도록 탐색된 경로)를 게출하고, 더욱이,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전루트 탐색경로(목적지까지의 새로운 탐색경로)를 게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종래의 네비게이션장치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전체에 하나의 지도가 표시된다. 그러나, 최근, 액정디스플레이의 단가가 저하되어 오고 있다. 그래서, 표시화면이 넓은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할 수 있도록 되었다. 이와 같이, 넓은 표시화면을 지니는 디스플레이장치로, 지도를 표시한 경우, 보다 넓은 범위의 지리정보가 얻어진다. 게다가, 넓은 화면을 이용하면, 보다 상세한 지리정보를 포함하는 지도의 확대표시가 가능하다.
그러나, 차량의 운행상태에 있어서는 넓은 범위의 지리정보가 필요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이 목적지근방에 접근했을 경우, 차량 및 목적지의 지리적인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면 된다. 그 이외의 지리적정보는 필요없다. 이 경우, 필요한 지리적 정보는 화면의 일부를 이용하면 충분히 표시할 수 있다. 즉, 넓어진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이 충분히 활용되고 있다고는 하기 어렵다.
또한, 종래와 같은 넓은 화면을 지닌 디스플레이라도 하나의 지리화면의 표시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즉, 차량 임의의 운행상황에서, 그다지 필요하지 않은 정보가 화면에 표시되는 경우가 있다. 더욱이, 차량의 현재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추장경로를 복수검색할 수 있는 경우, 하나하나의 안내경로를 하나의 화면에 표시하고 있는 것으로는 각 경로끼리의 비교가 용이하다고는 할 수 없다. 만약에, 하나의 화면에 복수의 안내경로가 동시에 표시되었을 경우라도, 화면전체가 번잡한 표시가 되며, 적확하고 또한, 신속한 경로비교를 할 수 없다.
더욱이, 상기 종래의 다른 루트탐색이 가능한 장치에 있어서는 다른 루트탐색을 실행하면, 새로운 경로에 의거하여 경로안내가 개시된다. 다른 루트탐색은 예를 들면, 현재주행중인 경로전방이 정체해 있을 때,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행해진다. 여기에서 다른 루트탐색에 의해 탐색된 경로가 본래의 경로에 대하여 매우 우회해 버리는 일이 있다. 게다가, 종래의 장치에서는 다른 루트탐색에 의해 탐색된 경로에 자동적으로 전환되어 버리며, 본래의 경로와 비교할 수 없었다. 또한, 다른 탐색조건에 의한 복수의 다른루트가 차례로 탐색가능한 장치에 있어서도 그들 경로끼리의 비교는 용이하지 않았다.
또한, 상기 종래의 재탐색을 행하는 장치에 있어서는 경로를 벗어난 것을 시스템이 확인한 시점, 혹은 사용자에 의해 재탐색개시의 키가 입력된 시점에서 재탐색이 실행된다. 그리고, 탐색된 새로운 경로에 의해 자동적으로 경로안내가 개시된다. 그러나, 상기 다른루트탐색에서의 과제가 같은, 재탐색한 경로가 본래의 경로에 비교하여 매우 우회한 경우에는 본래의 경로로 되돌아가는 안내를 받는 편이 좋다고 느끼는 일이 있다. 그러나, 재탐색후에는 자동적으로 재탐색경로에 의한 안내로 전환되어 버리며, 본래의 경로와 재탐색된 경로와의 비교를 할 수 없었다. 또한, 주변탐색경로와 모든 루트탐색경로와의 비교도 할 수 없었다.
더욱이, 또한, 안내경로주행중에 있어서, 일시적으로 안내경로에서 벗어난 장소로 주행되며, 그 후, 재차 본래의 안내경로로 차량을 복귀시키고 싶은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갑자기 발생한 용무를 끝내기 위하여, 또는 안내경로전방의 도로혼잡을 우회하기 위해 상기 상황이 요구된다. 특별히, 현재주행중인 안내경로주변의 도로구성이 조작자에게 있어서 주지라면, 차량의 주행전방에 발생한 도로혼잡을 우회해야 하며, 의도적으로 안내경로에서 일탈되며, 안내경로가 아닌 우회로에 의하여 목적지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가 있다. 게다가, 우회로주행후에 있어서, 신속하게 본래의 안내경로로의 복귀가 희망된다.
그러나, 종래의 네비게이션장치에서는 항시, 차량이 화면중심이 되도록 지도표시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도의 표시축척에 의해서는 본래의 안내경로가 화면에서 밀려나와, 경로가 전혀 표시되지 않는 상황이 있다. 이 경우, 본래의 안내경로의 방향 및 위치가 화면상에서 바로 확인할 수 없다. 그래서, 종래에서는 지도축척의 변경조작이 필요했다. 즉, 지도의 표시축척이 본래의 안내경로를 표시할 수 있을때까지 차례로 작아져서, 보다 넓은 범위의 도로지도를 표시하는 조작이 필요했다.
또한, 종래의 안내경로에서의 차량의 일탈을 검지했을 때, 차량의 현재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새로운 안내경로를 재탐색하여 표시하는 네비게이션장치에서도, 새로운 안내경로가 반드시 조작자의 희망에 합치한 경로라고는 한정하지 않는다. 오히려, 본래의 안내경로로 복귀한 편이 바람직한 경우도 있다. 차량의 현재위치와, 본래의 안내경로가 하나의 화면에 표시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는 종래의 네비게이션장치에서는 이와 같은 판단이 곤란하다. 즉, 차량과 본래의 안내경로가 지도축척에 의해서는 동시에 표시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게다가, 차량의 본래의 안내경로에 대한 위치와, 새로운 안내경로와의 비교도 할 수 없었다.
또한, 안내경로를 주행도중에서 경로근방의 시설로 돌아서 간 경우, 본래의 안내경로로 복귀하는 루트를 중심적으로 표시함과 동시에, 차량의 주위를 동시에 표시하는 것은 종래의 네비게이션장치에서는 할 수 없었다.
그러나, 넓은 화면을 이용해도, 목적지 또는 지난는 길에 들르는 곳의 설정의 조합, 필요한 검색조건의 정보는 화면의 일부를 이용하면 충분히 표시할 수 있는 것이며, 넓어진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이 충분히 활용되고 있다고는 말하기 어렵다.
또한, 필요한 검색조건중, 하나를 지정하면, 화면이 변해가기 때문에 전번 지정조건을 확인하고 싶은 경우, 화면을 하나 전으로 되돌리거나, 혹은 최초의 입력화면으로 되돌아가지 않으면 안되며, 검색조작이 번잡화해 있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도를 표시하는 화면을 분할했다. 그리고, 최초로 탐색된 안내경로에서 차량이 벗어난 경우에, 새롭게 탐색된 경로를 나타내는 지도를 분할화면의 제1화면에 표시했다. 게다가, 이 제1화면의 표시에 따라서, 제2화면에 종전에 탐색된 안내경로를 나타내는 지도를 표시했다. 이 제2화면에 표시되는 지도는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서 표시되는 정보량을 조정했다. 이에 의해, 차량이 진행해야할 방향과, 차량 주변의 지리정보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도를 표시하는 화면을 분할했다. 그리고, 탐색된 경로의 차량의 현재위치를 포함하는 지도를 제1 화면에 표시했다. 그리고, 제1 화면에 차량의 현재위치주변의 도로지도가 표시되어 있을 때, 제1화면의 안내경로에 접속하는 도로지도로서, 더욱이, 최종목적지도 표시하는 지도를 제2화면에 표시했다.
더욱이, 상기 제1화면에는 차량의 주행위치에 따라서 안내경로의 좌우회전방향, 목적지의 방향, 또는 목적지등에 관한 정보를 전환하여 표시하도록 했다.
제1화면, 제2화면 각각에 다른 경로가 되도록 탐색된 차량의 현재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안내경로를 병렬표시하고, 안내경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더욱이, 또한, 차량이 최초로 탐색한 안내경로에서 벗어났을 때에, 그 안내경로로 되돌아가는 복귀루트전체의 지리범위를 포함함과 동시에, 그 일탈된 안내경로의 일부도 포함하는 제1화면에 표시했다. 게다가, 제2화면에는 차량의 현재위치를 중심으로 한 지도나, 또는 재탐색된 목적지까지의 새로운 안내경로를 병렬표시했다. 또한, 제1화면의 복귀루트는 안내개시명령이 입력된 시점에서 비로서 명시됨과 동시에, 항상 화면전체에 최대표시되도록 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목적지 또는 잠시 들르는 곳의 설정에 대하여, 화면을 분할하고, 제1 화면에는 제1 검색조건에 의한 시설검색결과정보를 표시한다. 더욱이, 제2화면에는 검색조건의 선택지를 표시했다. 이 후, 새로운 검색조건에 의한 시설추출결과를 제2화면에 표시하고. 더욱이, 제1화면에 이 새로운 검색조건을 나타내는 선택지를 표시했다. 즉, 시설의 추출에 있어서, 검색조건과, 그 검색결과를 분할화면에 병렬표시했다.
제1도는 네비게이션장치의 전체회로도.
제2도는 정보기억부(37)의 데이터(38c)에 기억되는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제3도는 RAM(5)에 기억되는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
제4도는 도로데이터화일(F4)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
제5도는 전체처리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내는 도
제6도는 제1실시예의 안내·표시처리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내는 도
제7도는 제1실시예의 단일 화면표시처리 서브루틴을 나타내는 도
제8도는 제1실시예의 화면분할처리 서브루틴을 나타내는 도
제9도는 디스플레이(33)에 표시되는 화면 모습을 나타내는 도.
제10도는 디스플레이(33)의 화면이 분할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제11도는 제1실시예의 제3화면표시처리 서브루틴을 나타내는 도.
제12도는 제1실시예의 루트전방표시처리 서브루틴을 나타내는 도.
제13도는 제1실시예의 표시가능범위산출처리 서브루틴을 나타내는 도.
제14도는 안내경로의 전방이 표시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
제15도는 제1실시예의 전(全) 루트(전방)표시처리 서브루틴을 나타내는 도.
제16도는 안내경로의 나머지로 더욱이 목적지까지의 경로전체가 표시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
제17도는 디스플레이(33)에 표시되는 간략도를 나타내는 도.
제18도 화상메모리(10)와 디스플레이(33) 사이에 설치되는 회로를 나타내는 도.
제19도는 제2실시예의 안내·표시처리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내는 도.
제20도는 제2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33)의 분할화면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
제21도는 제3실시예의 안내·표시처리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내는 도이다.
제22도는 제4실시예의 안내·표시처리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내는 도.
제23도는 화면분할전 디스플레이(33)의 표시화면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
제24도는 디스플레이(33)의 화면분할상태를 나타내는 도.
제25도는 디스플레이(33)의 화면분할상태를 나타내는 도.
제26도는 디스플레이(33)의 화면이 단일화면으로 되돌아가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제27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안내·표시처리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내는 도.
제28도는 화면분할전 디스플레이(33)의 표시화면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
제29도는 디스플레이(33)의 화면분할상태를 나타내는 도.
제30도는 디스플레이(33)의 화면분할상태를 나타내는 도.
제31도는 디스플레이(33)의 단일화면으로 되돌아간 상태를 나타내는 도.
제32도는 디스플레이(33)의 화면분할상태를 나타내는 도.
제33도는 디스플레이(33)의 화면분할상태를 나타내는 도.
제34도는 제6실시예의 안내·표시처리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내는 도.
제35도는 루트이탈처리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내는 도.
제36도는 제35도의 제2화면의 초기표시의 제1실시예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내는 도.
제37도는 제35도의 제1화면의 초기표시의 제2실시예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내는 도.
제38도는 제34도의 안내·표시처리에서의 제2화면의 표시조정의 제1실시예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내는 도.
제39도는 제34도의 안내·표시처리에서의 제2화면의 표시조정의 제2실시예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내는 도.
제40도는 분할전의 디스플레이(33) 모습을 나타내는 도.
제41도는 안내경로이탈직후의 디스플레이(33)의 분할화면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
제42도는 복귀루트(258)가 제2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
제43도는 안내경로에서 차량이 멀리 떨어진 경우에서의 디스플레이(33)의 분할화면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
제44도는 제43도에서 제2화면에 복귀루트(260)이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
제45도는 제43도에서 제2화면에 복귀루트(260)이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
제46도는 안내경로이반 직후의 디스플레이(33)의 표시응용예를 나타내는 도.
제47도는 안내경로등의 각 노드를 설명하는 도.
제48도은 제2화면에 지도가 표시될때의 표시영역을 설명하는 도.
제49도는 주변시설설정처리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내는 도.
제50도는 장르리스트의 예를 나타내는 도.
제51도는 분할화면에 지정장르에 해당하는 시설이 표시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
제52도는 분할화면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
제53도는 경로를 따라 있는 시설의 추출서브루틴을 나타내는 도.
제54도는 검색시설과 안내경로의 최단직선거리산출의 서브루틴을 나타내는 도.
제55도는 검출된 시설과 안내경로의 위치관계를 설명하는 도.
제56도는, 스텝SX36의 설명도.
제57도는 최단직선거리의 산출을 설명하는 도.
제58도는 우편번호선택데이터(50)을 나타내는 도.
제59도는 스트리트 리스트 데이터(55)의 내용을 표시한 도.
제60도는 시설장르리스트데이터(60)의 내용을 표시한 도.
제61도는 스트리트형상데이터(65)의 내용을 표시한 도.
제62도는 시설리스트데이터(65)의 내용을 표시한 도.
제63도는 에어리어형상데이터(75)의 내용을 표시한 도.
제64도는 목적지설정처리(스텝SA3)의 플로우차트를 표시하는 도.
제65도는 대표점지도표시 및 목적지설정 서브루틴을 나타내는 도.
제66도는 스트리트명칭의 표시 및 목적지설정서브루틴을 나태내는 도.
제67도는 장르리스트표시 및 목적지설정 서브루틴을 나타내는 도.
제68도는 우편번호 및 항목선택화면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
제69도는 지정에어리어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
제70도는 스트리트 리스트를 나타내는 도.
제71도는 스트리트표시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
제72도는 장르리스트의 화면표시예를 나타내는 도.
제73도는 분할화면에 지정장르에 해당하는 시설과, 특정품목에 해당하는 시설이 표시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중앙처리장치 2 : CPU
3 : 플래시메모리, 4 : 제2ROM
5 : 제1RAM 6 : 제2RAM
7 : 센서입력인터페이스 8 : 통신인터페이스
9 : 화상프로세서 10 : 화상메모리
11 : 음성프로세서 13 : 스피커
14 : 시계 15 : CPU로컬버스
20 : 현재위치검출장치 21 : 절대방위센서
22 : 상대방위센서 23 : 거리센서
24 : 속도센서 25 : GPS수신장치
26 : 비콘수신장치 27 : 데이터수신장치
28 : I/O데이터버스 30 : 입출력장치
33 : 디스플레이 34 : 터치패널
35 : 프린터 37 : 정보기억부
38a : 디스크관리정보 38b : 프로그램
39 : 데이터송수신부 40 : 궤적데이터기억장치
1. 실시예의 요약
이하에 설명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제4, 제5실시예는 표시화면을 2개이상의 화면으로 분할하고(도22의 스텝SL10, 도27의 스텝SP12), 해당 분할된 화면중 1개이상의 화면에 제1의 안내경로정보를 표시하고(도22의 스텝SL12, 도27의 스텝SP14), 상기 제1의 안내경로정보를 표시한 화면이외의 1개 이상의 화면에 상기 제1의 안내경로정보와는 다른 제2의 안내경로정보를 표시하는(도22의 스텝SL12, 도27의 스텝SP14)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제4, 제5실시예는 미리 설정된 경로를 따라서 경로안내를 행하는(도5의 SA2 ∼ SA6) 네비게이션장치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경로와는 다른 경로를 탐색시키는 명령이 이루어지면(도22의 스텝SL4, 도22의 스텝SL28, 도27의 스텝SP6, 도27의 스텝SP32), 탐색을 실행하고(도22의 스텝SL8, SL26, 도27의 스텝SP10, SP30), 표시화면을 2개이상의 화면으로 분할하고(도22의 스텝SL10, 도27의 스텝SP12), 해당 분할된 화면중 1개이상의 화면에 제1의 안내경로정보로서 미리 설정된 경로의 정보를 표시하고(도22의 스텝SL12, 도27의 스텝SP14), 상기 제1의 안내경로정보를 표시한 화면이외의 1개이상의 화면에 제2의 안내경로정보로서 상기 제1의 안내경로정보와는 다른 경로의 정보를 표시하는(도22의 스텝SL12, 도27의 스텝SP14)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제5실시예는 미리 설정된 경로를 따라서 경로안내를 행하는(도5의 SA2 ∼ SA6) 네비게이션장치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경로에서 벗어나서 새로운 경로를 탐색시키는 명령이 이루어지면(도27의 스텝SP2, SP6), 탐색을 실행하고(도27의 스텝SP10), 표시화면을 2개이상의 화면으로 분할하고(도27의 스텝SP12), 해당 분할된 화면중 1개이상의 화면에 제1의 안내경로정보로서 미리 설정된 경로의 정보를 표시하고(도27의 스텝SP14), 상기 제1의 안내경로정보를 표시한 화면이외의 1개이상의 화면에 제2의 안내경로정보로서 탐색된 새로운 경로를 표시하는(도27의 스텝SP14)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장치.
또한, 상기 제1 및 제2의 안내경로정보는 차량의 출발지 또는 현재지위치부근에서 입력된 목적지 또는 지나는 길에 들르는 곳 부근까지의 탐색 또는 수신된 경로의 정보, 또는 차량이 이탈된 안내경로와 차량의 현재위치를 연결하는 경로의 정보(도22의 스텝SL8, SL26, 도27의 스텝SP10, SP30)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제4, 제5실시예는 탐색명령이 입력될때마다, 상기 제1의 안내경로정보 및 상기 제2의 안내경로정보가 다른 안내경로정보로 전환됨(도22의 스텝SL24, SL26, SL12, 도27의 스텝SP28, SP30, SP14)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예는 탐색명령이 입력될때마다, 상기 제1의 안내경로정보가 상기 제2의 안내경로정보로 됨과 동시에, 상기 제2의 안내경로정보에는 탐색 또는 수신된 새로운 경로의 정보로 됨(도22의 스텝SL24, SL26, SL12, 도27의 스텝SP28, SP30, SP14)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제4, 제5실시예는 상기 제1, 제2의 안내경로정보는 안내경로의 주요명칭, 및 통과점명칭, 및 안내경로의 전장(全長) 및 통과소용시간(도32, 도33)이라도 좋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제4, 제5실시예는 상기 제1, 제2의 안내경로정보의 하나가 선택되면, 해당 선택안내경로에 의한 안내가 개시됨과 동시에, 화면이 분할상태 또는 해당 선택안내경로만을 표시하는 단일화면으로 되는(도22의 스텝SL23, SL34, SL36, 도27의 스텝SP25, SP38, SP40)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제4, 제5실시예는 미리 설정된 경로를 따라서 경로안내를 행하는(도5의 SA2 ∼ SA6) 네비게이션장치에 있어서, 안내경로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와(도1의 화상메모리10, 디스플레이33), 해당 표시장치에 안내정보를 출력하는 표시처리수단과(도1의 화상프로세서9), 미리 설정된 경로와는 다른 경로를 탐색시키는 지시를 입력하는 입력수단과(도22의 스텝SL4, SL28, 도27의 스텝SP6, SP32), 상기 입력수단의 입력에 의해 경로를 탐색시키는 지시가 이루어지면, 미리 설정된 경로와는 다른 경로를 탐색하는 경로탐색수단(도22의 스텝SL8, SL26, 도27의 스텝SP10, SP30)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처리수단은 상기 경로탐색수단에 의해 미리 설정된 경로와는 다른 경로가 탐색되면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화면을 2개이상의 화면으로 분할하고(도22의 스텝SL10, 도27의 스텝SP12), 해당 분할된 화면중 1개이상의 화면에 미리 설정된 경로에 관한 제1의 안내경로정보를 표시하고(도22의 스텝SL12, 도27의 스텝SP14), 상기 제1의 안내경로정보를 표시한 화면이외의 1개이상의 화면에, 상기 제1의 안내경로정보와는 다른 경로에 관한 제2의 안재경로정보를 표시하는(도22의 스텝SL12, 도27의 스텝SP14)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제4, 제5실시예는 미리 설정된 경로를 따라서 경로안내를 행하는(도5의 SA2∼SA6) 네비게이션장치에 있어서, 안내경로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와(도1의 화상메모리10, 디스플레이33), 해당 표시장치에 안내정보를 출력하는 표시처리수단과(도1의 화상프로세서9), 미리 설정된 경로에서 차량이 벗어났음을 검출하는 경로이탈검출수단과(도27의 스텝SP2), 해당 경로이탈검출수단에 의해 자차량이 경로에서 벗어났음이 검출되면 새로운 경로를 탐색하는 경로탐색수단(도27의 스텝SP10)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처리수단은 상기 경로탐색수단에 의해 새로운 경로가 탐색되면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화면을 2개이상의 화면으로 분할하고(도27의 스텝SP12), 해당 분할된 화면중 1개이상의 화면에, 미리 설정된 경로에 관한 제1의 안내경로정보를 표시하고(도27의 스텝SP14), 해당 제1의 안내경로정보를 표시한 화면이외의 1개이상의 화면에 상기 경로탐색수단에 의해 탐색된 새로운 경로에 관한 제2의 안내경로정보를 표시하는(도27의 스텝SP14)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전체회로
도1은 본 발명에 관련된 네비게이션장치의 전체회로를 나타낸다. 중앙처리부1은 네비게이션장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 중앙처리부1은 CPU(중앙처리장치)2, 플래시메모리3, 제2ROM4, 제1RAM(Random Access Memory)5, 제2RAM6, 센서입력인터페이스7, 통신인터페이스8, 화상프로세서9, 화상메모리10, 음성프로세서11 및 시계14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각 CPU2 ∼ 시계14는 CPU로컬버스15에 의하여 상호 접속되어 있다. CPU2의 제어에 따라서, 각종 정보데이터의 접수가 플래시메모리3등의 각 디바이스사이에서 행해진다.
플래시메모리3는 전기적인 소거 및 기록이 가능한 메모리(EEPROM)등이다. 이 플래시메모리3(내부기억매체/수단)에는 정보기억부37(외부기억매체/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컴퓨터의 프로그램38b가 베껴기입된다(인스톨/전송됨). 또한, 플래시메모리3에는 외부장치에서 데이터송수신장치27를 통하여 송신되는 프로그램38b가 베껴기입되어 기억된다. 이 프로그램38b는 후술하는 각 플로우차트에 따른 프로그램 CPU2로 실행되는 각종 처리의 프로그램이다. 예를 들면, 이 프로그램38b는 정보의 표시제어와 음성안내제어등이다.
이 인스톨(전송/복사)은 정보기억부37을 본 네비게이션장치에 세트했을 때, 자동적으로 실행되며, 또는 본 네비게이션장치의 전원을 넣었을 때, 자동적으로 실행되며, 또는 조작자의 조작에 의하여 실행된다. 이 정보기억부37은 다른 정보기억부37과 교체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보다 새로운 또는 최신의 것으로 교체된다. 이 결과, 이 교환에 의하여 최신의 네비게이션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플래시메모리3에 기억되는 정보에는 네비게이션동작에서 사용되는 각종 파라미터등이 포함되어 있다. 제2ROM4에는 표시도형데이터 및 각종 범용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표시도형데이터란, 디스플레이33상에 표시되는 루트안내 및 지도표시에 필요한 각 데이터이다. 각종 범용데이터란, 안내음성용 합성 또는 육성을 녹음한 녹음파형데이터등의 네비게이션시에 사용되는 각 데이터이다.
제1RAM5에는 외부에서 입력된 데이터및 연산을 위하여 이용되는 각종 파라미터나 연산결과 및 네비게이션용 프로그램등이 기억된다. 즉, 제1RAM5은 캐시메모리등에도 이용된다. 시계14는 카운터 및 배터리 백업RAM 또는 EEPROM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시계14에서 시간정보가 출력된다.
센서입력인터페이스7는 A/D변환회로 또는 버퍼회로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센서입력인터페이스7에는 현재위치검출장치20의 각 센서가 접속되어 있다. 현재위치검출장치20의 각 센서에서 아날로그신호 또는 디지탈신호의 센서데이터가 센서입력인터페이스7에 입력된다. 이 현재위치검출장치20의 센서에는 절대방위센서21, 상대방위센서22, 거리센서23 및 속도센서24가 있다.
절대방위센서21은 예를 들면, 지자기센서이며, 지자기가 검출된다. 이 절대방위센서21에서 절대방위로 된 남북방향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출력된다. 상대방위센서22는 예를 들면, 광파이버자이로나 압전진동자이로등의 자이로장치를 이용한 조타각(操舵角)센서이다. 이 조타각센서에 의해, 차륜의 조타각이 검출된다. 그리고, 절대방위센서21에서 검출되는 절대방위에 대한 차량의 주행방향 상대각도가 상대방위센서22에서 출력된다.
거리센서23은 예를 들면 주행거리미터에 연동된 카운터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거리센서23에서는 차량의 주행거리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출력된다. 속도센서24는 차속미터에 접속된 카운터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속도센서24로 부터는 차량의 주행차속에 비례하는 데이터가 출력된다.
중앙처리부1의 통신인터페이스8에는 I/O데이터버스28이 접속되어 있다. 이 I/O데이터버스28에는 현재위치검출장치20의 GPS수신장치25, 비콘수신장치26 및 데이터송수신장치27이 접속되어 있다. 더욱이, 이 I/O데이터버스28에는 입출력장치30의 터치스위치34, 프린터35 및 정보기억부37가 접속되어 있다. 즉, 통신인터페이스8에 의해 각 부속장치와, CPU로컬버스15의 사이에서 각종 데이터의 접수가 행해진다.
현재위치검출장치20으로부터는 상술된 바와 같이, 차량의 현재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데이터가 출력된다. 즉, 절대방위센서21에서 절대방위가 검출된다. 상대방위센서22에서 이 절대방위에 대한 상대방위가 검출된다. 더욱이, 거리센서23에서 주행거리가 검출된다. 속도센서24에서 차량의 주행속도가 검출된다. GPS수신장치25에 의해 GPS(Global Positioning Sys tem)의 신호(복수의 지구주회궤도위성으로부터의 마이크로파)가 수신되며, 차량의 위도·경도등의 지리적인 위치데이터가 검출된다.
마찬가지로, 비콘수신장치26에 의해 VICS(도로교통정보통신시스템)등의 정보제공시스템으로부터의 비콘파가 수신된다. 그리고, 비콘수신장치26에서 근접도로정보데이터 또는 GPS의 보정데이터등이 I/O데이터버스28로 출력된다.
데이터송수신장치27에서는 셀룰러폰, FM다중신호, 전화회선등을 이용한 쌍방향식의 현재위치정보제공시스템 또는 ATIS(교통정보서비스)등과의 사이에서 현재위치정보 또는 차량근접의 도로상황에 관한 정보가 송수신된다. 이들 정보는 차량의 위치검출정보 또는 운행보조정보로서 이용된다. 또한, 이들 비콘수신장치26 및 데이터송수신장치27은 없어도 상관없다. 이 데이터송수신장치27은 라디오수신기, 텔레비젼수신기, 휴대전화, 호출기 또는 기타 무선통신기가 이용된다.
입출력장치30은 디스플레이33, 투명한 터치스위치34, 프린터35 및 스피커13으로 구성된다. 디스플레이33에는 네비게이션동작중에 안내정보가 표시된다. 터치스위치34는 디스플레이33의 화면상에 부착되며, 투명터치스위치(투명전극으로 구성된 접촉스위치 또는 압전스위치등이 있다)가 복수, 평면매트릭스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터치패널34로부터는 네비게이션장치에 대하여 출발지, 목적지, 통과지점등의 목적지설정에 필요한 정보가 선택되며, 입력된다.
프린터35에서는 통신인터페이스8을 통하여 출력되는 지도나 시설가이드등의 각종 정보가 인쇄된다. 스피커13에서는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각 정보가 전달된다. 또한, 프린터35는 없어도 좋다.
또한, 디스플레이33으로서는 CRT, 액정디스플레이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등의 화상정보를 표시가능한 것이 이용된다. 그러나, 소비전력이 적고, 시인성이 높고, 더욱이 경량인 액정디스플레이가 디스플레이33으로서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디스플레이33에 화면이 보다 넓은 와이드액정디스플레이가 이용된다.
또한, 이 디스플레이33은 분리할 수 있는 2장이상의 액정디스플레이로 구성해도 좋다. 그리고, 각 액정디스플레이는 각각 독립된 비디오신호케이블로 화상프로세서9와 접속되어 있다. 더욱이, 각 액정디스플레이는 각각 다른 위치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디스플레이33에 접속되는 화상프로세서9에는 DRAM (Dyna mic RAM) 또는 듀얼 포트DRAM등의 화상메모리10이 접속되어 있다. 화상프로세서9에 의하여 화상메모리10으로의 화상데이터의 기록제어가 행해진다. 더욱이, 화상프로세서9의 제어하에서, 화상메모리10에서 데이터가 판독되고 디스플레이33으로의 화면표시가 행해진다.
디스플레이33의 분할에 따라서 화상메모리10도 제1화면용과 제2화면용으로 분할된다. 이 분할형태에 따라서 화상메모리10의 각 화면메모리소자의 어드레스지정도 제1화면과 제2화면으로 분할된다.
또한, 화상프로세서9는 CPU2로부터의 묘화코멘드에 따라서 지도데이터 및 문자데이터를 표시용화상데이터로 변환하고, 화상메모리10에 기록한다. 이 때, 화상의 스크롤을 위하여 디스플레이33에 표시되는 화면주위의 화상도 형성되고 화상메모리10에 동시에 기록된다.
또한, 디스플레이33의 표시화면이 분할되었을 때에는 화상메모리10의 메모리영역도, 그 화면분할에 적합하도록 분할된다. 그리고, 화상메모리10이 분할된 각 메모리영역에 독립된 화상데이터가 기록된다.
스피커13에는 음성프로세서11이 접속되어 있다. 이 음성프로세서11은 CPU로컬버스15를 통하여 CPU2 및 제2ROM4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CPU2에 의하여 제2ROM4에서 판독된 안내음성용 음성파형데이터가 음성프로세서11에 입력된다. 이 음성파형데이터는 음성프로세서11에 의하여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되며, 스피커13에서 출력된다. 이 음성프로세서11 및 상기 화상프로세서9는 범용 DSP(디지탈시그널프로세서)등으로 구성되어도 상관없다.
I/O데이터버스28에는 데이터송수신부39를 통하여 정보기억부37이 접속되어 있다. 이 정보기억부37에는 디스크관리정보38a, 상술한 각 네비게이션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38b 및 지도정보등의 데이터38c가 기억되어 있다. 디스크관리정보38a에는 이 정보기억부37내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및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가 보존되어 있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38b의 버전정보등이다. 데이터38c에는 도로지도데이터등의 네비게이션동작에 필요한 데이터가 불휘발성적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 정보기억부37에는 I/O데이터버스28사이에서 데이터의 판독제어를 행하는 데이터송수신부3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기억부37로서는 CD-ROM등의 광메모리뿐만 아니라, 다음과 같은 디바이스를 이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IC메모리, IC메모리카드등의 반도체메모리, 광자기디스크, 하드디스크등의 자기메모리등의 기록매체라도 좋다. 또한, 데이터송수신부39는 정보기억부37의 기록매체가 변경된 경우, 그 변경된 기록매체에 적합한 데이터픽업이 구비된다. 예를 들면, 기록매체가 하드디스크이면, 코어 헤드등의 자기신호기록, 판독장치가 데이터송수신부39에 구비된다.
정보기억부37의 데이터38c는 네비게이션동작에 필요한 지도데이터, 교차점데이터, 노드데이터, 도로데이터, 사진데이터, 목적지점데이터, 안내지점데이터, 상세목적지데이터, 목적지읽기데이터, 가형(家形)데이터, 기타 데이터이다. 또한, 정보기억부37에 기억된 프로그램38b에 의해 데이터38c의 도로지도데이터를 이용하여 네비게이션동작이 실행된다. 또한, 이 네비게이션용 프로그램은 데이터송수신부39에 의하여 정보기억부37에서 판독되며, 플래시메모리3내에 기록된다. 기타 데이터에는 표시안내용데이터, 음성안내용데이터, 간략안내경로화상데이터등이 있다.
또한, 정보기억부37의 데이터38c에는 각각 다른 축척률의 지도데이터, 하나의 축척률의 지도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즉, 데이터38c에 동일지역의 지도로서, 게다가 각각 다른 축척률의 지도가 기록되어 있다. 또는 하나의 축척률의 지도데이터가 데이터38c에 기록되어 있다. 하나의 축척률의 지도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 그 축척률은 지도가 가장 크게 표시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하나의 지도데이터만이 데이터38c에 기록되어 있는 경우로, 디스플레이33에 축척률이 큰 지도(광역지도)를 표시하는 경우, 이 데이터38c에 기록된 지도데이터에서 정보가 인출되어 표시된다. 이 데이터38c의 지도데이터의 인출표시에 있어서는 각 도로등의 지리적거리가 작게 되는 것뿐만 아니라, 시설등의 표시기호정보의 인출도 행해진다.
3. 정보기억부37의 데이터38c의 데이터화일
도2는 정보기억부37의 데이터38c에 기억되어 있는 각 데이터화일의 내용을 나타낸다. 지도데이터화일F1에는 전국도로지도, 지방의 도로지도 또는 주택지도등의 지도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도로지도에는 주요간선도로, 고속도로, 좁은 도로등의 각 도로와 지상목표물(시설등)이 표시된다. 주택지도는 지상건조물등의 외형을 표시하는 도형 및, 도로명칭등이 표시되는 시가도이다. 좁은 도로란, 후술되는 도5의 경로탐색처리로 이용되지 않는 도로이다. 예를 들면, 도로폭이 소정치 이하인 좁은 도로이며, 더욱이, 국도 또는 지방도 이외의 시도 및 사설도로등이 좁은 도로가 된다.
교차점데이터화일F2에는 교차점의 지리적위치좌표나 명칭등의 교차점에 관한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노드데이터화일F3에는 지도상에서 경로탐색에 이용되는 각 노드의 지리좌표데이터등이 기억되어 있다. 도로데이터화일F4에는 도로의 위치와 종류 및 차선수 및 각 도로간의 접속관계등의 도로에 관한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사진데이터화일F5에는 각종시설이나 관광지, 또는 주요 교차점등의 시각적표시가 요구되는 장소를 찍은 사진의 화상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목적지데이터화일F6에는 주요관광지나 건물, 전화수첩에 기재되어 있는 기업·사업소등의 목적지가 될 가능성이 높은 장소나 시설등의 위치와 명칭등의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안내지점데이터화일F7에는 도로에 설치되어 있는 안내표시판의 내용이나, 분기점의 안내등의 안내가 필요시 되는 지점의 안내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상세목적지데이터화일F8에는 상기 목적지데이터화일F6에 기억되어 있는 목적지에 관한 상세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도로명칭데이터화일F9에는 상기 도로데이터화일F4에 기억되어 있는 도로중에서 주요 도로의 명칭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분기점명칭데이터화일F11에는 주요 분기점의 명칭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주요데이터화일F10에는 상기 목적지데이터화일F6에 기억되어 있는 목적지를 주소로부터 검색하기 위한 리스트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시외·시내국번리스트화일F12에는 상기 목적지데이터화일F6에 기억되어 있는 목적지의 시외·시내국번만의 리스트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등록전화번호데이터화일F13에는 사용자의 매뉴얼조작에 의하여 등록된 업무상의 거래처등 기억해 두고 싶은 전화번호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목표물데이터화일F14에는 사용자가 매뉴얼조작에 의하여 입력한 주행도상의 목표물이 되는 지점이나 기억해두고 싶은 장소의 위치와 명칭등의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지점데이터화일F15에는 목표물데이터화일에 기억되어 있는 목표물지점의 상세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시설데이터화일F16에는 주유소나 편의점 혹은 주차장등의 목적지이외에 지나는 길에 들르고 싶은 장소등의 목표물 위치나, 설명등의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4. RAM5의 데이터내용
도3은 RAM5내에 기억되는 데이터군의 일부를 나타낸다. 현재위치데이터MP는 현재위치검출장치(20)에 의하여 검출된다. 자차량의 현재위치를 표시하는 데이터이다. 절대방위데이터ZP는 남북방향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며, 절대방위센서(21)에서 정보에 의거하여 구해진다. 상대방위각데이터DO는 차량의 진행방향이 절대방위데이터ZP에 대하여 이루어지는 각도데이터이다. 이 상대방위데이터DO는 상대방위센서(22)에서 정보에 의거하여 구해진다.
주행거리데이터ML은 차량의 주행거리이며, 거리센서23으로부터의 데이터에 의거하여 구해진다. 현재위치정보PI는 현재위치에 관한 데이터이며, 비콘수신장치26 또는 데이터송수신장치27에서 입력된다. VICS데이터VD와 ATIS데이터AD는 비콘수신장치26 또는 데이터송수신장치27에서 입력되는 데이터이다. 이 VICS데이터VD를 이용하여 GPS수신장치25에서 검출되는 차량위치의 오차보정이 실행된다. 또는 ATIS데이터AD에 의해 지역의 교통규제, 교통혼잡상황이 판별된다.
등록목적지데이터TP는 사용자에 의하여 등록된다. 목적지의 좌표위치나 명칭등의 목적지에 관한 데이터가 기억된다. 안내개시지점데이터SP에는 네비게이션동작이 개시되는 지점의 지도좌표데이터가 기억된다. 마찬가지로, 최종안내지점데이터ED에는 네비게이션동작이 종료되는 지점의 지도좌표데이터가 기억된다.
또한, 안내개시지점데이터SP에는 차량의 현재지 또는 출발지에서 가장 가까운 안내도로상의 노드좌표가 이용된다. 이 안내개시지점데이터SP가 기억되는 이유는 현재위치데이터MP에 따른 차량의 현재지가 예를 들면, 골프 또는 주차장등의 대지내등이며, 반드시 안내도로상에 없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최종안내지점데이터ED도 등록목적지데이터TP에 가장 가까운 안내도로상의 노드좌표가 기억된다. 이 최종안내지점데이터ED가 기억되는 이유도 등록목적지데이터TP의 좌표가 안내도로상에 없는 일이 있기 때문이다.
RAM5에 기억되는 안내경로데이터MW는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 또는 추장되는 경로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며, 후술되는 스텝SA4의 경로탐색처리 또는 재탐색처리등으로 구해진다. 또한, 정보기억부37의 데이터38c에 기억된 도로지도내의 각 도로에는 고유의 도로넘버가 부여되어 있다. 이 안내경로데이터MW는 안내개시저점데이터SP에서 최종안내지점데이터ED까지의 도로넘버의 열로 구성된다.
모드세트데이터MD는 후술되는 목적지설정처리로 이용되는 데이터이다. 이 모드세트데이터MD는 디스플레이33상에 라미네이트적층된 터치스위치34에 의하여 설정된다. 이 모드세트데이터MD에 의해 디스플레이33상에 표시되는 모드내용이 특정된다. 지나는 길에 들르는 방문지DP는 안내경로도중에서 지나는 길에 들르는 시설등에 관한 정보이다.
화면상태GJ는 디스플레이33의 표시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즉, 후술되는 프로그램의 처리에 의하여 디스플레이33의 표시화면이 분할된다. 화면상태GJ의 데이터는 이 디스플레이33의 표시화면이 분할상태인지, 단일화면상태인지를 나타낸다. 따라서 디스플레이33의 표시상태가 전환될때마다 화면상태GJ의 데이터가 개서(改書)된다.
클로스포인트CSP는 후술되는 루트전방표시처리등에서 이용되는 데이터이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33의 화면이 분할표시되지만, 그 분할화면의 한쪽에 표시되는 안내경로에서의 단점(端点)의 지리좌표를 표시한다. 이 클로스포인트CSP를 시점으로서 분할된 다른쪽 화면에 안내경로가 표시된다.
제1화면의 축척WDA는 디스플레이33의 분할전 단일화면에 표시되는 축척도를 표시한다. 제2화면의 축척WDB는 디스플레이33의 분할후 화면으로서, 보조석에 의해 가까운 화면에 표시되는 지도의 축척도를 표시한다. 따라서, 제2화면은 편의상 분할화면의 조수석측의 화면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제3화면의 축척WDC는 분할후의 운전자에 가까운 화면에 표시되는 지도의 축척도를 표시한다. 즉, 제3화면은 분할화면의 운전자측의 화면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2화면이 분할된 화면의 운전자측의 화면으로서, 제3화면이 조수석측의 화면이라도 좋다.
수평거리XLM은 지정된 축척도에 의하여 디스플레이33의 화면에 표시되는 지도에서, 화면수평방향이 표시가능한 지리적직선거리를 표시한다. 마찬가지로, 수직거리YLM은 지정된 축척도에 의하여 디스플레이33의 화면에 표시되는 지도에서 화면의 수직방향이 표시가능한 지리적 직선거리를 표시한다.
포인트노드NDP는 후술되는 프로그램「표시가능범위산출처리」에서 이용되는 데이터이다. 구체적으로는 분할화면에 표시되는 안내경로의 화면끝에 표시되는 노드의 좌표치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5. 도로데이터
도4는 상기 정보기억부37에 기억되어 있는 도로데이터화일F4중의 도로데이터의 일부를 나타낸다. 이 도로데이터화일F4에는 지도데이터화일에 기억되어 있는 지역내에 존재하는 일정폭이상의 도로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 도로데이터화일F4에 포함되는 도로수를 n으로 하면, n개의 도로에 관한 도로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각 도로데이터는 도로넘버데이터안내대상플래그, 도로속성데이터, 형상데이터, 안내데이터, 길이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정보기억부37의 지도데이터애 포함되는 각 국도등이 최소단위로 분단된다. 그리고, 이 분단된 도로마다 부여된 식별번호가 도로넘버데이터이다. 도로데이터화일F4의 안내대상플래그에는 안내대상도로이면 "1", 비안내대상도로이면 "0"이 기억되어 있다. 또한, 안내대상도로는 지방도 이상의 주간도로나, 일반도로등의 소정폭이상, 예를 들면, 폭 5.5미터이상의 도로이며, 경로탐색대상이 되는 도로이다. 비안내대상도로는 논두렁 길, 골목길등의 소정폭이하, 예를 들면 폭5.5미터미만의 좁은 도로이고, 경로탐색의 대상이 되지 않는 도로이다. 또한, 안내대상도로는 지방도이상의 간선도로, 비안내대상도로는 지방도이하의 간선도로라고 설정해도 좋다.
도로속성데이터는 고가도로, 지하도, 고속도로, 유료도로등의 속성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형상데이터는 도로의 형상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에를 들면 도로의 시점 및 종점의 좌표데이터와, 시점에서 종점간에 있는 각 노드의 좌표데이터로부터 형상데이터는 구성된다.
안내데이터는 교차점명칭데이터, 주의점데이터, 도로명칭데이터, 도로명칭음성데이터 및 행선지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교차점명칭데이터는 도로의 종점이 교차점인 경우에, 그 교차점의 명칭을 표시하는 데이터이다. 주의점데이터는 건널목, 터널입구, 터널출구, 폭감소점등의 도로상의 주의점에 관한 데이터이다. 도로명칭음성데이터는 음성안내에 사용되는 도로명칭을 표시하는 음성데이터이다.
행선지데이터는 도로의 종점에 접속하는 도로(이를 행선지라 한다)에 관한 데이터이며, 행선지수k와, 행선지마다의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행선지에 관한 데이터는 행선지도로넘버데이터, 행선지명칭데이터, 행선지명칭음성데이터, 행선지방향데이터 및 주행안내데이터로 구성된다.
행선지도로넘버데이터에 의하여 행선지의 도로넘버가 나타난다. 행선지명칭데이터에 의하여 행선지의 도로 명칭이 나타난다. 행선지명칭음성데이터에는 이 행선지명칭을 음성안내하기 위한 음성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행선지방향데이터에 의해 행선지의 도로가 향해있는 방향이 나타난다. 주행안내데이터는 행선지의 도로에 들어가기 위하여 해당 도로에서 우차선으로 다가가거나, 좌차선으로 다가가거나, 중앙을 주행하는 것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데이터이다. 길이데이터는 도로의 시점에서 종점까지의 길이와, 시점에서 각 노드까지의 길이, 및 각 노드사이의 길이데이터이다.
6. 전체처리
도5는 본 발명에 관련된 네비게이션장치의 CPU2에 의하여 실행되는 전체처리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이 처리는 전원투입에 의하여 스타트하며, 전원오프(OFF)에 의해 종료된다. 이 전원투입 및 오프는 네비게이션장치의 전원자체가 온(ON)·오프(OFF)되거나, 또는 차량의 엔진 시동 키(이그니션 스위치)의 온·오프로 실행된다.
도5에서의 스텝SA1의 이니셜라이즈처리란 다음과 같은 것이다. 처음에, 정보기억부37에서 네비게이션용 프로그램이 판독된다. 판독된 네비게이션용 프로그램은 플래시메모리3에 복사된다. 이 후, 플래시메모리3의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더욱이, CPU2에 의하여 RAM5의 워크메모리, 화상메모리10등 각 RAM내의 범용데이터기억에어리어가 클리어된다.
또한, 플래시메모리3으로의 프로그램의 복사는 정보기억부37의 교환에 의하여 새로운 프로그램38b이 네비게이션장치에 세트되면 실행된다. 즉, 새로운 정보기억부37가 네비게이션장치에 처음으로 세트되었을 때만, 플래시메모리3으로의 프로그램의 복사가 실행된다.
그리고, 현재위치처리(스텝SA2), 목적지설정처리(스텝SA3), 경로탐색처리(스텝SA4), 안내·표시처리(스텝SA5) 및 기타 처리(스텝SA6)가 사이크릭에 실행된다. 또한, 목적지설정처리(스텝SA3) 및 경로탐색처리(스텝SA4)는 목적지의 변경, 또는 경로로부터의 자차량의 이탈등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중복하여 실행되지 않는다.
상기 현재위치처리(스텝SA2)에서는 본 네비게이션장치가 적재된 지상이동체인 차량의 지리좌표(위도, 경도 및 고도)가 검출된다. 즉, GPS수신장치25에 의하여 지구의 둘래를 주회하고 있는 복수의 위성에서 전파가 수신된다. 이 각 위성으로부터의 전파에 의해, 각 위성의 좌표위치, 위성에서의 전파발신시간 및 GPS수신장치25에서의 전파수신시간이 검출된다. 이들 정보에서 각 위성과의 거리가 연산에 의하여 구해진다. 이 각 위성과의 거리에서 차량의 지구표면에서의 좌표위치가 구해진다. 이 구해진 차량의 좌표위치는 현재위치데이터MP로서 RAM5에 기억된다. 또한, 이 현재위치데이터MP는 비콘수신장치26 또는 데이터송수신장치27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의하여 수정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현재위치처리(스텝SA2)에서, 절대방위데이터ZP와, 상대방위각데이터DO와, 주행거리데이터ML이 절대방위센서21, 상대방위센서22 및 거리센서23를 이용하여 구해진다. 이들 절대방위데이터ZP와, 상대방위각데이터DO 및 주행거리데이터ML로부터 차량위치를 특정하는 연산처리가 행해진다. 이 연산처리에 의하여 구해진 차량위치는 정보기억부37의 데이터38c에 기억되는 지도데이터와 조합되어, 지도화면상의 현재위치가 정확히 표시되도록 보정이 행해진다. 이 보정처리에 의하여 터널내 등의 GPS신호를 수신할 수 없을 때라도 차량의 현재위치가 정확히 구해진다.
목적지설정처리(스텝SA3)에서는 사용자가 희망하는 목적지의 지리좌표가 등록목적지데이터TP로서 세트된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33상에 표시되는 도로지도 혹은 주택지도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목적지의 좌표가 지정된다. 또한, 디스플레이33상에 표시되는 목적지의 항목별리스트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목적지가 특정된다. 이 사용자에 의한 목적지지정조작이 행해지면, 목적지의 지리좌표등의 정보데이터가 등록목적지데이터TP로서 RAM5에 기억된다.
경로탐색처리(스텝SA4)에서는 안내개시지점데이터SP에서, 최종안내지점데이터ED까지의 최적 경로가 탐색된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최적 경로란, 예를 들면, 최단시간 또는 최단거리로,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는 경로, 또는 보다 넓은 도로를 우선적으로 사용하는 경로등이다. 또는 고속도로를 사용하는 경우, 그 고속도로를 사용하고 최단시간 또는 최단거리로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는 경로등이다.
상기 안내개시지점데이터SP에는 현재위치데이터MP와 같은 데이터가 세트되거나, 또는 현재위치데이터MP에 가까운 안내대상도로의 노드데이터가 세트된다. 또한, 차량의 현재주행위치가 안내경로에서 벗어난 경우에는 이 벗어난 현재위치에서 최종안내지점까지의 최적 경로가 자동적으로 재탐색되는 오토 리루트모드가 있다. 오토 리루트모드가 세트되어 있지 않으면, 경로의 재탐색은 행해지지 않는다. 또한, 상기 안내경로는 지나는 길에 들르는 곳이 설정된 경우, 그 지나는 길에 들르는 곳을 경유한 경로가 탐색되는 일도 있다.
안내·표시처리(스텝SA5)에서는 상기 경로탐색처리(스텝SA4)에서 구해진 안내경로가 차량의 현재위치를 중심으로서 디스플레이33에 표시된다. 또한, 이 디스플레이33에 표시되는 안내경로는 표시지도상에서 식별가능하도록 표시된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33에 표시되는 지도상에서 안내경로만이 다른 색으로 표시된다. 더욱이, 이 안내경로에 따라서 자차량이 양호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도로의 안내정보가 스피커13에서 발음된다. 마찬가지로 각종 안내정보가 디스플레이33에 수시로 표시된다. 또한, 안내경로를 표시하기 위한 화상데이터는 정보기억부37에 있는 데이터38c의 현재위치주변의 도로지도데이터나, 또는 현재위치주변의 주택지도데이터가 이용된다.
이 도로지도데이터와 주택지도데이터의 전환은 다음 조건에 의하여 행해진다. 예를 들면, 현재위치에서 안내지점(목적지, 지나는 길에 들르는 곳 또는 교차점등)까지의 거리, 차량의 속도, 표시가능한 에어리어의 대소, 또는 조작자의 스위치조작등에 의해 전환된다. 더욱이, 안내지점(목적지, 지나는 길에 들르는 곳 또는 교차점등)부근에서는 이 안내지점부근의 확대지도가 디스플레이33상에 표시된다. 또한, 도로지도대신에 지리적정보의 표시가 생략되며, 안내경로와 목적지 또는 지나는 길에 들르는 곳의 방향과 현재위치등의 필요 최소한의 정보만이 표시된다.
더욱이, 지도등의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33의 화면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조작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2분할된다. 그리고, 두개의 화면은 각각 독립된 조작에 의해 각종 안내정보 및 도로정보가 표시된다.
스텝SA5의 안내·표시처리 후, 기타 처리(스텝SA6)가 실행된다. 이 스텝SA6의 「기타 처리」에서는 주변시설처리가 실행되는 경우가 있다. 이 주변시설처리란, 상기 등록목적지데이터TP이외의 지나는 길에 들르는 곳(시설등)이 검색·지정되는 처리이다. 이 지나는 길에 들르는 곳에 관한 데이터는 디스플레이33에 표시되는 지도 또는 각 항목정보등을 이용하여 정해진다. 이 주변시설처리는 상기 스텝 SA3의 목적지설정처리와 같이 행해진다.
더욱이, 기타 처리에는 예를 들면, 차량의 주행위치가 산출된 안내경로를 따라서 있는지의 여부 판단이 행해진다. 또한, 조작자의 스위치조작에 의한 목적지의 변경명령이 입력되었는지의 판단등도 행해진다. 스텝SA6의 처리가 끝나면, 재차 현재위치처리(스텝SA2)로부터 처리가 되풀이된다. 또한, 차량이 목적지에 도달했을 경우에도, 경로의 안내·표시처리가 종료되며, 재차 스텝SA2에 처리가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스텝SA2 ∼ 스텝SA6까지의 처리가 차례로 되풀이된다.
7. 제1실시예의 안내·표시처리
이 안내·표시처리란, 안내경로에 따라서 차량을 주행시키기 위한 정보통지처리이다. 즉, 스텝 SA4 에 의하여 안내경로가 탐색된다. 이 탐색된 안내경로가 디스플레이33에 표시된다. 더욱이, 그 표시되는 안내경로는 항상, 차량이 화면중앙이 되도록 표시된다. 또한, 안내경로에서의 좌우회전해야할 지점에 관한 정보가 수시로 통지된다. 이와 같이, 안내경로를 따라서 양호하게 차량이 주행할 수 있도록, 각종 정보가 수시로 통지 또는 표시되는 처리가 안내·표시처리이다.
도6은 본 실시에에서 행해지는 안내·표시처리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내는 도이다. 처음으로, 디스플레이33의 표시화면이 분할상태인지가 판단된다(스텝SB2). 표시화면의 분할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33의 표시화면이 횡방향으로 긴 경우에는 거의 화면중앙을 경계로 하여 좌우의 2화면으로 분할된다. 그리고, 각 분할화면 개개에 독자 지도가 표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33의 분할화면의 조수석측 화면을 제2화면으로 하고, 운전석측 화면을 제3화면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우핸들 방법의 차에서는 디스플레이33를 향하여 좌측의 화면이 제2화면이다. 역으로, 좌핸들방법의 차에서는 디스플레이33의 우측 화면이 제2화면이다.
스텝SB2의 처리에 의하여 화면이 분할상태라고 판단되면, 화면분할해제요구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스텝SB4). 이 해제요구의 명령은 터치스위치34의 특정스위치를 누름으로서 입력된다. 또한, 터치스위치34를 대신하여 디스플레이33의 화면하부에 설치된 푸시스위치등을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화면분할해제요구가 있으면, 서브루틴의 「단일화면표시처리」가 실행된다(스텝SB6). 이 단일화면처리에서는 분할전의 제1화면의 축척률을 근거로, 디스플레이33의 화면전체에 지도가 표시된다. 이 「단일화면표시처리」에 관해서는 나중에 상세히 설명한다. 단일화면표시처리가 종료되면, 서브루틴의 「기타 안내·표시처리」가 실행된다(스텝SB8). 이 스텝SB8에서는 차량이 주행하는 안내경로에 관한 각 정보가 수시로, 표시 또는 통지된다.
「기타 안내·표시처리」의 처리가 종료되면, 도5의 「전체처리」의 플로우차트에 처리가 복귀된다. 한편, 스텝SB4에서, 화면분할해제요구가 없으면, 서브루틴의 「제3화면의 표시처리가」가 실행된다(스텝SB14). 이 「제3화면의 표시처리」에 관해서는 후술된다.
또한, 상기 스텝SB2에 있어서, 디스플레이33의 표시화면이 분할상태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화면분할요구가 입력되었는지가 판단된다(스텝SB10). 이 화면분할요구도 터치스위치34에 설정된 특정스위치를 누름으로써 입력된다.
화면분할요구가 없는 경우는 스텝SB8의 「기타 안내·표시처리」가 실행된다. 그러나, 화면분할요구가 있으면, 서브루틴의 「화면분할처리」가 실행된다(스텝SB12). 이 「화면분할처리」에서는 디스플레이33의 표시화면이 화면중앙을 경계로서 2화면으로 분할표시된다. 그리고, 각 분할화면에 각각 독립된 지도 혹은 안내정보가 표시된다. 이 「화면분할처리」에 관해서는 나중에 상세히 기술된다.
스텝SB12의 「화면분할처리」가 실행되면, 더욱이 서브루틴「제3화면의 표시처리」가 실행된다(스텝SB14). 이 「제3화면의 표시처리」에서는 제3화면에 표시되는 정보가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서 전환되는 처리가 행해진다. 이 「제3화면의 표시처리」에 관해서는 후술된다.
스텝SB14의 「제3화면의 표시처리」가 종료되면, 루트,전방표시모드가 조작자에 의하여 선택되었는지가 판단된다(스텝SB16). 루트전방표시모드가 선택되면, 서브루트의 「루트전방표시처리가」가 실행된다(스텝SB18). 이 「루트전방표시처리」에서는 제3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안내경로의 상단(클로스포인트CSP)에 이어지는 안내경로를 제2화면에 표시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이 「루트전방표시처리」에 관해서는 나중에 상세히 기술된다.
스텝SB18의 「루트전방표시처리」가 종료되면, 스텝SB8의 「기타 안내·표시처리」가 실행된다. 그리고, 도5의 「전체처리」의 플로우차트로 처리가 복귀된다.
한편, 스텝SB16에 있어서, 루트전방표시모드가 선택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전 루트표시모드가 선택되었는지가 판단된다(스텝SB20). 이 전 루트표시모드의 선택은 터치스위치34에 설정된 특정스위치를 누름으로서 입력된다. 전 루트표시모드가 선택되면, 서브루트의 「전 루트(전방)표시처리」 가 실행된다(스텝SB22). 전 루트표시모드가 선택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SB8의 「기타 안내·표시처리」가 실행된다.
상기 「전 루트(전방)표시처리」에서는 제3화면에 표시된 안내경로의 상단에 접속하며, 또한, 목적지까지의 안내경로가 제2화면에 표시되는 처리가 실행된다. 또한, 이 서브루틴「전 루트(전방)표시처리」에 관해서는 나중에 상세히 기술된다. 이 전 루트(전방)표시처리 후, 스텝SB8의 「기타 안내·표시처리」가 실행된다. 그 후, 도5의 「전체처리」의 플로우차트로 처리가 복귀된다.
8. 단일화면표시처리
도7은 「단일화면처리」의 서브루틴을 나타내는 도이다. 이 단일화면처리에서는 디스플레이33 분할상태의 화면이 단일화면으로 되돌아가는 처리가 실행된다. 처음에, RAM5의 화면상태GJ가 판독된다(스텝SH2). 이 화면상태GJ는 분할상태에서의 제3화면에 표시되어 있던 지도의 표시상태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분할상태의 제3화면에 좁은 도로를 포함하는 지도가 표시되어 있던 경우, 그 표시상태를 표시하는 정보가 RAM5에 화면상태GJ로서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이 화면상태GJ에 의거하여 분할이 해제된 화면에 지도가 표시된다. 따라서, 분할시의 제3화면에 좁은 도로를 포함하는 지도가 표시되어 있던 경우, 분할해제후의 제1화면에는 좁은 도로를 포함하는 지도가 표시된다. 또한, 제1화면이란, 분할상태가 아닌 디스플레이33의 화면전체를 의미한다.
따라서, 판독된 화면상태GJ에 의해 제3화면에 표시되어 있던 지도에 좁은 도로가 포함되어 있는지가 판단된다(스텝SH4). 좁은 도로가 포함되어 있으면, RAM5의 「제3화면의 축척WDC」가 판독된다(스텝SH6). 그리고, 화면상태GJ에 의거한 지도로서, 축척WDC의 지도가 디스플레이33의 화면전체에 표시된다(스텝SH8). 즉, 좁은 도로를 포함하는 지도가 분할해제후의 제1화면에 표시된다.
한편, 제3화면에 좁은 도로를 포함하는 지도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 RAM5의 「제1화면의 축척WDA」가 판독된다(스텝SH10). 그리고, 화면상태GJ에 의거한 지도로서 축척WDA의 지도가 디스플레이33의 화면전체에 표시된다(스텝SH12). 또한, 분할시에서의 제3화면에 간략도가 표시되어 있던 경우, 그 표시상태가 화면상태GJ에 기억되어 있다. 따라서, 분할해제후의 제1화면에는 이 간략도가 표시된다.
스텝SH8 또는 스텝SH12에 의하여 디스플레이33의 화면분할이 해제되면, 플로우차트는 도6의 안내·표시처리로 복귀된다.
9. 화면분할처리
도8은 도6의 서브루틴「화면분할처리」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이 화면분할처리에서는 디스플레이33의 화면전체가 분할되며, 제2화면, 제3화면이 형성된다. 또한, 이 화면분할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디스플레이33에 표시되는 화상데이터는 화상메모리10에 기록된다. 그래서 화상메모리10의 메모리영역이 분할화면에 대응하여 분할된다. 그 분할된 화상메모리10의 각 메모리영역에 각각 다른 지도정보가 화상프로세서9에 의하여 기록된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33의 표시화면은 두개로 분할된다. 게다가, 각 화면에는 다른 지도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화면의 분할위치는 본 발명에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33의 거의 화면중앙으로 한다.
화면분할처리의 처음으로, 제1화면, 즉 분할전의 화면 표시상태가 검출된다(스텝SC2). 검출된 표시상태에 의해 제1화면에 좁은 도로를 포함하는 도로지도가 표시되어 있는지가 판단된다(스텝SC4). 제1화면에 좁은도로를 포함하는 지도가 표시되어 있으면 화면분할후의 제2화면(조수석측 화면)에 좁은 도로를 제외하는 도로지도가 표시된다(스텝SC6). 그리고, 화면분할후의 제3화면(운전자석측 화면)에 제1화면과 같은 표시상태의 도로지도가 표시된다(스텝SC8). 여기에서는 좁은 도로를 포함하는 도로지도가 제3화면에 표시된다.
한편, 화면분할전의 제1화면에 좁은 도로를 포함하지 않는 도로지도가 표시되어 있던 경우, 제2화면(조수석측 화면)에 좁은 도로를 포함하는 도로지도가 표시된다(스텝SC18). 그리고, 제3화면에 좁은 도로를 포함하지 않는 도로지도가 표시된다(스텝SC20).
이와 같이 분할된 화면의 제2화면에는 분할전의 화면과 다른 상태의 지도가 표시된다. 그리고, 분할된 화면의 제3화면에는 분할전 화면과 같은 상태의 지도가 표시된다.
이 후, 제3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도로지도의 표시상태가 RAM5에 화면상태GJ로서 기억된다(스텝SC10). 이 도로지도의 표시상태란, 좁은 도로를 포함하는 도로지도가 제3화면에 표시되어 있으면, 그 상태를 표시하는 데이터가 화면상태GJ에 세트된다. 또한, 이 화면상태GJ에 세트되는 기타 데이터에는 간략도표시상태 또는 좌우회전방향만을 나타내는 도의 표시상태등이 있다.
또한, 제3화면에 간략도이외의 도로지도가 표시되면, 그 화면끝에서 표시가 끊어지는 안내경로의 지리좌표가 검출된다. 그리고, 검출된 지리좌표치는 RAM5에 클로스포인트CSP로서 기억된다(스텝SC12). 또한, 이 클로스포인트CSP는 안내경로 차량의 현재지 보다 앞쪽으로, 더욱이, 제3화면의 표시지도상에서 끊어지는 안내경로중의 지점이다.
그리고, 분할전 제1화면의 축척도가 RAM5에 「제1화면의 축척WDA」로서 기억된다(스텝SC14). 더욱이 이 「제1화면의 축척WDA」의 데이터가 RAM5에 「제2화면의 축척WDB」 및 「제3화면의 축척WDC」로서 복사된다(스텝SC16). 이는 디스플레이33의 표시화면이 분할직후로서, 제2화면, 제3화면모두, 같은 축척의 지도가 표시되어 있는 것에 의한다. 따라서, 제2화면, 제3화면 각각의 축척도가 변경되면, 각 축척WDB, WDC의 값은 변경된다.
축척WDB, WDC에 축척WDA의 데이터가 복사되면, 도6의 안내·표시처리로 플로우차트가 복귀된다.
도9는 디스플레이33에 표시되는 지도의 분할전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즉, 제1화면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즉, 제1화면의 모습을 나타낸다. 기호100은 차량의 현재위치와, 주행방향을 나타낸다. 이 화면104에는 주요간선도로102만이 표시되어 있다. 기호130은 절대방위의 북쪽을 나타낸다. 이 기호130의 수치132는 화면104에 표시되어 있는 지도의 축척을 표시한다. 이 도9에서는 축척이 1/400인 것이 수치(132)에 의하여 풀린다.
도10은 도9에 나타내는 디스플레이33의 표시화면104가 좌우로 2분할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10의 기호112는 차량의 현재위치와, 주행방향을 나타낸다. 제2화면108에는 주요간선도로102와, 좁은도로116이 표시된다. 또한, 제3화면110에는 주요간선도로102만이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3화면에는 분할전 제1화면과 같은 표시상태의 도로지도가 표시된다.
도10의 기호134,138은 절대방위의 북쪽을 나타낸다. 수치136은 제2화면의 축척도를 나타낸다. 수치140은 제3화면의 축척도를 나타낸다. 수치136이 표시하는 정보가 「제2화면의 축척WDB」에 기억된다. 수치140이 표시하는 정보가 「제3화면의 축척WDC」에 기억된다.
또한, 상기 화면의 분할처리에서는 제2화면에 제3화면과 다른 표시상태의 지도가 표시되지만, 제3화면과 같은 상태의 지도가 제2화면에 표시되어 있어도 좋다.
10. 제3화면표시처리
도11은 도6의 「제3화면표시처리」의 서브루틴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제3화면표시처리」에서는 제3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도로지도의 축척변경의 처리등이 실행된다.
처음에, 차량의 현재위치와, 안내경로에서의 다음 좌우회전점의 거리가 소정치이내인지가 판단된다(스텝SD2). 즉, 주행되는 자차량이 안내경로 다음의 좌우회전점에 접근했는지가 판단된다. 차량과 다음 좌우회전점과의 거리가 소정치이내이면, 제3화면에 차량의 직진방향에 대한 좌우회전방향을 나타내는 간략도가 표시된다(스텝SD4).
제3화면에 좌우회전방향을 나타내는 간략도가 표시되면, 이 제3화면의 지도표시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RAM5에 화면상태GJ로서 기억된다(스텝SD22). 이 후, 처리는 도6의 플로우차트로 복귀된다.
또한, 차량과 다음 좌우회전점과의 거리가 소정치이내가 아니면, 제3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지도의 축척변경요구가 있는지가 판단된다(스텝SD6). 축척변경요구가 있다면, 변경된 그 축척률의 지도가 제3화면에 표시된다. 더욱이, 그 변경된 축척도가 RAM5에 「제3화면의 축척WDC」로서 기억된다(스텝SD8). 또한, 축척의 변경은 터치스위치34에 설치된 특정스위치의 조작에 의하여 행해진다. 이 지도의 축척변경전의 제3화면에 좁은 도로를 포함하는 도로지도가 표시되어 있던 경우, 좁은 도로를 충분히 표시할 수 없는 축척도로 변경되면, 좁은 도로를 제외한 도로지도가 제3화면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축척변경요구에 따른 처리가 종료되면, 다음으로 차량의 주행속도가 소정치(시속OKm(정지) 또는 수Km(미속))이하인지가 판단된다(스텝SD10). 차속이 소정치이하의 서행 또는 정지상태이면, 제3화면에 좁은 도로를 포함하는 도로지도가 표시된다(스텝SD12). 또한, 차속이 소정치이하가 아니면, 제3화면에 좁은 도로를 제외하는 도로지도가 표시된다(스텝SD14).
이 후, 차량이 소정거리이동되었는지가 판단된다(스텝SD16). 소정거리이동되어 있으면, 서브루틴의 「화면스크롤처리」가 실행된다(스텝SD18). 이 화면스크롤처리에서는 차량의 현재위치가 제3화면의 중앙이 되도록 지도가 스크롤 표시된다.
화면의 스크롤처리가 실행된 후(스텝SD18)나, 또는 차량이 소정거리이동해 있지 않은 경우(스텝SD16), 제3화면에 표시된 안내경로의 화면끝에서의 지도좌표가 검출된다(스텝SD20). 즉, 제3화면에 표시되는 안내경로는 화면끝에서 표시가 끊어져 있다. 그래서, 그 화면끝에서 끊어지는 안내경로상의 지점이 검출된다. 이 검출된 지점의 좌표치가 클로스포인트CSP로서 RAM5에 기억된다.
그리고, 제3화면의 지도표시상태를 표시하는 데이터가 화면상태GJ로서 RAM5에 기억된다(스텝SD22). 이 후, 처리는 도6의 안내·표시처리로 복귀된다.
11. 루트전방표시처리
도12는 도6의 안내·표시처리에서의 서브루틴 「루트전방표시처리」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이 루트전방표시처리에서는 제3화면에 표시된 안내경로에 이어지는 나머지 안내경로가 제2화면에 표시된다.
처음에, 제2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지도가 루트전방표시상태인지가 판단된다(스텝SE2). 루트전방표시상태가 아니면, 전방표시요구가 명령되었는지가 판단된다(스텝SE12). 이 전방표시요구는 터치스위치34에 설치된 특정 스위치가 조작됨에 의하여 입력된다.
전방표시요구가 없으면(스텝SE12), 이 「루트전방표시처리」가 종료되며, 도6의 안내·표시처리로 처리가 되돌아간다. 한편, 전방표시요구가 있으면(스텝SE12), 서브루틴 「표시가능범위산출처리」가 실행된다(스텝SE8).
또한, 스텝SE2에 있어서, 제2화면이 전방표시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축척변경요구가 있는지가 판단된다(스텝SE4). 축척변경요구가 없으면, 서브루틴 「표시가능범위산출처리」가 실행된다(스텝SE8). 역으로, 축척변경요구가 있으면, RAM5의 「제2화면의 축척WDB」의 데이터값이 변경된다(스텝SE6). 또한, 이 축척변경의 처리도 터치스위치34에 설치된 특정스위치의 조작에 의하여 행해진다.
서브루틴 「표시가능범위산출처리」는 후술된다. 이 표시가능범위산출처리에 의하여 포인트노드NDP가 구해진다. 그리고, 이 포인트노드NDP 및 클로스포인트CSP를 이용하여 안내경로가 제2화면에 표시된다. 또한, 포인트노드NDP는 상기 축척WDB에 의하여 표시가능한 안내경로의 단점(端点)의 지리좌표치이다.
즉, 축척WDB에 의하여 표시가능한 지도상에 클로스포인트CSP로부터 포인트노드NDP까지의 안내경로가 표시된다. 이 포인트노드NDP가 서브루틴 「표시가능범위산출처리」에 의하여 검출된다.
클로스포인트CSP 및 포인트노드NDP의 각 동경좌표치의 중간점이 제2화면의 중앙수직선상에 거의 위치함과 동시에, 클로스포인트CSP가 화면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안내경로를 포함하는 도로지도가 제2화면에 표시된다(스텝SE10). 이와 같이 하여 제2화면에 제3화면에 표시된 안내경로를 제외한 나머지 안내경로가 표시되면, 처리는 도6의 안내·표시처리로 되돌아간다.
12. 표시가능범위산출처리
도13은 도12에서의 서브루틴 「표시가능범위산출처리」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처음에 축척WDB에 의하여 제2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지도의 지리적범위가 산출된다(스텝SF2). 즉, 축척WDB의 지도가 제2화면에 표시되었을 때, 화면상에 표시되는 지도의 화면수평방향의 직선거리가 산출된다. 그리고, 이 표시가능한 화면수평방향의 직선거리가 수평거리XLM으로서 RAM5에 기억된다. 마찬가지로, 표시가능한 화면수직방향의 직선거리가 수직거리YLM으로서 RAM5에 기억된다.
이어서, 스텝SF6 ∼ SF10의 처리가 스텝SF12의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되풀이된다. 이들 처리는 안내경로의 클로스포인트CSP를 시점으로서, 제2화면에 안내경로를 효과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처리이다. 즉, 클로스포인트CSP를 기점으로한 경우, 축척WDB에 의하여 표시가능한 안내경로의 원격점은 상기 수평거리XLM 및 수직거리YLM으로 구성되는 긴쪽 권(圈)내에 있다.
그래서, 안내경로상의 각 노드의 좌표치가 클로스포인트CSP를 하나의 정점으로 하여, 또한, 수평거리XLM 및 수직거리YLM으로 둘러싸는 사각형내에 있는지가 차례로 조사된다. 따라서, 스텝SF4의 회수치N의 값은 클로스포인트CSP를 시점으로 하는 안내경로상의 제N번째의 노드를 나타낸다. 그리고, 「1」마다 인크리먼트되는 회수치N에 의거하여 스텝SF4 ∼ SF22의 각 처리가 되풀이 실행된다.
회수치N이 「1」에 간격XN이 「0」으로 초기설정된다. 더욱이, 수평위치XP에 클로스포인트CSP의 동경좌표치가 기억된다(스텝SF4). 이어서, 클로스포인트CSP에 이어지는 안내경로의 제N번째의 노드 좌표치가 도로데이터화일F4및 노드데이터화일F3에서 판독된다. 판독된 노드의 좌표치는 포인트노드NDP로서 RAM5에 기억된다(스텝SF6). 이 포인트노드NDP의 북위값에서 클로스포인트CSP의 북위값이 감산된다. 이 감산 결과가 수직치YM으로서 RAM5에 기억된다(스텝SF8).
더욱이, 포인트노드NDP의 동경치에서 상기 수평위치XP의 값이 감산된다. 그리고, 그 감산치의 절대치가 수평치XM으로서 RAM5에 기억된다(스텝SF10). 이어서, 수평치XM이 간격XN보다 큰지가 판단된다(스텝SF12). 수평치XM이 간격XN보다 크면, 간격XN에 수평치XM의 값이 대입된다(스텝SF14).
한편, 수평치XM이 간격XN이하의 경우, 수평위치XP에 안내경로의 제(N-1)번째의 노드의 동경치가 기억된다(스텝SF20). 그리고, 간격XN이 0으로 클리어된다(스텝SF22). 이들 스텝SF12, SF20, SF22는 안내경로가 동경방향으로 만곡(灣曲)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기 위하여 행해진다.
즉, 제2화면의 하단에 클로스포인트CSP가 표시되면, 안내경로가 동경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던 경우, 그 만곡부분을 포함한 안내경로가 효율 좋게 제2화면에 표시되어야만 한다. 그래서, 안내경로의 만곡부분을 새로운 기점(수평위치XP)으로서, 안내경로의 표시가능단(端)인 포인트노드NDP가 차례로 검색된다.
이어서, 상기 스텝SF8, SF10에 의하여 구해진 수평치XM 및 수직치YM과, 각 수평거리XLM및 수직거리YLM의 대소비교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XM > XLM ‥‥ (A)
0 > YM > YLM ‥‥ (B)
즉, 수평치XM이 수평거리XLM보다 큰지 작은지가 식(A)에 의하여 판단된다. 또한, 수직치 YM이 「0」보다 작은지 또는 수직거리YLM보다 큰지 작은지가 식(B)에 의하여 판단된다.
이 식(A) 또는 (B)중 어느것인가가 플러스라면, 스텝SF6 ∼ SF22의 일련의 처리가 종료된다. 그리고, 도12의 루트전방표시처리가 복귀된다. 그러나, 식(A), (B)중 모두 아니라면, 회수치N이 「1」가산되고, 안내경로의 다음 노드에 관한 처리가 실행된다(스텝SF18).
이상 스텝SF6 ∼ SF22의 처리에 의해, 포인트노드NDP에는 클로스포인트CSP를 시점으로 한 안내경로로서, 제2화면에 효율좋게 표시되는 안내경로의 단점의 좌표치가 기억된다.
또한, 제2화면에 표시되는 안내경로는 클로스포인트CSP부분의 안내경로가 화면의 수치방향을 향하도록 설정된다.
도14는 도12의 루트전방표시처리에 의하여 제2화면에 안내경로의 전방부분이 표시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제3화면110에 표시되는 안내경로146의 클로스포인트CSP에, 제2화면의 안내경로144가 접속된다. 그리고, 제2화면에 축척WDB에 의하여 안내경로144를 포함하는 도로지도가 표시되었을 때, 안내경로상의 지점으로서, 유효표시가능한 지점이 포인트노드NDP이다. 또한, 안내경로의 동경방향의 만곡부148가 도13의 스텝SF12 ∼ SF22에 의하여 검출된다. 즉, 스텝SF22에서 수평위치XP에 새롭게 기억되는 동경치는 이 만곡부148의 좌표이다.
13. 전 루트(전방)표시처리
도15는 도6에서의 전 루트(전방)표시처리의 서브루틴을 나타낸다. 이 전 루트(전방)표시처리에서는 제3화면에 표시되는 안내경로의 표시도절(途絶)포인트인 클로스포인트CSP에 이어지는 나머지 안내경로로서, 더욱이 목적지까지의 안내경로전체가 제2화면에 표시된다. 게다가, 이 전 루트(전방)표시처리에서는 표시축척의 변경이 가능하다. 즉, 잔존안내경로를 포함하며, 보다 넓은 범위의 도로지도가 표시가능하게 된다.
처음에 제2화면에 전 루트가 표시되었는지가 판단된다(스텝SG2). 제2화면에 전 루트가 표시되어 있으면 축척변경요구가 이루어졌는가가 판단된다(스텝SG4). 이 축척변경의 처리는 터치스위치34에 설치된 특정스위치가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됨으로써 실행된다.
축척변경이 요구되면, 축척WDB의 값이 변경된다(스텝SG6). 그리고, 그 변경된 축척WDB에 의해 지도가 제2화면에 표시된다(스텝SG8). 또한, 이 축척이 작아 져서, 클로스포인트CSP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안내경로가 제2화면전체에 표시할 수 없는 경우, 도12의 루트전방표시처리와 같은 처리가 실행된다. 즉, 제2화면에 가장 효율좋게 안내경로가 표시되도록, 안내경로의 표시위치의 조정이 실행된다.
또한, 축척변경요구가 없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스텝SG4), 도15의 처리가 종료되며, 도6의 안내·표시처리로 처리가 복귀된다. 또한, 제2화면의 표시상태가 전 루트표시상태가 아니면(스텝SG2), 전 루트표시요구가 입력되었는지가 판단된다(스텝SG10). 이 전 루트표시요구는 터치스위치34에 설정된 특정스위치를 조작함으로서 입력된다.
전 루트표시요구가 없다면, 도15의 처리가 종료되며, 도6의 안내·표시처리로 처리가 복귀된다. 한편, 전 루트표시요구가 입력되면, 다음 처리가 실행된다. 클로스포인트CSP로부터 최종안내지점데이터ED까지의 안내경로에서의 각 노드의 좌표치에서, 위도, 경도 각각의 최대치, 최소치가 검출된다(스텝SG12). 이 위도, 경도 각각의 최대치 및 최소치 사이의 지리적인 간격을 제2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축척이 구해진다(스텝SG14). 이 축척산출에는 미리 구해진 수치변환테이블이 이용되어도 좋다.
구해진 축척에 의해 제2화면에 안내경로를 포함하는 도로지도가 표시된다(스텝SG16). 더욱이, 스텝SG14에서 구해진 축척이 「제2화면의 축척WDB」로서 RAM5에 기억된다(스텝SG18). 이 후, 스텝SG4이후의 축척변경처리가 실행된다.
도16은 이 전 루트(전방)표시처리에 의하여 클로스포인트CSP에서 목적지(152)까지의 안내경로가 제2화면(108)에 표시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이와 같이, 전 루트(전방)표시처리에서는 제3화면의 안내경로의 끝인 클로스포인트CSP보다 앞선 안내경로전체가 제2화면에 표시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화면분할이 지시되면, 주행중에서 보다 중요한 지도정보가 제3화면에 표시된다. 게다가, 비교적 중요성이 낮은 지도정보가 제2화면에 표시된다. 중요한 지도정보란, 안내경로주행중에서 운전자에게 있어서 보다 필요성이 높은 정보를 의미한다. 즉, 안내경로를 주행중에서 자차량이 좌우회전하는 교차점에 접근했을 때, 그 좌우회전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정보가 안내경로전체에 관한 정보 보다 중요하다. 그래서, 좌우회전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정보가 제3화면에 표시된다.
그리고, 중요성이 비교적 적은 도로정보가 제2화면에 표시된다. 여기에서는 안내경로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도로지도가 제2화면에 표시된다. 또한, 차량이 좌우회전점에 접근해 있지 않은 경우는 좁은 도로를 포함하는 지도와, 좁은 도로를 포함하지 않는 지도중 어느 화면에 표시시키는 가를 자동적으로 처리하고 있다. 즉, 차속이 일정치 이상이면, 좁은 도로를 포함하는 도로지도는 운전자에게 있어서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그래서, 주요간선도로만 도로지도가 제3화면에 표시됨과 함께, 좁은 도로를 포함하는 도로지도가 제2화면에 표시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의 제3화면은 디스플레이33의 표시면의 우측으로 했다. 우측핸들방법의 차에서는 운전자측에 가까운 분할화면이 제3화면이다. 즉, 제3화면이란, 운전자에게 보다 가까운 분할화면이다. 따라서, 좌측핸들의 차에서는 디스플레이33의 좌측의 분할화면이 제3화면이 된다.
즉, 분할화면표시가 선택되었을 때, 운전자에게 보다 가까운 화면에 보다 중요성이 높은 안내정보가 우선하여 표시된다. 그리고, 조수석측의 화면에 보조적인 안내경로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 제3화면에 헤딩업 지도가 표시되었지만, 이를 노스업 지도가 표시되도록 해도 좋다. 헤딩업이란, 차량의 주행방향이 항상 화면의 윗쪽이 되도록 지도가 표시되는 상태이다. 노스업이란, 절대방향인 북쪽이 항상 화면의 윗쪽이 되도록 지도가 표시된 상태이다.
도17은 디스플레이33의 화면에 표시되는 간략도를 나타낸다. 화면104에는 절대방위(지자기의 북쪽)를 표시하는 기호120과, 차량의 현재위치를 나타내는 기호126과, 목적지의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시122와, 목적지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문자정보열124가 표시된다. 이와 같은 간략도가 제1 ∼ 제3화면중 어느 것인가에 표시되어도 좋다.
또한, 이 간략도는 도17의 것에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차량의 주행방향이 항상 화면104의 윗쪽이 되도록 표시되어도 좋다. 이 경우, 절대방위를 표시하는 기호120은 상대방위각데이터Dθ에 따라서 화면104 위에서 회전된다.
도18은 화상메모리10과 디스플레이33의 사이에 삽입되는 상기 화상프로세서9의 회로구성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 도18의 회로는 디스플레이33의 화면이 도10과 같이 분할된 경우에도 이용된다. 화상메모리10의 출력은 팔레트RAM204와 팔레트RAM208에 병렬접속되어 있다. 즉, 같은 화상데이터가 팔레트RAM204와 팔레트RAM208에 입력된다. 팔레트RAM204의 출력은 디지탈스위치214의 단자222에 접속된다. 팔레트RAM208의 출력은 스위치214의 단자224에 접속된다. 스위치214의 출력은 디지탈/아날로그변환기(DAC)218에 접속되어 있다.
DAC218에서 출력된 아날로그신호의 비디오신호는 디스플레이33의 표시제어회로에 입력된다. 또한, 디스플레이33의 표시제어회로에서는 액정디스플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각종 제어신호가 생성된다. 화상메모리10에는 화상프로세서9의 제어신호202가 입력된다. 디지탈스위치214의 전환제어신호216은 화상프로세서9에 의하여 생성된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지만, 팔레트RAM204,208에는 화상프로세서9의 다른 회로가 접속되어 있으며, 변환테이블데이터가 기록된다. 즉, 팔레트RAM204에 기록되는 변환테이블데이터와, 팔레트RAM208에 기록되는 변환테이블데이터는 다르다. 또한, 이 변환테이블데이터의 상위(相違)부분은 좁은 도로의 표시색에 관한 데이터이다. 예를 들면 팔레트RAM204의 변환테이블에는 좁은 도로가 화면의 배경색과 다른 색으로 표시되는 데이터가 기억된다. 한편, 팔레트RAM208의 변환테이블에는 좁은 도로가 화면과 동일색 또는 근사색(近似色)이 되는 데이터가 기억된다.
기타, 지도표시물의 색은 각 팔레트RAM204의 변환테이블에서 거의 동일시된다. 이와 같은 회로에서, 화상메모리10에서 판독된 디지탈의 화상데이터는 시리얼/패럴렐(parallel)변환된 후, 각 팔레트RAM204, 208의 어드레스단자에 입력된다. 팔레트RAM204, 208에서 출력되는 디지탈의 색신호는 스위치214에 입력된다. 스위치214의 전환제어는 화상프로세서9에 의하여 행해진다. 이 전환은 제2화면108과 제3화면110의 분할부분에서 행해진다. 즉, 제2화면108의 화상데이터가 화상메모리10에서 판독되어 있을 때는 스위치214가 팔레트RAM204측으로 전환된다. 이에 의해, 팔레트RAM204에서 출력된 색신호가 DAC218에 입력된다.
또한, 제3화면110의 화상데이터가 화상메모리10으로부터 판독되어 있을 때는 스위치214가 팔레트RAM208측으로 전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팔레트RAM204의 변환테이블에는 좁은 도로를 표시하는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팔레트RAM208의 변환테이블에는 좁은 도로가 표시되지 않는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1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2화면108에서는 좁은 도로가 화면상에 표시되며, 제3화면110에서는 좁은 도로가 표시되지 않는다.
또한, 도18에서는 팔레트RAM204, 208이 각각 하나밖에 표시되어 있지 않지만, 이들 팔레트RAM은 레드, 그린, 블루의 3가지의 팔레트RAM으로 구성되어 있다.
14. 제2실시에의 안내·표시처리
도19는 본 발명에서의 안내·표시처리의 제2실시에의 플로우차트이다. 본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33의 표시화면이 분할된다. 그리고, 분할된 한쪽의 화면에 노스업화면이 다른쪽의 화면에 헤딩업화면이 표시된다. 노스업화면에서는 지자기의 북쪽이 항상 화면의 윗쪽이 되도록 지도가 표시된다. 헤딩업화면에서는 차량의 주행방향이 항상 화면의 윗쪽을 향하도록 지도가 표시된다.
도19의 처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처음에, 약도표시선택이 사용자에 의하여 명령되었는가가 판단된다(스텝SK2). 이 약도표시의 명령은 터치스위치34의 특정스위치를 누름으로서 입력된다.
약도표시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33의 화면전체에 약도가 표시된다(스텝SK16). 이 약도는 상기 제1실시예와 같으며, 도17에 나타나 있다. 약도표시의 선택이 없는 경우(스텝SK2), 분할화면표시가 명령되었는지가 판단된다(스텝SK4). 이 분할화면표시의 명령도 터치스위치34의 소정스위치가 온(ON)됨으로서 입력된다. 분할화면표시가 선택되지 않으면, 스텝SK18의 기타 안내·표시처리가 실행된다. 이 스텝SK18에서는 차량이 주행하는 안내경로에 관한 각 정보가 수시로 표시 또는 통지된다. 이 후, 도19의 안내·표시처리의 서브루틴이 종료된다.
한편, 분할화면표시가 선택되면(스텝SK4), 제1화면의 표시상태가 검출된다(스텝SK6). 이 제1화면이란, 디스플레이33의 분할전 화면을 의미한다. 즉, 디스플레이33 전체에 표시되어 있는 지도의 모습이 검출된다. 표시되어 있는 지도의 모습이란, 디스플레이33에 표시되어 있는 지도의 표시상태를 의미한다. 즉, 노스업화면이나, 헤딩업화면중 어느것인가에 의해 디스플레이33에 지도가 표시되어 있는지가 판단된다.
제1화면, 즉 디스플레이33의 분할전의 화면에 헤딩업의 지도가 표시되어 있던 경우(스텝SK7), 제2화면에 노스업의 지도가 표시된다(스텝SK8). 더욱이, 제3화면에 헤딩업 지도가 표시된다(스텝SK10). 이 후, 기타 안내·표시처리가 실행된다(스텝SK18). 그리고, 도19의 서브루틴이 종료된다. 도19의 서브루틴이 종료되면, 처리는 도5의 메인처리로 되돌아간다.
또한, 디스플레이33의 분할전 화면에 헤딩업 지도가 표시되어 있지 않을 때는(스텝SK7), 제2화면에 헤딩업 지도가 표시된다(스텝SK12). 더욱이, 제3화면에 노스업 지도가 표시된다(스텝SK14). 즉, 화면의 분할전에 표시되어 있던 지도가 항상 제3화면에 표시된다. 그리고, 제2화면에는 제3화면과 쌍이 되는 표시상태의 지도가 표시된다. 이 후, 기타 안내·표시처리가 실행된다(스텝SK18). 그리고, 도19의 서브루틴이 종료된다. 도19의 서브루틴이 종료되면, 처리는 도5의 메인처리로 되돌아간다.
또한, 제2화면 및 제3화면은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33의 화면이 분할되어 설치된다. 즉, 운전자측에게 보다 가까운 분할화면이 제3화면이며, 조수석측에 가까운 분할화면이 제2화면이다.
도20은 본 제2실시예에 의한 분할화면의 모습을 나타낸다. 또한, 제1화면, 즉, 디스플레이33의 분할전 화면은 도9에 나타나 있다. 즉, 분할전에서는 헤딩업 지도가 표시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상태에서 화면의 분할이 지시되면, 제2화면108에는 노스업 지도가 표시된다. 즉, 제2화면108의 절대방위를 나타내는 기호120이 화면 윗쪽을 향한다. 게다가, 차량의 주행방향을 나타내는 기호100이 횡방향으로 된다.
또한, 제3화면110에는 헤딩업 지도가 표시된다. 즉, 차량의 주행을 나타내는 기호100이 화면 윗쪽을 향하게 된다. 이 제3화면110에서의 북쪽 방위는 기호122가 나타나도록 화면의 왼쪽방향이 된다.
15. 제3실시예의 안내·표시처리
도21은 본 발명에서의 안내·표시처리의 제3실시예의 플로우차트이다. 본 제3실시예에서는 제2실시예와 같은 처리에는 동일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본 제3실시예에는 디스플레이33의 표시화면이 분할된다. 그리고, 분할된 한쪽 화면에 분할전에 표시되어 있던 지도가 그대로 표시된다. 다른쪽 화면에는 약도가 표시된다.
도21의 처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처음에, 약도표시선택이 사용자에 의하여 명령되었는지가 판단된다(스텝SK2). 이 약도표시의 명령은 터치스위치34의 특정스위치를 누름으로서 입력된다.
약도표시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33의 화면전체에 약도가 표시된다(스텝SK16). 이 약도는 상기 제1실시예와 같으며, 도17에 나타나 있다. 약도표시의 선택이 없는경우(스텝SK2), 분할화면표시가 명령되었는지가 판단된다(스텝SK4). 이 분할화면표시의 명령도 터치스위치34의 소정 스위치가 온(ON)됨으로서 입력된다. 분할화면표시가 선택되지 않으면 스텝SK18의 기타 안내·표시처리가 실행된다. 이 스텝SK18에서는 차량이 주행하는 안내경로에 관한 각 정보가 수시로 표시 또는 통지된다. 이 후, 도21의 안내·표시처리의 서브루틴이 종료된다.
한편, 분할화면표시가 선택되면(스텝SK4), 제1화면의 표시상태가 검출된다(스텝SK6). 이 제1화면이란,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33의 분할전 화면을 의미한다. 제1화면, 즉 디스플레이33의 분할전 화면에 헤딩업 지도가 표시되어 있던 경우(스텝SK7), 제2화면에 헤딩업 지도가 표시된다(스텝SK20). 더욱이, 제3화면에 도17의 간략도가 표시된다(스텝SK24). 이 후, 기타 안내·표시처리가 실행된다(스텝SK18). 그리고, 도21의 서브루틴이 종료된다. 도21의 서브루틴이 종료되면 처리는 도5의 메인처리로 되돌아간다.
또한, 디스플레이33의 분할전 화면에 헤딩업 지도가 표시되어 있지 않을 때는(스텝SK7), 제2화면에 노스업 지도가 표시된다(스텝SK22). 더욱이, 제3화면에는 도17과 같은 간략도가 표시된다(스텝SK24). 즉, 화면의 분할전에 표시되어 있던 지도가 항상 제2화면에 표시된다. 그리고, 제3화면에는 목적지의 방향등 필요최소한의 안내정보가 표시된다. 이 후, 기타 안내·표시처리가 실행된다(스텝SK18). 그리고, 도21의 서브루틴이 종료된다. 도21의 서브루틴이 종료되면, 처리는 도5의 메인처리로 되돌아간다.
또한, 제2화면 및 제3화면은 상기 제1, 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33의 화면이 분할되어 설치된다. 즉, 운전자측에게 보다 가까운 분할화면이 제3화면이며, 조수석측에 가까운 분할화면이 제2화면이다.
16. 제4실시예의 안내·표시처리
도2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안내·표시처리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해당 실시예에서는 최초로 요구된 안내경로외에 조작자(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별도의 안내경로가 새롭게 탐색된다. 그리고, 그 요구된 새로운 안내경로와, 먼저 요구된 안내경로가 두개의 분할화면상에서 각각 표시된다. 또한, 더욱이 탐색이 지시되면, 재차 별도의 안내경로가 탐색된다. 그리고, 새롭게 탐색된 안내경로가 한쪽 화면에 표시되면, 다른 안내경로가 다른 화면으로 표시된다. 이에 의해, 분할화면에서 본래의 경로와 새로운 경로, 혹은 복수의 별도 경로를 각각 비교할 수 있다. 이 경로의 비교에 의해 조작자의 희망에 합치된 안내경로의 선택이 가능해진다.
도22의 플로우차트를 설명한다. 처음에 디스플레이33의 화면이 분할상태인지가 판단된다(스텝SL2). 분할상태라면, 각 화면에 독자적으로 탐색된 각각의 안내경로가 표시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재탐색조작이 명령된 후, 조작자에 의한 안내경로의 결정이 행해지지 않으면, 1번, 도22의 처리가 종료되며, 도5의 메인처리로 흐름이 되돌아간다. 그리고, 재차 도22의 서브루틴이 콜되면, 직전에 수행되어 있던 처리가 재차 되풀이된다. 즉, 재탐색조작이 조작자에게 명령되어도, 안내경로의 결정이 입력되지 않으면, 도22의 서브루틴전체가 되풀이되어 실행된다. 게다가, 조작자에 의한 안내경로의 결정조작이 행해질때까지 디스플레이33의 분할화면상태가 유지된다.
화면분할상태가 아니면(스텝SL2), 다른 루트의 탐색개시명령이 입력되었는지가 판단된다(스텝SL4). 이 다른 루트의 탐색개시명령은 디스플레이33에 표시된 「재탐색」, 「다른루트」등의 아이콘이 조작자에게 있어서 터치되었는가에 의하여 판단된다. 즉, 디스플레이33의 화면에 「재탐색」등의 아이콘이 표시된다. 이 아이콘표시부분을 조작자가 터치했는지가, 디스플레이33의 표시면에 설치된 터치스위치34에 의하여 검지된다.
「재탐색」등의 아이콘이 터치되지 않고, 즉, 다른 루트탐색이 지시되지 않는 경우는 「기타 안내·표시처리」가 실행된다(스텝SL38). 이 「기타 안내·표시처리」에서는 최초로 구해진 안내경로 또는 선택된 재탐색안내경로를 차량이 양호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각종 음성정보 및 화상정보가 통지된다. 그 후, 도22의 안내·표시처리가 종료되며, 도5의 전체처리로 플로우차트가 되돌아간다.
한편, 다른 루트탐색조작이 있으면(스텝SL4), 루트수N가 1로 초기설정된다(스텝SL6). 이 루트수N은 탐색된 안내경로의 수를 의미한다. 그리고, 다른 루트탐색조작이 있으면, 차량의 현재위치에서 등록목적지까지의 안내경로가 새롭게 탐색된다(스텝SL8). 이 스텝SL8에서 탐색되는 안내경로는 도5의 경로탐색처리(스텝SA4)에서 탐색된 안내경로와는 다르다.
이 스텝SL8의 다른 루트탐색에서는 도5의 경로탐색처리와 같은 처리가 행해진다. 즉, 정보기억부37에 기록되어 있는 각 도로데이터 및 교차점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의 현재위치에서 최종안내지점까지 이어지는 경로가 탐색된다. 예를 들면, 차량이 안내대상도로상에 존재한 경우, 그 안내대상도로의 종점의 교차점이 도로데이터 및 교차점데이터에서 검색된다. 그리고, 그 교차점이 시점이 되는 각 도로에서, 목적지방향에 의해 가까운 다음 교차점으로, 최단거리로 진행되는 도로가 탐색된다. 이와 같이, 목적지방향에 존재하는 교차점으로 진행되며, 게다가, 거리가 보다 짧은 도로가 차례로 선택되어 안내경로가 탐색된다.
여기에서, 안내경로의 탐색처리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도로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면 두개의 분기점간(교차점등)을 연결하는 접속도로를 1단위로 하고, 정보기억부37에 기억되어 있다(도4). 각 도로의 정보에는 그 도로의 길이데이터와, 그 도로의 방향등을 표시하는 형상데이터와, 그 도로의 종별등을 표시하는 도로속성데이터등이 포함된다. 그래서, 이들 데이터값에 대하여 도로의 길이로 환산하는 탐색코스트가 정의된다. 예를 들면, 도로의 도로폭이 넓을수록, 탐색코스트의 값이 작아지도록 설정된다. 즉, 도로의 차선수가 3차선이면 「10」의 탐색코스트가 부여된다. 역으로, 차선수가 1이면 「30」의 탐색코스트가 부여된다. 따라서, 도로의 폭이 크면 탐색코스트가 작고, 좁으면 탐색코스트가 크게 된다.
마찬가지로, 도로속성데이터, 형상데이터등에 대해서도 탐색코스트가 정의된다. 이 도로의 행선지방향(지리적 방향)은 이 도로에 연결되어 있던 본래의 도로데이터에 포함되는 행선지방향데이터로 판별된다. 그래서, 이 행선지방향데이터에 의한 도로의 방향이 목적지방향을 향해 있을 수록, 탐색코스트가 작아지도록 설정된다. 또한, 지방도, 시도, 국도등에 의해서도 탐색코스트가 정의되어도 좋다. 즉, 보다 일반적인 도로가 우선선택되도록 탐색코스트가 정의되어도 좋다.
또한, 이 탐색코스트의 계산은 미리 정의된 수치산출용테이블이 이용된다. 상기 차선수의 경우, 3차선으로 탐색코스트 「10」, 1차선으로 탐색코스트「30」과 같은 수치대응표(이하 테이블이라 호칭한다)가 미리 정보기억부37 또는 ROM(4)에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도로의 속성, 행선지방향등 각각의 값에 대한 탐색코스트가 각각의 테이블에 의하여 구해진다. 이 구해진 탐색코스트의 종합이 해당 도로의 종합적 탐색코스트(이하 종합탐색코스트)로 된다. 또한, 도로의 길이에 관해서는 직접, 탐색코스트로서 이용해도 좋으며, 길이에 계수를 승산해도 좋다. 즉, 도로의 길이에 의하여 일의적으로 정해지는 계수치가 그 길이 값으로 승산되어, 길이의 탐색코스트로 된다. 또한, 이 계수도 수치대응표(테이블)에 의하여 산출되도록 해도 좋다. 즉, 도로의 길이에 따라서 일의적으로 정의되는 계수의 대응표가 정보기억부37 또는 ROM4에 기록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로의 길이가 10km 이하라면 계수 「1.0」이 부여된다. 그리고, 길이의 탐색코스트가 10 × 1.0 = 10이 된다. 마찬가지로, 10km보다 길고, 20km이하의 도로라면, 계수 「3.0」이 부여되도록 한다. 이 도로의 길이 탐색코스트는 20 × 3.0 = 60 이 된다. 이와 같이 도로의 길이에 따른 계수가 차례로 부여된다. 이에 의해, 거리의 장단에 의한 탐색코스트의 대소비교가 용이해 진다. 또한, 이들의 값은 1예로서, 본원 발명은 이 수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의 탐색코스트산출을 계산식을 이용하여 행해지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 각 도로의 종합탐색코스트가 산출된다. 그리고, 하나의 탐색개시점(노드 또는 교차점)에 이어지는 도로가 복수 있는 경우는 각 도로의 종합탐색코스트가 구해진다. 그리고, 그때까지 탐색된 경로의 각 도로의 종합탐색코스트의 누산치에 이 구해진 각 도로의 종합탐색코스트값이 각각 별도로 가산된다. 그리고, 보다 작은 종합탐색코스트의 누산치가 되는 도로가 최적경로로서 선택된다.
이 선택된 도로에 이어지는 도로도 마찬가지로 종합탐색코스트의 누산치가 가장 작은 도로가 선택된다. 즉, 종합탐색코스트가 누산치가 보다 작아지도록 도로가 차례로 선택된다. 이와 같이 하여 탐색된 출발지(안내개시점)에서 목적지(안내종료점)까지 연속하는 도로가 안내경로데이터MW로서 RAM(4)에 기억된다. 또한, 상기의 경우, 목적지 방향을 향한 도로로, 더욱이 보다 도로폭이 넓은 도로가 우선적으로 선택되게 된다.
또한, 탐색코스트에는 각 도로끼리가 교차점을 좌우회전하여 접속되는 경우에 보다 커지도록 되어도 좋다. 즉, 안내경로에는 교차점에서의 좌우회전을 극력배제하는 도로가 선택되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교차점에서 신호기의 존재유무 또는 교차점의 호칭유무등에 의하여 탐색코스트가 증감하도록 정의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신호기가 없는 교차점에는 신호기가 있는 교차점 보다 탐색코스트값이 커지도록 설정된다. 이에 의해, 보다 조건이 좋은 교차점이 안내경로의 교차점으로서 우선적으로 선택된다.
또한, 상기 탐색코스트의 설명에서는 조건이 보다 좋은 도로의 종합탐색코스트가 작아지도록 설정되었지만, 역으로 조건이 좋은 도로의 종합탐색코스트가 커지도록 설정되어도 좋다. 즉, 보다 짧은 도로의 탐색코스트값이 커지도록, 길이의 값에 승산되는 계수치가 역비례로 설정되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도로폭이 보다 넓은 도로의 탐색코스트가 커지도록 설정된다.
예를들면, 도로의 길이가 10km이하라면 계수 「3.0」이 부여된다. 그리고, 길이의 탐색코스트가 10 × 3.0 = 30이 된다. 마찬가지로, 10km보다 길고, 20km이하의 도로라면, 계수 「0.1」이 부여되도록 한다. 이 도로의 길이 탐색코스트는 20 × 0.1 = 2 가 된다. 이와 같이 길이기 짧은 도로의 탐색코스트가 크게 된다.
또한, 경로탐색에서, 차량이 안내대상도로상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차량에 의해 가까운 안내대상도로상의 노드가 선택된다. 즉, 차량의 현재위치에서 소정거리권내에 있는 안내대상도로의 노드가 선택된다. 더욱이, 이 차량에 가까운 안내대상도로의 노드가 복수있었던 경우는 그 복수의 노드에서 보다 목적지에 가까운 노드가 안내개시지점으로 된다. 스텝SL8(도22)의 다른 루트탐색에 있어서도 차량의 현재위치가 안내대상도로상에 없는 경우는 근접 안내대상도로상의 노드가 탐색개시점이 된다. 이는 도5의 경로탐색처리(스텝SA4)와 같은 처리이다.
또한, 상기 스텝SL8에 있어서는 도5의 경로탐색처리에서 탐색된 안내경로 또는 현재안내중인 안내경로의 도로가 새로운 안내경로에 극력선택되지 않은 처리가 실시된다. 예를 들면 이전의 탐색처리에서 구해진 안내경로에 이미 사용되어 있는 도로의 탐색조건에 새로운 탐색코스트가 부가된다. 즉, 도5의 경로탐색처리에서 탐색된 안내경로를 구성하는 각 도로에 예를 들면 탐색코스트「50」의 수치를 여분으로 가산한다. 이에 의해, 안내경로로서 이미 사용되어 있는 도로의 선택조건이 나빠진다. 결과적으로, 새로운 안내경로의 탐색에서 이 도로의 선택이 곤란해진다.
이와 같이 스텝SL8에서 탐색된 새로운 안내경로가 제N번째의 안내경로로서 RAM5에 기억된다. 이 새로운 안내경로가 탐색되면, 디스플레이33의 표시화면이 좌우로 분할된다(스텝SL10). 이 화면분할처리에서는 디스플레이33의 화면이 생략된 중앙을 경계로 하여 좌우로 2분할된다. 그리고, 표시화면을 향하여 좌측 화면이 제2화면이 된다. 우측 화면은 제3화면이 된다.
그리고, 제2화면에 상기 스텝SL8에서 탐색된 제N번째의 안내경로가 표시된다(스텝SL12). 제3화면에는 제(N-1)번째의 안내경로가 표시된다(스텝SL12). 여기에서의 제(N-1)번째의 안내경로란, 도5의 경로탐색처리에서 탐색된 최초의 안내경로 또는 현재안내중인 경로이다. 즉, N-1=0이다. 이 N=0의 경로란, 최초로 탐색된 경로 또는 주행도중에서 재탐색되며, 현재안내중인 경로이다. 예를 들면, N=0의 경로에는 네비게이션시스템에 의한 안내개시전의 목적지등이 설정된 시점에서 탐색되는 경로가 있다. 또는 도22의 안내·표시처리에 의하여 재탐색되며, 선택된 새로운 안내경로이다. 즉, 루트수N=0의 경로란, 현재안내중인 경로가 해당한다.
단, 안내경로의 재탐색이 되풀이되어 조작자에 의하여 명령된 경우는 최신 안내경로가 제2화면에 표시되며, 직전에 탐색된 하나의 오래된 안내경로가 제3화면에 표시된다.
제2화면, 제3화면에 각각 안내경로가 표시되면, 디스플레이33의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 「RETURN」이 눌려졌는지가 판단된다(스텝SL16). 이 아이콘 「RETURN」이 눌려졌는가는 터치스위치34의 온·오프에 의하여 판단된다.
「RETURN」, 즉 복귀키가 온되면, 제2화면 및 제3화면에 표시되는 안내경로가 각각 하나전 안내경로가 된다. 그런데, 도22의 안내·표시처리의 별도 루트탐색명령이 되풀이되면, N개의 안내경로가 탐색된다. 그리고, 상기 복귀키가 눌려지기 직전에는 제2화면에 최신의 제N번째의 안내경로가 표시되어 있으며, 제3화면에는 제(N-1)번째의 안내경로가 표시되어 있다.
이 상태로 복귀키가 눌려지면, 제2화면에는 제(N-1)번째의 안내경로가 제3화면에는 제(N-2)번째의 안내경로가 각각 표시된다. 즉, 복귀키가 눌려지면, 디스플레이33의 표시처리가 하나전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들 일련처리가 스텝SL12 ∼ SL20에 의하여 행해진다.
즉, 루트수N의 값이 1감산된다(스텝SL18). 그리고, 스텝SL18의 처리에 의하여 루트수N의 값이 1보다 작어졌는지가 판단된다(스텝SL20). 루트수N의 값이 「1」보다 작은 경우, 재차 스텝SL12로 되도아가서 처리가 실행된다. 특 제2화면에 하나전에 탐색된 안내경로가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제3화면에는 두개전에 탐색된 안내경로가 표시된다.
역으로, 루트수N의 값이 「1」보다 작으면, N=0의 안내경로보다 오래된 탐색경로는 아니다. 그래서, 도5의 경로탐색처리로 탐색된 최초의 경로, 또는 안내처리가 실행되어 있던 현재의 경로가 선택된다(스텝SL22). 이 경우, 화면의 표시도 분할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분할전에 표시되어 있던 지도가 축척을 변경하지 않고 표시된다(스텝SL23). 이 후, 기타 안내·표시처리가 행해지며(스텝SL38), 도22의 안내·표시처리가 한번 종료된다.
또는 루트수N이 「1」보다 작아진 경우(스텝SL22,23), 최초로 재탐색된 다른 루트가 제2화면에, 본래의 경로가 제3화면에 표시된 상태가 유지되어도 좋다. 이 경우, 제2, 제3화면중 어느 경로가 선택된 시점에서 화면분할이 해제되면 된다.
또한, 화면분할상태에서, 도22의 안내·표시처리의 서브루틴이 콜되었을때에도, 스텝 SL16의 처리가 행해진다. 즉, 화면의 분할표시상태에서 복귀키가 눌려졌는지, 또는 후술되는 루트결정키가 눌려졌는지가 판단된다. 별도 루트탐색이 1번 명령되면, 디스플레이33의 화면은 분할상태로 된다. 그 분할상태에서, 제2화면 또는 제3화면의 안내경로가 조작자에 의하여 선택되지는 않는지, 또는 루트수N=0이 될때까지 「RETURN」키가 되풀이되어 눌려지지않으면, 그 분할상태가 계속된다.
그러나, 안내경로가 선택되거나, 또는 루트수N=0이 될때까지 「RETURN」이 되풀이되어 눌려지면, 그 분할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결정된 안내경로에 의한 안내처리가 실행된다. 또한, 도22의 안내·표시처리는 차량이 최종안내지점에 도달할때까지 되풀이하여 실행된다. 단, 다른 루트의 탐색명령은 차량이 정지 또는 서행상태가 아니면 허가되지 않는다.
스텝SL16에 있어서, 복귀키, 즉 「RETURN」키의 온이 검출되지 않으면, 별도 루트키가 눌려졌는지가 판단된다(스텝SL28). 즉, 디스플레이33에 표시된 아이콘 「다른 루트」가 조작자에 의하여 터치되었는지가 터치스위치(34)의 온·오프에 의하여 판단된다.
별도 루트키가 온되면, 루트수N이 「1」가산된다(스텝SL24). 그리고, 재차 새로운 안내경로가 탐색된다. 탐색된 새로운 안내경로는 제N번째의 안내경로로서 RAM5에 기억된다(스텝SL26). 또한, 이 스텝SL26의 안내경로의 탐색에 있어서도 과거에 탐색된 안내경로에 사용되어 있는 도로는 선택되기 어렵게 된다. 즉, 보다 적은 종합탐색코스트의 도로가 선택되는 경우, 안내경로를 구성하는 도로로서 선택된 것에, 새로운 선택코스트가 가산된다. 이에 의해, 다른 도로에 의하여 구서된 안내경로가 복수탐색된다.
또한, 이 스텝SL8, 26에 의하여 탐색되는 안내경로의 탐색조건은 제1번째에 탐색된 안내경로와 다른 탐색조건으로 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제1번째의 탐색경로가 유료도로(고속도로)를 우선사용하는 경로이면, 제2번째에 탐색되는 안내경로는 유료도로를 사용하지 않는 경로가 되도록 탐색된다. 또한, 제1번째의 안내경로가 최단거리로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안내경로이면, 제2번째는 보다 넓은 도로를 우선 사용한 안내경로가 되도록 탐색된다. 이와 같이 되풀이되는 안내경로탐색에서, 각각의 경로탐색조건이 변경되어도 좋다.
스텝SL26에 의하여 탐색된 안내경로는 제2화면에 표시된다. 게다가, 그때까지 제2화면에 표시되어 있던 안내경로가 제3화면에 표시된다(스텝SL12). 또한, 제3화면에는 항상 도5의 경로탐색처리에 의하여 최초로 탐색된 안내경로 또는 현재안내중인 안내경로가 표시되어도 좋다. 즉, 제2화면에는 「별도 루트」키가 눌러질때마다 탐색된 최신 안내경로가 표시된다. 한편, 제3화면에는 현재안내중인 경로가 항상 표시된다. 이에 의해, 본래의 안내경로와 재탐색처리가 행해진 새로운 안내경로를 직접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루트수 N=1의 상태로, 제3화면에 표시되는 안내경로는 도5의 경로탐색처리로 탐색된 안내경로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도22의 안내·표시처리에서 새롭게 탐색된 안내경로가 안내대상경로로서 선택된 경우, 이 새로운 안내대상도로가 기본 안내경로가 된다. 따라서, 1번 별도 루트탐색에 의한 새로운 안내경로에 의하여 안내처리가 행해지고 있을 때, 재차 다른 루트탐색이 지시되면, 그 새로운 안내경로가 분할화면의 제3화면에 표시된다.
도22의 스텝SL28에서, 다른 루트키의 온이 검출되지 않으면, 루트결정키가 온되었는지가 판단된다(스텝SL30). 이 루트결정키도 디스플레이33의 화면에 아이콘 「루트결정」으로서 표시된다. 그리고, 이 아이콘표시부분이 조작자에 의하여 터치되었는지가 터치스위치34에 의하여 판단된다.
루트결정키를 누르지 않으면, 스텝SL38의 「기타 안내·표시처리」가 실행된다. 그리고, 도22의 처리가 한번 종료된다. 역으로, 루트결정키를 누른 경우, 제2화면, 제3화면중 어느 안내경로가 선택되었는지가 판단된다(스텝SL32). 이 안내경로의 선택도 터치스위치34의 온·오프에 의하여 판단된다. 제2화면의 안내경로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33의 화면분할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제2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안내경로가 해제된 단일화면(제1화면)에 표시된다(스텝SL34). 그리고, 선택된 안내경로를 따라서 자차량의 운행을 돕기 위한 정보표시 및 통지등의 「기타 안내·표시처리」가 실행된다(스텝SL38).
또한, 제3화면의 안내경로가 선택되었을 때에도, 디스플레이33의 분할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단일화면이 된 디스플레이33의 화면에 선택된 안내경로가 표시된다(스텝SL36). 더욱이, 선택된 안내경로를 따라서 차량의 운행을 돕기위한 정보표시 및 통지등의 「기타 안내·표시처리」가 실행된다(스텝SL38). 이 후, 도22의 처리가 종료되며, 도5의 플로우차트로 처리가 되돌아간다.
도23은 화면분할전 디스플레이33의 표시화면의 모습을 나타낸다. 화면104에는 도5의 경로탐색처리에 의하여 탐색된 최초 안내경로162가 표시되어 있다. 더욱이, 이 안내경로162상을 주행하고 있는 차량의 현재위치와 주행방향을 나타내는 기호100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화면104에 스텝SL4의 판단대상인 「다른 루트」의 아이콘160이 표시되어 있다.
도24는 디스플레이33의 화면분할상태를 나타낸다. 이 화면분할상태는 도22의 스텝SL8이 처음으로 실행된 직후의 디스플레이33의 화면 모습을 나타낸다. 제2화면108에는 스텝SL8의 경로탐색처리에 의하여 탐색된 새로운 안내경로170이 표시된다. 제3화면110에는 도23에서 표시되어 있던 안내경로162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제2화면108, 제3화면110에는 아이콘164,166,168이 표시되어 있다. 아이콘164는 「다른 루트」를 표시한다. 아이콘166은 스텝SL30의 판단대상인 「루트결정」키를 표시한다. 아이콘168은 스텝SL16의 판단대상인 「RETURN」키, 즉 복귀키를 표시한다.
도25는 도22의 스텝SL26 실행직후의 디스플레이33의 표시화면 모습을 나타낸다. 제2화면108에는 스텝SL26에 의하여 새롭게 탐색된 안내경로172가 표시되어 있다. 제3화면에는 도24의 제2화면에 표시되어 있던 안내경로170이 표시된다. 또한, 아이콘164,166,168은 도24의 아이콘과 같은 기능이 부여되어 있다.
도26은 도22의 스텝SL36에 의하여 디스플레이33의 화면이 단일화면으로 되돌아간 상태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도25에서 아이콘166가 눌리고, 제3화면110의 안내경로170가 선택된다. 안내경로170이 선택되면, 분할화면이 해제된다. 그리고, 단일화면의 제1화면104 전체에 안내경로170이 표시된다. 또한, 이 화면분할해제후의 화면104에 아이콘160도 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4실시예에서, 제2, 제3화면을 각각 표시되는 경로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즉, N회, 다른 루트가 탐색된 경우, 그 N개의 별도 루트의 임의의 하나가 제2화면에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N개의 다른 루트의 임의의 하나가 제2화면에 표시되어도 좋다. 더욱이, 제2화면 또는 제3화면에 표시되는 경로가 고정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제3화면에 별도 루트의 재탐색이 지시되기 직전의 본래 경로가 항상 표시되어도 좋다. 게다가, 제2, 제3화면에 표시되는 지도의 축척에 관해서도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차량의 현재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전체가 각 분할화면전체에 표시되도록, 축척이 조정되어도 좋다. 또는 분할전의 축척을 이용하여 각 분할화면의 지도표시가 행해져도 좋다.
17. 제5실시예의 안내·표시처리
도2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안내·분할처리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이 제5실시예의 안내·표시처리에서는 차량이 현재안내중인 안내경로에서 벗어난 경우에, 그 안내경로로 되돌아가는 복귀루트와, 세롭게 탐색된 다른 루트 또는 본래의 경로가 분할화면에 각각 표시된다.
처음에, 차량의 주행위치가 안내경로에서 벗어났는지가 판단된다(스텝SP2). RAM5에 기억된 현재위치정보PI와, 안내경로데이터MW를 구성하는 도로의 지리좌표가 비교된다. 이에 의해 차량이 안내경로상을 주행하고 있는지가 판단된다. 차량이 안내경로상을 주행하고 있다면, 「기타 안내·표시처리」가 실행된다(스텝SP42). 그리고, 안내경로를 따른 차량의 운행을 보조하는 안내정보의 통지 및 표시등의 처리가 행해진다. 이 후, 도27의 처리가 종료되며, 도5의 플로우차트로 처리가 되돌아간다.
그러나, 안내경로상에서 차량이 벗어난 경우, 화면분할상태인지가 판단된다(스텝SP4). 화면분할상태라면 미리 탐색된 두개의 안내경로가 좌우의 화면 각각에 표시되어 있다. 이 경우, 복귀키가 온되거나, 또는 루트결정키가 온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화면분할상태라면 스텝SP18의 처리가 실행된다.
그러나, 화면분할상태가 아니라면, 재탐색지령이 입력되었는지가 판단된다(스텝SP6). 즉, 현재안내중인 안내경로로 되돌아가는 경로를 탐색하는 처리의 개시가 지시되었는지가 판단된다. 이 재탐색지령은 디스플레이33의 화면에 표시된 「재탐색」, 「다른루트」등의 아이콘이 조작자에 의하여 터치되었는지에 의하여 판단된다. 터치의 유무는 터치스위치34의 온·오프에 의하여 판단된다.
재탐색지령이 없으면, 안내경로에서 차량이 벗어난 지도가 디스플레이33에 계속해서 표시된다. 또한, 이 경우, 안내경로에서 차량이 벗어난 것을 경로하는 정보가 수시로 통지되어도 좋다. 재탐색지령이 있으면, 루트수N이 「1」로 초기설정된다(스텝SP8). 그리고, 차량이 현재위치에서 안내경로로 되돌아가는 경로가 탐색된다. 이 복귀루트의 탐색은 주변루트탐색처리이다. 이 복귀루트의 탐색에서는 안내경로를 향하는 도로의 선택조건이 보다 우선이 되는 가중치가 행해진다. 예를 들면, 차량이 진행방향과 역방향으로 진행되는 도로는 종합탐색코스트가 크게 되도록, 소정의 탐색코스트값이 종합탐색코스트에 가산된다. 마찬가지로, 안내경로방향과,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도로에도, 탐색코스트가 커지도록 소정값이 가산된다. 이 결과, 안내경로방향으로 진행하는 도로가 우선적으로 선택된다.
이와 같이 하여, 안내경로로 되돌아가는 복귀루트가 탐색되면, 이 복귀루트가 제N(N=1)번째의 경로로 설정된다(스텝SP10). 그리고, 디스플레이33의 화면이 분할된다(스텝SP12). 분할된 화면에서의 제2화면에 제N번째의 안내경로가 표시된다(스텝SP14). 여기에서는 N=1이며, 현재안내중인 안내경로로의 복귀루트가 제2화면에 표시된다. 또한, 이 제N번째의 안내경로는 차량이 벗어나서 온 안내경로와 다른 색채등으로 표시된다. 즉, 본래의 안내경로와 복귀로투가 식별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33에 표시된다.
더욱이, 제3화면에 제(N-1)번째의 안내경로가 표시된다. 여기에서는 N-1=0이며, 도5의 경로탐색처리에서 탐색된 최초의 안내경로 또는 차량이 벗어난 시점에서의 안내경로이다. 제2화면, 제3화면에 각각의 안내경로가 표시되면, 디스플레이33의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 「RETURN」이 눌러졌는지가 판단된다(스텝SP18). 이 아이콘 「RETURN」이 눌러졌는지는 터치스위치34의 온·오프에 의하여 판단된다.
「RETURN」 즉, 복귀키가 온되면, 제2화면 및 제3화면에 표시되는 안내경로가 각각 하나전 안내경로로 된다. 또한, 후술되는 스텝SP30의 전 루트탐색처리가 되돌이되면, N개의 안내경로가 탐색된다. 그리고, 상기 복귀키를 누르기직전에는 제2화면에 최신의 제N번째의 안내경로가 표시되어 있으며, 제3화면에 제(N-1)번째의 안내경로가 표시되어 있다.
이 상태로, 복귀키가 눌러지면, 제2화면에는 제(N-1)번째의 안내경로가, 제3화면에는 제9(N-2)번째의 안내경로가 각각 표시된다. 즉, 복귀키를 누르면, 디스플레이33의 표시상태가 하나과거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들의 일련 처리가 스텝SP14 ∼ SP22에 의하여 행해진다.
즉, 「RETURN」즉, 복귀키가 온되면, 루트수N의 값이 「1」감산된다(스텝SP20). 그리고, 스텝SP20의 처리에 의하여 루트수N의 값이 「1」보다 작어졌는지가 판단된다(스텝SP22). 루트수N의 값이 「1」보다 작아지지 않은 경우, 재차 스텝SP14로 되돌아가서 처리가 실행된다. 즉, 제2화면에, 1개전에 탐색된 안내경로가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제3화면에는 2개전에 탐색된 안내경로가 표시된다.
역으로, 루트수N의 값이 「1」보다 작으면, N=0의 안내경로보다 오래된 탐색경로는 아니다. 이 경우, 차량이 벗어난 시점에서 안내가 행해지고 있던 안내경로가 선택된다(스텝SP24). 그리고, 분한전 상태, 즉, 본래의 경로와 그 경로에서 벗어난 차량이 하나의 지도화면에 표시된다(스텝SP25). 이 후, 기타 안내·표시처리가 행해지며(스텝SP42), 도27의 안내·표시처리가 일단 종료된다. 이 경우, 경로의 안내처리는 행하지 않고, 단일화면에 본래의 경로와 그 경로에서 벗어난 차량이 표시된다.
또한, 루트수N=1의 상태에서, 「RETURN」키가 온된 경우, 분할을 해제하지 않고, 제2화면에 복귀루트, 제3화면에 차량이 이탈되어 온 안내경로가 표시되는 상태가 유지되어도 좋다. 이 경우, 제2화면, 또는 제3화면의 경로중 어느것인가가 선택되었을 때, 화면분할상태가 비로서, 해제되면 된다. 더욱이, 루트수N=1의 상태에서 「RETURN」키를 누르면, 본래의 안내경로로의 복귀가 요구되었다고 판단하고, 제2화면의 복귀루트가 강제적으로 선택되어도 좋다.
또한, 차량이 당초 안내경로에서 벗어나서, 더욱이, 화면분할상태에서 도27의 안내·표시처리의 서브루틴이 콜되었을 때에도, 스텝SP18의 처리가 최초로 행해진다. 즉, 화면의 분할표시상태에서 복귀키가 눌러졌는지, 또는 후술되는 루트결정키등이 눌려졌는지의 판단이 실행된다. 또한, 재탐색지령이 1번 입력되면, 디스플레이33의 화면은 분할상태로 된다. 이 분할상태에서, 제2화면 또는 제3화면의 안내경로가 조작자에 의하여 선택되거나, 또는 루트수 N=0이 될때까지, 복귀키(RETURN)가 되풀이하여 눌러지지 않으면, 그 분할상태가 계속된다. 그러나, 안내경로가 선택되면, 그 분할상태가 해제되며, 단일화면이 됨과 동시에 결정된 안내경로에 의한 안내처리가 실행된다.
또한, 도27의 안내·표시처리는 차량이 최종안내지점에 도달할 때까지 되풀이하여 실행된다. 더욱이, 제2화면, 제3화면에 표시되는 지도의 축척은 본 실시예에서는 특별이 한정되지 않지만, 재탐색된 다른 루트를 표시하는 경우, 그 루트전체가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해도 좋다. 또는 분할전의 제1화면에 표시되어 있던 지도의 축척으로 제2화면, 제3화면에 지도가 표시되어도 좋다.
스텝SP18에 있어서, 복귀키, 즉 「RETURN」키의 온이 검출되지 않으면, 재참색키가 눌러졌는지가 판단된다(스텝SP32). 즉, 디스플레이33에 표시된 아이콘 「재탐색」이 조작자에 의하여 터치되었는지가 터치스위치34의 온·오프에 의하여 판단된다.
재탐색키가 온되면, 루트수N이 「1」가산된다(스텝SP28). 그리고, 새로운 안내경로가 탐색된다. 탐색된 새로운 안내경로는 제N번째의 안내경로로서 RAM5에 기억된다(스텝SP30). 또한, 이 스텝SP30의 안내경로의 탐색에서는 과거에 탐색된 안내경로에 사용되고 있는 도로는 선택되기 어렵게 된다. 즉, 보다 값이 작은 종합탐색코스트의 도로가 우선 선택되는 경우, 안내경로를 구성하는 도로로서 미리 선택된 것에 세로운 탐색코스트가 가산된다. 이에 의해, 다른 도로에 의하여 구성된 안내경로가 복수 탐색된다. 이 스텝SP30에서의 전 루트탐색은 상기 도22의 스텝SL8등과 같은 처리가 실행된다.
또는 이 스텝SP30에 의하여 탐색되는 안내경로의 탐색조건은 제1번째에 탐색된 안내경로와 다른 탐색조건으로 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제1번째의 탐색조건이 유료도로(고속도로)를 우선사용하는 경로이면, 제2번째에 탐색되는 안내경로는 유료도로를 사용하지 않는 경로가 되도록 탐색된다. 또한, 제1번째의 안내경로가 최단거리로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안내경로이면, 제2번째는 보다 넓은 도로를 우선 사용한 안내경로가 되도록 탐색된다. 이와 같이 되풀이되는 안내경로탐색에서, 각각의 경로탐색조건이 변경되어도 좋다.
스텝SP30에 의하여 탐색된 안내경로는 제2화면에 표시된다. 게다가, 그때까지 제2화면에 표시되어 있던 안내경로가 제3화면에 표시된다(스텝SP14). 또한, 제3화면에는 항상 도5의 경로탐색처리에 의하여 최초로 탐색된 안내경로 또는 현재안내중인 안내경로가 표시되어도 좋다. 즉, 제2화면에는 「재탐색」키가 눌러질때마다 탐색된 최신 안내경로가 표시된다. 제3화면에는 차량이 이탈되어 온 안내경로가 표시된다. 이에 의해, 본래의 안내경로와 재탐색처리가 행해졌을때마다의 새로운 안내경로를 직접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3화면 각각에 표시되는 경로를 각각 자유롭게 루트수N에 의하여 지정 및 표시되도록 해도 좋다. 즉, 재탐색이 N회 행해졌을 경우, 제2, 제3화면 각각에 N개의 루트의 하나가 임의로 선택표시가능하게 되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루트수 N=1의 상태로, 제3화면에 표시되는 안내경로는 도5의 경로탐색처리로 탐색된 안내경로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도27의 안내·표시처리에서 새롭게 탐색된 안내경로가 안내대상경로로서 선택된 경우, 이 새로운 안내대상도로가 기본 안내경로가 된다. 따라서, 1번 재탐색에 의한 새로운 안내경로에 의하여 안내처리가 행해지고 있을 때, 재차 재탐색이 지시되면, 그 새로운 안내경로가 분할화면의 제3화면으로 최초로 표시된다.
스텝SP32에서 재탐색키의 온이 검출되지 않으면, 안내개시(루트결정)키가 온되었는지가 판단된다(스텝SP34). 또한, 스텝SP10의 주변루트탐색처리가 실행된 경우, 제2화면에는 복귀루트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제3화면에는 당초의 안내경로가 표시되어 있지만, 자차량은 이 안내경로상에 없다. 따라서, 이 제3화면의 안내경로에 의한 경로의 안내가 요구되면 제2화면의 복귀루트를 이용하여 경로의 안내가 행해져도 좋다. 따라서, 제2화면에 복귀루트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 제2화면상에 아이콘 「안내개시」가 표시된다. 그리고, 스텝SP34의 판단대상에서는 이 안내개시키가 눌러졌는지가 판단된다.
또한, 루트수 N=1의 상태에서 제3화면(벗어난 안내경로)이 선택된 경우, 아무런 안내개시가 행해지지 않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분할전의 단일화면으로 되돌아간다. 즉, 차량이 이탈되어 온 안내경로와, 차량이 화면에 표시된다. 즉, 루트수 N=1의 상태에서 「RETURN」키가 눌러진 상태(스텝SP24,25)와 같은 처리가 행해진다.
그러나, 스텝SP30의 전 루트탐색이 되풀이된 경우는 제4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33의 화면에 아이콘의 「루트결정」이 표시된다. 그리고, 이 아이콘표시부분이 조작자에 의하여 터치되었는지가 터치스위치34에 의하여 판단된다(스텝SP34).
안내개시(루트결정)키가 눌러지지 않았으면, 스텝SP42의 「기타 안내·표시처리」가 실행된다. 그리고, 도27의 처리가 한번 종료된다. 역으로, 루트결정키가 눌러진 경우, 제2화면, 제3화면중 어느 안내경로가 선택되었는지가 판단된다(스텝SP36). 이 안내경로의 선택도 터치스위치34의 온·오프에 의하여 판단된다. 제2화면의 안내경로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33의 화면분할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제2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안내경로가 해제된 단일화면(제1화면)에 표시된다(스텝SP38). 그리고, 선택된 안내경로를 따라서 차량의 운행을 돕기위한 정보표시 및 통지등의 「기타 안내·표시처리」가 실행된다(스텝SP42).
또한, 제3화면의 안내경로가 선택되었을 때에도, 디스플레이33의 분할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단일 화면이 된 디스플레이33의 화면에 선택된 안내경로가 표시된다(스텝SP40). 더욱이, 선택된 안내경로를 따라서 차량의 운행을 돕기위한 정보표시 및 통지등의 「기타 안내·표시처리」가 실행된다(스텝SP42). 이 후, 도27의 처리가 종료되며, 도5의 플로우차트로 처리가 되돌아간다. 또한, 이들 분할해제후의 표시지도축척에 관해서도 분할전의 표시축척이 이용되어도 좋으며, 다른 축척이라도 상관없다.
도28은 화면분할전의 디스플레이33의 표시화면의 모습을 나타낸다. 화면104에는 도5의 경로탐색처리에 의하여 탐색된 최초의 안내경로162가 표시되어 있다. 더욱이, 이 안내경로162에서 벗어난 차량의 현재위치와 주행방향을 나타내는 기호100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화면104에 스텝SP4의 판단대상인 「재탐색」아이콘174이 표시되어 있다.
도29는 디스플레이33의 화면분할상태를 나타낸다. 이 화면분할상태는 도27의 스텝SP10이 실행된 직후의 디스플레이33의 화면 모습을 나타낸다. 제2화면108에는 스텝SP10의 주변루트탐색처리에 의하여 탐색된 복귀루트178이 표시된다. 제3화면110에는 도28로 표시되어 있던 안내경로162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제2화면108, 제3화면110에는 아이콘174,176, 168이 표시되어 있다. 아이콘174는 「재탐색」을 표시한다. 아이콘176은 스텝SP34의 판단대상인 「안내개시」키를 표시한다. 아이콘168은 스텝SP18의 판단대상인 「RETURN」키, 즉, 복귀키를 표시한다.
도30은 도27의 스텝SP30이 실행된 직후의 디스플레이33의 표시화면 모습을 나타낸다. 제2화면108에는 스텝SP30에 의하여 새롭게 탐색된 안내경로180과, 최초로 탐색된 안내경로162가 표시되어 있다. 제3화면에는 도29의 제2화면에 표시되어 있던 복귀루트178이 표시된다. 또한, 아이콘174,168은 도29의 아이콘과 같은 기능이 부여되어 있다. 또한, 아이콘166은 루트결정키이며, 도29의 「안내개시」아이콘에 대응한다. 또한, 도30의 제2화면108에는 두개의 안내경로가 표시되어 있지만, 이를 안내경로180만 표시되어도 좋다.
도31은 도27의 스텝SP40에 의하여 디스플레이33의 화면이 단일화면으로 되돌아간 상태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도30에서, 아이콘166이 눌러지며, 제3화면110의 복귀루트178가 선택되었다고 한다. 복귀루트178이 선택되면, 분할화면이 해제된다. 그리고, 단일화면의 제1화면104전체에 복귀루트178과 안내경로162가 표시된다. 또한, 이 화면분할해제후의 화면104에 아이콘174도 표시되어 있다.
도32는 상기 제4실시예의 도24, 25 및 제5실시예의 도3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안내경로의 표시에 맞추어, 거리 및 시간정보186이 표시된다. 이 거리 및 시간정보에는 해당 경로에 의한 최종안내지점까지의 경로를 따라서 거리와, 최종안내지점도착에 필요한 소요시간이 표시된다. 예를 들면, 도32의 경우, 안내경로182에 의하여 최종안내지점까지 주행한 경우의 경로를 따라서 거리와, 그 거리를 법정속도로 주행했을 경우의 소요시간이 정보186으로서 표시된다.
도32의 제3화면110에서도 안내경로184의 최종안내지점까지의 주행거리와, 그 거리를 주행하는데 필요한 소요시간이 거리 및 시간정보186에 표시된다. 도33은 도22의 스텝SP26등이 실행되며, 도32에서 안내경로의 표시가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도33의 거리 및 시간정보186에는 안내경로188의 최종안내지점까지의 주행거리와, 그 거리를 주행하는데 필요한 소요시간이 표시된다. 또한, 도33의 제3화면110은 도32의 제2화면이 복사된다.
또한, 도32,33에 있어서, 경로의 거리등의 정보가 표시되는 거리 및 시간정보186에는 다음과 같은 정보가 표시되어도 좋다. 즉, 데이터송수신장치27에 의하여 수신된 VICS정보(경로중 혼잡도로의 정보, 또는 공사정보등)나, 해당 경로에서의 좌우회전 회수등이 표시되어도 좋다. VICS정보에는 도로의 혼잡정도등뿐만 아니라, 경로주변의 주차장의 혼잡정보등이 포함되어도 좋다.
더욱이, 안내경로를 구성하는 중심적인 도로의 명칭(국도, 지방도로명등)이나, 주요교차점명칭(명칭이 있는 교차점만)이 표시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은 도로명칭, 교차점명칭등은 화면상에 표시되는 「루트정보」키가 온되었을때, 리스트형식으로 표시되어도 좋다. 즉, 화면상에 「루트정보」의 아이콘이 표시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 아이콘「루트정보」가 조작자에 의하여 온되면, 제2, 제3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각 안내경로의 상세정보(도로명칭등)가 표시된다. 이 상세정보에는 안내경로의 목적지까지의 거리, 소용시간, VICS정보등이 포함되어도 좋다. 이에 의해, 경로의 선택에 기여하는 보다 많은 정보가 다기(多岐)로 표시되기때문에 경로의 비교검토가 용이해 진다.
또한, 상기 제4, 제5실시예에서의 「다른 루트탐색」, 「주변루트탐색」「전루트탐색」의 각 탐색처리에서, 탐색코스트에 VICS등의 외부로부터 수신된 교통정보가 가미되어도 좋다. 즉, 외부에서 수신된 도로의 혼잡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혼잡중의 도로가 선택되기 어려운것으로, 혼잡도로를 우회하는 경로가 탐색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4,5실시예에서, 각 분할표시화면이 헤딩업화면, 노스업화면, 또는 절대방위가 화면의 4방향중 어느것인가를 향하여 있도록 표시되어도 좋다.
18. 제6실시예의 안내·표시처리
도34는 제6실시예의 안내·표시처리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제6실시예에서는 최초의 안내경로상에서 차량의 주행위치에서 벗어난 경우, 화면이 2분할된다. 제2화면에는 이탈되어 온 안내경로의 일부와 차량의 현재위치주변을 포함하는 도로지도가 표시된다. 제3화면에는 분할전에 표시되어 있던 본래의 안내경로나, 또는 목적지까지의 새로운 안내경로인 재탐색된 전 루트가 표시된다. 차량이 벗어난 본래의 안내경로는 도5의 경로탐색처리(스텝SA4) 또는 후술되는 전 루트재탐색(스텝SR20)에 의하여 탐색된 경로이다. 또한, 화면분할직후의 제2화면에는 본래의 안내경로로 되돌아가는 복귀루트가 바로는 표시되지 않는다. 그러나, 복귀루트에 의한 안내개시가 조작자에 의하여 명령되면, 그 복귀루트가 화면상에 명시된다. 또한, 제2화면에 표시되는 도로지도의 축척은 복귀루트전체가 제2화면에 표시되도록 조정된다.
도34에 관하여 설명한다. 처음에, 차량의 현재위치가 안내경로상에 존재하는지가 판단된다(스텝SQ2). 이 판단처리는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RAM5에서 현재위치정보PI와, 안내경로데이터MW가 판독된다. 현재위치정보PI가 나타내는 좌표가 안내경로데이터MW를 구성하는 도로의 지리좌표에 거의 일치하는지가 판단된다. 일치하면, 차량이 안내경로상을 주행하고 있다. 역으로, 일치하지 않으면, 자차량이 안내경로에서 벗어나서 주행하고 있는 것이 된다.
차량이 안내경로상에 있으면, 디스플레이33가 화면이 분할상태인지가 판단된다(스텝SQ14). 또한, 이 디스플레이33의 분할상태는 화면상태GJ로서 RAM5에 기억되어 있다. 그래서, 이 화면상태GJ의 데이터에 의하여 디스플레이33이 분할상태인지가 판단된다. 디스플레이33의 화면이 분할상태이면, 단일화면처리가 실행된다(스텝SQ16). 이 단일화면처리에서는 디스플레이33의 화면분할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제3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도로지도가 디스플레이33의 화면전체에 표시된다.
또한, 차량이 안내경로상에 있음에도 불구하고(스텝SQ2), 화면이 분할상태란, 차량이 1번, 안내경로에서 벗어난 후, 재차 안내경로상에 되돌아간 상태를 의미한다. 즉, 차량이 안내경로에서 벗어나면, 후술되는 루트이탈처리에 의하여 화면이 분할상태로 된다. 그러나, 그 분할상태에서 경로탐색 또는 경로변경등의 조작이 조작자에 의하여 행해지지 않고, 그대로 본래의 안내경로로 복귀된 경우에, 스텝SQ2, SQ14, SQ16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는 조작자의 의도에 의하여 안내경로에서 차량이 일시적으로 벗어나지만, 조작자의 판단에 의하여 재차, 안내경로로 차량이 되돌아간 경우에 실행된다. 즉, 안내경로주행중에 있어서 경로근접의 시설로 급한 용무가 생긴 경우, 일시적으로 안내경로에서 벗어나지만, 이 용무종료후, 안내경로로 재차 되돌아오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종래의 네비게이션장치에서는 오토 리루트모드가 세트된 상태에서 안내경로에서 차량이 벗어났음이 검지되면, 차량의 현재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새로운 안내경로가 자동적으로 재탐색되어 버린다.
그러나, 이 새로운 안내경로가 반드시, 목적지방향으로 최단거리로 도달할 수 있다고는 한정할 수 없다. 오히려, 벗어난 본래의 안내경로로 되돌아간 편이 보다 신속히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안내경로가 자동적으로 재탐색되지 않고, 조작자의 의지에 의하여 차량이 본래의 안내경로로 되돌아간 편이 좋다. 그래서, 오토 리루트모드가 세트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이 재차 본래의 안내경로로 조작자의 의지에 의하여 되돌아간 경우, 상기 스텝SQ2, SQ14, SQ16의 처리가 실행된다. 또한, 오토 리루트모드란, 안내중의 경로에서 차량이 벗어났음을 검출하고, 차량의 현재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가 자동적으로 재탐색되는 모드이다.
도34에 있어서, 화면분할상태가 아닌가(스텝SQ14), 또는 화면분할이 해제되면(스텝SQ16), 기타 안내·표시처리가 실행된다(스텝SQ26). 즉, 현재선택되어 있는 안내경로를 따라서 차량이 양호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각종 정보의 표시 및 통지증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좌우회전하는 교차점에 접근했을 경우에, 그 교차점까지의 거리가 디스플레이33에 표시된다. 이와 같은 「기타 안내·표시처리」가 행해진 후, 도34의 처리가 종료되며, 도5의 메인처리로 복귀된다.
한편, 차량이 안내경로에서 벗어나 있는 경우에는(스텝SQ2), 복귀루트에 의한 안내처리중인지가 판단된다(스텝SQ3). 즉, 후술되는 서브루틴의 「루트이탈처리」에 의하여 탐색된 복귀루트에 의하여 본래의 경로로 복귀중인지가 판단된다. 복귀루트에 의한 안내처리중이면, 스텝SQ20이후의 단일화면선택 및 제2, 제3화면의 표시처리가 실행된다. 이 스텝SQ3의 판단은 도34의 처리가 되풀이되어 실행된 경우에 있어서, 「루트이탈처리」가 잘못되어 실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행해진다. 또한, 상기 스텝SQ20이후의 처리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복귀루트에 의한 안내처리중이 아니면, 서브루틴의 「루트이탈처리」가 실행된다(스텝SQ4). 이 서브루틴「루트이탈처리」에 관해서는 나중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이 「루트이탈처리」에서는 처음에 디스플레이33의 화면이 분할된다. 화면의 분할은 디스플레이33의 표시화면의 거의 중앙을 경계로서 좌우의 화면으로 분할된다. 그리고, 표시화면을 향하여 좌측의 화면이 제2화면, 우측의 화면이 제3화면이 된다. 이 화면의 분할은 화상복귀루트가 기록되는 비디오메모리가 화면분할상태에 따라서 두개의 영역으로 분할된다. 그리고, 각 분할영역에 독립된 화상데이터가 기록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33의 표시화면이 분할되어 표시된다. 또한, 디스플레이33이 처음부터 두개의 디스플레이장치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화면이 두개로 분할된 후, 벗어난 본래의 안내경로까지 되돌리는 복귀루트가 탐색된다. 또한, 이 복귀루트는 분할된 한쪽의 화면(제2화면)으로 차량의 현재위치주변의 도로지도를 표시할 때 이용된다. 이에 덧붙여서, 네비게이션장치의 모드가 오토 리루트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차량의 현재위치에서 최종안내지점까지의 경로가 자동적으로 재탐색된다. 또한, 분할직후의 제2화면에는 복귀루트가 명시되지 않고, 차량의 현재위치주변의 도로지도가 표시된다.
도40은 최초로 탐색된 안내경로146에서 차량이 벗어난 직후의 디스플레이33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기호100이 차량의 현재위치와 주행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 분할전 디스플레이33의 화면이 제1화면이다. 제1화면의 하부에는 문자「축소」,「확대」,「전 루트」등의 아이콘250,256,252가 표시되어 있다. 「축소」의 아이콘250이 조작자에 의하여 터치되면, 제1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지도의 축척이 작아지며, 광역지도가 표시된다.
또한, 「확대」아이콘256이 조작자에 의하여 터치되면, 제1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지도의 축척이 크게되며, 상세지도 또는 주택지도가 표시된다. 「전 루트」의 아이콘252이 조작자에 의하여 터치되면, 차량의 현재위치에서 최종안내지점까지의 안내경로가 재탐색된다.
또한, 도41은 상기 「루트이탈처리」가 실행된 직후의 디스플레이33의 표시화면 모습을 나타낸다. 제2화면108에는 안내경로146 및, 그 안내경로146에서 벗어난 차량이 기호100으로서 표시되어 있다. 제3화면110에는 분할전 화면인 제1화면에 표시되어 있던 지도가 동일축척에 의하여 표시되어 있다. 또한, 제2화면108의 하부에는 「전 루트」의 아이콘252, 「안내개시」의 아이콘255는, 「축소」의 아이콘250, 「확대」의 아이콘256이 표시되어 있다. 「안내개시」의 아이콘255은 복귀루트에 의한 안내개시를 지시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도34에 있어서, 서브루틴의 「루트이탈처리」가 실행되며, 복귀루트 또는 전 루트가 탐색되면, 안내개시키의 온이 검지되었는지가 판단된다(스텝SQ6). 이 안내개시키는 상술된 바와 같이 제2화면상에 아이콘으로서의 문자「안내개시」가 표시된다. 그리고, 이 「안내개시」표시부분이 조작자에 의하여 터치되었는지가 터치스위치34로부터 출력되는 스위치신호에 의하여 판단된다.
이 「안내개시」키의 온은 본래의 안내경로로 되돌아가는 복귀루트에 의한 안내의 처리를 행하게하는지의 판단에 이용된다. 따라서, 「안내개시」키가 온되면, 도34의 스텝SQ18이후의 처리가 실행된다. 즉, 복귀루트가 제2화면에 명시되며, 소정의 안내처리가 실행된다. 그러나, 「안내개시」키의 온이 검지되지 않으면(스텝SQ6), 다음 조건판단이 실행된다. 즉, 차량의 현재위치에서 목적지까기의 재탐색된 전 루트가 지정되었는지가 판단된다(스텝SQ8). 이 전 루트의 재탐색은 오토 리루트 모드 또는 조작자에 의하여 재탐색이 명령되었을 때에 행해진다.
이 새로운 전 루트가 선택되면, 그때까지 안내처리가 실행되어 있던 안내경로로 바꾸어, 새로운 안내경로로서 RAM5에 기억된다(스텝SQ10). 더욱이, 이 새로운 안내경로를 화면전체에 표시해야 하며, 디스플레이33의 분할상태가 해제된다(스텝SQ12). 즉, 2개로 분할되어 있던 화면이 하나의 화면으로 되돌아감과 함께, 그 단일화면에 새로운 안내경로가 표시된다. 이 후, 새로운 안내경로를 따른 정보통지·표시를 행하는 「기타 안내·표시처리」가 행해진다(스텝SQ26). 그리고, 도34의 처리가 일단 종료되며, 도5의 전체처리로 플로우차트가 되돌아간다. 또한, 단일화면에 표시되는 새로운 안내경로의 축척은 분할전(제1화면) 축척이 이용된다.
한편, 「안내개시」키가 온되면(스텝SQ6), 화면분할시에 탐색된 복귀루트가 제2화면에 명시된다(스텝SQ18). 이 후, 복귀루트를 하나의 화면에 표시하는지의 판단이 행해진다(스텝SQ20). 이는 디스플레이33의 화면에 표시된 예를 들면, 「화면해제」의 아이콘이 조작자에 의하여 터치되었는지에 의하여 판단된다. 화면해제가 선택되면 단일화면처리가 실행된다(스텝SQ12).
이 단일화면처리에서는 분할상태의 디스플레이33의 표시화면이 해제됨과 동시에, 그 단일화면에 복귀루트 및 본래의 안내경로가 표시된다. 또한, 이 복귀루트의 단일화면표시의 축척은 제2화면표시때의 지도축척 또는 분할전의 제1화면에 표시되어 있던 지도의 축척이 이용된다. 단일화면처리 후, 기타 안내·표시처리(스텝SQ26)가 행해진 후, 도34의 처리가 일단 종료된다.
또한, 복귀루트의 단일화면표시가 선택되어 있지 않은 경우(스텝SQ20), 차량의 이동에 따라서, 서브 루틴「제2화면의 표시조정」이 실행된다(스텝SQ22). 이 「제2화면의 표시조정」에서는 제2화면에 표시되는 차량의 표시위치 또는 지도축척의 조정이 행해진다. 즉, 제2화면에는 복귀루트와 차량이 표시되어 있지만, 이 표시방법에 다음 2개가 설치되어 있다. 제1의 표시방법에서는 복귀루트가 차량을 중심으로서 제2화면전체에 표시된다. 제2표시방법으로는 제2화면전체에 복귀루트가 표시되며, 이 복귀루트상을 차량이 이동하도록 표시된다. 즉, 제2표시방법으로는 차량의 표시위치가 차량의 주행에 수반되어 제2화면상을 이동한다. 또한, 이들 제1 또는 제2의 표시방법에 의한 「제2화면의 표시조정」에 관해서는 후술된다.
「제2화면의 표시조정」후, 서브루틴「제3화면의 표시처리」가 행해진다(스텝SQ23). 이 서브루틴「제3화면의 표시처리」에서는 화면분할전의 제1화면에 표시되어 있던 지도가 그대로 제3화면에 표시된다. 또한, 이 제3화면에 있어서도 차량의 주행에 수반되는 표시지도의 스크롤처리등이 행해진다. 이 후, 복귀루트에 의한 음성정보의 통지등의 처리인 「선택루트의 음성등의 안내처리」가 실행된다(스텝SQ24).
또한, 제3화면에서는 제2실시예에서 실시된 노스업 또는 헤딩업상태에서 지도표시가 행해진다. 상기 스텝SQ24가 실행된 후, 「기타 안내·표시처리」가 실행된다(스텝SQ26). 그리고, 처리가 도5의 메인플로우차트로 복귀된다. 또한, 상기 제3화면의 지도축척은 차량의 주행위치에 수반되어 변화되어도 좋다.
19. 제6실시예의 루트이탈처리
도35는 도34에서의 서브루틴의 「루트이탈처리」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처음에 안내중인 경로에서 벗어난 차량이 이 경로로 되돌아가는 복귀루트상을 주행하고 있는지가 판단된다(스텝SR2). 즉, 도35의 일련의 처리가 실행된 후로는 복귀루트가 이미 탐색되어 있다. 복귀루트탐색후에, 조작자에 의한 루트선택등의 조작이 행해지지 않으면, 도35의 처리가 되풀이되어 실행된다. 또한, 차량이 복귀루트상에 없는 경우, 「복귀루트탐색처리」가 실행된다(스텝SR4). 또한, 차량이 탐색종료의 복귀루트상에 없는 상태에는 복귀루트가 전혀 탐색되어 있지 않은 상태도 포함된다. 즉, 차량이 본래의 경로에서 벗어난 직후의 상태이다. 단, 차량이 이미 탐색된 복귀루트상에 있으면, 복귀루트의 탐색처리는 패스된다. 이 「복귀루트탐색처리」에서는 상기 안내·표시처리의 제5실시예에서의 주변루트탐색처리와 같은 처리가 실행된다.
즉, 차량이 이탈되어 온 안내경로로 접속하는 경로의 탐색이 행해진다. 더욱이, 이 복귀루트탐색에 있어서는 본래의 안내경로를 향하는 도로의 선택조건이 보다 우위가 되는 가중치가 행해진다. 예를 들면, 차량의 진행방향과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도로는 종합탐색코스트가 커지도록 소정의 탐색코스트값이 종합탐색코스트에 가산된다. 마찬가지로, 안내경로방향으로 향하는 도로와,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도로에도, 탐색코스트가 크게되도록 소정치가 가산된다. 이 결과, 안내경로방향으로 진행하는 도로가 우선적으로 선택된다.
그리고, 차량이 벗어난 안내경로의 지점에 가장 가까운 목적지측의 교차점과, 차량의 현재위치를 연결하는 최단경로가 탐색된다. 단, 차량의 현재위치와 상기 교차점을 연결하는 경로를 발견할 수 없는 경우에는 다음으로 가까운 목적지측의 교차점과 차량을 연결하는 경로가 탐색된다. 이와 같이, 차량의 현재위치와, 차량이 벗어난 지점보다 목적지측에 있는 본래의 안내경로의 교차점을 연결하는 복귀루트가 탐색된다.
복귀루트가 탐색되거나, 또는 이미 차량이 복귀루트상에 있다면, 디스플레이33의 화면이 분할되어 있는지가 판단된다(스텝SR6). 화면분할상태가 아니라면, 디스플레이33의 화면분할처리가 실행된다(스텝SR8). 즉, 표시되는 화상데이터가 기록되는 화상메모리가 그 화면분할에 적합하도록, 영역분할된다. 여기에서는 상기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33의 화면중앙을 경계로 하여 좌우로 분할된다.
그리고, 좌측의 화면이 제2화면, 우측의 화면이 제3화면이 된다. 또한, 분할전의 화면은 제1화면이다. 디스플레이33이 분할상태라면, 스텝SR8의 화면분할처리는 실행되지 않는다(스텝SR6). 즉, 한번 차량이 안내중인 경로에서 벗어나서, 도34, 35의 처리가 실행되면, 디스플레이33의 화면이 분할된다. 그후, 경로의 선택등의 조작이 행해지지 않으면, 화면분할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이 경우는 스텝SR8의 화면분할처리는 행해지지 않는다.
스텝SR8의 처리에 의하여 화면이 분할되면, 「제2화면의 초기표시」의 서브루틴이 실행된다(스텝SR10). 이 「제2화면의 초기표시」에서는 제2화면에 차량과, 이탈되어 온 안내경로가 최적 축척으로 표시된다. 즉, 스텝SR4에 의하여 탐색된 복귀루트에서의 본래의 안내경로로 접속점(교차점등)과, 차량이 제2화면에 적정축척으로 표시된다. 또한, 이 「제2화면의 초기표시」에서는 복귀루트 그 자체는 명시되지 않는다. 단, 도34의 스텝SQ6의 안내개시키가 온되고, 비로서 복귀로트가 제2화면에 표시된다. 이 「제2화면의 초기표시」에 관해서는 후술된다.
「제2화면의 초기표시」후, 해당 실시예의 네비게이션장치의 모드가 오토 리루트모드인지가 판단된다(스텝SR12). 오토 리루트모드라면, 차량의 현재위치가 재탐색된 전 루트상에 있는지가 판단된다(스텝SR16). 스텝SR12, 16등의 처리는 네비게이션장치가 오토 리루트모드에 세트되어 있으며, 게다가 새로운 전 루트가 재탐색된 후, 조작자에 의하여 경로지정이 되지 않으면, 도34, 35의 처리가 되풀이된다. 그래서, 스텝SR16의 처리는 새로운 전 루트가 되풀이되어 재탐색됨을 방지해야만 실행된다.
그런데, 차량이 재탐색된 전 루트상에 없는 경우에는 전 루트가 전혀 재탐색되어 있지 않은 상태도 포함된다. 그래서, 차량이 재탐색된 새로운 전 루트상에 없으면, 차량의 현재위치에서 최종안내지점까지의 전 루트가 재탐색된다(스텝SR20). 그리고, 제3화면에 재탐색된 새로운 전 루트가 표시된다. 또한, 이 제3화면에는 차량이 이탈되어 온 본래의 안내경로가 함께 표시되어도 좋다. 이 제3화면의 표시축척은 분할전 제1화면의 축척이라도 좋다. 또한, 새로운 전 루트가 표시되는 경우는 그 전 루트전체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축척이 조정되어도 좋다. 더욱이, 이 새로운 전 루트가 표시될 때, 제5실시예의 도32, 33등과 같이, 새롭게 탐색된 경로의 고유정보도 동시에 표시되어도 좋다. 즉, 차량의 현재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의 전장(全長)길이와, 주행예측소요시간, 주요도로명칭, 주요교차점명칭등의 정보가 동시에 표시되어도 좋다. 이 새로운 경로의 교유정보는 조작자의 선택에 의하여 리스트형식으로 표시되어도 좋다.
제3화면에 재탐색된 전 루트가 표시되면, 도35의 처리가 종료되며, 도34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또한, 오토 리루트로드가 아니면(스텝SR12), 제3화면에 분할전 디스플레이33의 화면(제1화면)에 표시되어 있던 지도가 표시된다(스텝SR14). 즉, 본래의 경로에서 벗어난 차량이 제3화면의 중앙이 되는 지도가 표시된다. 또한, 이 제3화면으로 지도표시에 이용되는 축척은 분할전의 지도축척이 이용된다. 더욱이, 이 제3화면에는 차량과 목적지와 본래의 안내경로를 포함한 지도가 표시되어도 좋다. 즉, 지도축척이 조정되며, 본래의 경로전체가 표시되어도 좋다. 또는 제2화면의 지도표시에 이용되는 축척과 동일 축척으로, 제3화면에 지도가 표시되어도 좋다.
제3화면의 지도표시가 종료되면(스텝SR14), 전 루트키가 온되었는지가 판단된다(스텝SR18). 이 전 루트키의 온/오프는 디스플레이33에 표시된 아이콘「전 루트」가 조작자에 의하여 터치되었는지에 의하여 판단된다. 터치의 유무는 터치스위치34의 검출신호에 의하여 판단된다. 전 루트키가 온되면, 상술된 「전 루트재탐색처리」가 실행된다(스텝SR20). 그 후, 재탐색된 전 루트가 제3화면에 표시된다(스텝SR22).
전 루트키를 누르지 않으면, 도35의 처리가 종료되며, 도34의 처리로 플로우차트가 되돌아간다.
20. 제3화면의 초기표시의 제1실시예
도36은 도35의 「제2화면의 초기표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다. 도36의 「제2화면의 초기표시」에서는 차량의 현재위치가 화면중심이 되도록 복귀루트전체가 제2화면에 표시된다.
처음에, 복귀루트와 차량이 벗어난 본래의 경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각 도로의 노드좌표치가 노드데이터화일F3에서 판독된다(스텝ST2). 스텝ST2에 의하여 판독된 각 노드의 좌표치에서 동경방향 및 북위방향의 최대치(Emax, Nmax) 및 최소치(Emin, Nmin)이 검색된다(스텝ST4). 이 동경 및 북위방향의 최대치, 최소치에 관하여 도4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47에 있어서 노드P20에서 노드P24로 연결된 경로PC10이 본래의 안내경로의 일부라고 하면, 점선으로 표시된 루트PC12및 일점쇄선의 경로PC11이 복귀루트가 된다. 즉, 노드P22가 본래의 경로에서 차량이 벗어나 지점(이하, 이반점(이탈지점))이다. 노드P12가 탐색된 복귀루트와 본래의 안내경로의 합류점(복귀지점)이다. 차량의 현재위치P10에서 합류점 노드P12까지가 복귀루트의 미주행로가 된다. 또한, 이반점 노드P22에서 차량의 현재위치P10까지의 경로PC11이 본래의 안내경로에서 벗어난 차량이 주행해 온 거리라고 가정한다. 또한, 본래의 안내경로에서의 목적지는 노드P24방향에 있다고 한다. 도47의 윗쪽이 절대방위의 북쪽 방위로 한다.
이 도47의 복귀루트PC12가 제2화면에 표시되는 경우, 복귀루트12와 다음 각 노드를 연결하는 경로가 표시된다. 즉, 합류점 노드P12의 양쪽 주변의 출발지측에 있는 노드P28과, 목적지측에 있는 노드P24를 연결하는 본래의 경로가 복귀루트와 함께 제2화면에 표시된다. 또한, 이 복귀루트의 제2화면표시에 있어서, 이반점의 노드P22에서 합류점 노드P12까지의 본래의 경로와, 복귀루트가 모두 제2화면에 표시되어도 좋다.
그리고, 도47의 복귀루트PC12의 경우, 동경방향의 최대좌표치를 지니는 노드가 노드P24가 된다. 따라서, 노드P24의 동경좌표치가 최대치Emax 로서 RAM5에 기억된다. 마찬가지로, 북귀방향의 최대좌표치를 지니는 노드가 노드P12라고 하면, 이 노드 P12의 북위좌표치가 최대치 Nmax로서 RAM5에 기억된다.
또한, 동경방향의 최소좌표치를 지니는 노드가 노드P14라고 하면, 이 노드P14의 동경좌표치가 최소치Emin으로서 RAM5에 기억된다. 북위방향의 최소좌표치를 지니는 노드가 노드P16이면, 이 노드P16의 북위좌표치가 최소치Nmin으로서 RAM5에 기억된다.
또한, 제2화면에 본래의 경로와 함께, 표시되는 경우, 이하의 노드 및 경로가 포함되어도 좋다. 즉, 합류점인 P12에서 하나의 목적지측에 있는 노드P24와, 이반점 노드P22보다 출발지측에 있는 노드P26을 연결하는 본래의 경로가 복귀루트와 함께 제2화면에 표시되어도 좋다. 이 경우, 동경방향의 최대치 좌표치를 지니는 노드는 노드P24가 된다. 마찬가지로, 북위방향의 최대좌표치를 지니는 노드는 노드P20이 된다. 동경방향의 최소좌표치를 지니는 노드는 노드P26이 된다. 북위방향의 최소좌표치를 지니는 노드는 노드P16이 된다. 그리고, 각 노드의 좌표치가 동경방향 및 북위방향의 최대치(Emax, Nmax) 및 최소치(Emin, Nmin)로 RAM5에 기억된다.
상기와 같이, 최대치(Eamx, Nmax)및 최소치(Emin, Nmin)가 검출되면, 차량의 현재위치P10의 좌표(GX,GY)에서 다음의 수식이 계산된다.
|GX - Emax| ‥‥ (1)
|GX - Emin| ‥‥ (2)
또한, (1), (2)는 계산결과의 절대치가 구해진다. 그리고, (1), (2) 식의 값에서 큰 것이 동경폭WE로서 RAM5에 기억된다(스텝ST6).
더욱이, 다음 수식이 계산된다.
|GY - Nmax| ‥‥ (3)
|GY - Nmin| ‥‥ (4)
또한, (3), (4)식에서도 절대치가 구해진다. 그리고, (3), (4) 식의 값에서 큰 것이 북위폭WN으로서 RAM5에 기억된다(스텝ST8).
그리고, 동경폭WE및 북위폭WN을 표시할 수 있는 지도의 축척이 미리 정보기억부37에 기록된 수치산출테이블등을 이용하여 구해진다. 즉, 제2화면상에 차량이 화면의 중심이 되도록 복귀루트를 내재시킨 도로지도가 표시된다. 이 도로지도가 표시될 때의 축척이 수치산출테이블을 이용하여 구해진다(스텝ST10).
구체적으로 도4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48에 분할된 디스플레이33의 모습이 표시되어 있다. 이 제2화면(108)의 유효표시영역은 수평폭HC6 및 수직고(高)HC14로 한다. 그리고, 이 유효표시영역보다 면적이 약 5퍼센트 작은 영역내에 복귀루트등을 포함하는 도로지도가 표시된다.
여기에서는 유효표시영역보다 약 5퍼센트 작은 영역이 수평폭HC4, 수직고HC10의 범위로 한다. 이 수평폭HC4의 반정도의 폭HC2이내에 상기 동경폭WE가 들어감과 함께, 수직높이HC10의 반정도의 높이HC8이내에 북위폭WN이 들어가도록 지도축척이 구해진다.
수치산출테이블에는 동경폭WE및 북위폭WN의 값과, 각 지도축척치의 수치대응관계를 표시하는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다. 따라서, 동경폭WE및 북위폭WN이 상기 각 식에 의하여 구해진면, 그 동경폭WE및 북위폭WN에 대응하는 지도축척치가 수치산출테이블에서 구해진다. 또한, 이 지도축척은 비례식등의 연산에 의하여 구해져도 좋다.
예를 들면, 지도축척이 「MSA」였을 때, 제2화면의 실제치수에서, 표시할 수있는 지도의 지리적인 거리가 풀린다. 따라서, 지도축척이「MSA」일 때, 제2화면에 표시된 지도에서의 화면종방향의 지리적인 거리가 「MYA」, 화면횡방향의 지리적 거리가 「MXA」로 한다. 이들, 지도축척에 대한 표시가능 지리적거리가 풀리면, 상기 동경폭WE및 북위폭WN의 도로지도를 표시하기 위한 적정축척은 다음의 식에 의하여 구해진다.
MSA * WE/MXA ‥‥ (5)
MSA * WN/MYA ‥‥ (6)
이 (5), (6)식에서 주어지는 축척중 큰 값(광역지도표시가능한 축척)의 것이 적정축척으로서 선택된다. 상기 수치산출테이블에는 각 동경폭WE및 북위폭WN에 대한 (5), (6)식의 연산결과에 의한 지도축척이 보존되어 있다. 또한, (5), (6)의 게산은 제2화면에 노스업지도가 표시되는 경우에 이용된다.
헤딩업지도가 표시되는 경우는 각 동경폭WE및 북위폭WN에, 이하의 값에 의한 보정연산이 행해진다. 즉, 절대방위에 대한 차량의 진행방향각도를 표시하는 상대방위각데이터Dθ에 의한 코사인값이 구해진다. 그리고, 동경폭WE및 북위폭WN으로 이루어지는 삼각형의 사변의 거리에 상기 코사인값이 승산된다. 이 승산값이 도48의 폭HC2및 높이HC8이내에 들어가는 지도축척이 구해진다.
도48에서, 제2화면의 화면하부에 있는 간격HC12에는 아이콘「전 루트」「안내개시」등이 표시된다. 이 간격HC12의 아이콘의 배경에도 도로지도등이 표시되어도 좋으면, 이 영역의 배경에, 지도정보가 표시되지 않아도 좋다. 또한, 복귀루트가 표시되는 영역은 제2화면의 유효표시영역보다 약 5퍼센트 작은 영역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유효표시영역보다 면적이 5퍼센트이상 작아도 좋으며, 1 ∼ 5퍼센트 작은 사이즈라도 좋다.
도36의 스텝ST10에 의하여 지도축척이 구해지면, 이 구해진 축척으로, 더욱이 차량이 화면중심이 되도록, 복귀루트를 포함하는 지도가 제2화면에 표시된다(스텝ST12). 또한, 여기에서는 복귀루트 그자체는 또한, 명시되지 않는다. 이 후, 플로우차트는 도35로 되돌아간다. 즉, 제3화면의 표시처리등이 행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복귀루트PC12가 제2화면에 표시될 때, 합류점인 노드P12의 양쪽 주변의 노드P28,24를 연결하는 본래의 경로부분도 동시에 표시된다. 그러나, 합류점인 노드P12만이 포함되도록 복귀루트PC12가 제2화면에 표시되어도 좋다. 더욱이, 이반점 노드P22내지 합류점P12까지의 복귀루트전체가 완전히 포함되는 범위의 지도가 제2화면에 표시되어도 좋다.
21. 「제2화면의 초기표시」의 제2실시예
도37은 도35의 「제2화면의 초기표시」의 제2실시예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이 「제2화면의 초기표시」의 제2실시예에서는 차량의 현재위치가 반드시, 화면중심이 되도록 복귀루트가 표시되지 않는다. 즉, 최초로 구해진 복귀루트의 전체를 포함하는 범위의 지도가 제2화면에 균등하게 표시되며, 그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차량은 제2화면에 표시된 지도상을 이동하도록 표시된다.
처음에는 복귀루트를 구성하는 각 도로의 노드좌표치가 판독된다(스텝SU2). 스텝SU2에 의하여 판독된 각 노드의 좌표치 및 차량의 현재위치좌표치에서, 동경방향 및 북위방향의 최대치(Emax, Nmax)및 최소치(Emin, Nmin)가 검색된다(스텝SU4). 이 처리는 도36의 스텝ST4와 같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복귀루트는 경로PC11및 루트PC1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복귀루트를 포함하는 지도가 제2화면에 표시될 때, 노드P28 ∼ P24사이의 본래의 경로의 일부(도47)도 동시에 표시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 노드P28 ∼ P24사이의 본래의 경로가 표시되지 않고, 합류점 노드P12에서 이반점 노드P22 또는 차량의 현재위치P10까지의 루트PC12만을 포함하는 범위의 지도가 표시되어도 좋다. 더욱이, 상기 제1실시예의 「제2화면의 초기표시와 같이, 노드P26에서 노드P24까지의 본래의 경로와, 복귀루트전체를 포함하는 범위의 지도가 제2화면에 표시되어도 좋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노드P28 ∼ P24사이의 본래의 경로와, 차량의 현재위치P10에서 합류점의 노드P12까지의 복귀루트가 제2화면에 표시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47의 복귀루트(경로PC11 및 루트PC12)에서, 동경방향의 최대좌표치를 지니는 노드는 노드P24가 된다. 따라서, 노드P24의 동경좌표치가 최대치Emax로서 RAM5에 기억된다. 마찬가지로, 북위방향의 최대좌표치를 지니는 노드는 노드P12가 된다. 따라서 노드P12의 북위좌표치가 최대치Nmax로서 RAM5에 기억된다.
동경방향의 최소좌표치를 지니는 노드는 노드P14(또는 노드P22)이다. 따라서, 노드P14의 동경좌표치가 최소치Emin으로서 RAM5에 기억된다. 북위방향의 최소좌표치를 지니는 노드는 노드P16이다. 따라서, 노드P16의 북위좌표치가 최소치Nmin으로서 RAM5에 기억된다.
그리고, 각 동경, 북위방향 각각의 최대치, 최소치에서 다음 수식이 계산된다(스텝SU6).
Emax - Emin = XE ‥‥ (7)
Nmax - Nmin = YN ‥‥ (8)
그리고, 동경간격XE 및 북위간격YN을 표시할 수 있는 지도의 축척이 미리 정보기억부37에 기록된 수치산출테이블을 이용하여 구해진다(스텝SU8). 제1실시예의 「제2화면의 초기표시」와 같이, 도48의 수평폭HC4이내에 동경간격XE가 들어감과 함께, 수직고(高)HC이내에 북위간격YN이 들어가는 지도축척이 수치산출테이블에 의하여 구해진다.
또한, 이 수치산출테이블에는 각 동경간격XE 및 북위간격YN이 주어졌을 때, 수평폭HC4 및 수직고HC10으로 둘러싸는 제2화면의 표시영역내에 바르게, 복귀루트 및 본래의 경로의 일부를 표시할 수 있는 축척치가 유지되어 있다. 즉, 각 동경간격XE및 북위간격YN에 대응한 축척치가 수치산출테이블에 유지되어 있다. 또한, 이 지도축척치는 연산에 의하여 직접 구해져도 좋다. 예를 들면, 임의의 축척으로 제2화면에 지도가 표시되었을 때, 표시되는 지리적 거리, 즉, 동경방향의 거리와, 북위방향의 거리는 제2화면의 실제 치수로부터 알 수 있다. 따라서, 특정의 동경간격XE및 북위간격YN을 바르게 제2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지도축척은 비례식에 의하여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수치산출테이블에는 이와 같은 동경간격XE 및 북위간격YN과 지도축척의 대응관계가 유지되어 있다.
또한, 수평폭HC4및 수직고HC10으로 둘러싸는 영역은 상기 제1실시예의 「제2화면의 초기표시」와 같이, 유효표시영역보다 약 5퍼센트 작아져 있다. 스텝SU8에 의하여 지도축척이 구해지면, 이 구해진 축척으로, 더욱이, 동경좌표(Emin + XE/2), 북위좌표(Nmin + YN/2)가 화면중심이 되도록, 복귀루트를 포함하는 범위의 지도가 제2화면에 표시된다(스텝SU10). 이 후, 플로우차트는 도35로 되돌아간다. 또한, 본 제2실시예에서는 복귀루트를 포함하는 지도가 노스업상태로 표시된다.
도41은 차량이 안내경로를 벗어난 직후의 디스플레이33 모습을 나타낸다. 즉, 제2화면108에는 본래의 경로146과, 차량의 현재위치를 표시하는 기호100이 표시되어 있다. 단, 탐색된 복귀루트 그 자체는 아직 표시되어 있지 않고, 복귀루트에 의거하는 경로안내는 행하고 있지 않다. 또한, 아이콘252, 255도 동시에 표시되어 있다. 아이콘252는 도35에서의 전 루트 재탐색처리의 개시를 지시하는 스위치를 표시하고 있다. 또한, 아이콘255는 복귀루트에 의한 안내개시를 지시하는 스위치를 표시하고 있다. 아이콘250,256은 제3화면의 지도축척을 매뉴얼에 의해 변경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도42는 복귀루트258이 제2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 도42는 도41의 표시상태에 있어서, 안내개시키(아이콘255)를 누른 시점의 디스플레이33 모습을 나타낸다. 즉, 도41과 같이, 복귀루트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복귀루트가 점선258과 같이 명시된다. 또한, 실제의 표시화면에서는 복귀루트가 본래의 안내경로146과 다른 색으로 표시되거나, 또는 동일색채로 표시된다. 또한, 도41,42에서는 이반점(도42의 표점261)의 옆에 있는 안내경로의 출발지측의 노드와, 합류점(도42의 교점259)의 옆에 있는 안내경로의 목적지측의 노드를 연결하는 본래의 안내경로도 표시되어 있다.
도43은 도41의 표시상태에 있어서, 차량이 더욱 안내경로로부터 보다 멀리 벗어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41의 상태에서는 한번, 복귀루트가 탐색된다. 그 후, 그 복귀루트에서 재차 차량이 벗어나면, 도35의 스위치SR2, SR4의 처리에 의해, 새로운 복귀루트가 탐색된다. 그리고, 이 새로운 복귀루트를 포함하는 도로지도가 제2화면(108)에 표시된다. 단, 이 도43에 있어서도, 안내개시키를 누르고 있지 않기 때문에, 복귀루트는 명시되어 있지 않으며, 복귀루트에 의거하는 경로안내는 행하여져 있지 않다. 이 도43의 상태에서 안내개시키를 누르면, 도44와 같이 복귀루트가 점선260과 같이 명시된다.
도45는 복귀루트260의 표시응용예를 나타낸다. 즉, 안내개시키를 누르면, 차량의 현재위치(기호100의 위치)에서 합류점263까지를 연결하는 복귀루트260과, 합류점263에서 목적지까지의 안내경로146만이 제2화면에 명시된다. 따라서, 안내경로의 불필요부분, 즉, 이미 주행해 온 부분등은 제2화면에 표시되지 않는다.
22. 「제2화면의 표시조정」(도34의 스텝SQ22)의 제1실시예
도3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도34)에서의 제2화면의 표시조정(스텝SQ22)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도38의 「제2화면의 표시조정」에서는 차량의 주행에 따르는 제2화면의 복귀루트표시위치조정등이 행해진다. 즉, 복귀루트를 따라서 차량이 주행된 경우, 차량의 현재위치에서 합류점까지의 복귀루트와, 합류점근방의 안내경로등이 제2화면에 최대표시된다. 또한, 도38의 「제2화면의 표시조정」에서는 복귀루트를 포함하는 도로지도에 차량이 화면중심으로 표시된다.
처음에, 복귀루트의 잔존루트, 즉, 미주행루트를 구성하는 각 도로의 데이터가 정보기억부37에서 판독된다. 그리고, 판독된 도로데이터의 각 노드좌표치가 노드 데이터화일F3등에서 판독된다(스텝SV2). 스텝SV2에 의하여 판독된 각 노드의 좌표치에서 동경방향 및 북위방향의 최대치(Emax, Nmax) 및 최소치(Emin, Nmin)가 검색된다(스텝SV4).
이 스텝SV4의 처리는 도36의 스텝ST4와 같다. 그리고, 차량의 현재위치좌표(GX, GY)와, 각 최대치(Emax, Nmax) 및 최소치(Emin, Nmin)에서 다음 수식이 계산된다.
|GX - Emax| ‥‥ (9)
|GX - Emin| ‥‥ (10)
또한, 식(9), (10)에서는 계산결과의 절대치가 구해진다. 그리고, (9), (10) 식의 값에서 큰 것이 동경폭WE로서 RAM5에 기억된다(스텝SV6).
더욱이, 다음 수식이 계산된다.
|GY - Nmax| ‥‥ (11)
|GY - Nmin| ‥‥ (12)
또한, 식 (11), (12)에서는 계산결과의 절대치가 구해진다. 그리고, (11), (12) 식의 값에서 큰 것이 북위폭WN으로서 RAM5에 기억된다(스텝SV8).
또한, 제2화면에 현재표시되어 있는 지도의 축척KAP가 식별된다(스텝SV10). 그리고, 식별된 축척KAP에 의하여 표시할 수 있는 동경방향의 지리적 거리RE와, 북위방향의 지리적 거리RN이 구해진다(스텝SV12). 또한, 이 거리RE, RN은 정보기억부37 또는 ROM4에 기억된 수치산출테이블이 이용되어도 좋으며, 비례식등의 연산식에서 구해져도 좋다. 여기에서의 수치산출테이블은 상기 「제2화면의 초기표시」에서 설명한 수치산출테이블과 같은 것이다. 즉, 각 지도축척으로 제2화면에 지도가 표시되었을 때, 제2화면상의 가로 및 세로방향의 표시가능한 지리적 거리가 그 지도축척과 대응하여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 수치산출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거리RE, RN이 구해진다(스텝SV12).
이어서, 동경폭WE와 거리RE의 대소비교 및 북위폭WN과 거리RN의 대소비교가 행해진다. 그리고, 동경폭WE가 거리RE이상인가, 또는 북위폭WN이 거리RN이상이면, 축척KAP는 보다 넓은 지리범위의 지도를 표시할 수 있는 값으로 변경된다(스텝SV16). 즉, 차량의 이동에 의하여 제2화면상에 복귀루트의 잔존루트를 표시할 수 없게 된 경우에, 스텝SV16의 처리가 실행된다.
그러나, 동경폭WE가 거리RE보다 짧고,또한, 북위폭WN이 거리RN보다 짧으면, 동경폭WE및 북위폭WN이 적정하게 표시할 수 있는 축척KAP인지, 아닌지가 판단된다(스텝SV18). 즉, 동경폭WE가 거리RE보다 상당히 짧은지, 또는 북위폭WN이 거리RN보다 상당히 짧게 되어 있는지가 판단된다. 동경폭WE<<거리RE인가, 또는 북위폭WN<<거리RN과는 차량의 이동에 수반되어, 제2화면에 표시해야 만 복귀루트의 지리범위가 좁아져 온 것을 표시하고 있다. 이 경우, 축척KAP값은 지도가 보다 좁은 지리적범위를 표시할 수 있는 축척치로 변경된다(스텝SV20). 즉, 상세지도가 표시되는 지도축척으로 변경된다.
스텝SV16, SV20에 의하여 축척KAP가 조정되면, 재차 스텝SV14, SV18의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즉, 축척KAP의 값이 동경폭WE및 북위폭WN이 가장 적정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증감된다. 그리고, 적정축척KAP가 스텝SV14, SV18에서 구해지면, 복귀루트의 잔존경로가 차량을 화면중심으로 제2화면에 표시된다(스텝SV22). 이 후, 처리는 도34의 안내·표시처리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복귀루트에 의한 안내개시가 선택된 후, 차량이 주행되면 합류점까지의 복귀루트의 잔존부분이 감소한다. 그래서 「제2화면의 표시조정」의 제1실시예에서는 감소하는 복귀루트의 잔존부분에 맞추어 지도축척이 조정된다. 예를 들면, 복귀루트의 잔존부분이 짧아지며, 표시해야 할 지리적범위가 좁아지면, 제2화면의 표시지도축척이 작게 된다. 이 결과, 보다 상세지도가 제2화면에 표시된다.
또한, 지도의 축척KAP는 미리 정보기억부37에 기록된 테이블을 이용하여 구해져도 좋다. 즉, 제2화면상에 차량이 화면의 중심이 되며, 게다가 잔존복귀루트가 효율좋게 지도상에 표시되는 축척KAP가 정보기억부37등에 기억된 수치산출테이블등을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구해져도 좋다. 또한, 축척KAP는 잔존복귀루트등이 제2화면의 유효표시영역보다 다소 면적이 작은 영역에 적정표시 할 수 있는 값으로 된다. 이는 도36, 37의 「제2화면의 초기표시」처리와 동일하다.
23. 「제2화면의 표시장치」(도34의 스텝SQ22)의 제2실시예
도39는 「제2화면의 표시조정」의 제2실시예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이 「제2화면의 표시조정」의 제2실시예는 도37의 「제2화면의 초기표시」에 대응해 있다. 즉, 차량의 주행에 수반되어 감소하는 복귀루트의 잔존부분을 제2화면에 효율좋게 표시하는 지도축척이 수시로 구해진다. 도39에 있어서, 처음에 차량의 현재위치에서 복귀루트의 합류점까지의 미주행도로데이터가 정보기억부37에서 판독된다. 이 잔존하는 복귀루트 및 본래의 안내경로의 합류점근방의 경로를 구성하는 각 도로의 노드좌표치가 노드데이터화일F3등에서 판독된다(스텝SW2). 스텝SW2에 의하여 판독된 각 노드의 좌표치 및 차량의 현재위치좌표치에서 동경방향 및 북위방향의 최대치(Emax, Nmax) 및 최소치(Emin, Nmin)가 검색된다(스텝SW4). 이 처리는 도37의 스텝SU4와 같다.
그리고, 각 동경, 북위방향 각각의 최대치, 최소치에서 다음 수식이 계산된다(스텝SW6).
Emax - Emin = XE ‥‥ (13)
Nmax - Nmin = YN ‥‥ (14)
그리고, 수평거리XE 및 수직거리YN을 표시할 수 있는 지도의 축척은 미리 정보기억부37에 기록된 수치산출테이블을 이용하여 구해진다(스텝SW8). 즉, 제2화면상에 복귀루트의 잔존부분이 적용표시되는 축척이 구해진다. 또한, 이 보정축척의 산출은 도37의 「제2화면의 초기표시」와 같은 처리가 실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화면에 표시되는 지도가 고정되어 있으며, 차량이 그 표시지도상의 복귀루트상을 이동하도록 표시된다. 단, 지도의 축척은 차량의 이동에 수반되어 변화하는 경우가 있다.
스텝SW8에 의하여 지도축척이 구해지면, 이 구해진 축척으로, 더욱이 동경좌표(Emin + XE/2), 북위좌표(Nmin + YN/2)가 화면중심이 되도록 미주행의 복귀루트와, 합류점을 중심으로 한 본래의 안내경로의 일부가 제2화면에 표시된다(스텝SU10). 그리고, 플로우차트는 도34로 되돌아간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2화면의 표시조정」은 제2화면에 표시되는 복귀루트가 도27의 「제2화면의 초기표시」에 의하여 표시된 경우, 도34의 스텝SQ22로서 행해진다. 또한, 복귀루트를 포함하는 지도가 도37의 「제2화면의 초기표시」의 처리에 의하여 표시된 경우, 도39의 「제2화면의 표시조정」은 행해지지 않아도 된다. 즉, 제2화면에 최초로 표시된 복귀루트등을 포함하는 지도가 축척고정으로 표시됨과 동시에, 차량의 이동에 따른 지도축척의 조정이 행해지지 않아도 된다.
도46은 제2화면표시의 응용예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복귀루트가 화살표시268로 표시된다. 또한, 복귀루트가 제2화면에 표시되지 않을 때, 복귀루트와 본래의 경로가 바뀐다. 합류점만이 표시262에 의하여 명시되어도 좋다. 또한, 복귀루트가 명시되었을 때라도, 합류점이 표시262에 의하여 표시되어도 좋다. 더욱이, 본래의 안내경로에서의 목적지 방향이 목적지방향마크264에 의하여 표시되어도 좋다.
상기 목적지방향마크264의 표시처리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제2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본래의 안내경로와, 디스플레이33의 제2화면108에 표시되어 있는 지도화면의 끝과의 교점이 계산된다. 이 처리에서는 상기 안내경로데이터MW를 구성하는 각 도로중에서 화상프로세서9에 의해 디스플레이33에 표시되어 있는 좌표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도로데이터가 판독된다. 그리고, 이 도로데이터중에서 등록목적지TP에 가장 가까운 도로가 구해진다. 안내도로데이터MW는 안내개시지점에서 등록목적지까지의 사이를 연결하는 도로넘버데이터가 차례로 열거되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순번(어드레스 넘버)이 가장 큰 도로넘버가 등록목적지에 가장 가까운 도로이다.
더욱이, 이 도로를 구성하는 노드중에서 디스플레이33에 표시되어 있는 좌표범위내의 것이 판독된다. 그리고, 이 각 노드중에서 가장 순번(어드레스 넙버)이 콘 노드ND1이 선택된다. 이 노드ND1과, 이 다음 어드레스 넘버의 노드ND2를 연결하는 직선이 디스플레이33의 화면단부와 교차하는 점의 좌표데이터가 구해진다. 구해진 좌표데이터는 교점데이터CP로서 RAM4에 기억된다.
이어서, 디스플레이33에 표시되어 있는 안내경로의 목적지방향을 구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이 처리도 여러가지가 생각되지만, 예를 들면, 상기 교점데이터CP의 좌표(또는 노드ND1의 좌표)와 상기 노드ND2의 좌표를 연결하는 직선의 절대방위에 대한 기울기각(Tanθ1)이 목적지의 방향이 된다.
이어서, 계산된 교점CP에 목적지방향을 나타내는 목적지방향마크264를 표시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이 처리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 정보기억부37 또는 ROM4에는 목적지방향마크에 이용되는 화살표시의 캐릭터 패턴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교점데이터CP에 따라서 상기 목적지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시가 되도록 화살표시의 캐릭터패턴이 회전된다. 이 캐릭터패턴데이터는 화상프로세서9로 보내지고, 화상데이터에 짜넣어진다. 이에 의해 목적지방향마크264가 교점데이터CP에 의하여 나타나는 좌표에 표시된다. 실제로는 화살표시의 선단이 교점데이터CP의 좌표에 일치하도록, 목적지방향마크의 좌표에는 교점데이터CP에 대한 편차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 설명해 온바와 같이, 안내·표시처리의 제6실시예에서는 차량이 안내경로에서 벗어났을 때, 그 안내경로로 되돌리기 위한 복귀루트가 일단 탐색된다. 그리고, 제2화면에 복귀루트등이 적정표시되는 축척으로, 차량근방의 도로지도가 표시된다. 그리고, 조작자의 선택에 의해 복귀루트를 이용한 본래의 안내경로로 안내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이 복귀루트의 안내처리에서는 조작자의 선택에 의해 2화면표시 또는 1화면표시로 된다. 또한, 복귀루트가 조작자의 희망에 적합하지 않는 경우, 조작자의 명령에 따라서 목적지까지의 안내경로가 새롭게 탐색되는 전 루트탐색이 행해진다. 즉, 차량의 주행위치에 따른 안내경로의 선택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의 안내개시, 복귀루트탐색, 루트결정등의 조작은 본 발명에서는 차량이 정지 또는 서행속도이하로 주행하고 있을 때에만 조작가능해 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조작자의 의도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안내경로에서 차량이 일탈하여 주행되어도, 본래의 안내경로와 차량근방을 포함하는 도로지도가 분할된 디스플레이33의 한쪽 화면에 표시된다. 게다가, 이 차량근방의 도로지도는 본래의 경로에서 벗어난 지점에서, 본래의 경로의 합류점까지의 복귀루트가 표시된 경우에서의 적정축척으로 표시된다. 이 복귀루트는 네비게이션장치에 의하여 자동탐색된 차량의 현재위치 또는 본래의 경로에서 벗어난 지점에서 본래의 안내경로의 추장합류점까지의 추장경로이다.
이에 의해, 차량이 조작자에 의하여 의도적으로 안내경로에서 벗어나도, 차량의 현재위치와, 본래의 안내경로의 위치관계등의 필요한 지도정보를 신속히 확인할 수 있다. 게다가, 안내개시가 지시되면, 본래의 경로로 되돌아가기 위한 안내처리가 복귀루트의 표시와 함께 개시된다. 따라서, 안내경로주행중에서의 급한 용무등에 의한 일시적인 경로이탈이 발생되어도, 신속히 안내경로로 복귀하는 일이 가능해진다.
또한, 분할화면의 다른 쪽 화면에는 분할전에 표시되어 있던 지도가 동일축척으로 표시되므로, 지도표시의 전환에 따른 상황혼란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33에 표시되는 지도가 변경되면, 통상, 표시되어 있는 차량의 현재위치 및 지도정보의 파악에 의해 많은 시간이 필요하며, 화면으로의 의식 집중이 발생된다. 이 결과, 차량 양쪽으로의 의식 결락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분할전에 표시되어 있던 지도가 그대로, 분할후의 다른 쪽 화면에 표지되므로, 그와 같은 화면으로의 의식 집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종래의 단일화면에 의한 차량의 현재위치주변의 지도가 표시되어 있던 경우, 표시축척에 의해서는 안내경로가 완전히 화면에서 소실할 경우가 있다. 즉, 분할전의 화면에 상세지도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 차량이 안내경로에서 멀리 떨어짐에 따라서, 안내경로가 화면에서 소실하는 상태가 생겨온다. 이 경우, 차량의 현재위치에 대한 본래의 안전경로의 방향을 알 수 없으며, 신속하게 본래의 경로로 되돌아 갈 수 없다. 또한, 이와 같은 경우에서, 차량의 현재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안전경로가 재탐색되어도, 그 새로운 안내경로가 목적지도착시간이 보다 많이 걸리며, 본래의 안전경로로 복귀한 편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하면 벗어난 본래의 경로와, 차량의 상대위치가 분할화면의 한쪽에 적확하게 표시되므로, 차량의 현재위치에 대한 본래의 안전경로의 위치 및 방향을 적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즉, 본래의 경로로 되돌아가는 것과, 새로운 안내경로를 사용한 경우의 조건비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제6실시예에 있어서는 분할화면의 제2화면에 표시되는 지도의 종류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즉, 도로지도라도, 주택지도라도 좋다. 또한, 주택지도란, 주거등의 시설정보를 포함하는 도로지도이다. 더욱이 본 제6실시예에서는 제2화면의 지도축척은 복귀루트전체가 최대한으로 표시되도록 정해졌지만, 그 이상의 지도축척이라도 좋다. 즉, 복귀루트를 포함하는 보다 범위가 넓은 지도가 제2화면에 표시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복귀루트탐색에서, VICS정보등의 외부에서 송신되는 정보를 고려한 경로탐색이 행해져도 좋다. 즉, 도로혼잡정보등을 근거로, 그 혼잡도로가 복귀루트로서 선택되지 않도록 해도 좋다.
24. 주변시설설정처리
도49는 본 발명의 주변시설설정처리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이 주변시설설정처리는 도5의 목적지설정처리 또는 기타 처리로 실행된다. 주변시설처리에서는 차량의 현재위치부근 또는 안내경로도중에 있는 최종목적지이외의 지나는 길에 들르는 시설의 검색및 선택처리가 행해진다. 지나는 길에 들르는 시설이란,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예를 들면, 연료보급을 위한 주유소, 식사를 위한 레스토랑, 은행, 우체국, 쇼핑을 위한 수퍼등이 있다. 즉, 최종목적지이외의 시설로서, 일상 생활에서 필요한 일을 끝내기 위한 각종 시설이 해당한다.
도49에서는 처음에, 지나는 길에 들르는 시설을 특정하기 위한 장르가 표시된다. 그리고, 이 장르리스트를 이용하여 하나의 장르가 지정된다. 그 지정된 장르에 해당하는 시설이 제2화면의 지도상에 표시된다. 이 때, 제3화면에는 검색시설의 축약조건인 판매품목명의 리스트가 표시된다. 제3화면의 판매품목명리스트에서 특정품목명이 지정된다.
그러면, 제2화면에 상기 판매품목명 리스트가 표시된다. 더욱이, 그 판매품목명에 해당하는 시설만이 제3화면의 지도상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지나는 길에 들르는 시설을 지정하는데, 큰 범주에서 차례로 보다 좁은 범주가 차례로 지정된다. 게다가, 그 지정에 의한 검색결과가 분할화면에 표시된다. 덧붙여서 직전에 지정된 범주에 의한 검색조건이나, 또는 검색조건도 동시에 표시된다.
도49를 설명한다. 처음에, 장르선택의 요구가 조작자로부터 이루어졌는가가 판단된다(스텝SX2). 장르선택의 요구는 디스플레이33에 표시된 아이콘의 「지나는 길에 들르는 곳 설정」등의 문자부분을 누름으로써, 입력된다. 장르선택의 요구가 없는 경우, 도47의 처리가 종료된다. 그리고, 도5의 전체처리로 플로우차트가 되돌아간다. 그리고, 장르선택의 요구가 입력되면, 장르선택용 리스트가 디스플레이33의 화면에 표시된다(스텝SX4).
도50은 디스플레이33의 제1화면104에 표시되는 장르리스트의 예를 나타낸다. 도50에 나타내는 리스트270의 각 란에 장르(예를 들면, 컨비니언스 스토어, 패밀리 레스토랑, 주유소등)의 명칭이 표시된다.
장르리스트가 표시되면, 해당 장르리스트에서 하나의 장르가 선택되었는가가 판단된다(스텝SX6). 장르의 선택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 즉, 일정시간 동안, 터치스위치34의 조작이 행해지지 않으면, 도49의 처리가 강제적으로 종료된다(스텝SX6). 그리고, 처리는 도5의 전체처리로 되돌아간다. 그러나, 특정 장르가 지정되면, 차량의 현재위치에서 소정거리의 권내에 존재하는 지정장르에 해당하는 시설이 시설데이터화일F16에서 검색된다(스텝SX8). 즉, 시설데이터화일F16내의 각 시설에서 지정장르에 해당하는 시설만이 검색된다. 더욱이, 그 검색된 각 시설의 동경좌표SEO 및 북위좌표SNO에서, 차량의 현재위치와의 지리적 직선거리가 산출된다.
그리고, 산출된 직선거리가 소정거리이내에 있는 각 시설의 식별번호가 검색시설번호GBn으로서 RAM5에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선택장르에 해당하는 시설의 추출이 종료되면, 이어서, 디스플레이33의 표시화면의 분할처리가 실행된다(스텝SX10). 그리고, 스텝SX8에 의하여 추출된 각 시설이 제2화면의 지도상에 표시된다(스텝SX12). 더욱이, 제3화면에는 판매품목명이나 브랜드명의 리스트가 표시된다. 예를 들며, 도50에 나타내는 제1화면에 있어서, 장르중 주유소가 선택되면, 판매품목명에 주유의 브랜드명인 리스트가 도51과 같이, 제3화면에 표시된다(스텝SX14). 장르에 은행이 지정되면, 스텝SX14의 처리에 의하여 은행 각사의 이름이 제3화면에 리스트표시된다.
도51은 디스플레이33의 화면이 분할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2화면108에는 제1화면에서 지정된 장르에 해당하는 시설이 추출되며, 차량을 중심으로 하는 지도상에 표시된다. 또한, 제3화면에는 제1화면에서 지정된 주유소의 품목(판매품목명)의 리스트272가 표시된다.
이어서, 되돌리기 요구가 있는지가 판단된다(스텝SX16). 이 되돌리기 요구란, 디스플레이33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가 하나전에 표시되어 있던 정보내용으로 되돌아가는 처리이다. 스텝SX16에서 되돌리기 요구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스텝SX4의 장르리스트의 표시, 즉 도50의 제1화면으로 되돌아간다. 또한, 상기 되돌리기 요구의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도51의 제2화면 혹은 제3화면중 어느쪽인가 한쪽으로 도50의 제1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장르리스트를 표시해도 좋다. 또한, 되돌리기요구의 입력은 디스플레이33에 표시된 아이콘을 누름으로써 행해진다.
되돌리기 요구가 없으면, 제3화면에 표시된 리스트272를 이용하여 판매품목인 주유소의 품목지정이 행해졌는지가 판단된다(스텝SX18).
또한, 스텝SX18에서 지정되는 것은 제2차 검색에서 이용되는 검색조건에 해당한다. 이 제2차 검색의 지정이 행해지는 것으로 특정시설의 축약이 행해진다.
스텝SX18에 의하여 주유소의 품목(판매품목)의 지정이 행해지면, 제2화면에 주유소의 품목(판매품목명)의 리스트가 표시된다(스텝SX20). 그리고, 지정된 주유소의 품목(판매품목)을 취급하는 시설만이 제3화면의 지도상에 표시된다(스텝SX22). 도52은 제2화면108에는 스텝SX20의 처리결과가 표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52의 제3화면110에는 스텝SX22의 처리결과가 나타나 있다. 제2화면108에는 도51에서 나타내는 제3화면의 리스트272가 표시된다. 도52의 제3화면110에는 리스트272의 주유소 품목(판매품목)278에 해당하는 시설279만이 지도상에 표시된다.
이어서, 되돌리기 요구가 있는지가 판단된다(스텝SX24). 이 되돌리기 요구란, 디스플레이33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가 하나전에 표시되어 있던 정보내용으로 되돌리는 처리이다. 스텝SX24에서 되돌리기 요구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스텝SX12의 처리로 되돌린다. 즉, 도52의 표시상태에서 되돌기요구가 행해지면, 도51의 표시상태로 되돌린다.
그러나, 되돌리기요구가 없다면, 시설의 지정조작이 행해졌는지가 판단된다(스텝SX26). 즉, 도52에 나타나는 제3화면의 표시를 이용하여 특정시설이 지정되었는지가 판단된다. 시설이 지정되면, 그 지정된 시설의 좌표치등의 정보가 정보기억부37에서 판독되며, 지나는 길에 들르는 곳DP로서 RAM5에 기억된다(스텝SX28).
한편, 제3화면110의 표시를 이용하여 하나의 시설이 지정되지 않는지, 또는 소정시간조작이 행해지지 않으면, 분할화면의 해제처리등이 행해진다(스텝SX30). 즉, 도47에서 나타낸 주변시설설정처리가 강제적으로 종료된다. 또한, 특정시설이 지정된 경우에도 분할화면의 해제가 실행된다(스텝SX30).
이와 같이, 도49의 주변시설설정처리에서는 지나는 길에 들르는 곳등의 시설지정에, 장르지정, 판매품목명 지정이라는 것과 같이, 좁은 범주의 지정이 차례로 행해진다. 게다가, 그 범주의 지정시에 범주에 해당하는 시설과, 다음 범주지정의 수단이 디스플레이33의 분할화면에 병열표시된다. 따라서, 범주지정의 변경을 즉시 행할 수 있다. 게다가, 그 변경된 범주에 해당하는 시설의 추출결과가 인접화면에 직접표시된다. 따라서, 시설지정의 조작을 보다 신속하고, 또한 적확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스텝SX18에 의하여 주유소의 품목(판매품목)의 지정이 행해지면, 도7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2화면에 스텝SX12에 있어서 선택된 장르에 해당하는 모든 시설, 즉, 도51의 제2화면108이 표시되며, 제2화면에 스텝SX22에서 지정된 주유소의 품목을 취급하는 시설만이 지도상에 표시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의 검색조건으로서 장르지정이 행해진다. 제2 검색조건으로서 판매품목명 지정이 행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검색조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탐색된 안내경로에서 소정거리이내에 있는 시설만이 추출되는 검색조건이 상기 제2 검색조건으로 대체되어도 좋으며, 제3 검색조건으로 되어도 좋다.
25. 경로를 따라서 있는 시설의 추출
도53은 경로를 따라 시설의 추출서브루틴을 나타낸다. 이 서브루틴에서는 검색된 각 시설의 지리좌표데이터에 의해 그 시설에서 안내경로까지의 지리적 최단직선거리가 산출된다(스텝SX32). 그리고, 그 최단직선거리가 소정치이내에 있는 시설만이 추출된다. 또한, 이 최단직선거리산출의 서브 루틴은 도54에 나타낸다. 상기 안내경로란, 도5의 전체처리에서의 경로탐색처리에 의하여 구해진 안내경로데이터MW를 의미한다. 도55은 검출된 시설과 안내경로의 위치관계를 설명하는 도이다. 안내개시지점ε에서 목적지α까지의 경로가 경로탐색처리(스텝SA4)에 의하여 구해진 경로가 된다.
도53에 나타내는 스텝SX32의 처리에서 구해진 각 시설과 안내경로와의 최단직선거리가 약 150m이내의 시설만이 추출된다(스텝SX34). 그리고, 이 스텝SX34에 의하여 추출된 각 시설이 안내경로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좌우 어느측에 있는지가 구해진다(스텝SX36). 도56은 스텝SX36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좌표(X1, Y1)은 목표좌표(Xb, Yb)에 존재하는 시설에 가까이, 안내경로의 노드 좌표를 표시하고 있으며, 도55에 나타나는 노드SAS1에 상응한다. 또한, 기준좌표(X0, Y0)는 도5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경로의 노드SAS2의 좌표 또는 자차량의 현재위치에 상응한다. 따라서, 좌표(X1, Y1)와 기준좌표(X0, Y0)를 연결하는 기준벡터a = (ax, ay)는 도55의 브랜치300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기준벡터a는 a=(ax,ay) = (X1-X0, Y1-Y0)이다. 이 좌표(X1,Y1)와 기준좌표(X0,Y0)는 안내경로데이터MW를 구성하는 도로데이터중, 시설의 목표좌표(Xb, Yb)에 가장 가까운 좌표의 노드가 선택된다.
이 기준벡터a에 대하여, 반(反)시계방향으로 90도회전시킨 직교벡터c=(-ax,ay)가 정의된다. 또한, 기준좌표(X0,Y0)와 시설의 목표좌표(Xb,Yb)를 연결하는 목표벡터b와, 직교벡터c의 사이는 각도θ만큼의 넓어짐이 있다. 또한, 목표벡터b는 b=(Xb-X0,Yb-Y0)이다.
이와 같은 직교벡터c와 목표벡터b의 내적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c·b = |c|×|b|×cosθ
이 벡터c, b의 내적 값이 플러스이면, 착목(着目)시설은 안내경로에서의 진행방향의 좌측에 있다. 역으로, 내적치가 마이너스이면 해당 시설은 진행방향에 대해서 우측에 있다. 이와 같이 안내경로에 대한 각 추출시설의 상대적인 좌우위치가 벡터의 내적 플러스, 마이너스에 의하여 판별된다(스텝SX36). 따라서, 내적계산결과의 플러스/마이너스만을 판별하면, 목표물의 좌우방향이 용이하게 판정된다. 이 판별된 좌우데이터RL은 상기 RAM5에 기억된다. 또한, 도56에 나타나는 기준좌표(X0,Y0)는 안내경로에서의 검사대상시설에 가장 가까운 두개의 노드중, 반드시 출발지점에 가까운 노드의 좌표(도53의 경우에서는 노드SAS2)로 된다. 역으로 좌표(X1,Y1)는 목적지에 가까운 측의 노드좌표(도53에서는 노드SAS1)로 된다.
또한, 상기 직교벡터c는 기준벡터a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90도회전시킨 것이라도 좋다. 안내경로의 진행방향에 대한 각 시설의 상대위치가 기준벡터a와 목표벡터b의 외적 (|a|×|b|×sinθ)이라도 좋다. 안내경로에 대한 각 추출시설의 좌우위치가 검출되면, 각 추출시설에서 목적지까지의 시설-목적지간 거리Zn이 산출된다(스텝SX38). 여기에서의 시설지α까지의 경로를 따라서 있는 거리를 의미한다. 따라서, 도55의 경우, 점PP1에서 노드SAS1까지의 직선거리에, 브랜치364, 365, 366의 각 직선거리가 감산된 것이, 시설-목적지간 거리Zn이다. 또한, 기준 벡터a는 차량의 진행방향이나, 차량에서 목적지로의 방향 북, 남, 동, 서, 조작자가 설정된 방향 어디라도 좋다. 또한, 이 시설-목적지간 거리Zn에 최단직선거리(도53의 스텝SX 32에서 구해진 값)가 가산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구해진 시설-목적지간 거리Zn을 근거로, 추출시설데이터 및 교체가 실행된다(스텝SX40). 예를 들면, 각 시설이 시설-목적지간거리Zn의 가장 큰 것으로부터 나열된다.
26. 최단직선거리산출
도54는 도53에서의 검색시설과, 안내경로와의 최단직선거리산출의 서브루틴(스텝SX32)을 나타낸다. 도55는 안내로를 따라서 있는 시설과, 이 안내경로의 상대적인 지리적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57는 최단직선거리의 산출을 설명하는 도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도55에 나타나는 안내개시지점ε에서 목적지α까지의 경로가 경로탐색처리(도5의 스텝SA4)에 의하여 구해진 경로이다.
또한, 도57에 나타나는 노드SAS1, SAS2가 도55에 나타나는 노드SAS1, SAS2에 대응한다. 검색된 하나의 시설 좌표PP2와 안내경로의 지리적최단직선거리는 다음과 같이 하여 구해진다. 안내경로에서 이 시설의 좌표PP2에 가장 가까운 SAS1, SAS2가 선택된다(도54의 스텝SX42). 또한, 이 안내경로에 있는 각 노드중, 착목시설에 가장 가까운 두개의 노드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다음 처리가 실행된다. 우선, 각 노드와 좌표PP2와의 직선거리가 산출된다. 산출된 각 직선거리중, 최소치 및 다음으로 작은 값의 직선거리를 지니는 노드가 검출된다. 그리고, 두개의 노드가 안내경로에 가장 가까운 노드가 된다.
이어서, 이 두개의 노드SAS1, SAS2를 연결하는 직선을 m등분하는 중간점JJ1, JJ2 …의 각 좌표가 각 노드SAS1, SAS2의 지리적좌표에서 산출된다(스텝SX44). 각 중간점JJ1, JJ2…와, 착목되어 있는 시설의 좌표PP2를 각가 연결하는 직선RR1, RR2 … 의 지리적 직선거리가 산출된다(스텝SX46).
이어서, 초기치 설정으로서 최소치Rmin에 직선RR1의 거리값이 세트된다. 조건변수NS에 초기치「2」가 세트된다(스텝SX48). 이 조건변수NS로 지정되는 NS번째의 직선PR(NS)의 지리적 거리와 최소치Rmin의 대소비교가 행해진다(스텝SX50). 직선RR(NS)의 값이 최소치Rmin보다 작으면, 최소치Rmin에 직선RR(NS)의 지리적 거리값이 세트된다(스텝SX52). 이 수치의 치환 후, 조건변수NS가 1인크리먼트된다(스텝SX54).
그러나, 최소치Rmin이 직선RR(NS)의 거리값보다 작으면, 스텝SX52의 처리는 행하지 않고, 스텝SX54의 처리만이 실행된다. 이 후, 조건변수NS가 노드SAS1, SAS2를 등간격으로 분할하는 중간점수보다 크게 되었는지가 판단된다(스텝SX56). 이 스텝SX56의 판단이 NO라면, 스텝SX50의 처리에서 재차 실행된다. 그러나, 노드SAS1, SAS2를 등간격으로 분할한 중간점 각각에 대한 처리가 모두 실행되면, 도52의 처리가 종료된다.
이하의 처리에 의해, 최소치Rmin에는 착목시설의 좌표PP2에서 노드SAS1, SAS2사이를 연결하는 직선까지의 최단직선거리에 거의 같은 수치가 세트된다. 따라서, 상기 처리에 의하여 요구된 최소치Rmin을 시설과 안내경로간의 최단 시설-경로간거리Rmin으로 한다. 이 최소치Rmin은 목표시설에서 노드SAS1, SAS2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으로의 수직선 거리를 표시한다. 또한, 이 최단직선거리산출처리는 다음과 같이 되어도 좋다. 노드SAS1 또는 노드SAS2와 목표시설까지의 거리산출을 행한다. 더욱이, 노드 및 시설간의 직선거리에서 간접적으로 구해도 좋다.
또한, 각 시설의 추출조건에 도로중앙에 중앙분리대가 존재하는 좌우회전되는 도로에서의 오른쪽측의 근접시설이 제외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탐색된 안내경로중 각 도로의 도로환경을 추출하는 도로조건추출수단이 설치된다. 이 도로조건추출수단에 의하여 판독된 도로조건에 의해, 추출된 시설을 제외하는가가 도53의 스텝SX36의 결과를 이용하고, 시설제외수단에 의하여 판단된다. 즉, 스텝SX36에 의해 안내경로를 따른 좌우 어느측에 각 시설이 있는지가 판별된다. 그래서, 도로환경과, 각 시설의 좌우위치의 비교를 행하면, 상기 추출처리가 가능하다.
상기 도로조건추출수단은 각 도로의 도로데이터화일F4에서, 도로속성데이터, 주의점데이터등이 판독된다. 이 판독된 도로속성데이터등을 이용하여 추출된 시설에 가장 가까운 안내경로의 도로환경이 판단된다. 즉, 그 시설로 지나는 길에 들름이 곤란한지가 시설제외수단에 의하여 판단된다. 이에 의해, 지나는 길에 들름이 아주 곤란한 시설이 목적지 또는 지나는 길에 들르는 곳으로서 선택됨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또한, VICS나 ATIS등의 외부장치에서 송신되는 정보가 수신되어, 지나는 길에 들르는 시설의 추출조건으로 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목적지 주변의 주차장이 지나는 길에 들르는 시설로서 추출시키는 경우, VICS나 ATIS등의 외부정보에 의해, 각 주차장의 만원차, 빈차 상태 또는 해당 시설근방의 도로 혼잡상황도 고려하여 시설을 추출시키도록 한다. 이에 의해, 시설선택의 착오를 보다 적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변시설설정처리 및 목적지설정처리의 개시명령은 차량이 주행중에서는 실행할 수 없는 처리가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예의 네비게이션장치는 당초 설정된 목적지까지 가는 도중등에서 지나는 길에 들르고 싶은 장소가 생겼을 때, 안내경로를 따른 시설이 차량의 현재위치를 고려한 거리와 함께 검색된다. 따라서, 지나는 길에 들르는 시설의 선택범위가 넓어지며, 보다 최적 시설의 선택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차량의 현재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도중에서는 목적에 합치하는 지나는 길에 들르는 시설이 없는 경우라도, 다음과 같은 상태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안내경로를 조금 출발지측으로 되돌린 지점에 목적에 합치하는 시설이 존재한다. 이 경우라도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안내경로를 따라서 있으며, 게다가, 이미 통과한 시설도 검색되므로, 지나는 길에 들르는 시설이 선택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추출된 지나는 길에 들르는 시설이 복수있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축약조건(안내경로로부터의 직선거리)을 엄격히 하면, 보다 사용자의 희망에 합치하는 지나는 길에 들르는 시설만이 표시되기 때문에, 시설선택처리에 필요한 시간이 단축된다.
시설설정처리는 루트에 의거하여 지도정보전역에서 시설의 검색이 행해져도 좋다. 이 경우, 루트를 주행하고 있는 이용자는 루트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고, 소망의 시설에 지나는 길에 들릴 수 있다. 또한, 기준점(현재지, 목적지, 커서위치등)에서 소망범위내의 시설을 선택표시하도록 구성하면, 이용자에 대해 요구되어 있는 정보를 신속하고, 또한, 명료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루트정보 및 시설정보에 의거하여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각 시설위치가 표시되기 때문에, 루트에 대한 소망시설의 위치를 명료하게 표시할 수 있다.
27. 우편번호선택데이터50
도58 ∼ 도63에는 정보기억부37에 기록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의 구조가 나타나 있다. 이들 데이터는 도64의 목적지설정처리에서 이용된다. 도58에는 우편번호선택데이터50이 표시된다. 이 우편번호데이터50은 우편번호RDN, 스트리트 리스트 어드레스LA, 사이즈LD, 시설장르 리스트 어드레스NA, 사이즈ND, 대표점동경좌표PEO, 대표점북위좌표PNO 및 에어리어형상데이터어드레스EA로 구성된다. 하나의 우편번호RDN에 의하여 하나의 지역에어리어가 특정된다. 이 특정된 에어리어에 관한 각종 데이터의 정보기억부37의 기억번지는 스트리트 리스트 어드레스LA 및 시설장르 리스트 어드레스NA등에 의하여 지정된다.
각각의 스트리트 리스트가 기록된 기억개시번지와 메모리 사이즈란, 스트리트 리스트 어드레스LA 및 사이즈LD에 의하여 지정된다. 마찬가지로, 각 시설이 속하는 장르 리스트가 기록된 기억개시번지와 메모리 사이즈가 시설장르 리스트 어드레스NA 및 사이즈ND에 의하여 식별된다. 또한, 장르란, 역, 미술관, 골프장, 책방, 약국, 레스토랑등, 그 시설의 공공시설, 교통시설, 스포츠·레저시설, 쇼핑시설등의 시설, 목적지 또는 지나는 길에 들르는 곳의 분류, 분야, 종류별, 목적, 용도 또는 사업(영업)내용을 표시하고 있다.
대표점동경좌표PEO 및 대표점북위좌표PNO는 우편번호RDN에 따른 에어리어의 거의 중심을 표시하고 있다. 정보기억부37의 지도데이터가 디스플레이33에 표시될 때, 이 대표점동경좌표PEO및 대표점북위좌표PNO로 지정되는 지리좌표가 디스플레이33의 거의 중앙이 된다. 이에 의해, 지정된 우편번호에 해당하는 에어리어가 디스플레이33의 거의 중앙에 표시된다. 즉, 대표점동경좌표PEO 및 대표점북위좌표PNO에 의하여, 우편번호에어리어에 대응하는 지도데이터가 디스플레이33의 거의 중앙에 표시된다. 또한, 표시축척에 의해서는 에어리어의 끝의 일부가 커트되는 경우가 있다.
우편번호RDN의 지정에어리어의 외형상을 특정하는 데이터는 정보기억부37의 기억개시번지 및 메모리 사이즈는 에어리어형상데이터어드레스EA 및 사이즈ED에 의하여 지정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에어리어의 외부둘레의 복수개소의 위도데이터 및 경도데이터(지리좌표)가 어드레스EA로 지정되는 메모리번지에서 기록되어 있다. 이 복수개소의 위도 및 경도(지리좌표)에 의해 하나의 우편번호에어리어가 정보기억부37의 지도데이터에 따른 지도내에서 특정된다. 그리고, 이 각 위도 및 경로가 모두 디스플레이33내에 들어있으면, 지정된 우편번호에어리어는 끝이 커트되지 않고 표시된다.
이와 같이, 우편번호선택데이터50은 우편번호RDN, 스트리트 리스트 어드레스LA, 시설장르 리스트 어드레스NA, 대표점동경좌표PEO, 대표점북위좌표PNO및 에어리어형상데이터 어드레스EA를 1단위로 하는 데이터군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우편번호RDN이 특정되면, 하나의 에어리어가 정보기억부37의 지도데이터에서 특정된다.
따라서, 지정된 우편번호(전화번호)에어리어는 이 에어리어의 대표점데이터에 의거하여 표시출력수단의 거의 중앙에 표시된다. 또한, 에어리어의 형상데이터에 의거하여 최적 표시축척이 선택되며, 표시출력수단에 끝이 잘리지 않고 표시된다.
또한, 우편번호 및 전화번호의 일부(상위일부)에 의하여 대표점동경좌표 및 대표점북위좌표가 선택되어도 좋다. 즉, 우편번호 및 전화번호의 일부가 입력됨에 의해, 입력된 일부의 우편번호 및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에어리어가 특정된다. 예를 들면, 3자리수의 우편번호「123」중 상위에서 2자리수인 「12」가 입력된 경우, 이 입력된 우편번호의 상위「12」에 대응하는 에어리어가 표시되어도 좋다. 더욱이, 우편번호 및 전화번호와 같이, 소정조건에 의하여 구별, 분류 또는 구분된 지역마다의 특정 식별번호가 주어져도 좋다. 예를 들면, 지방, 시, 마을 또는 동마다의 번호, 또는 주마다의 번호또는 기호, 시차역마다의 번호 또는 기호, 유럽공동체 나라마다의 번호또는 기호등이다.
28. 스트리트 리스트 데이터55
도59는 스트리트 리스트 데이터55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낸다. 이 스트리트 리스트 데이터55는 스트리트수SS(m)개의 그룹데이터로 구성되며, 스트리트 리스트 어드레스LA로 지정되는 선두번지로부터 기억된다. 하나의 스트리트 리스트데이터55는 스트리트명칭SSN, 표시대표점동경좌표SEO, 표시대표점북위좌표SNO 및 형상데이터 어드레스SEA 및 사이즈SED로 구성된다.
스트리트명칭SSN은 예를 들면, 이 제m번째의 스트리트의 명칭을 표시한다. 이 스트리트명칭은 국도명(국도번호), 지방도로명(지방도로번호) 또는 고속도로명(고속도로번호)등이 포함되어도 된다. 표시대표점동경좌표SEO 및 표시대표점북위좌표SNO는 이 스트리트의 대표점의 경도 및 위도(지리좌표)를 표시한다. 이 대표점은 스트리트의 거의 중앙 점이 되지만, 스트리트의 시점, 종점 또는 스트리트의 동서남북 어느 끝 점으로 되어도 좋다.
형상데이터 어드레스 SEA 및 사이즈SED에 의해, 이 스트리트의 각 노드의 지리좌표데이터에 의하여 이 스트리트의 외형상이 식별된다. 이들 표시대표점동경좌표SEO, 표시대표점북위좌표SNO 및 각 노드의 지리좌표데이터를 이용하여 스트리트명칭SSN으로 지정되는 스트리트의 도형이 디스플레이33에 표시된다.
하나의 스트리트가 복수의 우편번호에어리어에 걸친 경우, 이 스트리트에 관한 스트리트 리스트 데이터55는 각 우편번호에어리어마다 기억되며, 각각의 스트리트명칭SSN은 같고, 표시대표점동경좌표SEO, 표시대표점북위좌표SNO 및 형상데이터 어드레스SEA 및 사이즈SED는 다르다.
29. 시설장르리스트데이터60
도60은 시설장르 리스트 데이터60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시설장르 리스트 데이터60은 시설장르수NC(k)개의 데이터그룹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시설장르 리스트데이터60는 시설장르명칭NM및 시설리스트 어드레스NLA, 사이즈SED로 구성된다. 시설장르명칭NM은 장르의 명칭을 표시한다.
시설리스트 어드레스NLA로 지정되는 메모리개시번지에서 사이즈NLD로 지정되는 메모리영역에 이 장르에 속하는 시설의 리스트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시설리스트 어드레스NLA 및 사이즈NLD로 지정되는 메모리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에 의해 이 시설장르명칭NM에 속하는 각 시설의 지리좌표와 시설고유의 명칭이 식별된다.
30. 스트리트형상데이터65
도61은 스트리트형상데이터65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낸다. 이 스트리트형상데이터65는 노드수ES(t)개의 데이터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스트리트형상데이터65는 동경좌표EEO, 북위좌표ENO, 번지ENO 및 스트리트명칭SSN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경좌표EEO및 북위좌표ENO에 의해 정보기억부37의 지도데이터에서의 노드의 지리적인 위치가 정해진다. 또한 번지ENO는 이 노드의 주소의 번지데이터를 표시하고 있다. 이 번지ENO는 스트리트가 디스플레이33내에 표시될 때, 스트리트(또는 노드)에 따라서 표시되며, 이에 의해 스트리트를 따라서 있는 각 번지를 식별할 수 있다.
스트리트명칭SSN은 이 시설이 접해있거나, 또는 근접의 스트리트(안내대상도로)의 명칭을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시설주위에 복수의 스트리트(안내대상도로)가 존재한 경우, 복수의 스트리트명칭SSN이 하나의 시설데이터내에 기억되어 있다. 또한, 이 스트리트명칭SSN은 도57에 나타내는 스트리트 리스트 데이터55의 스트리트명칭SSN과 같다. 또한, 안내대상도로는 후술하는 경로탐색처리로 탐색되는 도로를 의미한다.
31. 시설리스트데이터70
도62는 시설리스트데이터70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낸다. 이 시설리스트데이터70는 시설수IS(u)개의 데이터그룹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시설리스트데이터70은 도60에 나타난 하나의 시설장르 리스트 데이터60의 하나의 장르로 귀속하는 복수의 시설을 표시하고 있다.
하나의 시설 리스트 데이터70은 시설명칭IM, 동경좌표IEO, 북위좌표INO 및 번지IB로 구성되어 있다. 시설명칭IM은 시설의 고유명칭이다. 동경좌표IEO및 북위좌표INO는 이 시설의 경도 및 위도(지리적 위치)를 나타낸다. 이 동경좌표IEO및 북위좌표INO에 의하여 이 시설의 지도상 위치가 특정된다. 또한, 번지IB는 주소의 번지를 표시한다.
32. 에어리어형상데이터75
도63은 에어리어형상데이터75의 데이터열의 구조를 표시한다. 이 에어리어형상데이터75는 상술한 바와 같은 지도상의 우편번호에어리어의 외부둘레를 나타내며, 에어리어범위를 특정한다. 즉, 에어리어의 지리적범위는 복수의 노드에 의하여 외주의 지리적인 위치가 특정된다. 하나의 에어리어형상데이터75는 경도와 위도, 즉, 동경좌표AEO와 북위좌표ANO로 이루어진다. 또한, 노드수데이터ANC(v)는 노드의 수를 나타낸다.
33. 목적지설정처리(스텝SA5)
도64 ∼ 65는 본 발명의 네비게이션장치에서 실행되는 목적지설정처리의 플로우차트를 표시하고 있다. 도64는 목적지설정처리(스텝SA3)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내는 도이다. 처음에는 디스플레이33의 화면이 분할된다(스텝SX60). 그리고, 제2화면에 우편번호의 입력화면이 표시된다(스텝SX62). 이 우편번호의 입력화면의 예가 도66의 제2화면108에 나타나 있다. 더욱이, 제3화면에 항목선택용 화상이 표시된다(스텝SX64).
도6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2화면108상에 입력숫자표시란402와, 0 ∼ 9까지의 숫자408과 숫자입력이 완료된 것을 선택하는 「END」문자410이 표시된다. 또한, 이 화면108내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마우스커서406도 표시된다. 이 마우스커서406이 각 숫자408상에 이동되며, 확정입력키를 누르면, 해당 숫자가 네비게이션장치로 인식된다. 또한, 확정입력키는 네비게이션장치상에 설치된 키 스위치이다.
마우스커서406은 작은 죠이스틱에 의하여 이동되어도 좋다. 확정입력키는 이 죠이스틱을 누르는 스위칭구조로 대용되어도 좋다. 또한, 제3화면110에 마우스커서406이 표시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화면110내의 각 표시항목이 죠이스틱의 상하구동에 의하여 선택된다. 선택된 표시항목의 틀내에는 표시색이 변화되며, 선택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되어도 좋다.
도68의 제2화면108의 입력화면을 이용하여 입력된 수치는 우편번호RDN으로서 이용된다. 이 우편번호RDN이 입력되면, 이 우편번호RDN을 바탕으로 우편번호선택데이터50(도58참조)가 정보기억부37에서 검색된다. 즉, 우편번호선택데이터50의 데이터군에서, 입력된 우편번호RDN에 합치하는 하나의 우편번호선택데이터가 정보기억부37에서 판독된다.
이어서, 항목선택화면이 디스플레이33의 제3화면110에 표시된다(스텝SX64). 이 항목선택화면의 표시예는 도68에 나타나 있다. 이 도6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대표점지도표시」의 문자418, 「스트리트명 입력」의 문자420, 「시설명 입력」의 문자422 및 「각 항목에 의한 목적지설정」의 문자424가 표시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33의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마우스커서406이 조작자에 의하여 이동된다. 또한, 확정키가 온된 시점에서의 마우스커서406의 화면108,110상에서의 상대위치가 검지된다(스텝SX66). 즉, 확정키를 누른 시점에서의 마우스커스406의 화면상의 위치가 CPU2에 의하여 식별된다. 그리고, 이 마우스커서406의 위치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내용이 선택된다. 예를 들면, 「대표점지도표시」의 분자418상에 마우스커서406이 겹쳐서 표시되어 있을 때, 확정키를 누르기로 한다. 이 경우, 대표점지도표시의 처리가 선택된다.
이어서, 「각 항목에 의한 목적지설정」이 선택되었는지가 판단된다(스텝SX68). 이 「별도 항목에 의한 목적지설정」이 선택되면, 도62의 처리가 종료된다. 즉, 우편번호로 지정되는 에어리어에서 목적지가 설정되는 처리가 캔슬된다. 따라서, 스텝SX68의 판단결과가 YES인 경우, 별도의 항목에 의거하는 목적지의 설정처리서브루틴이 실행된다(스텝SX70). 예를 들면, 목적지의 주소에서 직접적으로 목적지가 선택되는 처리가 실행된다. 이 스텝SX70의 서브루틴이 종료되면, 처리는 도5의 메인플로우차트로 복귀된다.
그러나, 스텝SX68의 판단결과가 NO인 경우는 스텝SX72이후의 처리가 실행된다. 스텝SX64, SX66에 의한 항목선택처리에서, 대표점지도표시처리, 스트리트명 입력처리 또는 시설명 입력처리중 어느것인가가 선택되면, 이 선택결과가 모드세트데이터MD로서 RAM5에 기억된다.
「별도 항목에 의한 목적지설정」이 선택되지 않고, 그때까지 제3화면에 표시되어 있던 항목 선택화상이 제2화면에 표시된다(스텝SX72). 그리고, 모드세트데이터MD의 데이터에 의해 대표점지도를 표시시키는 모드가 선택되었는지가 판단된다(스텝SX74). 선택되어 있으면, 「대표점지도표시 및 목적지설정」서브루틴이 실행된다(스텝SX76).
그러나, 대표점지도모드가 선택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스텝SX76의 처리가 종료된 경우, 다음 스텝SX78의 판단이 실행된다. 즉, 모드선택이 스트리트입력모드인지가 판단된다(스텝SX78). 스트리트 입력모드가 선택되어 있으면, 「스트리트명칭의 표시 및 목적지설정」서브루틴이 실행된다(스텝SX80).
그리고, 「스트리트명칭의 표시 및 목적지설정」서브루틴이 종료되거나, 또는 스텝SX78의 판단결과가 「NO」인 경우, 스텝SX82의 판단이 실행된다. 즉, 장르별 설정모드가 선택되었는지가 판단된다(스텝SX82). 장르별 설정모드라면 「장르리스트표시 및 목적지설정」서브루틴이 실행된다(스텝SX84). 이 스텝SX84의 서브루틴이 종료되거나, 또는 스텝SX82의 결과가 「NO」의 경우는 복귀키가 눌러졌는지가 판단된다(스텝SX86). 복귀키가 눌러져 있으면, 스텝SX62이후의 처리가 재차 실행된다. 즉, 우편번호입력용 화상이 제2화면에 표시된다. 그러나, 복귀키를 누르지 않으면, 처리가 도5의 메인플로우차트로 되돌아간다.
34. 대표점지도표시 및 목적지설정서브루틴
도65는 대표점지도표시 및 목적지설정서브루틴을 나타낸다. 처음에는 우편번호RDN에서 지정되는 우편번호선택데이터50이 정보기억부37에서 판독된다. 또한, 이 우편번호RDN은 스텝SX62로 입력된다. 더욱이, 이 우편번호선택데이터50에 기록되는 에어리어형상데이터 어드레스EA, 사이즈ED가 추출된다.
이 에어리어형상데이터 어드레스EA및 사이즈ED로 지정되는 메모리영역에서 에어리어의 바깥 둘레(외주)를 정하는 각 노드의 동경좌표AEO및 북위좌표ANO(도63참조)가 차례로 판독된다. 그리고, 각 노드의 동경좌표AEO에서 최대치, 최소치가 추출된다(스텝SX90). 같은 각 노드의 북위좌표ANO에서의 최대치, 최소치가 추출된다.
이들 각 동경좌표AEO, 각 북위좌표ANO 각각의 최대치, 최소치에서 디스플레이33에 지도를 표시할때의 축척이 요구된다(스텝SX92). 이에 의해, 우편번호RDN의 에어리어의 끝이 잘리지 않도록, 에어리어전부가 디스플레이33의 제3화면110내에 표시된다(스텝SX94). 또한, 우편번호RDN의 지정에어리어의 지리범위는 에어리어형상데이터75에 의하여 정해진다. 또한, 디스플레이33에 표시되는 지도데이터는 정보기억부37에 기억되어 있다.
이 스텝SX92에서 산출된 축척으로 제3화면에 지정에어리어가 표시된다(스텝SX94). 이 적정축척에 의한 지정에어리어의 표시예는 도69에 나타낸다. 이 도69에서, 지정에어리어는 점선456으로 둘러쌓인 범위이다. 또한, 이 도69에 나타나는 곡절점460, 462는 노드를 표시하고 있다. 더욱이, 기호452는 차량의 현재위치를 표시하고 있다. 곡선458, 459는 도로를 표시하고 있다. 이 스텝SX94에서는 지정에어리어내의 전 스트리트 또는 주요 스트리트의 형상도 표시된다. 이 경우, 도61의 각 에어리어의 스트리트형상데이터65가 사용된다.
또한, 이 스텝SX92의 적정축척의 선택처리는 생략되어도 되며, 적정축척은 조작자의 수동에 의해 선택되어도 된다. 스텝SX92의 처리가 생략된 경우는 디스플레이33에 표시되는 에어리어지도는 가장 크게 확대한 지도가 된다. 게다가, 지정된 에어리어의 대표점동경좌표PEO, 대표점북위좌표PNO(도58참조)가 제3화면110의 중심이 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33의 제3화면내에 에어리어 지도가 표시되면, 더욱이, 플래시메모리3등에 기억된 도면 기호를 이용하고, 지정에어리어내에 각 시설이 표시된다(스텝SX96). 이 시설의 표시에서는 도62의 시설리스트데이터70이 이용된다. 이 시설의 지리좌표에 따른 좌표에 특정 심볼이 표시된다. 이 심볼은 예를 들면, 별, 원, 삼각, 사각형, 포크, 컵, 구두, 깃발, 집등이다. 또한, 이 시설표시는 디스플레이33의 제3화면에 가장 확대된 에어리어지도가 표시되었을 때만 행해지도록 해도 좋다.
이 후, 디스플레이33내에 표시되는 마우스커서406을 이용하여, 표시지도에어리어의 임의의 점이 지정된다. 즉, 조작자의 조작에 의해, 마우스커스406이 이동되며, 확정키를 누른다. 이 확정키를 누른 시점에서의 마우스커서406의 표시위치가 조작자의 희망목적지이다. 따라서 확정키를 누른 시점에서의 마우스커서406의 표시위치가 취득된다(스텝SX98). 이 커서표시위치에서 실제의 지리좌표위치가 연산에 의하여 산출된다. 이 연산에 의하여 구해진 지리좌표위치가 등록목적지데이터TP로서 RAM5에 기억된다(스텝SX100).
이 스텝SX100의 처리가 종료되면, 처리는 도64의 목적지설정처리로 되돌아간다. 또한, 지나는 길에 들르는 곳 설정도, 상기와 같은 순서에 따라서 행해져도 좋다. 그리고, 지나는 길에 들르는 곳의 지리좌표도 지나는 길에 들르는 곳DP로서 RAM5에 기억된다.
35. 스트리트명칭의 표시 및 목적지설정 서브루틴
도66은 스트리트명칭의 표시 및 목적지설정서브루틴을 나타낸다. 이 도64에서, 스텝SX78의 판단결과가 YES인 경우에 실행된다. 도66에서 처음에 우편번호RDN으로 지정되는 에어리어내에 있는 모든 스트리트가 판독된다(스텝SX110). 이 모든 스트리트의 리스트 업은 도59의 스트리트 리스트 업55을 이용하여 행해진다. 이 스트리트 리트스 데이터55에는 우편번호RDN으로 지정되는 에어리어내에 있는 스트리트명칭이 기억되어 있다. 따라서, 이 스트리트 리스트 데이터55에서 스트리트 명칭만을 추출함에 의하여, 스트리트의 리스트 업이 행해진다.
스텝SX110에서 리스트 업된 스트리트명칭의 리스트는 디스플레이33의 제3화면110에 표시된다(스텝SX112). 또한, 스트리트수SS(m)가 많은 경우, 디스플레이33에 모든 스트리트를 한번에 표시할 수 없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33의 화면이 스크롤됨에 의해, 나머지 각 스트리트명칭이 차례로 표시된다. 스트리트 리스트의 표시예는 도68에 나타난다. 또한, 이 스트리트의 리스트표시와 함께 음성에 의하여 각 스트리트명칭이 통지되어도 좋다.
스텝SX112의 스트리트표시시, 마우스커서406도 디스플레이33의 화면108상에 표시된다. 그리고, 확정키를 누른 시점에서 마우스커서406의 표시위치가 취득된다(스텝SX114). 이 마우스커서406의 표시위치에 의해, 어느 스트리트가 선택되었는지가 식별된다(스텝SX116).
이 스텝SX116에서 선택된 스트리트의 표시대표점동경좌표SEO 및 표시대표점북위좌표SNO가 스트리트 리스트 데이터55에서 판독된다(스텝SX118). 더욱이, 선택된 스트리트의 스트리트형상데이터65가 정보기억부37에서 판독된다. 이 스트리트형상데이터65는 각 노드의 동경좌표EEO와 북위좌표ENO로 이루어지며, 이 스트리트의 형상이 정해진다. 그래서, 이들 각 노드의 동경좌표EEO및 각 북위좌표ENO에서 각각의 최대치 및 최소치가 검출된다(스텝SX120).
이 노드좌표의 동경 및 북위방향 각각의 최대치 및 최소치의 산출은 상기 에어리어 지도표시에서의 스텝SX90과 같은 처리이다. 따라서, 구해진 동경 및 북위방향 각각의 최대치 및 최소치에 의해 디스플레이33에 표시되는 지도의 적정축척이 구해진다. 즉, 구해진 축척으로, 스트리트가 디스플레이33의 제3화면에 표시된다(스텝SX122). 이 디스플레이33의 제3화면에 스트리트가 표시될 때, 이 스트리트에 부수되는 각 번지가 함께 표시된다. 이 스트리트표시에 아울러, 이 스트리트명칭이 음성에 의하여 통지되어도 된다.
제3화면으로의 스트리트표시에 따라서 제2화면에 스트리트 리스트가 표시된다(스텝SX123). 디스플레이33의 제3화면110에 표시된 스트리트의 예는 도71에 나타낸다. 이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택된 스트리트는 제3화면110에서 다른 도로와 식별표시된다. 이 도71에서는 굵은 선500으로 나타난다. 실제의 화면에서는 특징적인 식별색으로 표시되어도 된다. 또한, 제3화면110의 상부에 설치된 표시영역502에 선택된 스트리트명칭이 문자504로 표시된다. 또한, 이 표시스트리트명칭은 스트리트 리스트 데이터55의 스트리트명칭SSN이 이용된다. 도69에서의 문자506은 번지를 표시하고 있다. 이 번지표시는 스트리트 리스트 데이터55의 번지ENO의 데이터가 이용된다.
상기 스텝SX122에서의 적정축척의 산출은 생략되어도 좋다. 이 경우, 스트리트가 가장 확대되도록, 지도가 표시된다. 게다가, 스트리트의 대표점이 화면100의 거의 중앙이 되도록 조정된다. 이 스트리트의 대표점은 스트리트 리스트 데이터55내의 표시대표점동경좌표SEO, 표시대표점SNO로 결정된다.
이와 같이, 특정된 스트리트가 제3화면110에 표시되면, 마우스 커서406에 의하여 목적지가 지정된다. 그래서, 확정키를 누른 시점에서의 마우스커서406의 화면110상의 위치가 검출된다(스텝SX124). 이어서, 복귀키를 눌렀는지가 판단된다(스텝SX125). 복귀키를 누르고 있으면, 디스플레이33의 표시상태가 1처리전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즉, 도64의 스텝SX72로 처리가 되돌아간다. 또한, 복귀키를 누르고 있지 않으면, 커서표시위치에서 실제의 지리좌표위치가 연산에 의하여 산출된다. 이 연산에 의하여 구해진 지리좌표위치가 등록목적지데이터TP로서 RAM5에 기억된다(스텝SX126).
이 스텝SX126의 처리가 종료되면, 처리는 도64의 목적지설정처리로 되돌아간다. 또한, 지나는 길에 들르는 곳 설정도, 상기와 같은 순서에 따라서 행해져도 된다. 그리고, 지나는 길에 들르는 곳의 지리좌표가 지나는 길에 들르는 곳DP로서 RAM5에 기억된다. 더욱이, 상기 스텝SX122에 의한 스트리트표시시, 이 스트리트를 포함하는 지정에어리어전체가 표시되어도 좋다.
36. 장르 리스트표시 및 목적지설정 서브루틴
도67은 장르 리스트표시 및 목적지설정서브루틴을 표시하고 있다. 이 도67에서, 처음에는 우편번호RDN으로 지정된 에어리어내에 있는 각 시설의 장르가 리스트 업된다(스텝SX130). 이 장르의 리스트 업은 도60의 시설장르 리스트 데이터60을 이용하여 행해진다. 이 시설장르 리스트 데이터60의 정보기억부37의 메모리영역은 우편번호선택데이터50의 시설장르 리스트 어드레스NA및 사이즈ND에 의하여 지정된다.
이어서, 시설장르 리스트 데이터60에서 시설장르수NC(k)개의 시설장르명칭NM이 판독된다. 그리고, 장르 리스트가 디스플레이33의 제3화면에 표시된다(스텝SX132). 이 장르 리스트의 화면표시예가 도72에 나타나 있다. 이 후, 확정키를 누른 시점에서의 마우스커서406의 화면110에서의 표시위치가 취득된다(스텝SX134). 더욱이, 복귀키를 눌렀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스텝SX135). 복귀키를 누르고 있으면, 도65의 처리에서 도62의 스텝SX62로 처리가 되돌아간다.
복귀키를 누르고 있지 않으면, 커서406이 있는 위치에 표시되어 있는 장르가 선택되었다고 판단된다(스텝SX136). 이 지정된 장르에 속하는 시설이 리스트 업된다(스텝SX138). 즉, 도62의 시설 리스트 데이터70를 이용하여 선택장르에 해당하는 시설이 리스트 업된다. 시설리스트 데이터70을 메모리영역은 시설 리스트 어드레스NLA 및 사이트NLD에 의하여 지정된다. 시설리스트 어드레스NLA및 사이즈NLD는 시설장르 리스트 데이터60에 포함된다. 즉, 장르가 특정되면, 바로 그 장르에 속하며, 또한 지정된 에어리어내에 있는 시설의 리스트가 정보기억부37에서 판독된다.
이어서, 시설리스트데이터70의 시설명칭IM만이 추출되고, 디스플레이33의 제3화면에 리스트 표시된다(스텝SX140). 더욱이 장르 리스트가 제2화면에 표시된다(스텝SX141). 그리고, 확정키를 누른 시점에서의 마우스 커서406의 화면110에서의 표시위치가 취득된다(스텝SX142). 이 커서106의 표시위치의 시설이 목적지로서 설정된다(스텝SX144).
이 후, 복귀키를 눌렀는지가 판단된다(스텝SX145). 복귀키를 누르고 있으면, 도64의 스텝SX72로 처리가 되돌아간다. 그러나, 복귀키를 누르지 않으면, 스텝SX146이후의 처리가 실행된다.
스텝SX144에서 선택된 시설의 동경좌표IEO 및 북위좌표INO가 시설리스트 데이터70에서 판독된다. 이 동경좌표IEO 및 북위좌표INO를 바탕으로 하여 지정된 시설주변의 지도가 디스플레이33의 제3화면에 표시된다(스텝SX146). 더욱이, 시설 리스트가 제2화면에 표시된다(스텝SX147). 또한, 이 지도표시의 축척은 지도가 최대표시되는 축척, 또는 조작자에 의하여 선택된 축척이라도 좋다. 더욱이, 이 특정된 시설의 주변지도표시에 아울러, 음성에 의하여 시설명칭이 통지되어도 좋다. 또한, 스텝SX147의 표시가 행해진 후, 복귀키를 눌렀는지가 판단된다(스텝SX148). 복귀키를 누르고 있으면, 스텝SX140의 처리가 재차 실행된다. 그러나, 복귀키를 누르고 있지 않으면, 처리는 도64의 목적지설정처리로 되돌아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목적지설정처리에서는 우편번호RDN으로 특정 에어리어가 지정된 후, 디스플레이33에 표시되는 정보는 복수 종류(3종류, 3모드)이다. 이에 의해, 목적지의 검색이 보다 용이해 진다. 또한, 각 선택상태에서 복귀키를 누르면, 하나전의 선택화면으로 표시가 되돌아간다.
또한, 목적지설정처리는 다음과 같이 실시되어도 좋다. 우선, 우편번호에 의하여 특정에어리어가 지정된다. 이어서, 그 에어리어내에 있는 모든 스트리트에서 특정의 스트리트가 선택된다. 더욱이, 장르지정이 행해지면, 그 선택스트리트주위에 있으며, 게다가 지정된 장르에 해당하는 시설이 리스트 업된다. 최후로 이 리스트 업된 시설명칭에서 소망하는 목적지가 선택된다. 이에 의해, 소망하는 목적지가 스트리트 근방에서, 게다가 특정장르에서 검색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목적지설정처리가 다음과 같이 행해져도 좋다. 우편번호에 의하여 특정에어리어가 지정된다. 이어서, 그 에어리어내에 있는 스트리트에서 특정의 스트리트가 선택된다. 더욱이, 그 선택스트리트를 따라서 있는 시설이 리스트업된다. 최후로, 이 리스트 업된 시설명칭으로부터 소망하는 목적지가 선택된다. 따라서, 소망하는 목적지가 특정지역의 특정스트리트를 따라서 추출된다.
더욱이, 또한 상기 목적지설정처리는 다음과 같이 행해져도 된다. 우선, 우편번호RDN으로 특정 에어리어가 지정된다. 이 후, 특정 장르가 선택된다. 이어서, 지정된 동일장르에 해당하는 각 시설이 존재하는 스트리트명칭이 열거된다. 그리고, 이 스트리트명칭 리스트를 바탕으로 하여 시설이 선택된다. 따하서, 목적지를 설정하는 경우, 지역, 장르, 스트리트 순으로 검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경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66의 스텝SX116에서의 스트리트선택시에 있어서 스트리트 리스트가 도70과 같이, 디스플레이33내에 표시되지만, 이것이 다음과 같이 행해져도 된다. 즉, 도69의 제2화면110과 같이, 에어리어가 디스플레이33의 분할화면에 표시됨과 동시에 각 스트리트 명칭도 그 화면상에 함께 표시된다. 그리고, 마우스커서406에 의하여 표시에어리어상의 임의의 지리좌표가 선택되면, 즉시 그 선택부분을 중심으로 한 확대도가 표시된다. 이 확대도 표시시, 디스플레이33의 표시가능범위에 있는 시설도, 동시에 표시된다. 이에 의해, 특정지역의 특정스트리트를 따라서 있는 각 시설을 조작자는 지도를 보면서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 우편번호에 의하여 에어리어가 지정되지만, 이 우편변호를 그대로 전화번호의 전부 또는 상위일부에 치환가능하다. 즉, 시외국번만으로 에어리어를 지정하거나, 시외국번과, 시내국번을 제외한 나머지 전화번호의 상위자리수를 이용하여, 에어리어를 지정할 수 있다. 더욱이, 입력되는 우편번호는 상위일부 또는 전부 중 어느것이어도 좋다.
더욱이, 상기 스텝SX94 또는 SX96 뒤에 상기 스텝SX110, 또는 스텝SX130으로 처리가 점프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표시된 에어리어내의 스트리트의 리스트 혹은 도형 또는 시설 리스트 또는 위치가 표시출력 또는/및 음성출력된다. 또한, 상기 스텝SX112에서 상기 스텝SX94의 처리가 실행되어도 된다. 상기 스텝SX140에서 상기 스텝S×96의 처리가 대신하거나, 또는 동시에 실행되어도 좋다. 이에 의해, 지정된 에어리어내의 스트리트의 도형 또는 지정된 에어리어내의 시설의 위치가 표시된다. 또한, 상기 스텝SX146과 스텝SX144의 순번이 교체되어도 된다.
더욱이, 마우스커서에 의한 선택이 조작자로부터의 음성에 의하여 실행되어도 좋다. 이 경우, 표시출력 또는/및 음성출력된 리스트중에서 소망 사항이 선택되며, 이 사항이 조작자에 의하여 발음됨으로써 지정된다.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우편번호RDN입력에 의거하는 목적지 또는 지나는 길에 들르는 곳의 검색처리가 경로탐색처리(스텝SA4) 전에 행해진다. 그러나, 이들의 목적지 또는 지나는 길에 들르는 곳 검색처리가 스텝SA5의 안내·표시처리도중에서도 행해져도 된다. 즉, 안내경로도중에서 조작자의 요구에 따라서 새로운 지나는 길에 들르는 곳 또는 목적지가 설정된다. 단, 이들 조작자는 차량이 정지 또는 서행상태에서 행해진다. 이에 의해, 용이하게 목적지 또는 지나는 길에 들르는 곳이 설정변경된다. 더욱이, 목적지, 지나는 길에 들르는 곳의 선택에 각 시설의 영업시간에 의한 추출이 행해져도 좋다. 예를 들면, 오전 11시에서 오후 11시까지 영업하고 있는 시설이 추출되어도 좋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지설정처리에서는 화면이 분할됨과 동시에, 각 분할화면에 검색조건 및 검색결과가 병렬표시되었다. 이에 의해, 목적지의 검색조건 짜넣기를 단계적으로 행할 수 있으므로, 목적지의 검색을 보다 간편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등을 얻는다. 특히, 소망목적지의 주소등을 명확히 알 수 없는 경우라도, 지역을 특정하는 번호를 바탕으로, 목적지를 검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3의 표시화면에서의 분할위치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33의 화면을 종방향으로, 게다가, 제2화면과 제3화면을 균등면적이 되도록 분할했다. 그러나, 제2화면의 표시면적이 제3화면의 표시면적보다 작아도 좋다. 역으로, 제2화면의 표시면적이 제3화면의 표시면적보다 커도 좋다. 또한, 디스플레이33의 표시화면이 세로길이의 경우는 수평방향으로 분할하고, 제3화면을 윗쪽 화면으로, 제2화면을 아랫쪽 화면으로 해도 좋다. 또한, 여기에서의 제3화면이란, 운전자에 있어서 보다 필요성이 높은 지리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의미한다. 더욱이,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화면을 2분할했지만, 3화면이상으로 분할해도 된다. 예를 들면, 상기 각 실시예에서의 제2화면을 수평방향으로 분할하고, 윗측과, 아랫측의 화면으로 분할한다. 그리고, 각 분할화면에 다른 지리적인 정보가 표시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2화면, 제3화면에 각각 지리적인 정보가 표시되었다. 이를 다음과 같이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2화면에, 텔레비젼화상이 표시된다. 제3화면에는 종래의 지도정보가 표시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화면분할해제가 사용자에 의하여 지시되면, 디스플레이33의 화면전체에 하나의 지도가 표시된다. 이 분할해제시에는 제3화면에 표시되어 있던 지도가 디스플레이33의 화면전체에 표시된다.
(1) 이상의 것에 덧붙여서, 화면의 분할은 좌/우이외로, 상/하, 사선윗쪽/사선아래쪽이라도 되며, 양화면의 표시면적은 달라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화상메모리10은 이들의 분할형태에 따라서 분할되며, 각 화상메모리소자의 어드레스지정도, 이들의 분할형태에 따라서 나누어진다. 또한, 분할화면의 수는 두개를 넘어도 좋으며, 이에 의하여 화상메모리10의 분할수도 증가하며, 팔레트RAM204, 208의 수도 증가된다.
(2) 상기(1)에 덧붙여서, 상기 도10 또는 도14의 제3화면110(또는 제2화면108)에 표시되는 정보는 도17의 간략도라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스텝SC8, SC20, SD12, SD14 또는 상기 스텝SC6, SC18, SB18, SB22, SK8, SK12)으로 상기 스텝SK16 또는 SK24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상에 첨가하여, 상기 스텝SK4에서는 디스플레이33에 표시된 아이콘상의 터치스위치 또는 이 아이콘에 대응하는 스위치의 조작이 판별되어도 된다. 이 아이콘은 「지도방향」이다.
이상에 첨가하여, 상기 스텝SB4, SB10, SE4, SE12, SG10, SG4에서도, 상기 아이콘에 따른 조작자에 의한 조작이 판별되어도 좋다. 이 아이콘은 스텝SB4에서는 「분할해제」, 스텝SB10에서는 「화면분할」, 스텝SE4, SG4에서는 「축척변경」, 스텝SE12에서는 「루트 전방표시」, 스텝SG10에서는 「전 루트표시 」등이다.
도8의 화면분할처리에서, 각 화면에 표시되는 지도를 수동에 의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아이콘으로 표시되는 「상세」가 선택되면, 주로 간선도로(안내대상도로)뿐인 전 화면에서, 비간선도로(좁은 도로 또는 안내비대상도로)를 포함하는 분할화면과 간선도로(안내대상도로)만의 분할화면으로 전환된다. 또한, 아이콘으로 표시되는 「개략」이 선택되면, 비간선도로를 포함하는 전 화면에서 간선도로만의 분할화면과 비간선도로를 포함하는 분할화면으로 전환된다.
또한, 도11의 제3화면처리의 스텝SD4에 있어서도, 표시지도의 상태를 수동에 의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아이콘으로 표시되는 「교차점」이 선택되면, 도로지도의 전 화면에서 교차점 또는 회전하는 지점에서의 좌우회전방향을 나타내는 분할화면과 상기 도로지도의 분할화면으로 전환된다. 이상에 의해, 화면분할전의 표시내용이 분할후의 하나의 화면에 표시되며, 표시전환에 의하여 표시하고 싶은 내용이 분할 후의 다른 화면에 표시된다.
(3) 상기 (1)(2)에 덧붙여서, 상기 분할표시로의 전환은 차량의 방위의 변화에 따라도 된다. 이 경우, 절대방위센서21 또는 상대방위센서22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차량의 방위가 「북」에서 소정각도(예를 들면 ±45도, ±30도)하면, 상기 스텝SK12 →SK14 → …, 스텝SK8 →SK10→…, 스텝SK20 →SK24→…, 스텝SK22 →SK24→…로 들어가게 된다. 또는 상기 도11의 스텝SD2에서 판별되는 것은 차량에서 목적지 또는 지나는 길에 들르는 곳까지의 거리가 소정거리미만이 되었거나, 되지않아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스텝SD4에서, 제3화면에 목적지 또는 지나는 길에 들르는 곳의 업종, 종목, 가격, 명칭, 전화번호등이 표시된다.
(4) 상기(1)(2)(3)에 덧붙여서, 상기 도10, 도14 또는 도16의 제2화면108(또는 제3화면110)에 표시되는 정보는 상기 노스업으로, 더욱이, 상기 좁은 도로를 포함하는 상세 도로지도가 표시되어도 된다.
이상에 첨가하여, 상기 스텝SK2가 생략되며, 도6의 각 처리에 의한 분할화면이 표시된채, 스텝SK6 →SK7→…의 처리로 들어가도 된다. 또한, 도19 또는 도21의 각 처리에 의한 분할화면이 표시된채, 스텝SD2 또는 스텝SD10의 처리로 들어가도 된다. 이에 의해 분할화면의 표시내용이 동시에 전환된다.
이상에 덧붙여서, 각 분할화면마다 상기 「상세」,「개략」,「교차점」,「지도방향」「화면분할」,「축척변경」,「루트전방표시」,「전 루트표시」등의 아이콘이 표시되며, 이 아이콘에 따른 스위치가 조작자에 의하여 조작되며, 각 분할화면마다 표시내용이 개별로 전환되어도 된다.
(5) 상기(1)(2)(3)(4)에 첨가하여, 도6, 도19 또는 도21의 각 처리에 의한 분할화면이 표시된채, 단일화면표시로 되돌아가도 된다. 이 경우, 이 단일화면에 표시되는 지도정보는 상기 분할화면중 어느것인가에 표시되어 있던 지도정보, 이 분할화면중 어디에도 표시되어 있지 않던 지도정보 또는 화면분할전의 본래의 지도정보이다.
이 경우의 단일화면으로의 전환은 상술한 조작자의 전환조작, 차량의 주행상태의 변화, 차량의 차속의 변화, 차량의 방위의 변화, 교차점 또는 회전하는 지점에서 차량까지의 거리의 변화, 목적지 또는 지나는 길에 들르는 곳까지의 거리의 변화등에 의거한다.
이 표시전환에 따라서, 상기 스텝SK16, SK24, SD4, SC6, SC8, SC18, SC20, SK8, SK10, SK12, SK14, SK20, SK22, SK24가 실행된다. 이 경우, 표시정보는 분할화면이 아니며, 디스플레이33의 전 화면에 표시된다.
(6) 상기 실시예에서는 운전자에 가까운 쪽의 화면이 도10, 도14, 도16, 및 도20에서는 제3화면110이었다. 여기에서 상기 (1) (2) (3) (4)에 덧붙여서, 이 제3화면110과 제2화면108이 좌핸들과 우핸들에 따라서 또는 차량의 주행상태의 변화에 따라서 교체되어도 좋다. 이 경우, 상술한 조작자의 전환조작, 차량의 주행상태의 변화, 차량의 차속의 변화, 차량의 방위변화, 교차점 또는 회전하는 지점에서 차량까지의 거리의 변화, 목적지 또는 지나는 길에 들르는 곳까지의 거리의 변화등에 의거하여, 상기 도6, 도19, 및 도21의 플로우차트의 컴퓨터프로그램의 변경이 행해진다.
이 변경에서는 상기 스텝SC6, SC8, SC18, SC20, SD12, SD14, SE120, SG16, SK12, SK14, SK8, SK10, SK20, SK22, SK24에서의 표시처리가 제3화면110과 제2화면108으로 교체된다.
또는 스텝SC6 및 SC8, 스텝SC18 및 SC20, 스텝SC18 및 SC20, 스텝SK12 및 SK14, 스텝SK8 및 SK10, 스텝SK20 및 SK22, 스텝SK20 및 SK24등으로, 그때까지 제2화면108에 표시되어 있던 정보가 제3화면110으로 옮겨지며, 제3화면110에 표시되어 있던 정보가 제2화면108으로 옮겨지며, 양 표시화면이 교체된다. 이에 의해, 각각의 분할화면의 표시내용은 서로 교체할 수 있다.
(7) 상기에 덧붙여서, 제2화면에 표시되는 지도는 제3화면에 표시되는 지도에 대하여, 북방향, 북동방향, 동방향, 남동방향, 남방향, 남서방향, 서방향 또는 북서방향에 이어지는 지도라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제1실시예의 스텝SB16에서 판단되는 모드가 상기 방향에 접속하는 지도표시모드인지가 판단된다. 그리고, 이 스텝SB16에 해당하는 모드라면, 해당 모드에 적합한 지도표시가 스텝SB18에서 행해진다. 예를 들면, 제3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지도가 노스업화면으로 하자. 이 경우에, 동방향에 접속하는 지도표시모드가 선택되었다고 한다.
또한, 지도접속부분의 지리적인 좌표검출은 도11(제3화면표시처리)에서의 제3화면의 단부에서의 클로스포인트CSP가 검출되는 스텝SD20으로 행해진다. 즉, 이 스텝SD20에서, 제3화면에 표시되는 지도의 동단(東端)의 지리좌표가 검출된다. 그리고, 상기의 모드선택을 받고, 도6의 스텝SB18에서는 이 제3화면에 표시되는 지도의 동단에 접속하는 지도가 제2화면에 표시된다.
더욱이, 상기 제2화면의 지도표시는 조작자의 조작, 설치자의 조작등에 의거하여, 해당 조작이 검출되어 행해져도 된다. 더욱이, 네비게이션장치 근방표면에 설치된 물체검출센서, 예를 들면 적외센서등에 의하여 운전자의 위치가 검지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이 운전자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제2화면으로의 지도표시처리가 행해져도 된다. 더욱이, 속도센서등에 의하여 검출되는 차량의 주행상태의 변화 또는 차량의 차속의 변화에 의하여 상기 제2,3화면의 지도표시처리가 행해져도 된다.
더욱이, 상대방위센서에 의하여 검출되는 차량의 방위의 변화에 의하여 상기 제2,3화면의 지도표시가 행해져도 된다. 안내경로의 주행위치에 의하여 교차점 또는 회전하는 지점에서 차량까지의 거리의 변화, 목적지 또는 지나는 길에 들르는 곳까지의 거리의 변화가 검출되며, 이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2,3화면의 표시가 행해져도 된다.
(8) 상기에 덧붙여서, 상기 제3화면에 표시되는 지도는 차 량, 출발지, 목적지, 지나는 길에 들르는 곳 또는 선택된 임의의 개소의 주위를 표시하는 지도정보라도 된다. 그리고, 이 제3화면에 표시된 지도의 모든 방위의 1방위에 이어지는 지도가 제2화면에 표시되어도 된다. 즉, 제3화면에 목적지(지나는 길에 들르는 곳, 지정지등)주변의 지도가 표시되어 있다고 한다. 제2화면에는 이 제3화면의 지도에 접속되는 지도로서, 더욱이, 출발지에서 목적지로 이어지는 안내경로를 포함하는 지도가 표시되어도 된다. 이 경우의 처리도 상기(7)과 같이, 도11의 제3화면표시처리의 스텝SD20에서 행해진다. 즉, 제3화면에 표시되는 지도의 단변에 대응하는 지리좌표가 스텝SD20등에서 검출된다. 그리고, 도6의 스텝SB18에서 제2화면에 이 제3화면의 단변의 지리좌표에 이어지는 지도가 표시된다.
더욱이, 제2화면에 표시되는 제3화면에 이어지는 지도는 차량의 주행연장선상에서 접속하는 지도라도 좋다. 즉, 차량이 안내경로상을 주행하고 있지 않을 때, 제3화면에 목적지주변의 지도가 표시된다고 한다. 제2화면에는 제3화면에 이어지는 지도가 표시된다. 그러나, 자차가 안내경로를 주행하고 있지않으므로, 제2화면에는 안내경로가 포함되지 않아도 된다. 첨가하여, 제2화면에는 차량의 위치 또는 안전경로와 무관계인 방향의 지도가 표시되어도 된다.
또한, 제2, 제3화면 각각에 표시되는 지도는 각 지도의 표시중심이 서로 엇갈려 있어도 된다. 각 지도의 표시범위가 제2, 제3화면끼리 서로 겹쳐있지 않고, 지리적으로 떨어진 지도가 표시되어도 된다. 제2화면, 제3화면 각각에 표시되는 지도의 일부가 겹쳐있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경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2에 나타나는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기록매체는 플로피디스크등의 기록이 가능한 기록매체라도 된다. 더욱이, 상기 네비게이션장치에,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를 구비하는 음성입력장치를 구비시키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이 음성입력장치에 의하여 입력된 음성명령에 의하여 각 조작이 실행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디스플레이33의 화면이 두개의 표시면으로 분할된다. 이를 두개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하여 실시해도 된다. 즉, 하나의 광체(筐體)내에 두개의 액정디스플레이가 인접하여 배치된다. 그리고, 분할전에서는 두개의 액정디스플레이에 의하여 하나의 지도가 표시된다. 분할이 지시되면, 각각의 액정디스플레이에 다른 지도정보가 표시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관련된 네비게이션장치에서는 상술의 플로우차트 전부 또는 일부의 처리가 VICS, ATIS등의 정보관리센터에서 실행되어도 좋다. 이 처리결과(처리정보)는 데이터송수신장치27에서 수신된다. 예를 들면, 도5의 목적지설정처리(스텝SA3) 및 경로탐색처리(스텝SA4)등이 지리정보가 축적된 정보처리센터에서 실행된다. 그리고, 탐색된 안내경로데이터가 데이터송수신장치27을 통하여 본 발명의 네비게이션장치에 전송된다.
본 발명의 네비게이션장치에서는 보내져 온 안내경로데이터에 의거하여 안내표시의 처리가 실행된다. 즉, 목적지 또는 지나는 길에 들르는 곳의 시설의 검색조건 및 경로탐색조건등의 정보가 본 발명의 네비게이션장치에서 상기 정보관리센터로 보내진다. 정보관리센터에서는 이 보내져 온 조건에 의거하여, 소망의 시설 검색과, 목적지까지의 경로의 탐색이 실행된다. 그리고, 정보관리센터에서 네비게이션장치로 검색·추출·탐색결과에 관한 정보가 지도정보등과 함게 송신된다.
네비게이션장치에서는 이 수신된 검색·추출·탐색결과에 의거하여 검색시설이 디스플레이33상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하면, 차량의 현재위치주변에 관한 각 시설의 상세 또는, 최신정보에 의거하여 각 시설의 검색, 추출, 탐색이 가능하다. 또한, 시설검색에서 주변도로의 환경변화(일방통행도로의 신설등)를 고려한 검색이 가능하다. 또한, 이 경우, 정보관리센터에 축적되는 각 시설에 관한 정보는 항상 변경될 필요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 설명한 각 프로그램과, 지도 및 표시기호등의 정보를 기억한 정보기억부37을 일반 컴퓨터장치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즉, 정보기억부37에 기억된 프로그램이 일반 컴퓨터에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이 된다. 그리고, GPS수신장치25에 의해 현재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장치와 함께, 정보기억부37을 휴대타입의 컴퓨터장치에 접속하면, 이 컴퓨터장치에서도 네비게이션처리가 가능해진다. 더욱이, 본 발명은 자동차이외의 자차량이나, 선박, 항공기, 헬리콥터등의 네비게이션장치로서도 적용할 수 있으며, 네비게이션에 이용되는 지도는 도로지도외에 해도(海圖)나, 해저지도등이라도 된다.
상기 설명한 본 발명에 관련된 제1실시예는 지도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2개이상의 화면으로 분할하고(도6의 스텝SB12), 이 중 하나이상의 화면에 기억 또는 수신된 제1의 지도정보를 표시하고(도6의 스텝SB14), 이 표시된 화면이외의 화면에, 이 표시된 제1의 지도정보와 달리, 더욱이, 기억 또는 수신된 제2의 지도정보를 동시에 표시하고(도6의 스텝SB18 또는 스텝SB22), 상기 제1의 지도정보는 소정의 처리에 의하여 표시된 지도정보(제3화면110 또는 도17)이며, 상기 제2의 지도정보는 상기 제1의 지도정보에 연결되는 지도정보(도16의 제2화면108)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제1실시예는 지도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2개이상의 화면으로 분할하고(도6의 스텝SB12), 이 중 하나이상의 하면에 기억 또는 수신된 제1의 지도정보를 표시하고(도6의 스텝SB14), 이 표시된 화면이외의 화면에, 이 표시된 제1의 지도정보와 달리, 더욱이, 기억 또는 수신된 제2의 지도정보를 동시에 표시하고(도6의 스텝SB18 또는 스텝SB22), 상기 제1의 지도정보는 차량의 주위를 표시하는 지도정보(제3화면110), 또는 차량의 출발지 또는 현재위치부근과 목적지 또는 지나는 길에 들르는 곳 부근의 지리관계를 표시하는 간략도(도17)의 정보이며, 상기 제2의 지도정보는 상기 제1의 지도정보에 연결되며, 더욱이, 차량의 행선지방향의 지도, 차량의 출발지 또는 현재위치부근에서 목적지 또는 지나는 길에 들르는 곳 부근까지의 지도를 표시할 수 있는 지도정보(도16의 제2화면108)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실시예의 상기 지도정보에는 네비게이션의 안내대상도로 및 비안내대상도로의 정보가 상기 제1의 지도정보 또는/및 제2의 지도정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제1실시예는 상기 특징에 첨가하여, 상기 지도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의 표시내용의 전환을 검출하도록 하고(도6의 스텝SB10, SB16, SB20), 이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1의 지도정보를 해당 전환전에 표시되어 있던 지도정보로 하도록 하고(도6의 스텝SB14), 같이 이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2의 지도정보를 해당 전환후에 표시해야 할 지도정보로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예는 상기 특징에 첨가하여, 상기 표시내용의 전환전의 표시화면은 분할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분할되어 있으며(도6의 스텝SB2), 상기 표시내용의 전환은 조작자의 전환조작, 차량의 주행상태의 변화, 차량의 차속의 변화(도11의 스텝SD10), 차량의 방위의 변화, 교차점 또는 회전하는 지점에서 차량까지의 거리의 변화(도11의 스텝SD2), 목적지 또는 지나는 길에 들르는 곳까지의 거리의 변화에 따라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제1실시예는 상기 특징에 첨가하여, 상기 분할된 각 화면에 표시되는 지도는 각각에 또는 연동하여 축척이 변경되는(도12의 스텝SE4, 도15의 스텝SG4)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제1실시예는 상기 특징에 첨가하여, 상기 제1의 지도정보 또는 제2의 지도정보는 더욱이 차례로 별도의 지도정보로 전환되며, 이에 의해 상기 분할화면의 일부 또는 전부의 표시내용이 더욱 더 차례대로 개별로 혹은 동시에 전환되며, 또는, 상기 제1의 지도정보 또는 제2의 지도정보, 또는 제1의 지도정보 및 제2의 지도정보와는 별도의 지도정보, 또는 화면분할전의 본래의 지도정보 중 어느것인가가 화면의 전환에 따라서 분할되지 않는 단일의 화면에 표시되며(도6의 스텝SB6), 상기 표시내용의 전환은 조작자의 전환조작, 차량의 주행상태의 변화, 차량의 차속의 변화, 차량의 방위의 변화, 교차점 또는 회전하는 지점에서 차량까지의 거리의 변화, 목적지 또는 지나는 길에 들르는 곳까지의 거리의 변화에 따라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제1실시예는 상기 특징에 첨가하여, 상기 제1의 지도정보와 제2의 지도정보가 표시되는 화면은 서로 교체되며, 이 교체는 조작자의 조작, 설치자의조작, 운전자의 위치의 검지, 차량의 주행상태의 변화, 차량의 차속의 변화, 차량의 방위의 변화, 교차점 또는 회전하는 지점에서 차량까지의 거리의 변화, 목적지 또는 지나는 길에 들르는 곳까지의 거리의 변화에 의거하여, 상기 분할된 화면중 운전자에 가까운 화면에, 상기 제1의 지도정보 또는 제2의 지도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예는 상기 각 실시예의 특징에 첨가하여, 상기 제1의 지도정보 및 상기 제2의 지도정보는 한쪽이 노스업에 의한 표시(도19의 스텝SK8, SK14)이며, 다른쪽은 헤딩업(도19의 스텝SK10, SK12)에 의한 표시이며, 또는, 상기 제1의 지도정보 및 상기 제2의 지도정보는 한쪽은 북쪽의 절대방위를 화면의 어디인가의 방향에 거의 유지한 지도의 정보이며, 다른쪽은 차량의 진행방향을 화면의 어느쪽인가의 방향으로 거의 유지한 지도의 정보이며, 또는 상기 제1의 지도정보 및 상기 제2의 지도정보는 같은 축척 또는 다른 축척이며, 상기 제2의 지도정보는 상기 제1의 지도정보에 대하여, 북, 북동, 동, 남동, 남, 남서, 서 또는 북서에 이어지는 지도정보이며, 이들의 지도정보는 조작자의 조작, 설치자의조작, 운전자의 위치의 검지, 차량의 주행상태의 변화, 차량의 차속의 변화, 차량의 방위의 변화, 교차점 또는 회전하는 지점에서 차량까지의 거리의 변화, 목적지 또는 지나는 길에 들르는 곳까지의 거리의 변화에 의거하여, 어느것인가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제1실시예는, 상기 특징에 덧붙여서, 상기 제1의 지도정보는 차량, 출발지, 목적지, 지나는 길에 들르는 곳 또는 선택된 임의의 개소의 주위를 표시하는 지도정보이며, 상기 제2의 지도정보는 이 제1의 지도정보에 연결되는 지도의 정보이며, 이 제2의 지도정보의 지도(도11의 스텝SB16)는 상기 제1의 지도정보의 지도에 인접 또는 이 제1의 지도정보의 지도에 대하여 차량의 진행방향 혹은 탐색결과에 따라서 앞 또는 뒤에 인접하며, 각 지도의 표시중심이 서로 엇갈려 있으며, 각 지도의 표시범위는 서로 중복되어 있지 않으며, 또는 일부 중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1) 이하에 설명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제6실시예는, 입력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고(도5의 스텝SA4), 이 안내경로를 따라서 정보안내를 행하는 네비게이션장치(도5의 스텝SA5)에 있어서, 지도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2이상의 화면으로 분할하고(도35의 스텝SR8), 이 중 1이상의 화면에 기억 또는 수신된 제1의 지도정보를 표시하고(도35의 스텝SR10), 이 표시된 화면이외의 화면에 기억 또는 수신된 제2의 지도정보를 동시에 표시하고(도35의 스텝SR14, SR22), 상기 제1의 지도정보는 차량 근방의 지도를 표시하는 지도정보이며(도35의 스텝SR14), 상기 제2의 지도정보는 상기 안내경로의 일부 또는 전부와, 차량의 현재위치를 포함하는 지도정보(도36의 스텝ST12, 도37의 스텝SU10)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장치이다.
또한, 상기 화면의 분할은 상기 안내경로에서의 차량의 일탈을 검지했을 때에 행해진다(도34의 스텝SQ2).
또한, 상기 안내경로에서 차량이 일탈주행되면, 차량의 현재위치에서 상기 안내경로로 되돌아가는 복귀경로가 탐색됨(도35의 스텝SR4)과 함께, 이 복귀경로에서 차량이 일탈주행되면, 재차, 차량의 현재위치에서 상기 안내경로로 되돌아가는 복귀경로를 재탐색하고(도35의 스텝SR2), 상기 제2의 지도정보가 상기 복귀경로를 상기 분할화면에 가장 확대표시할 수 있는 지리범위(도36의 스텝ST10, 도37의 스텝SU8, 도38의 스텝SV16, SV20 또는 도39의 스텝SW8)이다.
또한, 상기 복귀경로의 명시요구가 있었던 경우에만, 상기 제2의 지도정보에 복귀경로가 표시된다(도34의 스텝SQ18).
또한, 상기 제2의 지도정보는 상기 복귀경로에서의 차량의 현재위치에서 상기 안내경로와의 합류점까지를 상기 분할화면에 가장 확대표시할 수 있는 지리범위이다(도37의 스텝SU8 또는 도39의 스텝SW8).
또한, 상기 제2의 지도정보는 차량이 상기 분할화면의 중심이 되도록 표시됨과 동시에 절대방위가 항시, 화면 상방을 향해있거나, 또는 차량의 진행방향이 항시 화면 상방을 향해 있다(도36의 스텝ST12 또는 도38의 스텝SV22).
또한, 안내경로의 재탐색요구가 있었던 경우, 차량의 현재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제2안내경로를 탐색하고, 이 제2안내경로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제1의 지도정보로서, 상기 안내경로와 함께/또는 대신하여 표시된다(도35의 스텝SR20, SR22).
또한, 화면분할해제요구가 있으면(도34의 스텝SQ20), 지도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의 분할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도34의 스텝SQ12), 상기 제1 또는 제2의 지도정보중 어느것인가가 분할해제후의 화면에 표시된다.
또한, 차량이 상기 안내경로로 복귀했음을 검지했을 때(도34의 스텝SQ2 및 SQ14), 화면분할이 해제되며(도34의 스텝SQ16), 상기 제1의 지도정보가 분할해제의 화면에 표시된다.
[1] 상기 실시예의 네비게이션장치는 지도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2개이상의 화면으로 분할하고, 이 중 하나이상의 화면에 기억 또는 수신된 제1의 지도정보를 표시하도록 하고, 이 표시된 화면이외의 화면에, 이 표시된 제1의 지도정보와 다른 제22의 지도정보를 동시에 표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지도정보와 상기 제2의 지도정보는, 도로종류별이 다른 지도정보가 다른 지도정보를 표시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장치.
[2] 상기 [1]의 특징에 덧붙여서, 상기 도로종류별이란 네비게이션의 안내대상도로 및 비안내대상도로에 관한 정보이고, 상기 제1의 지도정보는 네비게이션의 안내대상도로 및 비안내대상도로의 정보이며, 상기 제2의 지도정보는 네비게이션의 안내대상도로만의 정보임을 특징으로 한다.
[3]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네비게이션장치는 지도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2개이상의 화면으로 분할하도록 하고, 이 중 하나이상의 화면에 대하여 기억 또는 수신된 제1 지도정보를 표시하도록 하고, 이 표시된 화면이외의 화면에 이 표시된 제1 지도정보와는 다른 제2 지도정보를 동시에 표시하는 네비게이션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제1의 지도정보의 지도방향과 상기 표시된 제2의 지도정보의 지도방향이 다르도록 표시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장치.
[4] 상기 특징에 덧붙여서, 상기 제1의 지도정보는 노스업에 의한 표시가 이루어지며, 상기 제2의 지도정보는 헤딩업에 의한 표시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5] 상기 네비게이션장치장치는 상기 [1] , [2], [3] 또는 [4]의 특징에 덧붙여서, 상기 지도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의 표시내용의 전환을 검출하도록 하고, 이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1의 지도정보를 해당 전환시에 표시되어 있던 지도정보로 하도록 하고, 같은 이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2의 지도정보를 해당 전환후에 표시해야 할 지도정보로 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6] 상기 네비게이션장치는 상기 [1], [2], [3], [4] 또는 [5]에 첨가하여, 상기 표시내용의 전환전의 표시화면은 분할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분할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내용의 전환은 조작자의 전환조작, 차량의 주행상태의 변화, 차량의 차속의 변화, 차량의 방위의 변화, 교차점 또는 회전하는 지점에서 차량까지의 거리의 변화, 목적지 또는 지나는 길에 들르는 곳까지의 거리의 변화에 따라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7] 상기 실시예의 네비게이션장치는 상기 [1], [2], [3], [4], [5] 또는 [6]에 첨가하여, 상기 제1의 지도정보 또는 제2의 지도정보는 더욱이 차례로 별도의 지도정보로 전환되며, 이에 의해 상기 분할화면의 일부 또는 전부의 표시내용이 더욱 더 차례대로 개별로 혹은 동시에 전환되며, 또는 상기 제1의 지도정보 또는 제2의 지도정보는 화면의 표시내용이 더욱 더 전환에 따라서 분할되지 않는 단일의 화면으로 되며, 이 단일의 화면에 표시되는 지도정보는 상기 제1의 지도정보, 제2의 지도정보, 이 제1의 지도정보 및 제2의 지도정보와는 별도의 지도정보 또는 화면분할전의 본래의 지도정보이며, 상기 표시내용의 전환은 조작자의 전환조작, 차량의 주행상태의 변화, 차량의 차속의 변화, 차량의 방위의 변화, 교차점 또는 회전하는 지점에서 차량까지의 거리의 변화, 목적지 또는 지나는 길에 들르는 곳까지의 거리의 변화에 따라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8] 상기 실시예의 네비게이션장치는 상기 [1], [2], [3], [4], [5], [6] 또는 [7]의 특징에 첨가하여, 상기 제1의 지도정보와, 제2의 지도정보가 표시되는 화면은 서로 교체되며, 이 교체는 조작자의 조작, 설치자의조작, 운전자의 위치의 검지, 차량의 주행상태의 변화, 차량의 차속의 변화, 차량의 방위의 변화, 교차점 또는 회전하는 지점에서 차량까지의 거리의 변화, 목적지 또는 지나는 길에 들르는 곳까지의 거리의 변화에 의거하여, 상기 분할된 화면중 운전자에 가까운 화면에, 상기 제1의 지도정보 또는 제2의 지도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9] 상기 네비게이션장치는 상기 [1], [2], [3], [4], [5], [6], [7] 또는 [8]의 특징에 첨가하여, 상기 지도정보는 차량의 출발지 또는 현재위치부근에서 목적지 또는 지나는 길에 들르는 곳 부근까지의 경로를 탐색하고, 이 탐색된 경로에 관한 지도정보이며, 상기 제1의 지도정보는 차량의 출발지 또는 현재위치부근과 목적지 또는 지나는 길에 들르는 곳 부근의 지리관계를 표시하는 간략도의 정보이며, 상기 제2의 지도정보는 차량의 현재위치부근의 상세한 지리정보이며, 또는, 상기 제1의 지도정보는 상기 탐색된 경로에서의 차량의 주행정보에 의거하는 주행정보이며, 상기 제2의 지도정보는 차량의 현재위치부근의 상세한 지리정보이며, 또는, 상기 제1의 지도정보는 간선도로 및 비간선도로 또는 네비게이션의 대상도로 및 비대상도로에 관한 정보이며, 제2의 지도정보는 주로 간선도로만 또는 네비게이션의 대상도로만에 관한 정보이며, 또는 상기 제1의 지도정보는 노스업에 의한 표시이며, 제2의 지도정보는 헤딩업에 의한 표시이며, 또는, 상기 제1의 지도정보는 북의 절대방위를 화면중 어느것인가의 방향에 거의 유지한 지도의 정보이며, 제2의 지도정보는 차량의 진행방향을 화면중 어느것인가의 방향에 거의 유지한 지도의 정보임을 특징으로 한다.
[10] 상기 제7실시예의 네비게이션장치는 입력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고, 탐색된 경로를 바탕으로 경로안내하는 네비게이션장치에 있어서, 표시화면을 2이상으로 분할하고, 소망의 지점데이터를 계층적으로 검색할 수 있으며, 이 검색조건 및 검색결과중 다른 2이상의 정보를 각 분할화면 각각에 동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1] 상기 제7실시예의 네비게이션장치는 상기 [10]의 특징에 첨가하여, 상기 다른 2이상의 정보중, 제1정보는 제1검색조건에 의한 추출결과이며, 제2의 정보는 제2의 검색조건임을 특징으로 한다.
[12] 상기 제7실시예의 네비게이션장치는 상기[11]의 특징에 첨가하여, 상기 다른 2이상의 정보중, 제1의 정보는 제1의 검색조건에 의한 추출결과이며, 제2의 정보는 제2의 검색조건에 의한 추출결과임을 특징으로 한다.
[13] 상기 제7실시예의 네비게이션장치는 상기 [10], [11], 또는 [12]의 특징에 첨가하여, 상기 제1의 검색조건은 지역에 대응하는 식별번호의 전부 또는 일부에 의하여 에어리어를 지정하고, 상기 제2의 검색조건은 상기 각 에어리어내의 스트리트를 추출하고, 상기 스트리트내에 있는 시설을 장르 또는 영업내용 또는 영업시간 또는 영업품목 또는 차량에서의 거리 또는 안내경로에서의 거리에 의하여 추출하는 조건이 검색명령의 입력마다 상기 제2의 검색조건에 중첩됨을 특징으로 한다.
[14] 상기 제7실시예의 네비게이션장치는 상기 [10], [11], [12] 또는 [13]의 특징에 첨가하여, 전환명령에 따라서, 상기 제1의 검색조건 및/또는 제2의 검색조건에 부가조건이 중첩, 또는 경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5] 지도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2이상의 화면으로 분할하고, 이 중 1이상의 화면에, 기억 또는 수신된 제1의 지도정보를 표시하고, 이 표시된 화면이외의 화면에 이 표시된 제1의 지도정보와 달리, 더욱이, 기억 또는 수신된 제2의 지도정보를 동시에 표시하고, 상기 제1의 지도정보는 소정의 처리에 의하여 표시된 지도정보이며, 상기 제2의 지도정보는 상기 제1의 지도정보에 이어지는 지도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장치이다
[16] 지도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2이상의 화면으로 분할하고, 이 중 1이상의 화면에 기억 또는 수신된 제1의 지도정보를 표시하고, 이 표시된 화면이외의 화면에 이 표시된 제1의 지도정보와 달리, 더욱이 기억 또는 수신된 제2의 지도정보를 동시에 표시하고, 상기 제1의 지도정보는 차량의 주위를 표시하는 지도정보, 또는 차량의 출발지 또는 현재위치부근과 목적지 또는 지나는 길에 들르는 곳 부근의 지리관계를 표시하는 간략도의 정보이며, 상기 제2의 지도정보는 상기 제1의 지도정보에 이어지며, 더욱이, 차량의 행선지방향의 지도, 차량의 출발지 또는 현재위치부근에서 목적지 또는 지나는 길에 들르는 곳 부근까지의 지도를 표시할 수 있는 지도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장치이다
[17] 상기 네비게이션장치는 상기 [15] 또는 [16]에 첨가하여, 상기 지도정보에는 네비게이션의 안내대상도로 및 비안내대상도로의 정보가 상기 제1의 지도정보 또는/및 제2의 지도정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8] 상기 네비게이션장치는 상기 [15], [16] 또는 [17]에 첨가하여, 상기 지도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의 표시내용의 전환을 검출하도록 하고, 이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1의 지도정보를 해당 전환전에 표시되어 있던 지도정보로 하도록 하고, 같은 이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2의 지도정보를 해당 전환후에 표시해야 할 지도정보로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19] 상기 네비게이션장치는 상기 [15] [16] [17] 또는 [18]에 첨가하여, 상기 표시내용의 전환전 표시화면은 분할되어 있지않거나, 또는 분할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내용의 전환은 조작자의 전환조작, 차량의 주행상태의 변화, 차량의 차속의 변화, 차량의 방위의 변화, 교차점 또는 회전하는 지점에서 차량까지의 거리의 변화, 목적지 또는 지나는 길에 들르는 곳까지의 거리의 변화에 따라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0] 상기 네비게이션장치는 상기 [15] [16] [17] [18] 또는 [19]에 첨가하여, 상기 분할된 각 화면에 표시되는 지도는 각각에 또는 연동하여 축척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1] 상기 네비게이션장치는 상기 [15][16][17][18][19] 또는 [20]에 첨가하여, 상기 제1의 지도정보 또는 제2의 지도정보는 더욱이, 차례로 별도의 지도정보로 전환되며, 이에 의해 상기 분할화면의 일부 또는 전부의 표시내용이 더욱이 차례로 개별로 혹은 동시에 전환되며, 또는 상기 제1의 지도정보 또는 제2의 지도정보와는 별도의 지도정보, 또는 화면분할전의 본래의 지도정보중 어느것인가가, 화면의 전환에 따라서, 분할되지 않는 단일의 화면으로 표시되며, 상기 표시내용의 전환은 조작자의 전환조작, 차량의 주행상태의 변화, 차량의 차속의 변화, 차량의 방위의 변화, 교차점 또는 회전하는 차량까지의 거리의 변화, 목적지 또는 지나는 길에 들르는 곳까지의 거리의 변화에 따라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2] 상기 네비게이션장치는 상기 [15] [16] 1[7] [18] [19] [20] 또는 [21]에 첨가하여, 상기 제1의 지도정보와 제2의 지도정보가 표시되는 화면은 서로 교체되며, 이 교체는 조작자의 조작, 설치자의 조작, 운전자의 위치의 검지, 차량의 주행상태의 변화, 차량의 차속의 변화, 차량의 방위의 변화, 교차점 도는 회전하는 지점에서 차량까지의 거리의 변화, 목적지 또는 지나는 길에 들르는 곳까지의 거리의 변화에 의거하여, 상기 분할된 화면중, 운전자에 가까운 화면에, 상기 제1의 지도정보 또는 제2의 지도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3] 상기 네비게이션장치는 상기 [15] [16] [17] [18] 1[9] [20] [21] 또는 [22] 에 첨가하여, 상기 제1의 지도정보 및 상기 제2의 지도정보는 한쪽이 노스업에 의한 표시이고, 다른쪽은 헤딩업에 의한 표시이며, 또는 상기 제1의 지도정보 및 상기 제2의 지도정보는 한쪽은 북의 절대방위를 화면의 어느쪽인가의 방향에 거의 유지된 지도의 정보이며, 다른쪽은 차량의 진행방향을 화면의 어느쪽인가의 방향에 거의 유지한 지도의 정보이며, 또는 상기 제1의 지도정보 및 상기 제2의 지도정보는 같은 축척 또는 다른 축척이며, 상기 제2의 지도정보는 상기 제1의 지도정보에 대하여, 북, 북동, 동, 남동, 남, 남서, 서 또는 북서에 이어지는 지도정보이며, 이들의 지도정보는 조작자의 조작, 설치자의 조작, 운전자의 위치의 검지, 차량의 주행상태의 변화, 차량의 차속의 변화, 차량의 방위의 변화, 교차점 또는 회전하는 지점에서 차량까지의 거리의 변화, 목적지 또는 지나는 길까지의 거리의 변화에 의거하여, 어느쪽인가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4] 상기 네비게이션장치는 상기 [15] [16] [17] [18] [19] [20] [21] [22] 또는 [23] 에 첨가하여, 상기 제1의 지도정보는 차량, 출발지, 목적지, 지나는 곳에 들르는 길 또는 선택된 임의의 개소의 주위를 표시하는 지도정보이며, 상기 제2의 지도정보는 이 제1의 지도정보에 이어지는 지도의 정보이며, 이 제2의 지도정보의 지도는 상기 제1의 지도정보의 지도에 인접 또는 이 제1의 지도정보의 지도에 대하여 차량의 진행방향 혹은 탐색경로를 따라서 앞 또는 뒤에 인접하며, 각 지도의 표시중심이 서로 어긋나 있으며, 각 지도의 표시범위는 서로 겹쳐져 있지않거나, 또는 일부 겹쳐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도가 표시되는 표시화면을 적어도 두개로 분할한 것이다. 그리고, 한쪽의 화면에는 보다 중요성이 높은 정보를 표시시킨다. 다른쪽 화면에는 보조적 정보가 표시되도록 했다. 게다가, 각 화면에 표시되는 지도정보는 차량의 주행상태등에 따라서 변경하도록 했다. 이에 의해, 다른 2종류의 정보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즉, 종래, 화면의 표시상태의 전환에 의하여 시간차를 갖고 얻어진 두개의 정보가 본 발명에 의하면, 동시에 얻어진다. 또한, 표시되는 2종류의 정보끼리의 비교가 가능해지며, 차량의 현재위치근방의 지리적인 환경과, 안내경로의 앞쪽 상태를 정확히 알 수 있다. 또한, 재탐색된 별도 루트와, 본래의 경로, 또는 다른 탐색된 별도루트끼리가 분할화면에 각각 표시된다. 따라서, 각 경로끼리의 우열판단에 의한 비교가 직접 행해진다.
또한, 차량이 안내경로에서 벗어나도, 차량과 벗어난 본래의 안내경로를 포함하는 지도가 분할화면의 한쪽에 바로 표시됨과 동시에, 다른쪽의 화면에는 분할전의 지도가 표시되어 있다. 이 결과, 본래의 안내경로와 차량의 상대위치관계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본래의 경로로의 복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필요에 따라서, 자동탐색된 복귀루트에 의한 안내처리가 실행된다. 또한, 재탐색된 새로운 안내경로를 사용하는 것과, 본래의 경로로 복귀한 경우 각각에 관하여 조건비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목적지 또는 잠시 들르는 곳등의 설정에 있어서도, 각 선택조건과, 그 선택결과를 분할화면 각각에 표시하므로, 선택조건의 변경과, 그 결과를 신속하게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미리 설정된 경로를 따라서 경로안내를 행하는 네비게이션장치에 있어서, 안내경로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와, 해당 표시장치에 안내정보를 출력하는 표시처리수단과, 미리 설정된 경로와는 다른 경로를 탐색시키는 지시를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의 입력에 의해 경로를 탐색시키는 지시가 이루어지면, 미리 설정된 경로와는 다른 경로를 탐색하는 경로탐색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처리수단은 상기 경로탐색수단에 의해 미리 설정된 경로와는 다른 경로가 탐색되면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화면을 2개이상의 화면으로 분할하고, 해당 분할된 화면중 1개이상의 화면에 미리 설정된 경로에 관한 제1의 안내경로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1의 안내경로정보를 표시한 화면이외의 1개이상의 화면에, 상기 제1의 안내경로정보와는 다른 경로에 관한 제2의 안내경로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장치.
  2. 미리 설정된 경로를 따라서 경로안내를 행하는 네비게이션장치에 있어서, 안내경로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와, 해당 표시장치에 안내정보를 출력하는 표시처리수단과, 미리 설정된 경로에서 차량이 벗어났음을 검출하는 경로이탈검출수단과, 해당 경로이탈검출수단에 의해 차량이 경로에서 벗어났음이 검출되면 새로운 경로를 탐색하는 경로탐색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처리수단은 상기 경로탐색수단에 의해 새로운 경로가 탐색되면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화면을 2개이상의 화면으로 분할하고, 해당 분할된 화면중 1개이상의 화면에, 미리 설정된 경로에 관한 제1의 안내경로정보를 표시하고, 해당 제1의 안내경로정보를 표시한 화면이외의 1개이상의 화면에 상기 경로탐색수단에 의해 탐색된 새로운 경로에 관한 제2의 안내경로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장치.
KR1019970037139A 1996-08-21 1997-08-02 네비게이션장치 KR1002789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979596 1996-08-21
JP96-239795 1996-08-21
JP25784796 1996-09-07
JP96-257847 1996-09-07
JP96-261075 1996-10-01
JP08261075 1996-10-01
JP28924696 1996-10-11
JP96-289246 1996-10-11
JP27200996A JP3816598B2 (ja) 1996-10-15 1996-10-15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96-272009 1996-10-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334A KR19980018334A (ko) 1998-06-05
KR100278972B1 true KR100278972B1 (ko) 2001-01-15

Family

ID=27530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7139A KR100278972B1 (ko) 1996-08-21 1997-08-02 네비게이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067502A (ko)
KR (1) KR1002789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5178B1 (ko) * 2015-11-12 2017-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경로 정보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47680B1 (en) * 1999-12-13 2004-06-08 Microsoft Corporation Speed-dependent automatic zooming interface
JP4179655B2 (ja) * 1998-01-29 2008-11-1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提供装置および方法、情報送信装置、ならびに、情報提供システム
US6122591A (en) * 1998-08-18 2000-09-19 Pomerantz; David Taxi trip meter system with indication of fare and distance violations
US6178380B1 (en) * 1998-10-22 2001-01-23 Magellan, Dis, Inc. Street identification for a map zoom of a navigation system
JP2000205875A (ja) * 1999-01-11 2000-07-28 Equos Research Co Ltd ナビゲ―ション装置
JP4318004B2 (ja) 1999-05-19 2009-08-1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授受システム、情報授受方法、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JP4169934B2 (ja) * 1999-05-25 2008-10-22 三菱電機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6549220B1 (en) * 1999-06-10 2003-04-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providing pages of information with navigation and content areas
JP2001008384A (ja) * 1999-06-21 2001-01-12 Toshiba Corp 系統画面表示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4054484B2 (ja) * 1999-06-30 2008-02-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移動体用地図情報表示システム
US6430501B1 (en) * 2000-01-19 2002-08-06 Magellan Dis, Inc. Navigation system with route indicators
US6424933B1 (en) 2000-03-17 2002-07-23 Vicinit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non-uniform scaled mapping
EP1282855B1 (en) * 2000-03-17 2011-10-12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bstracting and visualizing a route map
JP3967061B2 (ja) * 2000-03-28 2007-08-29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8060389B2 (en) 2000-06-07 2011-11-15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anonymous location based services
US6456234B1 (en) 2000-06-07 2002-09-24 William J. Johnson System and method for proactive content delivery by situation location
US8489669B2 (en) 2000-06-07 2013-07-16 Apple Inc. Mobile data processing system moving interest radius
NZ505784A (en) * 2000-07-17 2003-04-29 Compudigm Int Ltd A data visualisation system producing a contoured graphical representation of call centre activity
JP4414076B2 (ja) * 2000-08-30 2010-02-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移動体用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US6351710B1 (en) * 2000-09-28 2002-02-26 Michael F. Mays Method and system for visual addressing
US7865306B2 (en) 2000-09-28 2011-01-04 Michael Mays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route-related information
JP5039911B2 (ja) * 2000-10-11 2012-10-03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データ処理装置、入出力装置、タッチパネルの制御方法、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伝送装置
US20020091735A1 (en) * 2001-01-08 2002-07-11 Yung-Chung Ch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geographically classified establishment information
US7668648B2 (en) * 2001-03-06 2010-02-23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Motor vehicle navigation system
JP3598986B2 (ja) * 2001-03-22 2004-12-0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地図情報提供装置及び地図情報提供方法
JP4094246B2 (ja) * 2001-05-10 2008-06-04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2372427A (ja) * 2001-06-15 2002-12-26 Alpine Electronics Inc ナビゲーション装置
GB2376335B (en) * 2001-06-28 2003-07-23 Vox Generation Ltd Address recognition using an automatic speech recogniser
JP3465702B2 (ja) * 2001-07-04 2003-11-1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4132741B2 (ja) * 2001-07-25 2008-08-13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
DE10153528A1 (de) 2001-10-30 2003-05-15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Bereitstellung von Zielführungshinweisen für einen Nutzer
US6995778B2 (en) * 2001-11-07 2006-02-07 Raytheon Company Symbol expansion capability for map based display
DE60325168D1 (de) 2002-02-19 2009-01-22 Jeppesen Sanderson Inc Flughafensrollweg-navigationssystem
US6826385B2 (en) * 2002-02-22 2004-11-30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geographical addresses across the surface of the earth
US20050231393A1 (en) * 2002-06-27 2005-10-20 Berger Robert E Traffic data acquistion system and method
US7071842B1 (en) 2002-06-27 2006-07-04 Earthcomber, Llc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and notifying a user of a person, place or thing having attributes matching the user's stated preferences
US8427303B1 (en) 2002-06-27 2013-04-23 Geomass Limited Liability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edia content having attributes matching a user's stated preference
US8102253B1 (en) 2002-06-27 2012-01-24 Earthcomber, Llc System and method for notifying a user of people, places or things having attributes matching a user's stated preference
US20040059474A1 (en) 2002-09-20 2004-03-25 Boorman Daniel J. Apparatuses and methods for displaying autoflight information
FR2846431A1 (fr) * 2002-10-24 2004-04-30 Jean Etcheparre Dispositif de navigation par convergence capable de fournir a bon escient des commentaires audio de guidage vers une destination sans avoir a consulter une carte.
JP4099401B2 (ja) * 2003-01-06 2008-06-11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20040220725A1 (en) * 2003-03-21 2004-11-04 Cheng Steven D Method and apparatus for avoiding route deviation
JP4032355B2 (ja) * 2003-03-27 2008-01-1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処理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処理プログラム
JP4842641B2 (ja) * 2003-08-22 2011-12-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地図表示方法及び地図表示装置
JP4695830B2 (ja) * 2003-11-10 2011-06-08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移動体用領域地図提供装置
JP4246055B2 (ja) * 2003-12-19 2009-04-02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周辺施設検索表示方法
US7263438B2 (en) * 2003-12-23 2007-08-28 Honda Motor Co., Ltd. Smart storage and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formation
US7480561B2 (en) * 2003-12-23 2009-01-20 Honda Motor Co., Ltd. Prioritized delivery of navigation information
US7188007B2 (en) * 2003-12-24 2007-03-06 The Boeing Company Apparatuses and methods for displaying and receiving tactical and strategic flight guidance information
US7460029B2 (en) * 2003-12-24 2008-12-02 The Boeing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and obtaining flight control information
US7577501B2 (en) * 2004-02-26 2009-08-18 The Boeing Company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ally tracking information during flight
US7327349B2 (en) * 2004-03-02 2008-02-05 Microsoft Corporation Advanced navigation techniques for portable devices
US7363119B2 (en) * 2004-03-10 2008-04-22 The Boeing Company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ally displaying information, including air traffic control instructions
CA2560386C (en) * 2004-03-23 2013-09-24 Google Inc. A digital mapping system
US7321318B2 (en) 2004-03-31 2008-01-22 The Boeing Company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information at an aircraft flight deck
US7418319B2 (en) * 2004-03-31 2008-08-26 The Boeing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handling the display and receipt of aircraft control information
US7751947B2 (en) * 2004-03-31 2010-07-06 The Boeing Company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ing assistance messages to aircraft operators
US7206696B2 (en) * 2004-05-19 2007-04-17 Honda Motor Co., Ltd. Method for modifying navigation information
JP4436186B2 (ja) * 2004-05-12 2010-03-24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地図表示方法
US20050261824A1 (en) * 2004-05-19 2005-11-24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varying content
US7292936B2 (en) 2004-05-19 2007-11-06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US20050261829A1 (en) * 2004-05-19 2005-11-24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off route processing
US7463978B2 (en) * 2004-06-10 2008-12-09 Victor Company Of Japan, Ltd. Navigation apparatus and map-indication control program
WO2005121706A1 (ja) * 2004-06-11 2005-12-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地図表示装置及び地図表示方法
US7222017B2 (en) 2004-06-17 2007-05-22 The Boeing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entering and displaying ground taxi instructions
US7256710B2 (en) * 2004-06-30 2007-08-14 The Boeing Company Methods and systems for graphically displaying sources for and natures of aircraft flight control instructions
US20060005147A1 (en) * 2004-06-30 2006-01-05 Hammack Jason L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maps aboard an aircraft
US7580235B2 (en) 2004-10-12 2009-08-25 The Boeing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circuit breakers
US7376510B1 (en) * 2004-11-05 2008-05-20 Navteq North America, Llc Map display for a navigation system
US8606516B2 (en) 2004-11-30 2013-12-10 Dash Navigation, Inc. User interface system and method for a vehicle navigation device
JP5308673B2 (ja) * 2004-12-14 2013-10-09 バイエリッシェ モートーレン ウエルケ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車両内の少なくとも一つのモバイル端末の利用システム
KR100663027B1 (ko) * 2004-12-27 2006-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이동체의 경로이탈 판단방법
JP4642497B2 (ja) * 2005-02-10 2011-03-02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7353034B2 (en) 2005-04-04 2008-04-01 X One, Inc. Location sharing and tracking using mobile phones or other wireless devices
US8850011B2 (en) 2005-04-21 2014-09-30 Microsoft Corporation Obtaining and displaying virtual earth images
KR20060118234A (ko) * 2005-05-16 2006-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요약경로 안내방법
KR20060119746A (ko) * 2005-05-18 2006-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교통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는 방법 및장치
KR20060119743A (ko) * 2005-05-18 2006-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간 속도에 대한 예측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는 방법및 장치
KR100711866B1 (ko) * 2005-05-18 2007-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소통상태에 대한 예측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는 방법및 장치
KR20060119742A (ko) * 2005-05-18 2006-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도로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60119739A (ko) * 2005-05-18 2006-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간 통과시간에 대한 예측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는방법 및 장치
KR100663405B1 (ko) * 2005-06-03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국가간 이동경로 자동 탐색 방법 및 장치
US8711850B2 (en) * 2005-07-08 2014-04-29 Lg Electronics Inc. Format for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and a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the format
KR101254219B1 (ko) * 2006-01-19 2013-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링크 식별 방법 및 링크 식별 장치
US7933897B2 (en) 2005-10-12 2011-04-26 Google Inc. Entity display priority in a distribut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US20070106468A1 (en) * 2005-11-07 2007-05-10 France Telecom Product, service and activity based interactive trip mapp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101135901B1 (ko) * 2005-12-05 2012-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760116B1 (ko) * 2006-02-03 2007-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지도축척 변경방법
JP4933129B2 (ja) * 2006-04-04 2012-05-16 クラリオン株式会社 情報端末および簡略−詳細情報の表示方法
US20090105936A1 (en) * 2006-04-20 2009-04-23 Hiroaki Shibasaki Route guidance apparatus, route guidance method, route guidance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070250515A1 (en) * 2006-04-21 2007-10-25 Lea David H Method and system of securing content and destination of digital download via the internet
US7456848B2 (en) * 2006-05-18 2008-11-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consolidating overlapping map markers
US7474317B2 (en) * 2006-05-18 2009-01-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overlapping markers
JP4736996B2 (ja) * 2006-07-31 2011-07-27 株式会社デンソー 地図表示制御装置および地図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7945386B2 (en) * 2006-08-25 2011-05-17 Mitac International Corporation Rerouting in vehicle navigation systems
US8781728B2 (en) * 2006-10-26 2014-07-15 Panasonic Corporation Travel history editing device
US20080139181A1 (en) * 2006-12-08 2008-06-12 Magellan Navigation,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presented on a mobile navigation device
GB2446167B (en) * 2007-02-02 2011-08-17 Satmap Systems Ltd Mapping system
JP4934452B2 (ja) * 2007-02-12 2012-05-1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地図表示装置
US7783417B2 (en) * 2007-03-09 2010-08-24 Mitac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route having an estimated minimum fuel usage for a vehicle
US8335645B2 (en) * 2007-03-28 2012-12-18 Navitime Japan Co., Ltd. Map display system, map display, and map display method
WO2008129744A1 (ja) * 2007-04-09 2008-10-3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同装置における道路ネットワークの表示方法
US8078641B2 (en) * 2007-04-25 2011-12-13 Mitac International Corporation Adjusting spatial operations based on map density
WO2008146374A1 (ja) * 2007-05-30 2008-12-04 Navitime Japan Co., Ltd. 地図表示システム、地図表示装置および地図表示方法
JP4632096B2 (ja) * 2007-06-07 2011-02-16 ソニー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最寄検索方法
WO2008153523A1 (en) * 2007-06-14 2008-12-18 Panasonic Automotive Systems Company Of America Division Of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Dual display multi-modal vehicle infotainment system
US8363170B2 (en) * 2007-06-14 2013-01-29 Panasonic Automotive Systems Company Of America, Division Of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Dual display multi-modal vehicle infotainment system
US9066199B2 (en) 2007-06-28 2015-06-23 Apple Inc. Location-aware mobile device
US8332402B2 (en) 2007-06-28 2012-12-11 Apple Inc. Location based media items
US8108144B2 (en) 2007-06-28 2012-01-31 Apple Inc. Location based tracking
US8311526B2 (en) 2007-06-28 2012-11-13 Apple Inc. Location-based categorical information services
US8290513B2 (en) 2007-06-28 2012-10-16 Apple Inc. Location-based services
US8175802B2 (en) 2007-06-28 2012-05-08 Apple Inc. Adaptive route guidance based on preferences
US8275352B2 (en) 2007-06-28 2012-09-25 Apple Inc. Location-based emergency information
US8774825B2 (en) 2007-06-28 2014-07-08 Apple Inc. Integration of map services with user applications in a mobile device
US8204684B2 (en) 2007-06-28 2012-06-19 Apple Inc. Adaptive mobile device navigation
US8385946B2 (en) 2007-06-28 2013-02-26 Apple Inc. Disfavored route progressions or locations
US9109904B2 (en) 2007-06-28 2015-08-18 Apple Inc. Integration of map services and user applications in a mobile device
US8762056B2 (en) 2007-06-28 2014-06-24 Apple Inc. Route reference
US20090040186A1 (en) * 2007-08-07 2009-02-12 Esenther Alan W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Multiple Synchronized Images
JP4548460B2 (ja) * 2007-08-31 2010-09-22 株式会社デンソー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9852624B2 (en) 2007-09-07 2017-12-26 Connected Signals, Inc. Network security system with application for driver safety system
US20110037618A1 (en) * 2009-08-11 2011-02-17 Ginsberg Matthew L Driver Safety System Using Machine Learning
US9043138B2 (en) * 2007-09-07 2015-05-26 Green Driver,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updating of map information
US20110037619A1 (en) * 2009-08-11 2011-02-17 On Time Systems, Inc. Traffic Routing Using Intelligent Traffic Signals, GPS and Mobile Data Devices
US10083607B2 (en) 2007-09-07 2018-09-25 Green Driver, Inc. Driver safety enhancement using intelligent traffic signals and GPS
US7882102B2 (en) * 2007-09-10 2011-02-01 Mitac International Corporation Nearest-neighbor geographic search
US8554475B2 (en) 2007-10-01 2013-10-08 Mitac International Corporation Static and dynamic contours
JP4561802B2 (ja) * 2007-10-02 2010-10-13 株式会社デンソー 地図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977294B2 (en) 2007-10-10 2015-03-10 Apple Inc. Securely locating a device
US20090138190A1 (en) * 2007-11-26 2009-05-28 Magellan Navigation, Inc.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Traffic Data to a Mobile Device
KR20090063610A (ko) * 2007-12-14 2009-06-18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적용한 이미지디스플레이 시스템
US20090171584A1 (en) * 2007-12-31 2009-07-02 Magellan Navigation, Inc.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a Navigation System
KR20090073633A (ko) * 2007-12-31 2009-07-03 팅크웨어(주)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경로 안내 방법
US8355862B2 (en) 2008-01-06 2013-01-15 Apple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esenting location information
US20090182498A1 (en) * 2008-01-11 2009-07-16 Magellan Navigation, Inc. Systems and Methods to Provide Navigational Assistance Using an Online Social Network
US8498808B2 (en) * 2008-01-18 2013-07-30 Mitac International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hybrid routing using breadcrumb paths
US8290703B2 (en) * 2008-01-18 2012-10-16 Mitac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 point recording using a position device
US8700314B2 (en) * 2008-01-18 2014-04-15 Mitac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search for local parking
JP4640428B2 (ja) * 2008-03-19 2011-03-02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画面形成システム、画面形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I364528B (en) * 2008-04-14 2012-05-21 Mitac Int Corp Navigation methods and systems, and machine readable medium thereof
KR100898263B1 (ko) * 2008-04-24 2009-05-18 팅크웨어(주) 경로 표시 단말기의 퀵서치 방법 및 장치
US9250092B2 (en) 2008-05-12 2016-02-02 Apple Inc. Map service with network-based query for search
US8644843B2 (en) 2008-05-16 2014-02-04 Apple Inc. Location determination
US8180562B2 (en) 2008-06-04 2012-05-15 The Boeing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taxi route entry parsing
US8369867B2 (en) 2008-06-30 2013-02-05 Apple Inc. Location sharing
KR100966477B1 (ko) * 2008-07-04 2010-06-29 팅크웨어(주) 3차원 지도 서비스를 위한 영역 사분 트리를 이용한 데이터캐시 방법 및 시스템
US20100035631A1 (en) * 2008-08-07 2010-02-11 Magellan Navigation, Inc. Systems and Methods to Record and Present a Trip
US8091290B1 (en) 2008-08-12 2012-01-10 William Drakes Geodesic entertainment sphere
US8249804B2 (en) * 2008-08-20 2012-08-21 Mitac Internationa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smart city search
US20100070166A1 (en) * 2008-09-15 2010-03-18 Verizon Corporate Services Group Inc. Routing in mapping systems
US8359643B2 (en) 2008-09-18 2013-01-22 Apple Inc. Group formation using anonymous broadcast information
US8219317B2 (en) * 2008-09-22 2012-07-10 Mitac International Corporation Route navigation via a proximity point
US8260320B2 (en) 2008-11-13 2012-09-04 Apple Inc. Location specific content
US8386167B2 (en) 2008-11-14 2013-02-26 The Boeing Company Display of taxi route control point information
JP4706751B2 (ja) * 2008-11-28 2011-06-22 株式会社デンソー 時刻表示制御装置、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862887B2 (ja) * 2008-12-25 2012-01-25 ソニー株式会社 地図データ表示制御装置、地図データ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013135B2 (en) 2009-03-20 2018-07-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djustable user interfaces with movable separators
US8321069B2 (en) * 2009-03-26 2012-11-2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s and systems for reviewing datalink clearances
US8670748B2 (en) 2009-05-01 2014-03-11 Apple Inc. Remotely locating and commanding a mobile device
US8660530B2 (en) 2009-05-01 2014-02-25 Apple Inc. Remotely receiving and communicating commands to a mobile device for execution by the mobile device
US8666367B2 (en) 2009-05-01 2014-03-04 Apple Inc. Remotely locating and commanding a mobile device
US8504285B2 (en) * 2009-05-15 2013-08-06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route determination
US8219309B2 (en) * 2009-05-29 2012-07-10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naviga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198942B2 (en) 2009-08-11 2019-02-05 Connected Signals, Inc. Traffic routing display system with multiple signal lookahead
TWI402483B (zh) * 2009-10-30 2013-07-21 Univ Nat Taiwan 導航方法與應用其之人機介面裝置
EP2336723B1 (en) * 2009-12-15 2016-11-09 Vodafone Holding GmbH Assisting a user in arriving at a destination in time
US20110191014A1 (en) * 2010-02-04 2011-08-04 Microsoft Corporation Mapping interface with higher zoom level inset map
CN101908273B (zh) * 2010-07-15 2013-04-10 北京世纪高通科技有限公司 一种交通路况数据的处理方法及装置
KR20120072124A (ko) * 2010-12-23 2012-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내 전자지도 데이터 생성 방법
US8738284B1 (en) 2011-10-12 2014-05-27 Google Inc.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ynamically rendering transit maps
US8589075B1 (en) * 2011-10-19 2013-11-19 Google Inc.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visualizing trip progress
US9239246B2 (en) * 2011-10-19 2016-01-19 Google Inc.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visual disambiguation for directions queries
US9569057B2 (en) 2012-01-05 2017-02-14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a guiding operation to a user
US9620033B2 (en) * 2012-03-23 2017-04-11 Nokia Technologies Oy Map
US8437948B1 (en) * 2012-04-12 2013-05-07 Inrix, Inc. Traffic forecasting
JP5911400B2 (ja) * 2012-08-23 2016-04-27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迂回路の表示制御方法
CN104583721B (zh) * 2012-08-27 2017-08-15 索尼公司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程序
KR101470107B1 (ko) * 2012-12-28 2014-1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라디오 교통방송을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US9293029B2 (en) * 2014-05-22 2016-03-22 Wes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detecting and reporting emergency conditions using sensors belonging to multiple organizations
JP6531382B2 (ja) * 2014-07-21 2019-06-19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情報案内システム、情報案内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3845427A1 (en) * 2015-02-10 2021-07-07 Mobileye Vision Technologies Ltd. Sparse map for autonomous vehicle navigation
US10365119B2 (en) * 2015-03-16 2019-07-3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Map display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ng feel aroused by map scrolling
JP6524892B2 (ja) * 2015-11-13 2019-06-05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の走行路情報生成システム
DE112016006526T5 (de) * 2016-03-30 2018-12-2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Reiseplan-erzeugungsvorrichtung, reiseplan-erzeugungsverfahren und reiseplan-erzeugungsprogramm
DE102017006582A1 (de) * 2016-12-22 2018-06-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Navigationssystems
US10488217B2 (en) * 2017-04-25 2019-11-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scaling route display
DE102017210264A1 (de) * 2017-06-20 2018-12-20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r Bedienung eines Fahrzeugbediensystems
JP7147146B2 (ja) * 2017-09-27 2022-10-0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携帯型電子時計、表示方法および表示プログラム
JP7102136B2 (ja) * 2017-12-14 2022-07-19 フォルシアクラリオン・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車載装置、情報提示方法
JP7275520B2 (ja) * 2018-10-03 2023-05-18 株式会社アイシン 車両制御装置
US11626010B2 (en) * 2019-02-28 2023-04-11 Nortek Security & Control Llc Dynamic partition of a security system
CN112567399A (zh) * 2019-09-23 2021-03-26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用于路由优化的系统和方法
US20210372809A1 (en) * 2020-06-02 2021-12-02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Travel route observation and comparison system for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74607D1 (en) * 1983-03-09 1988-11-17 Nippon Denso Co Map display system
JPH04335390A (ja) * 1991-05-10 1992-11-24 Mazda Motor Corp 車両用走行誘導装置
JP2611592B2 (ja) * 1991-12-09 1997-05-21 三菱電機株式会社 移動体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その表示方法
EP0932133B1 (en) * 1993-12-27 2006-04-05 Nissan Motor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navigating vehicle to destination using display unit
WO1996015516A1 (fr) * 1994-11-14 1996-05-23 Xanavi Informatics Corporation Dispositif d'affichage cartographique pour vehicules
JP3753753B2 (ja) * 1995-01-20 2006-03-08 三菱電機株式会社 移動体用地図情報表示装置
US5729109A (en) * 1995-07-19 1998-03-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Navigation system and intersection guidance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5178B1 (ko) * 2015-11-12 2017-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경로 정보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67502A (en) 2000-05-23
KR19980018334A (ko) 199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8972B1 (ko) 네비게이션장치
JP3778322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3441933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案内経路表示装置及び案内経路表示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媒体
US6333702B1 (en) Navigation device
EP0767358B1 (en) Vehicle navigation system
US4954959A (en) Navigation system
JP3590827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6006161A (en) Land vehicle navigation system with multi-screen mode selectivity
JP3772586B2 (ja) 経路探索装置、経路探索方法及び経路探索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媒体
US20050222758A1 (en) Car navigation system
JP4120651B2 (ja) 経路探索装置
JP3816598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EP0836167B1 (en) Device for displaying map and method
JP4577197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3671734B2 (ja) 経路探索装置及び経路探索方法
JP4001026B2 (ja) ナビゲーション方法、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案内経路表示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媒体
JP3860285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3651735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を制御する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JP3543559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地図表示装置及び地図表示処理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媒体
JP3584459B2 (ja) 地理的座標表現装置、地理的座標表現方法、地理的情報記憶媒体、地理的座標変換装置、地理的座標変換方法及び地理的座標変換の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JP2002310695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
JPH08304101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H08233591A (ja) 現在位置表示装置
JP3660453B2 (ja) 目的地設定装置および経路設定装置
JP3925083B2 (ja) 地点検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