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147528A1 - 고정 접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단기 - Google Patents

고정 접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147528A1
WO2024147528A1 PCT/KR2023/021292 KR2023021292W WO2024147528A1 WO 2024147528 A1 WO2024147528 A1 WO 2024147528A1 KR 2023021292 W KR2023021292 W KR 2023021292W WO 2024147528 A1 WO2024147528 A1 WO 202414752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rc runner
fixed contact
gas generating
arc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2129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양승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414752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147528A1/ko

Links

Images

Abstract

고정 접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단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고정 접점부는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 접점대; 상기 고정 접점대에 결합되어, 가동 접점과 접촉되는 고정 접점; 및 상기 고정 접점대의 높이 방향의 일 측에 위치되며, 발생된 아크를 유도하게 구성되는 아크 러너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접점대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속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아크 러너는 상기 제2 연장부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고정 접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단기
본 발명은 고정 접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 편의성이 향상되고, 조립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구조의 고정 접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차단기는 외부의 전원 및 부하와 각각 통전되어, 전원 및 부하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차단기에는 서로 접촉되거나 이격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접점이 구비된다.
복수 개의 접점이 접촉될 경우, 외부의 전윈 및 부하가 서로 통전되어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이상 전류가 감지될 경우, 복수 개의 접점이 서로 이격된다. 이에 따라, 외부의 전원 및 부하 사이의 통전이 차단되어, 이상 전류에 의한 전원 및 부하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접점 중 일부는 특정 위치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접점은 "고정 접점"으로 지칭된다. 복수 개의 접점 중 나머지 일부는 고정 접점을 향하는 방향 그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접점은 "가동 접점"으로 지칭된다.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은 각각 외부로 노출되는 다른 구성과 결합되어 통전된다. 외부의 전원 및 부하는 상기 다른 구성을 통해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과 각각 통전될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차단기(1000)에 구비되는 터미널(1100) 및 아크 러너(1200)가 도시된다. 도시된 터미널(1100)은 내부 터미널(1110)과 외부 터미널(1120)을 포함한다.
내부 터미널(1110)은 차단기(10)의 내부에 수용되어 하우징을 사이에 두고 외부 터미널(1120)과 결합되어 통전된다. 외부 터미널(1120)은 차단기(1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차단기(1000)는 내부 터미널(1110) 및 외부 터미널(1120)이 함께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 접점의 기능을 수행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내부 터미널(1110) 및 외부 터미널(1120)을 서로에 대해,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 대해 고정 결합하기 위한 구성이 요구된다.
또한, 차단기(1000)에는 발생된 아크를 소호부(미도시)로 유도하기 위한 아크 러너(1200)가 구비된다. 아크 러너(1200)는 내부 터미널(1110)에 결합되어, 내부 터미널(1110)에 구비되는 고정 접점(미도시)에서 발생된 아크를 유도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아크 러너(1200)와 내부 터미널(1110)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성 역시 요구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내부 터미널(1110)에 형성된 러너 수용 홈(1111)에, 아크 러너(1200)의 터미널 결합 단부(1210)가 삽입 결합된다.
즉, 내부 터미널(1110) 및 외부 터미널(1120)을 별도로 제작하고, 러너 수용 홈(1111) 및 터미널 결합 단부(1210)를 더 형성하며, 러너 수용 홈(1111)에 터미널 결합 단부(1210)를 결합시키는 추가 공정이 요구된다. 따라서, 차단기(1000)의 제작 공정이 복잡해지고, 제조 비용 및 시간이 증가될 우려가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문헌 제20-2017-0003310호는 인출형 기중차단기의 크래들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도 크래들의 베이스에 주회로 단자를 결합하기 위한 인출형 기중차단기의 크래들을 개시한다.
그런데, 상기 선행문헌이 개시하는 크래들은 주회로 단자를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한 방안을 제공함에 그친다. 상기 선행문헌은 주회로 단자만을 외함에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한 방안을 개시할 뿐, 주회로 단자와 다른 구성, 예를 들면 아크 러너 등을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한 방안을 제공하지 못한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0914207호는 기중차단기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아크러너에 구비되는 고정돌기 및 고정돌기와 맞물림되어 고정돌기를 고정시키는 돌기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스크류 체결 개소 및 아크의 이동 및 소호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기중차단기를 개시한다.
그런데, 상기 선행문헌이 개시하는 고정접촉자 및 아크러너는 그 조립을 위해 아크러너에 구비되는 고정돌기가 고정접촉자에 함몰 형성된 삽입부에 삽입되는 과정을 요구한다. 따라서, 상기 선행문헌 역시 간명한 구조로 고정접촉자와 아크러너를 결합하기 위한 방안을 제공하지 못한다.
더 나아가, 상기 선행문헌들은 고정접촉자 및 아크러너의 결합뿐만 아니라, 고정접촉자와 아크러너가 하우징 등과 용이하게 결합되고, 안정적으로 결합 상태로 유지되기 위한 방안을 제공하지 못한다.
한국공개실용신안문헌 제20-2017-0003310호 (2017.09.25.)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0914207호 (2009.08.2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구조의 고정 접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는 구조의 고정 접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구조의 고정 접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결합을 위한 추가 부재를 최소화하면서도 각 구성이 서로 결합될 수 있는 구조의 고정 접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구조의 고정 접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 접점대; 상기 고정 접점대에 결합되어, 가동 접점과 접촉되는 고정 접점; 및 상기 고정 접점대의 높이 방향의 일 측에 위치되며, 발생된 아크를 유도하게 구성되는 아크 러너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접점대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속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아크 러너는 상기 제2 연장부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고정 접점부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고정 접점대는, 상기 제2 연장부의 단부 중 상기 아크 러너를 향하는 일 단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아크 러너를 지지하는 아크 러너 지지부를 포함하는, 고정 접점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열과 화학 반응되어 가스(gas)를 생성하게 구성되는 가스 발생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 발생 부재는, 상기 아크 러너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아크 러너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 접점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가스 발생 부재는, 상기 아크 러너에 수용되는 가스 발생 몸체; 및 상기 가스 발생 몸체의 단부 중 상기 고정 접점대를 향하는 일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 연장부를 둘러싸는 가스 발생 암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접점대는, 상기 제2 연장부의 단부 중 상기 가스 발생 부재를 향하는 일 단부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가스 발생 암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가스 발생 부재 수용 홈을 포함하는, 고정 접점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 발생 부재 수용 홈은, 상기 제2 연장부의 상기 일 단부의 모서리에 함몰 형성되는, 고정 접점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열과 화학 반응되어 가스(gas)를 생성하게 구성되고, 상기 아크 러너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아크 러너에 의해 지지되는 가스 발생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아크 러너는, 상기 가스 발생 부재와 겹쳐지게 배치되는 아크 러너 몸체; 및 상기 아크 러너 몸체의 단부 중 상기 고정 접점대를 향하는 일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 연장부를 둘러싸는 아크 러너 암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접점대는, 상기 제2 연장부의 단부 중 상기 아크 러너를 향하는 일 단부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아크 러너 암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아크 러너 수용 홈을 포함하는, 고정 접점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 러너 수용 홈은, 상기 제2 연장부의 상기 일 단부의 모서리에 함몰 형성되는, 고정 접점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가스 발생 부재는, 상기 아크 러너에 수용되는 가스 발생 몸체; 및 상기 가스 발생 몸체의 단부 중 상기 고정 접점대를 향하는 일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 연장부를 둘러싸는 가스 발생 암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접점대는, 상기 제2 연장부의 상기 일 단부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가스 발생 암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고, 상기 아크 러너 수용 홈과 연통되는 가스 발생 부재 수용 홈을 포함하는, 고정 접점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 러너는, 상기 고정 접점대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아크 러너 몸체; 상기 제1 아크 러너 몸체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아크 러너 몸체; 상기 제2 아크 러너 몸체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상기 고정 접점대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아크 러너 몸체를 마주하는 제3 아크 러너 몸체; 및 상기 제1 아크 러너 몸체, 상기 제2 아크 러너 몸체 및 상기 제3 아크 러너 몸체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고정 접점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아크 러너 몸체는, 상기 제1 아크 러너 몸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고정 접점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열과 화학 반응되어 가스(gas)를 생성하게 구성되고, 상기 아크 러너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아크 러너에 의해 지지되는 가스 발생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 발생 부재는, 상기 제2 아크 러너 몸체보다 긴 길이의 폭을 갖게 형성되며,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가스 발생 몸체; 및 상기 가스 발생 몸체의 단부 중 상기 고정 접점대를 향하는 일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 아크 러너 몸체를 폭 방향에서 둘러싸는 가스 발생 암을 포함하는, 고정 접점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스 발생 부재는, 상기 가스 발생 몸체의 면 중 상기 제3 아크 러너 몸체를 향하는 일 면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3 아크 러너 몸체를 수용하는 아크 러너 수용 홈을 포함하는, 고정 접점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공간을 덮으며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어 외부에 부분적으로 노출되고,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 접점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접점부는, 상기 하우징에 관통되어 외부에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고정 접점대; 상기 고정 접점대의 상측에 위치되고, 발생된 아크를 외부로 유도하게 구성되는 아크 러너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프레임을 향하는 일 면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고정 접점대의 일 부분 및 상기 아크 러너를 수용하는 접점대 수용 공간; 및 상기 접점대 수용 공간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고정 접점대가 결합되는 접점대 관통공을 포함하는, 차단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 접점대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접점대 관통공에 관통되어 외부에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접점대 수용 공간에 위치되며, 상기 제1 연장부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상기 아크 러너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크 러너는, 상기 제2 연장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차단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 러너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 면과 접촉되며, 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아크 러너 몸체; 상기 제1 아크 러너 몸체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상기 프레임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아크 러너 몸체; 상기 제2 아크 러너 몸체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상기 타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연장 방향의 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 면과 결합되는 제3 아크 러너 몸체; 및 상기 제1 아크 러너 몸체, 상기 제2 아크 러너 몸체 및 상기 제3 아크 러너 몸체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차단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 접점대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며, 아크와 함께 발생되는 열과 화학 반응되어 가스(gas)를 생성하게 구성되는 가스 발생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 발생 부재는,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가스 발생 몸체; 및 상기 가스 발생 몸체의 하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2 아크 러너 몸체를 폭 방향에서 둘러싸는 한 쌍의 가스 발생 암을 포함하는, 차단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접점대는, 상기 제2 연장부의 상측 단부에서 돌출되는 아크 러너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크 러너 지지부는, 상기 접점대 관통공을 상측에서 둘러싸는 하우징의 일 부분과 접촉되고,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접점대 관통공을 하측에서 둘러싸는 하우징의 다른 부분과 접촉되는, 차단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 접점대는, 상기 제1 연장부의 상측에 위치되는 한 쌍의 모서리에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일 부분을 수용하는 하우징 수용 홈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수용 홈에 수용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 부분은 상기 제1 연장부를 지지하게 구성되는, 차단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접점대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며, 아크와 함께 발생되는 열과 화학 반응되어 가스(gas)를 생성하게 구성되는 가스 발생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아크 러너는,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제2 연장부를 폭 방향에서 둘러싸는 아크 러너 암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 발생 부재는, 하측으로 연장되고,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제2 연장부를 푹 방향으로 둘러싸며, 상기 아크 러너 암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우징을 마주하도록 상기 아크 러너 암과 겹쳐지게 배치되는 가스 발생 암을 포함하는, 차단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 접점대는, 상기 제2 연장부의 상측 모서리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아크 러너 암을 수용하는 아크 러너 수용 홈; 및 상기 아크 러너 수용 홈에 비해 상기 프레임의 상기 공간에 가깝게 위치되며, 상기 제2 연장부의 상측 모서리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가스 발생 암을 수용하고, 상기 아크 러너 수용 홈과 연통되는 가스 발생 부재 수용 홈을 포함하는, 차단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 접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단기는 조립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고정 접점부는 차단기의 외부에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 접점대를 포함한다. 고정 접점대에는 고정 접점이 결합되어,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가동 접점과 접촉되거나 이격될 수 있다.
이때, 고정 접점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접점대의 일부 구성, 즉 제1 연장부는 하우징에 관통되어 외부에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고정 접점대의 다른 구성, 즉 제2 연장부는 하우징에 형성되는 접점대 수용부에 수용된다.
즉, 일체로 형성된 고정 접점대를 하우징에 관통 결합시키는 과정만으로도 고정 접점부가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 그리고 프레임의 내부에 수용되는 가동 접점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접점대를 하우징의 외부 및 내부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구성으로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조립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 접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단기는 조립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 접점대와 하우징의 결합은 하우징에 관통 형성되는 접점대 관통공에 제1 연장부를 관통시켜 달성될 수 있다. 고정 접점대가 결합된 후, 고정 접점부에 구비되는 가스 발생 부재 및 아크 러너는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하우징에 체결된다.
따라서, 고정 접점부와 하우징의 조립 공정이 간소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 접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단기는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 연장부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접점대 수용부에 수용되는 제2 연장부는 제1 연장부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연장부가 접점대 관통공에 관통되면, 제2 연장부는 하우징의 내면과 접촉되어 제1 연장부를 하측에서 지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연장부의 상측 단부에는 아크 러너 지지부가 돌출될 수 있다. 제1 연장부가 접점대 관통공에 관통되면, 아크 러너 지지부는 하우징의 내면과 접촉되어 제1 연장부를 상측에서 지지한다.
한편, 제1 연장부의 모서리에는 하우징 수용 홈이 함몰 형성된다. 하우징의 일 부분은 하우징 수용 홈에 수용되어, 제1 연장부를 높이 방향의 일 측에서 지지한다.
또한, 제2 연장부의 모서리에는 가스 발생 부재 수용 홈 및 아크 러너 수용 홈이 형성된다. 가스 발생 부재 수용 홈에는 가스 발생 암이, 아크 러너 수용 홈에는 아크 러너 홈이 각각 수용된다. 일 실시 예에서, 가스 발생 암과 아크 러너 홈은 제2 연장부를 지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가스 발생 부재는 아크 러너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에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가스 발생 부재는 아크 러너에 의해 지지된다. 이때, 가스 발생 암은 아크 러너 암에 비해 내측, 즉 프레임을 향하는 방향에 위치된다. 즉, 가스 발생 부재와 아크 러너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서로를 지지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고정 접점부의 각 구성이 서로에 의해 지지되어 그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 접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단기는 결합을 위한 추가 부재를 최소화하면서도 각 구성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 접점부의 각 구성은 서로에 의해 지지되며 결합된다. 따라서, 고정 접점부의 구성 간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고정 접점대는 하우징에 형성되는 접점대 관통공에 관통 결합된다. 고정 접점대는 가스 발생 부재 및 아크 러너에 의해 높이 방향의 일 측이 지지된다. 따라서, 고정 접점대는 복수 개의 지점에서 그 자체의 형상, 하우징, 가스 발생 부재 및 아크 러너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가스 발생 부재 및 아크 러너는 서로 겹쳐지게 배치되어 체결 부재가 관통되는 가스 체결공 및 아크 체결공을 포함한다. 가스 체결공 및 아크 체결공에 관통된 체결 부재는 하우징에 형성되는 하우징 체결공에 결합된다. 즉, 가스 발생 부재 및 아크 러너는 체결 부재만에 의해 하우징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을 위한 부재가 최소화되면서도, 고정 접점부 및 하우징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 접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단기는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 접점대는 하우징에 관통되어 그 일부는 프레임의 내부에, 그 일부는 프레임의 외부에 노출된다. 또한, 가스 발생 부재 및 아크 러너는 체결 부재에 의해 함께 하우징에 결합되되, 고정 접점대를 지지하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결합 공정이 간명해지고 체결 등에 요구되는 부재의 개수가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조 비용 및 시간이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단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차단기를 도시하는 A-A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 및 도 2의 차단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 및 도 2의 차단기에 구비되는 고정 접점부 및 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고정 접점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고정 접점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고정 접점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6의 고정 접점부에 구비되는 가스 발생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6의 고정 접점부에 구비되는 아크 러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도 6의 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4 및 도 15의 하우징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4 및 도 15의 하우징을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8은 도 6의 고정 접점부 및 하우징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6의 고정 접점부 및 하우징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6의 고정 접점부 및 하우징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 단면도이다.
도 2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단기에 구비되는 터미널과 아크 러너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차단기의 터미널과 아크 러너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가 있을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1. 용어의 정의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연통"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부재가 서로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됨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연통은 관로, 파이프, 배관 등의 부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연통은 하나 이상의 부재가 서로 "유체적으로 연결"됨과 같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통전"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부재가 서로 전류 또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 가능하게 연결됨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통전은 도선 부재 등에 의한 유선의 형태 또는 블루투스, Wi-Fi, RFID 등의 무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통전은 "통신"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유체"라는 용어는, 외력에 의해 유동되며, 형상 또는 부피 등이 변형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의 물질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유체는 물 등의 액체 또는 공기 등의 기체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상측", "하측", "좌측", "우측", "전방 측" 및 "후방 측"이라는 용어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단기(10)의 구성의 설명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단기(10)가 도시된다. 차단기(10)는 외부의 전원 및 부하와 각각 통전된다. 일 실시 예에서, 차단기(10)는 도선 부재(미도시) 등을 통해 외부의 전원 및 부하와 각각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단기(10)는 기중 차단기(Air Circuit Breaker, ACB)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단기(10) 및 이에 포함되는 고정 접점부(400) 및 하우징(500)의 특징은 진공 차단기(Vacuum Circuit Breaker, VCB), 배선용 차단기(Molded Case Circuit Breaker, MCCB) 등 다양한 형태의 차단기에 적용될 수 있다.
차단기(10)가 외부의 전원 및 부하와 각각 통전되어, 외부의 전원 및 부하 간의 통전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과정은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차단기(10)는 프레임(100), 아크 소호 부재(200), 통전부(300), 고정 접점부(400) 및 하우징(500)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 중 고정 접점부(400) 및 하우징(500)은 별항으로 설명한다.
프레임(100)은 차단기(10)의 외형을 형성한다. 프레임(10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차단기(10)의 다른 구성을 수용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프레임(100)의 내부에는 아크 소호 부재(200), 통전부(300), 고정 접점부(400) 및 하우징(500)이 수용된다.
이때, 아크 소호 부재(200)는 프레임(100)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아크 소호 부재(200)는 프레임(100)의 상측에 노출되게 배치된다.
또한, 통전부(300) 및 고정 접점부(400) 또한 프레임(100)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통전부(300)의 일부 구성 및 고정 접점부(400)는 프레임(100)의 후방 측으로 부분적으로 노출되게 배치된다. 외부의 전원 및 부하는 통전부(300) 및 고정 접점부(400)와 각각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하우징(500)은 프레임(100)에 결합되어 외부에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우징(500)은 프레임(100)의 후방 측과 결합된다. 통전부(300) 및 고정 접점부(400)의 일부는 하우징(500)에 관통되어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프레임(100)은 차단기(10)의 다른 구성을 수용하고, 상기 다른 구성을 외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프레임(100)은 전후 방향의 길이를 갖고,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가지며, 좌우 방향의 폭을 갖는 사각기둥 형상이다.
프레임(100)의 형상은 하우징(500)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프레임(100)의 높이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에는 아크 소호 부재(200)가 구비된다.
아크 소호 부재(200)는 가동 접점(322)과 고정 접점(420)이 이격되며 발생되는 아크가 소호되며 차단기(10)의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아크 소호 부재(200)는 고정 접점(42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발생된 아크는 후술될 아크 러너(440)를 따라 신장되며 아크 소호 부재(200)를 통해 소호되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아크 소호 부재(200)는 프레임(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된다. 이때, 아크 소호 부재(200)의 일측은 프레임(100)의 상기 공간에 수용된 고정 접점(420)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아크 소호 부재(200)의 타측은 프레임(100)의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아크 소호 부재(200)의 하측은 고정 접점(420)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아크 소호 부재(200)의 상측은 프레임(10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를 위해, 아크 소호 부재(200)는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 치우치게 위치될 수 있다.
아크 소호 부재(20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아크 소호 부재(200)는 서로 이격 배치되어, 복수 개의 고정 접점(420) 및 가동 접점(322) 사이에서 발생되는 아크를 각각 소호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아크 소호 부재(200)는 제1 아크 소호 부재(200a), 제2 아크 소호 부재(200b) 및 제3 아크 소호 부재(200c)를 포함하여 세 개 구비된다. 제1 내지 제3 아크 소호 부재(200a, 200b, 200c)는 프레임(100)의 폭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다. 제1 내지 제3 아크 소호 부재(200a, 200b, 200c)는 세 쌍의 가동 접점(322) 및 고정 접점(420)에서 각각 발생된 아크를 소호하며 배출하게 구성된다.
아크 소호 부재(200)는 가동 접점(322)과 고정 접점(420)이 이격되어 발생되는 아크를 소호하며 배출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아크 소호 부재(200)는 사각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는 다각기둥 형상이다.
도면 부호가 부여되지는 않았지만, 아크 소호 부재(200)는 발생된 아크에 흡인력을 인가할 수 있는 임의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크 소호 부재(200)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그리드(grid), 복수 개의 상기 그리드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 복수 개의 상기 그리드 사이를 통과한 아크를 여과하기 위한 메시(mesh) 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아크 소호 부재(200)의 구성 및 작동 과정은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통전부(300)는 차단기(10)가 외부의 전원 및 부하와 연결되는 일 구성을 형성한다. 통전부(300)는 외부의 전원 및 부하 중 어느 하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외부의 전원 및 부하 중 다른 하나는 고정 접점부(40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됨이 이해될 것이다.
통전부(300)는 프레임(100)과 결합된다. 통전부(300)의 일부 구성은 프레임(100)에 고정 결합되고, 통전부(300)의 다른 구성은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통전부(300)는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에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통전부(300)의 일부 구성은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통전부(300)의 다른 구성은 상기 일부 구성과 결합, 통전되되, 프레임(100)의 외부에 노출된다.
통전부(300)는 아크 소호 부재(20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통전부(300)의 이동에 의해 신장되는 아크는 아크 소호 부재(200)로 유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통전부(300)는 아크 소호 부재(200)의 하측에 위치된다.
통전부(300)는 고정 접점부(40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통전부(300)의 일부 구성(즉, 후술될 가동 접점부(320))은 고정 접점부(400)를 향하는 방향 및 이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동에 의해, 가동 접점(322) 및 고정 접점(420)의 접촉 및 이격이 달성될 수 있다.
통전부(300)는 하우징(500)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통전부(300)의 상기 다른 구성은 하우징(500)에 관통 결합되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통전부(300)는 전기 전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통전부(300)는 구리(Cu), 알루미늄(Al)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합금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통전부(30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통전부(300)는 서로 이격 배치되어, 각각 외부의 전원 및 부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통전부(300)는 제1 통전부(300a), 제2 통전부(300b) 및 제3 통전부(300c)를 포함하여 세 개 구비된다. 제1 내지 제3 통전부(300a, 300b, 300c)는 프레임(100)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된다.
제1 내지 제3 통전부(300a, 300b, 300c)는 각각 제1 내지 제3 아크 소호 부재(200a, 200b, 200c)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또한, 제1 내지 제3 통전부(300a, 300b, 300c)는 제1 내지 제3 고정 접점부(400a, 400b, 400c)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통전부(300)의 개수 및 배치 방식은 아크 소호 부재(200) 및 고정 접점부(400)의 개수 및 배치 방식에 상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통전부(300)는 터미널(310) 및 가동 접점부(320)를 포함한다.
터미널(310)은 통전부(300)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부분이다. 터미널(310)은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 위치된다. 터미널(310)은 상기 일 측, 즉 후방 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그 연장 방향의 일 단부는 프레임(100)의 외측에 노출된다.
터미널(310)은 하우징(500)과 결합된다. 터미널(310)은 하우징(500)에 형성되는 터미널 결합부(520)에 수용된다. 터미널(310)의 후방 측 부분은 터미널 관통공(522)에 관통되어, 하우징(50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에 따라, 터미널(310)은 이동되지 않고 프레임(100) 및 하우징(500)과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터미널(310)은 프레임(100) 및 하우징(500)과 고정 결합된다.
터미널(310)은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프레임(100) 및 하우징(500)의 외측에 노출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터미널(310)은 사각형의 단면을 갖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판형이다.
터미널(310)의 연장 방향의 타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은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에 위치된다. 터미널(310)의 상기 타 측은 가동 접점부(32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가동 접점부(320)는 고정 접점(420)과 접촉되거나 이격되어, 외부의 전원 및 부하와 차단기(10)의 통전 상태를 형성하거나 해제하게 구성된다.
가동 접점부(320)는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일 실시 예에서, 가동 접점부(320)는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의 임의의 지점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동 접점부(32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고정 접점(420)과 접촉될 수 있다. 또한, 가동 접점부(320)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고정 접점(420)과 이격될 수 있다.
가동 접점부(320)는 터미널(310)과 결합된다. 가동 접점부(320)는 터미널(310)과 통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터미널(310)은 프레임(100) 및 하우징(500)과 고정 결합되고, 가동 접점부(320)는 이동 가능하게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다.
따라서, 터미널(310)과 결합, 통전되는 가동 접점부(320)의 일 부분은 편조(braid)의 형태로 구비되어, 가동 접점부(320)의 이동과 무관하게 가동 접점부(320)와 터미널(310)의 결합, 통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동 접점부(320)는 가동 접점대(321) 및 가동 접점(322)을 포함한다.
가동 접점대(321)는 가동 접점부(320)의 일 구성을 형성한다. 가동 접점대(321)는 상기 일 부분(즉, 가동 접점부(320)가 터미널(310)과 결합되는 부분) 및 가동 접점(322)과 각각 결합, 통전된다. 이에 따라, 터미널(310)이 가동 접점(322)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가동 접점대(321)는 터미널(310)과 고정 접점부(400) 사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가동 접점대(321)의 연장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은 상기 일 부분과 결합, 통전된다. 가동 접점대(321)의 연장 방향의 타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은 고정 접점부(40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가동 접점대(321)의 상기 타 측 단부에 인접하게 가동 접점(322)이 위치된다.
가동 접점대(321)는 그 연장 방향의 일 위치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동 접점대(321)는 그 연장 방향의 중앙의 하측에 치우친 일 위치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가동 접점(322)은 고정 접점(420)과 접촉 또는 이격되어, 차단기(10)와 외부의 전원 및 부하 간의 통전을 허용하거나 차단한다. 또한, 차단기(10)가 외부의 전원 및 부하와 통전된 상태에서 이상 전류, 즉 과전류 등이 발생된 경우, 가동 접점(322)은 전기적 반발력에 의해 고정 접점(420)과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생된 아크는 아크 소호 부재(200)로 안내되어 소호되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가동 접점(322)은 가동 접점대(321)와 결합, 통전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동 접점(322)은 가동 접점대(321)의 연장 방향의 타 측 단부, 즉 상측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가동 접점(322)은 가동 접점대(321)의 각 측 중 고정 접점(420)을 마주하는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 위치된다.
가동 접점(322) 및 고정 접점(420)의 접촉 및 이격에 의해 차단기(10)가 외부의 전원 및 부하 간의 통전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과정은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3.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 접점부(400) 및 하우징(500)의 설명
다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단기(10)는 고정 접점부(400) 및 하우징(500)을 포함한다.
고정 접점부(400)는 통전부(300)와 통전 가능하게 접촉되거나 이격된다. 상기 접촉 및 이격에 의해 차단기(10)가 외부의 전원 및 부하의 통전 상태를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고정 접점부(400)는 통전부(300)가 이격될 때 발생되는 아크를 아크 소호 부재(200)를 향해 유도하게 구성될 수 있다.
고정 접점부(400)는 프레임(100) 및 하우징(500)과 결합된다. 고정 접점부(400)의 일부 구성은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어, 가동 접점부(320)와 접촉되거나 이격될 수 있다. 고정 접점부(400)의 다른 구성은 프레임(100) 및 하우징(50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 접점부(400)는 최소한의 구성만으로 상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고정 접점부(400)의 제조 및 다른 구성과의 결합 과정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 접점부(400)는 이를 구성하는 각 구성 및 차단기(10)의 다른 구성과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가동 접점(322)과 고정 접점(420)이 이격되어 아크와 함께 압력 등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고정 접점부(400)는 프레임(100)과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고정 접점부(400)는 프레임(100)의 후방 측에 위치된다. 고정 접점부(400)의 일부 구성은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다. 고정 접점부(400)의 다른 구성은 프레임(10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고정 접점부(400)는 아크 소호 부재(20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고정 접점(420)을 시점으로 하여, 고정 접점(420)에 멀어지는 가동 접점(322)을 따라 신장된 아크는 아크 소호 부재(200)로 유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고정 접점부(400)는 아크 소호 부재(200)의 하측에 위치된다.
고정 접점부(400)는 통전부(300)의 일부 구성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고정 접점부(400)는 터미널(310)의 상측에 위치되되, 가동 접점부(320)의 후방 측에 위치된다. 가동 접점부(320)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가동 접점(322)과 고정 접점(420)의 접촉 및 이격이 달성될 수 있다.
고정 접점부(400)는 하우징(500)과 결합된다. 고정 접점부(400)의 구성 중 프레임(10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일부 구성은 하우징(500)과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일부 구성 중 일부는 하우징(500)에 관통되어, 하우징(500)의 외측에 노출될 수 있다.
고정 접점부(40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고정 접점부(400)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각각 프레임(100) 및 하우징(500)과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고정 접점부(400)는 제1 고정 접점부(400a), 제2 고정 접점부(400b) 및 제3 고정 접점부(400c)를 포함하여 세 개 구비된다. 제1 내지 제3 고정 접점부(400a, 400b, 400c)는 프레임(100)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다.
제1 내지 제3 고정 접점부(400a, 400b, 400c)는 제1 내지 제3 아크 소호 부재(200a, 200b, 200c) 및 제1 내지 제3 통전부(300a, 300b, 300c)에 각각 인접하게 위치된다.
고정 접점부(400)의 개수 및 배치 방식은 아크 소호 부재(200) 및 통전부(300)의 개수 및 배치 방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고정 접점부(400)는 고정 접점대(410), 고정 접점(420), 가스 발생 부재(430), 아크 러너(440) 및 체결 부재(450)를 포함한다.
고정 접점대(410)는 고정 접점부(400)의 일 구성을 형성한다. 고정 접점대(410)는 프레임(100) 또는 하우징(50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고정 접점대(410)는 고정 접점(420)과 결합, 통전된다. 고정 접점(420)이 가동 접점(322)과 접촉되면, 고정 접점대(410)는 가동 접점대(321) 및 터미널(31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차단기(10)가 외부의 전원 및 부하의 통전을 허용할 수 있다.
고정 접점대(410)는 전기 전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 접점대(410)는 구리, 알루미늄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합금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접점대(410)는 프레임(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고정 접점대(410)는 그 전방 측 일부가 프레임(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된다.
고정 접점대(410)는 프레임(100)의 외측으로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하우징(500)과 결합된다. 고정 접점대(410)가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은 하우징(500)에 관통되어, 하우징(50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고정 접점대(410)는 그 후방 측 일부가 하우징(50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 접점대(410)는 단일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 접점대(410)의 외형을 형성하는 제1 연장부(411) 및 제2 연장부(41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단일의 고정 접점대(410)의 일부는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에, 다른 일부는 프레임(1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접점부(400)가 외부와 통전되기 위해 요구되는 구성의 개수가 감소되고, 고정 접점부(400)와 하우징(500)의 결합에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고정 접점대(410)는 제1 연장부(411), 제2 연장부(412), 아크 러너 지지부(413), 제한 돌기(414), 하우징 수용 홈(415), 가스 발생 부재 수용 홈(416) 및 아크 러너 수용 홈(417)을 포함한다.
제1 연장부(411)는 고정 접점대(410)의 몸체의 일부를 구성한다. 제1 연장부(411)는 고정 접점대(410)가 하우징(500)과 결합되는 부분이다. 동시에, 제1 연장부(411)는 고정 접점대(410)가 하우징(500)의 외부에 노출되어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부분이다.
제1 연장부(411)는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 연장부(411)의 연장 방향은 프레임(100)과 하우징(500)이 서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방향임이 이해될 것이다.
제1 연장부(411)는 하우징(500)에 관통되어, 하우징(5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연장부(411)는 상하 방향의 높이가 좌우 방향의 폭보다 짧고, 전후 방향의 길이를 갖는 다각기둥 형상이다.
제1 연장부(411)의 형상은 하우징(500)에 형성되는 접점대 결합부(530)의 형상에 상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1 연장부(4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각 면 중 폭 방향에 배치되는 한 쌍의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면 및 우측 면에는 하우징 수용 홈(415)이 함몰 형성된다.
제1 연장부(411)는 제2 연장부(412)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속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직각일 수 있다.
제2 연장부(412)는 고정 접점대(410)의 몸체의 다른 일부를 형성한다. 제2 연장부(412)는 고정 접점(420)과 결합되어 통전된다. 즉, 제2 연장부(412)는 고정 접점대(410)가 가동 접점부(320)와 통전 가능하게 접촉 또는 이격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연장부(412)는 하우징(500)에 결합된 고정 접점대(410)를 지지한다. 즉, 제2 연장부(412)는 접점대 관통공(532)의 관통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접점대 관통공(532)에 관통된 제1 연장부(411)의 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연장부(412)는 제1 연장부(411)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제1 연장부(411)의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제2 연장부(412)는 터미널(310)을 향하는 방향, 즉 하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2 연장부(412)는 제1 연장부(411)와 연속되고, 고정 접점대(410)와 하우징(500)의 결합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연장부(412)는 전후 방향의 길이가 좌우 방향의 폭보다 더 짧고,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는 다각기둥 형상이다.
제2 연장부(412)는 고정 접점(420)과 결합, 통전된다. 고정 접점(420)은 제2 연장부(412)의 면 중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을 향하는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면에 결합된다.
제2 연장부(412)의 연장 방향의 단부 중 아크 소호 부재(200)를 향하는 일 단부의 폭 방향의 각 모서리,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의 좌상측 및 우상측 모서리에는 가스 발생 부재 수용 홈(416) 및 아크 러너 수용 홈(417)이 형성된다.
제2 연장부(412)의 상기 일 단부의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면에는 아크 러너 지지부(413)가 그 높이 방향으로 돌출된다.
또한, 제2 연장부(412)의 상기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면에는 고정 접점(420)과 이격되게 제한 돌기(414)가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을 향하는 방향, 즉 전방 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아크 러너 지지부(413)는 하우징(500)과 결합된 아크 러너(440)를 지지한다. 아크 러너 지지부(413)는 아크 러너(440)의 하측에 위치되어, 아크 러너(440)의 하측 단부를 지지하게 구성될 수 있다.
아크 러너 지지부(413)는 제2 연장부(412)와 연속된다. 아크 러너 지지부(413)는 제2 연장부(412)의 면 중 아크 러너(440)를 향하는 일 단부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 면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아크 러너 지지부(413)의 돌출 길이는 아크 러너(440)와 고정 접점대(410)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크 러너 지지부(413)는 하우징(500)에 결합된 아크 러너(440)의 하측 단부와, 제2 연장부(412)의 상측 단부 면 사이의 길이만큼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500)에 결합된 아크 러너(440)는 제2 연장부(412)에 의해 그 하측이 지지되어 아크 러너(44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동시에, 아크 러너 지지부(413) 또한 아크 러너(440)에 의해 하측으로 가압되어, 접점대 관통공(532)에 대해 상기 소정의 각도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아크 러너 지지부(413)는 아크 러너(440)를 지지함과 동시에, 고정 접점대(410)의 결합 상태를 유지시킨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아크 러너 지지부(413)는 제1 연장부(411)가 접점대 관통공(532)에 관통되는 길이를 제한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연장부(412)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고정 접점대(410)를 하측에서 지지한다. 이때, 아크 러너 지지부(413)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고정 접점대(410)를 상측에서 지지한다. 즉, 제2 연장부(412)는 하측에서, 아크 러너 지지부(413)는 상측에서 각각 접점 하우징 몸체(510)와 접촉된다.
이에 따라, 제1 연장부(411)가 접점대 관통공(532)에 관통되는 길이가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접점대 관통공(532)에 결합된 고정 접점대(410)가 상하 방향에서 접점 하우징 몸체(5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아크 러너 지지부(413)에 인접하게 제한 돌기(414)가 위치된다.
제한 돌기(414)는 가동 접점대(321)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게 구성된다. 가동 접점대(321)는 제한 돌기(414)와 접촉될 때까지만 고정 접점대(410)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동 접점(322)은 고정 접점(420)과 접촉되되, 과다하게 밀착되지 않을만큼만 고정 접점(420)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제한 돌기(414)는 제2 연장부(412)와 연속된다. 제한 돌기(414)는 제2 연장부(412)의 면 중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 또는 가동 접점(322)을 향하는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면에서 전방 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한 돌기(414)는 가동 접점(322)과 아크 러너 지지부(413) 사이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한 돌기(414)는 가동 접점(322)의 상측에, 아크 러너 지지부(413)의 하측에 위치된다.
가동 접점부(320)가 고정 접점대(410)를 향해 회전되어 가동 접점(322)과 고정 접점(420)이 접촉되면, 가동 접점부(320)의 연장 방향의 각 측 중 하우징(500)을 향하는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에 인접한 부분은 제한 돌기(414)와 접촉된다. 이에 따라, 가동 접점부(320)의 회전 각도가 제한되어, 가동 접점(322)과 고정 접점(420)의 과다 밀착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과전류 등의 이상 전류가 통전될 경우, 가동 접점(322)과 고정 접점(420)의 이격 과정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다.
하우징 수용 홈(415)은 하우징(500)의 일 부분을 수용한다. 하우징 수용 홈(415)에 수용된 하우징(500)의 상기 일 부분은 고정 접점대(410)를 가압하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500)과 고정 접점대(41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하우징 수용 홈(415)은 제1 연장부(411)에 형성된다. 하우징 수용 홈(415)은 제1 연장부(411)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모서리,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모서리 중 일부에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우징 수용 홈(415)은 제1 연장부(411)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모서리 중 상측에 위치되는 모서리에 방사상 내측을 향해 함몰 형성된다.
하우징 수용 홈(415)은 제1 연장부(411)의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하우징 수용 홈(415)의 연장 길이는 제1 연장부(411)의 연장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장부(411)가 하우징(500)과 직접 접촉되는 부분이 하우징 수용 홈(415)에 수용되어, 제1 연장부(411)를 접촉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 수용 홈(415)은 마주하는 하우징(500)의 일 부분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우징 수용 홈(415)은 제1 연장부(411)의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일 면에 둘러싸이게 형성된다.
하우징 수용 홈(415)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하우징 수용 홈(415)은 제1 연장부(411)의 서로 다른 모서리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우징 수용 홈(415)은 제1 연장부(411)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네 개의 모서리 중 상측에 위치되는 한 쌍의 모서리에 각각 형성된다.
가스 발생 부재 수용 홈(416)은 하우징(500)과 결합되는 가스 발생 부재(430)의 일 부분을 수용한다. 가스 발생 부재 수용 홈(416)에 수용된 가스 발생 부재(430)의 상기 일 부분은 고정 접점대(410)를 가압하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고정 접점대(410)와 가스 발생 부재(43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가스 발생 부재 수용 홈(416)은 제2 연장부(412)에 형성된다. 가스 발생 부재 수용 홈(416)은 제2 연장부(41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모서리,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모서리 중 일부에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스 발생 부재 수용 홈(416)은 제2 연장부(412)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모서리 중 상측에 위치되는 모서리의 일부에 방사상 내측을 향해 함몰 형성된다.
가스 발생 부재 수용 홈(416)은 제2 연장부(412)의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가스 발생 부재 수용 홈(416)은 하우징 수용 홈(415)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스 발생 부재 수용 홈(416)의 연장 길이는 가스 발생 부재(430)의 두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때, 가스 발생 부재 수용 홈(416)의 연장 길이는 제2 연장부(412)의 연장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따라서, 제2 연장부(412)의 상기 모서리의 다른 일부에는 아크 러너 수용 홈(417)이 형성될 수 있다.
가스 발생 부재 수용 홈(416)은 아크 러너 수용 홈(417)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스 발생 부재 수용 홈(416)은 아크 러너 수용 홈(417)의 전방 측에 위치된다. 가스 발생 부재 수용 홈(416)과 아크 러너 수용 홈(417)의 위치 관계는 가스 발생 부재(4230) 및 아크 러너(440)의 위치 관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가스 발생 부재 수용 홈(416)에는 가스 발생 부재(430)의 일 구성, 후술될 가스 발생 암(432)이 수용된다. 이때, 가스 발생 암(432)은 아크 러너 수용 홈(417)에 수용된 아크 러너 암(444)을 외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서 덮게 배치된다.
또한, 가스 발생 부재 수용 홈(416)에 수용된 가스 발생 암(432)은 가스 발생 부재 수용 홈(416)을 둘러싸는 제2 연장부(412)의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면을 가압한다. 이에 따라, 가스 발생 부재(430)와 고정 접점대(41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가스 발생 부재 수용 홈(416)은 가스 발생 암(432)의 단부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스 발생 부재 수용 홈(416)은 제2 연장부(412)의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일 면에 둘러싸이게 형성된다.
가스 발생 부재 수용 홈(416)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가스 발생 부재 수용 홈(416)은 제2 연장부(412)의 서로 다른 모서리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스 발생 부재 수용 홈(416)은 제2 연장부(412)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네 개의 모서리 중 상측에 위치되는 한 쌍의 모서리에 각각 형성된다.
가스 발생 부재 수용 홈(416)은 아크 러너 수용 홈(417)과 연통된다.
아크 러너 수용 홈(417)은 하우징(500)과 결합되는 아크 러너(440)의 일 부분을 수용한다. 아크 러너 수용 홈(417)에 수용된 아크 러너(440)의 상기 일 부분은 고정 접점대(410)를 가압하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고정 접점대(410)와 아크 러너(44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아크 러너 수용 홈(417)은 제2 연장부(412)에 형성된다. 아크 러너 수용 홈(417)은 제2 연장부(41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모서리,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모서리 중 일부에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아크 러너 수용 홈(417)은 제2 연장부(412)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모서리 중 상측에 위치되는 모서리의 일부에 방사상 내측을 향해 함몰 형성된다.
아크 러너 수용 홈(417)은 제2 연장부(412)의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아크 러너 수용 홈(417)은 하우징 수용 홈(415) 및 가스 발생 부재 수용 홈(416)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아크 러너 수용 홈(417)의 연장 길이는 아크 러너(440)의 아크 러너 암(444)의 두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아크 러너 수용 홈(417)의 연장 길이는 제2 연장부(412)의 연장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이에, 제2 연장부(412)의 상기 모서리에는 아크 러너 수용 홈(417) 및 가스 발생 부재 수용 홈(416)이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아크 러너 수용 홈(417)은 가스 발생 부재 수용 홈(416)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아크 러너 수용 홈(417)은 가스 발생 부재 수용 홈(416)의 후방 측에 위치된다.
고정 접점대(410)가 고정 접점부(400)의 다른 구성 및 하우징(500)과 결합된 상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고정 접점(420)은 가동 접점(322)과 접촉 또는 이격된다. 상기 접촉 또는 이격에 의해, 차단기(10)가 외부의 전원 및 부하를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고정 접점(420)은 고정 접점대(41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고정 접점(420)은 제2 연장부(412)의 면 중 가동 접점(322)을 향하는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면과 결합된다. 고정 접점(420)은 고정 접점대(410)와 통전된다.
고정 접점(420)은 전기 전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 접점(420)은 고정 접점대(410)와 마찬가지로 구리, 알루미늄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접점(420)은 제한 돌기(414)와 이격되어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고정 접점(420)은 제한 돌기(414)의 하측에 위치된다. 고정 접점(420)이 가동 접점(322)과 접촉되면, 제한 돌기(414)는 가동 접점대(321)와 접촉될 수 있다.
가동 접점(322)과 고정 접점(420)의 접촉 및 이격에 의해 차단기(10)가 외부의 전원 및 부하를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과정은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가스 발생 부재(430)는 아크와 함께 발생되는 열과 화학 반응을 하여 가스를 발생시킨다. 발생된 가스는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의 압력을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과 외부의 압력 차이에 의해 발생된 아크가 아크 소호 부재(200)를 향해 진행하도록 하는 이송력이 발생될 수 있다.
즉, 가스 발생 부재(430)는 발생된 아크가 신속하게 아크 소호 부재(200)로 이동되기 위한 가스를 발생시킨다.
또한, 가스 발생 부재(430)에서 발생된 가스는 아크와 열교환되어, 아크를 냉각하는 역할 또한 수행할 수 있다. 아크는 발생된 가스에 의해 냉각되며 아크 소호 부재(200)를 향해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발생된 아크는 충분히 냉각되며 아크 소호 부재(200)를 통해 소호된 후 차단기(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크와 함께 발생된 열에 의한 차단기(10)의 내부 구성 또는 아크 소호 부재(200)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가스 발생 부재(430)는 아크와 함께 발생된 열과 화학 반응하여 가스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임의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스 발생 부재(430)는 나일론 등 열가소성 합성 수지(resin)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가스 발생 부재(430)는 상기 열과 반응하여 수소 또는 질소 등의 기체를 발생시킬 수 있다.
가스 발생 부재(430)는 고정 접점대(41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가스 발생 부재(430)의 높이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는 고정 접점대(410)에 형성되는 가스 발생 부재 수용 홈(416)에 수용되어 고정 접점대(410)에 의해 지지된다.
가스 발생 부재(430)는 아크 러너(44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가스 발생 부재(430)는 아크 러너(440)에 구비되는 수용 공간(446)에 수용된다. 가스 발생 부재(430)의 두께 방향의 각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및 후방 측은 아크 러너(440)에 의해 둘러싸인다.
가스 발생 부재(430)는 하우징(500)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가스 발생 부재(430)는 아크 러너(440)의 후방 측에 위치되는 제1 아크 러너 몸체(441)를 사이에 두고 하우징(500)과 결합된다. 이에 따라, 가스 발생 부재(43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에 노출된다.
즉, 가동 접점(322)을 수용하는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에서 바라보았을 때, 아크 러너(440)의 일 구성(즉, 후술될 제3 아크 러너 몸체(443)), 가스 발생 부재(430) 및 아크 러너(440)의 다른 구성(즉, 후술될 제1 아크 러너 몸체(441))가 차례로 배치된다.
따라서, 가스 발생 부재(430)는 아크와 함께 발생된 열과 화학 반응하여 아크에 이송력을 제공하기 위한 가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스 발생 부재(430)는 가스 발생 몸체(431), 가스 발생 암(432), 아크 러너 수용 공간(433), 아크 러너 수용 홈(434) 및 가스 체결공(435)을 포함한다.
가스 발생 몸체(431)는 가스 발생 부재(430)의 일 구성을 형성한다. 가스 발생 몸체(431)는 아크 러너(440)의 수용 공간(446)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가스 발생 몸체(431)는 아크 러너(440) 및 하우징(500)과 결합된다. 상기 결합은 가스 발생 몸체(431)의 내부에 형성된 가스 체결공(435)에 체결 부재(450)가 관통되어 달성된다.
가스 발생 몸체(431)는 수용 공간(446)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스 발생 몸체(431)는 좌우 방향의 폭, 상하 방향의 높이 및 전후 방향의 두께를 갖는 다각판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가스 발생 몸체(431)의 폭의 길이, 즉 좌우 방향의 길이는 아크 러너(440)의 제2 아크 러너 몸체(442)의 폭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가스 발생 몸체(431)는 가스 발생 암(432)과 연속된다.
가스 발생 암(432)은 가스 발생 부재(430)의 다른 구성을 형성한다. 가스 발생 암(432)은 가스 발생 몸체(431)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가스 발생 암(432)은 가스 발생 몸체(431)의 높이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에서 하측을 향해 연장된다.
가스 발생 암(432)은 아크 러너(440) 및 하우징(500)과 결합된다. 상기 결합은 가스 발생 암(432)의 내부에 형성된 가스 체결공(435)에 체결 부재(450)가 관통되어 달성된다.
가스 발생 암(432)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가스 발생 암(432)은 가스 발생 몸체(431)의 폭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스 발생 암(432)은 두 개 구비되어, 가스 발생 몸체(431)의 좌하측 단부 및 우하측 단부와 각각 연속된다.
가스 발생 암(432)은 고정 접점대(410)에 의해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가스 발생 암(432)은 가스 발생 부재 수용 홈(416)에 그 연장 방향의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가 수용되어, 제2 연장부(41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가스 발생 암(432)은 아크 러너 수용 공간(433)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배치된다.
아크 러너 수용 공간(433)은 가스 발생 부재(430)가 아크 러너(440)를 수용하는 공간이다. 아크 러너 수용 공간(433)은 가스 발생 몸체(431) 및 가스 발생 암(432)에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아크 러너 수용 공간(433)의 상측은 가스 발생 몸체(431)의 하측에 둘러싸인다. 또한, 아크 러너 수용 공간(433)의 좌측 및 우측은 한 쌍의 가스 발생 암(432)에 둘러싸인다. 아크 러너 수용 공간(433)의 다른 부분,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은 개방 형성되어, 아크 러너(440)의 제2 아크 러너 몸체(442)가 삽입될 수 있다.
아크 러너 수용 공간(433)은 아크 러너(440), 구체적으로 제2 아크 러너 몸체(442)의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아크 러너 수용 공간(433)은 사각판형의 공간으로 형성되되, 그 하측이 개방 형성된다.
아크 러너 수용 홈(434)은 가스 발생 부재(430)가 아크 러너(440)를 수용하는 다른 공간으로 정의된다. 아크 러너 수용 홈(434)은 가스 발생 부재(430)와 결합된 아크 러너(440)의 제3 아크 러너 몸체(443)를 부분적으로 수용한다.
아크 러너 수용 홈(434)은 가스 발생 몸체(431)의 내부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아크 러너 수용 홈(434)은 가스 발생 몸체(431)의 면 중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을 향하는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면에 함몰 형성된다.
아크 러너 수용 홈(434)은 제3 아크 러너 몸체(443)의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아크 러너 수용 홈(434)은 하측은 개방되되, 상측은 가스 발생 몸체(431)에 의해 둘러싸인다. 또한, 아크 러너 수용 홈(434)은 그 상측의 폭 방향의 연장 길이가 하측의 폭 방향의 연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따라서, 아크 러너 수용 홈(434)은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그 단면적이 감소되는 부분을 포함함이 이해될 것이다.
아크 러너 수용 홈(434)에 삽입된 제3 아크 러너 몸체(443)는 아크 러너 수용 홈(434)을 둘러싸는 가스 발생 몸체(43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스 발생 부재(430)와 아크 러너(44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가스 체결공(435)은 체결 부재(450)가 결합되는 공간이다. 가스 체결공(435)은 가스 발생 부재(430)에 관통 형성된다.
가스 체결공(435)은 아크 러너(440)에 형성되는 아크 체결공(447) 및 하우징(500)의 하우징 체결공(540)과 겹쳐지게 배치된다. 즉, 체결 부재(450)는 가스 체결공(435) 및 아크 체결공(447)에 각각 관통되어 하우징 체결공(540)과 결합될 수 있다.
가스 체결공(435)은 체결 부재(450)가 관통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스 체결공(435)은 원형의 단면을 갖고 전후 방향의 두께를 갖는 원판 형상의 공간으로 형성된다.
가스 체결공(435)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가스 체결공(435)은 각각 가스 발생 몸체(431) 또는 가스 발생 암(432)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스 체결공(435)은 세 개 형성된다. 이때, 어느 하나의 가스 체결공(435)은 가스 발생 몸체(431)의 상측에 치우치게 위치된다. 또한, 나머지 가스 체결공(435)은 한 쌍의 가스 발생 암(432)에 각각 형성된다.
가스 체결공(435)의 개수 및 배치 방식은 아크 체결공(447) 및 하우징 체결공(540)의 개수 및 배치 방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차단기(10)는 가스 발생 부재(430) 없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프레임(100) 또는 하우징(500)이 가스를 발생시킬 수 있는 소재, 즉 상술한 가스 발생 부재(430)와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프레임(100) 또는 하우징(500)이 아크와 함께 발생된 열과 화학 반응되어 가스를 발생시키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프레임(100) 또는 하우징(500)에서 발생된 가스는 발생된 아크를 냉각하며 아크를 아크 소호 부재(200)를 향해 유동시킬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아크 러너(440)는 발생된 아크를 아크 소호 부재(200)를 향해 유도한다. 고정 접점(420)과 가동 접점(322)이 이격되어 발생된 아크는 아크 러너(440)에 의해 아크 소호 부재(200)로 신속하게 유도될 수 있다.
아크 러너(440)는 아크 소호 부재(200)와 고정 접점(420) 사이에서 연장된다. 즉,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아크 러너(440)의 상측 단부는 아크 소호 부재(200)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아크 러너(440)의 하측 단부는 고정 접점(42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따라서, 고정 접점(420)에서 발생된 아크는 아크 러너(440)를 따라 아크 소호 부재(200)로 연장 및 유도될 수 있다.
아크 러너(440)는 고정 접점대(410)와 결합된다. 아크 러너(440)의 일부 구성은 아크 러너 수용 홈(417)에 수용되어 고정 접점대(4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아크 러너(440)의 다른 구성은 아크 러너 지지부(413)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아크 러너(440)는 가스 발생 부재(430)와 결합된다. 이때, 아크 러너(440)는 가스 발생 부재(43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며 가스 발생 부재(430)와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아크 러너(440)는 가스 발생 부재(43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아크 러너(440)는 하우징(500)과 결합된다. 아크 러너(440)는 가스 발생 부재(430)와 겹쳐지게 배치되어, 체결 부재(450)에 의해 하우징(500)과 결합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아크 러너(440)는 제1 아크 러너 몸체(441), 제2 아크 러너 몸체(442), 제3 아크 러너 몸체(443), 아크 러너 암(444), 절개 홈(445), 수용 공간(446), 아크 체결공(447) 및 접점대 수용 공간(448)을 포함한다.
제1 아크 러너 몸체(441)는 아크 러너(440)의 외형의 일부를 구성한다. 제1 아크 러너 몸체(441)는 아크 러너(440)가 하우징(500)과 결합되는 일 구성으로 정의된다.
제1 아크 러너 몸체(441)는 가스 발생 부재(430)와 겹쳐지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아크 러너 몸체(441)는 수용 공간(446)에 수용되는 가스 발생 몸체(431)와 겹쳐지게 배치된다.
제1 아크 러너 몸체(441)는 제3 아크 러너 몸체(443)를 마주하게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아크 러너 몸체(441)는 수용 공간(446)을 사이에 두고 제3 아크 러너 몸체(443)를 마주한다.
제1 아크 러너 몸체(441)는 하우징(500)의 접점대 결합부(53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아크 러너 몸체(441)는 좌우 방향의 폭을 갖고,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가지며, 전후 방향의 두께를 갖는 사각판형으로 형성된다.
제1 아크 러너 몸체(441)의 높이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는 제2 아크 러너 몸체(442)와 연속된다.
제2 아크 러너 몸체(442)는 아크 러너(440)의 외형의 다른 일부를 형성한다. 제2 아크 러너 몸체(442)는 아크 러너(440)가 아크 러너 지지부(413)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제2 아크 러너 몸체(442)는 제1 아크 러너 몸체(441) 및 제3 아크 러너 몸체(443)와 각각 연속된다. 이때, 제2 아크 러너 몸체(442)는 제1 아크 러너 몸체(441) 및 제3 아크 러너 몸체(443)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속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아크 러너 몸체(442)는 제1 아크 러너 몸체(441)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속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예각, 직각 또는 둔각일 수 있다. 또한, 제2 아크 러너 몸체(442)는 제3 아크 러너 몸체(443)에 대해 직각 또는 예각을 이루며 연속된다.
제2 아크 러너 몸체(442)는 제1 및 제3 아크 러너 몸체(441, 443)를 연결하고, 아크 러너 지지부(41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아크 러너 몸체(442)는 고정 접점대(410)를 향하는 일 측, 즉 하측으로 볼록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3 아크 러너 몸체(443)는 아크 러너(440)의 외형의 또다른 일부를 형성한다. 제3 아크 러너 몸체(443)는 아크 러너(440)가 가스 발생 부재(430)와 결합되는 일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제3 아크 러너 몸체(443)는 가스 발생 부재(430)의 아크 러너 수용 홈(434)에 수용된다. 제3 아크 러너 몸체(443)는 아크 러너 수용 홈(434)이 형성된 가스 발생 몸체(431)의 일 면, 즉 전방 측면을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가스 발생 부재(430)와 아크 러너(44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제3 아크 러너 몸체(443)는 제2 아크 러너 몸체(442)와 연속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아크 러너 몸체(443)는 제2 아크 러너 몸체(442)에 대해 직각 또는 예각을 이루며 연장될 수 있다.
제3 아크 러너 몸체(443)는 제1 아크 러너 몸체(441)와 같은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제3 아크 러너 몸체(443)는 제1 아크 러너 몸체(441)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아크 러너 몸체(443)와 제1 아크 러너 몸체(441) 사이의 거리는, 제3 아크 러너 몸체(443)의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감소됨이 이해될 것이다.
제3 아크 러너 몸체(443)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는 가스 발생 몸체(431)의 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아크 러너 몸체(443)의 상기 일 단부는 아크 러너 수용 홈(434)을 둘러싸는 가스 발생 몸체(431)의 면과 접촉되어, 가스 발생 부재(430)를 지지할 수 있다.
아크 러너 암(444)은 아크 러너(440)의 외형의 또다른 일부를 형성한다. 아크 러너 암(444)은 아크 러너(440)가 가스 발생 부재(430) 및 하우징(500)과 결합되는 일 구성이다.
아크 러너 암(444)은 제1 아크 러너 몸체(441)와 연속된다. 아크 러너 암(444)은 제1 아크 러너 몸체(441)의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아크 러너 암(444)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아크 러너 암(444)은 제1 아크 러너 몸체(441)의 폭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아크 러너 암(444)은 한 쌍 구비되어, 제1 아크 러너 몸체(441)의 하측의 좌측 단부 및 하측 우측 단부에 각각 위치된다. 한 쌍의 아크 러너 암(444)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접점대 수용 공간(448)으로 정의된다.
아크 러너 암(444)은 고정 접점대(410)에 의해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아크 러너 암(444)의 연장 방향의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는 아크 러너 수용 홈(417)에 수용되어 제2 연장부(41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크 러너(440)와 고정 접점대(41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절개 홈(445)은 가스 발생 부재(430)에서 발생된 가스가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출되는 일 통로를 형성한다. 절개 홈(445)은 아크 러너(440)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어, 수용 공간(446)과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을 연통한다.
물론, 후술될 바와 같이, 수용 공간(446)은 아크 러너(440)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을 통해서도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된다. 따라서, 절개 홈(445)은 가스 발생 부재(430)에서 발생된 가스가 보다 신속하게 아크를 향해 유동되기 위한 추가 경로를 형성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절개 홈(445)은 아크 러너(440)의 구성 중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을 향하는 방향에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절개 홈(445)은 제2 아크 러너 몸체(442) 및 제3 아크 러너 몸체(443)의 내부에 형성된다. 달리 표현하면, 절개 홈(445)은 하우징(500)을 향하는 방향에 위치되는 제1 아크 러너 몸체(441)에는 절개 홈(445)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가스 발생 부재(430)에서 발생된 가스는 하우징(500)이 아닌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 즉 아크가 발생된 방향으로 집중 유동될 수 있다.
절개 홈(445)은 제2 아크 러너 몸체(442) 및 제3 아크 러너 몸체(443)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절개 홈(445)은 제2 아크 러너 몸체(442)의 후방 측 단부로부터 제3 아크 러너 몸체(443)의 상측 단부에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된다.
수용 공간(446)은 아크 러너(440)가 가스 발생 몸체(431)를 수용하는 공간이다. 수용 공간(446)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수용 공간(446)에 수용된 가스 발생 몸체(431)에서 발생된 가스는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될 수 있다.
수용 공간(446)은 제1 내지 제3 아크 러너 몸체(441, 442, 443)에 부분적으로 둘러싸여 정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용 공간(446)의 후방 측은 제1 아크 러너 몸체(441)에, 수용 공간(446)의 하측은 제2 아크 러너 몸체(442)에 둘러싸인다. 또한, 수용 공간(446)의 전방 측은 제3 아크 러너 몸체(443)에 둘러싸인다.
따라서, 수용 공간(446)에 수용된 가스 발생 몸체(431)의 전방 측은 제3 아크 러너 몸체(443)에, 하측은 제2 아크 러너 몸체(442)에, 후방 측은 제1 아크 러너 몸체(44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수용 공간(446)의 폭 방향의 각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및 우측은 개방 형성된다. 또한, 수용 공간(446)을 전방 측 및 하측에서 둘러싸는 제2 및 제3 아크 러너 몸체(442, 443)에는 수용 공간(446)을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절개 홈(445)이 형성된다.
따라서, 수용 공간(446)은 하우징(500)을 향하는 방향(즉, 후방 측)을 제외한 복수 개의 방향으로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된다. 따라서, 수용 공간(446)에 수용된 가스 발생 몸체(431)에서 발생된 가스가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을 향해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다.
수용 공간(446)은 가스 발생 몸체(431)를 수용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용 공간(446)은 상측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감소되는 입체도형 형상의 공간이다.
아크 체결공(447)은 체결 부재(450)가 결합되는 공간이다. 아크 체결공(447)은 아크 러너(440)에 관통 형성된다.
아크 체결공(447)은 가스 체결공(435) 및 하우징 체결공(540)과 겹쳐지게 배치된다. 즉, 체결 부재(450)는 가스 체결공(435), 아크 체결공(447) 및 하우징 체결공(540)에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아크 체결공(447)은 체결 부재(450)가 관통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아크 체결공(447)은 원형의 단면을 갖고 전후 방향의 두께를 갖는 원판 형상의 공간으로 형성된다.
아크 체결공(447)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아크 체결공(447)은 각각 아크 러너 몸체(441, 442, 443) 또는 아크 러너 암(444)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아크 체결공(447)은 세 개 형성된다. 이때, 어느 하나의 아크 체결공(447)은 제3 아크 러너 몸체(443)의 상측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또한, 나머지 아크 체결공(447)은 한 쌍의 아크 러너 암(444)에 각각 형성된다.
아크 체결공(447)의 개수 및 배치 방식은 가스 체결공(435) 및 하우징 체결공(540)의 개수 및 배치 방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접점대 수용 공간(448)은 고정 접점대(410)가 아크 러너(440)와 결합되는 일 부분을 구성한다.
접점대 수용 공간(448)의 각 측 중 고정 접점대(410)를 향하는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은 개방 형성되어, 고정 접점대(410)가 접점대 수용 공간(448)으로 진입될 수 있다. 제2 아크 러너 몸체(442)는 접점대 수용 공간(448)에 수용된 고정 접점대(410)의 아크 러너 지지부(41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접점대 수용 공간(448)은 제1 아크 러너 몸체(441), 제2 아크 러너 몸체(442) 및 아크 러너 암(444)에 둘러싸인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접점대 수용 공간(448)의 높이 방향의 일 측, 즉 상측은 제1 아크 러너 몸체(441) 또는 제2 아크 러너 몸체(442)에 둘러싸인다.
또한, 접점대 수용 공간(448)의 폭 방향의 각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및 우측은 한 쌍의 아크 러너 암(444)에 둘러싸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접점대 수용 공간(448)의 하측은 개방되어, 고정 접점대(410)가 수용되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접점대 수용 공간(448)에 수용된 고정 접점대(410)는 제1 아크 러너 몸체(441), 제2 아크 러너 몸체(442) 및 한 쌍의 아크 러너 암(444)에 둘러싸인다. 따라서, 고정 접점대(410)와 아크 러너(44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체결 부재(450)는 가스 발생 부재(430) 및 아크 러너(440)와 하우징(500)을 결합한다. 체결 부재(450)는 가스 발생 부재(430) 및 아크 러너(440)에 관통되고, 하우징(500)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체결 부재(450)는 가스 체결공(435), 아크 체결공(447)에 관통되고, 하우징 체결공(540)에 삽입된다. 이를 위해, 가스 체결공(435), 아크 체결공(447) 및 하우징 체결공(540)은 체결 부재(450)의 삽입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서로 겹쳐지게 배치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체결 부재(450)는 가스 발생 부재(430), 아크 러너(440) 및 하우징(500)을 서로 결합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 부재(450)는 볼트(bolt) 등의 나사 부재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체결 부재(45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체결 부재(450)는 복수 개의 가스 체결공(435), 복수 개의 아크 체결공(447) 및 복수 개의 하우징 체결공(54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체결 부재(450)는 세 개 구비되어, 세 개의 가스 체결공(435), 세 개의 아크 체결공(447) 및 세 개의 하우징 체결공(540)에 각각 결합된다.
하우징(500)은 고정 접점부(400)와 결합되어 이를 지지한다. 하우징(500)은 프레임(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덮으며 프레임(100)과 결합된다. 이에 따라, 고정 접점부(400)의 일부 구성, 즉 고정 접점대(410)의 일부 구성, 고정 접점(420), 가스 발생 부재(430), 아크 러너(440) 및 체결 부재(450)가 프레임(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하우징(500)은 프레임(100)과 결합된다. 하우징(500)은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과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하우징(500)은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을 밀폐하며 프레임(100)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된 아크는 아크 소호 부재(200)를 통과하며 소호된 후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아크와 함께 발생되는 열에 의해 발생된 가스가 외부로 임의 누설되지 않아,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의 압력이 증가될 수 있다.
하우징(500)은 통전부(300)의 터미널(310)과 결합된다. 터미널(310)은 하우징(500)에 의해 지지되며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터미널(310)은 하우징(500)에 관통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500)은 고정 접점부(400)와 결합된다. 고정 접점대(410)는 하우징(500)에 의해 지지되며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고정 접점대(410)는 하우징(500)에 관통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500)은 고정 접점부(400)의 다른 구성, 즉 가스 발생 부재(430) 및 아크 러너(440)와 결합된다. 상기 결합은 체결 부재(450)에 의해 달성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우징(500)은 접점 하우징 몸체(510), 터미널 결합부(520), 접점대 결합부(530) 및 하우징 체결공(540)을 포함한다.
접점 하우징 몸체(510)는 하우징(500)의 외형을 형성한다. 접점 하우징 몸체(510)는 프레임(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덮으며 프레임(100)과 결합된다.
접점 하우징 몸체(510)에는 터미널 결합부(520), 접점대 결합부(530) 및 하우징 체결공(540)이 형성된다. 접점 하우징 몸체(510)는 터미널(310) 및 고정 접점부(400)와 결합되어 이들을 지지할 수 있다.
접점 하우징 몸체(510)는 프레임(100)과 결합되고, 통전부(300) 및 고정 접점부(400)와 결합되어 이들을 지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접점 하우징 몸체(510)는 상하 방향의 높이, 좌우 방향의 폭 및 전후 방향의 두께를 갖는 다각기둥 형상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접점 하우징 몸체(510)는 외벽(511) 및 내벽(512)을 포함한다.
외벽(511)은 접점 하우징 몸체(510)의 외주의 일부를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외벽(511)은 접점 하우징 몸체(510)의 각 측 중 프레임(100)을 향하는 일 측, 즉 전방 측에 위치된다.
외벽(511)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외벽(511)은 접점 하우징 몸체(510)의 상기 일 측의 폭 방향의 외주를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외벽(511)은 두 개 형성되어, 접점 하우징 몸체(510)의 좌측 및 우측 외주를 각각 형성한다. 외벽(511)은 접점 하우징 몸체(510)의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한 쌍의 외벽(511)은 터미널 결합부(520) 및 접점대 결합부(530)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배치된다. 즉, 한 쌍의 외벽(511) 사이에 터미널 결합부(520) 및 접점대 결합부(530)가 위치된다.
외벽(511)은 터미널 결합부(520) 및 접점대 결합부(530)를 그 폭 방향에서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에 위치되는 외벽(511)은 좌측에 위치되는 제1 터미널 결합부(520a) 및 제1 접점대 결합부(530a)를 외측, 즉 좌측에서 둘러싼다. 또한, 우측에 위치되는 외벽(511)은 우측에 위치되는 제3 터미널 결합부(520c) 및 제3 접점대 결합부(530c)를 외측, 즉 우측에서 둘러싼다.
한 쌍의 외벽(511) 사이에는 내벽(512)이 위치된다.
내벽(512)은 접점 하우징 몸체(510)의 내부, 즉 한 쌍의 외벽(511) 사이의 공간을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한다. 내벽(512)에 의해 구획된 복수 개의 공간은 각각 복수 개의 터미널 결합부(520) 및 복수 개의 접점대 결합부(530)로 구성될 수 있다.
내벽(512)은 외벽(511)과 같은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내벽(512)은 접점 하우징 몸체(510)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외벽(511)과 이격되게 배치된다.
내벽(512)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내벽(512)은 접점 하우징 몸체(510)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외벽(511) 및 복수 개의 내벽(512) 사이에는 복수 개의 공간이 정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내벽(512)은 두 개 구비되어,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외벽(511) 사이의 공간은 세 개의 소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터미널 결합부(520)는 통전부(300)의 터미널(310)과 결합된다. 터미널(310)은 터미널 결합부(520)와 결합되어 하우징(5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터미널 결합부(520)는 접점 하우징 몸체(510)에 형성된다. 이때, 터미널 결합부(520)는 접점 하우징 몸체(510)의 높이 방향의 일 측에 치우치게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터미널 결합부(520)는 접점 하우징 몸체(510)의 하측에 치우치게 위치된다. 터미널 결합부(520)의 위치는 터미널(310)의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터미널 결합부(520)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터미널 결합부(520)는 복수 개의 외벽(511) 및 복수 개의 내벽(512)에 의해 구획된 공간의 일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터미널 결합부(520)는 제1 터미널 결합부(520a), 제2 터미널 결합부(520b) 및 제3 터미널 결합부(520c)를 포함하여 세 개로 구성된다.
제1 터미널 결합부(520a)는 좌측에 치우치게 위치되는 외벽(511) 및 내벽(512) 사이에 위치된다. 제1 터미널 결합부(520a)는 제1 통전부(300a)에 구비되는 터미널(310)과 결합된다.
제2 터미널 결합부(520b)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내벽(512) 사이에 위치된다. 제2 터미널 결합부(520b)는 제2 통전부(300b)에 구비되는 터미널(310)과 결합된다.
제3 터미널 결합부(520c)는 우측에 치우치게 위치되는 외벽(511) 및 내벽(512) 사이에 위치된다. 제3 터미널 결합부(520c)는 제3 통전부(300c)에 구비되는 터미널(310)과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터미널 결합부(520)는 터미널 수용 공간(521) 및 터미널 관통공(522)을 포함한다.
터미널 수용 공간(521)은 터미널(310)을 수용하는 공간이다. 터미널 수용 공간(521)은 터미널(310)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에 치우친 일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부분을 수용한다.
터미널 수용 공간(521)은 터미널 관통공(522)과 연통된다.
터미널 관통공(522)은 외부로 노출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터미널 관통공(522)에는 터미널(310)이 관통 결합될 수 있다.
터미널 관통공(522)은 접점 하우징 몸체(510)에 관통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터미널 관통공(522)은 터미널(310)의 연장 방향, 즉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터미널 관통공(522)은 터미널(310)의 단면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터미널 관통공(522)은 좌우 방향의 폭이 상하 방향의 높이보다 길게 형성된 사각형의 단면을 갖게 형성된다.
접점대 결합부(530)는 고정 접점부(400)와 결합된다. 고정 접점부(400)는 접점대 결합부(530)를 통해 하우징(500)과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단기(10)는 고정 접점부(400)의 각 구성 및 하우징(500) 간의 결합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고정 접점부(400)와 하우징(50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접점대 결합부(530)는 접점 하우징 몸체(510)에 형성된다. 이때, 접점대 결합부(530)는 접점 하우징 몸체(510)의 높이 방향의 타 측에 치우치게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접점대 결합부(530)는 접점 하우징 몸체(510)의 상측에 치우치게 위치된다. 접점대 결합부(530)의 위치는 고정 접점부(400)의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즉, 접점대 결합부(530)는 터미널 결합부(520)에 반대되도록 터미널 결합부(520)와 이격 배치됨이 이해될 것이다.
접점대 결합부(530)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접점대 결합부(530)는 복수 개의 외벽(511) 및 복수 개의 내벽(512)에 의해 구획된 공간의 다른 일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접점대 결합부(530)는 제1 접점대 결합부(530a), 제2 접점대 결합부(530b) 및 제3 접점대 결합부(530c)를 포함하여 세 개로 구성된다.
제1 접점대 결합부(530a)는 좌측에 치우치게 위치되는 외벽(511) 및 내벽(512) 사이에 위치된다. 제1 접점대 결합부(530a)는 제1 고정 접점부(400a)와 결합된다.
제2 접점대 결합부(530b)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내벽(512) 사이에 위치된다. 제2 접점대 결합부(530b)는 제2 고정 접점부(400b)와 결합된다.
제3 접점대 결합부(530c)는 우측에 치우치게 위치되는 외벽(511) 및 내벽(512) 사이에 위치된다. 제3 접점대 결합부(530c)는 제3 고정 접점부(400c)와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접점대 결합부(530)는 접점대 수용 공간(531) 및 접점대 관통공(532)을 포함한다.
접점대 수용 공간(531)은 고정 접점대(410)를 수용하는 공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 접점대(410)는 일 방향(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411) 및 제1 연장부(411)와 연속되며 타 방향(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412)를 포함한다.
접점대 수용 공간(531)은 제1 연장부(411)의 일부 및 제2 연장부(412)를 수용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접점대 수용 공간(531)은 제2 연장부(412)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제1 연장부(411)의 일부 및 제2 연장부(412)를 수용한다.
이때, 제2 연장부(412)는 접점대 수용 공간(531)을 후방 측에서 둘러싸는 접점 하우징 몸체(510)의 면,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면과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접점대(410)가 접점 하우징 몸체(510)에 의해 지지되어, 임의 요동 또는 임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접점대 수용 공간(531)은 접점대 관통공(532)과 연통된다.
접점대 관통공(532)은 고정 접점대(410)의 제1 연장부(411)가 외부로 노출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접점대 관통공(532)에는 제1 연장부(411)가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접점대 관통공(532)은 접점 하우징 몸체(510)에 관통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접점대 관통공(532)은 제1 연장부(411)의 연장 방향, 즉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접점대 관통공(532)은 제1 연장부(411)의 단면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접점대 관통공(532)은 좌우 방향의 폭이 상하 방향의 높이보다 길게 형성된 사각형의 단면을 갖게 형성된다.
하우징 체결공(540)은 체결 부재(450)가 결합되는 공간이다. 하우징 체결공(540)은 접점 하우징 몸체(510)에 관통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하우징 체결공(540)은 접점 하우징 몸체(510)의 면 중 프레임(100)을 향하는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면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체결공(540)은 가스 체결공(435) 및 아크 체결공(447)과 겹쳐지게 배치된다. 즉, 체결 부재(450)는 가스 체결공(435), 아크 체결공(447) 및 하우징 체결공(540)과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 부재(450)는 가스 체결공(435) 및 아크 체결공(447)에 관통되어 하우징 체결공(540)에 삽입 또는 관통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 체결공(540)은 체결 부재(450)와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우징 체결공(540)은 원형의 단면을 갖고 전후 방향의 두께를 갖는 원판 형상의 공간으로 형성된다.
하우징 체결공(540)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하우징 체결공(540)은 서로 이격 배치되어, 각각 접점 하우징 몸체(510)의 상기 일 면에 관통 또는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우징 체결공(540)은 세 개 형성되어, 접점대 결합부(530)의 상측,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치우치게 위치된다.
하우징 체결공(540)의 개수 및 배치 방식은 가스 체결공(435) 및 아크 체결공(447)의 개수 및 배치 방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4.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단기(10)의 조립 과정 및 상태의 설명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단기(10)에 구비되는 고정 접점부(400) 및 하우징(500)이 조립된 상태가 예로서 도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단기(10)는 고정 접점부(400)와 하우징(500)의 결합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단기(10)는 고정 접점부(400) 및 하우징(50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단기(10)에 구비되는 고정 접점부(400) 및 하우징(500)이 결합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도시된다.
먼저, 고정 접점대(410)가 하우징(500)과 선 결합되고, 가스 발생 부재(430) 및 아크 러너(440)가 하우징(500)과 후 결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가스 발생 부재(430) 및 아크 러너(440)가 먼저 하우징(500)과 결합되고, 이후 고정 접점대(410)가 하우징(500)과 결합될 수 있다.
고정 접점대(410)는 하우징(500)과 결합된다. 고정 접점대(410)의 제1 연장부(411)는 접점대 관통공(532)에 관통 결합되고, 제2 연장부(412)는 접점대 수용 공간(531)에 수용된다.
다음으로, 가스 발생 부재(430) 및 아크 러너(440)가 하우징(500)과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가스 발생 부재(430)가 먼저 하우징(500)에 배치되고, 아크 러너(440)가 이후 가스 발생 부재(430)와 결합되어 하우징(500)에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가스 발생 부재(430)와 아크 러너(440)의 결합이 선행되고, 가스 발생 부재(430) 및 아크 러너(440)가 하우징(500)에 배치되는 과정이 후행될 수 있다.
이때, 가스 체결공(435), 아크 체결공(447) 및 하우징 체결공(540)은 고정 접점대(410)의 결합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서로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가스 체결공(435), 아크 체결공(447) 및 하우징 체결공(540)에 체결 부재(450)가 각각 결합된다. 이때, 가스 체결공(435), 아크 체결공(447) 및 하우징 체결공(540)은 각각 복수 개 구비되는 바, 복수 개의 체결 부재(450)에 의해 가스 발생 부재(430), 아크 러너(440) 및 하우징(500)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동시에, 하우징(500)과 결합된 가스 발생 부재(430) 및 아크 러너(440)는 고정 접점대(410)를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접점대(410) 또한 하우징(500)과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고정 접점대(410)를 접점대 관통공(532)에 삽입하는 과정만으로도 고정 접점대(410)가 차단기(10)의 외부에 부분적으로 노출되게 하우징(500)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고정 접점부(400)의 다른 구성 및 고정 접점대(410)는 서로 지지하도록 하우징(500)과 결합된다. 이에 따라, 고정 접점부(400)의 구성 간 결합 상태 및 고정 접점부(400)와 하우징(50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하,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고정 접점부(400) 및 하우징(500)의 결합 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고정 접점대(410)는 제1 연장부(411)가 접점대 관통공(532)에 관통되어 그 연장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단부가 하우징(50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또한, 제2 연장부(412)는 접점대 수용 공간(531)에 수용되어, 접점대 수용 공간(531)을 둘러싸는 접점 하우징 몸체(510)의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면과 접촉되어 지지된다.
이때, 고정 접점(420)은 제2 연장부(412)의 전방 측 면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임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제1 연장부(411)의 상측 모서리에 형성되는 하우징 수용 홈(415)에는 접점 하우징 몸체(510)가 부분적으로 수용된다(도 20 참조). 접점 하우징 몸체(510)의 상기 부분은 제1 연장부(411)를 상측에서 지지한다.
또한, 제2 연장부(412)의 상측 모서리에 형성되는 가스 발생 부재 수용 홈(416)에는 가스 발생 암(432)의 하측 단부가 수용된다. 가스 발생 암(432)은 제2 연장부(412)를 상측에서 지지한다.
더 나아가, 제2 연장부(412)의 상측 모서리에 형성되는 아크 러너 수용 홈(417)에는 아크 러너 암(444)의 하측 단부가 수용된다. 아크 러너 암(444) 역시 제2 연장부(412)를 상측에서 지지한다.
이에 따라, 고정 접점대(410)는 가스 발생 부재(430), 아크 러너(440) 및 하우징(500)과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가스 발생 부재(430)는 아크 러너(440)의 수용 공간(446)에 수용된다. 이에 따라, 가스 발생 부재(430)의 두께 방향, 즉 전방 측 및 후방 측은 제1 아크 러너 몸체(441) 및 제3 아크 러너 몸체(443)에 의해 둘러싸인다.
일 실시 예에서, 가스 발생 부재(430)의 전방 측 면 및 후방 측 면은 각각 제1 아크 러너 몸체(441) 및 제3 아크 러너 몸체(443)와 접촉되어 가압될 수 있다. 이에, 가스 발생 부재(430)는 전방 측 또는 후방 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가스 발생 몸체(431)의 하측 단부는 제2 아크 러너 몸체(442)에 의해 지지된다. 가스 발생 몸체(431)의 하측에서 연장되는 가스 발생 암(432)에 의해, 가스 발생 부재(430)는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수용 공간(446)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가스 발생 부재(430)는 상측에 위치되는 가스 체결공(435)에 결합된 체결 부재(450)에 의해 상측으로도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가스 발생 부재(430)와 아크 러너(440)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가스 발생 암(432)은 고정 접점대(410)에 형성되는 가스 발생 부재 수용 홈(416)에 수용된다. 가스 발생 암(432)은 제2 연장부(412)에 의해 지지된다. 동시에, 가스 발생 암(432)은 제2 연장부(412)를 상측에서 지지한다.
이에 따라, 가스 발생 부재(430)와 고정 접점대(41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가스 발생 암(432)에 형성되는 가스 체결공(453)에 체결 부재(450)가 결합된다. 가스 발생 부재(430)와 하우징(500)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아크 러너(440)는 가스 발생 부재(430)를 수용한 상태로 하우징(500)과 결합된다. 이때, 가스 발생 암(432)은 아크 러너 암(444)을 외측에서 덮으며 하우징(500)에 결합된다. 달리 표현하면, 가스 발생 암(432)은 아크 러너 암(444)을 사이에 두고 하우징(500)을 마주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아크 러너(440)의 전방 측은 가스 발생 암(432)에 의해, 아크 러너(440)의 후방 측은 접점 하우징 몸체(510)에 의해 지지된다. 이에, 아크 러너(440)는 전방 측 또는 후방 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제2 아크 러너 몸체(442)는 고정 접점대(410)의 아크 러너 지지부(413)에 안착된다. 제2 아크 러너 몸체(442)는 아크 러너 지지부(413)에 의해 지지된다. 동시에, 제2 아크 러너 몸체(442)는 제2 연장부(412)를 상측에서 지지한다.
아크 러너 암(444)은 아크 러너 수용 홈(417)에 수용된다. 아크 러너 암(444)은 제2 연장부(412)에 의해 지지된다. 동시에, 아크 러너 암(444)은 제2 연장부(412)를 상측 또는 폭 방향, 즉 좌측 및 우측에서 지지한다.
이에 따라, 아크 러너(440)와 고정 접점대(41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3 아크 러너 몸체(443) 및 아크 러너 암(444)에 각각 형성된 아크 체결공(447)에는 체결 부재(450)가 각각 결합된다. 이에 따라, 아크 러너(440)와 하우징(50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즉, 고정 접점부(400)의 각 구성은 체결 부재(450)에 의해 간명하게 하우징(500)과 결합될 수 있다. 동시에, 고정 접점부(400)의 각 구성은 서로 지지하게 결합되어, 고정 접점부(400) 자체 및 고정 접점부(400)와 하우징(500) 간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차단기 100: 프레임
200: 아크 소호 부재 200a: 제1 아크 소호 부재
200b: 제2 아크 소호 부재 200c: 제3 아크 소호 부재
300: 통전부 300a: 제1 통전부
300b: 제2 통전부 300c: 제3 통전부
310: 터미널 320: 가동 접점부
321: 가동 접점대 322: 가동 접점
400: 고정 접점부 400a: 제1 고정 접점부
400b: 제2 고정 접점부 400c: 제3 고정 접점부
410: 고정 접점대 411: 제1 연장부
412: 제2 연장부 413: 아크 러너 지지부
414: 제한 돌기 415: 하우징 수용 홈
416: 가스 발생 부재 수용 홈 417: 아크 러너 수용 홈
420: 고정 접점 430: 가스 발생 부재
431: 가스 발생 몸체 432: 가스 발생 암
433: 아크 러너 수용 공간 434: 아크 러너 수용 홈
435: 가스 체결공 440: 아크 러너
441: 제1 아크 러너 몸체 442: 제2 아크 러너 몸체
443: 제3 아크 러너 몸체 444: 아크 러너 암
445: 절개 홈 446: 수용 공간
447: 아크 체결공 448: 접점대 수용 공간
450: 체결 부재 500: 하우징
510: 접점 하우징 몸체 511: 외벽
512: 내벽 520: 터미널 결합부
520a: 제1 터미널 결합부 520b: 제2 터미널 결합부
520c: 제3 터미널 결합부 521: 터미널 수용 공간
522: 터미널 관통공 530: 접점대 결합부
530a: 제1 접점대 결합부 530b: 제2 접점대 결합부
530c: 제3 접점대 결합부 531: 접점대 수용 공간
532: 접점대 관통공 540: 하우징 체결공
1000: 종래 기술에 따른 차단기 1100: 터미널
1110: 내부 터미널 1111: 러너 수용 홈
1120: 외부 터미널 1200: 아크 러너
1210: 터미널 결합 단부

Claims (20)

  1.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 접점대;
    상기 고정 접점대에 결합되어, 가동 접점과 접촉되는 고정 접점; 및
    상기 고정 접점대의 높이 방향의 일 측에 위치되며, 발생된 아크를 유도하게 구성되는 아크 러너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접점대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속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아크 러너는 상기 제2 연장부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고정 접점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점대는,
    상기 제2 연장부의 단부 중 상기 아크 러너를 향하는 일 단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아크 러너를 지지하는 아크 러너 지지부를 포함하는,
    고정 접점부.
  3. 제1항에 있어서,
    열과 화학 반응되어 가스(gas)를 생성하게 구성되는 가스 발생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 발생 부재는, 상기 아크 러너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아크 러너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 접점부.
  4. 제3항에 있어서,
    가스 발생 부재는,
    상기 아크 러너에 수용되는 가스 발생 몸체; 및
    상기 가스 발생 몸체의 단부 중 상기 고정 접점대를 향하는 일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 연장부를 둘러싸는 가스 발생 암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접점대는,
    상기 제2 연장부의 단부 중 상기 가스 발생 부재를 향하는 일 단부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가스 발생 암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가스 발생 부재 수용 홈을 포함하는,
    고정 접점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발생 부재 수용 홈은,
    상기 제2 연장부의 상기 일 단부의 모서리에 함몰 형성되는,
    고정 접점부.
  6. 제1항에 있어서,
    열과 화학 반응되어 가스(gas)를 생성하게 구성되고, 상기 아크 러너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아크 러너에 의해 지지되는 가스 발생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아크 러너는,
    상기 가스 발생 부재와 겹쳐지게 배치되는 아크 러너 몸체; 및
    상기 아크 러너 몸체의 단부 중 상기 고정 접점대를 향하는 일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 연장부를 둘러싸는 아크 러너 암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접점대는,
    상기 제2 연장부의 단부 중 상기 아크 러너를 향하는 일 단부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아크 러너 암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아크 러너 수용 홈을 포함하는,
    고정 접점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 러너 수용 홈은,
    상기 제2 연장부의 상기 일 단부의 모서리에 함몰 형성되는,
    고정 접점부.
  8. 제6항에 있어서,
    가스 발생 부재는,
    상기 아크 러너에 수용되는 가스 발생 몸체; 및
    상기 가스 발생 몸체의 단부 중 상기 고정 접점대를 향하는 일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 연장부를 둘러싸는 가스 발생 암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접점대는,
    상기 제2 연장부의 상기 일 단부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가스 발생 암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고, 상기 아크 러너 수용 홈과 연통되는 가스 발생 부재 수용 홈을 포함하는,
    고정 접점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 러너는,
    상기 고정 접점대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아크 러너 몸체;
    상기 제1 아크 러너 몸체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아크 러너 몸체;
    상기 제2 아크 러너 몸체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상기 고정 접점대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아크 러너 몸체를 마주하는 제3 아크 러너 몸체; 및
    상기 제1 아크 러너 몸체, 상기 제2 아크 러너 몸체 및 상기 제3 아크 러너 몸체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고정 접점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아크 러너 몸체는,
    상기 제1 아크 러너 몸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고정 접점부.
  11. 제9항에 있어서,
    열과 화학 반응되어 가스(gas)를 생성하게 구성되고, 상기 아크 러너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아크 러너에 의해 지지되는 가스 발생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 발생 부재는,
    상기 제2 아크 러너 몸체보다 긴 길이의 폭을 갖게 형성되며,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가스 발생 몸체; 및
    상기 가스 발생 몸체의 단부 중 상기 고정 접점대를 향하는 일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 아크 러너 몸체를 폭 방향에서 둘러싸는 가스 발생 암을 포함하는,
    고정 접점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발생 부재는,
    상기 가스 발생 몸체의 면 중 상기 제3 아크 러너 몸체를 향하는 일 면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3 아크 러너 몸체를 수용하는 아크 러너 수용 홈을 포함하는,
    고정 접점부.
  13.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공간을 덮으며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어 외부에 부분적으로 노출되고,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 접점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접점부는,
    상기 하우징에 관통되어 외부에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고정 접점대;
    상기 고정 접점대의 상측에 위치되고, 발생된 아크를 외부로 유도하게 구성되는 아크 러너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프레임을 향하는 일 면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고정 접점대의 일 부분 및 상기 아크 러너를 수용하는 접점대 수용 공간; 및
    상기 접점대 수용 공간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고정 접점대가 결합되는 접점대 관통공을 포함하는,
    차단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점대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접점대 관통공에 관통되어 외부에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접점대 수용 공간에 위치되며, 상기 제1 연장부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상기 아크 러너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크 러너는, 상기 제2 연장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차단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 러너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 면과 접촉되며, 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아크 러너 몸체;
    상기 제1 아크 러너 몸체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상기 프레임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아크 러너 몸체;
    상기 제2 아크 러너 몸체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상기 타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연장 방향의 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 면과 결합되는 제3 아크 러너 몸체; 및
    상기 제1 아크 러너 몸체, 상기 제2 아크 러너 몸체 및 상기 제3 아크 러너 몸체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차단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점대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며, 아크와 함께 발생되는 열과 화학 반응되어 가스(gas)를 생성하게 구성되는 가스 발생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 발생 부재는,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가스 발생 몸체; 및
    상기 가스 발생 몸체의 하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2 아크 러너 몸체를 폭 방향에서 둘러싸는 한 쌍의 가스 발생 암을 포함하는,
    차단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점대는,
    상기 제2 연장부의 상측 단부에서 돌출되는 아크 러너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크 러너 지지부는, 상기 접점대 관통공을 상측에서 둘러싸는 하우징의 일 부분과 접촉되고,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접점대 관통공을 하측에서 둘러싸는 하우징의 다른 부분과 접촉되는,
    차단기.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점대는,
    상기 제1 연장부의 상측에 위치되는 한 쌍의 모서리에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일 부분을 수용하는 하우징 수용 홈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수용 홈에 수용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 부분은 상기 제1 연장부를 지지하게 구성되는,
    차단기.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점대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며, 아크와 함께 발생되는 열과 화학 반응되어 가스(gas)를 생성하게 구성되는 가스 발생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아크 러너는,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제2 연장부를 폭 방향에서 둘러싸는 아크 러너 암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 발생 부재는,
    하측으로 연장되고,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제2 연장부를 푹 방향으로 둘러싸며, 상기 아크 러너 암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우징을 마주하도록 상기 아크 러너 암과 겹쳐지게 배치되는 가스 발생 암을 포함하는,
    차단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점대는,
    상기 제2 연장부의 상측 모서리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아크 러너 암을 수용하는 아크 러너 수용 홈; 및
    상기 아크 러너 수용 홈에 비해 상기 프레임의 상기 공간에 가깝게 위치되며, 상기 제2 연장부의 상측 모서리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가스 발생 암을 수용하고, 상기 아크 러너 수용 홈과 연통되는 가스 발생 부재 수용 홈을 포함하는,
    차단기.
PCT/KR2023/021292 2023-01-03 2023-12-21 고정 접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단기 WO202414752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0639 2023-01-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47528A1 true WO2024147528A1 (ko) 2024-07-11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06414A1 (ko)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WO2021182788A2 (ko) 기중 차단기
WO2021006415A1 (ko)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WO2020256263A1 (ko) 직류 릴레이
WO2021182786A1 (ko) 아크 소호부 및 이를 포함하는 기중 차단기
WO2021157873A1 (ko) 냉각 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1040174A1 (ko)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WO2024147528A1 (ko) 고정 접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단기
WO2021230515A1 (ko) 가동 코어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WO2021182789A2 (ko) 기중 차단기
WO2021112343A1 (ko)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WO2022181985A1 (ko) 부하 개폐기
WO2024085365A1 (ko) 아크 소호 장치
WO2023163410A1 (ko) 아크 슈트 및 이를 포함하는 부하 개폐기
WO2022234989A1 (ko) 차단부 및 이를 포함하는 기중 차단기
WO2022181986A1 (ko) 아크 슈트 및 이를 포함하는 부하 개폐기
WO2021182787A2 (ko) 아크 소호부 및 이를 포함하는 기중 차단기
WO2022181980A1 (ko) 아크 슈트 및 이를 포함하는 부하 개폐기
WO2021112342A1 (ko) 아크 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
WO2022240033A1 (ko) 차단부 및 이를 포함하는 기중 차단기
WO2023090792A1 (ko)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WO2023090795A1 (ko)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WO2023090794A1 (ko)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WO2023090790A1 (ko)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WO2023090793A1 (ko)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