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80529A1 - 살균 모듈을 가지는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 장치 - Google Patents

살균 모듈을 가지는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80529A1
WO2024080529A1 PCT/KR2023/012266 KR2023012266W WO2024080529A1 WO 2024080529 A1 WO2024080529 A1 WO 2024080529A1 KR 2023012266 W KR2023012266 W KR 2023012266W WO 2024080529 A1 WO2024080529 A1 WO 202408052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ust bag
main body
blocking member
ultraviolet ray
ultraviolet r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1226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동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408052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8052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0Means for cleaning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Definitions

  • Embodiments are directed to providing a cleaner station and cleaning device having a sterilization module.
  • a vacuum cleaner is an electronic product that uses negative pressure to suck in ai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nd then filters out the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body.
  • a vacuum cleaner may include a dust collection container that separates and collects dust from sucked air.
  • the vacuum cleaner station can be connected to a vacuum cleaner to automatically discharge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dust collection box in order to reduce th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user's manual removal of foreign substances.
  • a cleaner station includes a dust bag for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A main body on which a dust bag is removably mounted; and a sterilizing module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to the inside of the dust bag.
  • the sterilization module may include an ultraviolet ray unit that irradiates ultraviolet rays into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and a blocking member that selectively blocks ultraviolet rays irradiated by the ultraviolet ray unit.
  • the blocking member moves to a blocking position to block ultraviolet rays from being irradiated into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by the ultraviolet ray unit, in conjunction with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dust bag,
  • the dust bag When the dust bag is mounted on the main body, it may move to an open position that allows ultraviolet rays to be irradiated into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by the ultraviolet ray unit, in conjunction with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dust bag.
  • a cleaning device may include a vacuum cleaner and the above-described cleaner station configured to be equipped with the vacuum cleaner.
  • a vacuum cleaner includes a dust bag for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A main body on which a dust bag is removably mounted; It may include a sterilization module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to the inside of the dust bag.
  • the sterilization module may include an ultraviolet ray unit that irradiates ultraviolet rays into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and a blocking member that selectively blocks ultraviolet rays irradiated by the ultraviolet ray unit.
  • the blocking member moves to a blocking position to block ultraviolet rays from being irradiated into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by the ultraviolet ray unit, in conjunction with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dust bag,
  • the dust bag When the dust bag is mounted on the main body, it may move to an open position that allows ultraviolet rays to be irradiated into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by the ultraviolet ray unit, in conjunction with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dust bag.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cleaning device of FIG. 1.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vacuum cleaner station of FIG. 1.
  • 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llection unit of the vacuum cleaner station of FIG. 3.
  • FIGS. 5A to 5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ttaching a dust bag to the collection unit in FIG. 4.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tion main body of FIG. 5C taken along line VI-VI.
  • Figure 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terilization module of the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tion main body of FIG. 7 taken along line VIII-VIII.
  • Figure 9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ust bag separated from the vacuum cleaner station of Figure 7.
  •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terilization module of the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 FIGS 11a and 11b are assembled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teriliz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rom different angles.
  • Figure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eriliz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a blocking member when a dust bag is mounted in a vacuum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a blocking member when a dust bag is separated from the vacuum cleaner station in FIG. 13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1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for blocking ultraviolet rays from being driven by a sterilizing module when the frame cover is opened in a vacuum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17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vacuum cleaner of FIG. 16.
  • firs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or any one item among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eaning devic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cleaning device 1000 of FIG. 1.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vacuum cleaner station 2 in FIG. 1.
  • the cleaning device 1000 includes a vacuum cleaner 1 and a cleaner station 2 connected to the vacuum cleaner 1 and configur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vacuum cleaner 1. can do.
  • the vacuum cleaner 1 may include a cleaner body 11 and a dust collection container 14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leaner body 11.
  •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14 may be provided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moved into the vacuum cleaner 1.
  • the vacuum cleaner 1 may further include a suction pipe 13 detachably coupled to the cleaner main body 11 and a cleaner head 12 detachably coupled to the suction pipe 13.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or hair in the air flowing in through the cleaner head 12 may be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14.
  • the cleaner body 11 may include a battery 15 provided to provide driving force to the vacuum cleaner 1.
  • the battery 15 may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cleaner body 11.
  • the cleaner main body 11 may include an operating unit 16. The user can turn the vacuum cleaner 1 on/off or adjust the suction strength by manipulating the power button provided on the control panel 16.
  • the cleaner station 2 is a device for removing or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14 of the vacuum cleaner 1, and is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14.
  • It may include a suction part (23).
  • the cleaner station 2 includes a station main body 20 on which a dust bag 3 is detachably mounted.
  • the station main body 20 may be referred to as the main body.
  • the station main body 20 has a structur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14 of the vacuum cleaner 1.
  • the station main body 20 may be provided with a docking portion 21 connected to be docked with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14 of the vacuum cleaner 1.
  • the docking unit 21 may be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station main body 20.
  • the docking portion 21 may provide a space where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14 can be opened.
  • the station main body 20 may have an approximately cylindrical shape.
  • the station body 20 may include a housing 201 that forms the exterior.
  • the housing 201 may include a first housing 201a, a second housing 201b, a third housing 201c, and a fourth housing 201d.
  • the first housing 201a and the second housing 201b form the upper exterior of the vacuum cleaner station 2
  • the third housing 201c and the fourth housing 201d form the lower exterior of the vacuum cleaner station 2. can do.
  • a suction part 23 that provides suction power and a collection part 22 on which a dust bag 3 is mounted may be provided.
  • the suction unit 23 may generate suction force so that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vacuum cleaner 1 are discharged into the interior of the station main body 20.
  • the suction unit 23 may include a suction fan 231 that generates air flow, and a suction motor 232 that drives the suction fan 231. As the suction fan 231 rotates, air flows in through the first opening 211 of the docking part 21, and the introduced air passes through the dust bag 3 disposed in the collecting part 22 and exits the outlet ( 233).
  • 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llection unit 22 of the vacuum cleaner station 2 of FIG. 3.
  • FIGS. 5A to 5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mounting the dust bag 3 on the collection unit 22 in FIG. 4.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tion main body of FIG. 5C.
  • the station main body 20 may separate the first housing 201a from the other housing 201 to expose the collection unit 22 .
  • the collection unit 22 of the station main body 20 includes a mounting frame 222 that provides a collection space 2220 where the dust bag 3 is placed, and a mounting frame 222 installed on the mounting frame 222 to open and close the collection space 2220. Includes frame cover 223.
  • the mounting frame 222 may be configured to mount the dust bag 3.
  • the mounting frame 222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2222 to which the dust bag 3 is detachably coupled.
  • the dust bag 3 may be slidably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2222 of the mounting frame 222.
  • the dust bag 3 may be mounted by inserting both ends 3101 into the coupling portion 2222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unting direction.
  • the dust bag 3 is pressed in the mounting direction, the dust bag 3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portion 2222 of the mounting frame 222, and the dust bag 3 can be mounted on the mounting frame 222.
  • the mounting frame 222 is provided with a second opening 221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discharged from the vacuum cleaner 1 can move. When the dust bag 3 is mounted, the foreign matter inlet 311 of the dust bag 3 overlaps the second opening 221.
  • the frame cover 223 has a structure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 the frame cover 223 may have a structure that rotates about a predetermined axis.
  • a locking portion 224 may be provided on the frame cover 223.
  • the locking portion 223 may be disposed at the top of the frame cover 223. The frame cover 223 rotates so that the locking portion 224 can be coupled to the mounting frame 222.
  • the locking portion 224 includes a locking hook 2241 for coupling to the mounting frame 222.
  • the locking hook 2241 of the locking portion 224 is caught by the locking protrusion 2223.
  • the locking portion 224 has a rotatable structure, and may be pressed by the elastic member 226 so that the locking hook 2241 remains caught on the locking protrusion 2223. Accordingly, the frame cover 223 can be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by the locking portion 224.
  • th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frame cover 223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 Pressure ribs 225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cover 223. In the process of closing the frame cover 223, the pressure rib 225 contacts and presses the mounting portion 31 of the dust bag 3. When the frame cover 223 is closed, the dust bag 3 can be maintained in the mounted state by the frame cover 223.
  • the cleaner station 2 can collect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vacuum cleaner 1.
  • suction force may be generated inside the station main body 20. Due to the suction force,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dust collection box 14 of the vacuum cleaner 1 may pass through the docking part 21 and move to the collection part 22 and be collected inside the dust bag 3.
  • Foreign matter discharged from the vacuum cleaner (1) moves with the air flow, passes through the second opening 221 and the foreign matter inlet 311, and is collected in the dust bag (3), and the air excluding the foreign matter is contained in the dust bag (3). It passes through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233).
  • the dust bag (3) in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collected can be replaced.
  • the dust bag 3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mounting frame 222. Accordingly, the used dust bag 3 can be separated and a new dust bag 3 can be assembled. For example, in the reverse order of what is described in FIGS. 4, 5A to 5C, and 6, the used dust bag 3 can be separated.
  • the user may separate a part of the housing 201, for example, the first housing 201a, and open the frame cover 223 of the collection unit 22. In order to open the frame cover 223, the user pulls the upper part of the locking part 224, separates the locking hook 2241 of the locking part 224 from the locking protrusion 2223, and opens the frame cover 223. It can be open.
  • the dust bag 3 comes out of the engaging portion 2222 of the mounting frame 222, and is attached to the mounting frame 222.
  • the dust bag (3) can be separated from the .
  • the new dust bag 3 can be mounted on the mounting frame 222.
  • the dust bag 3 mounted on the vacuum cleaner station 2 may have a large capacity.
  • the capacity of the dust bag 3 may be larger than the capacity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14 of the vacuum cleaner 1.
  • the capacity of the dust bag 3 may be 0.3 liters to 1.0 liters. In this way, foreign substances may be stored inside the large-capacity dust bag 3 for a long time and may be vulnerable to hygiene, such as bacterial growth.
  • Figure 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terilization module 5 of the vacuum cleaner station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tion main body 20 of Figure 7 cut along line VIII-VIII. This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erilization module 5 according to an example.
  • FIG. 9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ust bag 3 separated from the vacuum cleaner station 2 in FIG. 7.
  • the cleaner station 2 may further include a sterilization module 5 and a control unit 160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terilization module 5.
  • the sterilization module 5 may be configured to sterilize the inside of the dust bag 3 mounted on the collection unit 22.
  • the sterilization module 5 may include an ultraviolet ray unit 51 that irradiates ultraviolet rays into the interior of the station main body 20.
  • the ultraviolet ray unit 51 may include an ultraviolet light source 511 that generates ultraviolet rays, and a light source supporter 512 that supports the ultraviolet light source 511.
  • the ultraviolet light source 511 may be ultraviolet light having a wavelength that blocks the propagation of foreign substances and bacteria.
  • the ultraviolet light source 511 may generate UV-C.
  • the ultraviolet light source 511 can generate light with a wavelength of 220 nm to 280 nm.
  • the light source supporter 512 may support the ultraviolet light source 511 so that the ultraviolet rays generated by the ultraviolet light source 511 are irradiated into the interior of the station main body 20, for example, into the collection space 2220.
  • the light source supporter 512 may include an edge portion 5121 surrounding the ultraviolet light source 511 and an opening 5122 through which ultraviolet rays generated by the ultraviolet light source 511 are irradiated.
  • a transparent member 515 that transmits ultraviolet rays may be disposed between the opening 5122 and the ultraviolet light source 511.
  • the light source supporter 512 may be disposed on the mounting frame 222.
  • the light source support part 512 includes a first support part 513 for supporting the ultraviolet ray unit 51, and a second support part 514 for fixing the first support part 513 to the mounting frame 222. can do.
  • the first support part 513 may have a screw thread formed on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 the second support part 514 may have a screw thread fastened to the screw thread formed on its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ccordingly, as the second support part 514 is coupled to a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art 513 exposed upwardly through the insertion hole 2221 of the mounting frame 222, the light source support part 512 is attached to the mounting frame ( 222).
  • the dust bag 3 may include a mounting portion 31 and a bag portion 32 supported by the mounting portion 31 .
  • the mounting portion 31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mounting frame 222.
  • the mounting portion 31 has a plate shape and can be coupled to the mounting frame 222 by sliding on the mounting frame 222 .
  • the mounting portion 31 includes a foreign matter inlet 311 through which foreign matter flows.
  • the envelope portion 32 may be configured to store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inside.
  • the bag portion 32 can store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through the foreign matter inlet 311 of the mounting portion 31.
  • the envelope portion 32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allows air to pass through but does not allow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to pass through.
  • the mounting portion 31 may be provided with an ultraviolet window 312 capable of transmitting ultraviolet rays.
  • the ultraviolet window 312 may include an opening 3121 and a transparent film 3122 disposed on the opening 3121. Accordingly, ultraviolet rays generated from the ultraviolet light source 511 may pass through the transparent film 3122 and be irradiated into the inside of the dust bag 3.
  • the ultraviolet window 312 may overlap the ultraviolet light source 511.
  • the ultraviolet window 312 may overlap the opening 5122 of the light source supporter 512.
  • the ultraviolet rays generated by the ultraviolet light source 511 pass through the opening 5122 of the light source support part 512 and the ultraviolet window 312 of the dust bag 3 to the inside of the dust bag 3, for example, the bag portion ( 32) can be investigated inside.
  • ultraviolet rays generated by the ultraviolet ray unit 51 are irradiated into the inside of the dust bag 3 through the ultraviolet window 312.
  • the inside of the dust bag 3 can be sterilized by ultraviolet rays irradiated into the inside of the dust bag 3.
  • the control unit 16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ultraviolet ray unit 51.
  • the control unit 16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ultraviolet ray unit 51 so that the ultraviolet ray unit 51 operates periodically.
  • the control unit 160 may control the ultraviolet ray unit 51 to operat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t regular intervals.
  • the ultraviolet light unit 51 may be controlled to operate for 60 to 120 minutes every 3 to 7 hours.
  • the ultraviolet light unit 51 may be controlled to operate for 90 minutes every 5 hours.
  • the ultraviolet rays generated by the ultraviolet ray unit 51 may cause damage to the user or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if ultraviolet rays are irradiated to the user in the process of replacing the dust bag 3, damage may be caused to the user.
  • the sterilization module 5 may include a structure that physically blocks the ultraviolet ray unit 51 from being unintentionally exposed to the outside.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terilization module 5 of the vacuum cleaner station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S. 11A and 11B are assembled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terilization module 5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rom different angles
  • Figure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erilization module 5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sterilization module 5 may include a blocking member 100 that selectively blocks ultraviolet rays irradiated by the ultraviolet ray unit 51. .
  • the blocking member 100 may be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ltraviolet ray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ultraviolet ray unit 51.
  • the blocking member 100 can mov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mounting and detaching direction of the dust bag 3.
  • the blocking member 100 can mov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unting and detaching direction of the dust bag 3.
  • the blocking member 100 has a blocking position 101 (see FIG. 14) that blocks ultraviolet rays from being irradiated into the interior of the station main body 20 by the ultraviolet ray unit 51 and a blocking position 101 that blocks ultraviolet rays from being irradiated into the inside of the station main body 20 by the ultraviolet ray unit 51. It can move between open positions 102 that allow ultraviolet rays to be irradiated into the interior.
  • the blocking member 100 may be configured to move in conjunction with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dust bag 3 when the dust bag 3 is mounted on or separated from the station main body 20. For example, when the dust bag 3 is separated from the station main body 20, the blocking member 100 is linked to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dust bag 3, and the station main body 20 is exposed to the ultraviolet ray unit 51. It can be moved to the blocking position 101, which blocks ultraviolet rays from being irradiated into the inside. For example, when the dust bag 3 is mounted on the station main body 20, the blocking member 100 is linked to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dust bag 3, and the station main body 20 is exposed to the ultraviolet ray unit 51. It can be moved to an open position 102 that allows ultraviolet rays to be irradiated into the interior.
  • the blocking member 100 may include a contact area 112 that can contact the dust bag 3.
  • the contact area 112 can be pressed by the mounting portion 31 of the dust bag 3.
  • the blocking member 100 can mov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mounting direction when the dust bag 3 is mounted.
  • the blocking member 100 may include an opening area 111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5122 of the ultraviolet ray unit 51.
  • the opening area 111 may overlap the ultraviolet window 312 of the dust bag 3.
  • the ultraviolet ray unit 51 may overlap the opening area 111 of the blocking member 100.
  • the opening area 111 may not overlap the ultraviolet window 312.
  • the ultraviolet ray unit 51 may not overlap the opening area 111 of the blocking member 100.
  • the opening area 111 of the blocking member 100 is an optional configuration and may be omitted as needed.
  • the sterilizing module 5 further includes an elastic member 120 that provides elastic force to the blocking member 100 and a movement guide 130 that guides the movement of the blocking member 100. can do.
  • the movement guide 130 may guide the movement of the blocking member 100 so that the blocking member 100 moves between the blocking position 101 and the open position 102.
  • the movement guide 130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blocking member 100 to slide.
  • the movement guide 130 may include a guide area 131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mounting direction.
  • the guide area 131 may be in the form of a groove into which the side portion 113 of the blocking member 100 can be inserted.
  • the shape of the guide area 131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blocking member 100.
  • the guide area 131 may have a protrusion shape corresponding to the groove shape of the blocking member 100.
  • the elastic member 120 may provide an elastic force that urges the blocking member 100 to move the blocking member 100 from the open position 102 to the blocked position 101 .
  • the elastic member 1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ight source supporter 512 and one end 114 of the blocking member 100.
  • the elastic member 120 may provide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one end 114 of the blocking member 100 moves away from the light source supporter 512 .
  • 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blocking member 100 when the dust bag 3 is mounted in the vacuum cleaner station 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blocking member 100 when the dust bag 3 is separated from the cleaner station 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3.
  • the dust bag 3 can be mounted on the mounting frame 222 of the station main body 20.
  • the dust bag 3 may be mounted in a firs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ltraviolet irradiation direction, for example, to the left.
  • the dust bag 3 may press the blocking member 100.
  • the end of the mounting portion 31 of the dust bag 3 contacts the contact area 112 of the blocking member 100, so that the blocking member 100 can be mov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unting direction.
  • the frame cover 223 can be closed to maintain the position of the dust bag 3.
  • the movement of the dust bag 3 in the separation direction is restricted by the pressure rib 225 (see FIG. 6)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cover 223, and the position of the dust bag 3 can be fixed.
  • the blocking member 100 can move from the blocked position 101 to the open position 102. Accordingly, the opening area 111 of the blocking member 100 overlaps the ultraviolet ray unit 51, and the ultraviolet ray window 312 of the dust bag 3 overlaps the ultraviolet ray unit 51.
  • the ultraviolet ray unit 51 may be aligned with the ultraviolet ray window 312 and the opening area 111 .
  • the ultraviolet rays generated by the ultraviolet ray unit 51 pass through the opening 5122, the opening area 111, and the ultraviolet ray window 312 into the dust bag 3. may be investigated internally. Ultraviolet rays may be irradiated into the interior of the envelope area 32.
  • the dust bag 3 can be separated from the mounting frame 222 along a separation direction opposite to the mounting direction.
  • the dust bag 3 may be separated by moving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for example, to the right.
  • the blocking member 100 may be released from the pressure exerted by the dust bag 3.
  • the blocking member 100 may be mov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eparation direction of the dust bag 3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20.
  • the blocking member 100 may move from the open position 102 to the blocked position 101 .
  • the opening area 111 of the blocking member 100 does not overlap the ultraviolet ray unit 51, and the opening 5122 of the light source supporter 512 is blocked by the blocking member 100. Therefore, the ultraviolet rays emitted from the ultraviolet ray unit 51 are blocked by the blocking member 100 and are not irradiated into the interior of the station main body 20, for example, into the collection space 2220.
  • the sterilization module 5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140 that limits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blocking member 100.
  • the stopper 140 may maintain the blocking position 101 after the blocking member 100 moves to the blocking position 101 . Accordingly, when the dust bag 3 is separated, the blocking member 100 is restricted from moving in the right direction by the stopper 140 and can maintain the blocking position 101.
  • the sterilization module 5 can selectively block ultraviolet rays through a structure that is mechanically linked to whether or not the dust bag 3 is separated. Accordingly,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power is supplied to the ultraviolet ray unit 51, it is mechanically linked with the separation operation of the dust bag 3, and can block the ultraviolet rays generated by the ultraviolet ray unit 51 from being irradiated to the user. .
  • FIG. 1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for blocking ultraviolet ray operation of the sterilizing module 5 when the frame cover 223 is opened in the vacuum cleaner station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cleaner station 2 may further include a component that selectively blocks the operation of the ultraviolet ray unit 51.
  • the cleaner station 2 may further include a component that selectively blocks the operation of the ultraviolet ray unit 51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frame cover 223.
  • the cleaner station 2 includes a sensor member 150 that detects whether the frame cover 223 is opened or closed, and selectively drives the ultraviolet ray unit 51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member 150. 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160 for stopping.
  • Sensor member 150 may be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mounting frame 222 is open.
  • a magnet 2231 is installed on the frame cover 223, and the sensor member 150 may be a magnetic sensor that detects the magnet 2231 of the frame cover 223.
  • the sensor member 150 may detect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magnet 2231 and determine whether the frame cover 223 is open.
  • the control unit 160 may stop or resume driving the ultraviolet ray unit 51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member 150. When the opening of the frame cover 223 is detected by the sensor member 150, the control unit 160 may stop driving the ultraviolet ray unit 51. When the opening of the frame cover 223 is not detected by the sensor member 150, the control unit 160 may drive the ultraviolet ray unit 51.
  • damage caused by ultraviolet rays can be primarily prevented by being configured to stop driving the ultraviolet ray unit 51 when the frame cover 223 is removed.
  • the blocking member 100 moves in mechanical connection with the separation operation of the dust bag 3. )
  • secondary damage caused by ultraviolet rays can be prevented.
  • the vacuum cleaner station 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reliably prevent damage from ultraviolet rays by adopting a double safety device to prevent damage from ultraviolet rays.
  • the sterilization module 5 was explained focusing on the example where it was applied to the cleaner station 2, bu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and if it is used to sterilize foreign substances in the dust bag 3,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devices. You can.
  • the sterilization module 5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a vacuum cleaner 1A (see FIG. 16) equipped with a dust bag 3.
  •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cuum cleaner 1A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17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vacuum cleaner 1A of FIG. 16.
  • the suction part which is a basic component of the vacuum cleaner 1A, is omitted.
  • the vacuum cleaner 1A includes a cleaner main body 11A, a suction head 12A provided to suction foreign substances, and a vacuum cleaner connecting the suction head 12A and the cleaner main body 11A. It includes a connection portion 13A.
  • the cleaner main body 11A may be referred to as the main body.
  • a dust bag 3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cleaner main body 11A.
  • the dust bag (3) collects foreign substances sucked in through the suction head (12A).
  • a sterilizing module 5 is disposed inside the cleaner main body 11A.
  • the sterilization module 5 may be configured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to the inside of the dust bag 3.
  • the sterilization module 5 may include an ultraviolet ray unit 51 and a blocking member 100.
  • the ultraviolet ray unit 51 irradiates ultraviolet rays into the interior of the cleaner body 11A. Since the ultraviolet ray unit 51 is the same as the ultraviolet ray unit 51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 the blocking member 100 can selectively block ultraviolet rays irradiated by the ultraviolet ray unit 51.
  • the blocking member 100 When the dust bag 3 is separated from the cleaner main body 11A, the blocking member 100 is linked to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dust bag 3, and the ultraviolet ray unit 51 transmits the ultraviolet rays into the in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11A. It can be moved to a blocking position 101 that blocks this irradiation.
  • the blocking member 100 is linked to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dust bag 3 when the dust bag 3 is mounted on the cleaner main body 11A, so that ultraviolet rays are transmitted into the in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11A by the ultraviolet ray unit 51. It can be moved to an open position 102 allowing it to be irradiated.
  • the sterilization module 5 may further include a movement guide 130 and an elastic member 120. Since the blocking member 100, the moving guide 130, and the elastic member 120 are the same as the blocking member 10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duplicate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 the blocking member 100 slid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etachment direction of the dust bag 3 is illustrated, but the movement method and structure of the blocking member 100 are not limited to this. , may vary.
  • the blocking member 100 may have a structure that can rotate around a predetermined axis.
  • connections or connection members of lines between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exemplify functional connections and/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and in actual devices, various functional connections or physical connections may be replaced or added. Can be represented as connections, or circuit connections. Additionally, if there is no specific mention such as “essential,” “important,” etc., it may not be a necessary component for the application of the invention. Expressions such as “comprising,” “comprising,” etc. used herein are used to be understood as terms of the open end of the technology.
  • the inside of the dust bag is sterilized, but the dust bag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through a mechanical configuration that selectively blocks ultraviolet rays, thereby sterilizing the dust bag and ensuring user safety, while reducing material costs.
  • This capable cleaning station and cleaning device can be provided.
  • a cleaning station includes a dust bag for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A main body on which a dust bag is removably mounted; It may include a sterilization module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to the inside of the dust bag.
  • the sterilization module may include an ultraviolet ray unit that irradiates ultraviolet rays into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and a blocking member that selectively blocks ultraviolet rays irradiated by the ultraviolet ray unit.
  • the blocking member When the dust bag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the blocking member may move to a blocking position to block ultraviolet rays from being irradiated into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by the ultraviolet ray unit in conjunction with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dust bag.
  • the dust bag When the dust bag is mounted on the main body, it may move to an open position that allows ultraviolet rays to be irradiated into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by the ultraviolet ray unit, in conjunction with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dust bag.
  • the sterilization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movement guide that guides the blocking member to enable sliding movement, and an elastic member that provides elastic force to move the blocking member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blocked position.
  • the dust bag When the dust bag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the pressure by the dust bag is released and the blocking member moves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blocking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and the dust bag is attached to the main body. When mounted, the dust bag can press the blocking member, moving the blocking member from the block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 the sterilization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that limits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blocking member.
  • the dust bag includes a mounting part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main body, and a bag part supported by the mounting part and storing dust therein, wherein the mounting part includes a foreign matter inlet through which foreign matter flows and an ultraviolet ray window through which ultraviolet rays can pass through.
  • the mounting part includes a foreign matter inlet through which foreign matter flows and an ultraviolet ray window through which ultraviolet rays can pass through.
  • the ultraviolet ray unit includes an ultraviolet light source that generates ultraviolet rays, and a light source support portion that supports the ultraviolet light source to face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when the dust bag is mounted on the main body, the blocking member is positioned in the open position.
  • the ultraviolet ray window overlaps the ultraviolet ray unit, and when the dust bag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the blocking member is located at the blocking position, and the ultraviolet ray window may not overlap the ultraviolet ray unit. .
  • the blocking member may mov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unting and dismounting direction of the dust bag.
  • the main body may provide a collection space 2220 in which the dust bag is disposed, and may include a mounting frame configured to mount the dust bag, and a frame cover installed on the mounting frame to open and close the collection space.
  • the ultraviolet ray unit is arranged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toward the collection space, and the blocking member irradiates ultraviolet rays into the collection space in conjunction with a positional movement of the dust bag when the dust bag is separated from the mounting frame. You can move to a blocking position that blocks things from happening.
  • It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member that detects whether the frame cover is opened or closed, and a control unit that selectively stops driving the ultraviolet ray unit based on a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member.
  • 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ultraviolet ray unit so that the ultraviolet ray unit operates periodically.
  • the capacity of the dust bag may be 0.3 liter to 1.0 liter.
  • a cleaning device includes a vacuum cleaner including a dust collection container in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collected; And a docking part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on box, a collection part on which a dust bag for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is mounted, and a suction part that provides suction force so that the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on box move toward the dust bag, It may include a cleaner station that removes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on bin.
  • the cleaner station includes a main body on which the dust bag is detachably mounted; It may include a sterilization module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to the inside of the dust bag.
  • the sterilization module may include an ultraviolet ray unit that irradiates ultraviolet rays into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and a blocking member that selectively blocks ultraviolet rays irradiated by the ultraviolet ray unit.
  • the blocking member moves to a blocking position to block ultraviolet rays from being irradiated into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by the ultraviolet ray unit, in conjunction with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dust bag,
  • the dust bag When the dust bag is mounted on the main body, it may move to an open position that allows ultraviolet rays to be irradiated into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by the ultraviolet ray unit, in conjunction with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dust bag.
  • the sterilization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movement guide that guides the blocking member to enable sliding movement, and an elastic member that provides elastic force to move the blocking member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blocked position.
  • the capacity of the dust bag may be larger than the capacity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Robo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은,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먼지 봉투의 내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살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살균 모듈은, 상기 본체의 내부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유닛과, 상기 자외선 유닛에 의해 조사된 자외선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먼지 봉투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먼지 봉투의 위치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자외선 유닛에 의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자외선이 조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 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먼지 봉투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먼지 봉투의 위치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자외선 유닛에 의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자외선이 조사되는 것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로 이동한다.

Description

살균 모듈을 가지는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 장치
실시예들은 살균 모듈을 가지는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진공 청소기는 부압을 이용하여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 후 본체 내부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전자 제품이다. 이러한 진공 청소기는 흡입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여 수거하는 집진통을 포함할 수 있다.
집진통의 내부에는 분리된 이물질이 수집되며, 수집된 이물질은 주기적으로 제거되어야 한다. 다만, 사용자가 이물질을 집진통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번거로울 수 있으며,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먼지가 재 비산되어 실내의 먼지 농도가 높아질 수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은, 사용자가 직접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불편함을 줄이기 위하여, 진공 청소기와 연결되어, 집진통의 내부 이물질을 자동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청소기 스테이션은, 이물질이 포집되는 먼지 봉투; 먼지 봉투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먼지 봉투의 내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살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 모듈은, 상기 본체의 내부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유닛과, 상기 자외선 유닛에 의해 조사된 자외선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먼지 봉투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먼지 봉투의 위치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자외선 유닛에 의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자외선이 조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 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먼지 봉투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먼지 봉투의 위치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자외선 유닛에 의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자외선이 조사되는 것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청소 장치는, 진공 청소기와, 상기 진공 청소기가 장착되도록 구성된 상술한 청소기 스테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진공 청소기는, 이물질이 포집되는 먼지 봉투; 먼지 봉투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먼지 봉투의 내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살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 모듈은, 상기 본체의 내부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유닛과, 상기 자외선 유닛에 의해 조사된 자외선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먼지 봉투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먼지 봉투의 위치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자외선 유닛에 의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자외선이 조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 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먼지 봉투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먼지 봉투의 위치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자외선 유닛에 의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자외선이 조사되는 것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청소 장치의 단면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청소기 스테이션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청소기 스테이션의 포집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4에서 포집부에 먼지 봉투를 장착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c의 스테이션 본체를 VI-V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살균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스테이션 본체를 VIII-VI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은 도 7의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먼지 봉투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일부 사시도이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살균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실시예에 따른 살균 모듈을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조립 사시도이다.
도 12은 실시예에 따른 살균 모듈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먼지 봉투가 장착될 때, 차단 부재의 배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먼지 봉투가 분리될 때, 차단 부재의 배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은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프레임 커버의 개방시에 살균 모듈의 자외선 구동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는 도 16의 진공 청소기의 본체 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0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청소 장치(1000)의 단면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청소기 스테이션(2)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청소 장치(1000)는 진공 청소기(1)와, 진공 청소기(1)와 연결되어 진공 청소기(1)에 집진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된 청소기 스테이션(2)을 포함할 수 있다.
진공 청소기(1)는, 청소기 본체(11)와, 청소기 본체(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집진통(14)을 포함할 수 있다. 집진통(14)은 진공 청소기(1) 내부로 이동된 이물질을 수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진공 청소기(1)는 청소기 본체(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흡입관(13)과, 흡입관(1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청소기 헤드(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 헤드(1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 중의 먼지나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집진통(14)에 수집될 수 있다.
청소기 본체(11)는 진공 청소기(1)에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된 배터리(15)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5)는 청소기 본체(11)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청소기 본체(11)는 조작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부(16)에 마련된 전원 버튼 등을 조작하여 진공 청소기(1)를 온/오프시키거나 흡입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2)은 진공 청소기(1)의 집진통(14)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 또는 수거하는 장치로서, 집진통(14)에 연결되는 도킹부(21)와, 이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먼지 봉투(3)가 장착되는 포집부(22)와, 집진통(14)에 집진된 이물질이 먼지 봉투(3)를 향해 이동하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2)은 먼지 봉투(3)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테이션 본체(20)를 포함한다. 스테이션 본체(20)는 본체로 불릴 수 있다.
스테이션 본체(20)는 진공 청소기(1)의 집진통(14)과 연결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예를 들어, 스테이션 본체(20)에는 진공 청소기(1)의 집진통(14)과 도킹되도록 연결된 도킹부(21)가 마련될 수 있다. 도킹부(21)는 스테이션 본체(2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킹부(21)는 집진통(14)이 열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스테이션 본체(20)는 대략적으로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테이션 본체(2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20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201)은 제1하우징(201a), 제2하우징(201b), 제3하우징(201c) 및 제4하우징(201d)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하우징(201a)과 제2하우징(201b)은 청소기 스테이션(2)의 상측 외관을 형성하며, 제3하우징(201c)과 제4하우징(201d)은 청소기 스테이션(2)의 하측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스테이션 본체(20)의 내부에는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부(23)와, 먼지 봉투(3)가 장착되는 포집부(22)가 마련될 수 있다.
흡입부(23)는 진공 청소기(1) 내부의 이물질이 스테이션 본체(20)의 내부로 배출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예로서, 흡입부(23)는 공기 유동을 생성하는 흡입 팬(231)과, 상기 흡입 팬(231)을 구동시키는 흡입 모터(232)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팬(231)이 회전됨에 따라, 도킹부(21)의 제1 개구(211)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며, 유입된 공기는 포집부(22)에 배치된 먼지 봉투(3)를 지나 배출구(233)를 통해 배출된다.
도 4는 도 3의 청소기 스테이션(2)의 포집부(2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4에서 포집부(22)에 먼지 봉투(3)를 장착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c의 스테이션 본체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스테이션 본체(20)는 제1하우징(201a)을 다른 하우징(201)으로부터 분리하여, 포집부(22)를 노출시킬 수 있다. 스테이션 본체(20)의 포집부(22)는 먼지 봉투(3)가 배치되는 포집 공간(2220)을 제공하는 장착 프레임(222)과, 포집 공간(2220)을 개폐하도록 장착 프레임(222)에 설치된 프레임 커버(223)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장착 프레임(222)은 먼지 봉투(3)가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착 프레임(222)은 먼지 봉투(3)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2222)를 포함할 수 있다. 먼지 봉투(3)는 장착 프레임(222)의 결합부(2222)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지 봉투(3)에서 장착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양 단부(3101)가 결합부(2222)에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먼지 봉투(3)를 장착 방향으로 가압할 경우, 먼지 봉투(3)가 장착 프레임(222)의 결합부(2222)가 삽입되어, 먼지 봉투(3)가 장착 프레임(222)에 장착될 수 있다. 장착 프레임(222)에는 진공 청소기(1)에서 배출된 이물질이 이동 가능한 제2 개구(221)가 마련된다. 먼지 봉투(3)가 장착될 경우, 먼지 봉투(3)의 이물질 유입구(311)는 제2 개구(221)에 중첩된다.
프레임 커버(223)는 개폐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예를 들어, 프레임 커버(223)는 소정의 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프레임 커버(223) 에는 잠금부(224)가 마련될 수 있다. 잠금부(223)는 프레임 커버(223)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 커버(223)가 회동하여, 잠금부(224)가 장착 프레임(222)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b, 도 5c 및 도 6을 참조하면, 잠금부(224)는 장착 프레임(222)에 결합되기 위한 잠금 후크(2241)를 포함한다. 프레임 커버(223)를 닫는 과정에서, 잠금부(224)의 잠금 후크(2241)가 잠금 돌기(2223)에 걸리게 된다. 잠금부(224)는 회동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잠금 후크(2241)가 잠금 돌기(2223)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 부재(226)에 의해 가압된 상태일 수 있다. 그에 따라, 프레임 커버(223)는 잠금부(224)에 의해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만, 프레임 커버(223)의 개폐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프레임 커버(223)의 내면에는 가압 리브(225)가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 커버(223)를 닫는 과정에서 가압 리브(225)가 먼지 봉투(3)의 장착 부분(31)을 접촉 및 가압하게 된다. 프레임 커버(223)가 닫힘 상태일 때, 먼지 봉투(3)는 프레임 커버(223)에 의해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2)은 진공 청소기(1) 내부의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부(23)의 흡입 팬(231)이 회전함에 따라, 스테이션 본체(20)의 내부에 흡입력이 발생할 수 있다. 흡입력에 의해, 진공 청소기(1)의 집진통(14) 내부의 이물질은 도킹부(21)를 지나 포집부(22)로 이동하여 먼지 봉투(3)의 내부에 포집될 수 있다. 진공 청소기(1)에서 배출된 이물질은 공기 유동과 함께 이동하며, 제2 개구(221) 및 이물질 유입구(311)를 지나 먼지 봉투(3)에 포집되며, 이물질을 제외한 공기는 먼지 봉투(3)를 통과하여 배출구(233)를 통해 배출된다.
이물질이 포집되는 먼지 봉투(3)는 교체될 수 있다. 먼지 봉투(3)는 장착 프레임(22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이 종료된 먼지 봉투(3)는 분리하고, 새로운 먼지 봉투(3)를 조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도 5a 내지 도 5c 및 도 6에서 설명한 내용과 역순으로, 사용이 종료된 먼지 봉투(3)를 분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하우징(201)의 일부, 예를 들어, 제1 하우징(201a)를 분리하고, 포집부(22)의 프레임 커버(223)를 개방할 수 있다. 프레임 커버(223)를 개방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잠금부(224)의 윗부분을 잡아당겨, 잠금부(224)의 잠금 후크(2241)를 잠금 돌기(2223)로부터 분리시켜, 프레임 커버(223)를 개방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기존 먼지 봉투(3)의 장착 부분(31)을 분리 방향을 따라 잡아 당길 경우, 먼지 봉투(3)가 장착 프레임(222)의 결합부(2222)로부터 빠져나와, 장착 프레임(222)으로부터 먼지 봉투(3)를 분리할 수 있다. 이후, 새로운 먼지 봉투(3)를 장착 프레임(222)에 장착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먼지 봉투(3)가 교체되기 전까지, 이물질은 먼지 봉투(3)의 내부에 보관될 수 있다. 이물질이 먼지 봉투(3)의 내부에 보관되는 시간이 길수록, 이물질에서 세균 번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2)에 장착되는 먼지 봉투(3)는 대용량일 수 있다. 먼지 봉투(3)의 용량은 진공 청소기(1)의 집진통(14)의 용량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지 봉투(3)의 용량은 0.3 리터~ 1.0 리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대용량의 먼지 봉투(3)의 내부에는 이물질이 장시간 보관될 수 있으며, 세균 번식 등 위생에 취약할 수 있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2)의 살균 모듈(5)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스테이션 본체(20)를 VIII-VI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로서, 실시예에 따른 살균 모듈(5)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청소기 스테이션(2)에서 먼지 봉투(3)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일부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2)은 살균 모듈(5)과, 살균 모듈(5)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살균 모듈(5)은, 포집부(22)에 장착된 먼지 봉투(3)의 내부를 살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살균 모듈(5)은 스테이션 본체(20)의 내부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유닛(51)을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 유닛(51)은 자외선을 생성하는 자외선 광원(511)과, 자외선 광원(511)을 지지하는 광원 지지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 광원(511)은 이물질의 세균 번식을 차단하는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외선 광원(511)은 UV-C를 생성할 수 있다. 자외선 광원(511)은 220 nm ~ 280 nm 파장의 광을 생성할 수 있다.
광원 지지부(512)는 자외선 광원(511)에서 생성된 자외선이 스테이션 본체(20)의 내부, 예를 들어, 포집 공간(2220)으로 조사되도록 자외선 광원(511)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 지지부(512)는 자외선 광원(511)의 둘레를 둘러싸는 테두리부(5121)과, 자외선 광원(511)에서 생성된 자외선이 조사되기 위한 개구부(5122)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5122)와 자외선 광원(511) 사이에는, 자외선을 투과시키는 투명 부재(515)가 배치될 수 있다.
광원 지지부(512)는 장착 프레임(222)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 지지부(512)는 자외선 유닛(51)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513)와, 제1 지지부(513)를 장착 프레임(222)에 고정하기 위한 제2 지지부(5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513)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제2 지지부(514)는 내주면에 나사산에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장착 프레임(222)의 삽입공(2221)을 통과하여 상부로 노출된 제1 지지부(513)의 일부에 제2 지지부(514)가 결합됨에 따라, 광원 지지부(512)가 장착 프레임(222)에 고정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먼지 봉투(3)는 장착 부분(31)과, 장착 부분(31)에 의해 지지된 봉투 부분(32)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 부분(31)은 장착 프레임(222)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착 부분(31)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장착 프레임(222)에 슬라이딩 이동하여 장착 프레임(222)에 결합될 수 있다. 장착 부분(31)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이물질 유입구(311)를 포함한다.
봉투 부분(32)은 내부에 먼지 등 이물질을 보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봉투 부분(32)은 장착 부분(31)의 이물질 유입구(311)를 통해 유입된 이물질을 보관할 수 있다. 봉투 부분(32)은 공기를 통과시키되, 공기 중의 이물질을 통과시키지 않는 재질일 수 있다.
장착 부분(31)은 자외선이 투과 가능한 자외선 윈도우(312)가 배치될 수 있다. 자외선 윈도우(312)는, 개구(3121)와, 이러한 개구(3121) 상에 배치된 투명 필름(3122)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자외선 광원(511)에서 생성된 자외선은 투명 필름(3122)을 투과하여 먼지 봉투(3)의 내부로 조사될 수 있다.
먼지 봉투(3)가 스테이션 본체(20)에 장착될 때, 자외선 윈도우(312)는 자외선 광원(511)에 중첩될 수 있다. 자외선 윈도우(312)는 광원 지지부(512)의 개구부(5122)에 중첩될 수 있다. 그리하여, 자외선 광원(511)에서 생성된 자외선은 광원 지지부(512)의 개구부(5122), 먼지 봉투(3)의 자외선 윈도우(312)를 지나 먼지 봉투(3)의 내부, 예를 들어 봉투 부분(32)의 내부로 조사될 수 있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자외선 유닛(51)에서 생성된 자외선이 자외선 윈도우(312)를 통해 먼지 봉투(3)의 내부로 조사된다. 먼지 봉투(3)의 내부로 조사된 자외선에 의해, 먼지 봉투(3)의 내부를 살균시킬 수 있다.
제어부(160)는 자외선 유닛(5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자외선 유닛(51)이 주기적으로 작동되도록 자외선 유닛(5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일정한 주기마다 정해진 시간 동안 자외선 유닛(51)이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외선 유닛(51)은 3시간~7시간마다 60분~120분 동안 작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외선 유닛(51)은 5시간마다 90분 동안 작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자외선 유닛(51)에서 생성된 자외선이 외부로 노출될 경우, 사용자 또는 다른 구성에 데미지를 입힐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먼지 봉투(3)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자외선이 사용자에게 조사될 경우, 사용자에게 데미지를 입힐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실시예에 따른 살균 모듈(5)은 자외선 유닛(51)이 의도치 않게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2)의 살균 모듈(5)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11a 및 도 11b는 실시예에 따른 살균 모듈(5)을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조립 사시도이다.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살균 모듈(5)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0, 도 11a, 도 11b 및 도 1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살균 모듈(5)은 자외선 유닛(51)에 의해 조사된 자외선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 부재(1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 부재(100)는 자외선 유닛(51)의 자외선 조사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차단 부재(100)는 먼지 봉투(3)의 장착 및 분리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차단 부재(100)는 먼지 봉투(3)의 장착 및 분리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차단 부재(100)는 자외선 유닛(51)에 의해 스테이션 본체(20)의 내부로 자외선이 조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 위치(101; 도 14 참조)와 자외선 유닛(51)에 의해 스테이션 본체(20)의 내부로 자외선이 조사되는 것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102)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차단 부재(100)는, 먼지 봉투(3)가 스테이션 본체(20)에 장착되거나 스테이션 본체(20)로부터 분리될 때, 먼지 봉투(3)의 위치 이동과 연동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지 봉투(3)가 스테이션 본체(20)로부터 분리될 때, 차단 부재(100)는 먼지 봉투(3)의 위치 이동과 연동하여, 자외선 유닛(51)에 의해 스테이션 본체(20)의 내부로 자외선이 조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 위치(101)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지 봉투(3)가 스테이션 본체(20)에 장착될 때, 차단 부재(100)는 먼지 봉투(3)의 위치 이동과 연동하여, 자외선 유닛(51)에 의해 스테이션 본체(20)의 내부로 자외선이 조사되는 것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102)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 부재(100)는 먼지 봉투(3)에 접촉 가능한 접촉 영역(112)을 포함할 수 있다. 먼지 봉투(3)가 장착될 때, 접촉 영역(112)은 먼지 봉투(3)의 장착 부분(31)에 의해 가압 될 수 있다. 그리하여, 차단 부재(100)는 먼지 봉투(3)가 장착될 때 장착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차단 부재(100)는 자외선 유닛(51)의 개구부(5122)에 대응하는 개구 영역(111)을 포함할 수 있다. 차단 부재(100)가 개방 위치(102)일 때, 개구 영역(111)은 먼지 봉투(3)의 자외선 윈도우(312)와 중첩될 수 있다. 차단 부재(100)가 개방 위치(102)일 때, 자외선 유닛(51)은 차단 부재(100)의 개구 영역(111)에 중첩될 수 있다. 차단 부재(100)가 차단 위치(101)일 때, 개구 영역(111)은 자외선 윈도우(312)와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차단 부재(100)가 차단 위치(101)일 때, 자외선 유닛(51)은 차단 부재(100)의 개구 영역(111)과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차단 부재(100)의 개구 영역(111)은 선택적인 구성으로,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살균 모듈(5)은 차단 부재(100)의 이동을 위하여, 차단 부재(10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120) 및 차단 부재(1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 가이드(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 가이드(130)는 차단 부재(100)가 차단 위치(101)와 개방 위치(102) 사이에서 이동 하도록 차단 부재(10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가이드(130)는 차단 부재(100)가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가이드(130)는 장착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영역(131)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영역(131)은 차단 부재(100)의 측부(113)가 삽입 가능한 홈 형태일 수 있다. 다만, 가이드 영역(131)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차단 부재(100)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았으나, 차단 부재(100)의 측부(113)가 홈 형상을 가질 경우, 가이드 영역(131)은 차단 부재(100)의 홈 형상에 대응하는 돌기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탄성 부재(120)는 차단 부재(100)가 개방 위치(102)에서 차단 위치(101)로 이동하도록 차단 부재(100)를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부재(120)는 광원 지지부(512)와 차단 부재(100)의 일 단부(1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120)는 차단 부재(100)의 일 단부(114)가 광원 지지부(5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2)에서 먼지 봉투(3)가 장착될 때, 차단 부재(100)의 배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2)에서 먼지 봉투(3)가 분리될 때, 차단 부재(100)의 배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먼지 봉투(3)는 스테이션 본체(20)의 장착 프레임(222)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지 봉투(3)가 자외선 조사 방향과 수직인 제1 방향, 예를 들어 좌측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 먼지 봉투(3)가 장착되는 과정에서, 먼지 봉투(3)가 차단 부재(100)를 가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 부재(100)의 접촉 영역(112)에 먼지 봉투(3)의 장착 부분(31)의 단부가 접촉하여, 차단 부재(100)를 장착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먼지 봉투(3)가 장착 프레임(222)에 장착된 후, 프레임 커버(223)를 닫아 먼지 봉투(3)의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다. 먼지 봉투(3)는 프레임 커버(223)의 내면에 마련된 가압 리브(225; 도 6 참조)에 의해 분리 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며,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먼지 봉투(3)와 차단 부재(100)가 장착 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차단 부재(100)는 차단 위치(101)에서 개방 위치(102)로 이동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차단 부재(100)의 개구 영역(111)은 자외선 유닛(51)과 중첩되며, 먼지 봉투(3)의 자외선 윈도우(312)가 자외선 유닛(51)과 중첩된다. 자외선 유닛(51)은 자외선 윈도우(312)와 개구 영역(111)에 정렬될 수 있다.
차단 부재(100)가 개방 위치(102)에 위치함에 따라, 자외선 유닛(51)에서 생성된 자외선은 개구부(5122), 개구 영역(111) 및 자외선 윈도우(312)를 지나 먼지 봉투(3)의 내부로 조사될 수 있다. 자외선은 봉투 영역(32)의 내부로 조사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먼지 봉투(3)를 장착 방향과 반대 방향인 분리 방향을 따라 장착 프레임(222)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지 봉투(3)는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 예를 들어,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분리될 수 있다. 먼지 봉투(3)가 분리되는 과정에서, 차단 부재(100)는 먼지 봉투(3)에 의한 가압이 해제될 수 있다. 차단 부재(100)는 탄성 부재(120)의 탄성력에 의해 먼지 봉투(3)의 분리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차단 부재(100)가 분리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차단 부재(100)는 개방 위치(102)에서 차단 위치(101)로 이동할 수 있다. 차단 부재(100)의 개구 영역(111)은 자외선 유닛(51)과 중첩되지 않으며, 차단 부재(100)에 의해 광원 지지부(512)의 개구부(5122)가 차단된다. 그리하여, 자외선 유닛(51)에서 조사된 자외선은 차단 부재(100)에 의해 차단되어, 스테이션 본체(20)의 내부, 예를 들어 포집 공간(2220)으로 조사되지 않는다.
살균 모듈(5)은 차단 부재(10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40)는 차단 부재(100)가 차단 위치(101)로 이동한 후 차단 위치(101)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먼지 봉투(3)가 분리될 때, 차단 부재(100)는 스토퍼(140)에 의해 우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제한되어, 차단 위치(101)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살균 모듈(5)은 먼지 봉투(3)의 분리 여부와 기구적으로 연동된 구조를 통해, 자외선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자외선 유닛(51)에 전원의 공급 여부와 관계 없이, 먼지 봉투(3)의 분리 동작과 기구적으로 연동되어, 자외선 유닛(51)에서 생성된 자외선이 사용자에게 조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5는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2)에서 프레임 커버(223)의 개방시에 살균 모듈(5)의 자외선 구동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청소기 스테이션(2)은 자외선 유닛(51)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기 스테이션(2)은 프레임 커버(223)의 동작과 연동하여, 자외선 유닛(51)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기 스테이션(2)은 프레임 커버(223)의 개폐 여부를 검출하는 센서 부재(150)와, 센서 부재(150)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자외선 유닛(51)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중단시키는 제어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부재(150)는 장착 프레임(222)이 개방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 커버(223)에 마그넷(2231)이 설치되며, 센서 부재(150)는 프레임 커버(223)의 마그넷(2231)을 검출하는 자기 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부재(150)는 마그넷(2231)의 위치 이동을 검출하여, 프레임 커버(223)가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센서 부재(150)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자외선 유닛(51)의 구동을 중단 또는 재개할 수 있다. 센서 부재(150)에 의해 프레임 커버(223)의 개방이 검출될 경우, 제어부(160)는 자외선 유닛(51)의 구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센서 부재(150)에 의해 프레임 커버(223)의 개방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 제어부(160)는 자외선 유닛(51)을 구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2)에서는, 프레임 커버(223)의 분리 시에 자외선 유닛(51)의 구동을 중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자외선에 의한 피해를 1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2)에서는, 센서 부재(150)의 오류 등으로 인해 자외선 유닛(51)이 구동 되더라도, 먼지 봉투(3)의 분리 동작과 기구적으로 연동되어 이동하는 차단 부재(100)에 의해 자외선을 차단함으로써, 자외선에 의한 피해를 2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2)은 자외선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이중 안전 장치를 채택함으로써, 자외선에 의한 피해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살균 모듈(5)이 청소기 스테이션(2)에 적용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먼지 봉투(3)의 이물질을 살균하기 위한 용도라면 다양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른 살균 모듈(5)은 먼지 봉투(3)가 장착되는 진공 청소기(1A; 도 16 참조)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A)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진공 청소기(1A)의 청소기 본체(11A) 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6 및 도 17에서는 발명의 특징을 중심으로 도시하였으며, 진공 청소기(1A)의 기본 구성인 흡입부 등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였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A)는 청소기 본체(11A),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마련된 흡입 헤드(12A), 흡입 헤드(12A)와 청소기 본체(11A)를 연결하는 연결부(13A)를 포함한다. 청소기 본체(11A)는 본체로 불릴 수 있다.
청소기 본체(11A)에는 먼지 봉투(3)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먼지 봉투(3)는 흡입 헤드(12A)를 통해 흡입된 이물질을 포집한다. 청소기 본체(11A)의 내부에는 살균 모듈(5)이 배치된다. 살균 모듈(5)은 먼지 봉투(3)의 내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살균 모듈(5)은 자외선 유닛(51)과 차단 부재(10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 유닛(51)은 청소기 본체(11A)의 내부로 자외선을 조사한다. 자외선 유닛(51)은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유닛(51)과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차단 부재(100)는 자외선 유닛(51)에 의해 조사된 자외선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차단 부재(100)는 먼지 봉투(3)가 청소기 본체(11A)로부터 분리될 때, 먼지 봉투(3)의 위치 이동과 연동하여, 자외선 유닛(51)에 의해 청소기 본체(11A)의 내부로 자외선이 조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 위치(101)로 이동할 수 있다. 차단 부재(100)는 먼지 봉투(3)가 청소기 본체(11A)에 장착될 때 먼지 봉투(3)의 위치 이동과 연동하여, 자외선 유닛(51)에 의해 청소기 본체(11A)의 내부로 자외선이 조사되는 것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102)로 이동할 수 있다. 차단 부재(100)의 이동을 위하여, 살균 모듈(5)은 이동 가이드(130) 및 탄성 부재(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단 부재(100), 이동 가이드(130) 및 탄성 부재(120)는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차단 부재(100)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차단 부재(100)가 먼지 봉투(3)의 탈착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차단 부재(100)의 이동 방식 및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차단 부재(100)는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상기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상기 특정 용어에 의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등의 표현은 기술의 개방형 종결부의 용어로 이해되기 위해 사용된 것이다.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술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는 발명의 범위와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수정과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명확히 알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먼지 봉투의 내부를 살균하되, 이러한 먼지 봉투가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동작과 연동하여 자외선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기구적인 구성을 통해, 먼지 봉투 살균 및 사용자 안전을 확보하되, 재료비 절감이 가능한 청소 스테이션 및 청소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스테인션은, 이물질이 포집되는 먼지 봉투; 먼지 봉투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먼지 봉투의 내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살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 모듈은, 상기 본체의 내부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유닛과, 상기 자외선 유닛에 의해 조사된 자외선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먼지 봉투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먼지 봉투의 위치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자외선 유닛에 의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자외선이 조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먼지 봉투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먼지 봉투의 위치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자외선 유닛에 의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자외선이 조사되는 것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살균 모듈은, 상기 차단 부재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이동 가이드와, 상기 차단 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에서 차단 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먼지 봉투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먼지 봉투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며,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차단 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먼지 봉투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먼지 봉투가 상기 차단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차단 부재를 상기 차단 위치에서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살균 모듈은, 상기 차단 부재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먼지 봉투는 상기 본체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장착 부분과, 상기 장착 부분에 의해 지지되며 내부에 먼지를 보관하는 봉투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 부분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이물질 유입구와 자외선이 투과 가능한 자외선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유닛은, 자외선을 생성하는 자외선 광원과, 상기 자외선 광원이 상기 본체의 내부를 향하도록 지지하는 광원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먼지 봉투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개방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자외선 윈도우는 상기 자외선 유닛에 중첩되며, 상기 먼지 봉투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차단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자외선 윈도우는 상기 자외선 유닛에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먼지 봉투의 장착 및 분리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먼지 봉투가 배치되는 포집 공간(2220)을 제공하며, 상기 먼지 봉투가 장착되도록 구성된 장착 프레임과, 상기 포집 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장착 프레임에 설치된 프레임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유닛은 상기 포집 공간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먼지 봉투가 상기 장착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먼지 봉투의 위치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포집 공간으로 자외선이 조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커버의 개폐 여부를 검출하는 센서 부재와, 상기 센서 부재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자외선 유닛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중단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유닛이 주기적으로 작동되도록 상기 자외선 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먼지 봉투의 용량은 0.3 리터 ~ 1.0 리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는, 이물질이 집진되는 집진통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및 상기 집진통에 연결되는 도킹부와, 이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먼지 봉투가 장착되는 포집부와, 상기 집진통에 집진된 이물질이 상기 먼지 봉투를 향해 이동하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집진통에 집진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기 스테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은, 상기 먼지 봉투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먼지 봉투의 내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살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 모듈은, 상기 본체의 내부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유닛과, 상기 자외선 유닛에 의해 조사된 자외선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먼지 봉투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먼지 봉투의 위치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자외선 유닛에 의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자외선이 조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 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먼지 봉투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먼지 봉투의 위치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자외선 유닛에 의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자외선이 조사되는 것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살균 모듈은, 상기 차단 부재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이동 가이드와, 상기 차단 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에서 차단 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먼지 봉투의 용량은 상기 집진통의 용량보다 클 수 있다.

Claims (15)

  1. 이물질이 포집되는 먼지 봉투(3);
    먼지 봉투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20);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먼지 봉투의 내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살균 모듈(5);을 포함하며,
    상기 살균 모듈(5)은,
    상기 본체의 내부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유닛(51)과,
    상기 자외선 유닛에 의해 조사된 자외선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 부재(100)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 부재(100)는,
    상기 먼지 봉투(3)가 상기 본체(20)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먼지 봉투(3)의 위치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자외선 유닛(51)에 의해 상기 본체(20)의 내부로 자외선이 조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 위치(101)로 이동하며,
    상기 먼지 봉투(3)가 상기 본체(20)에 장착될 때 상기 먼지 봉투(3)의 위치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자외선 유닛(51)에 의해 상기 본체(20)의 내부로 자외선이 조사되는 것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102)로 이동하는, 청소기 스테이션(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모듈(5)은,
    상기 차단 부재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이동 가이드(130)와,
    상기 차단 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에서 차단 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120)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봉투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먼지 봉투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며,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차단 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먼지 봉투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먼지 봉투가 상기 차단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차단 부재를 상기 차단 위치에서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청소기 스테이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모듈은,
    상기 차단 부재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140)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봉투는 상기 본체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장착 부분(31)과, 상기 장착 부분에 의해 지지되며 내부에 먼지를 보관하는 봉투 부분(32)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 부분(31)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이물질 유입구(311)와 자외선이 투과 가능한 자외선 윈도우(312)를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유닛은, 자외선을 생성하는 자외선 광원(511)과, 상기 자외선 광원이 상기 본체의 내부를 향하도록 지지하는 광원 지지부(512)를 포함하며,
    상기 먼지 봉투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개방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자외선 윈도우는 상기 자외선 유닛에 중첩되며,
    상기 먼지 봉투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차단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자외선 윈도우는 상기 자외선 유닛에 중첩되지 않는, 청소기 스테이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먼지 봉투의 장착 및 분리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먼지 봉투가 배치되는 포집 공간(2220)을 제공하며, 상기 먼지 봉투가 장착되도록 구성된 장착 프레임(222)과,
    상기 포집 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장착 프레임에 설치된 프레임 커버(223)를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유닛은 상기 포집 공간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먼지 봉투가 상기 장착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먼지 봉투의 위치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포집 공간으로 자외선이 조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 위치로 이동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커버의 개폐 여부를 검출하는 센서 부재(150)와,
    상기 센서 부재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자외선 유닛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중단시키는 제어부(160)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유닛이 주기적으로 작동되도록 상기 자외선 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봉투의 용량은 0.3 리터 ~ 1.0 리터인, 청소기 스테이션.
  13. 이물질이 집진되는 집진통(14)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1); 및
    상기 집진통에 연결되는 도킹부(21)와, 이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먼지 봉투가 장착되는 포집부(22)와, 상기 집진통에 집진된 이물질이 상기 먼지 봉투를 향해 이동하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부(23)를 포함하며, 상기 집진통에 집진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기 스테이션(2);을 포함하며,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은,
    상기 먼지 봉투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20);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먼지 봉투의 내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살균 모듈(5);을 포함하며,
    상기 살균 모듈(5)은,
    상기 본체의 내부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유닛(51)과,
    상기 자외선 유닛에 의해 조사된 자외선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 부재(100)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 부재(100)는,
    상기 먼지 봉투(3)가 상기 본체(20)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먼지 봉투(3)의 위치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자외선 유닛(51)에 의해 상기 본체(20)의 내부로 자외선이 조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 위치(101)로 이동하며,
    상기 먼지 봉투(3)가 상기 본체(20)에 장착될 때 상기 먼지 봉투(3)의 위치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자외선 유닛(51)에 의해 상기 본체(20)의 내부로 자외선이 조사되는 것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102)로 이동하는, 청소 장치(1000).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모듈은,
    상기 차단 부재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이동 가이드(130)와,
    상기 차단 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에서 차단 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140)를 더 포함하는, 청소 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봉투의 용량은 상기 집진통의 용량보다 큰, 청소 장치.
PCT/KR2023/012266 2022-10-11 2023-08-18 살균 모듈을 가지는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 장치 WO202408052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9758 2022-10-11
KR1020220129758A KR20240050053A (ko) 2022-10-11 2022-10-11 살균 모듈을 가지는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80529A1 true WO2024080529A1 (ko) 2024-04-18

Family

ID=90669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12266 WO2024080529A1 (ko) 2022-10-11 2023-08-18 살균 모듈을 가지는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50053A (ko)
WO (1) WO202408052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0351A (ja) * 2003-07-22 2005-02-17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の吸込具
KR101259106B1 (ko) * 2006-02-16 2013-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uv 램프 어셈블리
KR20220027649A (ko) * 2020-08-27 2022-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스테이션
KR102376262B1 (ko) * 2021-08-30 2022-03-21 (주) 캐치웰 자동으로 전력 충전 및 먼지 비움이 가능한 청소 장치
KR20220046862A (ko) * 2020-10-08 2022-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0351A (ja) * 2003-07-22 2005-02-17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の吸込具
KR101259106B1 (ko) * 2006-02-16 2013-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uv 램프 어셈블리
KR20220027649A (ko) * 2020-08-27 2022-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스테이션
KR20220046862A (ko) * 2020-10-08 2022-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 방법
KR102376262B1 (ko) * 2021-08-30 2022-03-21 (주) 캐치웰 자동으로 전력 충전 및 먼지 비움이 가능한 청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0053A (ko) 2024-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25377A1 (en) Station of robot cleaner
WO2020122473A1 (en) Robot cleaner, station and cleaning system
WO2021235714A1 (ko) 음압 격리실을 갖춘 진료 장치
WO2017200233A1 (ko) 청소기
WO2021261752A1 (ko) 공기 청정기
WO2011004916A1 (ko) 로봇 청소기
WO2016163673A1 (ko) 공기청정기
WO2017069504A1 (en)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WO2019078546A1 (ko) 흡인 및 세척을 위한 외과용 수술기구
WO2021033905A1 (ko) 인체감지센서를 구비한 키오스크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한 키오스크
WO2018199344A1 (ko) 착탈식 자외선 살균 모듈이 구비된 진공청소기
WO2024080529A1 (ko) 살균 모듈을 가지는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 장치
WO2021261765A1 (ko) 신발 관리 장치
WO2023033453A1 (ko) 자동으로 전력 충전 및 먼지 비움이 가능한 청소 장치
WO2018110911A1 (en)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WO2021095964A1 (ko) 호환 가능한 하부바디를 포함하는 공기정화 장치
WO2017179743A1 (ko) 공기청정기
WO2022014849A1 (ko) 청소기
WO2021149935A1 (ko) 매립형 공기청정장치
WO2022108035A1 (ko) 수직평면 배치형 흡인세척기
WO2012138204A2 (ko) 로봇청소기
WO2022173108A1 (ko)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WO2017022989A1 (ko) 슬림형 공기처리장치
WO2022003791A1 (ja) 安全キャビネット
CN114886472A (zh) 一种基于咽拭子的采集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