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49131A1 - 멀티 수신 대역폭 특성화 테이블을 이용한 수신 정확도 향상을 위한 캘리브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수신 대역폭 특성화 테이블을 이용한 수신 정확도 향상을 위한 캘리브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49131A1
WO2024049131A1 PCT/KR2023/012701 KR2023012701W WO2024049131A1 WO 2024049131 A1 WO2024049131 A1 WO 2024049131A1 KR 2023012701 W KR2023012701 W KR 2023012701W WO 2024049131 A1 WO2024049131 A1 WO 202404913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alibration
electronic device
area
offset
automatic g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1270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윤경식
김호종
김지훈
김형건
이의택
장규재
정민권
최무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12700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40032593A/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404913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4913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1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for calibration; for correcting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4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with feedback of measurements to the transmitter

Definitions

  •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technologies related to calibration of a received signal from an electronic device in a calibration system.
  • Reception calibration is basically performed to compensate for the gain/loss of the Rx path.
  • the gain/loss present in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determined by the received signal (Rx calibration) from a diplexer, duplexer, switch module, filter, external low noise amplifier (external LNA), It occurs as it passes through various components such as the internal low noise amplifier (internal LNA).
  • the received signal is processed based on the gain state of the entire receiving system, which is usually determined by a combination of the internal low noise amplifier (internal LNA) present inside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and a separate external low noise amplifier (external LNA). .
  • internal LNA internal low noise amplifier
  • external LNA external low noise amplifier
  • reception calibration is performed on the intended channel (usually 3 channels) for a specific frequency bandwidth, and the electronic device uses the calibrated Automatic Gain Control (AGC) value to determine RSRP during actual online operation.
  • AGC Automatic Gain Control
  • a reference signal for reception calibration is input through an RF switch or connector mounted on an electronic device, and this signal is used to determine the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for each low-noise amplifier gain state (LNA state). It is calculated. Although it varies depending on the platform, in the case of LTE/WCDMA/CDAM/SUB6 radio access technology (RAT; Radio Access Technology), reception calibration is performed for a 10M frequency bandwidth. Although it varies depending on the user's intention, 3 channels per band are used. It is carried out about.
  • RAT Radio Access Technology
  • the maximum operating frequency bandwidth is 20 MHz, a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actual calibration frequency bandwidth.
  • some bands support up to 100 MHz and operate over various frequency bandwidths.
  • reception calibration can be performed for the operating frequency bandwidth to compensate for errors in each frequency bandwidth, but this has the problem of dramatically increasing the process time.
  • the calibration device generates a characterization table including the offset value of the offset area for which no calibration has been performed, and the electronic device generates the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and the characterization table of the calibration area.
  • a method of performing calibration in the electronic device 120 of the calibration system includes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rresponding to a calibration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ception bandwidth included in the characterization table stored in the electronic device 120. Operation 310 of receiving control values; An operation 312 of checking an offset value of an offset area corresponding to a second reception bandwidth included in the characterization table in the electronic device 120; and an operation of estimating, in the electronic device 120, the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offset area using the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calibration area and the offset value of the offset area included in the characterization table. It may include (314).
  • a method of performing calibration in a calibration system includes measuring the gain status, channel, and operation of all low noise amplifiers (LNAs) used in the training electronic device in the calibration device 110.
  • the calibration device 110 is an electronic device 120 of the same model as the training electronic device.
  • calibration is performed on the calibration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ception bandwidth of the electronic device 120 to obtain a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calibration area of the electronic device 120.
  • the control device 130 transmits the calibrated received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calibration area of the electronic device 120 to the electronic device 120, and the electronic device ( 120) receives the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calibration area, checks the offset value of the offset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eception bandwidth included in a pre-stored characterization table, and receives the calibrated reception of the calibration area.
  • the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offset area can be estimated using the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and the offset value of the offset area included in the characterization table.
  • Electronic device 120 of a calib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method of performing calibration includes an operation 310 of receiving a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corresponding to a calibration area corresponding to a first reception bandwidth included in a characterization table stored in the electronic device 120; An operation 312 of checking an offset value of an offset area corresponding to a second reception bandwidth included in the characterization table in the electronic device 120; and an operation of estimating, in the electronic device 120, the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offset area using the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calibration area and the offset value of the offset area included in the characterization table. It may include (314).
  • a method of performing calibration in a calibration system includes measuring the gain status, channel, and operation of all low noise amplifiers (LNAs) used in the training electronic device in the calibration device 110.
  • the calibration device 110 is an electronic device 120 of the same model as the training electronic device.
  • calibration is performed on the calibration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ception bandwidth of the electronic device 120 to obtain a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calibration area of the electronic device 120.
  • the control device 130 transmits the calibrated received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calibration area of the electronic device 120 to the electronic device 120, and the electronic device ( 120) receives the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calibration area, checks the offset value of the offset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eception bandwidth included in a pre-stored characterization table, and receives the calibrated reception of the calibration area.
  • the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offset area can be estimated using the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and the offset value of the offset area included in the characterization table.
  • Figure 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alib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of generating a characterization table in a calib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providing it to an electronic device.
  •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alibration operation in an electronic device of a calib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for providing calibration to an electronic device in a calib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n operation for performing calibration in an electronic device of a calib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haracterization table generated by a control device of a calib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in a calibration area of an electronic device obtained by a calibration device of a calib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estimating a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an offset area in an electronic device of a calib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alibration area and an offset area set by a control device of a calib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alibration area and an offset area set by a control device of a calib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alibration area set by a control device of a calib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12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in a net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sequence,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is no need for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 Figure 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alib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calibration system may be comprised of a calibration device 110, a control device 130, and electronic devices 120, 122, and 124.
  • the calibration device 110 automatically receives all calibrated signals for the gain state, channel, and operating frequency bandwidth of all low noise amplifiers (LNA) used in the training electronic device through training on the training electronic device (not shown).
  • the gain control value can be obtained and provided to the control device 130.
  • the calibration device 110 may generate a reference signal for calibration of a low-noise amplifier, measure the reference signal in a training electronic device, and obtain a value related to automatic gain control for the reference signal from the training electronic device.
  • the control device 130 may set a calibration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ception bandwidth and an offset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eception bandwidth through the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training electronic device. At this time, the control device 130 may be a computing device that provides computing means.
  • control device 130 controls different frequency bandwidths based on all calibrated automatic gain control values for all low noise amplifier (LNA) gain states, channels, and operating frequency bandwidths used in the training electronics.
  • the frequency bandwidth with the largest difference can be set as the calibration area.
  • the calibration area may be an area corresponding to a preset frequency bandwidth among the operating frequency bandwidths used by the electronic device 120 of the same model as the training electronic device.
  • control device 130 controls different frequency bandwidths based on all calibrated automatic gain control values for all low noise amplifier (LNA) gain states, channels, and operating frequency bandwidths used in the training electronics.
  • the frequency bandwidth with the largest difference and the low-noise amplifier gain state with the largest difference from the low-noise amplifier gain state for each channel in the operating frequency bandwidth used by the electronic device 120 may be set as the calibration area.
  • the calibration area corresponds to a preset frequency bandwidth among the operating frequency bandwidths used by the electronic device 120 of the same model as the training electronic device, and a preset low noise amplifier gain state of each channel in the operating frequency bandwidth used by the electronic device 120. This may be an area where
  • the control device 130 may set the remaining areas excluding the calibration area as the offset area.
  • the control device 130 may generate a characterization table including a calibration area and an offset area. At this time, the characterization table may include the offset value of the offset area.
  • the control device 130 may calculate the offset value of the offset area by comparing the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calibration area and the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offset area, and generate a characterization table including the offset value of the offset area.
  • the characterization table may include a calibration area where calibration is performed for each electronic device 120 and an offset area with the same offset value for each model for the low noise amplifier (LNA) gain state, channel, and bandwidth.
  • LNA low noise amplifier
  • the calibration device 110 When the calibration device 110 detects that an electronic device 120 of the same model as the training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it performs calibration on the calibration area of the electronic device 120 and receives the calibrated signal in the calibration area of the electronic device 120.
  • the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can be obtained and provided to the control device 130.
  • the control device 130 may transmit the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calibration area of the electronic device 120 to the electronic device 120.
  • the electronic device 120 connected to the calibration device 110 with an RF cable receives the characterization table and the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calibration area included in the characterization table, and receives the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and characterization in the calibration area.
  • the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offset area can be estimated using the offset value of the offset area included in the table.
  • the calibration device 110 and the electronic device 120 are connected through an RF cable, but the connec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also be connect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in addition to wired communication.
  • the electronic device 120 When estimating the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offset area, the electronic device 120 adds a calibration area in the same low noise amplifier (LNA) gain state to the same channel as each offset area to the offset value of each offset area.
  • the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each offset area can be estimated by adding the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s of .
  • the electronic device 120 receives a characterization table such as the example in FIG. 6 below, and receives the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in the calibration area such as the example in FIG. 7 below, as in the example in FIG. 8.
  • the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for each offset area can be estimated.
  •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haracterization table generated by a control device of a calib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characterization table 600 is composed of a calibration area 610 and an offset area 620.
  • the calibration area 610 may include three channels (3310Mhz, 3426Mhz, 3540Mhz) with a frequency bandwidth of 10M and the low noise amplifier gain state (LNA_State) of each channel.
  • LNA_State low noise amplifier gain state
  • the calibration area 610 may correspond to an area that is calibrated for each electronic device 120.
  • the offset area 620 is equally applied to electronic devices of the same model as the training electronic device and may include an offset value corresponding to a difference value from the calibration area 610 measured in the training electronic device.
  •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in a calibration area of an electronic device obtained by a calibration device of a calib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electronic device 120 may receive a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710 of a frequency bandwidth of 10M corresponding to the calibration area.
  •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estimating a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an offset area in an electronic device of a calib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electronic device 120 applies the offset value of each of the offset areas 620 of FIG. 6 to the calibrated reception of the calibration area of the same channel and the same low-noise amplifier gain state as each of the offset areas 620 of FIG. 7.
  • the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for each offset area can be estimated.
  •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of generating a characterization table in a calib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providing it to an electronic device.
  • the calibration device 110 is a training electronic device that targets all low noise amplifier (LNA) used in the training electronic device and receives all calibrated automatic gains for the gain state, channel, and operating frequency bandwidth.
  • the control value may be obtained and provided to the control device 130 (210).
  • control device 130 may set the calibration area and offset area through the calibrated received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training electronic device (212).
  • control device 130 bases all calibrated received automatic gain control values for all low noise amplifier (LNA) gain states, channels, and bandwidths used in the training electronic device,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9 below.
  • the frequency bandwidth that has the largest difference from other frequency bandwidths can be set as the calibration area.
  • the calibration device 110 may set the remaining area excluding the calibration area as an offset area.
  •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alibration area and an offset area set by a control device of a calib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calibration area is an area (e.g., A1, B1, C1, It may be D1, E1, F1, G1, H1, I1, J1, K1, L1, M1, N1, O1).
  • the calibration area is not limited to a frequency bandwidth of 10M, and a frequency bandwidth with a large difference compared to other frequency bandwidths may be selected through training.
  • the control device 130 bases all calibrated received automatic gain control values for all low noise amplifier (LNA) gain states, channels, and bandwidths used in the training electronic device,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10 below.
  • the frequency bandwidth that has the largest difference from other frequency bandwidths and the low-noise amplifier gain state that has the largest difference from other low-noise amplifier gain states for each channel in the operating frequency bandwidth used in the training electronic device can be set as the calibration area. Additionally, the control device 130 may set the remaining areas excluding the calibration area as the offset area.
  •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alibration area and an offset area set by a control device of a calib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calibration area is an area (e.g., A1, B1, C1, D1, E1, F1, G1, H1, I1, J1, K1, L1, M1, N1, O1) and the preset low-noise amplifier gain state of each channel in the operating frequency bandwidth used by the electronic device 120 (e.g. , number 0) (e.g., A1, A2, A3, A4, A5, A6, A7, A8, A9, A10, F1, F2, F3, F4, F5, F6, F7, F8, F9) , F10, K1, K2, K3, K4, K5, K6, K7, K8, K9, K10).
  • A1, A2, A3, A4, A5, A6, A7, A8, A9, A10, F1, F2, F3, F4, F5, F6, F7, F8, F9, F10, K1, K2, K3, K4, K5, K6, K7, K8, K9, K10 e.g., A1, B1, C1, D1, E1, F1, G1, H1, I1, J1, K1, L
  • the calibration area is not limited to the frequency bandwidth of 10M and low-noise amplifier gain state 0, and a frequency bandwidth with a large difference compared to other frequency bandwidths can be selected through training, and compared to other low-noise amplifier gain states. When doing so, a low-noise amplifier gain state with a large difference can be selected.
  •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alibration area set by a control device of a calib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calibration area includes at least two calibration areas (e.g., A1, B1, C1, D1, E1, F1, G1, H1, I1, J1, K1, L1, M1, N1, O1, A4, A8, B3, B6, C4, C7, D2, D9, F5, F7, G2, G6, H3, H5, I5, I10, J5, J9, K3, K7, L5, L9, M4, M8, N6, N10, O2, O5) can be set.
  • A1, B1, C1, D1, E1, F1, G1, H1, I1, J1, K1, L1, M1, N1, O1, A4, A8, B3, B6, C4, C7, D2, D9, F5, F7, G2, G6, H3, H5, I5, I10, J5, J9, K3, K7, L5, L9, M4, M8, N6, N10, O2, O5) can be set.
  • the calibration area is an area (e.g., A1, B1, C1, D1, E1) corresponding to a preset frequency bandwidth (e.g., a frequency bandwidth of 10M) among the operating frequency bandwidths used by the electronic device 120.
  • F1, G1, H1, I1, J1, K1, L1, M1, N1, O1 and areas determined by training (A4, A8, B3, B6, C4, C7, D2, D9, F5, F7, G2, G6, H3, H5, I5, I10, J5, J9, K3, K7, L5, L9, M4, M8, N6, N10, O2, O5).
  • control device 130 may generate a characterization table including the offset value of the offset area (214).
  • control device 130 calculates the offset value of the offset area by comparing the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calibration area and the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offset area, and generates a characterization table including the offset value of the offset area. there is.
  • control device 130 may provide a characterization table including a calibration area and an offset area to the electronic device 120 of the same model as the training electronic device (216).
  • a patenting table may also be provided along with the operating system, etc., which are uploaded to the electronic devices 120 in batches.
  •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alibration operation in an electronic device of a calib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electronic device 120 may receive a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corresponding to a calibration area included in the stored characterization table from the control device 130 (310).
  • the characterization table may be stored together with the electronic device 120 when it is mass-produced and the basic program (eg, operating system, etc.) is stored.
  • the electronic device 120 may check the offset value of the offset area included in the characterization table (312).
  • the characterization table includes a calibration area where calibration is performed for each electronic device 120 and an offset area with the same offset value for each model for the low noise amplifier (LNA) gain state, channel, and bandwidth. It can be included.
  • the calibration area may be an area corresponding to a preset frequency bandwidth among the operating frequency bandwidths used by the electronic device 120.
  • the calibration area may be a preset frequency bandwidth among the operating frequency bandwidths used by the electronic device 120, or an area corresponding to a preset low noise amplifier gain state of each channel in the operating frequency bandwidth used by the electronic device 120.
  • the offset area may be the remaining area excluding the calibration area among the operating frequency bandwidth used by the electronic device 120.
  • the electronic device 120 may estimate the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offset area using the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calibration area and the offset value of the offset area included in the characterization table (314).
  • the electronic device 120 adds the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calibration area in the same low noise amplifier (LNA) gain state for the same channel as each offset area to the offset value of each offset area to obtain the offset area.
  • LNA low noise amplifier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for providing calibration to an electronic device in a calib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calibration device 110 may detect that an electronic device 120 of the same model as the training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410).
  • the calibration device 110 when it detects that an electronic device 120 of the same model as the training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the calibration device 110 performs calibration on the calibration area of the electronic device 120 to calibrate the electronic device 120.
  • the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area can be obtained and provided to the control device 130 (412).
  • control device 130 may transmit the calibrated received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calibration area of the electronic device 120 to the electronic device 120 (414).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n operation for performing calibration in an electronic device of a calib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electronic device 120 may receive the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calibration area from the control device 130 (510).
  • the electronic device 120 may interpolate the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calibration area to estimate the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remaining area (520).
  • Figure 12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in a net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 communication is performed with the electronic device 1202 through the electronic device 1201 (e.g., the electronic devices 120, 122, and 124 of FIG. 1) in the network environment 1200, or through the second network 1299. ) (e.g., a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may communicate with at least one of the electronic device 1204 or the server 1208.
  • the electronic device 1201 may communicate with the electronic device 1204 through the server 1208.
  • the electronic device 1201 includes a processor 1220, a memory 1230, an input module 1250, an audio output module 1255, a display module 1260, an audio module 1270, and a sensor module ( 1276), interface (1277), connection terminal (1278), haptic module (1279), camera module (1280), power management module (1288), battery (1289), communication module (1290),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1296) , or may include an antenna module 1297.
  • at least one of these components eg, the connection terminal 1278
  • may be omitted, or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may be added to the electronic device 1201.
  • some of these components are integrated into one component (e.g., display module 1260). It can be.
  • the processor 1220 executes software (e.g., program 1240) to operate at least one other component (e.g., hardware or software component) of the electronic device 1201 connected to the processor 1220. It can be controlled and various data processing or calculations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s at least part of the data processing or computation, the processor 1220 stores commands or data received from another component (e.g., the sensor module 1276 or the communication module 1290) in the volatile memory 1232. The commands or data stored in the volatile memory 1232 can be processed, and the resulting data can be stored in the non-volatile memory 1234.
  • software e.g., program 1240
  • the processor 1220 stores commands or data received from another component (e.g., the sensor module 1276 or the communication module 1290) in the volatile memory 1232.
  • the commands or data stored in the volatile memory 1232 can be processed, and the resulting data can be stored in the non-volatile memory 1234.
  • the processor 1220 may include a main processor 1221 (e.g., a central processing unit or an application processor) or an auxiliary processor 1223 that can operate independently or together (e.g., a graphics processing unit, a neural network processing unit ( It may include a neural processing unit (NPU), an image signal processor, a sensor hub processor, or a communication processor).
  • a main processor 1221 e.g., a central processing unit or an application processor
  • auxiliary processor 1223 e.g., a graphics processing unit, a neural network processing unit ( It may include a neural processing unit (NPU), an image signal processor, a sensor hub processor, or a communication processor.
  • the electronic device 1201 includes a main processor 1221 and a auxiliary processor 1223
  • the auxiliary processor 1223 may be set to use lower power than the main processor 1221 or be specialized for a designated function. You can.
  • the auxiliary processor 1223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main processor 1221 or as part of it.
  • the auxiliary processor 1223 may, for example, act on behalf of the main processor 1221 while the main processor 1221 is in an inactive (e.g., sleep) state, or while the main processor 1221 is in an active (e.g., application execution) state. ), together with the main processor 1221, at least one of the components of the electronic device 1201 (e.g., the display module 1260, the sensor module 1276, or the communication module 1290) At least some of the functions or states related to can be controlled.
  • coprocessor 1223 e.g., image signal processor or communication processor
  • may be implemented as part of another functionally related component e.g., camera module 1280 or communication module 1290. there is.
  • the auxiliary processor 1223 may include a hardware structure specialized for process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can be created through machine learning. For example, such learning may be performed in the electronic device 1201 itself on which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s performed, or may be performed through a separate server (e.g., server 1208).
  • Learning algorithms may include, for example, supervised learning, unsupervised learning, semi-supervised learning, or reinforcement learning, but It is not limited.
  •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y include multiple artificial neural network layers.
  • Artificial neural networks include deep neural network (D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restricted boltzmann machine (RBM), belief deep network (DBN), 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BRDNN), It may be one of deep Q-networks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the above, but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above.
  •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may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include software structures.
  • At least one or a combination of the processor 1220, the main processor 1221, and the auxiliary processor 1223 may perform the operation of a processor (not shown) included in the electronic devices 120, 122, and 124 of FIG. 1.
  • a processor (not shown) included in the electronic devices 120, 122, and 124 receives the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characterization table and the calibration area included in the characterization table, and receives the characterization table and the calibration area included in the characterization table. You can receive the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and estimate the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offset area using the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calibration area and the offset value of the offset area included in the characterization table. there is.
  • the memory 1230 may store various data used by at least one component (eg, the processor 1220 or the sensor module 1276) of the electronic device 1201. Data may include, for example, input data or output data for software (e.g., program 1240) and instructions related thereto.
  • Memory 1230 may include volatile memory 1232 or non-volatile memory 1234. Memory 1230 may store the received characterization table.
  • the program 1240 may be stored as software in the memory 1230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n operating system 1242, middleware 1244, or application 1246.
  • the input module 1250 may receive commands or data to be used in a component of the electronic device 1201 (e.g., the processor 1220) from outside the electronic device 1201 (e.g., a user).
  • the input module 1250 may include, for example, a microphone, mouse, keyboard, keys (eg, buttons), or digital pen (eg, stylus pen).
  • the sound output module 1255 may output sound signals to the out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1201.
  • the sound output module 1255 may include, for example, a speaker or receiver. Speakers can be used for general purposes such as multimedia playback or recording playback.
  • the receiver can be used to receive incoming call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receive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speaker or as part of it.
  • the display module 1260 can visually provide information to the out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1201 (eg, a user).
  • the display module 1260 may include, for example, a display, a hologram device, or a projector, and a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the device.
  • the display module 1260 may include a touch sensor configured to detect a touch, or a pressure sensor configured to measure the intensity of force generated by the touch.
  • the audio module 1270 can convert sound into an electrical signal or, conversely, convert an electrical signal into sou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udio module 1270 acquires sound through the input module 1250, the sound output module 1255, or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directly or wirelessly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201). Sound may be output through an electronic device 1202 (e.g., speaker or headphone).
  • an electronic device 1202 e.g., speaker or headphone
  • the sensor module 1276 detects the operating state (e.g., power or temperature) of the electronic device 1201 or the external environmental state (e.g., user state) and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or data value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state. can do.
  • the sensor module 1276 includes, for example, a gesture sensor, a gyro sensor, an air pressure sensor, a magnetic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grip sensor, a proximity sensor, a color sensor, an IR (infrared) sensor, a biometric sensor, It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humidity sensor, or light sensor.
  • the interface 1277 may support one or more designated protocols that can be used to directly or wirelessly connect the electronic device 1201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1202).
  • the interface 1277 may include, for example, a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a universal serial bus (USB) interface, an SD card interface, or an audio interface.
  •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 USB universal serial bus
  • SD card interface Secure Digital Card
  • connection terminal 1278 may include a connector through which the electronic device 1201 can be phys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1202).
  • the connection terminal 1278 may include, for example, an HDMI connector, a USB connector, an SD card connector, or an audio connector (eg, a headphone connector).
  • the haptic module 1279 can convert electrical signals into mechanical stimulation (e.g., vibration or movement) or electrical stimulation that the user can perceive through tactile or kinesthetic senses.
  • the haptic module 1279 may include, for example, a motor, a piezoelectric element, or an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 the camera module 1280 can capture still images and moving images.
  • the camera module 1280 may include one or more lenses, image sensors, image signal processors, or flashes.
  • the power management module 1288 can manage power supplied to the electronic device 120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ower management module 1288 may be implemented as at least a part of, for example, a 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PMIC).
  • PMIC 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 Battery 1289 may supply power to at least one component of electronic device 1201.
  • the battery 1289 may include, for example, a non-rechargeable primary cell, a rechargeable secondary cell, or a fuel cell.
  • the communication module 1290 provides a direct (e.g., wired) communication channel or a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201 and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1202, the electronic device 1204, or the server 1208). It can support establishment and communication through established communication channels.
  • Communication module 1290 operates independently of processor 1220 (e.g., an application processor) and may include one or more communication processors that support direct (e.g.,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 the communication module 1290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92 (e.g., a cellular communication modul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r a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communication module) or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1294 (e.g., : LAN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or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may be included.
  •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92 e.g., a cellular communication modul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r a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communication module
  •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 wired communication module 1294 e.g., : LAN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or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module is a first network 1298 (e.g., a short-rang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Bluetooth, 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or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or a second network 1299 (e.g., legacy It ma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1204 through a tele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cellular network, a 5G network, a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network, the Internet, or a computer network (e.g., LAN or WAN).
  • a tele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cellular network, a 5G network, a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network, the Internet, or a computer network (e.g., LAN or WAN).
  • a tele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cellular network, a 5G network, a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network, the Internet, or a computer network (e.g., LAN or WAN).
  • a tele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cellular network, a 5G network, a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network
  •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92 uses subscriber information (e.g.,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fier (IMSI)) stored in the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1296 to communicate within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first network 1298 or the second network 1299.
  • subscriber information e.g.,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fier (IMSI)
  • 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fier
  •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92 may support 5G networks and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technologies after 4G networks, for example, new radio access technology (NR access technology).
  • NR access technology provides high-speed transmission of high-capacity data (eMBB (enhanced mobile broadband)), minimization of terminal power and access to multiple terminals (m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or high reliability and low latency (URLLC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latency communications)) can be supported.
  • NR access technology provides high-speed transmission of high-capacity data (eMBB (enhanced mobile broadband)), minimization of terminal power and access to multiple terminals (m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or high reliability and low latency (URLLC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latency communications)) can be supported.
  •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92 may support high frequency bands (e.g., mmWave bands), for example, to achieve high data rates.
  •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92 uses various technologies to secure performance in high frequency bands, for example, beamforming, massive MIMO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and full-dimensional multiplexing. It can support technologies such as input/output (FD-MIMO: full dimensional MIMO), array antenna, analog beam-forming, or large scale antenna.
  •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92 may support various requirements specified in the electronic device 1201,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electronic device 1204), or a network system (e.g., second network 1299).
  •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92 supports peak data rate (e.g., 20 Gbps or more) for realizing eMBB, loss coverage (e.g., 164 dB or less) for realizing mmTC, or U-plane latency (e.g., 164 dB or less) for realizing URLLC.
  • peak data rate e.g., 20 Gbps or more
  • loss coverage e.g., 164 dB or less
  • U-plane latency e.g., 164 dB or less
  • the antenna module 1297 may transmit or receive signals or power to or from the outside (e.g.,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 the antenna module 1297 may include an antenna including a radiator made of a conductor or a conductive pattern formed on a substrate (eg, PCB).
  • the antenna module 1297 may include a plurality of antennas (eg, an array antenna). In this case, at least one antenna suitable for the communication method used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first network 1298 or the second network 1299,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antennas by,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module 1290. can be selected. Signals or power may be transmitted or received between the communication module 1290 and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at least one selected antenna.
  • other components eg, 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 (RFIC) may be additionally formed as part of the antenna module 1297.
  • RFIC 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
  • antenna module 1297 may form a mmWave antenna module.
  • a mmWave antenna module includes a printed circuit board, an RFIC disposed on or adjacent to a first side (e.g., bottom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capable of supporting a designated high frequency band (e.g., mmWave band); And a plurality of antennas (e.g., array antennas) disposed on or adjacent to the second side (e.g., top or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capable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signals in the designated high frequency band. can do.
  • a mmWave antenna module includes a printed circuit board, an RFIC disposed on or adjacent to a first side (e.g., bottom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capable of supporting a designated high frequency band (e.g., mmWave band); And a plurality of antennas (e.g., array antennas) disposed on or adjacent to the second side (e.g., top or side) of the printed
  • peripheral devices e.g., bus, 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GPIO), serial peripheral interface (SPI), or 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MIPI)
  • signal e.g. commands or data
  • commands or data may be transmitted or received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201 and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1204 through the server 1208 connected to the second network 1299.
  • Each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1202 or 1204 may be of the same or different type as the electronic device 1201.
  • all or part of the operations performed in the electronic device 1201 may be executed in one or more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1202, 1204, or 1208.
  • the electronic device 1201 needs to perform a certain function or service automatically or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a user or another device, the electronic device 1201 does not execute the function or service on its own.
  • one or mor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may be requested to perform at least part of the function or service.
  • One or mor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that have received the request may execute at least part of the requested function or service, or an additional function or service related to the request, and transmit the result of the execution to the electronic device 1201.
  • the electronic device 1201 may process the result as is or additionally and provide it as at least part of a response to the request.
  • cloud computing distributed computing, mobile edge computing (MEC), or client-server computing technology can be used.
  • the electronic device 1201 may provide an ultra-low latency service using, for example, distributed computing or mobile edge computing.
  •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1204 may include an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
  • Server 1208 may be an intelligent server using machine learning and/or neural networks.
  •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1204 or server 1208 may be included in the second network 1299.
  • the electronic device 1201 may be applied to intelligent services (e.g., smart home, smart city, smart car, or healthcare) based on 5G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IoT-related technology.
  • a method of performing calibration in the electronic device 120 of the calibration system includes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rresponding to a calibration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ception bandwidth included in the characterization table stored in the electronic device 120. Operation 310 of receiving control values; An operation 312 of checking an offset value of an offset area corresponding to a second reception bandwidth included in the characterization table in the electronic device 120; and an operation of estimating, in the electronic device 120, the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offset area using the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calibration area and the offset value of the offset area included in the characterization table. It may include (314).
  • the operation 314 of estimating the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offset area includes adding the offset to the offset value of each of the offset areas.
  • the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each of the offset areas can be estimated by adding the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calibration area in the same channel and the same low noise amplifier (LNA) gain state as each region.
  • LNA low noise amplifier
  • the characterization table includes the calibration area where calibration is performed for each electronic device 120 and the low noise amplifier (LNA) gain state.
  • LNA low noise amplifier
  • channel, and bandwidth may include the offset area having the same offset value for each model.
  • the calibration area may be an area corresponding to a preset frequency bandwidth among the operating frequency bandwidths used by the electronic device 120.
  • the calibration area includes a preset frequency bandwidth among the operating frequency bandwidths used by the electronic device 120 and the electronic device 120. It may be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preset low-noise amplifier gain state of each channel in the operating frequency bandwidth used.
  • the offset area may be an area remaining excluding the calibration area among the operating frequency bandwidth used by the electronic device 120.
  • a method of performing calibration in a calibration system includes measuring the gain status, channel, and operation of all low noise amplifiers (LNAs) used in the training electronic device in the calibration device 110.
  • a method of performing calibration in a calibration system includes, when the calibration device 110 detects that an electronic device 120 of the same model as the training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410), the electronic device 120 An operation 412 of performing calibration on the calibration area to obtain a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calibration area of the electronic device 120 and providing it to the control device 130; and an operation 414 of transmitting, from the control device 130, the calibrated received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calibration area of the electronic device 120 to the electronic device 120.
  • the control device 130 sets the calibration area and the offset area through the calibrated received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training electronic device (212).
  • the frequency bandwidth with the largest difference from other frequency bandwidths is based on all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s for all low noise amplifier (LNA; Low Noise Amplifier) gain states, channels, and bandwidths used in the training electronic device. Operation of setting as a calibration area; and setting the remaining area excluding the calibration area as the offset area.
  • LNA Low Noise Amplifier
  • the operation 212 of setting the calibration area and the offset area through the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training electronic device in the control device 130 is , Based on all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s for all low noise amplifier (LNA; Low Noise Amplifier) gain states, channels, and bandwidths used in the training electronic device, the frequency bandwidth with the largest difference from other frequency bandwidths and the training Setting a low-noise amplifier gain state that has the largest difference from other low-noise amplifier gain states for each channel in the operating frequency bandwidth used in the electronic device as the calibration area; and setting the remaining area excluding the calibration area as the offset area.
  • LNA Low Noise Amplifier
  • the operation 214 of generating the characterization table includes the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calibration area and the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offset area in the control device 130. Comparing and calculating an offset value of the offset area; and generating the characterization table including an offset value of the offset area.
  • the calibration device 110 is an electronic device 120 of the same model as the training electronic device.
  • calibration is performed on the calibration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ception bandwidth of the electronic device 120 to obtain a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calibration area of the electronic device 120.
  • the control device 130 transmits the calibrated received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calibration area of the electronic device 120 to the electronic device 120, and the electronic device ( 120) receives the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calibration area, checks the offset value of the offset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eception bandwidth included in a pre-stored characterization table, and receives the calibrated reception of the calibration area.
  • the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offset area can be estimated using the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and the offset value of the offset area included in the characterization table.
  • the electronic device 120 calculates the calibrated received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offset area.
  • the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calibration area in the same channel and the same low noise amplifier (LNA) gain state as each of the offset areas is added to the offset value of each of the offset areas to obtain the offset values for each of the offset areas.
  • the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can be estimated.
  • the characterization table includes the calibration area where calibration is performed for each electronic device 120 and the low noise
  • the offset area may include the same offset value for each model for the gain state, channel, and bandwidth of the low noise amplifier (LNA).
  • the calibration area is a preset operating frequency bandwidth used by the electronic device 120. It may be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frequency bandwidth.
  • the calibration area is a preset operating frequency bandwidth used by the electronic device 120. It may be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requency bandwidth and the preset low-noise amplifier gain state of each channel in the operating frequency bandwidth used by the electronic device 120.
  • the calibration device 110 is used in the training electronic device for training electronic devices. All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s for all low noise amplifier (LNA) gain states, channels, and operating frequency bandwidths are obtained and provided to the control device 130, and the control device 130, A calibration area and an offset area can be set using the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training electronic device, and the characterization table including the offset value of the offset area can be generated.
  • LNA low noise amplifier
  • the control device 130 includes all low noise amplifiers (LNA) used in the training electronic device. ; Low Noise Amplifier) Based on all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s for gain state, channel, and bandwidth, the frequency bandwidth with the largest difference from other frequency bandwidths is set as the calibration area, and the remaining areas excluding the calibration area are set as the calibration area. It can be set to the offset area.
  • LNA low noise amplifiers
  • the control device 130 includes all low noise amplifiers (LNA) used in the training electronic device. ; Low Noise Amplifier) Based on all calibrate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values for gain state, channel, and bandwidth, the frequency bandwidth with the largest difference from other frequency bandwidths and the low noise that varies for each channel in the operating frequency bandwidth used by the training electronic device.
  • the low-noise amplifier gain state that has the largest difference from the amplifier gain state may be set as the calibration area, and the remaining areas excluding the calibration area may be set as the offset area.
  • the control device 130 determines the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the calibration area and the offset area.
  • the offset value of the offset area can be calculated by comparing the automatic gain control value of and the characterization table including the offset value of the offset area can be generated.
  •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stor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singly or in combination.
  •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at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etc.
  •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 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se, which may configure a processing unit to operate as desired, or may be processed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You can command the device.
  • Software and/or data may be used on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to be interpreted by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a processing device. ,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ied in a transmitted signal wave.
  •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멀티 수신 대역폭 특성화 테이블을 이용한 수신 정확도 향상을 위한 캘리브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의 제어 장치에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지 않은 오프셋 영역의 오프셋 값을 포함하는 특성화 테이블을 생성하고,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의 전자 장치에서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과 특성화 테이블을 이용해서 오프셋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추정함으로써 모든 동작 주파수 대역폭에서 정확한 RSRP를 계산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 수신 대역폭 특성화 테이블을 이용한 수신 정확도 향상을 위한 캘리브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이하의 일 실시 예들은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의 수신 신호에 대한 캘리브레이션에 관한 기술이다.
수신 캘리브레이션(RX calibration)은 기본적으로 수신 패스(Rx path)의 이득/손실(gain/loss)을 보상하기 위하여 수행이 된다. 전자 장치 내에 존재하는 이득/손실은 수신 신호(Rx calibration)가 다이플랙서(diplexer), 듀플랙서(duplexer), 스위치 모듈(switch module), 필터(filter), 외부 저잡음 증폭기(external LNA), 내부 저잡음 증폭기(internal LNA)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 요소를 통과하면서 발생하게 된다.
수신 신호는 수신 시스템 전체의 이득 상태(gain state)에 기초하여 진행이 되는데, 보통 송수신 장치 내부에 존재하는 내부 저잡음 증폭기(internal LNA)와 별도의 외부 저잡음 증폭기(external LNA)의 조합으로 결정이 된다. 현재 수신 캘리브레이션은 특정 주파수 대역폭에 대하여 의도한 채널에서(보통 3개의 채널) 진행이 되며, 전자 장치는 캘리브레이션(calibrated)된 자동이득제어(AGC; Automatic Gain Control)값을 이용하여 실제 온라인 동작 시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등을 판단한다.
전 자 장치에 실장된 RF 스위치(switch) 나 커넥터(connector)를 통하여 수신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레퍼런스(reference) 신호를 입력하고 이 신호를 이용하여 저잡음 증폭기 이득 상태(LNA state) 별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이 산출된다. 플랫폼에 따라 달라지기는 하지만 통상 LTE/WCDMA/CDAM/SUB6 무선 접속 기술(RAT; Radio Access Technology)의 경우 10M 주파수 대역폭에 대하여 수신 캘리브레이션 이 진행되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달라지기는 하지만 밴드 별 3채널에 대하여 진행된다.
LTE 무선 접속 기술의 경우 동작하는 최대 주파수 대역폭이 20 MHz이며 실제 캘리브레이션 주파수 대역폭과 큰 차이가 없다. 하지만 Sub6 무선 접속 기술의 경우 일부 밴드의 경우 최대 100 MHz까지 지원을 하며 다양한 주파수 대역폭에 대하여 동작을 하게 된다.
따라서, 동작 주파수 대역폭이 넓은 경우 하나의 주파수 대역폭에 대해서 수신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경우 캘리브레이션 주파수 대역폭에서 멀어질수록 오차가 커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통신 기법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폭이 넓은 경우, 주파수 대역폭 별 오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동작 주파수 대역폭에 대하여 수신 캘리브레이션을 진행할 수 있지만 이렇게 할 경우 공정 시간이 비약적으로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캘리브레이션 장치에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지 않은 오프셋 영역의 오프셋 값을 포함하는 특성화 테이블을 생성하고, 전자 장치에서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과 특성화 테이블을 이용해서 오프셋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추정함으로써 동작 주파수 대역폭에서 정확한 RSRP를 계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의 전자 장치(120)에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방법은, 전자 장치(120)에서 저장된 특성화 테이블에 포함된 제1 수신 대역폭에 해당하는 캘리브레이션 영역에 대응하는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수신하는 동작(310); 상기 전자 장치(120)에서 상기 특성화 테이블에 포함된 제2 수신 대역폭에 해당하는 오프셋 영역의 오프셋 값을 확인하는 동작(312); 및 상기 전자 장치(120)에서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과 상기 특성화 테이블에 포함된 상기 오프셋 영역의 오프셋 값을 이용해서 상기 오프셋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추정하는 동작(31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에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방법은, 캘리브레이션 장치(110)에서 훈련 전자 장치를 대상으로 상기 훈련 전자 장치에서 사용하는 모든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 이득 상태, 채널, 동작 주파수 대역폭에 대한 모든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획득하여 제어 장치(130)로 제공하는 동작(210); 상기 제어 장치(130)에서 상기 훈련 전자 장치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통해서 제1 수신 대역폭에 해당하는 캘리브레이션 영역과 제2 수신 대역폭에 해당하는 오프셋 영역을 설정하는 동작(212); 상기 제어 장치(130)에서 상기 오프셋 영역의 오프셋 값을 포함하는 상기 특성화 테이블을 생성하는 동작(214); 및 상기 제어 장치(130)에서 특성화 테이블을 상기 훈련 전자 장치와 동일한 모델의 전자 장치(120)로 제공하는 동작(216)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장치(110), 제어 장치(130) 및 전자 장치(120)를 포함하는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캘리브레이션 장치(110)는, 훈련 전자 장치와 동일한 모델의 전자 장치(120)가 연결됨을 감지하면, 상기 전자 장치(120)의 제1 수신 대역폭에 해당하는 캘리브레이션 영역에 대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여 상기 전자 장치(120)의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획득하여 상기 제어 장치(130)로 제공하고, 상기 제어 장치(130)는, 상기 전자 장치(120)의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상기 전자 장치(120)로 송신하고, 상기 전자 장치(120)는,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수신하고, 사전에 저장된 특성화 테이블에 포함된 제2 수신 대역폭에 해당하는 오프셋 영역의 오프셋 값을 확인하고,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과 상기 특성화 테이블에 포함된 상기 오프셋 영역의 오프셋 값을 이용해서 상기 오프셋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추정할 수 있다.일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의 전자 장치(120)에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방법은, 전자 장치(120)에서 저장된 특성화 테이블에 포함된 제1 수신 대역폭에 해당하는 캘리브레이션 영역에 대응하는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수신하는 동작(310); 상기 전자 장치(120)에서 상기 특성화 테이블에 포함된 제2 수신 대역폭에 해당하는 오프셋 영역의 오프셋 값을 확인하는 동작(312); 및 상기 전자 장치(120)에서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과 상기 특성화 테이블에 포함된 상기 오프셋 영역의 오프셋 값을 이용해서 상기 오프셋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추정하는 동작(31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에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방법은, 캘리브레이션 장치(110)에서 훈련 전자 장치를 대상으로 상기 훈련 전자 장치에서 사용하는 모든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 이득 상태, 채널, 동작 주파수 대역폭에 대한 모든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획득하여 제어 장치(130)로 제공하는 동작(210); 상기 제어 장치(130)에서 상기 훈련 전자 장치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통해서 제1 수신 대역폭에 해당하는 캘리브레이션 영역과 제2 수신 대역폭에 해당하는 오프셋 영역을 설정하는 동작(212); 상기 제어 장치(130)에서 상기 오프셋 영역의 오프셋 값을 포함하는 상기 특성화 테이블을 생성하는 동작(214); 및 상기 제어 장치(130)에서 특성화 테이블을 상기 훈련 전자 장치와 동일한 모델의 전자 장치(120)로 제공하는 동작(216)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장치(110), 제어 장치(130) 및 전자 장치(120)를 포함하는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캘리브레이션 장치(110)는, 훈련 전자 장치와 동일한 모델의 전자 장치(120)가 연결됨을 감지하면, 상기 전자 장치(120)의 제1 수신 대역폭에 해당하는 캘리브레이션 영역에 대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여 상기 전자 장치(120)의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획득하여 상기 제어 장치(130)로 제공하고, 상기 제어 장치(130)는, 상기 전자 장치(120)의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상기 전자 장치(120)로 송신하고, 상기 전자 장치(120)는,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수신하고, 사전에 저장된 특성화 테이블에 포함된 제2 수신 대역폭에 해당하는 오프셋 영역의 오프셋 값을 확인하고,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과 상기 특성화 테이블에 포함된 상기 오프셋 영역의 오프셋 값을 이용해서 상기 오프셋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추정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에서 특성화 테이블을 생성하여 전자 장치로 제공하는 동작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의 전자 장치에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동작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로 캘리브레이션을 제공하는 동작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의 전자 장치에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동작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의 제어 장치에서 생성한 특성화 테이블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의 캘리브레이션 장치에서 획득한 전자 장치의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의 전자 장치에서 오프셋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추정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의 제어장치에서 설정한 캘리브레이션 영역과 오프셋 영역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의 제어 장치에서 설정한 캘리브레이션 영역과 오프셋 영역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의 제어 장치에서 설정한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 수신 대역폭 특성화 테이블을 이용한 수신 정확도 향상을 위한 캘리브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은 캘리브레이션 장치(110), 제어 장치(130) 및 전자 장치(120, 122, 124)로 구성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 장치(110)는 훈련 전자 장치(미도시)를 대상으로 훈련을 통해서 훈련 전자 장치에서 사용하는 모든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 이득 상태, 채널, 동작 주파수 대역폭에 대한 모든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획득하여 제어 장치(130)로 제공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 장치(110)는 저잡음 증폭기의 캘리브레이션을 위해서 기준 신호를 생성하고, 기준 신호를 훈련 전자 장치에서 측정하고, 훈련 전자 장치로부터 기준 신호에 대한 자동이득제어 관련된 값을 수신하여 획득할 수 있다.
제어 장치(130)는 훈련 전자 장치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통해서 제1 수신 대역폭에 해당하는 캘리브레이션 영역과 제2 수신 대역폭에 해당하는 오프셋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장치(130)는 컴퓨팅 수단을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 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 장치(130)는 훈련 전자 장치에서 사용하는 모든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 이득 상태, 채널, 동작 주파수 대역폭에 대한 모든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기반으로 다른 주파수 대역폭과 차이가 가장 큰 주파수 대역폭을 캘리브레이션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 영역은 훈련 전자 장치와 동일한 모델의 전자 장치(120)에서 사용하는 동작 주파수 대역폭 중에서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폭에 해당하는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 장치(130)는 훈련 전자 장치에서 사용하는 모든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 이득 상태, 채널, 동작 주파수 대역폭에 대한 모든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기반으로 다른 주파수 대역폭과 차이가 가장 큰 주파수 대역폭과 전자 장치(120)에서 사용하는 동작 주파수 대역폭에서 채널별로 다른 저잡음 증폭기 이득 상태와 차이가 가장 큰 저잡음 증폭기 이득 상태를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 영역은 훈련 전자 장치와 동일한 모델의 전자 장치(120)에서 사용하는 동작 주파수 대역폭 중에서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폭, 전자 장치(120)에서 사용하는 동작 주파수 대역폭에서 각 채널의 기설정된 저잡음 증폭기 이득 상태에 해당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어 장치(130)는 캘리브레이션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오프셋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 장치(130)는 캘리브레이션 영역과 오프셋 영역을 포함하는 특성화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특성화 테이블은 오프셋 영역의 오프셋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130)는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자동이득제어 값과 오프셋 영역의 자동이득제어 값을 비교하여 오프셋 영역의 오프셋 값을 계산하고, 오프셋 영역의 오프셋 값을 포함하는 특성화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특성화 테이블은 전자 장치(120) 별로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되는 캘리브레이션 영역과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 이득 상태, 채널, 대역폭에 대해서 동일 모델 별로 동일한 오프셋 값을 가지는 오프셋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 장치(110)는 훈련 전자 장치와 동일한 모델의 전자 장치(120)가 연결됨을 감지하면, 전자 장치(120)의 캘리브레이션 영역에 대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여 전자 장치(120)의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획득하여 제어 장치(130)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 장치(130)는 전자 장치(120)의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전자 장치(120)로 송신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 장치(110)와 RF 케이블로 연결된 전자 장치(120)는 특성화 테이블과 특성화 테이블에 포함된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수신하고,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과 특성화 테이블에 포함된 오프셋 영역의 오프셋 값을 이용해서 오프셋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추정할 수 있다.
도 1에서 캘리브레이션 장치(110)와 전자 장치(120)는 RF 케이블로 연결되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유선 외에도 무선 통신을 통해서도 연결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20)는 오프셋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추정할 때, 오프셋 영역 각각의 오프셋 값에 오프셋 영역 각각과 동일한 채널과 동일한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 이득 상태의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더하여 오프셋 영역 각각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추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20)는 아래 도 6의 예와 같은 특성화 테이블을 수신하고, 아래 도 7의 예와 같은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수신하면, 도 8의 예와 같이 오프셋 영역 각각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추정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의 제어 장치에서 생성한 특성화 테이블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특성화 테이블(600)은 캘리브레이션 영역(610)과 오프셋 영역(620)으로 구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 영역(610)은 10M의 주파수 대역폭의 3개 채널(3310Mhz, 3426Mhz, 3540Mhz)과 각 채널의 저잡음 증폭기 이득 상태(LNA_State)를 포함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 영역(610)은 각 전자 장치(120) 별로 캘리브레이션 되는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오프셋 영역(620)은 훈련 전자 장치와 동일한 모델의 전자 장치에게 동일하게 적용되며 훈련 전자 장치에서 측정된 캘리브레이션 영역(610)과의 차이 값에 해당하는 오프셋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의 캘리브레이션 장치에서 획득한 전자 장치의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20)는 캘리브레이션 영역에 해당하는 10M의 주파수 대역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710)을 수신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의 전자 장치에서 오프셋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추정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20)는 도 6의 오프셋 영역(620) 각각의 오프셋 값에 도 7의 오프셋 영역(620) 각각과 동일한 채널과 동일한 저잡음 증폭기 이득 상태의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710)을 더하여 오프셋 영역 각각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추정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에서 특성화 테이블을 생성하여 전자 장치로 제공하는 동작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캘리브레이션 장치(110)는 훈련 전자 장치를 대상으로 훈련 전자 장치에서 사용하는 모든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 이득 상태, 채널, 동작 주파수 대역폭에 대한 모든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획득하여 제어 장치(130)로 제공할 수 있다(21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130)는 훈련 전자 장치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통해서 캘리브레이션 영역과 오프셋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212).
212동작에서 제어 장치(130)는 아래 도 9의 예와 같이 훈련 전자 장치에서 사용하는 모든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 이득 상태, 채널, 대역폭에 대한 모든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기반으로 다른 주파수 대역폭과 차이가 가장 큰 주파수 대역폭을 캘리브레이션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캘리브레이션 장치(110)는 캘리브레이션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오프셋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의 제어 장치에서 설정한 캘리브레이션 영역과 오프셋 영역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캘리브레이션 영역은 전자 장치(120)에서 사용하는 동작 주파수 대역폭 중에서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폭(예를 들어, 10M의 주파수 대역폭)에 해당하는 영역(예를 들어, A1, B1, C1, D1, E1, F1, G1, H1, I1, J1, K1, L1, M1, N1, O1)일 수 있다.
하지만, 캘리브레이션 영역은 10M의 주파수 대역폭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훈련에 의해서 다른 주파수 대역폭과 비교했을 때 차이가 큰 주파수 대역폭이 선택될 수 있다.
212동작에서 제어 장치(130)는 아래 도 10의 예와 같이 훈련 전자 장치에서 사용하는 모든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 이득 상태, 채널, 대역폭에 대한 모든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기반으로 다른 주파수 대역폭과 차이가 가장 큰 주파수 대역폭과 훈련 전자 장치에서 사용하는 동작 주파수 대역폭에서 채널별로 다른 저잡음 증폭기 이득 상태와 차이가 가장 큰 저잡음 증폭기 이득 상태를 캘리브레이션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장치(130)는 캘리브레이션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오프셋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의 제어 장치에서 설정한 캘리브레이션 영역과 오프셋 영역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캘리브레이션 영역은 전자 장치(120)에서 사용하는 동작 주파수 대역폭 중에서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폭(예를 들어, 10M의 주파수 대역폭)에 해당하는 영역(예를 들어, A1, B1, C1, D1, E1, F1, G1, H1, I1, J1, K1, L1, M1, N1, O1)과 전자 장치(120)에서 사용하는 동작 주파수 대역폭에서 각 채널의 기설정된 저잡음 증폭기 이득 상태(예를 들어, 0번)에 해당하는 영역(예를 들어, A1, A2, A3, A4, A5, A6, A7, A8, A9, A10, F1, F2, F3, F4, F5, F6, F7, F8, F9, F10, K1, K2, K3, K4, K5, K6, K7, K8, K9, K10)일 수 있다.
하지만, 캘리브레이션 영역은 10M의 주파수 대역폭과 0번 저잡음 증폭기 이득 상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훈련에 의해서 다른 주파수 대역폭과 비교했을 때 차이가 큰 주파수 대역폭이 선택될 수 있고, 다른 저잡음 증폭기 이득 상태와 비교했을 때, 차이가 큰 저잡음 증폭기 이득 상태가 선택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의 제어 장치에서 설정한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캘리브레이션 영역은 전자 장치(120)에서 사용하는 동작 주파수 대역폭 중에서 동일 채널의 동일 저잡음 증폭기 이득 상태별로 적어도 2개의 캘리브레이션 영역(예를 들어, A1, B1, C1, D1, E1, F1, G1, H1, I1, J1, K1, L1, M1, N1, O1, A4, A8, B3, B6, C4, C7, D2, D9, F5, F7, G2, G6, H3, H5, I5, I10, J5, J9, K3, K7, L5, L9, M4, M8, N6, N10, O2, O5)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캘리브레이션 영역은 전자 장치(120)에서 사용하는 동작 주파수 대역폭 중에서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폭(예를 들어, 10M의 주파수 대역폭)에 해당하는 영역(예를 들어, A1, B1, C1, D1, E1, F1, G1, H1, I1, J1, K1, L1, M1, N1, O1)과 훈련에 의해서 결정된 영역(A4, A8, B3, B6, C4, C7, D2, D9, F5, F7, G2, G6, H3, H5, I5, I10, J5, J9, K3, K7, L5, L9, M4, M8, N6, N10, O2, O5)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2의 설명으로 돌아와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130)는 오프셋 영역의 오프셋 값을 포함하는 특성화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214).
214동작에서 제어 장치(130)는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자동이득제어 값과 오프셋 영역의 자동이득제어 값을 비교하여 오프셋 영역의 오프셋 값을 계산하고, 오프셋 영역의 오프셋 값을 포함하는 특성화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130)는 캘리브레이션 영역과 오프셋 영역을 포함하는 특성화 테이블을 훈련 전자 장치와 동일한 모델의 전자 장치(120)로 제공할 수 있다(216).
216동작에서 특성화 테이블을 제공하는 방법은 동일한 모델의 전자 장치(120)가 양상될 때, 일괄적으로 전자 장치(120)에 업로드되는 운영체제 등과 함께 특허화 테이블도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의 전자 장치에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동작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20)는 제어 장치(130)로부터 저장된 특성화 테이블에 포함된 캘리브레이션 영역에 대응하는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수신할 수 있다(310). 특성화 테이블은 전자 장치(120)가 양산될 때, 기본 프로그램(예를 들어, 운영체제 등)이 저장될 때과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20)는 특성화 테이블에 포함된 오프셋 영역의 오프셋 값을 확인할 수 있다(312).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특성화 테이블은 전자 장치(120) 별로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되는 캘리브레이션 영역과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 이득 상태, 채널, 대역폭에 대해서 동일 모델 별로 동일한 오프셋 값을 가지는 오프셋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 영역은 전자 장치(120)에서 사용하는 동작 주파수 대역폭 중에서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폭에 해당하는 영역일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 영역은 전자 장치(120)에서 사용하는 동작 주파수 대역폭 중에서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폭, 전자 장치(120)에서 사용하는 동작 주파수 대역폭에서 각 채널의 기설정된 저잡음 증폭기 이득 상태에 해당하는 영역일 수도 있다. 오프셋 영역은 전자 장치(120)에서 사용하는 동작 주파수 대역폭 중에서 캘리브레이션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일 수 있다.
전자 장치(120)는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과 특성화 테이블에 포함된 오프셋 영역의 오프셋 값을 이용해서 오프셋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추정할 수 있다(314).
314동작에서 전자 장치(120)는 오프셋 영역 각각의 오프셋 값에 오프셋 영역 각각과 동일한 채널과 동일한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 이득 상태의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더하여 오프셋 영역 각각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추정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로 캘리브레이션을 제공하는 동작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캘리브레이션 장치(110)는 훈련 전자 장치와 동일한 모델의 전자 장치(120)가 연결됨을 감지할 수 있다(410).
410동작의 확인결과 훈련 전자 장치와 동일한 모델의 전자 장치(120)가 연결됨을 감지하면, 캘리브레이션 장치(110)는 전자 장치(120)의 캘리브레이션 영역에 대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여 전자 장치(120)의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획득하여 제어 장치(130)로 제공할 수 있다(412).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130)는 전자 장치(120)의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전자 장치(120)로 송신할 수 있다(414).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의 전자 장치에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동작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20)는 제어 장치(130)로부터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수신할 수 있다(51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20)는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인터폴레이션(Interpolation)하여 나머지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추정할 수 있다(520).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200)에서 전자 장치(1201)(예: 도 1의 전자 장치(120, 122, 124))를 통하여 전자 장치(12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12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204) 또는 서버(1208)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201)는 서버(12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2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201)는 프로세서(1220), 메모리(1230), 입력 모듈(1250), 음향 출력 모듈(1255), 디스플레이 모듈(1260), 오디오 모듈(1270), 센서 모듈(1276), 인터페이스(1277), 연결 단자(1278), 햅틱 모듈(1279), 카메라 모듈(1280), 전력 관리 모듈(1288), 배터리(1289), 통신 모듈(1290), 가입자 식별 모듈(1296), 또는 안테나 모듈(12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2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연결 단자(1278))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예: 센서 모듈(1276), 카메라 모듈(1280), 또는 안테나 모듈(1297))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1260))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12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2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2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276) 또는 통신 모듈(12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232)에 저장하고, 휘발성 메모리(12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2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20)는 메인 프로세서(12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신경망 처리 장치(NPU: neural processing unit),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201)가 메인 프로세서(1221) 및 보조 프로세서(1223)를 포함하는 경우, 보조 프로세서(1223)는 메인 프로세서(12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23)는 메인 프로세서(12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21)와 함께, 전자 장치(12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1260), 센서 모듈(1276), 또는 통신 모듈(12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요소(예: 카메라 모듈(1280) 또는 통신 모듈(12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23)(예: 신경망 처리 장치)는 인공지능 모델의 처리에 특화된 하드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인공지능 모델은 기계 학습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학습은, 예를 들어, 인공지능 모델이 수행되는 전자 장치(1201) 자체에서 수행될 수 있고, 별도의 서버(예: 서버(1208))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학습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지도형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형 학습(unsupervised learning), 준지도형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또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복수의 인공 신경망 레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심층 신경망(DNN: deep neural network),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RBM(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deep belief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심층 Q-네트워크(deep Q-networks) 또는 상기 중 둘 이상의 조합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하드웨어 구조 이외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소프트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20), 메인 프로세서(1221) 또는 보조 프로세서(1223) 중에서 적어도 하나 또는 조합은 도 1의 전자 장치(120, 122, 124)에 포함되는 프로세서(미도시)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20, 122, 124)에 포함되는 프로세서(미도시)는 특성화 테이블과 특성화 테이블에 포함된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수신하고, 특성화 테이블과 특성화 테이블에 포함된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수신하고,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과 특성화 테이블에 포함된 오프셋 영역의 오프셋 값을 이용해서 오프셋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추정할 수 있다.
메모리(1230)는, 전자 장치(12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20) 또는 센서 모듈(12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2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30)는, 휘발성 메모리(12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23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30)는 수신된 특성화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1240)은 메모리(12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242), 미들 웨어(1244) 또는 어플리케이션(12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1250)은, 전자 장치(12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2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모듈(12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키(예: 버튼),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255)은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2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255)은,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260)은 전자 장치(12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2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1260)은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센서,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2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270)은, 입력 모듈(1250)을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모듈(1255), 또는 전자 장치(12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2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276)은 전자 장치(12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2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277)는 전자 장치(12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2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2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2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2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2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2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2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2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2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288)은 전자 장치(12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2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289)는 전자 장치(12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2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290)은 전자 장치(12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202), 전자 장치(1204), 또는 서버(1208))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290)은 프로세서(12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290)은 무선 통신 모듈(12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2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1 네트워크(1298)(예: 블루투스,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1299)(예: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전자 장치(1204)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2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2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1298) 또는 제2 네트워크(12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201)를 확인 또는 인증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292)은 4G 네트워크 이후의 5G 네트워크 및 차세대 통신 기술, 예를 들어, NR 접속 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할 수 있다. NR 접속 기술은 고용량 데이터의 고속 전송(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단말 전력 최소화와 다수 단말의 접속(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또는 고신뢰도와 저지연(URLLC(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s))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292)은, 예를 들어, 높은 데이터 전송률 달성을 위해,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292)은 고주파 대역에서의 성능 확보를 위한 다양한 기술들, 예를 들어,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전차원 다중입출력(FD-MIMO: full dimensional 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또는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와 같은 기술들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292)은 전자 장치(1201),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204)) 또는 네트워크 시스템(예: 제2 네트워크(1299))에 규정되는 다양한 요구사항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292)은 eMBB 실현을 위한 Peak data rate(예: 20Gbps 이상), mMTC 실현을 위한 손실 Coverage(예: 164dB 이하), 또는 URLLC 실현을 위한 U-plane latency(예: 다운링크(DL) 및 업링크(UL) 각각 0.5ms 이하, 또는 라운드 트립 1ms 이하)를 지원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2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의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2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297)은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1 네트워크(1298) 또는 제2 네트워크(12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2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290)과 외부의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2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297)은 mmWave 안테나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mmWave 안테나 모듈은 인쇄 회로 기판,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1 면(예: 아래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지정된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는 RFIC,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2 면(예: 윗 면 또는 측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지정된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2 네트워크(1299)에 연결된 서버(12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2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2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외부의 전자 장치(1202, 또는 1204) 각각은 전자 장치(12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2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의 전자 장치들(1202, 1204, 또는 12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2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2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2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2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 mobile edge computing),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1201)는, 예를 들어, 분산 컴퓨팅 또는 모바일 에지 컴퓨팅을 이용하여 초저지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의 전자 장치(1204)는 IoT(internet of things)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208)는 기계 학습 및/또는 신경망을 이용한 지능형 서버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의 전자 장치(1204) 또는 서버(1208)는 제2 네트워크(1299)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전자 장치(1201)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예: 스마트 홈,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또는 헬스 케어)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의 전자 장치(120)에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방법은, 전자 장치(120)에서 저장된 특성화 테이블에 포함된 제1 수신 대역폭에 해당하는 캘리브레이션 영역에 대응하는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수신하는 동작(310); 상기 전자 장치(120)에서 상기 특성화 테이블에 포함된 제2 수신 대역폭에 해당하는 오프셋 영역의 오프셋 값을 확인하는 동작(312); 및 상기 전자 장치(120)에서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과 상기 특성화 테이블에 포함된 상기 오프셋 영역의 오프셋 값을 이용해서 상기 오프셋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추정하는 동작(31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의 전자 장치(120)에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방법에서 상기 오프셋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추정하는 동작(314)은, 상기 오프셋 영역 각각의 오프셋 값에 상기 오프셋 영역 각각과 동일한 채널과 동일한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 이득 상태의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더하여 상기 오프셋 영역 각각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추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의 전자 장치(120)에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방법에서 상기 특성화 테이블은, 전자 장치(120) 별로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되는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과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 이득 상태, 채널, 대역폭에 대해서 동일 모델 별로 동일한 오프셋 값을 가지는 상기 오프셋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의 전자 장치(120)에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방법에서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은, 상기 전자 장치(120)에서 사용하는 동작 주파수 대역폭 중에서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폭에 해당하는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의 전자 장치(120)에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방법에서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은, 상기 전자 장치(120)에서 사용하는 동작 주파수 대역폭 중에서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폭과, 상기 전자 장치(120)에서 사용하는 동작 주파수 대역폭에서 각 채널의 기설정된 저잡음 증폭기 이득 상태에 해당하는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의 전자 장치(120)에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방법에서 상기 오프셋 영역은, 상기 전자 장치(120)에서 사용하는 동작 주파수 대역폭 중에서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에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방법은, 캘리브레이션 장치(110)에서 훈련 전자 장치를 대상으로 상기 훈련 전자 장치에서 사용하는 모든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 이득 상태, 채널, 동작 주파수 대역폭에 대한 모든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획득하여 제어 장치(130)로 제공하는 동작(210); 상기 제어 장치(130)에서 상기 훈련 전자 장치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통해서 제1 수신 대역폭에 해당하는 캘리브레이션 영역과 제2 수신 대역폭에 해당하는 오프셋 영역을 설정하는 동작(212); 상기 제어 장치(130)에서 상기 오프셋 영역의 오프셋 값을 포함하는 상기 특성화 테이블을 생성하는 동작(214); 및 상기 제어 장치(130)에서 특성화 테이블을 상기 훈련 전자 장치와 동일한 모델의 전자 장치(120)로 제공하는 동작(216)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에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방법은, 상기 캘리브레이션 장치(110)에서 상기 훈련 전자 장치와 동일한 모델의 전자 장치(120)가 연결됨을 감지하면(410), 상기 전자 장치(120)의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에 대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여 상기 전자 장치(120)의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획득하여 상기 제어 장치(130)로 제공하는 동작(412); 및 상기 제어 장치(130)에서 상기 전자 장치(120)의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상기 전자 장치(120)로 송신하는 동작(4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에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방법에서, 상기 제어 장치(130)에서 상기 훈련 전자 장치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통해서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과 상기 오프셋 영역을 설정하는 동작(212)은, 상기 훈련 전자 장치에서 사용하는 모든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 이득 상태, 채널, 대역폭에 대한 모든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기반으로 다른 주파수 대역폭과 차이가 가장 큰 주파수 대역폭을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으로 설정하는 동작; 및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상기 오프셋 영역으로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에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방법에서 상기 제어 장치(130)에서 상기 훈련 전자 장치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통해서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과 상기 오프셋 영역을 설정하는 동작(212)은, 상기 훈련 전자 장치에서 사용하는 모든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 이득 상태, 채널, 대역폭에 대한 모든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기반으로 다른 주파수 대역폭과 차이가 가장 큰 주파수 대역폭과 상기 훈련 전자 장치에서 사용하는 동작 주파수 대역폭에서 채널별로 다른 저잡음 증폭기 이득 상태와 차이가 가장 큰 저잡음 증폭기 이득 상태를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으로 설정하는 동작; 및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상기 오프셋 영역으로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에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방법에서 상기 특성화 테이블을 생성하는 동작(214)은, 상기 제어 장치(130)에서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자동이득제어 값과 상기 오프셋 영역의 자동이득제어 값을 비교하여 상기 오프셋 영역의 오프셋 값을 계산하는 동작; 및 상기 오프셋 영역의 오프셋 값을 포함하는 상기 특성화 테이블을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장치(110), 제어 장치(130) 및 전자 장치(120)를 포함하는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캘리브레이션 장치(110)는, 훈련 전자 장치와 동일한 모델의 전자 장치(120)가 연결됨을 감지하면, 상기 전자 장치(120)의 제1 수신 대역폭에 해당하는 캘리브레이션 영역에 대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여 상기 전자 장치(120)의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획득하여 상기 제어 장치(130)로 제공하고, 상기 제어 장치(130)는, 상기 전자 장치(120)의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상기 전자 장치(120)로 송신하고, 상기 전자 장치(120)는,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수신하고, 사전에 저장된 특성화 테이블에 포함된 제2 수신 대역폭에 해당하는 오프셋 영역의 오프셋 값을 확인하고,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과 상기 특성화 테이블에 포함된 상기 오프셋 영역의 오프셋 값을 이용해서 상기 오프셋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추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장치(110), 제어 장치(130) 및 전자 장치(120)를 포함하는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120)는, 상기 오프셋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추정할 때, 상기 오프셋 영역 각각의 오프셋 값에 상기 오프셋 영역 각각과 동일한 채널과 동일한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 이득 상태의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더하여 상기 오프셋 영역 각각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추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장치(110), 제어 장치(130) 및 전자 장치(120)를 포함하는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특성화 테이블은, 전자 장치(120) 별로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되는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과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 이득 상태, 채널, 대역폭에 대해서 동일 모델 별로 동일한 오프셋 값을 가지는 상기 오프셋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장치(110), 제어 장치(130) 및 전자 장치(120)를 포함하는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은, 상기 전자 장치(120)에서 사용하는 동작 주파수 대역폭 중에서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폭에 해당하는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장치(110), 제어 장치(130) 및 전자 장치(120)를 포함하는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은, 상기 전자 장치(120)에서 사용하는 동작 주파수 대역폭 중에서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폭과, 상기 전자 장치(120)에서 사용하는 동작 주파수 대역폭에서 각 채널의 기설정된 저잡음 증폭기 이득 상태에 해당하는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장치(110), 제어 장치(130) 및 전자 장치(120)를 포함하는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캘리브레이션 장치(110)는, 훈련 전자 장치를 대상으로 상기 훈련 전자 장치에서 사용하는 모든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 이득 상태, 채널, 동작 주파수 대역폭에 대한 모든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획득하여 상기 제어 장치(130)로 제공하고, 상기 제어 장치(130)는, 상기 훈련 전자 장치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통해서 캘리브레이션 영역과 오프셋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오프셋 영역의 오프셋 값을 포함하는 상기 특성화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장치(110), 제어 장치(130) 및 전자 장치(120)를 포함하는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130)는, 상기 훈련 전자 장치에서 사용하는 모든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 이득 상태, 채널, 대역폭에 대한 모든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기반으로 다른 주파수 대역폭과 차이가 가장 큰 주파수 대역폭을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상기 오프셋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장치(110), 제어 장치(130) 및 전자 장치(120)를 포함하는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130)는, 상기 훈련 전자 장치에서 사용하는 모든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 이득 상태, 채널, 대역폭에 대한 모든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기반으로 다른 주파수 대역폭과 차이가 가장 큰 주파수 대역폭과 상기 훈련 전자 장치에서 사용하는 동작 주파수 대역폭에서 채널별로 다른 저잡음 증폭기 이득 상태와 차이가 가장 큰 저잡음 증폭기 이득 상태를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상기 오프셋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장치(110), 제어 장치(130) 및 전자 장치(120)를 포함하는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130)는,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자동이득제어 값과 상기 오프셋 영역의 자동이득제어 값을 비교하여 상기 오프셋 영역의 오프셋 값을 계산하고, 상기 오프셋 영역의 오프셋 값을 포함하는 상기 특성화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5)

  1. 전자 장치(120)에서 저장된 특성화 테이블에 포함된 제1 수신 대역폭에 해당하는 캘리브레이션 영역에 대응하는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수신하는 동작(310);
    상기 전자 장치(120)에서 상기 특성화 테이블에 포함된 제2 수신 대역폭에 해당하는 오프셋 영역의 오프셋 값을 확인하는 동작(312); 및
    상기 전자 장치(120)에서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과 상기 특성화 테이블에 포함된 상기 오프셋 영역의 오프셋 값을 이용해서 상기 오프셋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계산하는 동작(314)
    을 포함하는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의 전자 장치(120)에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추정하는 동작(314)은,
    상기 오프셋 영역 각각의 오프셋 값에 상기 오프셋 영역 각각과 동일한 채널과 동일한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 이득 상태의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더하여 상기 오프셋 영역 각각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추정하는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의 전자 장치(120)에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방법.
  3.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화 테이블은,
    전자 장치(120) 별로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되는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과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 이득 상태, 채널, 대역폭에 대해서 동일 모델 별로 동일한 오프셋 값을 가지는 상기 오프셋 영역을 포함하는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의 전자 장치(120)에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은,
    상기 전자 장치(120)에서 사용하는 동작 주파수 대역폭 중에서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폭에 해당하는 영역인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의 전자 장치(120)에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은,
    상기 전자 장치(120)에서 사용하는 동작 주파수 대역폭 중에서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폭과,
    상기 전자 장치(120)에서 사용하는 동작 주파수 대역폭에서 각 채널의 기설정된 저잡음 증폭기 이득 상태에 해당하는 영역인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의 전자 장치(120)에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영역은,
    상기 전자 장치(120)에서 사용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폭 중에서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의 전자 장치(120)에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방법.
  7. 캘리브레이션 장치(110)에서 훈련 전자 장치를 대상으로 상기 훈련 전자 장치에서 사용하는 모든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 이득 상태, 채널, 동작 주파수 대역폭에 대한 모든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획득하여 제어 장치(130)로 제공하는 동작(210);
    상기 제어 장치(130)에서 상기 훈련 전자 장치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통해서 제1 수신 대역폭에 해당하는 캘리브레이션 영역과 제2 수신 대역폭에 해당하는 오프셋 영역을 설정하는 동작(212);
    상기 제어 장치(130)에서 상기 오프셋 영역의 오프셋 값을 포함하는 상기 특성화 테이블을 생성하는 동작(214); 및
    상기 제어 장치(130)에서 특성화 테이블을 상기 훈련 전자 장치와 동일한 모델의 전자 장치(120)로 제공하는 동작(216)
    을 포함하는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에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캘리브레이션 장치(110)에서 상기 훈련 전자 장치와 동일한 모델의 전자 장치(120)가 연결됨을 감지하면(410), 상기 전자 장치(120)의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에 대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여 상기 전자 장치(120)의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획득하여 상기 제어 장치(130)로 제공하는 동작(412); 및
    상기 제어 장치(130)에서 상기 전자 장치(120)의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상기 전자 장치(120)로 송신하는 동작(414)
    을 더 포함하는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에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방법.
  9. 제7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130)에서 상기 훈련 전자 장치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통해서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과 상기 오프셋 영역을 설정하는 동작(212)은,
    상기 훈련 전자 장치에서 사용하는 모든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 이득 상태, 채널, 대역폭에 대한 모든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기반으로 다른 주파수 대역폭과 차이가 가장 큰 주파수 대역폭을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으로 설정하는 동작; 및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상기 오프셋 영역으로 설정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에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방법.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130)에서 상기 훈련 전자 장치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통해서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과 상기 오프셋 영역을 설정하는 동작(212)은,
    상기 훈련 전자 장치에서 사용하는 모든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 이득 상태, 채널, 대역폭에 대한 모든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기반으로 다른 주파수 대역폭과 차이가 가장 큰 주파수 대역폭과 상기 훈련 전자 장치에서 사용하는 동작 주파수 대역폭에서 채널별로 다른 저잡음 증폭기 이득 상태와 차이가 가장 큰 저잡음 증폭기 이득 상태를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으로 설정하는 동작; 및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상기 오프셋 영역으로 설정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에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방법.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화 테이블을 생성하는 동작(214)은,
    상기 제어 장치(130)에서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자동이득제어 값과 상기 오프셋 영역의 자동이득제어 값을 비교하여 상기 오프셋 영역의 오프셋 값을 계산하는 동작; 및
    상기 오프셋 영역의 오프셋 값을 포함하는 상기 특성화 테이블을 생성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에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방법.
  12. 캘리브레이션 장치(110), 제어 장치(130) 및 전자 장치(120)를 포함하는 캘리브레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캘리브레이션 장치(110)는,
    훈련 전자 장치와 동일한 모델의 전자 장치(120)가 연결됨을 감지하면, 상기 전자 장치(120)의 제1 수신 대역폭에 해당하는 캘리브레이션 영역에 대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여 상기 전자 장치(120)의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획득하여 상기 제어 장치(130)로 제공하고,
    상기 제어 장치(130)는,
    상기 전자 장치(120)의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상기 전자 장치(120)로 송신하고,
    상기 전자 장치(120)는,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수신하고, 사전에 저장된 특성화 테이블에 포함된 제2 수신 대역폭에 해당하는 오프셋 영역의 오프셋 값을 확인하고,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과 상기 특성화 테이블에 포함된 상기 오프셋 영역의 오프셋 값을 이용해서 상기 오프셋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추정하는
    캘리브레이션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120)는,
    상기 오프셋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추정할 때,
    상기 오프셋 영역 각각의 오프셋 값에 상기 오프셋 영역 각각과 동일한 채널과 동일한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 이득 상태의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더하여 상기 오프셋 영역 각각의 캘리브레이션된 수신 자동이득제어 값을 추정하는
    캘리브레이션 시스템.
  14. 제12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화 테이블은,
    전자 장치(120) 별로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되는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과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 이득 상태, 채널, 대역폭에 대해서 동일 모델 별로 동일한 오프셋 값을 가지는 상기 오프셋 영역을 포함하는
    캘리브레이션 시스템.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역은,
    상기 전자 장치(120)에서 사용하는 동작 주파수 대역폭 중에서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폭에 해당하는 영역인
    캘리브레이션 시스템.
PCT/KR2023/012701 2022-09-02 2023-08-28 멀티 수신 대역폭 특성화 테이블을 이용한 수신 정확도 향상을 위한 캘리브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WO202404913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490 2022-09-02
KR20220111490 2022-09-02
KR1020220127001A KR20240032593A (ko) 2022-09-02 2022-10-05 멀티 수신 대역폭 특성화 테이블을 이용한 수신 정확도 향상을 위한 캘리브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10-2022-0127001 2022-10-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49131A1 true WO2024049131A1 (ko) 2024-03-07

Family

ID=90098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12701 WO2024049131A1 (ko) 2022-09-02 2023-08-28 멀티 수신 대역폭 특성화 테이블을 이용한 수신 정확도 향상을 위한 캘리브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404913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6150A (ko) * 2012-12-12 2014-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 송신 장치에서 DC 오프셋 calibration 장치 및 방법
US20150155898A1 (en) * 2013-12-04 2015-06-04 Marvell World Trade Ltd. Methods and systems for calibrating an analog filter
US20170126258A1 (en) * 2015-10-29 2017-05-04 Apple Inc. Wireless Devices Having Multiple Transmit Chains With Predistortion Circuitry
US20210203334A1 (en) * 2019-12-25 2021-07-01 Phison Electronics Corp. Connection interface circuit, memory storage device and phase-locked loop circuit calibration method
US20210258037A1 (en) * 2020-02-19 2021-08-19 Commscope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igital interference cancella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6150A (ko) * 2012-12-12 2014-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 송신 장치에서 DC 오프셋 calibration 장치 및 방법
US20150155898A1 (en) * 2013-12-04 2015-06-04 Marvell World Trade Ltd. Methods and systems for calibrating an analog filter
US20170126258A1 (en) * 2015-10-29 2017-05-04 Apple Inc. Wireless Devices Having Multiple Transmit Chains With Predistortion Circuitry
US20210203334A1 (en) * 2019-12-25 2021-07-01 Phison Electronics Corp. Connection interface circuit, memory storage device and phase-locked loop circuit calibration method
US20210258037A1 (en) * 2020-02-19 2021-08-19 Commscope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igital interference cancell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065945A1 (ko) 다중 장치들을 이용한 측위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WO2022039543A1 (ko)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전력 백 오프 제어 방법
WO2024049131A1 (ko) 멀티 수신 대역폭 특성화 테이블을 이용한 수신 정확도 향상을 위한 캘리브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WO2022114599A1 (ko)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030898A1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측위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EP4104638A1 (en) Electronic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method of operating electronic device
WO2022191537A1 (ko) 캘리브레이션 포인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WO2023249236A1 (ko)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4071854A1 (ko) 안테나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WO2023239123A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송신 안테나 선택 방법
WO2024048897A1 (ko) 전송 신호의 전력을 보상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22114625A1 (ko)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WO2024035240A1 (ko)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214659A1 (ko) 그립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24019330A1 (ko) 블루투스 환경에서 전파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23096161A1 (ko)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4117501A1 (ko)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WO2024058587A1 (ko) 전자 장치 및 위상 오프셋 보정 방법
WO2024072030A1 (ko)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안테나의 설정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24080549A1 (ko) 위치 검출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2098004A1 (ko) 통신 연결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WO2024029830A1 (ko) 통신과 관련된 회로의 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전자 장치
WO2024053866A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csi 기반 센싱 방법
WO2024076053A1 (ko) 온도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22181981A1 (ko) 분실된 웨어러블 장치의 탐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86080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