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96195A1 - 생체 분석물의 정량적 샘플링을 통한 현장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생체 분석물의 정량적 샘플링을 통한 현장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96195A1
WO2024096195A1 PCT/KR2022/021356 KR2022021356W WO2024096195A1 WO 2024096195 A1 WO2024096195 A1 WO 2024096195A1 KR 2022021356 W KR2022021356 W KR 2022021356W WO 2024096195 A1 WO2024096195 A1 WO 202409619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ap
inspection device
protrusion
locking hol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2135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점규
문정대
박종필
하양화
전은성
유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젠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젠바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젠바디
Publication of WO202409619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9619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Definitions

  •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device for testing bioanalytes, and more specifically, to an on-site inspection device through quantitative sampling of bioanalytes that takes into account user convenience by collecting analytes in quantitative quantities and even testing them with a simple operating method. will be.
  • sample collection from the human body can be performed using a cotton swab. More specifically, when collecting nasal mucus, a sample collection swab is inserted into the nasal cavity to collect nasal mucus deep in the nasal cavity.
  • the reagent must be administered in a fixed amount to the reagent inle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isdiagnosis rate is high because less or more than the fixed amount is administered.
  • the lower surface has a shape that cannot stand on the ground (e.g., a round shape), so accessories such as a stand that can stand the test vessel are essential.
  • Patent Document 1 KR 10-2014-0094931 A
  • Patent Document 2 US 7959877 B2
  • the purpos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n on-site testing device capable of collecting a quantitative amount.
  • the present disclosure aims to provide an on-site testing device that does not require any accessories and is capable of collecting and testing analytes by itself.
  • the present disclosure aims to provide an on-site testing device that can prevent reuse during analyte collection and testing.
  • the purpos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n on-site testing device capable of collecting a quantitative amount.
  • the present disclosure aims to provide an on-site testing device that does not require any accessories and is capable of collecting and testing analytes by itself.
  • the present disclosure aims to provide an on-site testing device that can prevent reuse during analyte collection and testing.
  • a tubular body 10 a tubular body 10; A cap 12 mounted on the top of the body 10 and configured to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0; A test strip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body 10 by a tolerance d, and configured to move inside the body 10 according to the press-fitting of the cap 12 inside the body 10. (13); a collecting portion 11 that protrudes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body 10 and i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body 10; A reagent tube (14) is formed into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body (10) is inserted, and at least a portion of a bottom surface is formed as a flat surface.
  • the body 10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locking protrusion 100 protruding outward from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body 10, and the cap 12 has the locking protrusion.
  • a first locking hole 120 formed to hold (100), a second locking hole 122 formed on an upper part of the first locking hole 120, and the first locking hole 120 and the second locking hole.
  • a pair of connection holes 124 connecting the caps 122 are form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cap 12, respectively.
  • the field inspection device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first state in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100 is disposed in the first locking hole 120; or a second state in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100 is disposed in the second locking hole 122 due to press-fitting of the cap 1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 in the first state
  • An internal space is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 and the cap 12 in the second state, and the internal space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 and the cap 12 is compressed, and the internal space is compressed in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state.
  • the air in the internal space is discharged through the vent hole 102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10.
  • the length of the tolerance d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body 10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est strip 13 is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 It is equal to the distance from the roto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ap 12.
  • the front inner surface and the rear inner surface of the body 10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body 10, and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0.
  • an inclined surface 104 whose protruding width increases downward is formed.
  • the body 10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front inner surface and the rear inner surface, and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body 10 to form the test strip 13.
  • the body 10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pressing protrusion 106 configured to press.
  • a guide groove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10 of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recessed inwardly on the front outer surface or the rear outer surface of the body 10, and the lower part of the cap 12
  • a guide protrusion protruding inward is formed on the front inner surface or rear inner surface of the cap 12, and the guide protrusion is disposed in the guide groov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n-site insp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on-site insp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ure 3 i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n on-site insp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S. 4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body cut along the yz pl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ure 6 i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n on-site insp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ure 7 is a flowchart of a method using an on-site insp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symbols such as first, second, i), ii), a), and b) may be used. These code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code. In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or 'have'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does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bu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explicitly stated to the contrary. .
  • upward side means the positive direction of the y-axis in FIG. 1 .
  • right side refers to the positive direction of the x-axis in FIG. 1.
  • forward refers to the positive direction of the z-axis in FIG. 1 .
  • horizontal means the length of the sid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x-axis.
  • vertical means the length of the side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z-axis.
  • height refers to the length of the side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y-axis.
  • analyte corresponds to blood or bodily fluid collected from the subject's body, and examples may include blood, saliva, nasal discharge, etc.
  • a “reagent” is a liquid mixed with an analyte, diluted with the analyte, and used for development of the analyte.
  • solution refers to a liquid in which an analyte and a reagent are mix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n-site insp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on-site insp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field test device 1 includes all or part of the body 10, the cap 12, the test strip 13, and the reagent tube 14. Includes.
  • the body 1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hollow column shape and is formed so that a test strip 13 can be placed therein.
  • the body 10 may have a cylindrical or polygonal column shape, and the shape of the body 10 may be selected appropriately.
  • the body 10 is form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test strip 13 to protect the test strip 13 from external contaminants and damage.
  • the body 10 is preferably at least partially transparent so that the results of the test strip 13 can be confirmed with the naked eye.
  • the body 10 may be formed of a hard material capable of transparent injection molding.
  • the material of the body 10 may preferably be polyester (PE) or polystyrene (PS).
  • the test strip 13 moves inside the body 10, the test strip 13 is not restricted by the inner wall of the body 10, so that the body 10 has sufficient width, length, and height. It is desirable for a hollow to be formed.
  • the vertical length of the hollow of the body 10 may be 1 mm to 2 mm,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hollow may be 4 mm, and the height of the hollow may be 60 mm.
  • the above values are only examples and that the values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type of analyte and reagent being collected.
  • a locking protrusion 100 may be formed on the left or right side near where the body 10 and the cap 12 are joined.
  • the locking protrusion 100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right or left side of the body 10 and can be caught on the cap 12. Meanwhile,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stopping protrusion 100 is shown as being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1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a guide groove may be formed on the inner front or inner rear near where the body 10 and the cap 12 are joined. Additionally, a guide protrusion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inner front or inner rear of the cap 12. Guide protrusions are provided in the guide groove so that the cap 12 can move along the guide groove.
  • a collecting part 11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ody 10.
  • the analyte flows into the interior of the body 10 through the collection unit 11.
  • a hollow is formed inside the collecting part 11, and the hollow inside the body 10 and the hollow inside the collecting part 11 are in fluid communication.
  •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hollow formed inside the collection unit 11 is smaller than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test strip 13. Because of this, the test strip 13 may not pass through the collection unit 11 and escape to the outside.
  • the vertical length of the hollow formed inside the collection unit 11 may be 0.3 mm to 0.5 mm. That is, the hollow part of the collection part 11 is thin plate-shaped, so that analytes and reagents can be collected into the body 10 by capillary action. Meanwhile, the volume of the hollow inside the collection unit 11 may be 5 ⁇ l to 40 ⁇ l. For example, in order to extract 10 ⁇ l of reagent, the length of the hollow may be 0.5 mm, the length may be 2 mm, and the height may be 10 mm. Meanwhile, please note that these values are merely illustrative and may be changed appropriately by considering the appropriate volumes of analytes and reagents.
  • the inside of the collection unit 11 may be coated with a hydrophilic material, or the collection unit 11 made of a hydrophilic material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and attached to the body 10.
  • the hydrophilic material may be, for example, Tween20 diluted in water to a predetermined concentration.
  • vent holes 102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10. At this time, the location of the vent hole 102 is preferably formed in a position that is not obscured when the cap 12 moves downward along the body 10 as much as possible. Air inside the body 1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vent hole 102. The details of air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vent hole 102 will be explained in detail in FIG. 5.
  • the cap 12 is formed to be mounted on the top of the body. 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body 10 may be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cap 12.
  • the cap 12 is formed to secure the test strip 13 therein, so that the test strip 13 can move together with the movement of the cap 12.
  • One or more locking holes 120 and 122 are formed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cap 12.
  • One or more locking holes 120 and 122 include a first locking hole 120 formed on one side and a second locking hole 122 formed above the first locking hole 120. The locking protrusion 100 may be caught in the first locking hole 120 or the second locking hole 122.
  • connection hole 124 (see FIG. 3) configured to connect the first locking hole 120 and the second locking hole 122 is formed between the first locking hole 120 and the second locking hole 122. It can be. At this time, the connection hole 124 may be formed to have a width smaller than the maximum inner diameter of the catching holes 120 and 122. In relation to this, it is explained in detail in FIG. 3.
  • the test strip 13 is configured to move downward as the cap 12 moves while inserted into the body 10.
  • the analyte and the reagent move upward along the test strip 13 and react with the color developing portion.
  • the type of virus to which the chromogen reacts may be, for example, HIV, Dengue, Malaria, etc., but the type of virus to be tested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depending on the test object.
  • the test strip 13 may be in the form of multiple pads overlapping each other with different types of reactants applied thereto. In other words, various diagnoses may be possible with one test strip 13.
  • the reagent tube 14 is formed so that the body 10 is inserted therein, and has an approximate container shape.
  • the reagent tube 14 is manufactured with a reagent contained in the inner bottom, and is sealed and stored.
  • a reagent is applied to the reagent tube 14 inside during the production stage. At this time, it is desirable to provide a larger amount of reagent than the amount needed for actual development. This is because when the viscosity of reagents and analytes is high, dead volume occurs and the possibility of misdiagnosis cannot be ruled out. If the test strip 13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a strip for HIV testing, about 100 ⁇ l of reagent is needed to obtain normal results. In consideration of the insoluble volume, 200 ⁇ l of reagent is provided in the reagent tube 14. It would be desirable to have it.
  • Figure 3 i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n on-site insp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ure 3 (a)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100 is disposed in the first locking hole 120.
  • this state of the field inspection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referred to as the 'first state'.
  • Figure 3 (b)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100 is disposed in the second locking hole 122.
  • this state of the field inspection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referred to as the 'second state'.
  • connection hole 124 is formed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locking protrusion 100 between the first locking hole 120 and the second locking hole 122. That is, when the field inspection device 1 changes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the stopping protrusion 100 can naturally move along the connection hole 124.
  • the locking protrusion 10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first locking hole 120 and the second locking hole 122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cking protrusion 100. It is desirable to have a shape. Additionally, the width of the connection hole 124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locking holes 120 and 122 or the diameter of the locking protrusion 100. Because of this, the cap 12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upward unnaturally. That is, when the state of the field inspection device 1 is changed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it is performed by the user's pressing force, so even if the diameter of the connection hole 124 is formed small, the stat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to use it. possible. However, in the opposite case, when the state of the field inspection device 1 is changed from the second state to the first state, this can be prevented due to the narrow width of the connection hole 124, thereby preventing reuse. There is an effect.
  • FIGS. 4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body cut along the yz pl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a pressing protrusion 106 that protrudes toward the inside of the body 10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0.
  • the test strip 13 is generally formed by overlapping several pads, and since the pressing protrusion 106 presses the test strip 13 with a certain pressure, it can help spread the sample.
  • the body 10 may be produced by injection molding each of two pieces and assembling them later. Because of this, a complex shape inside the body 10 can be realized, which can be advantageous during mass production. However, note tha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bod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 the body 10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104 therein.
  • the inclined surface 104 protrudes toward the inside of the body 10 from the inner front surface and/or the inner rear surface. Additionally, the protruding width of the inclined surface 104 is formed to increase as it goes downward.
  • test strip 13 moves downward, the lower end of the test strip 13 mov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104 and can be guided in an appropriate direction.
  • the test strip 13 is shaped like a strip with a longer length compared to the width, and has no separate fixing device except that the upper part of the test strip 13 is fixed, so it can move left and right or back and forth when moving downward. In this case, the test strip 13 is not properly placed in the collection unit 11, so the solution may not spread along the test strip 13.
  • the inclined surface 104 is provided, even if the test strip 13 shakes while moving, the inclined surface 104 has the effect of being guided toward the collection unit 11.
  • Figure 6 i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n on-site insp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ure 6 (a) shows the state before the body 10 is inserted into the reagent tube 14, and Figure 6 (b) shows the state after the body 10 is inserted into the reagent tube 14, the cap ( 12) shows the press-fitted state.
  • the body 10 is inserted into the reagent tube, and the cap 12 is pressed into the bottom by the user.
  • the locking protrusion 100 moves along the connection hole 124 and is disposed in the second locking hole 122.
  •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first locking hole 120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locking hole 122 is preferably spaced apart by the tolerance d.
  • the internal space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 and the cap 12 is reduced due to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cap 12.
  • the pressure of the air remaining in the above-described internal space decreases as its volume decreases, and there is a risk that the analytes staying inside the collection unit 11 may escape due to the increased pressure.
  •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vent hole 102 (see FIG. 1)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10 to maintain the pressure inside the body 10, thereby preventing loss of the analyte.
  • the cap 12 is pressed downward without any resistance, providing a smooth feeling of use to the user.
  • the test strip 13 moves downward by the tolerance d, and the lower part of the test strip 13 settles on the interface between the collection part 11 and the body 10.
  • the reagent placed in the reagent tube 14 flows into the interior of the body 10 through the collection unit 11.
  • the reagent flows into the body 10 and the analyte and the reagent are mixed to form a solution, and the volume increases.
  • the solution naturally moves upward along the test strip 13.
  • Figure 7 is a flowchart of a method using an on-site insp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ure 7 is a flowchart of a method using an analyte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a method using an analyte collection device includes a step (S700) of collecting an analyte by contacting the lower end of the body 10 with the analyte.
  • the analyte may be blood, for example, and will be naturally sucked up through the fine gap of the collection unit 11 by capillary action and pressure difference.
  • the analytes flowing into the body 10 through the collection unit 11 are temporarily stor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10 formed by the tolerance d.
  • the body 10 containing the analyte is inserted into the reagent tube 14 by the user (S710).
  • the reagent tube 14 can stand without a separate device such as a stand. Of course, it does not matter if an additional stand is provided for stable fixation.
  • the cap 12 With the body 10 inserted into the reagent tube 14, the cap 12 is pressed downward by the user (S720).
  • the test strip 13 As the cap 12 is pressed in, the test strip 13 also moves downward. As a result,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10 formed by the tolerance d is compressed (see FIG. 6), and the analytes staying in the body 10 and the collection unit 11 can partially move along the test strip 13. there is. At the same time, the reagent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body 10 and on the inner bottom of the reagent tube 14 is collected by the collection unit 11 and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body 10. The analyte and the reagent are mixed to form a solution, and the solution may spread upward along the test strip 13.
  • the internal space of the cap 12 formed between the cap 12 and the upper end of the body 10 is also compressed (see FIG. 6). At this time, the air remaining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ap 12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vent hole 102 of the body 1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관형의 바디(10); 상기 바디(10)의 상단에 장착되며, 상기 바디(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캡(12); 상기 바디(10)의 내부 저면으로부터 공차(d)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바디(10)의 내부에서 상기 캡(12)의 압입에 따라 상기 바디(10)의 내부에서 운동하도록 구성되는 검사스트립(13); 상기 바디(10)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바디(10)와 유체연통되는 포집부(11); 상기 바디(1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저면의 적어도 일부가 평면으로 형성되는 시약 튜브(14);를 포함하는, 현장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대표도] 도 1

Description

생체 분석물의 정량적 샘플링을 통한 현장 검사 장치
본 개시는 생체 분석물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정량으로 분석물의 채집하고 간단한 작동 방법으로 검사까지 가능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생체 분석물의 정량적 샘플링을 통한 현장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혈액, 타액, 콧물 등의 검체를 인체로부터 채취한 후, 채취한 검체를 이용하여 건강상태, 질병의 유무를 진단하는 체외진단 기술이 고도로 개발되어, 많은 기술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인체로부터의 검체 채취는 면봉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는 콧물을 채취하는 경우, 검체 채취 면봉을 비강에 삽입하여 비강 깊숙이 있는 콧물을 채취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혈액을 이용한 신속 검사를 위한 진단 키트의 경우, 혈액의 정량 채취가 어렵고, 따라서, 정량 채취를 위해 부피를 측정할 수 있는 별도의 기구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약이 시약 투입구에 정량만큼 투여되어야 함에도, 정량보다 적게 또는 많이 투여되어 오진단율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채취, 부피진단, 시약 투입을 위한 피펫 사용 등에 따라, 다양한 부자재가 필요하게 되어, 폐기 용품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일반적인 시험용기의 경우 하부면이 지면에 설 수 없는 형상(예컨대, 둥근 형상)을 포함하는바, 시험용기를 세울 수 있는 스탠드 등의 부속용품이 필수적이다.
또한, 종래의 분석물 채취 및 시험 기구들의 경우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기구적 잠금장치가 없어, 재사용에 따른 오진단율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KR 10-2014-0094931 A
(특허문헌 2) US 7959877 B2
이에, 본 개시는 정량을 채취할 수 있는 현장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개시는 부속 용품이 필요하지 않고, 그 자체로도 분석물 채취 및 검사까지 가능한 현장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개시는 분석물 채취 및 시험 시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현장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개시는 정량을 채취할 수 있는 현장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개시는 부속 용품이 필요하지 않고, 그 자체로도 분석물 채취 및 검사까지 가능한 현장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개시는 분석물 채취 및 시험 시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현장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관형의 바디(10); 상기 바디(10)의 상단에 장착되며, 상기 바디(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캡(12); 상기 바디(10)의 내부 저면으로부터 공차(d)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바디(10)의 내부에서 상기 캡(12)의 압입에 따라 상기 바디(10)의 내부에서 운동하도록 구성되는 검사스트립(13); 상기 바디(10)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바디(10)와 유체연통되는 포집부(11); 상기 바디(1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저면의 적어도 일부가 평면으로 형성되는 시약 튜브(14);를 포함하는, 현장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의 상기 바디(10)는, 상기 바디(10)의 우측면 및 좌측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100)를 포함하고, 상기 캡(12)은 상기 걸림돌기(100)가 거치되도록 형성된 제1 걸림홀(120), 상기 제1 걸림홀(120)의 상부에 형성된 제2 걸림홀(122), 및 상기 제1 걸림홀(120) 및 상기 제2 걸림홀(122)을 연결하는 연결홀(124)이 상기 캡(12)의 우측면 및 좌측면에 한 쌍씩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의 현장 검사 장치는, 상기 제1 걸림홀(120)에 상기 걸림돌기(100)가 배치되는 제1 상태; 또는 상기 캡(12)의 압입으로 인해 상기 제2 걸림홀(122)에 상기 걸림돌기(100)가 배치되는 제2 상태 중 어느 한 상태이고,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바디(10)의 상부면과 상기 캡(12) 사이에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바디(10)의 상부면과 상기 캡(12) 사이의 내부 공간은 압축되고,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바디(10)의 일 측면에 형성된 벤트홀(102)로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가 토출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의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바디(10)의 내부 저면으로부터 상기 검사스트립(13)의 하단면까지의 공차(d)의 길이는, 상기 바디(10)의 상부면으로터 상기 캡(12)의 내부면까지의 거리와 같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의 상기 바디(10)의 전방 내측면과 후방 내측면에는, 내측면으로부터 바디(10)의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바디(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하방을 향해 돌출폭이 증가하는 경사면(104)이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의 상기 바디(10)는, 전방 내측면 또는 후방 내측면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되며,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바디(10)의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검사스트립(13)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누름돌기(106)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의 상기 바디(10)의 상단부에는 상기 바디(10)의 전방 외측면 또는 후방 외측면에 내측을 향해 함몰 형성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캡(12)의 하당부에는 상기 캡(12)의 전방 내측면 또는 후방 내측면에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상기 가이드돌기가 배치된다.
또한, 본 개시의 현장 검사 장치를 이용한 분석물 수집 방법에 있어서,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검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검사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검사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를 yz 평면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검사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검사 장치를 이용한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상방(upward side)"은 도 1에서 y축의 양의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우측(right side)"은 도 1에서 x축의 양의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전방(forward)"은 도 1에서 z축의 양의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가로"는 x축과 나란한 방향으로의 변의 길이를 의미한다. 또한, "세로"는 z축과 나란한 방향으로의 변의 길이를 의미한다. 또한, "높이"는 y축과 나란한 방향으로의 변의 길이를 의미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분석물"은 피험체의 체내에서 채혈 또는 채취된 체액에 해당하며, 예시적으로는 혈액, 타액, 콧물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시약"은 분석물과 혼합되어, 분석물을 희석하고, 분석물의 전개에 사용되는 액체이다.
또한, 본 개시에서, "용액"은 분석물과 시약이 혼합된 액체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검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검사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검사 장치(1)는, 바디(10), 캡(12), 검사스트립(13) 및 시약 튜브(14)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바디(10)는 대략 중공 기둥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검사스트립(13)이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바디(10)는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일 수 있으며, 바디(10)의 형상은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바디(10)는 검사스트립(13)을 외부의 오염물과 파손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검사스트립(13)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바디(10)는 검사스트립(13)의 결과가 육안으로 확인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바디(10)는 투명 사출이 가능한 경질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바디(10)의 재질로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PE), 폴리스티렌(PS)일 수 있다.
바디(10) 내부에서 검사스트립(13)이 이동할 때, 바디(10)의 내벽면에 의해 검사스트립(13)이 이동이 구속되지 않도록, 바디(10) 내부에는 충분한 가로, 세로 및 높이를 갖는 중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바디(10)의 중공의 세로 길이는 1 mm 내지 2 mm일 수 있고, 중공의 가로 길이는 4 mm일 수 있으며, 중공의 높이는 60 mm일 수 있다. 다만 상기한 수치는 예시에 불과하며, 포집되는 분석물의 종류와 시약의 종류에 따라 그 수치는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바디(10)와 캡(12)이 결합하는 부근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는 걸림돌기(100)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100)는 바디(10)의 우측면 또는 좌측면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며, 캡(12)에 걸릴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는 걸림돌기(100)가 바디(10)의 좌우 양측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디(10)와 캡(12)이 결합하는 부근의 내측 전면 또는 내측 후면에는 가이드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캡(12)의 내측 전면 또는 내측 후면에는 가이드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에는 가이드돌기가 게재되어 가이드홈을 따라 캡(12)이 이동할 수 있다.
바디(10)의 하단에는 포집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포집부(11)를 통해 분석물이 바디(10)의 내부로 유동한다. 이를 위해, 포집부(11)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바디(10) 내부의 중공과 포집부(11) 내부의 중공이 유체연통된다.
포집부(11)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의 가로 길이는 검사스트립(13)의 가로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검사스트립(13)이 포집부(11)를 통과해 외부로 탈출하지 않을 수 있다.
포집부(11)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의 세로 길이는 0.3 mm 내지 0.5 mm 일 수 있다. 즉, 포집부(11)의 중공은 얇은 판상형이어서, 분석물과 시약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바디(10)로 포집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포집부(11) 내부 중공의 체적은 5 ㎕ 내지 40 ㎕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10 ㎕의 시약을 취출하기 위해서는, 중공의 세로 길이는 0.5 mm, 세로는 2 mm, 높이는 10 mm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수치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분석물 및 시약의 적정 체적이 고려되어,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수용성 시약 채취를 위하여, 포집부(11)의 내부에는 친수성 물질로 코팅되어 있거나, 친수성 소재의 포집부(11)를 별도로 제작하여 바디(10)에 부착할 수 있다. 이때, 친수성 물질은 예시적으로 Tween20 을 기 결정된 농도에 맞게 물에 희석한 물질일 수 있다.
바디(10)의 일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벤트홀(10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벤트홀(102)의 위치는, 캡(12)이 바디(10)를 따라 최대로 하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가려지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벤트홀(102)을 통해 바디(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벤트홀(102)을 통해 공기가 토출되는 내용은, 도 5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캡(12)은 바디의 상단에 장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바디(10)의 상단이 캡(12)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캡(12)은 내부에 검사스트립(13)이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이로 인해 캡(12)의 운동에 따라 검사스트립(13)이 함께 운동할 수 있다.
캡(12)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걸림홀(120, 122)이 형성된다. 하나 이상의 걸림홀(120,122, 도 3 참조)은 일 측면에서 형성되는 제1 걸림홀(120)과 제1 걸림홀(120)의 상방에 형성된 제2 걸림홀(122)을 포함한다. 걸림돌기(100)는 제1 걸림홀(120) 또는 제2 걸림홀(122)에 걸릴 수 있다.
또한, 제1 걸림홀(120)과 제2 걸림홀(122)의 사이에는 제1 걸림홀(120)과 제2 걸림홀(122)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연결홀(124, 도 3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홀(124)은, 걸림홀(120, 122)의 최대 내경보다 작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관련하여,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검사스트립(13)은 바디(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캡(12)의 이동에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검사스트립(13)의 하단부가 분석물 및 시약과 접촉하면, 분석물과 시약은 검사스트립(13)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여, 발색부와 반응한다. 발색부가 반응하는 바이러스의 종류는 예컨대, HIV, Dengue, Malaria 등일 수 있으나, 검사 대상 바이러스의 종류는 검사대상물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검사스트립(13)은 각기 다른 종류의 반응물이 도포되어 있는 여러 장의 패드가 겹쳐진 형태일 수 있다. 즉, 하나의 검사스트립(13)으로 여러가지 진단이 가능할 수 있다.
시약 튜브(14)는 내부에 바디(10)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대략 용기 형상이다. 시약 튜브(14)는 내부 저면에 시약이 포함된 상태로 제조되어 실링 및 보관된다.
시약 튜브(14)에는 생산 단계에서 내부에 시약이 도포된다. 이때, 실제 전개를 위해 필요한 시약의 양보다, 더 많은 양의 시약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시약 및 분석물의 점도가 높은 경우, 불용체적(dead volume)이 발생하여 오진단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만약 일 실시예에 의한 검사스트립(13)이 HIV 검사를 위한 스트립일 경우, 정상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100 ㎕ 가량의 시약이 필요한데, 불용체적을 고려하여 200 ㎕의 시약이 시약 튜브(14)에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검사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의 (a)는 걸림돌기(100)가 제1 걸림홀(120)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검사 장치(1)의 이러한 상태를 '제1 상태'라 한다.
도 3의 (b)는 걸림돌기(100)가 제2 걸림홀(122)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검사 장치(1)의 이러한 상태를 '제2 상태'라 한다.
연결홀(124)은, 제1 걸림홀(120)과 제2 걸림홀(122) 사이에서 걸림돌기(100)의 운동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된다. 즉,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현장 검사 장치(1)가 상태상 변화할 때, 걸림돌기(100)는 연결홀(124)을 따라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바람직하게는 걸림돌기(10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걸림홀(120)과 제2 걸림홀(122)은 의 걸림돌기(100)의 외주면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홀(124)의 폭은 걸림홀(120,122)의 내부 직경, 또는 걸림돌기(10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부자연스럽게 캡(12)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현장 검사 장치(1)의 상태가 변경될 때에는 사용자의 누르는 힘에 의해 수행되므로, 연결홀(124)의 직경이 작게 형성되더라도 사용자 사용 의지에 따라 상태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나, 반대의 경우인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현장 검사 장치(1)의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는, 연결홀(124)의 좁은 폭으로 인해 방지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를 yz 평면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바디(10)의 내측면에는 바디(10)의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누름돌기(106)가 배치될 수 있다. 검사스트립(13)은 일반적으로 여러 장의 패드가 겹쳐져서 형성되는데, 누름돌기(106)가 검사스트립(13)을 일정 압력으로 누르기 때문에, 시료 전개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바디(10)는 두 개의 피스로 각각 사출성형되어, 추후 조립되는 방식으로 생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바디(10) 내부의 복잡한 형상을 구현할 수 있으며, 대량 생산 시 유리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의 따른 바디(10)의 제조 방법은 적절히 선택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바디(10)는 내부에 경사면(104)을 포함한다. 경사면(104)은 내측 전방면 및/또는 내측 후방면으로부터 바디(10)의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또한, 경사면(104)의 돌출 폭은, 하방을 향할수록 커지도록 형성된다.
검사스트립(13)이 하방으로 이동할 때, 검사스트립(13)의 하단이 경사면(104)을 따라 운동하면서 적절한 방향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검사스트립(13)은 폭에 비해 길이가 긴 띠형이며, 검사스트립(13)의 상부가 고정된 것을 제외하면 별도의 고정 장치가 없어, 하방으로 운동 시, 좌우 또는 전후로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검사스트립(13)이 포집부(11)에 적절하게 배치되지 않아, 용액이 검사스트립(13)을 따라 전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경사면(104)이 구비된 경우, 검사스트립(13) 운동하면서 흔들리더라도, 경사면(104)에 의해 포집부(11)를 향해 가이드된다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검사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의 (a)는 바디(10)가 시약 튜브(14) 내에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의 (b)는 바디(10)가 시약 튜브(14) 내에 삽입된 후, 캡(12)이 압입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제1 상태에서 바디(10)가 시약 튜브(14) 내에 삽입되기 전에는 제1 걸림홀(120)에 걸림돌기(100)가 걸린다. 또한, 검사스트립(13)의 하단부가 바디(10)의 내저면으로부터 일정 공차(d)만큼 이격된다. 공차(d)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만큼 분석물이 바디(10)에 포집될 수 있다. 한편, 공차(d)의 수치 자체는 설계자에 의해 적절히 설계변경 간으하나, 제조 시 결정되기에 정량의 분석물이 바디(10)의 내부로 포집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분석물의 체적을 측량학 위한 별도의 도구, 예를 들어 피펫(pipet) 등이 불필요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6의 (b)를 참고하면, 제2 상태에서 바디(10)가 시약 튜브 내에 삽입되고, 사용자에 의해 캡(12)이 하단으로 압입된다. 걸림돌기(100)가 연결홀(124)을 따라 이동하하다가 제2 걸림홀(122)에 배치된다. 이때, 제1 걸림홀(120)의 중심과 제2 걸림홀(122)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공차(d)만큼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디(10)의 상부면과 캡(12) 사이에 형성된 내부 공간이, 캡(12)의 하방 이동으로 인해 축소된다. 상기한 내부 공간에 머물던 공기는 용적이 감소하면서 압력이 증가하는데, 증가한 압력으로 인해 포집부(11)의 내부에 머물던 분석물이 빠져나갈 우려가 있다. 이때, 바디(10)의 일 측면에 형성된 벤트홀(102, 도 1 참조)을 통해 공기가 토출되어 바디(10) 내부의 압력이 유지됨으로써, 분석물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저항감 없이 캡(12)이 하방으로 압입되는 효과 역시 갖게 되어, 사용자에게 부드러운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캡(12)의 이동에 따라 검사스트립(13)이 하방으로 공차(d)만큼 이동하게 되며, 포집부(11)와 바디(10)의 경계면에 검사스트립(13)의 하당부가 안착하게 된다. 이때, 시약 튜브(14)에 배치되어 있던 시약이 포집부(11)를 통해 바디(10)의 내부로 유동한다. 바디(10)의 내부로 시약이 유입되어 분석물과 시약이 혼합되어 용액이 형성되고, 용적이 증가한다. 이때, 공차(d)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이 압축되면서 용액은 자연스럽게 검사스트립(13)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검사 장치를 이용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물 수집 장치를 이용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물 수집 장치를 이용한 방법은, 분석물에 바디(10)의 하단부를 접촉시켜 분석물을 포집하는 단계(S700)를 포함한다. 이때, 분석물은 예시적으로 혈액일 수 있으며, 포집부(11)의 미세한 틈을 따라 모세관 현상과 압력차에 의해 자연스럽게 빨려 올라갈 것이다. 포집부(11)를 통해 바디(10)의 내부로 유입된 분석물은 공차(d)에 의해 형성된 바디(10)의 내부 공간에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이후에, 분석물을 포집한 바디(10)가 사용자에 의해 시약 튜브(14)에 삽입된다(S710). 이때, 시약 튜브(14)는 외부 저면이 편평한 형상이기 때문에, 스탠드(stand) 등의 별도의 장치가 없어도 시약 튜브(14)는 서있을 수 있다. 물론, 안정적인 고정을 위하여 스탠드를 더 구비하더라도 무관하다.
시약 튜브(14)에 바디(10)가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캡(12)이 하방으로 압입된다(S720).
캡(12)의 압입에 따라, 검사스트립(13)도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공차(d)에 의해 형성된 바디(10) 내부 공간은 압축되고(도 6 참조), 바디(10)와 포집부(11)에 머물던 분석물이 검사스트립(13)을 따라 일부 이동할 수 있다. 동시에, 바디(10)의 외부이자 시약 튜브(14)의 내부 저면에 구비되어 있던 시약이 포집부(11)에 의해 포집되어 바디(10)의 내부로 유동된다. 분석물과 시약은 혼합되어 용액을 형성하고, 용액은 검사스트립(13)을 따라 상방으로 전개될 수 있다.
한편, 캡(12)의 압입에 따라, 캡(12)과 바디(10)의 상단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던 캡(12)의 내부 공간도 압축된다(도 6 참조). 이때, 캡(12)의 내부 공간에 머물던 공기는 바디(10)의 벤트홀(102)을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 현장 검사 장치
10: 바디
100: 걸림돌기
102: 벤트홀
104: 경사면
106: 누름돌기
11: 포집부
12: 캡
120: 제1 걸림홀
122: 제2 걸림홀
124: 연결홀
13: 검사스트립
14: 시약튜브

Claims (8)

  1. 관형의 바디(10);
    상기 바디(10)의 상단에 장착되며, 상기 바디(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캡(12);
    상기 바디(10)의 내부 저면으로부터 공차(d)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바디(10)의 내부에서 상기 캡(12)의 압입에 따라 상기 바디(10)의 내부에서 운동하도록 구성되는 검사스트립(13);
    상기 바디(10)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바디(10)와 유체연통되는 포집부(11);
    상기 바디(1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저면의 적어도 일부가 평면으로 형성되는 시약 튜브(14);를 포함하는,
    현장 검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0)는, 상기 바디(10)의 우측면 및 좌측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100)를 포함하고,
    상기 캡(12)은 상기 걸림돌기(100)가 거치되도록 형성된 제1 걸림홀(120), 상기 제1 걸림홀(120)의 상부에 형성된 제2 걸림홀(122), 및 상기 제1 걸림홀(120) 및 상기 제2 걸림홀(122)을 연결하는 연결홀(124)이 상기 캡(12)의 우측면 및 좌측면에 한 쌍씩 형성되는,
    현장 검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검사 장치는,
    상기 제1 걸림홀(120)에 상기 걸림돌기(100)가 배치되는 제1 상태; 또는
    상기 캡(12)의 압입으로 인해 상기 제2 걸림홀(122)에 상기 걸림돌기(100)가 배치되는 제2 상태 중 어느 한 상태이고,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바디(10)의 상부면과 상기 캡(12) 사이에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바디(10)의 상부면과 상기 캡(12) 사이의 내부 공간은 압축되고,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바디(10)의 일 측면에 형성된 벤트홀(102)로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가 토출되는,
    현장 검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바디(10)의 내부 저면으로부터 상기 검사스트립(13)의 하단면까지의 공차(d)의 길이는, 상기 바디(10)의 상부면으로터 상기 캡(12)의 내부면까지의 거리와 같은,
    현장 검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0)의 전방 내측면과 후방 내측면에는, 내측면으로부터 바디(10)의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바디(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하방을 향해 돌출폭이 증가하는 경사면(104)이 형성되는,
    현장 검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0)는, 전방 내측면 또는 후방 내측면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되며,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바디(10)의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검사스트립(13)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누름돌기(106)를 포함하는,
    현장 검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0)의 상단부에는 상기 바디(10)의 전방 외측면 또는 후방 외측면에 내측을 향해 함몰 형성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캡(12)의 하당부에는 상기 캡(12)의 전방 내측면 또는 후방 내측면에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상기 가이드돌기가 배치되는,
    현장 검사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를 이용한 분석물 수집 방법에 있어서,
    (a) 분석물에 바디의 하단부를 접촉시켜 분석물이 포집되는 단계;
    (b) 상기 바디가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기립해 있는 시약 튜브에 삽입되는 단계; 및
    (c) 상기 시약 튜브에 상기 바디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캡이 하방으로 압입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PCT/KR2022/021356 2022-11-02 2022-12-27 생체 분석물의 정량적 샘플링을 통한 현장 검사 장치 WO202409619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4753A KR20240062816A (ko) 2022-11-02 2022-11-02 생체 분석물의 정량적 샘플링을 통한 현장 검사 장치
KR10-2022-0144753 2022-11-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96195A1 true WO2024096195A1 (ko) 2024-05-10

Family

ID=90930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21356 WO2024096195A1 (ko) 2022-11-02 2022-12-27 생체 분석물의 정량적 샘플링을 통한 현장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62816A (ko)
WO (1) WO2024096195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0136A (en) * 1998-09-18 2000-10-31 Syntron Bioresearch, Inc. Analytical test device and method of use
US7959877B2 (en) * 2005-12-22 2011-06-14 Chembio Diagnostic Systems, Inc. Immunoassay apparatus and kit
CN206523509U (zh) * 2017-02-14 2017-09-26 杭州诺辉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粪便取样及隐血检测一体化装置
CN210199116U (zh) * 2019-07-25 2020-03-27 烟台简单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一站式检测卡
WO2022018519A1 (en) * 2020-07-20 2022-01-27 Bio-Marketing-T, Ltd. (BMT) Devices for lateral flow-based biological sample collection and diagnosis and methods of use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0136A (en) * 1998-09-18 2000-10-31 Syntron Bioresearch, Inc. Analytical test device and method of use
US7959877B2 (en) * 2005-12-22 2011-06-14 Chembio Diagnostic Systems, Inc. Immunoassay apparatus and kit
CN206523509U (zh) * 2017-02-14 2017-09-26 杭州诺辉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粪便取样及隐血检测一体化装置
CN210199116U (zh) * 2019-07-25 2020-03-27 烟台简单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一站式检测卡
WO2022018519A1 (en) * 2020-07-20 2022-01-27 Bio-Marketing-T, Ltd. (BMT) Devices for lateral flow-based biological sample collection and diagnosis and methods of us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2816A (ko) 202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15287C (en) Contamination-free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body fluid chemical parameters
US3814522A (en) Specimen tube for microscopic examination
JP2009513967A (ja) 流体サンプル中のアナライトを検出するための装置
WO2010140779A2 (ko) 시료 채취/주입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생체 데이터 측정용 세트
WO2022198956A1 (zh) 试纸检测辅助装置
WO2020036435A1 (ko) 진단 스트립 점적 및 유전자 단편 추출용 튜브 조립체
WO2024096195A1 (ko) 생체 분석물의 정량적 샘플링을 통한 현장 검사 장치
KR20210101986A (ko) 검체 수집 및 분석 일체형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질병 진단용 정보 제공 방법
WO2014084509A1 (ko) 스포이드
WO2022255657A1 (ko)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
WO2013187638A1 (ko) 측정장치
WO2017217806A1 (ko) 남성 불임 진단 시스템
WO2023204541A1 (ko) 저시력자용 진단키트 전용 커버
WO2012086994A2 (en) Micro-fluidic system
WO2020096292A1 (ko) 체외진단용 분석장치의 카트리지
WO2023068593A1 (ko) 소변 검사용 키트
WO2013042946A1 (ko) 모듈형 바이오센서
WO2022075539A1 (ko)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
WO2022025405A1 (ko) 모세혈 수집을 위한 피펫 팁 및 피펫 시스템
WO2023195630A1 (ko) 검체 삽입형 진단키트
WO2023140479A1 (ko) 밀폐식 일체형 표적검사키트
WO2023153615A1 (ko) 마이크로 니들 센서
WO2020045778A1 (ko) 체액 분석용 검사 장치
WO2022025668A1 (en) Cartridge for sample processing
WO2022158813A1 (ko) 검체 채취용 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